KR960006657B1 -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657B1
KR960006657B1 KR1019880003083A KR880003083A KR960006657B1 KR 960006657 B1 KR960006657 B1 KR 960006657B1 KR 1019880003083 A KR1019880003083 A KR 1019880003083A KR 880003083 A KR880003083 A KR 880003083A KR 960006657 B1 KR960006657 B1 KR 960006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vil
staple
driver
crown
sta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43A (ko
Inventor
1996년05월22일
에이. 머레이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에디컨 인코포레이티드
로버트 엘. 미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 인코포레이티드, 로버트 엘. 미니어 filed Critical 에디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10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8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 A61B17/0682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 A61B17/0684Surgical staplers, e.g. containing multiple staples or clamps for applying U-shaped staples or clamps, e.g. without a forming anvil having a forming anvil staying above the tissue during stap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
제 1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형태의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의 정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 기구의 앤빌판의 사시도.
제 3 도는 형성 및 주입단계 바로전에 스테이플과 더불어 제1도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의 간단한 부분 정면도.
제 4 도는 형성 작동의 단부 근처에 스테이플과 더불어 제1도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를 도시하며 제 3 도와 유사한 간만한 부분 정면도.
제5A도는 앤빌 및 드라이버를 해제후 그것이 완전히 형성된 조전에서 제 3 도 및 제 4 도외 외과용 스테이플의 도시도.
제5B도는 그것의 정면으로부터 본 제5A도의 스테이플의 측면 정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앤빌을 제공하여 제 2 도와 유사한 앤빌판의 부분 정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7-7선상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형성되지만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 도시한 것과 유사한 드라이버의 부분정면도.
제 9 도는 그것의 형성 바로전에 의과용 스테이플과 더룰어 제 8 도의 드라이버 그리고 제 6 도 및 제 7 도의 앤빌을 도시하며 제 3 도와 유사한 부분 정면도.
제10도는 스테이플이 완전히 헝성된 후 부품을 도시하며 제 9 도와 유사한 부분 정면도.
제11도는 앤빌을 제거하고 드라이버를 해제한 후 제 9 도 및 제10도의 완전히 형성된 스테이플의 도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앤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여 제 7 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앤빌과 사용하게 될 드라이버의 부분 정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앤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여 제 7 도와 유사한 부분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앤빌과 사용될 드라이버 부분 정면도.
제16도는 드라이버를 포함한 본 발명을 따라 앤빌의 다른 형태의 부분 측면 정면도.
제17도는 제16도 앤빌의 정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제17도와 유사하며 앤빌의 수정을 도시한 정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서 앤빌에 제공된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다른 형태의 부분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왼쪽으로부터 도시된 바와같이 제20도의 구조의 정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될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의 다른 형태의 측면 정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서 변경된 바와같이 제22도의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를 도시하며 단면에서 부분적으로 부분 확대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이플 기구 6 : 스테이플 드라이버
13 : 외과용 스테이플 57 : 스테이플
본 발명은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개선된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 특히 크라운이 드라이버에 의해 해제되고 탄성 스프링이 그 선행상태로 복귀될 때 접합점에서의 굽힘이 만족스러워지도록 스테이플 레그와 스테이플 크라운의 접합점을 약간 굽허서 성형 동작중 스테이플 크라운이 탄성한계내에서 오목하게 휘도록 구성된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년간 외과의사들은 환자 피부의 상처나 절개부위를 봉합하기 위해 종래의 나사식 봉합선보다는 외과용 스테이플(이하 때로는 스테이플 봉합선이라고도 함)을 자주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외과용스테이플이 제조상 더 용이하기 매문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외과용 스테이플은 더욱 신속히 행해진다는사실 때문이다. 이리하여 봉합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어서 환자가 마취상태에 있어야 하는 시간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다.
종래의 작업자들은 여러가지 형태의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러를 개발하였다. 미합중국 특허 제3,873,016호는 드라이버가 매거진내의 그 열의 최선단 스테이플과 결합하여 이 스테이플을 앤빌로 이동시켜 그후 앤빌에 대해 스테이플을 형성하는 예를 기재한 플라이어형 외과용 스테이플러를 기재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109,844호 및 제4,178,057호는 서로 동심이며 앤빌면이 제공된 전방 연장 앤빌을 갖는 앤빌판이 제공된 형태의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를 기재하고 있다. 스테이플 열은 앤빌판상에 설치되어 있고 스테이플 열을 전방으로 계속 미는 수단이 제공되어 열중의 최선단 스테이플이 앤빌판상에 배치되게 한다. 그후 드라이버는 앤빌에 대해 최선단 스테이플을 형성하는데 사용되지만 외과용에 필요한 힘은 스테이플을 앤빌로 이동시키는데는 전혀 이용되지 않는다. 미합중국 특허 제4,411,376호는 앤빌판상의 모든 스테이플의 다리와 앤빌이 성형 및 꽂을 위치에 최선단 스테이플을 제외하고 지지되도록 전방 연장부를 갖는 앤빌판의 개선된 헝태를기재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485,953호는 스테이플을 별개의 카트리지로부터 추출하고 그후 환자 피부에서 스테이플을 형성하고 심도록 되어 있는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를 설명하고 있다.
상술한 의과용 피부 스테이플러의 형태는 대표적인 것일 뿐이며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러는 성형 및 이식작업중에 앤빌이 환부 혹은 절개부상에 직접 배치되는 유사한 앤빌-드라이버 조립체를 특징으로 한다. 앤빌은 환자 피부 표면에 거의 평행으로 배치된 앤빌 표면을 특징으로 한다. 앤빌 표면은 성형하고 이식할 스테이플의 크라운부를 지지한다.
통상의 종래 기술의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의 드라이버는 내부에 역 U자형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U자형 노치는 앤빌에 대해 스테이플 레그를 굽히고 동시에 스테이플 레그를 환자 피부에 꽂도록된 평행 굽힘면을 형성한다. 드라이버 노치의 상단부는 평행 굽힘면에 거의 수직이고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횡단면을 제공한다. 이 힝단면은 드라이버 스트로크 바닥에서 스테이플 크라운과 결합하는 스테이플 크라운 접촉면을 포함한다. 앤빌 단부와 드라이버 평행 굽힘면 사이의 공간은 스테이플 레그와 꼭끼이도록 되어 있다. 가장 날카롭게 굽힘이 일어나는 것은 스테이플 레그와 크라운 사이의 접합부에서 성취된다.
상술한 앤빌과 드라이버간의 상호작용은 약간의 결점이 있다. 예를들면, 스테이플 레그와 크라운의 접합부에서의 성형 공정중 발생된 굽힘은 심각하며 코이닝 동작을 구성한다. 게다가, 드라이버가 그 후퇴 위치로 복귀하면 외과용 스테이플은 빠지려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완전 성형되고 이식된 스테이플에서 앤빌을 벗겨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드라이버를 정상 후퇴 위치로 복귀시키려면 강력한 복귀스프링을 사용해야 하며, 이는 성형 및 이식 단계가 끝난후에 스테이플 레그는 드라이버와 앤빌 단부의 평행 굽힘면 사이에 끼이게 되기 때문이다. 끝으로, 외과용 스테이플을 만드는 와이어의 고유한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스테이플 레그는 드라이버 및 앤빌로부터 해제된 후 약간 분리되려하며, 따라서 완벽한 성형 스테이플을 성춰하기는 어렵다.
현재는 대부분의 외과용 스테이플을 금속 와이어로 만를고 있다. 그러나 모든 외과용, 스테이플이 금속와이어로된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어떤 외과용 스테이플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인체 주위부로 용해되는 재료로 만들고 있다. 본 발명은 금속 와이어 스테이플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적당한 탄성적이며 영구 변형가능한 재료로된 의과용 스테이플을 사용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앤빌의 앤빌면과 드라이버의 스테이플 크라운 접촉면이 성형 및 이식 동작중 스테이플 크라운부에 약간 오목한 공형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경우, 그리고 공형이 스테이플을 만드는 재료의 탄성한계내에 있어서 스테이플 크라운이 소성적으로 변형되지 않을만한 크기로 되어있는 경우, 레그와 크라운의 접합부는약간 과도하게 굽힐 수 있어서 스테이플 크라운이 드라이버에 의해 해제될때 직선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고 레그와 크라운 접합부에서 정사각형 굽힘을 이룰 수 있고 동시에 완벽하게 성형되고 이식된 스테이플을 만들 수 있게 된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 것이다, 다시말하면, 스테이플을 만드는 재료의 자연 탄성은 스테이플을 완벽한 형상으로부터 스테이플의 레그를 펴지지 않고 유지되게 한다. 다른 장점은 본 발명에서 끌어낼수 있다. 예를들어 드라이버 평행 굽힘면과 앤빌 인접 단부 사이에 더 큰 공차를 허용할 수 있다. 스테이플은 드라이버가 정상 후퇴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드라이버를 끌어내려는 경향이 없어지며 앤빌은 성형 및 이식 후에 크라운 하방으로부터 용이하게 미끄러진다. 더욱더 융통성 있는 굽힘이 레그와 스테이플 크라운의 접합부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스테이플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힘이 줄어든다.
스테이플은 드라이버 평행 굽힘면과 앤빌 인접 단부 사이에 끼이지 않기 때문에 힘이 약한 복귀 스프링을 사용하여 드라이버를 그 정상 후되 위치로 복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의 상술한 어느 형태의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내부에 영구 오목 공형부를 갖는 크라운부가 제공된 비외과용 스테이플을 제공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2,351,608호에서 기재된 것이 있는데, 이 영구 오목 크라운 공헝부는 스테이플이 해머로 나무같은 비교적 단단한 공작물내로 파고들게 할때 해머 두드림이 스테이플 레그의 축선과 거의 정렬된 두점에서 스테이플에 적용된다. 이는 드라이빙 동작중 스테이플 레그의 굽힘을 최소화 한다 스테이플 크라운의 오목한 형태는 영구적이며 성형동작과는 관계가 없다.
미합중국 특허 제2,687,061호는 종래의 탁상 스테이플러에서 영구 오목 크라운부를 갖는 스테이플을 사용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스테이플의 오목 크라운부는 스테이플이 매거진내에 끼이는 일을 감소시키도록 매거진내에서의 스테이플 프셔와 협동한다. 또, 이 공보에서의 오목 크라운은 스테이플 성형과는 관계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를 위한 앤빌 및 드라이버 조럽체가 제공된다. 앤빌은 성형동작중 스테이클 크라운을 지지하는 앤빌면을 제공한다. 드라이버는 앤빌과 측면을 결합하는 횡단면에 대해 스테이플 레그를 굽히고 또 성형동작중 스테이플 크라운에 접촉하도록 평행 측면을 형성하는 내부에 형셩된 역 U자형 노치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앤빌면은 오목하여 드라이버의 크라운 접촉면은 따라서 볼록하게 되어 성형 및 이식과정의 드라이버 행정중 외과용 스테이플 크라운에 오목한 공형 굽힘을 주게되어 있다. 공형부는 스테이플을 만드는 와이어 혹은 다른 재료의 탄성한계내에 있어서 스테이플 크라운이 소성 변형되지 않게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공형부는 스테이플이 스테이플 레그 및 크라운의 접합부에서 약간 과도하게 굽혀지도록 되어 있다. 동시에, 드라이버의 평행 굽힘면과 인접 앤빌 단부 사이의 간극은 스테이플을 만드는 와이어의 횡단 치수보다 약간 크게되어 있어 스테이플 레그와 크라운의 접합부에서의 굽힘은 종래 기술 구조에서 성취되던것보다 더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굽힘력도 덜든다. 앤빌면과 드라이버 크라운 접촉면의 형상으로 인해 크라운이 드라이버에 의해 해제되고 그 직선 상대로 탄성 복귀하면 스테이플 크라운의 레그 접합부에서의 굽힘은 거의 정사각형에 가깝게되며, 스테이플은 더욱 완벽한 형상으로 그에 알맞게 헝성된다.
상기 지적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지침은 다수의 여러종류의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에 적용되는 것이다. 단지 전형적으로 도시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미합중국 특허 제4,411,378호에서 지적한 형태의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에 그 적용이 서두에 게재되어 있다. 이와같은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는 제 1 도의 단면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도에 환자의 피부에 의과용 스테이플을 끼우고 형성하기 위한 일회용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를 도시하였다.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는 도면부호 1로 지적되었으며, 몸체(2), 후방 핸들부분(3), 전방부분(4), 전방부분 아래에 위치한 마아진 부분(5)을 포함한다. 스테이플 드라이버(6)는 기구 몸체(2)의 전방부분(4)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6)는 제 1 수축 또는 수직위치(도시된 바와같음) 및 제 2 신장 또는 스테이플 형성 및 끼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트리거(7)는 8에서 같이 몸체(2)내에 피봇 가능하게 설치되었다. 트리거(7)의 부분은 의과의사에 의하여 움직이기 위하여 몸체 핸들부분(3) 아래에 노출되어 있다. 트리거(7)의 전방 단부는 스테이플 드라이버(6)와 직접 결합된 돌출부분(9)을 가지고 있다. 배열은 토리거(7)의 노출된 부분이 압착되고 몸체(2)의 후방 핸들부분(3) 안으로 피봇을 일으킬때 토리거(7)의 돌출부분(9)은 스테이플 드라이버(6)를 상기 제 1 수축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신장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판 스프링(10)은 그 수직 비작동 위치(도시된 바와같음)로 트리거(7)와 그 수직 또는 제 1 수축 위치로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종용하기 위하여 트리거(7) 위로 몸체(2)(우선적으로 핸들부분(3)내)내에 위치하게 된다, 몸체(2)의 마아진 부분(5)은 앤빌판(11)을 수용한다. 앤빌판(11)은 상기 드라이버(6) 아래에 위치한 상호 신장된 앤빌(12)내의 그 전방 단부에서 끝난다. 의과용 스테이플(13)의 배열은 앤빌판(11)상에 설치되며 그들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다.
가구 몸체(2)의 마아진 부분(5)은 또한 외과용 스테이플 이송 조립체를 수용한다. 상기 이송 조립체는 외과용 스테이플(13)의 열뒤의 앤빌판(11)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 슈우(14)와 스테이플 열에 대항하여 이송 슈우를 일정하게 종용하며 앤빌판(11)을 따라 스테이플 열을 스테이플 드라이버(6)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상기 앤빌(12)상의 일의 전방 맨앞 스테이플에 위치하도록 일정하게 종용하는 간편한 압축 스프링(15)을 포함한다.
작동시, 외과의사는 상처나 절개 위치에 기구의 돌출부(16)를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그후 트리거(7)로 압착한다. 스테이플 배열의 맨앞 스테이플은 상기 드라이버(6)에 의해 환자 피부내에 형성되어 끼우게 될 것이다. 트리거(7)의 해제에 의하여 트리거(7) 및 드라이버(6)는 그 원래 위치로 귀환하여 스테이플 배열의 다음 맨앞 스테이플은 이송 슈우(14)와 압축 스프링(15)에 의하여 앤빌(12)상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시점에서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1)는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제 1 도의 기구의 앤빌판(11)은 제 2 도에서 좀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앤빌판(11)은 외과용 환경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적절한 급속으로 적절히 만들었다. 앤빌판(11)은 종방향으로 신장되어 현수된 중앙부분(17)을 가지고 있다. 그것의 맨앞 단부에서 상기 현수된 중앙부분(17)은 현수된 부분(17)의 전체 한 단편부분을 구성한 앤빌(12)에서 끝나게 된다. 앤빌(12)의 상부 표면은 현수된 중앙부분(17)의 상부 표면과 상호 신장된 앤빌 표면(18)을 구성한다.
앤빌판(11)의 현수된 중앙부분(17)은 19로 도시한 것의 하나이고 하방으로 매달린 부분내에서 끝나는 측방 엣지를 가지고 있다. 앤빌판(도시하지 않음)의 다른 측상에 부분(19) 및 그 대등한 부분은 측방으로 신장된 플랜지(20,21)에서 끝난다. 측방으로 신장된 플랜지(20,21)는 이후 명백히 하기 위하여 각기 전방 신장부(22,23)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형성하여 끼우기전인 전형적인 외과용 스테이플이 참고번호 24로 지적되어 제 3 도에 나타나 있다. 요구되지는 않지만 외과용 스테이플(24)은 원형 단면의 와이어로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제 3 도로부터 명백해지므로 초기의 비성형 조건의 스테이플은 후퇴 단부에서 끝나는 신장된 직사각형 부분을 포함한다. 앤빌(12)의 앤빌 표면에 의하여 지지된 신장된 직사각형 부분중 할당된 부분은 스테이플의 크라운(25)를 포함한다. 크라운부(25)의 원편에 직사각형 부분의 할당된 부분은 다리부분(26)을 구성한다. 다리부분(26)은 후퇴다리부분(27)에서 끝나며 번갈아 예리한 점 또는 팁(28)에서 끝난다. 크라운부(25)(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음)의 오른편에 비성형 스테이플의 직사각형 부분의 할당된 부분이 다리부분(29)을 구성하는 것과 유사하게 후퇴 다리부분(30)에서 끝나는 다리부분(29)은 점 또는 팁(31)에서도 끝나게 된다.
제 1 도에서 명백해진 바와같이, 비성형 스테이플은 앤빌판(11)의 상부 현수부분(17)에 걸쳐서 나란한 열로 배열되어 있다. 스테이플의 팁은 측방 플랜지(20,21)에 의하여 지지된다. 전방 신장부(22,23)는 제 1 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같이 스테이플(13)의 열중 맨앞 스테이플을 제의하고 스테이플 다리의 모두를 지지한다.
제 3 도는 또한 제 1 도 드라이버의 단편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그 하부 단부에서 스테이플 드라이버(6)는 그안에 형성된 전환된 U형 노치(일반적으로 32로 지시되었음)를 가지고 있다. 전환된 U형 노치(32)는 한쌍의 수직 측면 엣지(33,34)와 결합 수평 엣지(35)를 형성한다. 상기 수평 엣지(35)는 36으로 지적된 추가된 노치에 의하여 단절되어 있다. 노치(36)는 기구 몸체(2) 전방부분(4)의 내측면상에 설치된 러그 또는 스프링 핑거(37) 형태의 요소를 수용할 것이다. 러그 또는 스프링 핑거(37)의 용도는 이후에서 설명할 것이다.
스테이플 드라이버(6)의 구조를 완성하기 위하여 수직 측면 엣지(33,34)를 인접하는 것이 주목할만 하며 상기 드라이버는 각기 수평 엣지(38,39)를 제공하게 된다. 수직 측면 엣지(33) 및 수평 엣지(38)의 접합은 완만하게 구부러진 엣지(40)으로 되어 있다. 수직 측면 엣지(34) 및 수평 엣지(39)의 전합도 유사하게 완만하게 구부러진 엣지(41)로 되어 있다.
제 3 도는 외과용 스테이플(24)과 제 1 접촉한 하방 스토로크(원래 수축된 위치로부터 신장된 형성 위치로)에서 그 점에서 스테이플 드라이버(6)를 도시한다. 하부 수평 엣지(38,39)가 앤빌(12)의 측면 엣지를 지나서 앤빌(24)의 다리부분(26,29)과 제1접촉한다는 것은 주목할만 하다. 스테이플 드라이버(6)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다리부분(26,29)은 앤빌(12)(예를들어, 스테이플(24)의 크라운부(25)와 접합에서)의 엣지가 구부러지기 시작할 것이라는 것이 명백해진다. 다리부분(26,29)은 서로를 향해 하방 및 안쪽으로 이동하므로 그것의 수직 엣지(33,34)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스테이플 드라이버(6)의 완만하게 구부러진 엣지(40,41)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제 4 도는 가장 신장된 위치 근처에서 드라이버를 도시한다. 러그 또는 스프링 핑거(37)는 굽힘 작동중 스테이플 크라운부(25)의 상부 휨량을 제한한다는 것은 주목할만 하다. 스테이플 드라이버가 가장 신장된 위치에 도달했을 때 수평 결합 엣지(35)는 앤빌 표면(18)에 대항하여 스테이플 크라운부(25)를 누르게 될 것이다. 앤빌(12)의 엣지와 수직 측면 엣지(33,34) 사이에 제공된 클리어런스는 서로 스테이플 다리부분(26,29)을 단단하게 결합하기에 충분하면 스테이플 다리부분(26,29)과 스테이플 크라운부(25)의 접합이 가장 사각형지게 구부러지도록 시도하고 있는 것이 제 4 도로부터 주목할만 하다. 스테이플이 완전히 형성될때 실질적으로 접근하여 배열된 다리끝(28,31)에 대하여 직사각형 형상이라고 여길것이다.
형성 작동의 마무리에서 스테이플 드라이버는 판 스프링(10)의 영향하에서 그 정상 및 수축 위치(제 1 도에 도시됨)로 상방으로(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하여 이동방향을 역전시킬 것이다. 형성된 스테이플 다리와 수직 측면 엣지(33,34)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스테이클(24)의 추세는 스테이플 드라이버를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스테이플의 양은 러그 또는 스프링 핑거(37)에 의하여 한정된 드라이버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6)가 정상 및 수축 위치를 얻게되면 서로로부터 앤빌(12)을 분리하기 위하여 스테이플의 후방으로 피부 스테이플 기구(1)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스테이플이 앤빌(12)에 관하여 꽉끼게 형성되므로 때때로 어려움이 있다.
스테이플 드라이버(6)는 해제하면 스테이플(24)은 와이어나 다른 물질로 되는 고유 스프링백으로 인해 약간 분리되고 그 스테이플 다리팁(28,31)이 생기는 경향이 있으며 더 이상 가까이 접근(제 5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하여 배열되지는 않는다. 다리부분(26,29)은 이제는 거의 평행하지 않으며, 다리부분(27,30)도 거의양축 방향으로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형성된 스테이플의 소정의 완전한 형태를 매우 힘들게 얻어지게 된다. 다러부분(26,29)과 크라운부(25)의 접합에서의 굽힘은 제5A도에서 42,43으로 제5B도에서 43으로 큰 형태로 지적된 바와같이 엄밀하여 모서리 작동을 거의 구성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라이버(6) 및 앤빌(12)의 일반적인 헝상은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있는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전형적인 형태이다, 제5A의 완전히 형성된 스테이플은 종래 기술에서볼 수 있는 형성된 스테이플의 다른 전형적인 형태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앤빌판을 도시한다. 앤빌판을 제12도의 것과 유사하며 동일 부품은 동일 참고번호로 하였다. 제 6 도의 앤빌판(11)과 제 2 도의 앤빌판(2) 사이의 차이는 상호 신장된 앤빌(12a)과 그 앤빌 표면(18a)에 놓인다는 것이다. 제 7 도에서 알 수 있듯이 앤빌 표면(18a)은 오목이다,
앤빌판(11)과 그 앤빌 표면(18a)을 사용하기 위하여 제 8 도에 드라이버(44a)를 도시하였다.
드라이버(45a)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라이버 하부 단부에 형성되고 45a로 지적된 노치를 가지고 있다. 노치(45a)는 제 3 도의 드라이버(6)의 수직 측면 엣지(33,34)에 상당하는 한쌍의 수직 앳지(46,47)를제공한다. 다리 굽힘 엣지(46,47)의 상부 단부는 제 3 도의 결합 수평 엣지(35)에 상당하는 가로 크라운 접촉 엣지(48a)에 의해 결합하게 된다, 드라이버(44a)는 제 3 도의 수평 엣지(38,39)에 상당하는 거의 수평 엣지(49,50)를 제공한다. 수직 엣지(46)와 수평 엣지(49) 사이는 구부러진 엣지(51)이다. 수직 엣지(47)와 수평 엣지(50) 사이도 유사하게 구부러진 엣지(52)이다. 구부러진 엣지(51,52)는 제 3 도의 구부러진 엣지(40,41)에 해당된다. 마침내, 드라이버(44a)가 사용된 기구가 제 3 도 및 제 4 도의 러그 또는 스프링 핑거(37)에 상당하는 러그 또는 스프링 핑거를 제공하게 된다면 상부 크라운 결합 엣지는 53으로 지적된 추가된 노치일 수 있다. 추가 노치(53)는 제 3 도의 추가 노치(36)와 같이 동일한 목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제 8 도로부터 크라운 접촉 엣지(48a)는 볼록이고, 형상이 아치형이며, 아치형 오목 앤빌 표면(18a)에 거의 상응한다는 것이 주목할만하다. 상기의 것이 제 8 도의 드라이버(44a)와 제 3 도의 드라이버(6) 사이의 실제 차이이다.
제 9 도, 제10도 및 제11도는 제 3 도의 드라이버(44a)와 제 7 도의 앤빌 표면(18a)을 병합한 방법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9 도는 제 3 도와 유사하며 앤빌 표면(18a)에 의하여 지지되고 설치된 맨앞 스테이플을 도시한다. 제 9 도에 도시된 외과용 스테이플은 제 3 도에 도시된 스테이플과 동일하며 동일 부품은 동일 참고빈호로 하였다.
제 9 도에서, 드라이버(44a)는 정상 수축 위치로부터 그 헝성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스테이플(24)과 제 1 접촉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제 9 도에서 수평 엣지(49,50)는 스테이플 다리부분(26,29)과 먼저 결합한다는 것이 주목할만하다. 제 9 도 및 제10도의 비교로 인해 드라이버(44a)의 하방 진행은 다리부분(26,29)을 구부러진 엣지(51,52)로 하여금 접촉하게 하며 수직 엣지(46,47)를 따라가게 한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제10도는 스트로크의 하부에 드라이버(44a)를 도시한다. 몇몇의 것이 제10도에서 주목할만하다. 우선, 드라이버(44)의 볼록 크라운 접촉 엣시(48a)는 앤빌 표면(18a)의 오목휨으로 하여 크라운부(25)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크라운부(25)에서 오목휨은 스테이플(24)이 만들어진 아이어의 탄성한계를 초과하지는 않으므로 크라운부(25)는 플라스틱적 변형되지는 않는다. 크라운부(25)와 다리부분(26,29)의 접합에서 굽힘은 많으며, 앤빌(12)의 엣지와 인접 수직 다리 굽힘 드라이버 엣지(46,47) 사이의 클리어런스는 스테이플 와이어의 가로치수보다 약간 크다. 마침내, 스테이플 끝(28,31)이 거의 연속하여 배열된다는 것은 주목할만 하다.
드라이버(44a)가 원래 수축된 위치로 움추릴때 다리부분(26,29)과 크라운부(25)의 접합에서 굽힘은 고유스프링백으로 인해 약한 열리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동시에 스테이플(24)의 크라운부(25)는 직선으로 둘러싸인 조건으로 전환될 것이다. 크라운부 내에 헝성된 휨은 상기 지적한 바와같이 드라이버가 그 스트로크의 바닥에서 크라운부의 플라스틱 변형을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은 사실이다. 크라운부(25)가 그 직선으로둘러싸인 조건으로 돌아갈때 다리의 끝(28,29)은 거의 인접한 위치로 배열 유지된다.
크라운부(25)에서 그 직선으로 둘러싸인 조건으로 귀환은 크라운부(25) 및 다리부분(26,29)의 접합에서 휨으로 고유 수프링백을 보상한다. 스테이플 일회 드라이버(44a)는 수축하게 되며 앤빌(12a)은 서로 수축하게 된다는 것이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6 도 내지 제10도의 구조와 결과적으로 일치하여 얻어지며 거의 완전하게 형성된 외과용 스테이플이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0도에서 크라운부(25)에 준 휨이 탄성한계를 초월하지 않으므로 크라운부의 플라스틱 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테이플 와이어의 고유 스프링백 경향은 제 3 도 내지 제5B도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완전한 형태와 멀다기보다는 스테이플을 거의 완전한 형태로 되게 한다. 다리부분(26,29) 및 크라운부(25)의 접합에서 형성된 풍부한 굽힘으로 인하여 의과의사는 스테이플을 헝성하는데 적은 힘이 요구된다. 수직 다리굽힘 드라이버 표면(46,47)과 앤빌(12a)의 인접 엣지 사이에서 크리어런스가 커지면 그 초기 직선으로 둘러싸인 상태로 스테이플 크라운부(25)의 귀환과 더불어 스테이플을 위한 경향이 드라이버(44)의 움추림을 위쪽으로 끌게 될 것이다. 그 결과, 작은 힘의 판 스프링(10)(제 1 도에 도시됨)이 요구된다. 마침내 크라운부는 그 휨 상태로부터 직선으로 둘러싸인 상태로 귀환하며 약간 신장될 것이며 크라운부(25) 아래로부터 앤빌(12a)외 움추림을 쉽게 만들 것이다. 다리부분(26,29) 및 크라운부(25)의 접합에서 스테이플의 더많은 굽힘으로 인하여 모서리 작동의 성질을 갖는 것이 아니다.
이안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같이 "오목한"이라는 말은 앤빌 표면이 아치형 요면을 제한하지 않도록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좀 적절히 눌려진 중앙형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제12도는 제 7 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제12도에서 앤빌(12b)는 V-형 형상을 가지는 오목한 앤빌 표면(18b)을 갖는다.
제13도는 앤빌(12b)과 사용될 드라이버(44b)의 부분 정면도이다. 제13도는 제 8 도와 유사하며, 동일 부품은 동일 참고부호를 사용하였다.
제13도의 드라이버(44b)와 제 8 도의 드라이버(44a) 사이의 차는 제12도의 앤빌 표면(18b)에 상응하여 볼록 V-형을 가진 제13도의 볼록 크라운-접촉 엣지(48b)에 놓이게 된다. 그래서, 드라이버와 관련하여 이안에 사용된 "볼록한"이라는 말은 아치형 볼록면을 제한하지 않는다. 원한다면 크라운 접촉 엣지(48b)는 제 8 도의 노치(53)와 동등한 추가된 노치(도시하지 않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제14도는 제 7 도와 유사한 단면도이며, 깍아진 오목 앤빌 표면(18c)과 측방 표면에 경사진 상방 및 하방으로 접하고 직선으로 유사한 단면도이며, 깍아진 오목 앤빌 표면(18c)과 측방 표면에 경사진 상방 및 하방으로 접히고 직선으로 둘러싸여 눌려진 중앙 표면을 갖는 앤빌(12c)을 도시한다. 그래서, 오목 앤빌 표면은 다수의 인접 표면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제15도는 제 8 도와 유사하며 제14도의 앤빌(12c)과 함께 사용하게 될 드라이버(44c)를 도시한다. 다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고번호를 사용하였다. 이 경우에는 크라운 결합 볼록 엣지(48c)는 한쌍의 아치형 표면에 의해 접해있는 중앙 직선으로 둘러싸인 표면을 포함한다. 다시, 중앙 직선으로 둘러싸인 표면은 원한다면 제 8 도의 노치(53)와 유사한 추가적 노치(도시하지 않음)의 하여 가로막힐 수 있다. 드라이버의 크라운 접촉 엣지의 형태는 앤빌 표면의 형태와 결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앤빌(12b) 및 드라이버(44b)의 결합과 앤빌(12c) 및 드라이버(44c)의 결합은 제 9 도 및 제10도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하며 동일한 결과 및 잇점을 나타낸다.
제16도 및 제17도는 앤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제17도는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앤빌판(53)의 후방측의 정면도이다. 앤빌판은 앤빌 표면(55)에 제공된 후방으로 연장된 앤빌(54)을 가지고 있다. 제16도에서 가장 명확히 볼 수 있듯이 드라이버(56)는 앤빌판(53)의 후방면에 인접하여 설치하게 된다. 드라이버(56)는 제16도에서 도시된 그 수직 위치로부터 앤빌(54)을 향하여 스테이플 형성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스테이플(57)의 열은 스테이플 가이드(58)상에 설치된다. 수단(도시하지 않음)은 앤빌판(53)쪽으로 스테이플(57)의 열을 일정하게 종용하기 위하여 제공되었다. 열의 맨앞 스테이플은 스테이플(57)의 열과 앤빌판(53)의 후방 표면 사이에 스테이플 가이드(58)의 전방 단부와 떨어져 유지하게 된다. 드라이버(56)가 하방으로(제16도에 도시된 바와같음)이동하게 될 때 그선은 열로부터 맨앞 스테이플을 벗기고 앤빌 표면(55)쪽으로 하방으로 맨앞 스테이플을 이동하며 스테이플이 드라이버(56)에 의하여 형성하게 된다. 일단 스테이플이 형성되게 되면 드라이버는 수축하게 되며 상기 기구는 스테이플 크라운부 아래쪽으로부터 앤빌(54)과 해제하기 위하여 약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제 7 도의 앤빌 표면(18a)과 동일한 앤빌 표면(55)을 가지는 앤빌(54)은 제 7 도의 앤빌(12a)와 유사하며 제17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드라이버(56)는 제 8 도의 드라이버(44a)에서 노치(45a)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된 노치(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될 것이다. 그 결과, 제16도 구조의 형성단계는 제 9 도 내지 제11도에 대하여 기술된 것과 거의 동일한 것이다.
제18도는 제17도의 앤빌판(53)과 유사한 앤빌판(59)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앤빌판(59)은 제12도의 앤빌(12b) 및 앤빌 표면(18b)과 유사한 앤빌 표면(61)으로 앤빌(60)을 가지고 있다. 앤빌판(59)은 제13도의노치(45b) 및 크라운 접촉 엣지(48b)와 거외 동일한 노치 및 크라운 접촉 엣지를 갖는 드라이버로 사용될 것이다.
제19도는 앤빌 표면(64)과 앤빌(63)을 갖는 앤빌판(62)을 도시한다. 앤빌(63) 및 앤빌 표면(64)은 제14도의 앤빌(12c) 및 앤빌 표면(18c)과 유사하다. 앤빌판(62)은 제15도의 드라이버의 노치(45c) 및 크라운 접촉엣지(48c)와 동등한 노치 및 크라운 접촉 엣지를 가지는 드라이버로 사용될 것이다. 제18도의 앤빌판(59)및 제19도의 앤빌판(62)의 작동은 드라이버에 대하여 서로 작동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 9 도 내지 제11도에 대하여 기술된 바와 거의 유사하게 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0도 및 제21도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3,873,016호에서 기술된 형태의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에 적용된 본 발명의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하부 집는 부분인 플라이어헝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가 미합중국 특허 제3,873,016호에 기술되어 있다. 하부 집는 부분(65)은 스테이플(67)의 옆이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스테이플 이송하우징(66)을 지지한다. 스톄이플의 열은 푸셔 헤드(68) 및 압축 스프링(69)에 의하여 전방으로 일정하게 종용되고 있다.
하부 집는 부분(65) 및 스테이플 이송 하우징(66)의 전방 단부는 도면부호 70으로 지적된 수직 스테이플 가이드와 붙혀있다. 상기 스테이플 가이드는 서로 활사면(73)을 형성한 전방판(71) 및 후방판(72)을 포함한다. 램 또는 드라이버(74)는 활사면(73)에 설칠되며 기구의 상부 집는 부분(도시하지 않음)은 작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상부 및 하부 기구집는 부분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할때 램 또는 드라이버(74)는 수직 위치로부터 스테이플 형성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푸셔 헤드(68) 및 압축스프링(69)이 스테이플(67)의 열을 전방으로 일정하게 종용하므로 열의 맨앞 스테이플은 후방판(72)에서 개구를 통과하며 활사면(73)에 위치하게 된다.
앵글 플레이트(75)는 스테이플 이송 하우징(66)과 붙어있으며 앤빌 표면(76a)을 가지는 앤빌(76)이 활사면(73)의 하부 단부에 제공된다. 램 또는 드라이버(74)가 기구 집는 부분의 폐쇄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드라이버는 크라운부가 앤빌 표면(76a)과 결합할때까지 활사면(73)내에서 하방으로 맨앞 스테이플을 이송할 것이다. 드라이버(74)가 더 하방으로 이동하면 앤빌(76)에 관하여 스테이플을 형성할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3,873,016호의 의과용 스테이플 기구의 작동에서 본 발명의 기술의 잇점을 얻기 위하여 앤빌(76)에 제 7 도의 앤빌 표면(18a)과 유사한 오목 형상을 가지는 앤빌 표면(76a)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의 것은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드라이버(74)는 제 8 도의 노치(45a) 및 크라운 접촉, 엣지(48a)와 동등한 노치 및 크라운 접촉 엣지를 그 하부 단부에 제공하게 된다. 변경된 앤빌(76) 및 드라이버(74)의 작동은 제 9 도 내지 제11도에 대하여 기술한 것과 동일한 것이다.
제12도의 앤빌표면(18b) 또는 제14도의 앤빌 표면(18c)의 방법을 따라 제21도의 앤빌 표면(76a)을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법주내에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드라이버는 서로 제15도의 노치(45c) 및 크라운 접촉 엣지(48c) 또는 제13도의 노치(45b) 및 크라운 집촉 엣지(48b)와 유사하게 형성된 노치 및 크라운 접촉 엣지를 그 하부 단부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변형의 동일한 종류는 미합중국 특허 제4,485,953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이 피부 스테이플의 다른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복수개의 스테이플을 함유하는 완전히 분리되어 이은데 없는 카아트리지로 사용하기 위한 플라이어형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가 미합중국 특허 제4,485,953호에 기술되어 있다. 각 스테이플은 환자의 피부에 끼워서 형성된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에 의하여 카아트지로부터 각기 물러나 있다. 상기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는 참고번호 77호에 제22도에 도시되어 있다.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는 제 1또는 상부 핸들(78), 제 2 또는 하부 핸들(79), 피봇 핀 및 누름 조럽체(80), 삼각판(81), 상부 핸들(78)에 붙어있는 상부 스프링(82), 하부 핸들(79)에 붙어있는 하부 스프링(83)을 포함한다. 상부 핸들(78)은 그 전방 단부에 하방으로 신장된 의존 돌출부분(85)에서 끝나는 중앙 몸체부분(85)을 가지고 있다. 중앙 몸체부분(84)은 그안에 형성된 슬롯(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다. 하부 핸들(79)의 전방 단부는 피봇 핀 및 누릅 조립체(80)에 의하여 그안에 피봇 가능하게 붙어있으며 상기 슬롯내에 위치하게 된다.
신장된 돌출부분(85)은 플랫 전방면(86)을 제공한다. 그 하부 단부 근처에 돌출부분(85)은 제23도에서 참고번호 87로 도시한 섕크부분 즉, T형 단면의 전방으로 연장된 러그를 제공한다. 돌출부분(85)은 앤빌 표면(88)을 가지는 전방으로 연장된 앤빌(87)에서 끝나게 된다. 전방으로 연장된 앤빌(87)은 외과용 스테이플로부터 픽업 그리고 이동동안 카아트리지내에 돌출부분(85)의 바닥 단부에 적절히 배열된 분리 카아트리지와 연합된 하방 의존 플랜지 또는 용골(89)을 가지고 있다.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의 삼각판(81)은 돌출부분(85)의 플랫 전방 표면(86)과 연합하기 위하여 채택된 플랫 전방 표면(90)을 가지는 신장된 부재를 포함한다. 그 상부 단부 근처에 삼각판(81)은 서로를 통하여 형성된 홈 또는 윈도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하부 핸들(79)외 맨앞 단부(79a)는 상기 홈을 통하여 연장되며 그것에 의하여 삼각판(81)과 결합하게 된다. 홈 바로 아래에 삼각판(81)의 전방 표면(90)은 T형단면의 전방으로 연장된 러그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러그는 중앙 몸체부분(84)에서 적절하게 형성된 홈 수단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채택되었다.
유사하게, 돌출부분(85)의 전방면상에 T형 단면의 러그는 삼각판(81)내에서 적절히 헝성된 홈을 수용하도록 채택되었으며 부분은 제23도에서 참고번호 91로 도시되었다. 이렇제 하여, 삼각판(81)은 돌출부분(85)의 전방 표면(86)상에 미끄럼가능하고 고정되게 설치되며 제22도에 도시된 수축된 위치와 스테이플 형성 위치 사이에서 하부 핸들(79)을 거쳐서 이동할 수 있다.
작동시, 용골(89)을 포함한 돌출부분(85)의 하부 단부는 분리 카아트리지내의 세로홈에 삽입하게 된다. 앤빌(87)은 카아트리지내의 스테이플의 크라운부 아래에 위치하게 되며, 하부 핸들(79)은 앤빌 표면(88)과 삼각판(81)의 하부 단부 사이에서 스테이플 크라운부가 결합될때까지 상부 핸들(78)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만은 상기 위치에서 핸들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프링(82,83)의 후방 단부에 제공하게 되므로 아직 형성되지 않은 스테이플은 카아트리지로부터 물러날 수 있으며 상처나 절개 위치 위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 핸들(78)쪽으로 하부 핸들(79)의 폐쇄는 스프링(82,83)을 해제하며 상기 제 3 도, 제 4 도 및 제 5 도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하게 되도록 스테이플을 야기시킨다. 하부 핸들(79)의 해제시 스프링(82,83)은 그것을 수직 위치 즉 작동하지 않은 위치로 귀환하게 하며, 삼각판(81)은 그 수축된 위치로 귀환하게 된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마라서 변형된 앤빌(87) 및 삼각판(81)을 가지고 있는 제22도의 기구의 돌출부분(85)의 하부 단부, 삼각판(81)의 하부 단부, 앤빌(87), 용골(89)을 도시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앤빌(87)의 앤빌 표면(88a)은 도시된 바와같이 오목한 헝태로 되어 있다. 그래서, 앤빌 표면(88a)은 제 7 도, 제 9 도 및 제10도의 앤빌 표면(18a)과 유사하다.
삼각판(81)의 하부 단부는 참고번호 92로 지적된 노치를 제공한다. 노치(92)는 아치형 볼록 스테이플 크라운 접촉 표면(95)에 의하여 결합된 한쌍의 평행측부(93,94)를 포함한다. 평행 노치 측부(93,94)는 완만한 곡선(96,97)의 하부 단부에서 끝나며 번갈아 수평 표면(96,97)에서도 끝난다. 그래서, 상기 노치(92)는 제 8 도에서 도시된 노치(45a)와 유사하다. 제23도에서 외과용 스테이플(100)은 앤빌 표면(88a)의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기슬에서 능숙한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얻게되는 모든 잇점과 제 9 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된 스테이플(100)의 형성은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삼각판의 앤빌 표면(88a) 및 크라운 결합 엣지(95)는 각기 제12도 및 제13도 또는 제14도 및 제15도로 도시된 바와같은 형상일 것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에서, 외과용 스테이플의 이상적 형태는 거의 인접한 다리 팁(28,31)과 거의 동축으로 된 다리부분(27,28)에 대하여 직사각형으로 된 것을 제11도에 대하여 도시하고 기술하였다.
현재 상기 형성된 형상의 의과용 스테이플은 산업 규격이라고 간주된다. 상기 규격이 변화하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다른 형태로 발전시킨다면, 본 발명의 기술은 모서리 없이 지속적으로 적은 힘을 이용한 다리부분(26,29)과 크라운부(25) 사이에서 특별히 원하는 각과 다리 팁의 제어된 위치 및 간격을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앤빌 표면, 드라이버 또는 삼각판 그리고 크라운 접촉 엣지의 적절한 형상에 의하여 스테이플의 마지막 소정의 형상은 물질로 된 스테이플의 고유 스프링백 성질로 만들어진 것을 보상하여 얻을 수 있다.
기술에서 능숙한 자라면 "수직", ''수평'', ''상방", ''하방"과 같이 이안에서 사용된 말들은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도면관련하여 사용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시, 외과용 스테이플 기구는 스테이플이 적용되는 피부 표면에 의하여 요구되는 어떤 방향에 고정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을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기술에서 제안한 의과용 스테이플의 크라운부는 형성 전후 직선으로 둘러싸이도록 기술되어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경우지만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요구물이 아니다. 예를들은 바와같이, 발췌자에 의하여 쉽게 결합하기 위한 현수된 중앙부분과 크라운부를 가지는 스테이플을 발명하었다. 본 발명의 기술은 이와같은 스테이플에 동등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레그부분에서 각 단부가 끝나는 크라운부를 가지는 형식의 외과용 스테이플을 성형 및 이식하기 위하여 외과용 스테이플링 기구와 함께 사용되는 앤빌 및 드라이버에 있어서, 상기 앤빌은 상기 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드라이버는 기구에 의해 변환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앤빌은 앤빌면을 가지고, 상기 드라이버는 스테이플 성형 단부를 가지고, 상기 드라이버는 정상 후퇴 위치와 스테이플 성형 위치간을 기구에 의해 변환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버의 형성 단부는 드라이버가 상기 스테이플 성형 위치에 있을때 앤빌을 수용하도록 된 역전 U형 노치를 가지고, 상기 노치는 스테이플 크라운과의 접합부에서 앤빌에 대하여 스테이플 레그부분을 구부리는 측면 에지와 상기 측면 에지와 결합하며 스테이플 형성 작동중 스테이플 크라운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횡단 에지에 의하여 규정되고, 드라이버 노치의 측면 에지와 앤빌 사이에는 드라이버가 스테이플 형성 위치에 있을때 스테이플 레그부분의 횡단면 치수보다 큰 유극이 있고, 상기 앤빌면은 오목하여 상기 크라운 접촉 드라이버 에지는 드라이버가 형성 위치에 있을때 스테이플 크라운에서 오목한 활모양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앤빌면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활모양은 크라운의 플라스틱 변형을 배체하도록 하는 치수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스테이플 레그부분과 스테이플 크라운의 접합부들에서 코이닝 및 약간의 과다 굽힘이 없이 적은 힘으로 보다 부드러운 굽힘이 달성되고 또한, 상기 드라이버가 스테이플 성형위치에서 수축 위치로 변환될때 상기 크라운이 초기상태로 복귀하여 레그부분과 크라운 부분의 접합부에서 탄성 귀환을 보정하며 지속적으로 스테이플의 최종 형성 요구 헝태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앤빌면은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앤빌면은 V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앤빌면은 다수의 인접한 표면을 구성하는 작은 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접촉 드라이버 에지는 형상이 앤빌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6. 제 1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노치외 측면 에지들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7. 제 1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노치의 크라운 결합 에지는 상기 드라이버에 형성된 제 2 노치에 의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8. 제 1 항에 있어서, 드라이버 노치의 측면 에지는 드라이버의 형성 단부에서 외향 굴곡 에지로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외과용 스테이플을 포함하고, 앤빌과 드라이버에 의해 완전히 형성되었을 때의 외과용 스테이플은 사각형 모양을 가지고, 형성된 스테이플의 레그부분은 실제로 동축으로 정렬되어 실제로 접촉하는 대향한 자유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대면관계로서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외과용 스테이플과 앤빌판을 포함하고, 각각의 스테이플 레그부분은 크라운과 동축인 제 1 부품과 자유 단부에서 끝나는 종석 부품을 가지고, 상기 앤빌판은 전방 및 후방 단부를 가지여 역전 V형 단면으로 되어 있는 신장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앤빌판은 종방향으로 연장하여 상승된 중앙의 평면부를 가지고, 상기 평면부의 종방향 에지는 하향 종속부와 동일한 길이로서 끝나고, 각각의 상기 하향 종속부는 이 종속부 및 중앙부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에서 끝나고, 앤빌판의 전방 단부의 중앙부에서 동일한 길이의 연장부는 중앙부에 대해 약간 상향 각도에서 놓여 있고, 상기 연장부는 오목한 앤빌면을 가지는 앤빌을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스테이플의 열이 상승된 중앙부에 지탱되면서 앤빌판에 장착될때 스테어플의 자유단부가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도록 앤빌판의 길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의 스테이플들이 상승된 중앙부와 앤빌에 지탱되면서 앤빌판에 장착될때 최전방 스테이플을 제외한 모든 스테이플의 자유단부들이 플랜지와 동일면의 연장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플랜지의 전방 단부에서 동일면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앤빌 및 드라이버.
  12. 레그부분에서 단부로서 끝나는 크라운 부분을 가지는 헝식의 외과용 스테이플 성형 방법에 있어서, 오목한 앤빌면을 가지는 앤빌을 제공하는 단계와, 형성 단부를 가지는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오목한 앤빌면과 협동하는 모양으로 된 스테이플 크라운 접촉 에지에 의해 결합된 측면 에지로써 규정된 역전 U형노치를 가진 드라이버 형성 단부를 제공하는 단계와, 앤빌과 각각의 노치 측면간의 유극이 스테이플 레그부분의 횡단면 치수보다 더 큰 상태로서 앤빌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서 노치를 제작하는 단계와, 앤빌면에 의해 스테이플 크라운 부분이 지지되도록 앤빌에 스테이플을 위치하는 단계와, 드라이버의 형성 단부를 앤빌을 향해 전진시키는 단계와, 레그부분과 크라운 부분의 접합부에서 노치 측면이 스테이플을 구부리게 만드는 단계와, 스테이플이 만들어지는 재료의 탄성 한계내에서 스테이플 크라운 부분에 일시적인 활모양을 부여하기 위해 드라이버의 크라운 접촉 에지와 오목한 앤빌면 사이의 스테이플 크라운 부분을 결합하는 단계와, 앤빌로부터 드라이버 성형 단부를 후퇴시켜 드라이버로부터 형성된 스테이플을 해방시키고 또한 스테이플 크라운 부분을 초기 상태로 귀환하게 하여 스테이플 레그부분과 크라운 부분의 접합부에서 형성된 굽힘부에서 스테이플 제조물질의 자연적인 탄성 귀환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스테이플 성형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앤빌면은 아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성형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앤빌면은 V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성형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앤빌면은 다수의 인접한 표면을 구성하는 작은 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과용 스테이플 성형방법.
KR1019880003083A 1987-03-23 1988-03-23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 KR960006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074 1987-03-23
US07/029,074 US4747531A (en) 1987-03-23 1987-03-23 Anvil and driver assembly for a surgical skin stapling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43A KR880010743A (ko) 1988-10-24
KR960006657B1 true KR960006657B1 (ko) 1996-05-22

Family

ID=2184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083A KR960006657B1 (ko) 1987-03-23 1988-03-23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747531A (ko)
EP (1) EP0284345B1 (ko)
JP (1) JP2552894B2 (ko)
KR (1) KR960006657B1 (ko)
CN (1) CN1024749C (ko)
AT (1) ATE106700T1 (ko)
AU (1) AU598920B2 (ko)
BR (1) BR8801275A (ko)
CA (1) CA1283830C (ko)
DE (1) DE3889959T2 (ko)
ES (1) ES2054799T3 (ko)
GR (1) GR1000242B (ko)
ZA (1) ZA8820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4698A1 (de) * 1989-10-18 1991-04-25 Beiersdorf Ag Chirurgisches geraet zum setzen von wundklammern
US5038991A (en) * 1989-12-21 1991-08-13 Edward Weck Incorporated Surgical stapler
JP3065363B2 (ja) * 1991-01-24 2000-07-17 マニー株式会社 医療用ステープラー
CA2060040A1 (en) * 1991-02-08 1992-08-10 Miguel A. Velez Surgical staple and endoscopic stapler
DE4110123A1 (de) * 1991-03-27 1992-10-01 Augustin Dr Betz Elastische klammer
US5174487A (en) * 1991-04-04 1992-12-29 Ethicon, Inc. Endoscopic stapler and hernia repair mechanism
US5217472A (en) * 1991-05-07 1993-06-0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fastening device
US5257713A (en) * 1991-05-07 1993-11-0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fastening device
US5497933A (en) * 1991-10-18 1996-03-1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surgical staples to attach an object to body tissue
US5289963A (en) * 1991-10-18 1994-03-0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surgical staples to attach an object to body tissue
US5356064A (en) * 1991-10-18 1994-10-1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surgical staples to attach an object to body tissue
DE9203256U1 (ko) * 1992-03-11 1992-05-27 Lippl, Herbert, 8490 Cham, De
US5626587A (en) * 1992-10-09 1997-05-06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 for operating a surgical instrument
US5601224A (en) * 1992-10-09 1997-02-11 Ethicon, Inc. Surgical instrument
US5662662A (en) * 1992-10-09 1997-09-02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and method
US5439468A (en) * 1993-05-07 1995-08-08 Ethicon Endo-Surgery Surgical clip applier
US5725554A (en) * 1993-10-08 1998-03-10 Richard-Allan Medical Industries, Inc. Surgical staple and stapler
US5560532A (en) * 1993-10-08 1996-10-0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surgical staples to body tissue
US5630540A (en) * 1995-05-24 1997-05-2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rgical staple and staple drive member
JP3355900B2 (ja) * 1995-12-21 2002-12-09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打ち機のドライバ
US5908149A (en) * 1997-03-12 1999-06-01 Ethicon Endo-Surgery, Inc. Skin stapler with multi-directional release mechanism
US5938101A (en) * 1997-05-14 1999-08-17 Ethicon Endo-Surgery, Inc. Skin stapler with movable anvil
US5937951A (en) * 1997-07-18 1999-08-17 Ethicon Endo-Surgery, Inc. Skin stapler with rack and pinion staple feed mechanism
US6228098B1 (en) 1998-07-10 2001-05-08 General Surgical Innov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rgical fastening
SE522763C2 (sv) * 1999-11-19 2004-03-02 Isaberg Rapid Ab Klammerdrivare avsedd för montering i en häftapparat
US20040267310A1 (en) 2000-10-20 2004-12-30 Racenet David C Directionally biased staple and anvil assembly for forming the staple
US7059509B2 (en) 2002-05-28 2006-06-13 Phillip Clay Brown Surgical stapling device
JP4023246B2 (ja) * 2002-07-19 2007-12-19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ラのドライバ構造
JP4254149B2 (ja) * 2002-07-26 2009-04-15 マックス株式会社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カートリッジ
US8574246B1 (en) 2004-06-25 2013-11-05 Cardica, Inc. Compliant anastomosis system utilizing suture
US7794471B1 (en) 2003-06-26 2010-09-14 Cardica, Inc. Compliant anastomosis system
WO2005030442A2 (en) * 2003-09-26 2005-04-07 Duff William G Staple forming apparatus
DE102004036399A1 (de) * 2004-07-23 2006-02-16 Biotronik Vi Patent Ag Biokompatibles und bioabsorbierbares Naht- und Klammermaterial für chirurgische Zwecke
DE102005042517A1 (de) * 2005-09-07 2007-03-08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Heftvorrichtung
US20070187451A1 (en) * 2006-02-14 2007-08-16 Chun-Yuan Chang Pliers type stapler
US8220690B2 (en) * 2006-09-29 2012-07-17 Ethicon Endo-Surgery, Inc. Connected surgical staples and stapling instruments for deploying the same
DE102007008350B4 (de) * 2007-02-20 2012-07-05 Ahmad Mahdi Chirurgisches Klammerinstrument für human- undveterinärmedizinische Zwecke
US7942304B2 (en) * 2007-10-19 2011-05-17 Tyco Healthcare Group Lp Two piece anvil for surgical stapler
US20100023052A1 (en) * 2008-07-23 2010-01-28 Tyco Healthcare Group Lp Staple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s
JP5447342B2 (ja) * 2009-12-27 2014-03-19 マックス株式会社 医療用ステープラ
JP2011212222A (ja) * 2010-03-31 2011-10-27 Max Co Ltd 医療用ステープラ
JP6091798B2 (ja) 2012-08-08 2017-03-08 マニー株式会社 医療用ステイプラーのアンビル
US9226749B2 (en) * 2012-09-25 2016-01-05 Newgen Surgical, Inc Skin stapler with components optimized for construction with plant based materials
US9572575B2 (en) * 2012-09-25 2017-02-21 Newgen Surgical, Inc. Skin stapler with components optimized for construction with plant based materials
US20140224857A1 (en) * 2013-02-08 2014-08-14 Ethicon Endo-Surgery, Inc. Staple cartridge comprising a compressible portion
US11007630B2 (en) * 2016-02-05 2021-05-18 Apex Mfg. Co., Ltd. Stapler
US20170225311A1 (en) * 2016-02-05 2017-08-10 Apex Mfg. Co., Ltd. Stapler
BR112018070066A2 (pt) * 2016-04-01 2019-02-12 Ethicon Llc sistema de grampeamento cirúrgico que compreende um compartimento de formação com sulcos
BR112019027287A2 (pt) * 2017-06-27 2020-07-21 Ethicon Llc disposições de bolso de formação de grampos
CN108433772A (zh) * 2018-05-31 2018-08-24 吴淑英 皮肤穿刺点钉合器
US11524396B2 (en) 2019-02-28 2022-12-13 Black & Decker, Inc. Fastener tool
US11376000B2 (en) * 2019-03-13 2022-07-05 Covidien Lp Surgical stapler anvil with directionally biased staple pockets
EP4087498A4 (en) * 2020-01-09 2023-06-07 Bolder Surgical, LLC SURGICAL STAPLER AND RELATED PARTS AND METHODS
RU2733913C1 (ru) * 2020-01-20 2020-10-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РЕЛМЕДТЕХ" Сшиватель кожи одноразовый
RU204035U1 (ru) * 2020-11-17 2021-05-0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ОРЕЛМЕДТЕХ" Хирургический сшиватель кож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9844A (en) * 1976-11-18 1978-08-29 Senco Products, Inc.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US4256251A (en) * 1978-04-24 1981-03-17 Lawrence M. Smith Surgical staplers and staple
US4317535A (en) * 1980-05-15 1982-03-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pler with tapered anvil
US4411378A (en) * 1981-01-28 1983-10-25 Senco Products, Inc. Disposable surgical stapling instrument having an anvil with coextensive lateral flanges
GB8417562D0 (en) * 1984-07-10 1984-08-15 Surgical Design Services Fasteners
CA1286185C (en) * 1986-07-14 1991-07-16 Harold E. Froehlich Bent back box staple and staple closing mechanism with split actu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06700T1 (de) 1994-06-15
GR1000242B (el) 1992-05-12
DE3889959D1 (de) 1994-07-14
US4747531A (en) 1988-05-31
AU1334488A (en) 1988-09-22
EP0284345A3 (en) 1990-10-24
BR8801275A (pt) 1988-10-25
CN1024749C (zh) 1994-06-01
CN88101792A (zh) 1988-10-05
ZA882043B (en) 1989-11-29
EP0284345B1 (en) 1994-06-08
JP2552894B2 (ja) 1996-11-13
DE3889959T2 (de) 1994-10-13
GR880100181A (en) 1989-01-31
ES2054799T3 (es) 1994-08-16
KR880010743A (ko) 1988-10-24
EP0284345A2 (en) 1988-09-28
AU598920B2 (en) 1990-07-05
JPS63255048A (ja) 1988-10-21
CA1283830C (en) 199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657B1 (ko) 외과용 피부 스테이플 기구의 앤빌 및 드라이버 조립체
CA1157725A (en) Disposable clip applier
CA1132875A (en) Surgical staplers and staple
US4671279A (en) Surgical staple applying method
US20180199938A1 (en) Jaw memb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EP0569049B1 (en) A one-piece surgical staple
US4506671A (en) Apparatus for applying two-part surgical fasteners
US4391401A (en) Surgical staplers and staple
US5158567A (en) One-piece surgical staple
US4583670A (en) Surgical stapling
JP2656826B2 (ja) 外科用ステープラ
EP0537453B1 (en) Anvil for surgical staplers
US3494533A (en) Surgical stapler for stitching body organs
CN114650781A (zh) 直线外科缝合器
JPS6236694B2 (ko)
CN103169513B (zh) 外科线形切割吻合器的夹紧厚度调节机构
JPH0616786B2 (ja) 手術用ファスナー止着装置
GB2068817A (en) Surgical instruments
US4317535A (en) Stapler with tapered anvil
AU607582B2 (en) Staple positioning tab
US4895289A (en) Ophthalmic stapler
JPS60207656A (ja) 外科用ステープラー
AU637145B2 (en) Surgical instrument for implanting wound staples
US5181645A (en) Medical stapler
US4366924A (en) Stapler having an abutment for limiting stapler repenet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