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176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176B1
KR960004176B1 KR1019920003679A KR920003679A KR960004176B1 KR 960004176 B1 KR960004176 B1 KR 960004176B1 KR 1019920003679 A KR1019920003679 A KR 1019920003679A KR 920003679 A KR920003679 A KR 920003679A KR 960004176 B1 KR960004176 B1 KR 96000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front wall
elevator
c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7930A (ko
Inventor
히사시 마쓰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2001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1 실시예와 엘리베이터 카(car)주위에 발생된 기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3 a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3 b도는 제 3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
제 4 a도는 제 3 b도의 엘리베이터 카의 정면 후로우(flow)도
제 4 b도는 제 3 b도의 엘리베이터 카의 후로우도
제 4 c도는 제 3 b도의 엘리베이터 카의 후로우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8 실시예를 나타낸는 개략사시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9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11 a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 10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11 b도는 제 10 실시예의 저면사시도
제 12 a도는 제 11 b도의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 후로우도
제 12 b도는 제 11 b도의 엘리베이터 카의 후면 후로우도
제 12 c도는 제 11 b도의 엘리베이터 카의 후면 후로우도
제 13 a 도는 종래 기술의 개략사시도
제 13 b도는 제 13 a도의 엘리베이터 카 주위에 발생된 기류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제 14 a도는 제 13 b도의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정면 후로우도
제 14 b도는 제 13 b도의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측면 후로우도
제 14 c도는 제 13 b도의 종래 엘리베이터 카의 후면 후로우도
본 발명은 고속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특히 잡음을 저감시킨 엘리베이터 카의 구조체와 정풍수단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되는 빌딩들이 고층화됨에 따라서 이러한 빌딩들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가 더욱 고속화되어 왔다.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가 대략 400m/분보다 더 빨라지면, 카내에 불쾌한 잡음이 커진다. 현재까지, 저속시 카내의 잡음은 주로 진동잡음으로 인한 것이나, 고소시 카내의 잡음은, 상기 잡음과는 성질이 다르다.
현재까지, 고속의 카내의 잡음의 원인은 카 주위에 발생된 와류로 인한 기류잡음을 주로 하는 “공기 역학적 잡음”이 주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중의 하나를 제 13 a와 제 13 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엘리베이터 주위에 생긴 기류의 상태를 설명한다.
제 13 a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개략사시도이며, 제 13 B도는 상기 엘리베이터 주위의 기류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제 13 a도와 13 b도에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주로, 빌딩등에 설치된 덕트내에 수직 가동상태로 설치된 직육면체상 엘리베이터 카 (1)와, 도어(door)(3)에 의해서 캐폐되는 카 입구/출구(4)를 구비한 카 승강구 정면벽(2) 및, 측벽들(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승강구 정면벽(2)의 하단면에는, 카 후로어 에이프런(floor apron)을 형성키 위한 하부 연출판(6)이 설치돼 있다. 이 연출판은, 그 길이가 카 높이의 약 1/2이고 수직하방으로 뻗어 설치된 박판으로 구성돼 있다. 또한, 로우프(rope)(7)와 안내 레일들(8)이 설치돼 있다.
상기 로우프의 일단부는, 상기 카(1)에 고정돼 있고, 그의 타단부는, “균형추”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루우프7는, 호이스팅(hoisting)장치(도시안함)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현수된 카(1)를 상기 안내 레일(8)을 따라서 수직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상기 카가, 동일속도, 예를들어, 420m/분의 높은 운전속도로 승강 동작되면, 상기 카(1)의 하강시에, 승강시에 비해 더욱 큰 잡음이 발생되며, 상기 카(1)내의 잡음이 하강시에 수 dBA만큼 더 크다.
현재까지, 고속 승강시에 잡음이 생기고, 카(1)의 하강시 발생된 잡음과 상승시에 발생된 잡음간의 잡음 레벨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이 더욱 심도있게 연구한 결과, 하기 사실들을 밝혀냈다.
제 13 B도에서는, 상기 카(1)가 굵은 화살표 A방향으로 하강하면, 카(1)의 외벽의 하부측의 공기가, 덕트의 내벽과 카(1)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카(1)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카(1)의 외측에 흐르는 기류중에, 상기 카(1)의 측면을 하부측으로부터 둘러싸는 “말발굽 형상”의 와류(9)가 발생된다.
또한, 하방을 뻗은 측단부(10) 주위에 흐르는 종방향 와류들(11)이, 카(1)의 출입구벽(2)의 하부 연출판(6)에 발생됨이 확인됐다. 상기 와류들중에서 말발굽형으로 하류로 향한 와류들(9)는 통상, 둔각 헤드(head) 물체주위의 기류에 발생된다. 상기 종방향 와류들(11)은, 상기 하방으로 뻗은 하부 연출판(6)에 의해서 공기가, 카(1)의 하측에 정체되어, 압력을 상승키킴으로서, 카(1)의 하측으로부터, 압력이 낮은 하부연출판(6)의 정면측에, 측단부(10)를 순환하면서, 흐름으로써 발생된다. 하부 연출판(6)의 후면측으로부터 하부 연출판(6)의 정면측으로 흐르튼 기류의 흐름은, 상기 종방향 와류(11)의 형성에 의해 유선이 휘어서 국소적“중속류”(12)가 되고, 따라서 소위 “수축류”를 형성하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증속류(12)의 속도는 카 (1)의 주행속도의 1.3배에 달했다.
상기 카(1)의 측벽들(5)의 안내레일들(8) 주위에 “말발굽 형상”의 와류들(13)이 발생됐다. 또한, 대규모 피일링 버블(peeling bubble)들(14)이 카(1)의 측벽(5)과 후면벽의 근방에 형성되어, 복잡한 “피일링 류”를 발생함이 밝혀졌다.
상기 증속류들(12)이 카(1)의 측벽들(5)에 비하여, 도어(3), 승강구(4), 또는 카(1)의 승강 스텝(step)등 의 단차가 많은 승강구벽(2)을 따라서 흐르므로, 상기 단차들이 흐름을 교란시켜 상기 승강구 벽(2)에 공기 역학적 잡음이 발생된다. 덕트의 내벽과 카(1)간의 간격은 상기 측벽(5)의 간격보다 더 좁으며, 승각구벽(2)에는 승강구(4)가 있고, 이 승강구(4)는 도어(3)에 의해서 닫혀 있으나, 그 밀폐성은 불충분하다.
그러므로, 발생된 공기역학적 잡음은, 상기간격을 통하여, 카(1)내로 도입되어, 카(1)내의 잡음레벨을 높인다. 또한, 상기 승강구별(2)이 승강구(4)와, 도어(3) 및 이 도어(3)를 개폐키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또하나, 상기 승강구벽(2)이 승강구(4)와, 도어(3) 및 이 도어(3)를 개폐키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의 잡음차폐 성능을 높이기가 곤란하다. 그 결과, 카(1)의 승차감이 손상된다. 또한, 상기 피일링 버블들(14)이 형성되어 복잡한 피일링류를 발생하는 ,후면벽과 측벽(5)의 근방에 피일링류의 재취착(readhering)영역들이 형성돼 있고, 상기 영역으로부터 발생된 잡음원인 공기역학적 잡음이 발생되어, 카(1)내의 잡음레벨을, 증속류(12)로 인한 공기역하적 잡음과 유사하게 높인다. 상기 카의 승강속도가 가속됨에 따라서 상기 공기역학적 잡음이 증가되므로, 카의 승강속도가 더욱 가속되면 잡음감소가 더욱 곤란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3 B도에 도시된 형상으로 형성된 모델을 사용하여 오일류 패턴 모사시럼 결과, 제 14 a∼14 c도에 도시된 바의 “(공기)기류의 무질서”유형의 수가, 종래 엘리베이터의 카 주위에 발생된 (공기)기류의 모사실험의 결과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실험 분석결고, “증속류”로 칭한 고속류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르러므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카의 내부 잡음의 주원인들은 상기한 바의“(공기)기류의 무질서”와 “증속류”였다.
엘리베이터 카 주위에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한 기류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및/또는 하부에 각종“정풍판”을 설치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들이, 일본 특개소 45-32569 호, 동 특개소 50-102043 호 공보, 일본 실개소 49-46121 호 공보 및 60-98751 호 공보에 개시돼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전부, 정풍판의정면과 후면가느이 압력차로 인하여, 정풍판의 측단부들에 종방향 와류들이 발생함으로 상기 전방, 즉, 정면측에서 “증속류”가 발생되고, 카의 승강속도가 가속됨에 따라서, 증속류로 인한 공기역학적 잡음이 엘리베이터 카내에서 증가됐다.
상기 카의 고속승강속도에서 발행하는 엘리베이터 카내의 공기역학적 잡음 감소의 곤란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카의 고속 승강속도에 의해 발생되는 증속류에 의해 주로 증가되는 공기역학적 잡음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카내의 잡음 발생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카의 승강속도가 더욱 가속되어도, 승차감이 좋고 잡음을 문제없이 감소시키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카와, 상기 카의 측면들을 구성하는 측벽들과, 승강구 정면벽과 승강구 정면벽에 대향된 후면벽 및, 승강구 벽의 승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된 연출판(에이프런)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가, 상기 카의 승강시에 상기 승강구 정면벽을 따라 발생되는 “증속류”를 억제키 위한 증속류 억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증속류 억제수단은, 상기 연출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측벽들의 승강방향으로 뻗은 측판들과, 통공들을 구비한 연출판과, 상기 후면벽의 승강방향으로 뻗은 후면 연출판, 이 후면 연출판과 상기 연출판간에 설치되어 상기 측벽의 승강방향으로 뻗은 측판들과, 상기 측판들을 승강방향으로 절취하여 형성된 V형 절취부, 또는 상기 측벽들과 후면벽들로부터 승강방향으로 뻗어있고 상기 연출판과 결합되어, 승강방향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된 정풍판을 구비하고 있다.
측판들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상기 수단에 의하여 상기 수단에 의하여 상기 측판의 측단부들에 “종방향 와류들”이 발생되고, 상기 측벽들에 증속류가 발생되어, 승강구 정면벽을 따라서 “증속류”를 억제한다. 통공을 구비한 상기 구성에서 상기 긍강구 벽을 따른 “증속류”가 억제됨으로써, 상기 연출판에 의해 종방향 와류가 발생치 않는다.
상기 정풍판을 구비한 구성에서는 원활한 기류가 발생되어, 종방향 와류를 발생치 않고 “피일류”와 “증속류”를 억제한다. 그 결과, 상기 증속류에 의하 발생된 공기역학적 잡음이 감소되어, 고속 승강시에 엘리베이터 카내의 잡음을 가소시킨다. 그럼,러,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빌딩의 고층화에 대응하여, 카의 승강속도가 증속되는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이점들은, 하기의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명백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점들은, 청구범위에 특별히 지적된 수단 및 조합에 의하여 실현, 획득할 수 있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제 1 실시예를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는, 빌딩등에 설치된 덕트내에서 승강하는 카가, 예를들어, 정면의 일측이 약 2m이고 높이 약 3m니, 예를들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돼 있다.
상기 카(15)에는 안내 슈우(shoe)(10)가 설치돼 있다.
상기 안내 슈우들(16)은, 상기 덕트내에 성치된 안내 레일들(17)을 따라서 안내되어 상기 카(15)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승강구 벽(19)는, 소정층에서 카(15)의 일측면에서 카(15)에서 승객의 승하차를 위한 승강구(18)에 의해서 개방된다.
승강구(18)에는 개방가능한 도어(20)가 설치돼 있다. 다른 한편, 다른 측면들은, 측벽들(21)과 후면벽(22)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 1 실시예의 특징은, 수평방향이 U형상 단면으로된 카플로어 에이프런을 형성키 위한 하부 연출판(23)이, 상키 카(15)의 정면특의 하부에, 승강방향의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점이다. 상기 하부 연출판(23)은, 횡폭이 더 긴 장방형 정면판(24)과 각각의 종폭이 더 긴 장방형 측판(25)으로 구성돼 있다.
상기 정면판(25)은 상기 승강구 정면벽(10)의 하부에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돼 있다. 상기 측판들(25)은, 상기 정면판(24)의 양측에 인접되어 설치돼 있고,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에 인접한 2개의 측벽(21,21)의 하부의 일부에, 소정폭으로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돼 있다. 상기 측벽들(21)의 저변의 중간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측판들(25)에는 측단부들(26)이 형성돼 있다. 상기 하부 연출판(23)은, 승강방향의 길이가 약 1.5m인 박판으로 구성돼 있다.
상기 카(15)는, 이 카(15)의 상단에 그 일단부가 고정된 로우프(27)에 의해서지지 현수돼 있다. 이 로우프(27)의 타단부로부터 호이스팅 장치(도시안함)를 통하여 균형추(도시안함)가 지지 현수돼 있다. 상기 로우프(27)는, 상기 호이스팅 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카(15)와 균형추를 소정 운전속도로 승강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는, 상기 카가 동일한 운전속도(예, 420m/분의 고소)fh 상승, 하강하도록 운전된다.
특히, 하강운저의 경우에, 상기 카(15)의 측면들을 하측으로부터 둘러싸는 “말굽형 와류”가 종래기술과 유사하게 상기 카(15)의 외측에서 발생된다.
하방향으로 연장된 하부 연출판(19)에 의하여 카(15)의 하측에 정체되어, 압력이 높아진 공기에 의해서, 이 공기가 카(12)으 하측으로부터 상기측판(25)의 측단부(26)를 외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유출하므로, 상기 측단부들(26)에서 “종방향 와류”가 발생된다.
이 종방향 와류에 의하여 상기 측판들(25) 및 측벽들(21)의 측면들에 상방향“증속류”가 발생된다. 다른 한편, 상기 정면판(24)과 승강구 정면벽(19)의정면측에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구 벽(19)에서는 상기 증속류에 의한 공기역학적 잡음이 관찰되지 않는다. 상기 측벽을(21)은, 단차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통상, 비교적 평탄상태로 형성되어, 증속류를 발생한다. 상기 덕트의 내벽까지의 간경이 크게 얻어지며, 상기 증속류에 의해 발생된 공기역학적 잡음의 잡음레벨이 낮다.
또한, 상기 발생된 저레벨의 잡음이 상기승강구(18)의 부위로부터 더욱 깊숙한 곳에서 발생되므로, 종래 그술의 경우와 동등한 소음차폐 성능에 의해서도 카(15)내의 잡음이 증가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강운전의 경우에 카(15)내의 잡음레벨이 상승운전의 경우의 레벨과 동일 정도가 되며,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승객의 승차감을 손상치 않고 카의 고속승강을 실행할 수 있으며, 고층빌딩에 대응하여 카의 승강속도를 증속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제 2 실시예를 제 2 도의 개략사시도를 찹조하여 설명한다.
제 2 도에서는 하부 연출판(28)이 수평방향의 단면이 U형상인 상태로 형성되어, 카(15)의 정면측의 하부에 설치돼 있다.
상기 하부 연출판(28)은 박판으로 구성돼 있고, 정면판(29)과 이 정면판(29)의 양측에 인접 설치된 측판들(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부 연출판(28)은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의 하부에서 상기 정면판(29)을 하방향으로 연장시키도록 설치돼 있고, 상기 측판들(30)은, 상기 승강구벽(19)에 인접한 2 개의 측벽(21,21)의 하부들의일부에 소정폭으로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돼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의 특징은, 상기 하부 연출판(28)의 하단부가 원호형상의 정면판(29)의 하단부(31)에 형성돼 있고, 상기 측판들(30)의 하단부들(32)이 정면판(29)의 하단부들(31)에 접속돼 있고, 그의 하방향이 길이가 상기 측단부(33)측을 향하여 점감된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예에서는, 카사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소곳으로 운정되어 특히 하강하는 경우, 카(15)의 하측에 정체되여, 상기 하방을 뻗은 하부 연출판(28)에 의한 압력으로 상승되는 공기가 카(15)의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순환하면서 상기 측판들(30)의 측단부(33)와 경사진 하단부(32)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측단부들(33)과 하단부들(32)에 종방향 와류가 발생된다. 이 종방향 와류들에 의해서, 상기 측판들(30)의 측면들과 측벽들에 상방향 “증속류”가 발생되나, 상기 정면판(29)과 승강구 정면벽(19)의 정면측들에는 증속류가 발생치 않는다.
[실시예 3]
다음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제 3 실시예를 제 3 도의 개략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도에서, 본 발명의 특징은, 상부 연출판(34)이 카(15)의 정면측의 상부에 설치돼 있고, 하부 연출판(35)가 상기 카(15) 정면측의 하부에 설치돼 있는 점이다. 상기 상부 연출판(34)은, 상기 카(15)의 상승시 기류변형을 감소시키도록 설치된 상부정풍판이고, 사다리꼴 박판을 U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돼 있고, 장바형 상부 정면판(36)과 이 상부 정면판(36)의 양측에 인접 설치된 직각 삼각판(3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부 정면판(36)을 승강구 정면벽(19)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뻗어 설치돼 있고, 상기 상부 측판들(37)은,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에 인접한 2 개의 측벽(21,21)의 상부에 상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돼 있다. 상부 단부들(38)은 상기 측판들(27)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상기 하부 연출판(36)은 상기 상부 연출판(34)과 유사하게 구성돼 있다. 하부 정면판(39)과, 하부 측판(40) 및 이 하부 측판(40)의 하단부들(41)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돼 있다. 상기 하부 정면판(38)은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고, 상기 하부 측판들(40)은,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에 인접한 2 개의 측벽(21,21)의 하부들에,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같이 구성된 제 3 실시예에서, 카(15)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속으로 운전되어 하강하는 경우, 카(15)의 하측에 정체되어, 상기 하방으로 뻗은 하부 연출판(35)에 의해서 높은 압력으로 상승되는 공기가 카(15)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측판들(40)의 하단부(41)에 외측으로 순환하면서 흐른다. 상기 하부 측판(40)의 측면들과 측벽들(21)에 상방향 증속류가 발생되나, 상기 하부 정면판(39)과 승강구 정면벽(19)의 정면측들에는 증속류가 발생치 않는다.
또한, 상승 운정의 경우에는, 상기 카(15)의 상측에 정체되어, 상기 하방으로 뻗은 상기 상부 연풀판(34)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 공기가, 상기 반대방향의 하강운정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카(15)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측판들(37)의 경사진 단부에서 외부 순환하도록 유통되어, 상기 상단부들(38)에 종방향 와류를 발생한다. 이 종방향 와류에 의해, 상기 상부 측판들(37)과 측벽들(21)의 측면에 하방향 증속류가 발생되나, 상기 상부 정면판(36)과 승강구 정면벽(19)의 정면측들에는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 3 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이상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카(15)의 상부에는 정풍판인 상부연출판(34)이 설치돼 있으므로, 상승시에 카(15) 주위에 발생된 공기류의 무질서의 감소효과, 특히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에서 기류변화의 감소효과가 제공됨으로써, 카(15)의 승강속도가 증속되더라도, 카(15)내의 잡음레벨을 억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느, 제 3b도에 도시된 실제 치수의 형상으로 된 모델을 사용한 오일류 패턴 모사실험의 결과, 상기 카 주위에 발생된 (공기)기류는 제 13 a도에 도시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결과와 비견된다.
즉, 3 실시예의 경우, 제 4 a∼4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기류가 발생된다. 상기 종래예를 나타내는 제 13 a 도의 모사실험 결고(제 14 a∼14c도에 나타냄)와 비교해 보면 본 실시예의 경우의 “상기(공기)기류의 무질서” (즉, 와류) 가 특히 카의 표면에는 거의 없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 현저하게 발생되는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거나 또는 발생된다해도 속도가 감소된다.
통상, (공기)기류 잡음은, 상기 카의 속도의 정도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카의 정면의 잡음이 특히 감소된다.
[실시예 4]
다음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제 4 실시예를 제 5 도의 개략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5 도에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승강구 정면벽(19)의 하부에, 하부 연출판(42)이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다. 상기 하부연출판(42)은 박판으로 구성돼 있고, 각각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의 통공(43)이 상기 하부 연출판 전면에 개방돼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4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가 고속으로 운전되어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강하면, 카(15)의 하부측에 공급된 공기가, 덕트의 내벽과 카(15)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카(15)의 상측으로 이동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카(15)의 하부측에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두 측벽(21,21)과 후면벽(22)의 3 방향으로 공급된다.
상기 공기의 흐름은,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측에서 하방으로 뻗어있다. 상기 하부 연출판(42)에 의해서 방해되어 카(15)의 하부측에 정체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 상기 공기가 상기 하부 연출판(42)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42)에 의해서 상기 카(15)의 하부측으로부터 승강구 정면벽(19)의 정면측에 공급되므로, 정체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하부 연출판(42)의 측단부에는 종합향 와류가 발행되지 않느다. 그 결과, 상기 승강구 정면벽(19)의 정면측에는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승강속도가 증속되더라도, 카(15)내의 증속류로 인한 공기역학적 잡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연출판(42)에 형성된 통공들(43)의 직경이 작으므로, 승객의 안전이 확보된다.
[실시예 5]
다음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제 5 실시예를 제 6 도의개략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6 도에서, 본 발명의 특징은, 하부 연출판(44)이, 승강구 벽(19)의 하부에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다는 점이다.
상기 하부 연풀판(44)은. 승강 방향과 평행하게 소정간격으로 정렬되어 하나의 후레임으로 조립돼 있는 복수의 슬렌더 로드(slender rod)(45)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슬렌더 로드들(45)간에 장방향 통고을(46)이 형성돼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에서는, 카가 상기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강되면, 카(15)의 하부측에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통공들(46)을 통하여 상기 승강구 벽(19)에서 승강구 벽(19)의 정면측으로 공급되어, 정체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연출판(44)의 측단부들에는 종방향 와류가 발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승갈구 벽(19)의 정면측에는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으며, 제 6 도의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6]
다음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제 6 실시예를 제 7 도의 개략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7 도에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하부 연출판(47)이, 승강구벽(19)의 하부에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다는 점이다.
상기 하부 연출판(47)은, 슬렌더 로드들(48)이 격자상태로 조립되어 구성돼 있어서, 개구비가 상기 카(15)측을 향하여 더 크며, 그 전표면상에, 다수의 통공들(49)이 형성돼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6 실시예에서는, 카가 상기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강되면, 카(15)의 하부측에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통공들(49)을 통하여 상기 승강구벽(19)에서 승강구벽(19)의 정면측으로 공급되어, 정체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연출판(47)의 측단부들에는 종방향 와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구벽(19)의 정면측에는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으며, 제 5 도의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하부 연출판(47)은 그 개구비가 카(15)측을 향하여 증가되도록 구성돼 있으므로, 공기 정체를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실시예 7]
다음은,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제 5 실시예를 제 8 도이 개략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8 도에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하부 연출판(50)이, 승강구벽(19)의 하부에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다는 점이다.
상기 하부 연출판(50)은, 슬렌더 로드들(51)이 격자상태로 조립되어 구성돼 있어서, 개구비가 상기 측단부측을 향하여 더 크며, 그 전표면상에, 다수의 통공들(52)이 형성돼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7 실시예에서는, 카가 상기 제 4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강되면, 카(15)의 하부측에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통공들(52)을 통하여 상기 승강구벽(19)에서 승강구벽(19)의 정면측으로 공급되어, 정체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연출판(50)의 측단부들에는 종방향 와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승강구벽(19)의 정면측에는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으며, 제 5 도의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하부 연출판(50)은 그 개구비가 하단부측을 향하여 증가되도록 구성돼 있으므로, 공기의 종방향 와류를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실시예 8]
다음은 제 9 도의 개략사시도에 제 8 실시예가 도시돼 있다. 제 9 도에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하부 연출판(53)과 하부 연출판(54)이 장방형 박판으로 구성돼 있고, 승강구 정면벽(19)을 향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설치돼 있는 점이다.
또한, 상부 후면 연출판(55)과 하부 후면 연출판(56)이 후면벽(22)에 상방과 하방을 뻗어서 각각 설치돼 있다. 상기 상부 연출판(53)과 상기 하부 후면 연출판(55) 사이의 양측벽(21,21)의 상단에는 상부 측판들(57)이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다. 또한, 싱기 하부 연출판(54)과 상기 하부 후면 연출판(56) 사이의 양측벽(21,21)의 하부에는 하부 측판들(58)이 하방으로 뻗어 설치돼 있다. 상기 상부 연출판(53)은, 카(15)의 상승시에 공기류의 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된 상부 정풍판이다.
상기 상부 측판들(57)과 하부 측판들(58)은, 상기 측벽들(21)의 상승방향의 중심선상에 와류를 갖는 V형 상부 절취부(59)와 하부 절취부(60)가 형성돼 있다. 상기 2 개의 절퓌부(59)와 (60)은, 100°보다 작은 와류를 갖고 있어서, 꼭지점의 이등분선이 승강방향과 일치한다. 첨조번호(61)은, 상기 상부 절취부(59)의 경사진 상단부를 나타내며, 참조번호(62)는 상기 하부 절취부(60)의 경사진 상단부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8 실시예에서는, 카가 고속동작되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강되면 하방으로 뻗은, 상기 하부 연출판(54)과 하부 후면 연출판(56)과 하부 측판들(58)에 의해서 카(15)의 하부측에 정체되어 압력이 상승된 공기가, 카(15)의 하부 후면 연출판(56)과 하부 측판들(58)의 하부 절취부(60)의 경사진 측판들(58)의 하부 절취부(60)의 경사진 하단부(62)에 공급되어 외부 순환함으로써, 상기 하단부(62)를 따라서 종방향 와류를 발생한다. 상기 종방향 와류에 의하여, 상기 하부 측판들(58)과 측벽들(21)에 의하여 상방향 증속류가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하부 연출판(54)과 승강구 정면벽(19)의 정면측에는 증속류가 발행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절취부(60)의 꼭지점이 100°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돼 있으므로, 그 단부(피일링 와류 발생영역)에서 발생된 종방향 와류들의영향을 상기 꼭지점 근방에 집중시킬 수 있고, 상기 피일류의 재취착영역을 상기 하부 절취부(60) 근방에 집중시킬 수 있다.
승강운전의 경우에는, 그 방향이 상기의 하강운전의 경우와 다르나, 상방을 뻗은, 상부 연출판(53)과 상부 하부 연출판(55) 및 상부 측판들(57)에 의하여 상기 카(15)의 상측에 정체되어 압렵이 상승된 공기가 상기와 유사하게 상기 상부 측판(57)의상부 절취부(59)의 경사진 상단부(61)에 공급되어 외부 순환됨으로써 상단부(61)를 따라 종방향 와류를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 연출판(53)과 승강구 정면벽(19)의 정면측에 가속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 절취부(59)의 꼭지점이 100°보다 작은 각도로 설정돼 있으므로, 그 단부에서 발생돼 종방향 와류의 간섭영역(피일링 와류 발생영역)을 상기 꼭지점의 근방에 집중될 수 있고, 상기 절취부(59)의 근방에 상기 피일링류의 재취착영역을 또한 집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 8 실시예에서도, 상기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들과 동일이상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정풍판인 상부 연출판(53)과 상부 측판들(57)이 상기 카(15)의 상부에 설치돼 있으므로, 카(15)가 가속 되어도 카(15)내의 정면레벨을 낮은 값으로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상승시의 카(15) 주위에 발생된 공기기류의 무질서와, 특히 승강구 정면벽(19)에서의 기류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절취부(59)와 하부 절취부(60)가 설치돼 있고, 이들 절취부(59,60) 근방에 피일류 재취착영역이 집중되므로, 피일링류에 의한 공기역학적 잡음원이, 잡음 차폐주조내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잡음원은, 상기 승강구(18)로부터 더욱 깊숙한 위치에 특정될 수 있으므로 카(15)내의 잡음레벨은, 고속운전의 경우에도, 종래 엘리베이터의 레벨보다 더 낮은 레벨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상, 하부 후면 연출판(55,56)이 상기 후면측에 설치돼 있으므로, 상기 승강 덕트와 카(15)의 후면측 사이의 간격이 좁거나, 또는 상기 후면측에도 승강구가 설치돼 있으며, 고속 승강시 공기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공기 역학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9]
다음은, 제 10 도의 개략사시도에 제 9 실시예가 도시돼 있다. 제 10도에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상부 연출판(63)과 하부 연출판(64)이, 승강구 정면벽(19)을 향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뻗어 각각 설치된 박판들로 구성돼 있고, 상, 하부 단부들이 원호형으로 형성돼 잇다는 점이다. 또한, 상부 정풍커버(65)와 하부 정풍커버(66)가 각각 도움(dome)형성으로 형성돼 있고, 평활한 곡면을 갖고 있고 그 정면측과 승강 방향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카(15)의 양측벽(21,21)은 승강방향의 표면측의 개구부에 의해서 상기 후면벽(22)에 원활하게 접속되어, 상기 승강방향의 표면의 개구부들이, 상기 상부 연출판(63)과 하부 연출판(64)의 원호형 단부들과 결합되도록 설치돼 있다. 카(15)의 상, 하부는 상기 상, 하부 연출판(63,64)과 상, 하부 정풍커버(65,66)의 일체 구조체로 유선형으로 커버돼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9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선형상의 하부 정풍판(66)이 설치되어 카(15)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뻗은 하부 연출판(64)과 결합되므로, 카가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속운전되어 하강되면, 카(15)의 하부에 공기가 정체되지 않아서, 대규모 피일링이 발생되지 않고, 상방으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그러므로, 국소적 증속류가 발생되지 안고 상기 측벽(21)과 후면벽(22) 근방의 피일링류를 억제할 수 있다. 상승하는 경우, 유선형상의 상기 상부 정풍커버(664)가 카(15)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뻗은 상부 연출판(63)과 결합되도록 설치돼 있으므로, 국소적 증속류가 제거되고, 상기 측벽들(21)과 후면벽(22)의 근방의 피일링류를 상기와 유사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9 실시예에서도, 상기 설명한 각각의 실시예들과 동일 이상의 작용 및 효과가 상기 증속류에 대하여, 얻어진다. 피일링류를 억제하여 공기역학적 잡음을 감소시킬수 있고, 카의 속도가 가속되더라도 카(15)내의 잡음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10]
다음은, 제 11 도의 개략사시도에 제 10 실시예가 도시돼 있다. 제 11 도에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상부 연출판(67)과 하부 연출판(68)이, 승강구 정면벽(19)에 대해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뻗어 설치된 반타원형 박판으로 구성된 점이다. 또한, 상부 정풍판(69)과 하부 정풍판은 각각 사다리골 타원형상으로 형성돼 있다. 상기 상, 하부 연출판(67,68)과 동일한 형앙의 상부 후면판(71)과 하부 후면판(72)이 둥근 단부들에 설치돼 있고, 상기 양 후면판(71,72)으 단부들을 따라서 원호형으로 굽은 상부판(73)과 하부판(74)이 변부에 설치돼 있다.
다른 둥근 단부의 정면측과 승강방향의 사다리꼴형 표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돼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정풍커버(69,70)는, 상기 승강방향의 개구부에서, 카(15)의 양측벽(21,21)과 후면벽(22)에 원활하게 접속되어, 상기 정면측의 개구부와 상기 상, 하부 연출판(67,68)의 단부들을 결합시키도로 설치돼 있다. 카(15)의 상, 하부는, 상기 상, 하부 정풍판(69,70)에 의해 커버되어 유선일체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 10 실시예에서는 제 9 실시예와 유사하게 고속 승강하는 경우에 증속류와 이일링유에 대해서, 상기 제 9 실시예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상, 하부 후면판들(71,72)이 상기 승강구벽(19)의 상, 하부 연출판(67,68)과 유사하게 상기 후면측에 설치돼 있으므로, 상기 승강 덕트와 카(15)의 후면측간의 간격이 좁거나. 또는 상기 승강구가 상기 후면측에 설치돼 있으므로, 상기 승강 덕트와 카(15)의 후면측간의 간격이 좁거나, 또는 상기 승강구가 상기 후면측에 설치되면, 고속 승강시의 공기의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공기역학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제 11b 도에 도시된 실제치수의 형상으로 된 모델을 사용한 오일류 패텀 모사실험의 결고, 카 주위에 발생된 (공기)리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결과와 비견된다. 즉 제 3 실시예의 경우, 제 12 a ∼ 12 c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기류가 발생되며, 종래예를 나타내는 제 12a 도의 모사실험 결과 (제 14 a ∼14 c 도에 나타냄)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의 “(공기)기류의 무질서”(즉, 와류)가 특히 카의 표면상에서 거의 완전히 제거된다. 종래 엘리베이터에서 현저히 발생된 증속류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들의 카의 형상이, 본 발명의 효과를 최대로 하는 것임이 입증되었고, 상기와 같은 모사실험에 의하여 우수한 잡음 감소 효율이 입증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와 상기 설명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와 그의 균등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총괄적 발명 개념의 요지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아.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카의 승강구 정면벽을 따라 발생된 증속류를 억제하여, 고속 승강시 발생되는 공기 역학적 잡음으로 인한 잡음을 감소시켜서,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고층빌딩에서 카의 승강속도를 가속시키는 증속류 억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기타의이점 및 변형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특정의 세부내용, 대표적 장치 및 설명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청구범위와 그의 균등범위에서 한정된 총괄적 발명 개념의 요지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2)

  1. 승객과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 정면벽,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양 측면들으 구성하는 측벽들, 상기 승강구 정면벽에 대향한 후면벽 및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승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된 연출판을 구비한 승강차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는 상기 승강차의 승강시에 상기 승강구 정면벽을 따라 발생되는 증속류를 억제키 위해 상기 연출판과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후면벽의 승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는 후면 연출판과, 상기 측면벽들의 승강방향을 뻗어서 설치되며 상기 승강방향으로 절취되어 형성되는 V형상 절취부와 함께 형성되는 측판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승객과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 정면벽, 상기승강구 정면벽의 양 측면들을 구성하는 측벽들, 상기 승가구 정면벽에 대향한 후면벽을 포함하는 슬강차,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승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승강차에 설치되며,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의 정면단부까지 평평하게 형성되는 연출판 및, 승강시에 상기 승강구 정면벽을 따라 발생되는 증속류를 어제하기 위해 상기 승강차와함께 일체로 설치되는 증속류 억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증속류 억제수단은 상기 연출판과 승강차 양자에 설치되는 측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판과 연출판간의 설치부가 상기 연출판의 정면단부와 동일한 위치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연출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판의 상기 다른 측면의 정면단부가 승강방향으로 U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판과 동일한 다른 연출판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2 연출판들 각각은 제각기 상기 승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또한 상기증속류 억제수단은 상기 각각의 연출판들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승객과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 정면벽,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양 측면들을 구성하는 측벽들, 상기 승강구 정면벽에 대향한 후면벽을 포함하는 승강차,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적어도 하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승강차에 설치된 하부 연출판 및 승강시 상기 하부 연출판의 후면벽의 측면들과 상기 승강구의 정면벽의 측면들간의 압력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압력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하부 인출판내에 형성된통공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출판은 인접한 것들 사이에 공간을 갖는 복수의 로드형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출판은 인접한 것들 사이에 공간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로드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로드형 부재들 간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출판은 격자상태로 구성되며,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격자형태의 복수의 매쉬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개구비는 상기 승강차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의 개구비는 승강차의 측단부측을 향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의 개구비는 측단부측을 향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의 개구비는 측단부측을 향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출판은 상기 승강차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6. 승객과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 정면벽,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양 측면들을 구성하는 측벽들, 상기 승강구 정면벽에 대향한 후면벽을 포함하는 승강차,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승강방향으로 뻗어서 설치되며 일측면이 상기 승강차에 설치되며 다른 측면의 정면단부가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승강방향으로 U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일측면으로부터다른 측면의정면단부까지 평평하게 형성되는 연출판 및 승강시에 상기 승강구 정면벽을 따라 발생되는 증속류를 억제하기 위해 상기 승강차와 함께 일체로 설치되는 증속류 억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증속류 억제수단은 상기 측벽들과 상기 연출판의 다른 측면의 단부에 일체로 접속되며 상기 연출판의 다른 측면의 정면단부와 동일한 위치까지 적어도 하강방향으로 뻗는 정면단부를 갖는 정풍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정풍커버는 승강방향으로 유선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판과 동일한 다른 연출판이 구비되며, 각각의 연출판들은 제각기 상기 승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증속류 억제수단은 상기 각각의 연출판들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판은 상기 정풍커버와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풍커버는 상기 연출판을 따라 상기 연출판의 다른 측면의 정면단부와 측벽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풍커버는 상기 승강구 정면벽으로부터 상기 후면벽까지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1. 승객과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구 정면벽,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양 측면들을 구성하는 측벽들, 상기 승강구 정면벽에 대향한 후면벽, 승강방향에서 바닥을 형성하는 하부벽 및 상기 하부벽에 대향하는 상부벽을 포함하는 승강차 및 상기 하부벽을 커버하도록 구비된 유선형상을 갖는하부정풍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측면상의 상기 하부정풍커버의 일부가 하강시 상기 승강구 정면벽으로의 증속류를 억제하기 위해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정풍커버의 일부가 하강방향으로는 U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벽들과 상기 후면벽의 측면상의 상기 하부정풍커버의 일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구의 정면단부와 동일 위치까지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상부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정풍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측명상의 상기 상부정풍커버의 일부가 하강시 상기 승강구 정면벽으로의 능속류를 억제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정풍커버의 일부가 상승시 U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벽돌과 상기 후면벽이 축면상의 상기 상부정풍커버의 일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승강구 정면벽의 정면단부와 동일한 위치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920003679A 1991-03-06 1992-03-06 엘리베이터 장치 KR960004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65449 1991-03-06
JP6544991 1991-03-06
JP91-205733 1991-08-16
JP03205733A JP3100685B2 (ja) 1991-03-06 1991-08-16 エレベ−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930A KR920017930A (ko) 1992-10-21
KR960004176B1 true KR960004176B1 (ko) 1996-03-27

Family

ID=2640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679A KR960004176B1 (ko) 1991-03-06 1992-03-0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20979A (ko)
JP (1) JP3100685B2 (ko)
KR (1) KR960004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48858A1 (en) * 1993-07-30 1998-05-18 Hitachi Ltd A elevator car and an elevator system incorporation such an elevator car
US5655628A (en) * 1995-06-28 1997-08-12 Lin; Wen-Tsung Elevator safety structure
SG76644A1 (en) * 1999-02-17 2000-11-21 Inventio Ag Flexible elevator car dome to reduce noises from airflow
JP2001240346A (ja) * 2000-03-02 2001-09-04 Toshiba Fa Syst Eng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4671499B2 (ja) * 2000-12-25 2011-04-20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855604B2 (ja) * 2001-08-06 2012-01-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DE502006007252D1 (de) * 2005-05-25 2010-08-05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richtung zur Geräuschminderung
US20100012437A1 (en) * 2008-07-15 2010-01-21 Smith Rory S Aerodynamic Controls for High Speed Elevators
JP4784950B2 (ja) * 2008-11-07 2011-10-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8013802B2 (en) * 2008-12-01 2011-09-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Portable radar fairing
JP4607219B2 (ja) * 2008-12-26 2011-01-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748615B2 (ja) * 2008-12-26 2011-08-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344431B2 (ja) * 2009-05-18 2013-1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A015979B1 (ru) * 2009-12-03 2012-01-3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елгорхимпром" (Оао "Белгорхимпром") Способ оборудования вертикальных шахтных стволов подъемными сосудами
JP5080634B2 (ja) * 2010-12-17 2012-11-21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WO2013190616A1 (ja) * 2012-06-18 2013-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762435B1 (en) * 2013-02-04 2015-07-15 Kone Corporation Elevator
JP6397732B2 (ja) * 2014-11-13 2018-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EP3031765A1 (en) * 2014-12-11 2016-06-15 Kone Corporation Elevator car
EP3031766A1 (en) * 2014-12-11 2016-06-15 KONE Corporation Elevator car
JP6325989B2 (ja) * 2015-01-22 2018-05-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組立方法
US10246300B2 (en) * 2015-06-30 2019-04-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virtual aerodynamic shroud
CN107032210B (zh) * 2015-07-13 2020-12-0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系统消声组件和方法
JP6491082B2 (ja) * 2015-12-09 2019-03-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16113591A (zh) * 2020-07-09 2023-05-12 布利塞拉公司 观光真空电梯的井道力学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571A (ko) * 1973-05-30 1975-01-31
JPS5095751A (ko) * 1973-12-26 1975-07-30
US3945468A (en) * 1974-12-11 1976-03-23 Hitachi, Ltd. Sound preventive device for use in elevator
JPS5837235B2 (ja) * 1976-02-10 1983-08-15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
US4306996A (en) * 1980-05-05 1981-12-22 Calgon Corporation Electro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EP0040173B1 (de) * 1980-05-07 1983-07-27 Ciba-Geigy Ag Disazopigmen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5080201A (en) * 1990-04-02 1992-01-14 Otis Elevator Company Diversion of airflow around an elevator counterw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20979A (en) 1993-06-22
JP3100685B2 (ja) 2000-10-16
KR920017930A (ko) 1992-10-21
JPH04333486A (ja) 199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17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865894B2 (ja) エレベータカウンタウェイト装置
EP0447609B1 (en) Reduction of noise and vibration in an elevator car by selectively reducing air turbulence
JPH0632937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339451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CN106853940A (zh) 电梯装置
CN107337055B (zh) 电梯装置
JP2016056004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1937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3074067B2 (ja) エレベータの整風装置
JP2008162788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2006124142A (ja) エレベータの騒音抑制装置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CN112061935A (zh) 一种高速电梯轿厢前侧导流降噪装置
CN112218814B (zh) 电梯
JP2896260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JP4855604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6397732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8110380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7439992B2 (ja) エレベーター
JP7452767B2 (ja) エレベーター
JPS5837235B2 (ja) エレベ−タ
JP4060055B2 (ja) エレベータの整風装置
CN212639639U (zh) 一种高速电梯轿厢前侧导流降噪装置
JP7231072B1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敷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