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061Y1 - 엔진의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061Y1
KR960005061Y1 KR2019940025463U KR19940025463U KR960005061Y1 KR 960005061 Y1 KR960005061 Y1 KR 960005061Y1 KR 2019940025463 U KR2019940025463 U KR 2019940025463U KR 19940025463 U KR19940025463 U KR 19940025463U KR 960005061 Y1 KR960005061 Y1 KR 960005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hose
check valve
gall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422U (ko
Inventor
국승목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5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061Y1/ko
Publication of KR9600114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0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2Closed-circuit lubricating syste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M1/02 - F01M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엔진의 윤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인 엔진의 윤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
제2a도는 시동이 오프(off)시에 오일갤러리에 오일이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b도는 오일갤러리(oil gallery)에 오일이 부족시에 오일이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C-C선 부분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오일스크린 14 : 오일셕선호스
16a, 16b : 걸림턱 18a, 18b : 호올
20 : 이탈방지 브라켓트 22 : 오일팬
24 : 체크밸브 26 : 스프링
28 : 축 30 : 오일갤러리
본 고안은 엔진의 윤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동이 오프상태에서도 엔진의 오일갤러리내에 오일이 충진되도록 오일셕선튜브(oil suction hose)에 오일 유입방지장치를 형성함으로써 기관의 과다마모 및 노이즈(noise)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시동을 온(On)하면 오일펌프가 구동되어 오일팬 내부의 오일을 흡입(吸入), 가압(加壓)하여 오일갤러리를 통하여 각 윤활부에 공급하게 되어 엔진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종래 엔진의 윤활장치는 하부에 오일이 충진된 오일팬(oil pan)이 형성되고 이 오일팬 내부의 오일속에 형성된 오일스크린(oil screen)은 오일셕선호스를 통하여 오일펌프(oil pump)와 연결되며, 이 오일펌프는 오일 갤러리와 연결되어 이 오일 갤러리를 통하여 각 기관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시동을 온하면 오일펌프가 구동되어 오일팬 내부의 오일이 오일셕선호스를 통하여 오일펌프에서 흡입가압한 후 오일갤러리를 통하여 각 윤활부에 공급하게 되었으나, 시동을 정지시키면 오일갤러리에 충진된 오일이 하부로 이동하여 오일팬의 내부에 유입하게된다.
따라서 오일갤러리에 오일이 충진되지 않는 상태에서 시동을 온(on)하면 각 윤활부로 오일이 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즉, 시동을 온하면 오일팬에서 오일셕선호스를 통하여 이동하여 다시 오일펌프에서 오일갤러리를 통하여 캠샤프트(cam shaft) 및 밸브트래인(valve train)인 각 윤활부까지 이동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시동을 온하게 되면 오일펌프가 공회전하여 오일펌프로 오일이 도달하는데 일정한 시간(약 20~50초)이 소용하게 되어 오일이 부족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되므로 과다마모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혹한기와 같이 추운 계절에 엔진이 빙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시동을 온하게 되면 소음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오일펌프를 오일팬에 최대한 가까이 설치하기도 하였으나, 별다른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곽으로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축과 연결된 체크밸브(check valve)를 오일셕선호스에 연결함으로써 시동이 오프상태에서도 엔진의 오일갤러리내에 오일이 충진되도록 하여 기관의 마모를 방지하고 엔진의 소음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오일팬 내부의 오일속에 오일스크린이 형성되고 이 오일스크린은 오일셕선호스를 통하여 오일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셕선호스에 시동이 오프되면 오일이 오일팬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오일 유입방지장치를 형성하는데, 이 오일 유입방지장치는, 오일셕선호스의 일정 상하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의 걸림턱에는 호올이 형성된 이탈방지 브라켓트를 설치하고 하부의 걸림턱에는 중간부위가 경사진 체크밸브가 걸리도록 하며, 외곽으로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축의 일단을 상기 체크밸브의 중심에 연결하는 동시 타단은 이탈방비 브라켓트에 관통설치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제1도는 본 고안인 엔진의 윤활장치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분에 대한 확대단면도로서, (a)도는 시동이 오프(off)시에 오일갤러리에 오일이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도는 오일갤러리에 오일이 부족시에 오일이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C-C선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오일펌프(미부호)와 오일스크린(12)사이에 설치된 오일셕선호스(14) 소정부위의 상하부에 걸림턱(16a)(16b)을 형성하고, 상부의 걸림턱(16a)에는 호올(18a)이 관통된 스프링 이탈방지 브라켓트(20)를 설치함과 동시 하부의 걸림턱(16b)에는 시동이 오프상태에서 오일이 오일팬(2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중간부위가 경사진 체크밸브(24)가 걸리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외곽으로 압축 스프링(2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축(shaft, 28)의 일단을 체크밸브(24)의 중심부에 연결하는 동시 타단은 이탈방지 브라켓트(20)의 중심에 관통된 호올(18b)에 삽입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시동을 온(On)하게 되면 오일펌프가 회전하여 오일팬(22)내부의 오일을 흡입하면 오일스크린(12)에서 불숱물이 여과(濾過)된 후, 오일셕선호스(14)를 통과하여 오일펌프가 이동된다.
즉, 오일펌프의 흡입력에 의하여 체크밸브(24)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틈새로 오일이 통과하고 다시 이탈방지 브라켓트(20)의 호올(18a)을 통과하여 오일펌프로 이동하며 다시 오일갤러리(30)를 통과하여 각 윤활부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한편, 구동중인 엔진의 시동을 오프시켜 오일펌프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면 오일펌프의 오일흡입력이 상실하게 되어 체크밸브(24)가 스프링(26)의 텐션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체크밸브(24)의 경사진 부위가 오일셕선호스(14)의 걸림턱(16b)에 걸리면서 오일의 이동을 막게 되면 오일갤러리(30)의 내부에 충진된 오일이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 축(28)의 외곽으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26)이 없더라도 체크밸브(24)의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오일셕선호스(14)를 막게 되나 밀착력이 약하게 되며, 특히 오일셕선호스(14)가 경사진 경우에는 더욱 걸림턱(16b)에 밀착되는 힘이 약하므로 스프링(26)을 설치함이 이상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인 엔진의 윤활장치에 따르면, 외곽으로 스프링(16)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축(28)과 연결된 체크밸브(24)를 오일셕선호스(14)에 연결함으로써 시동이 오프상태에서도 엔진의 오일갤러리(30)내에 오일이 충진되도록 하여 기관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고, 빙결상태인 시동을 온(On)하게 되더라도 소음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오일팬 내부의 오일속에 오일스크린이 형성되고 이 오일스크린은 오일셕선호스를 통하여 오일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일셕선호스에서 시동이 오프되면 오일이 오일팬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오일 유입방지장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유입방지장치는 오일셕선호스의 일정 상하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의 걸림턱에는 호올이 형성된 이탈방지 브라켓트를 설치하고 하부의 걸림턱에는 중간부위가 경사진 체크밸브가 걸리도록 하며, 외곽으로 스프링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축의 일단을 상기 체크밸브의 중심에 연결하는 동시 타단은 이탈방지 브라켓트에 관통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윤활장치.
KR2019940025463U 1994-09-30 1994-09-30 엔진의 윤활장치 KR960005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463U KR960005061Y1 (ko) 1994-09-30 1994-09-30 엔진의 윤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463U KR960005061Y1 (ko) 1994-09-30 1994-09-30 엔진의 윤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22U KR960011422U (ko) 1996-04-15
KR960005061Y1 true KR960005061Y1 (ko) 1996-06-21

Family

ID=1939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463U KR960005061Y1 (ko) 1994-09-30 1994-09-30 엔진의 윤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0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961B1 (ko) * 1999-11-22 2002-02-02 심인구 황토내열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961B1 (ko) * 1999-11-22 2002-02-02 심인구 황토내열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22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7206Y2 (ko)
US4538565A (en) Lubricant passage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960005061Y1 (ko) 엔진의 윤활장치
KR20100058367A (ko) 유압밸브간극조정기가 구비된 엔진의 오일드레인 방지장치
US2570898A (en) Nonfreezing oil system
WO1995012060A1 (en) Improved engine oiling system
JPS608093Y2 (ja) エンジン歯車歯面への潤滑構造
JP4066677B2 (ja) エンジンの潤滑装置
JPS6117204Y2 (ko)
JPH03175109A (ja) ブローバイガス還元装置
RU2032083C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с мокрым картером
KR0178621B1 (ko) 내연 기관의 오일 팬 장치
JPH0932572A (ja) 内燃機関の油圧テンショナ
KR100253485B1 (ko) 자동차용 엔진의 오일 드레인 방지장치
JP2529104Y2 (ja)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JPS6145284Y2 (ko)
KR200162564Y1 (ko)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KR19980067467U (ko) 엔진 내부 오일의 역류 방지 장치
KR100235747B1 (ko) 차량용 엔진의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of an oil pump for an automovile enging)
KR0139576Y1 (ko) 자동차 엔진윤활장치
KR960005515Y1 (ko) 엔진의 윤활장치
JPS6215595Y2 (ko)
JPH04134612U (ja) エンジンの強制潤滑装置
JP2000205086A (ja) 燃料噴射ポンプ
KR100401918B1 (ko) 실린더 헤드 오일의 드레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