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815B1 -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815B1
KR960003815B1 KR1019890007960A KR890007960A KR960003815B1 KR 960003815 B1 KR960003815 B1 KR 960003815B1 KR 1019890007960 A KR1019890007960 A KR 1019890007960A KR 890007960 A KR890007960 A KR 890007960A KR 960003815 B1 KR960003815 B1 KR 96000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lymer
polymer dispersion
nonionic surfactant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808A (ko
Inventor
가쓰토시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리쓰유우키고오교오 겡큐쇼
후지무라 킨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리쓰유우키고오교오 겡큐쇼, 후지무라 킨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고오리쓰유우키고오교오 겡큐쇼
Publication of KR90000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50Aqueous dispersion, e.g. containing polymers wit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above 20°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
본 발명은 아크릴산 및/또는 아크릴아미드를 주체로 하는 수용성 중합체의 미립자를 염수용액중에 분산시켜 장기간에 걸쳐 유동성을 보지토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중합체-분산액중에 분산액당 0.05-1중량%의 비온성 계면활성제와 2-10중량%의 유성액체를 혼합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중합체 미립자를 분산시킨 염수용액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는 이온가가 1인 양이온염의 수용액으로 수용액중의 염농도는 1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얻어진 아크릴계수용성 중합체분산액의 용도는 고분자응집제, 증점제, 지력증강제등이 있다.
본 발명은 고분자응집제, 증점제, 지력증강제등에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의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을 장기간에 걸쳐 보지하는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수용성 아크릴계 중합체는 수용액이나 건조분말로 시판되고 있으나, 수용액인 경우에는 점성이 있고 분말인 경우에는 유체가 아니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키 위해 수용성아크릴계 중합체의 미립자를 오일 또는 염수용액중에 분산시켜 지점성을 갖는 액체로 하는 방법등이 제안된바 있다.
예를들어, 일특공소 52-39417호는 수용성 부가중합체 20-50중량% 및 물 35-55중량%로 구성된 수용상 75-85중량%와, 소수성액체 5-24.9중량% 및 유중수적형유화제 0.1-15중량%로 구성된 수중유적형 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고, 일특공소 46-14907호는 아크릴산과 또는 아크릴산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를 pH1-4인 용액중에서 중합체를 생성시키기에 충분한 무기염의 존재하에서 생성되는 중합체를 현탁하는 속도로 혼합시켜 중합을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일특공개소 61-123610호는 하기식(I)의 양이온성 단량체를, 또는 이것과 공중합성이 있는 단량체를 염수용액중에서, 이 염수용액에 용해 가능한 고분자의 공존하에 공중합을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었다.
Figure kpo00001
(여기에서, R1은 H 또는 CH2: R2,R3는 탄소수 1-3인 알킬기 ; A는 산소원자 또는 NH ; B는 탄소수 2-4인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 푸로필렌기 ; X-는 음이온성 대이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일특공개소 62-15215호는 상기식(I)의 양이온성 단량체를, 또는 이것과 공중합성이 있는 단량체를 얻어지는 중합생성물을 용해시키지 않는 염수용액중에 분산시킴에 있어서 그 염수용액에 용해가능한 고분자를 분산제로 첨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일특공개소 62-20502호는 염수용액중에서 교반하에 중합체를 생성시키면서 아크릴계 수용성 단량체를 중합함에 있어서 다가알코올류를 공존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일특공소 52-39417호와 같은 유중수적형 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순도의 유기용매를 분산제로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러한 고순도의 유기용매를 사용하므로 인해 가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고, 일특공소 46-14907호에서의 염수용액중에 중합체를 분산시킨액은 입자상호간의 부착이 용이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좋은 조건하에서도 1주일정도(통상적으로는 수시간)방치 시키면 유동성이 없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일특공개소 61-123610호, 62-15251호 및 62-20502호 등의 방법은 주로 양이온계 고분자에 적용시킨 방법등으로 상기 각 방법은 비이온 또는 음이온성 아크릴계 고분자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방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크릴산 및/또는 아크릴아미드를 주체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의 미립자를 염수용액중에서 장기간에 걸쳐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분자응집제, 증점제, 지력증강제등의 용도에 적합한 아크릴계 수용성 고분자를 취급이 용이한 분산액으로 하는 방법을 간단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아크릴 0-100중량%, 아크릴아미드 0-90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20중량% 및 기타의 단량체 0-15중량%로 구성된 조성의 단량체를 무기염 수용액중에서 교반하여 중합하고, 상기 중합체가 미립자 상태로 생성된 분산액에 대하여 0.05-1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유성액체 2-10중량%를 혼합첨가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약의 유동성을 보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로는 아크릴산 단도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산·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니트릴 삼원공중합체등이나 중합 및 수용성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전기한 아크릴계 중합체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을 포함할 수 없다. 예를들어,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아크릴로니트릴,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사원공중합체 등도 실시가 가능하다. 이들 단량체의 조성비는 아크릴산 0-100중량%, 아크릴산아미드 0-90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20중량%, 기타 단량체 0-15중량%의 범위로 하되 염수용액중에서 중합체가 미립자상으로 생성되는 범위내에서 임의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크릴산은 해리되어 이온으로 되면 중합체의 수용성을 증가시켜 염수용액중에서의 생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대부분 해리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 필요로 되나, 중합체가 생성되는 범위라면 일부를 이온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중합체분산액의 제조는 전기 일특공소 46-14907호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무기염으로는 암모늄염, 알칼리금속염등의 1가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무기염이 있고, 특히 황산나트륨, 황산암모늄등의 황산염이 중합체를 생성시키는 능력이 높아 유리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염화물이 다음으로 바람직한 무기염이다. 이들의 염은 농도 15%이상 수용액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에 사용되는 유성액체로는 동물유, 식물유, 광물류등 어느것이라도 사용가능하며 지방산 에스테르, 액상탄화수소, 치환된 액상탄화수소, 에테르등의 각종 소수성유기액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가격을 고려한다면 등유, 증유, 유동파라핀과 같은 석유류가 저렴하고 실용적이다.
이러한 유성액체의 첨가량은 소량일 경우에는 효과가 불충분하고 다량사용할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분산액에 대하여 2-10중량%, 바람직하게는 3-6중량%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에 사용하는 계면활성제로는 상술한 유성액체에 용해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이용되나, 친수성,친유성 밸런스 즉 HLB의 값이 8-12인 것이 특히 유효하며 HLB의 값이 20이항니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복수 혼합하여 HLB의 값이 상기 HLB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조절해서 사용하는 것도 물론 좋다. 이러한 비이온성계면활성제는 분산액에 대하여 0.05-1중량%, 바람직하게는 0.1-0.3중량%를 전술한 유성액체에 용해하고 분산액에 첨가, 혼합한다.
한편, 비이온성계면활성제를 용해한 유성액체는 중합도중에 첨가하여도 효과가 있으나, 중합반응에의 악영향을 피하고 고분자량의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중합반응이 거의 완료된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에 있어서의 유성액체와 비이온성계면활성제의 역할은 염수용액중에 분산되어 있는 아크릴계 중합체 미립자의 표면을 피복함에 의해 입자 상호간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유성액체를 입자표면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유성액체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자의 첨가는 중합완료후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합체 생성시에 공존시킬 필요는 없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환류냉각기, 질소도입관을 구비한 500ml 용량의 5구 분리형 플라스크에 황사나트륨 58g, 아크릴아미드 42.16g, 아크릴산 18.6g, 탈이온수 280g을 사입한 다음, 35℃로 가온하고 질소치환 하였다.
중합체개시제로는 과황산암모늄의 1%수용액 0.3ml, 아황산수소나트륨의 1%수용액 0.31ml 및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염산염의 1% 수용액 0.62ml를 첨가하여 중합을 개시하였다. 중합개시후, 아크릴로니트릴 1.24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서 35℃의 온도로 24시간 중합을 계속하여 염수용액중에 분산된 미립자의 중합체를 얻었다. 이것을 등유 20g과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HLB 10.0) 0.8g을 미리혼합하여 균일하게 한 용액에 첨가하고 교반한 결과, 입자의 표면이 유상으로 피복된 유동성 있는 중합체 분산액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제품의 점도는 25℃에서 3500cp이고 중합체 0.5%의 수용액의 pH를 중성으로 한 후의 1N 식염수중에서의 점도는 256cp였으며, 이 중합체분산액을 1개월 정치한 결과, 유동성이 저하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상분리도 발생되지 않았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반응을 행하여 중합체분산액을 제조하고 중합체분산액에 등유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정치시켰다. 중합체분산액을 2시간후에 관찰한 결과, 유동성이 상실되었다.
또한, 등유 또는 계면활성제만을 단독으로 첨가하여 중합체분산액을 제조한 경우에도 얻어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은 없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분리형 플라스크에 황산나트륨 68g, 아크릴아미드 51g, 탈이온수 272g을 사입하고 35℃로 가온하여 질소치환하였다. 45분후 아크릴로니트릴 9g을 사입하고 중합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의 1% 수용액 0.3ml, 아황산수소나트륨의 1% 수용액 0.3ml, 2,2'-아소비스(2-아미디노프로판)염산염의 1% 수용액 0.6ml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35℃에서 24시간 중합하여 염수용액중에 분산된 미립자의 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서 이소파라핀(상품명 Isopar M : Esso chemicals 제조) 24g과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HLB 11.0)1.2g을 미리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한 결과, 입자의 표면이 유상으로 피복된 유동성이 있는 중합체분산액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제품의 점도는 25℃에서 4300cp이고 중합체 0.5%의 1N 식염수중에서의 점도는 120cp였으며, 이 중합체분산액을 1개월후에 관찰한 결과, 유동성이 양호하였음은 물론, 상분리도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반응을 행하고 여기에 이소파라핀 24g과 소듐알킬벤젠설포네이트 1.2g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얻어진 분산액은 2시간후에 유동성이 상실되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플라스크에 황산나트륨 64g, 아크릴아미드 51g, 아크릴산 3g, 아크릴로니트릴 3g,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3g을 사입한후 35℃로 가열하고 질소치환하였다
중합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의 1% 수용액 0.3ml, 아황산수소나트륨의 1% 수용액 0.3ml, 2,2'-아조비스(2-아미노프로판)염산염의 1% 수용액 0.6ml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35℃에서 24시간 중합을 행하여 염수수용액중에 분산된 미립자의 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에 등유 20g과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중량% 10.0g)1g을 미리 혼합하여 균일하게한 용액을 첨사하여 교반하므로써 입자의 표면이 유상으로 피복된 유동성이 있는 중합체분산액을 얻었다.
이 제품의 점도는 4200cp였으며 중합체 0.5% 수용액의 pH를 중성으로 한 후의 1N 식염수중에서의 점도는 175cp이었다. 또한, 이 중합체분산액은 1개월후에도 유동성이 양호하였으며 상분리도 발생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중합반응을 행하여 중합체분산액을 생성시킨 다음, 전술한 등유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은 상태로 얻어진 중합체분산액은 방치 2시간후에 유동성이 없어졌음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분리형 플라스크에 염화나트륨 64g, 아크릴산 48g, 탈이온수 286g을 사입한후, 분산제로서 분자량 2000인 폴리아크릴산의 65% 수용액 2g을 사입하고 35℃로 가열한후 질소치환하였다.
중합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의 1% 수용액 0.24ml, 아황산수소나트륨의 1% 수용액 0.24ml,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염산염의 1% 수용액 0.48ml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35℃에서 24시간 중합을 행하여 염수용액중에 분산된 미립자의 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에 등유 20g과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HLB 10.0) 1g을 미리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므로써 입자의 표면이 유상으로 피복된 유동성이 있는 중합체분산액을 얻었다. 이 제품의 점도는 25℃에서 2800cp이었으며, 중합체 0.5%의 수용액의 pH를 중성으로 한후의 1N 식염수에서의 점도는 105cp이었다. 또한, 이 중합체분산액을 1개월간 정치한 결과, 유동성이 저하되지 않았음은 물론, 상분리도 발생하지 않았음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4]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반응을 행하여 중합체분산액을 생성시켰다. 전술한 등유와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고 얻어진 중합체분산액을 정치 2시간후에 유동성이 없어졌음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분리형 플라스크에 황산나트륨 55g, 아크릴아미드 71.4g, 아크릴산 4.2g 및 탈이온수 261g을 사입하여 32℃로 가온하고 질소치환하였다. 45분후에 아크릴로니트릴 8.4g을 사입한 다음, 중합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의 1% 수용액 0.25ml, 아황산수소나트륨의 1% 수용액 0.25ml,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염산염의 1% 수용액 0.42ml를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32℃에서 24시간 중합반응을 행하여 염수용액중에 분산된 미립자의 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에 등유 16g과 하이퍼머 B-246(ICI사 제품, HLB 5-6인 고분자 계면활성제)0.2g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HLB 11.0)0.6g을 미리 혼합하여 균일하게 한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한 결과, 입자의 표면이 유상으로 피복되어 유동성을 갖는 중합체분산액이 얻어졌다. 이 제품의 점도는 25℃에서 4800cp이었으며, 중합체 0.5%의 수용액의 pH를 중성으로 한후의 1N 식염수중에서의 점도는 175cp이었다. 또한, 이 중합체분산액을 1개월간 방치한 결과, 유동성이 저하되지도 않았으며 상분리도 발생되지 않았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합반응을 행하여 중합체분산액을 생성하고 얻어진 중합체분산액을 등유와 계면활성제의 첨가없이 정치시킨 결과, 30분후에 유동성이 없어졌음이 관찰되었다.

Claims (6)

  1. 아크릴산 0-100중량%, 아크릴아미드 0-90중량%, 아크릴로니트릴 0-20중량% 및 기타의 단량제 0-15중량%로 구성된 조성의 단량체를 무기염수용액중에서 교반하여 중합하고, 이 중합체를 미립자 상태로 생성시키는 분산액에 대하여 0.05-1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2-10중량%의 유성액체를 혼합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염수용액은 염화나트륨, 황산암모늄, 황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염을 수용액에 대하여 15중량%이상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값은 8-12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트리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유성액체는 등유, 증유, 유동파라핀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유성액체의 첨가시기는 중합반응 완료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007960A 1988-12-12 1989-06-09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 KR960003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12003A JPH0751652B2 (ja) 1988-12-12 1988-12-12 アクリル系重合体分散液の流動性保持方法
JP63-312003 1988-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808A KR900009808A (ko) 1990-07-05
KR960003815B1 true KR960003815B1 (ko) 1996-03-22

Family

ID=1802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960A KR960003815B1 (ko) 1988-12-12 1989-06-09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45587A (ko)
JP (1) JPH0751652B2 (ko)
KR (1) KR960003815B1 (ko)
CA (1) CA1338094C (ko)
ES (1) ES2013685A6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504A (ja) * 1991-07-12 1994-02-15 Saiden Kagaku Kk アルカリ可溶型粘着剤組成物
DE4316200A1 (de) * 1993-05-14 1994-11-17 Roe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niedrigviskoser, wasserlöslicher Polymerdispersionen
US5332506A (en) * 1993-12-13 1994-07-26 Nalco Chemical Company Water clarification
US5530043A (en) * 1994-05-25 1996-06-25 Ppg Industries, Inc. Low volatile organic content pigment grind composition
US5492614A (en) * 1994-05-25 1996-02-20 Ppg Industries, Inc. Method of electrodeposition using an electro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low volatile organic content pigment grind composition
GB9422093D0 (en) * 1994-11-02 1994-12-21 Zeneca Ltd Rheology modifier for solvent-based coatings
US5614602A (en) * 1996-07-09 1997-03-25 Betzdearborn Inc.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queous dispersion polymers
US6664326B1 (en) 1996-10-03 2003-12-16 Cytec Technology Corp. Aqueous dispersions
US5843320A (en) * 1996-10-03 1998-12-01 Cytec Technology Corp. Aqueous dispersions
US5919854A (en) * 1996-10-03 1999-07-06 Cytec Technology Corp. Process for preparing aqueous dispersions
US5696228A (en) * 1996-10-03 1997-12-09 Cytec Technology Corp. Process for producing substantially dry polymer particles from aqueous dispersions
US5792366A (en) * 1996-10-03 1998-08-11 Cytec Technology Corp. Aqueous dispersions
US6608124B1 (en) 1996-10-03 2003-08-19 Cytec Technology Corp. Aqueous dispersions
US6702946B1 (en) 1996-10-03 2004-03-09 Cytec Technology Corp. Aqueous dispersions
US6020422A (en) * 1996-11-15 2000-02-01 Betzdearborn Inc. Aqueous dispersion polymers
US6262168B1 (en) 1998-03-11 2001-07-17 Cytec Technology Corp. Aqueous dispersions
ES2185086T3 (es) * 1998-04-22 2003-04-16 Hymo Corp Agente de refuerzo para papel y procedimiento de refuerzo de papel.
DE10111115A1 (de) * 2001-03-08 2002-10-02 Technocell Dekor Gmbh & Co Kg Rohpapier mit verbesserter Bedruckbarkeit
CN1795307B (zh) * 2003-04-07 2010-09-08 国际纸业公司 用于液体电子照相印刷的纸张及其制备方法
JP4580156B2 (ja) * 2003-08-11 2010-11-10 株式会社日本触媒 分散体
JP2005239769A (ja) * 2004-02-24 2005-09-08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系重合体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ラスチゾル組成物
US9296244B2 (en) * 2008-09-26 2016-03-2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Composition suitable for multifunctional printing and recording sheet containing same
CN106400497B (zh) * 2016-10-19 2018-07-03 南京邮电大学 一种抑制经纱上浆吸湿再粘的方法
CN106589406B (zh) * 2016-12-15 2018-08-28 济南大学 一种以聚合物微球为稳定剂制备石蜡分散液和石蜡微球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520A (en) * 1975-08-15 1976-08-03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Apparatus for handling business forms
DE3327600A1 (de) * 1983-07-30 1985-02-14 Sandoz-Patent-GmbH, 7850 Lörrach Copolymerisat- und tensidhaltige praepar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S61123610A (ja) * 1984-11-19 1986-06-11 Kyoritsu Yuki Kogyo Kenkyusho:Kk カチオン性水溶性重合体の製造方法
JPS6220502A (ja) * 1985-07-18 1987-01-29 Kyoritsu Yuki Kogyo Kenkyusho:Kk 水溶性重合体分散液の製法
JPS6215251A (ja) * 1985-07-15 1987-01-23 Kyoritsu Yuki Kogyo Kenkyusho:Kk カチオン性水溶性重合体の分散液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13685A6 (es) 1990-05-16
CA1338094C (en) 1996-02-27
US5045587A (en) 1991-09-03
KR900009808A (ko) 1990-07-05
JPH0751652B2 (ja) 1995-06-05
JPH02158605A (ja) 199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815B1 (ko) 아크릴계 중합체분산액의 유동성 보지방법
US4975482A (en) Viscoelastic fluid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polymerizable vesicles and alkyl-containing polymers (C-2381)
CA112494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mer emulsion having excellent fluidity
EP0107226B1 (en) Water-in-oil emulsions of water-soluble cationic polymers and a process for preparing such emulsions
CN100558648C (zh) 聚丙烯酰胺絮凝剂的反相乳液合成方法
MX2014009580A (es) Emulsiones de polimero de agua-en-aceite de inversion rapida.
CA1302616C (en) High solids w/o inverse emulsions of polyacrylics
US6414080B1 (en) Inverse emulsion polymer and production thereof
CN1027641C (zh) 一种油包水乳状液的制备方法
US11773199B2 (en) Auto-invertible inverse polymer emulsion
US5021526A (en) Anionic polymeric stabilizers for oil-in-water emulsions
JPH0339119B2 (ko)
CN101845105A (zh) 聚丙烯酰胺的反相乳液合成方法
KR0184519B1 (ko) 양이온 중합체의 유중수 유제
JP2704579B2 (ja) 水溶性重合体含有液状組成物
JP5088770B2 (ja) 抄紙用薬剤
CA1041242A (en) Water-in-oil polymer dispersions with polymeric emulsifier
JPH02229815A (ja) ジメチルアクリルアミド官能基を含む疎水的に会合するポリマー
US4125508A (en) Method of making a flocculant composition
US4857621A (en) Cationic polymeric stabilizers for oil-in-water emulsions
CN1061033A (zh) 酸化地层用的胶凝酸
DE2840894C2 (ko)
JPH0578420A (ja) 貯蔵安定性の優れたw/o型エマルジヨンポリマーの製造方法
KR960007220B1 (ko) 유중수형 수용성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방법
US2022014499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stable inverse polymer emulsion and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