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478B1 - 카트리지(cartridge)형 현상제 공급기 및 교환가능장치로 형성된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cartridge)형 현상제 공급기 및 교환가능장치로 형성된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478B1
KR960005478B1 KR1019920020818A KR920020818A KR960005478B1 KR 960005478 B1 KR960005478 B1 KR 960005478B1 KR 1019920020818 A KR1019920020818 A KR 1019920020818A KR 920020818 A KR920020818 A KR 920020818A KR 960005478 B1 KR960005478 B1 KR 960005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paddle
container
develop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646A (ko
Inventor
유키오 니시오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사와 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사와 요시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트리지(cartridge)형 현상제 공급기 및 교환가능장치로 형성된 현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전자사진 레이저 프린터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자사진 레이저 프린터의 현상장치를 도시한 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현상장치에서 착착 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4a도는 초기 위치에서 현상제 공급기의 덮개(11d)부재를 도시하는 제3도의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의 단면도.
제4b도는 초기위치로 부터 약간 움직인 덮개부재를 도시하는 제4a도에 유사한 단면도.
제4c도는 제4b도에서의 위치로 부터 멀리 움직인 덮개부재를 도시하는 제4a도에 유사한 단면도.
제5a도는 초기위치에서 현상제 공급기의 덮개부재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고급기의 단면도.
제5b도는 초기 위치로 부터 움직인 덮개부재를 도시하는 제5a도에 유사한 단면도.
제6도는 제5a도와 5b도에 도시된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7a도는 초기위치에서 현상장치의 덮개부재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장치의 단면도.
제7b도는 초기 위치로 부터 움직인 덮개부재를 도시한 제7a도와 유사한 단면도.
본 발명은 정전잠상이 현상제(developer)에 의해 정전기적으로 현상되는 복사기, 레이저 프린터, 팩시밀리와 같은 영상형성장치에 이용되는 현상제 공급기가 있는 현상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기록장치와 같은 영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통상 다음 공정이 수행된다;
a) 전하의 단일 분포가 정전잠상 실행몸체의 표면에 생성된다.
b) 정전잠상이 레이저 빔 스캐너, LED(발광다이오)배열, 액정셔터배열과 같은 광학기록 수단에 의해 몸체표면이 충적영역에 형성된다.
c) 잠상은 잠상영역네 정전기적으로 부착되게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현상제 또는 토너(toner)로 시각적인 영상으로 현상된다.
d) 현상되고 충전된 토너영상은 몸체로 부터 단면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정전기적으로 전송된다.
e) 전송된 토너영상은 가열롤러와 같은 토너영상고정수단에 의해 단면지 위에 고정되고 기록된다.
통상, 정전잠상 실행 몸체는 원통의 전도성물질과 그것의 원통 표면에 접착된 광전도성 절연필름이 있는 광감지 드럼이나 불리우는 드럼으로 통상형성된 전자사진 사진수집기 일수도 있다.
하나의 현상제 형태로서, 토너성분(유색의 미세 합성수지입자)와 자기성분(자기 미세 매개체)으로 합성된 두가지 성분현상제가 알려져 있다. 통상, 이러한 형태의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두가지 성분 현상제를 담아 두기 위한 용기를 포함하며, 현상제는 그 내부에 제공된 진동자에 의해 진동한다. 이 진동은 토너입자와 자기 매개체가 마찰대전을 일으키게 하여 토너입자가 각각의 자기 매체체에 정전기적으로 부착되게 한다. 현상장치는 또한 자기롤러의 부위가 노출되고 광전감도드럼의 표면을 대하는 현상롤러로서 용기내에 제공된 자기롤러를 포함한다. 토너입자와 함께 자기매체는 둘레에 자기 브러쉬를 형성하기 위해 자기 톨러의 표면에 자기적으로 부착되고 자기브러쉬를 움직이는 자기롤러를 회전시켜 토너입자가 그 위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의 현상을 위해 드럼의 표면으로 보내진다.
이러한 현상장치에 있어서, 용기내에 있는 현상제 몸체의 토너와 자기성분사이의 비율은 안정된 현상과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전에 소정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현상장치는 현상도중 소모되는 만큼 토너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용기내에 있는 현상제 몽체에 토너성분이 공급되는 현상제 공급기와 함께 제공된다. 이에따라, 용기내에 유지되는 현상제 몸체의 성분비는 소정의 범위내에서 유지된다.
하나의 토너성분(유색미세수지 입자)만으로 합성된 단일성분 현상제가 알려져 있는 바, 여기에는 단일성분의 두가지 형태 즉, 자기형과 비자기형이 있다. 각각의 자치형 단일성분 현상제의 토너 입자는 수지부분과 자기미세분말부분을 갗는다. 따라서 비자기형 단일성분 현상제의 각 입자는 수지부분만을 갖는다. 자기형 단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자리롤러와 함께 제공되어 두가지 성분현상제에 대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기형 단일성분현상제 역시 두가지 성분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내에서 처럼 자기롤러를 회전시키므로서 광전감도드럼의 표면에 보내질 수 있다. 비자기형 단일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전도성 거품고무물질로 형성된 전도성 탄성롤러가 현상롤러로 사용된다. 전도성 탄성롤러가 용기내에 있는 몸체내에서 회전할 때, 토너입자는 마찰로 편승(entrain)되어 광전감도드럼의 표면에 보내진다. 또한 단일성분현상제를 사용하는 현상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현상도중 소모되는 만큼 토너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용기내에 있는 현상제 몸체에 토너성분이 공급되는 현상제 공급기차 함께 제공된다.
하나의 현상제 공급기의 형태로서, 현상제 용기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형 현상제 공급기는 외곽 원통 컨테이너와 외곽 컨테이너내에 회전가능하게 덮혀있고 그 안에 일정량의 현상제가 담긴 내부 원통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외곽 및 내부 컨테이너 각각은 현상제 공급기로 부터 현상제를 방출하기위한 출구가 있으나 현상제 공급기가 현상제 용기 내에 설치되기 전 외곽컨테이너의 출구는 내부컨테이너의 출구와 맞춰진 상태가 아니므로 출구는 현상제 공급기로부터 현상제의 누출을 막기 위해 패쇄된다. 현상제공급기가 현상제 용기내에 설치된 후, 내부 컨테이너는 현상공급기의 끝에 있는 한쌍의 레버에 의해 출구가 서로 맞춰질때까지 수동조작으로 외곽컨테이너내에서 회전된다. 이에따라, 현상제를 용기내에 있는 현상제 몸체에 보충하기 위해 맞춰진 출구를 통해 현상제 공급기로 부터 현상제가 나올 수 있다. 현상제 용기내에 현상제 공급기의 설치 방법이 핸드북과 갈은 인쇄물에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사용자는 종종 현상제 공급기로 부터 현상제가 나오도록 하기 위한 레버의 수동조작을 잊어버린다.
하나의 전자사진 기록장치 형태에 있어서, 특히 개인용 전자사진 프린터에서, 현상장치는 교환가능한 장치로 형성된다. 교환가능한 현상장치가 사용될 수 없을 때, 그리고 그 안에 있는 현상제가 소모될 때 현상장치 그 자체는 새것으로 교환된다. 프린터에 아직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현상장치의 구매 중, 현상제의 누출은 방지 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환가능한 현상장치의 용기는 테이프형 밀봉제에 의해 두 챔버(chamber)로 나뉜다. 하나의 챔버는 현상롤러를 유지하고, 다른 챔버는 현상제의 몸체를 유지한다. 낡은 것과 교환되는 새로운 현상장치가 프린터에 결합되기 전에 테이프형 밀봉제를 새로운 현상장치로 부터 떼내야 하며 이에따라, 현상제 챔버의 밀봉은 제거되어 두 챔버는 서로 통하게 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이것은 착탈가능한 현상제 공급기와 유사하므로 사용자는 새로운 현상장치에서 테이프형 밀봉제를 제거하는 것을 종종 잊어버릴 수 있다. 낡은 것을 새로운 현상장치로 교환하는 도중, 새로운 현상장치로 부터 현상제의 누출은 현상롤러용 챔버가 외부와 통하므로 일어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사진 기록장치용 현상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형 현상제 공급기를 제공하여 현상제 공급기로 부터 보충되는 현상제를 내오기 위해 수동조작이 필요없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환가능한 장치로서 형성되고 개발장치의 현상제 챔버용 밀봉을 제거하는데 수동조작이 필요없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라,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해 그 내부에 형성된 출구를 갖고 보충현상제의 몸체를 지탱하기 위한 컨테이너수단; 패들(paddle)수단의 회전중 출구를 통해 컨테이너 수단으로 부터 현상장치에 현상제의 부분을 되보내기 위해 컨테이너 수단내에 제공된 패들수단; 패들수단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패들수단이 회전을 시작하기 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는 덮개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기록장치용 현상장치애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형 현상제 공급기가 제공된다. 현상제공급기에서. 덮개수단은 패들수단의 회전시작 후 초기위치로 부터 움직여 출구가 열려 컨테이너수단이 현상제를 현상장치에 보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해 그 내부에 형성된 출구를 갖고 보충현상제의 몸체를 지탱하기 위한 컨테이너수단; 패들(paddle)수단의 회전중 출구를 통해 컨테이너 수단으로 부터 현상장치에 현상제의 부분을 되보내기 위해 컨테이너 수단내에 제공된 패들수단; 패들수단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패들수단이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각도의 위치에 놓을 때 덮개수단이 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는 덮개수단; 초기 위치로 부터 움직일 수 있도록 덮개수단을 탄력적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사진기록장치용 현상 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형 현상제공급기가 제공된다. 현상제 공급기에서, 패들수단은 덮개수단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초기위치에 억지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덮개수단과 결속가능하며 패들수단의 회전시작 후 덮개수단으로 부터 해체가 가능하므로 덮개수단은 초기위치로 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므로서 출구가 열려 컨테이너수단이 현상제를 현상장치에 보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따라, 용기수단, 분할벽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호 통하는 1차 및 2차 챔버로 용기를 나누기 위해 용기내에 제공되는 분할벽수단; 용기수단의 1차 챔버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현상롤러; 용기수단의 2차 챔버내에 유지되는 현상제의 몸체; 패들수단의 회전중 분할수단의 개구를 통해 2차 챔버로 부터 1차 챔버에 현상제의 부분을 되돌리기 위한 2차 챔버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패들수단; 패들수단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패들수단이 회전을 시작하기전에 주어진 각도의 위치에 놓을 때 덮개수단이 출구를 폐쇄하기 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는 덮개수단이 포함되는 전자사진 기록장치내에 교환가능한 장치로서 형성되고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현상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현상장치에서, 덮개수단은 패들수단의 회전시작 후 초기위치로 부터 움직여 개구가 열려 차챔버가 현상제를 1차 챔버에 되돌릴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칠시예인 전자사진 기록장치의 예로서 레이저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다.
레이저 프린터는 프린터 하우징 10, 프런터 하우징 10내에 제공된 프린트 장치 12, 프린트장치 12인접하여 놓인 레이저빔 스캐너 14를 포함한다. 프린트장치 12는 프린터 동작중 제1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잠상수행 몸체로서 로타리(rotary)광전감도드럼 1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드럼 16은 알루미늄 원통 중공(中空)몸체와 유기광전도체(opc)로 구성되고 중공몸체의 표면에 접착된 광전감도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린트장치 12는 또한 드럼 16에 충전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광전 감도드럼 16에 대해 탄력있게 누르는 전기적 충전롤러 18을 포함한다. 충전롤러 18은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어 다수의 작은 개구 또는 10μm정도의 평균직경, 밀도 200Cell/인치, 23deg의 아스커(Asker)강도 및 107Ωcm정도의 저항성을 갖는 셀이 있는 전도성 폴리우레탄 거품고무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전도성 거품고무롤러로 형성된다. 충전롤러 18은 전기적 에너지의 사용을 필요로 하므로 예를들어 약 -600볼트의 전위를 갖는 충전영역이 드럼 16의 표면에 생성된다. 대안으로, 코로나 방전과 같은 전기방전이 충전롤러 18에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빔 스캐너 14는 드럼 16의 충전지역위에 정전잠상을 기록하고 레이저광을 방출하기 위해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레이저광원, 레이저광을 레이저빔 LB로 촛점을 맞추기 위한 광학시스템, 드럼 16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테이저 빔 LB를 편향시키기 위해 다면경(Polygonal mirror)과 같은 광학주사 시스템을 포함하여 드럼 16의 충전영역은 레이저빔 LB를 편향시키므로서 주사된다. 주사도중, 레이저빔 LB는 예를들어, 워드프로세서, 개입용 컴퓨터등과 같은 것으로 부터 얻은 2진 영상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절환된다. 따라서 정전잠상은 드럼 16의 충전영역위에 도트(dot)영상으로 기록된다. 특히, 충전영역의 구역이 레이저빔 LB에 의해 조사될 때 충전은 전위가 약 -600볼트로 변하여 조사된 구역으로 부터 방출되므로 잠상은 조사구역과 잔존구역 사이의 전위차로 형성된다.
프린트장치 12는 또한 비자기형 단일성분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 20a가 있는, 제2도에 명확히 도시된, 토너현상장치 20, 현상롤러 20b의 부위가 노출되고 광전감도드럼 16의 표면에 대해 누르는 그러한 방법으로 용기 20a내에 제공된 현상롤러 20b를 포함한다. 현상롤러 20b는 다수의 작은 개구 또는 10μm정도의 평균직경, 밀도 200cell/인치, 23deg의 아스커강도 및 약 10⁴내지 107Ωcm정도의; 저항성을 갖는 셀이 있는 전도성 거품고무롤러로서 형성된다. 현상제는 토너입자로서 4×10⁴Ωcm의 저항성을 가지며 토너입자의 펑균직경이 10μm인 폴리에스터수지로 조성될 수 있다. 현상롤러 20b는 제2도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둘레에 현상제 또는 토너를 형성하기 위해 마찰로 토너입자를 편승시킨다. 이에따라, 토너입자는 형성된 그 위에 잠상의 현상을 위해 드럼 16의 표면에 와닿는다. 폴리우레탄 고무재질로된 현상롤로 20b는 제2도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둘레에 현상제 또는 토너를 형성하기 위해 마찰로 토너입자를 편승시킨다. 이에따라, 토너입자는 형성된 그 위에 잠상의 현상을 위해 드럼 16의 표면에 와닿는다. 폴리우레탄 고무재질로된 현상롤러 20b는 토너입자를 편승시키기 위해 탁월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현상장치 20은 또한 20d로 표시된 정합장치(attachment fitting)를 통해 용기 20a에 의해 지지되는 날부재 20c를 포함하며 날부재 20c는 유니폼 둘레에 형성된 토너층의 두께를 이루기 위해 현상롤러 20b의 표면에 결속된다. 이에따라, 잠상의 현상까지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날부재 20c는 금속과 갈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압인가를 필요로 하므로 토너입자는 충전주입 효과에 의해 음(-)으로 충전된다. 현상과정중, 현상롤러 20b는 -300볼트의 현상바이어스 전압을 필요로 하고 음충전 토너입자는 잠상영역이 음입자로 충전되기 때문에 약 -100볼트의 전위를 갖는 잠상영역에만 정전기적으로 부착된다.
현상장치 20은 또한 용기 20a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현상롤로 20b에 대해 탄력있게 눌려지는 토너제거롤러 20e를 포함한다. 토너제거롤러 20e는 제2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현상롤러 20b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롤러 20b와 20e의 표면은 접촉영역사이에서 반대방향으로 상호 마찰한다. 이에 따라, 잠상의 현상에 사용되지 않은 잔류토너입자는 현상롤러 20b로 부터 기계적으로 제거된다. 한편, 토너제거롤러 20e는 토너제거롤러 20e에 의해 편승된 토너입자가 롤러 20b와 20e사이의 작은 틈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 사이(제2도의 우측)작은 틈의 일측에서 현상롤러에 토너입자를 보내기 위한 역할을 한다. 토너제거롤러 20e는 예를들어 40cell/인치의 밀도와 10⁴Ωcm정도의 저항성을 갖는 전도성 폴리우레탄 거품 고무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토너제거롤러 20e는 음충전 전압의 인가를 필요로 하므로 토너입자의 내부침투가 방지된다. 더우기 현상장치 10은 패들롤러 20f와 제2도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며 용기 20a내에 제공된 진동자 20g를 포함한다. 패들롤러 20f는 제거롤러 20e쪽으로 토너입자를 움직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진동자 20g는 용기 20a로 부터의 남은것을 제거하기 위해 토너의 몸체를 진동시킨다.
용기 20a는 용기 20a와 일체로 형성된 수용기 24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형 현상제 공급기 22와 함께 제공된다. 현상제 공급기 22는 그 안에 있는 보충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 그 안에 형성된 출구가 있는 컨테이너 22a를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기 22가 수용기 24내에 설치되어 대신 위치할 때 출구 22b는 용기 20a와 수용기 24사이에 놓인 벽부위에 형성된 개구 20f와 맞춰진다. 이에 따라 보충현상제는 필요시 개구 20i와 22b를 통해 컨테이너 22a로 부터 용기 20a에 되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공급기 22는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프린트장치 12는 광전감도드럼 16으로 부터 절단지와 같은 기록 매체에 현상된 토너영상을 정전기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전도성롤러형 전송충전기 26를 포함한다. 전송충전기 26는 본 발명에 따라, 예를 들면, 다수의 작은 개구 또는 10μm정도의 평균직경과 200cell/인치의 밀도와 23deg의 아스커강도 및 107Ωcm정도의 저항성을 갖는 셀로된 전도성 폴리우레탄 거품고무재질로 조성되는 전도성 거품고무롤러로 형성된다. 즉, 전송롤러 26의 물질은 충전롤러 18의 물질과 동일하다. 전송롤러 26는 드럼 16에 대해 탄력적으로 눌려지며 전기에너지의 인가를 필요로 하므로 양(+)충전이 종이에 공급된다. 이에따라, 음(-)충전된 토너영상은 종이에 정전기적으로 끌어당겨진다. 프린터는 또한 종이다발 30을 수용하는 카세트 28과 카세트 28로부터 광전감도드럼 16과 정송롤러 26사이의 작은 틈 쪽으로 연장된 종이가이드 32 및 종이가이드 26과 결합되는 한쌍의 저항롤러 34, 34를 포함한다. 프린트동작 중, 인쇄될 종이는 카세트 24와 결합된 종이피딩(feeding)롤러 36 구동에 의해 종이다발 30으로 부터 한장씩 종이가이 드 32에 공급된다. 공급된 종이는 저항롤러 34, 34에서 일단 멈추고 일정시간 드럼 16과 전송롤러 26사이의 틈으로 들어가므로 현상된 토너 영상이 적절히 종이에 전송될 수 있다. 드럼 16과 롤러 26사이의 작은 틈으로 부터 방출된 종이 즉, 전송된 토너영상을 옮기는 종이는 전송롤러 26와 고정장치 38사이에 연장된 종이가이드 40을 따라 토너 영상고정장치쪽으로 움직이며 가열롤러 38a와 고정장치 38의 백업(backup)롤러 38b사이의 작은 틈을 통과한다. 이에따라, 전송된 토너영상은 열적으로 융합되고 종이위에 고정된다.
고정된 토너 영상을 옮기는 종이는 고정장치 38와 가이드롤러 42, 42사이에 연장된 종이가이드를 따라 한쌍의 가이드롤러 42, 42쪽으로 움직이고, 가이드톨러 42, 42에 인접한 한쌍의 종이방전롤러 46,46으로 부터 프린터하우징 10위에 제공된 종이 트레이(tray)48로 내보낸다. 제1도에서 참고번호 50은 프린터용 제어기로서 블럭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현상공급기 22는 컨테이너 22a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된 패들 날(blade) 부재 22c를 포함한다. 특히, 패들 날 부재 22c는 하나의 단면으로 부터 돌기된 스터브(stub)요소 22d와 다른 단면에 형성된 반원형 구멍(미도시)을 갖는다. 스터브 요소 22d는 컨테이너 22a의 상응하는 단면벽에 제공된 베오링 22e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패들 날 부재 22c의 반원형구멍은 컨테이너 22a의 상응하는 단면벽내에 형성된 원형구멍 22g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반원형 단면을 갖는 기어 22f의 축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패들 날 부재 22c는 컨테이너 22a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현상제공급기 22는 또한 패들 날 부재 22c에 의해 스윙(swing)할 수 있게 지지된다. 특히, 덮개부재 22h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피봇핀22j, 22j에 의해 패들 날 부재 22c의 단면에서 피봇되는 한쌍의 선형경판(sector-shaped end plate)을 갖는다. 따라서, 덮개부재 22h는 패들 날 부재 22c에 대하여 스윙할 수 있게 된다. 덮개부재 22h에는 스폰지물질로 만들어져 안전하게 부착되는 탄성밀봉재 22k가 제공된다. 보충현상제가 컨테이너 22a내에 수용될 때 패들날 부재 22c는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로 위치하여 덮개부재 22h가 그곳의 탄성밀봉재 22k와 함께 출구 22b를 닫을 수 있다. 이에따라, 출구 22b로 부터 보충현상제의 누출방지가 분명해진다. 덮개부재 22h가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할 때, 탄성밀봉재 22k는 탄력적으로 변형되게, 출구 22b가 둘러싸임으로서 컨테이너 22a의 내부벽면 영역에 대해 눌려진다. 이에따라, 덮개부재 22h는 제4a도에 도시된 닫힘위치에서 탄력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컨테이너 22a의 일정레벨까지 보충현상제가 채워진 후, 컨테이너 22a는 카버부재 22m에 의해 닫혀진다
현상제공급기 2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기 24내에 설치되며, 기어 22f는 프린터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예를들어, 일련의 기어(미도시)중 외곽기어와 결속된다. 회전구동력이 일련의 기어를 통해 기어 22f에 전달되어 패들 날 부재 22c가 제4a도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조 회전할 때 덮개부재 22b는 회전하는 패들 날 부재 22c에 의해 편승되고 제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핀 22j에 대해 역으로 회전하며 움직인다. 즉, 덮개부재 22h는 제2도와 제4a도에 도시된 닫힘위치로 부터 움직이므로 출 구 22b는 보충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해 열린다. 반면에 패들 날 부재 22c가 제4c도에 표시된 실선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덮개부재 22h는 일측모서리에서 패들 날 부재 22c에 대해 인접되고 회전하는 패들 날 부재 22c에 의해 그려지는 회전표면으로 둘러싸인다. 동시에, 보충현상제의 일부는 제4c도내에 2중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패들 날 부재 22c의 패들 작용때문에 개구된 출구를 통하여 컨테이너로 부터 방출된다. 이에따라, 현상제는 컨테인너 22a로 부터 용기 20a에 보충된다. 덮개부재 22h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패들 날 부재 22c에 의해 한정되는 회전표면내에 둘러싸이기 때문에 덮개부재 22h는 출구 22b를 통해 보충현상제의 방출을 막을 수 없다.
현상제의 보충은 용기 20a내에 들어있는 현상제의 소모에 따라 실행된다. 특히, 현상장치 20의 동작중, 용기 20a내에 들어있는 현상제의 량은 적절한 현상제 센서(미도시)에 의해 검출된다. 현상제 감지기가 현상제의 량이 소정레벨 이하로 감소되었음을 표시할 때 패들 날 부재 22c의 회전이 컨테이너 22a로 부터 용기 20a에 현상제의 보충을 위해 수행된다. 일정량의 보충현상제가 컨테이너 22a로 부터 용기 20a에 되돌아 오면 패들 날 부재 22c의 회전은 멈춘다.
제5a도. 제5b도 및 제6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현상장치 20과 다른 형태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카트리지형 현상제 공급기 52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이다. 현상제 공급기 52는 제5a, 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들어있는 보충현상제를 방출시키기 위해 그 저면에 형성된 출구 5b가 있는 컨테이너 52a를 포함한다. 현상제 공급기 52가 현상장치내에 대신 설치될 때, 출구 52b는 컨테이너 52로 부터 현상제 용기에 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 현상장치의 현상제 용기내 에 형성된 개구와 맞춰진다.
제6도에 명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기 22는 컨테이너 52a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패들날 부재 52c를 포함한다. 특히, 패들날 부재 52c는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스터브요소 52d와 다른 면에 형성된 슬리브 52e를 갖는다. 스터브요소 52d는 컨테이너 52a의 단면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슬리브 52e는 컨테이너 52a의 다른 단면벽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 52f의 축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현상제 공급기 52는 또한 패들 날 부재 52c에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된 덮개부재 52g를 포함한다. 특히, 덮개부재 52g에는 각각 긴 슬롯 52i를 갖는 한쌍의 경단 52h. 52h가 제공된다. 덮개부재 52g는 스터브요소 52e와 기어축(52f)이 경단 52h, 52h의 긴 슬롯 52i, 52i를 통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패들 날 부재 52c내에 조립된다. 이에따라. 덮개부재 52g는 긴 슬롯 52i, 52i의 길이를 따라 패들 날 부재 52c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덮개부재 52g는 그 사이에 제공된 1차 및 2차 토손(torsion) 스프링 52j와 52k에 의해 패들 날 부재 52c의 회전축 쪽에 탄력적으로 편향된다. 각각의 경단 52h, 52h는 외곽면으로 부터 돌출된 두개의 돌기 52m과 52n을 갖는다. 1자 토숀 스프링 52j는 두개의 스프링암이 스터브 요소 52e와 돌기 52n에 결속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돌기 52m위에 각각 설치되고, 2차 토숀스프링 52k는 1차 토숀스프링 52i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기어축(52f)과 돌기 52m 및 52n에 결합된다.
덮개부재 52g는 스폰지 물질로 만들어 질 수 있고 안전하게 부착되는 탄성밀봉재 52p와 함께 제공된다. 보충현상제가 컨테이너 52a내에 수용될 때 패들 날 부재 52c는 그곳의 자유단이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및 2차 토숀 스프링 52j와 52k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덮개부재 52g의 내면에 대면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덮개부재 52g는 그곳의 탄성밀봉재 22p으로 출구 22b를 닫을 수 있다. 이에따라, 출구 52b로 부터의 보충현상제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컨테이너 52a에 일 정레벨의 보충현상제가 채워진 후, 컨테이너 52a는 카버부재 52g에 의해 닫힌다.
현상제 공급기 52가 현상장치내에 설치될 때 현상제 공급기 22와 유사하게, 기어 52f는 일련의 기어 (미도시)중 외곽기어와 결속된다. 회전구동력이 패들 날 부재 52c가 제5b도에 표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기어 52f에 전달될 때, 패들 날 부재 52c는 덮개부재 52g의 내면으로 부터 해제되고 덮개 부재 52g는 보충현상제를 방출하도록 출구포트 52b를 열기위해 1차 및 2차 토숀스프링 52j와 52k의 탄성력에 의해 올라간다. 이 실시예에서, 덮개부재 22g는 또한 회전하는 패들 날 부재 52c에 의해 그려진 회전면으로 둘러싸인다.
위에 언급한 실시예에 따라, 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 현상제 공급기로 부터 현상장치의 현상제용기에 보충현상제를 꺼내기 위한 수동조작이 필요없다. 현상장치의 적절한 동작이 이뤄지도록 하기 전에 단지 현상제 공급기의 사용자에 의한 세팅만이 필요한다.
제7a도와 제7b도는 본 발명에 따라 비 자기형 단일성분 현상제용 현상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참고번호 54로 표시되었다. 현상장치 54는 교환가능한 장치로 형성되며 전자사진 프린터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현상장치는 내가용기 54a로 부터 일체로 연장된 분할벽 54d에 의해 두개비 챔버 54b와 54c로 나눠지는 용기 54a를 포함한다. 그리고 챔버 54d와 54c는 분할벽 54d내에 형성된 개구 54e를 통해 상호 통하게 되어있다.
현상장치 54는 또한 챔버 54b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현상롤러 54f를 포함하며 현상롤러 54f는 현상롤러 20b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날 부재 54g는 둘레에 형성된 현상제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일정하도록 현상롤러와 결속되게 챔버 54b내에 제공된다. 챔버 54c는 그 안에 현상제의 몸체를 유지하고 있다.
현상장치 54는 또한 현상제 챔버54c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패들 날 부재 54h를 포함하도록 덮개부 제54i는 거기서 스윙할 수 있도록 피봇된다. 패들 날 부재54h와 덮개부재54i는 제2도와 제4도에 도시된 패들 날 부재22c와 덮개부재22h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 구성된다. 즉, 덮개부재54i는 안전하게 부착되는 탄성밀봉재와 함께 제공되며 패들 날 부재 54h는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각도로 위치한다. 따라서 덮개부재54i는 탄성밀봉재와 함께 개구 54e를 닫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따라, 개구 54e로 부터 현상제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패들 날 부재 54h가 제7a도에 표시된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할 때, 덮개부재54i는 회전하는 패들 날 부재54h에 의해 편승하고 제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곳의 피봇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움직인다. 따라서 덮개부재54i는 제7a도에 도시된 닫힘위치로 부터 움직여 현상제 챔버용 밀봉이 제거된다. 즉, 두개의 챔버 54b와 54c는 상호 통하므로 현상제가 챔버54c로 부터 챔버54c에 되돌려 질 수 있다. 제7a도와 제7b도에서, 회전하는 패들 날 부재 54h에 의해 그려진 회전면은 일련의 도트선으로 도시되었고 덮개부재54i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날 부재54h의 회전 후 회전면으로 둘러싸인다.
제7a도와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현상장치 54의 현상제 챔버 54c용 밀봉을 제거기위한 수동조작이 필요없게 된다. 즉, 현상장치의 적절한 동작이 이뤄지도록 하기 전에 현상제 공급의 사용자에 의한 새팅만이 필요한다.
최종적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고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12)

  1.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해 그 내부에 형성된 출구(22b)를 갖고 보충현상제의 몸체를 지탱하기 위한컨테이너수단(22a); 패들수단의 회전중 상기 출구(22b)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수단(22a)으로 부터 상기 현상 장치(20)에 현상제의 부분을 되보내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수단(22a)내에 제공된 패들수단(22c)포함하는 영상형성 장치용 현상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22)에 있어서, 덮개 수단(22h)은 상기 패들수단(22c)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패들수단(22c)이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각도의 위치에 놓일때 상기 덮개 수단(22h)이 상기 출구(22b)를 닫기 위해 초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상기 덮개수단(22h)이 상기 출구(22b)를 닫기 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고 기 덮개수단(22h)은 상기 패들수단(22c)의 회전시작 후 초기위치로 부터 움직여 상기 출구(22b)가 열려 상기 컨테이너수단(22a)이 현상제를 현상장치에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22h)은 회전하는 패들 수단(22c)에 의해 그려진 회전면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패들수단(22c)의 회전시작 후 상기 패들수단(22c)과 함께 편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공급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22h)은 상기 패들수단(22c)의 회전축으로 부터 오프셋되 는 축에 대하여 스윙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들수단(22c)에 피봇되고 평행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공급기.
  4.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해 그내부에 형성된 출구(52b)를 갖고 보충현상제의 몸체를 지탱하기 위한 컨테이너 수단(52a); 패들수단의 회전중 상기 출구(52b)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수단(52a)으로 부터 현상장치에 현상제의 부분을 되보내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 수단(52a)내에 제공된 패들수단(52c)을 포함 하는 영상형성 장치용 현상 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에 있어서, 덮개 수단(52g)은 상기 패들수단(52c)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패들수단(52c)이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각도의 위치에 놓일때 상기 덮개수단(52g)이 상기 출구(52b)를 닫기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고, 스프링수단(52j, 52k)은 초기 위치로 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수단(52g)을 탄력적으로 편향시키며, 상기 패들수단(52c)은 상기 덮개수단(52g)이 상기 스프링(52j, 52k)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초기위치에 억지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덮개수단(52g)과 결속가능하며 상기 패들수단(52c)의 회전시작후 상기 덮개수단(52g)으로 부터 해체가 가능하므로 상기 덮개수단(52g)은 초기위치로 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므로서 상기 출구(52b)가 열려 상기 컨테이너수단(52a)이 현상제를 현상 장치에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52g)은 회전하는 패들수단(52c)에 의해 그려진 회전면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패들수단(52c)의 회전시작후 상기 패들수단(52c)과 함께 편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공급기.
  6.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52g)은 상기 패들수단(52c)의 회전축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회전축으로 부터 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의 공급기.
  7. 용기수단(54a), 상기 분할 벽(54d)내에 형성된 개구(54e)를 통해 상호통하는 1차 및 2차 챔버(54b, 54c)로 상기 용기(54a)를 나누기 위해 상기 용기 수단(54a)내에 제공되는 분할벽수단(54d); 상기 용기 수단(54a)의 1차 챔버(54b)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현상롤러 수단(54f), 상기 용기수단 (54a)의 2차 챔버(54c)내에 유지되는 현상제의 몸체; 상기 패들수단(54h)의 회전중 상기 분할 수단 (54d)의 개구(54e)를 통해 상기 2차 챔버(54c)로 부터 상기 1차 챔버(54b)에 현상제의 부분을 되돌리 기 위한 상기 2차 챔버(54c)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패들수단(54h)을 포함하는 영상형성 장치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교환 가능한 장치로서 형성되는 현상장치(54)에 있어서, 덮개수단(54i)은 상기 패들수단(54h)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패들수단(54h)이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각도의 위치에 놓일때 상기 덮개수단(54i)이 상기 출구(54e)를 닥기 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수단(54i)은 상기 패들수단(54h)의 회전시작 후 초기 위치로 부터 움직여서 상기 개구(54e)가 열려 상기 2차 쳄버(54c)가 현상제를 상기 1차 쳄버(54b)에 되돌릴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54i)은 회전하는 패들수단(54h)에 의해 그려진 회전면에 둘러싸이도록 상기 패들수단(54h)의 회전시작후 상기 패들 수단(54h)과 함께 편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54i)은 상기 패들수단(54h)의 회전축으로 부터 오프셋되는 축에 대하여 스윙할 수 있도록 상기 패들수단(54h)에 피봇되고 평행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
  10. 현상제어 의하여 정전 잠상을 정전기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수단(20), 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현상장치수단(20) 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 수단(22), 상기 카트리지 형 현상제 공급기 수단(22)은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출구(22b)를 갖으며 보충현상제의; 몸체를 유지하기 위한 컨테이너 수단(22a)과 상기 패들수단의 회전중 상기 출구(22b)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수단(22a)에서 상기 현상장치(20)로 현상제의 부분을 되돌리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 수단(22a)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된 패들수단(22c)을 포함하며 그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실행하기 위한 정전잠상실행몸체 수단(16)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덮개수단(22h) 상기 패들수단(22c)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패들수단(22c)의 회전시작후 초기위치로 부터 움직여 상기 개구(22b)가 열려 상기 컨테이너 수단(22a)이 상기 현상장치(20)에 현상제를 보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1. 현상제어 의하여 정전잠상을 정전기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장치수단, 현상제를 보충하기 위해 상기 현상장치수단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카트리지형 현상제 공급기 수단(52), 상기 카트리지형 현상제 공급기 수단(52)은 현상제를 방출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출구 출구(52b)를 갖으며 보충현상제의 몸체를 유지하기 위한 컨테이너 수단(52a)과 상기 패들수단의 회전중 상기 출구(52b)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수단(52a)에서 상기 현상장치로 현상제의 부분을 되돌리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 수단(52a)내에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된 패들수단(52c)을 포함하며 그 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실행하기 위한 정전잠상실행몸체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덮개수단(52g)은 상기 패들수단(52c)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패들수단(52c)이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각도의 위치에 놓일때 상기 덮개 수단(52g)이 상기 출구(52b)를 닫기 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고, 스프링수단(52j, 52k)은 초기 위치로 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수단(52g)을 탄력적으로 편향시키며, 상기 패들수단(52c)은 상기 덮개수단(52g)이 상기 스프링(52j, 52k)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초기위치에 억지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덮개수단(52g)과 결속가능하며 상기 패들 수단(52c)의 회전시작 후 상기 덮개수단(52g)으로 부터 해체가 가능하므로 상기 덮개수단(52g)은 초기위치로 부터 탄력적으로 움직이므로서 상기 출구(52b)가 열려 상기 컨테이너수단(52a)이 현상제를 현상장치에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12. 현상제를 내부에 유지시키기 위한 용기 수단(54a), 상기 분할벽(54d)내에 형성된 개구(54e)를 통해 상호통하는 1차 및 2차 챔버(54b, 54c)로 상기 용기(54a)를 나누기 위해 상기 수단(54a) 내에 제공되는 분할벽수단(54d); 상기 용기 수단(54a)의 1차 챔버(54b)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현상롤러수단(54f); 상기 용기 수단(54a)의 2차 챔버(54c)내에 유지되는 현상제의 몸체, 상기 패들 수단(54h)의 회전 중 상기 분할 수단(54d)의 개구(54e)를 통해 상기 2차 챔버(54c)로 부터 상기 1차 챔버(54b)에 현상제의 부분을 되돌리기 위한 상기 2차 챔버(54c)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패들 수단(54h)을 포함하며 그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실행하기 위한 정전잠상 실행몸체 수단을 포합하는 영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덮개수단(54i)은 상기 패들수단(54h)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패들수단(54h)이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주어진 각도의 위치에 놓일때 상기 덮개수단(54i) 상기 출구(54e)를 닫기 위해 초기위치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 수단(54i)은 상기 패들수단(54h)의 회전시작 후 초기위치로 부터 움직여서 상기 개구(54e)가 열려 상기 2차 챔버(54c)가 현상제를 상기 1차 쳄버(54b)에 되돌릴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형성장치.
KR1019920020818A 1991-11-06 1992-11-06 카트리지(cartridge)형 현상제 공급기 및 교환가능장치로 형성된 현상장치 KR9600054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89769A JP2526328B2 (ja) 1991-11-06 1991-11-06 現像器
JP91-289769 1991-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646A KR930010646A (ko) 1993-06-23
KR960005478B1 true KR960005478B1 (ko) 1996-04-25

Family

ID=1774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818A KR960005478B1 (ko) 1991-11-06 1992-11-06 카트리지(cartridge)형 현상제 공급기 및 교환가능장치로 형성된 현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25163A (ko)
EP (1) EP0541379B1 (ko)
JP (1) JP2526328B2 (ko)
KR (1) KR960005478B1 (ko)
DE (1) DE6921716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488A (ja) * 1992-05-08 1993-11-26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966566A (en) * 1993-03-24 1999-10-12 Canon Kabushiki Kaisha Recycle method fo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301285A (ja) * 1993-04-16 1994-10-28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3904246B2 (ja) * 1994-04-08 2007-04-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現像装置
JPH0815940A (ja) * 1994-04-28 1996-01-19 Canon Inc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DE19520340C2 (de) * 1994-06-02 2000-01-05 Ricoh Kk Entwicklungsvorrichtung für eine Bilderzeugungseinrichtung und Tonerbehälter hierfür
JP3305159B2 (ja) * 1994-06-02 2002-07-2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
JPH0844207A (ja) * 1994-07-27 1996-02-1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H0844174A (ja) * 1994-07-29 1996-02-16 Fujitsu Ltd シリアル型電子写真装置
AU3426895A (en) 1994-10-17 1996-05-02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ontainer, toner container assembling method,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5797073A (en) * 1997-03-13 1998-08-18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with biased closure
JP3639731B2 (ja) * 1998-08-31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ユニットの物流時における現像剤送り部材の停止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物流時における現像剤送り部材の停止方法
JP3868192B2 (ja) * 2000-07-13 2007-01-17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該現像装置へのトナー収容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673643B2 (ja) * 2005-03-04 2011-04-20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42692B2 (ja) * 2005-06-20 2011-08-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収容部材
US7509081B2 (en) * 2006-12-18 2009-03-24 Clarity Imaging Technologies, Inc. High-capacity toner cartridge and toner agitator
US8600267B2 (en) 2009-04-28 2013-1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provided with the same
JP4849169B2 (ja) 2009-12-25 2012-0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US8532543B2 (en) * 2010-01-27 2013-09-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817170B2 (ja) 2011-03-28 2015-11-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構造体、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装置
JP5007773B2 (ja) * 2011-08-08 2012-08-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トナー供給装置
JP5354312B2 (ja) * 2012-03-26 2013-11-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粉体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218506B2 (ja) * 2013-08-30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244382B2 (en) 2013-06-25 2016-01-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663A (ja) * 1982-12-10 1984-06-19 Ricoh Co Ltd トナ−補給方法
JPS59204063A (ja) * 1983-05-06 1984-11-19 Fuji Xerox Co Ltd 複写機用トナ−カ−トリツジ
JPS6151177A (ja) * 1984-08-20 1986-03-13 Ricoh Co Ltd トナ−収納容器
JPS61116372A (ja) * 1984-11-10 1986-06-03 Toshiba Corp トナ−供給装置
JPS6235372U (ko) * 1985-08-21 1987-03-02
JPS6249381A (ja) * 1985-08-29 1987-03-04 Toshiba Corp 電子複写機におけるトナ−カ−トリツジ
JPS6325676A (ja) * 1986-07-18 1988-02-03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3217385A (ja) * 1987-03-06 1988-09-09 Nec Corp トナカ−トリツジ
US4914481A (en) * 1987-07-09 1990-04-03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2590930B2 (ja) * 1987-09-17 1997-03-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
US5121165A (en) * 1988-10-28 1992-06-09 Mita Industrial Co., Ltd. Developer unit and a toner hopper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H02165174A (ja) * 1988-12-20 1990-06-26 Ricoh Co Ltd 現像装置
US5012289A (en) * 1989-08-11 1991-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oner metering apparatus
JP2827137B2 (ja) * 1989-12-05 1998-11-18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ナ・トナー・マガジン及び電子写真式記録装置
US5028961A (en) * 1990-08-20 1991-07-02 Eastman Kodak Company Development apparatus having a developer material storage chamber which automatically discharges upon operation of the mixer
JP2628226B2 (ja) * 1990-10-29 1997-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
JP3081959U (ja) * 2001-05-21 2001-11-22 美利達工業股▲分▼有限公司 折り畳み可能な自転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7160D1 (de) 1997-03-13
JP2526328B2 (ja) 1996-08-21
KR930010646A (ko) 1993-06-23
US5325163A (en) 1994-06-28
EP0541379B1 (en) 1997-01-29
EP0541379A3 (en) 1993-08-25
EP0541379A2 (en) 1993-05-12
JPH05127524A (ja) 1993-05-25
DE69217160T2 (de) 199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478B1 (ko) 카트리지(cartridge)형 현상제 공급기 및 교환가능장치로 형성된 현상장치
US68395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container removably mountab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4873940A (en) Image developing device
EP0822466A1 (en) Developing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110262A (ja) 画像形成装置
AU622038B2 (en) Developing device used in electrophotographic field
JPH06110337A (ja) 画像形成装置
US6654583B2 (en) Developing apparatus
US5499082A (en) Developing device using two-component type developer having doctor blade resiliently abutted against openings in vessel and an outlet portion in vessel to discharge the developer
US5543903A (en) Heat roller type toner image fixing device having cleaning roller
US7424253B2 (en) Toner metering device
JP2006337839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296885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140373A (en) Electrostatic latent image developing apparatus with bristle height adjusting member
JPH11327288A (ja) 画像形成装置
EP419134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US7643780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794772B2 (ja) 画像形成装置
JPH0836307A (ja) 画像形成装置
JPH0535002A (ja) 電子写真印刷装置
JP200632325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09208A (ko) 현상 카트리지
JP2023026759A (ja)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システム、及びカートリッジ
JP3130675B2 (ja) 一成分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0710463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