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758B1 -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758B1
KR960004758B1 KR1019900004626A KR900004626A KR960004758B1 KR 960004758 B1 KR960004758 B1 KR 960004758B1 KR 1019900004626 A KR1019900004626 A KR 1019900004626A KR 900004626 A KR900004626 A KR 900004626A KR 960004758 B1 KR960004758 B1 KR 960004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plate
liner board
corrugated fiberboar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911A (ko
Inventor
료에쯔 사꾸라바시
마사히로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혼슈세이시 가부시기가이샤
요네자와 요시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슈세이시 가부시기가이샤, 요네자와 요시노부 filed Critical 혼슈세이시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3/00Making articles of cellular structure, e.g. insulating board
    • B31D3/005Making cellular structures from corrugated web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 아직 표피판이 부착되지 않은 주름진 섬유판체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주름진 섬유판체의 구성재료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나타낸 하나의 라이너보드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라이너보드에 임시 부착시킨 보조판의 평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나타낸 구성재료와 함께 결합시켜 성형된 블랭크의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나타낸 주름진 섬유판체의 슬릿부의 단면도.
제7도는 제4도에 나타낸 보조판과 그에 부착된 표피판을 포함하는 복합판의 평면도.
제8도는 제5도에 대응하는 단면도로서 제4도에 나타낸 보조판 대신에 제7도에 나타낸 복합판을 사용하여 구성된 블랭크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의 다른 일실시예의 제조공정에서 주름진 섬유판체의 구성재료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1 : 주름 매체 2 : 제1의 라이너보드
3, 33 : 제2의 라이너보드 4 : 열융착성 접착제
5, 35 : 보조판 6 : 덮개부
7 : 절단부 8 : 블랭크
9 : 절단모서리 10, 40 : 표피판
11 : 복합판 S, S' : 슬릿
본 발명은 금형에 의해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주름진 섬유판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름진 섬유판으로 성형된 성형체는, 특히 자동차 등의 내장재로 수요가 많고, 따라서 주름진 섬유판체를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성형체는 일반적으로 열융착성 접착제에 의해 결합되어 주름 매체와 하나 이상의 라이너로 이루어지는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를 사용하고, 이 블랭크를 가열된 금형에 의해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름 매체와 라이너보드 사이에 가해진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연화되어 주름 매치와 라이너보드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를 가능하게 하여,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의 형상이 변형되게 한다. 접착제가 냉각되어 경화될 때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의 형상에 일어난 변화는 영구적이 되어 성형과정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한 종래 성형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인발된 부분의 내측에 있는 라이너보드의 부분은 구김이 발생하기 쉽다. 주름진 섬유판체의 몇몇 특별한 형상에서는, 라이너보드의 인발부의 내측상의 라이너보드에 큰 인장력이 또한 발생하게 되어 그 부분에서 라이너보드는 찢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주름 매체와 라이너보드를 임시적으로 함께 부착시켜 이들 사이에 상대적 변위를 허용함으로써, 라이너보드가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고 소56-30179(1981)이 있다. 그러나, 이 기술로 라이너보드가 구겨지는 정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지만, 구겨지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는 없다. 종래의 기술은 라이너보드가 상당한 정도로 구겨지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깊게 인발된 부분이나 원래의 형태로부터 크게 변형된 다른 부분에서 찢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이너보드가 실질적으로 변형될지라도 라이너보드가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위험이 없는 주름진 섬유판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름진 섬유판체가 내장재로 사용될 때 표피판이 라이너보드위에 추가적으로 부착된다. 그러나 주름진 섬유판체에 큰 구겨짐이 일어날 경우, 표피판의 표면은 좋지 못한 외관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표피판을 가하는 것은, 표피판을 완성된 주름진 섬유판체 위에 놓고, 이 어셈블리를 가열하에서 금형으로 다시 성형하여, 주름진 섬유판체의 라이너보드에 표피판을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행해졌다. 주름진 섬유판체의 성형과 동시에 표시판이 가해질 수 있고, 따라서 제조공정수가 감소될 수 있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라이너보드를 사용하는 대신에, 라이너보드와 그에 미리 겹쳐진 표피판이 사용될 경우, 표피판이 라이너보드에 생긴 주름을 따라 정확히 구겨지기 때문에, 표피판을 가하는 것과 주름진 섬유판체를 성형하는 것을 같은 공정에서 동시에 행하는 것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거의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름진 섬유판체가 금형의 제1행정에서 성형되고, 그 후 표피판이 성형체에 놓여져 제2행정으로 부착되는 소위 2행정 처리를 채용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주름진 섬유판체만이 성형될 경우, 블랭크가 어느 정도로 구겨진다고 해도 구겨진 블랭크는 성형압력에 의해 압축될 때 매끄럽게 되고, 그렇게 성형된 블랭크에 별도로 놓여진 표피판은 라이너보드의 표면형상을 완전히 따르지 않는다. 따라서, 주름진 섬유판체를 제조하는 종래의 방법을 사용할 때 조차도 2행정으로 구김이 없는 표피판을 가지는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라이너보드에 미리 겹쳐진 표피판을 가지는 블랭크가 1행정으로 최종제품으로 성형되는 소위 1행정처리는, 표피판에 고압을 가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허용하지 않으므로 주름진 블랭크가 성형압력에 의해 매끄럽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
압력저항을 가지는 표피판이 사용되고, 이로 인해 주름진 블랭크가 매끄럽게 될 수 있게 하는 압력으로 성형할 수 있다고 해도, 표피판은 완전히 구겨지게 되어 크기가 감소하게 되므로, 이 구김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표면에 구김이 없는 제품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상기 설명한 1행정처리로 표피판의 부착까지 완료된 주름진 섬유판체를 형성할 수 있는 주름진 섬유판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름진 섬유판체의 적어도 하나의 라이너보드에 소정의 위치에 슬릿 및/또는 노치를 미리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름진 섬유판의 잔여부와 상기 라이너보드를, 양자 사이에 열융착성 접착제를 개제시킨 상태에서 임시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슬릿이나 상기 노치를 덮는 덮개부와 각 쌍의 인접 덮개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절단부를 일체구조로 가지는 보조판과 상기 라이너보드를, 양자 사이에 열융착성 접착제를 개제시킨 상태에서 임시 부착하여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를 가열하에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주름진 섬유판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보조판 대신에 라이너보드에 면하는 측으로부터 이격된 보조판의 측면에 제공된 표피판을 가지는 복합판을 사용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표피판을 아직 갖지 않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주름진 섬유판체는 표피판이 알려진 방법에 의해 성형체의 내측에 부착된 후에, 자동차의 천정용 내장재로 사용된다.
제1도에서 보조판(5)의 외주는 굵은 선으로 표시되고, 보조판(5) 아래쪽에 라이너보드(3)에 형성된 슬롯(S) 및 노치(N)가 예시를 위하여 굵은 쇄선으로 표시되고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주름진 섬유판체를 제조하는 공정의 최초 단계를 나타낸다. 먼저 열융착성 접착제(4)로 함께 결합된(결합은 일면 주름 섬유판으로 알려져 있음) 주름 매체(1)와 제1라이너보드(2)의 조합체와, 그 일측에 열융착성 접착제(4)를 가지며 상기 언급한 조합체와 별개인 제2라이너보드(3)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열융착성 접착제에는 어떤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 열용융성 수지 등의 어느 소망의 재료든지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될 때, 미리 라이너보드(3)에 도포될 수 있거나 라이너보드(3)와 별도의 용지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이 판의 형태로 사용될 때, 열융착성 접착제(4)는 예를 들면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라이너보드(3)에 국부적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나중에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이너보드(3)와 완전히 별도의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판형의 열융착성 접착제(4)는 라이너보드(3)가 주름진 섬유판체에 임시 결합될때, 라이너보드(3)와 단일면으로 주름진 섬유판(주름 매체 및 제1라이너보드를 포함함)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S) 및 노치(N)를 가지는 제2라이너보드(3)를 미리 준비한다. 슬릿(S) 및 노치(N)의 위치는 제1도에 나타낸 주름진 섬유판체의 각 위치에 대응한다. 또, 제2도에 나타낸 것처럼 열융착성 접착제(4)를 가지는 보조판(5)이 라이너보드(3)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보조판(5)에 제공된 열융착성 접착제(4)는 미리 보조판(5)에 부착되거나 보조판(5)과 별개의 판의 형태로 준비될 수 있다. 라이너보드(3) 및 보조판(5)에 대하여 "접착제를 가진다"라는 표현은, 접착층이 라이너보드(3) 혹은 보조판(5)과 그에 결합된 부재 사이에 최종적으로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판(5)이 제3도에 나타낸 라이너보드(3) 위에 겹쳐질 때, 각각 슬릿(S) 및 노치(N)를 덮는 부분(6)과 각 쌍의 인접 덮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절단부(7)를 포함하는 일체 구조를 가진다. 제4도에서 쇄선은, 보조판(5)이 제3도에 나타낸 라이너보드(3)에 겹쳐질 경우, 각각 슬릿(S) 및 노치(N)에 오는 위치를 표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덮개부(6) 각각이 하나의 슬릿(S) 또는 하나의 노치(N)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하나의 덮개부(6)가 슬릿(S) 및 노치(N)를 서로 근접하는 제공하는 경우에, 다수개의 슬릿(S) 또는 노치(N)를 덮는 보조판(5)이 배치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시예에 있어서, 보조판(5)은 라이너보드(3)와 동일한 용지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보조판(5)의 구성재료는 반드시 라이너보드(3)와 동일한 용지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된 재료는 덮개부(6)와 절단부(7)간의 단차가 보조판(5)의 상부에 제공된 표피판의 표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얇고 보조판(5)이 라이너보드(3)위에 겹쳐질 경우 슬릿(S)의 절단모서리로부터 형성된 단차를 덮어 매끄럽게 할 정도로 충분히 두꺼운 임의의 성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2도에 나타낸 구성재료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함께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임시 부착된다. 이 재료는, 보조판(5)이 미리 라이너보드(3)에 부착되고, 이 조합이 단일면 주름진 섬유판(주름 매체(1) 및 제1라이너보드(2)를 포함)에 부착되거나 서로 별도인 라이너보드(3)와 보조판(5)은 단일 주름진 섬유판에 동시에 부착되는 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부착은 어셈블리의 주위부의 접착테이프를 붙이거나 트리밍시에 잘려나간 주위부를 가열하고, 그에 의해 국부적인 결합을 위해 접착제(4)를 국부적으로 용융시켜 국부적인 결합을 일으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렇게 해서 함께 부착된 구성재료의 어셈블리는 블랭크(8)로 사용되어 성형 공정을 거친다.
이런 식으로 준비된 블랭크(8)는, 종래의 방식으로 제1라이너보드(2)와 접촉하는 고정금형과 보조판(5)과 접촉하는 가동금형 사이에서 가열하에 압착된다. 이 성형과정의 초기단계에서 라이너보드(3)는 주름 매체(1)에 대해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블랭크(8)의 형상을 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블랭크(8)가 성형될 경우, 라이너보드(3)의 큰 수축력을 받는 부분에 슬릿(S)이 제공되므로, 각 슬릿(S)의 절단모서리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지게 되므로, 이 부분에서 라이너보드(3)는 구겨질 우려가 없다. 큰 인장력을 받는 라이너보드(3)부에 노치(N)가 미리 제공되므로, 라이너보드(3)가 찢어질 위험이 없다. 라이너보드(3)가 인장력을 받을 때, 라이너보드(3)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슬릿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노치(N)는 슬릿으로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슬릿의 단부로부터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할 때, 노치(N)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판(5)이 국부적으로만 부착되어 있으므로 성형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라이너보드(3)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성형시에 보조판(5)이 역효과를 미칠 위험도 없고 보조판(5)의 덮개부(6)가 슬릿(S)의 절단모서리의 중첩에 역효과를 미치치 않는다. 성형 과정중에 발생하는 보조판(5) 그 자체의 수축은 절단부(7)에 의해 흡수되므로 보조판(5)이 구겨질 가능성은 없다. 다음에, 열융착성 접착제(4)가 가열로 용융되어 제1도에 나타낸 형태로 구성재료와 함께 용융결합하게 된다. 냉각후 열융착성 접착제(4)는 고형화되어 결합된 재료를 도시된 형태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각 슬릿(S)의 절단모서리의 중첩부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보조판(5)의 대응부로 덮여진다. 주름 매체(1)가 노치(N)를 거쳐 노출된 부분이 유사하게 대응부(6)로 덮여져 있으므로 주름 매체(1)의 주름은 외부에서 분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름진 섬유판체가 자동차용 내장재로 사용될 때, 표피판(10)(제6도 참조)은 알려진 수단에 의해 보조판(5)의 표면에 추가적으로 부착된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표피판의 플라스틱재, 비직물 합성섬유, 플라스틱발포재 및 이들 재료의 적층물들이 있다. 예를 들어, 결합수단으로 합성섬유와 혼합된 비직물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주름진 섬유판체에 최종적으로 표피판을 붙이고, 따라서 라이너보드(3)가 완성된 제품의 표면에 나타나지 않을 경우, 제6도에 나타낸 주름 매체(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슬릿부(S)의 절단모서리(9)가 내측으로 굽어져 표피판(10)의 표면의 리세스가 된다. 그래서 보조판(5)의 덮개부(6)는 또한 표피판(10)의 변형을 방지하는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서 보조판(5) 대신에 보조판과 표피판의 복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7도는 보조판(5) 및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 표피판(10)을 포함하는 복합판(11)을 나타낸다. 복합판(11)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라이너보드(3)에 임시 부착되어 블랭크(12)를 형성한다. 이 블랭크(12)는 금형에서 1행정으로 압착되어 제1도에 나타낸 형상을 가지고, 이미 제공된 표피판을 가지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복합판(11)과 제2라이너보드(3) 사이에 가해진 접착제는 보조판(5)뿐만 아니라 보조판(5)의 각 절단부(7)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표피판(10)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연장한다.
제7도에 나타낸 복합판(11)은 보조판(5)과 표피판(1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양자 사이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함께 임시 부착되게 된다. 이런 경우 표피판(10)은 성형과정중 보조판(5)에 대해 변위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표피판(10)이 구겨질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슬릿(S')이 존재하지 않는 제2라이너보드(33)의 영역이 미리 제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보조판(35)(쇄선에 의해 표시된 표피판(40)의 아래에 있음)이 라이너보드(33)의 제거된 부분을 완전히 덮을 수 있으므로, 표피판(40)의 외측에 주름 매체(31)의 주름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그외의 제조공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라이너보드에 제공된 슬릿에 의해 라이너보드가 구겨지는 것을 거의 완전히 방지할 수 있고, 각 슬릿의 절단 모서리의 중첩에 의한 단차가 보조판의 대응 덮개부로 덮여진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주름진 섬유판체는 표피판이 후에 부착될 때, 그 표면에 구김이 생기지 않게한다. 추가하여, 큰 인장력은 받는 부분에도 불규칙하게 라이너보드가 찢어질 우려가 없다. 이러한 사실은 주름진 섬유판체가 실질적인 변형을 가지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도면이나 기타 유사한 처리에 의해 큰 변경이 발생할 경우라도 예를 들면 구겨진 것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지 않는 주름진 섬유판체를 얻을 수 있다.
보조판을 사용하는 대신에 라이너보드에 면하는 측으로부터 이격된 보조판측에 부착된 표피판을 가지는 복합판이 사용될 경우, 구겨짐이 생기지 않고, 1행정으로 표피판을 가지는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용어를 통하여 설명하였지만, 설명된 실시예는 반드시 배타적인 것은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에 다양한 변경 등이 부여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Claims (8)

  1. 주름진 섬유판의 적어도 하나의 라이너보드에 소정의 위치에 슬릿 및/또는 노치를 미리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름진 섬유판의 잔여부와 상기 라이너보드를, 양자 사이에 열융착성 접착제를 개제시킨 상태에서 임시 부착하는 공정과; 상기 슬릿이나 상기 노치를 덮는 덮개부와 각 쌍의 인접 덮개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절단부를 일체구조로 가지는 보조판과 상기 라이너보드를, 양자 사이에 열융착성 접착제를 개제시킨 상태에서 임시 부착하여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를 가열하에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보드와 상기 주름진 섬유판의 잔여부와의 사이에 상기 열융착성 접착제와 상기 보조판과 상기 라이너보드 사이의 상기 접착제중 적어도 하나는 판의 형태를 취하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판은, 두 관련 부재가 서로 부착할 때, 이들 부재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판은 두 관련 부재중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5. 주름진 섬유판의 적어도 하나의 라이너보드에 소정의 위치에 슬릿 및/또는 노치를 미리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름진 섬유판의 잔여부와 상기 라이너보드를, 양자 사이에 열융착성 접착제를 개제시킨 상태에서 임시 부착하는 공정과; 표피판과 보조판을 포함하는 복합판을 제공하는 공정과; 상기 복합판과 상기 라이너보드를, 양자 사이에 열융착성 접착제를 개재시키고 상기 슬릿이나 노치를 덮는 덮개부와 각 쌍의 인접 덮개부 사이에 각각 형성된 절단부를 일체로 가지는 상기 보조판을 상기 라이너보드에 면하게 한 상태에서 임시 부착하여,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주름진 섬유판 블랭크를 가열하에서 성형 금형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보드와 상기 주름진 섬유판의 잔여부와의 사이의 상기 열융착성 접착제와 상기 복합판과 상기 라이너보드 사이의 상기 접착제중 적어도 하나는 용지의 형태를 취하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판은, 두 관련 부재가 서로 부착할 때, 이들 부재 사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판은 두 관련 부재중 하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KR1019900004626A 1989-04-05 1990-04-04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KR960004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86665A JPH02265734A (ja) 1989-04-05 1989-04-05 段ボール成形体の製造方法
JP89-86665 1989-04-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911A KR900015911A (ko) 1990-11-10
KR960004758B1 true KR960004758B1 (ko) 1996-04-13

Family

ID=1389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626A KR960004758B1 (ko) 1989-04-05 1990-04-04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391593B1 (ko)
JP (1) JPH02265734A (ko)
KR (1) KR960004758B1 (ko)
AU (1) AU626119B2 (ko)
CA (1) CA2012858C (ko)
DE (1) DE69014381T2 (ko)
ES (1) ES206767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02348U1 (de) * 1996-02-10 1996-03-28 F Luce Verpackungswerk Fa Schalenartiges Formteil
CA2541226A1 (en) * 2005-05-27 2006-11-27 Rasmussen Gmbh Connection system with coaxial end sections of two fluid lines that are to be joined
CN109572068A (zh) * 2018-12-29 2019-04-05 苏州工业园区明扬彩色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用于高周波熔接的定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1301A (en) * 1961-11-24 1965-08-17 Eastman Kodak Co Laminated tape structure
US3300357A (en) * 1964-09-23 1967-01-24 Detroit Gasket And Mfg Company Headlin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310182A (en) * 1976-07-15 1978-01-30 Nissan Motor Co Ltd Process for forming corrugated cardboard
GB2047612B (en) * 1979-04-16 1983-04-20 Ford Motor Co Trim pane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5945511B2 (ja) * 1981-08-27 1984-11-07 池田物産株式会社 段ボ−ル製内装材の製造法
JPS5898240A (ja) * 1981-12-09 1983-06-11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段ボ−ル材
JPS58177742A (ja) * 1982-04-12 1983-10-18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成形天井
US4886696A (en) * 1988-05-10 1989-12-12 Manville Corporation Corrugated paperboard automotive 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221490A (en) 1990-10-11
AU626119B2 (en) 1992-07-23
EP0391593A2 (en) 1990-10-10
ES2067670T3 (es) 1995-04-01
JPH02265734A (ja) 1990-10-30
DE69014381D1 (de) 1995-01-12
CA2012858A1 (en) 1990-10-05
EP0391593A3 (en) 1991-12-18
DE69014381T2 (de) 1995-07-20
EP0391593B1 (en) 1994-11-30
CA2012858C (en) 1998-12-01
KR900015911A (ko) 1990-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4157B1 (en) Vehicle trim component having two-part cover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US5297842A (en) Lining for interior of structural bod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0147068B1 (ko) 다층 성형 제품의 제조방법 및 금형
KR960017225A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5846368A (en) Laminate producing process
KR960004758B1 (ko) 주름진 섬유판체의 제조방법
US5656357A (en) Molded corrugated card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H0298443A (ja) 積層用装置とその方法
US20020162623A1 (en) Coating method and a corresponding part
JPH10507700A (ja) 特に繊維材料からなる美的外観領域のライニングを有するパネルの製造方法
JPH09131752A (ja) 積層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用金型
CA1173701A (en) Method of forming score in can end plate and method of attaching tab to the same for facilitating the opening of can
JPH10264734A (ja) 車両用成形天井の製造方法
JPS63165119A (ja) 表皮層張込み内装品の製造方法
JPH0623882A (ja) 段ボールの成形方法
JP2540122B2 (ja) 内装材の製造方法
JPH0735099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における装飾シートの圧着方法および圧着装置
KR820000381B1 (ko) 골 판 지
JPH0542242A (ja) スキーの製造方法
JPH08238639A (ja) 薄板樹脂成形化粧パネルの製造方法
JPH02167735A (ja) 段ボール成形体の製造方法
JPH07164977A (ja) 自動車用成形天井
KR100463732B1 (ko) 다색,규격및질감을가진실내자동차부품의제작
JPH0534131B2 (ko)
JPH0858375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