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3697B1 -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3697B1
KR960003697B1 KR1019900701526A KR900701526A KR960003697B1 KR 960003697 B1 KR960003697 B1 KR 960003697B1 KR 1019900701526 A KR1019900701526 A KR 1019900701526A KR 900701526 A KR900701526 A KR 900701526A KR 960003697 B1 KR960003697 B1 KR 960003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uel injection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221A (ko
Inventor
호프만 카를
쥬커 롤란트
카친스키 베른하르트
쇠델 우르줄라
크나우어 알프레트
레씽 울리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랄프 베렌스,카를 카스리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랄프 베렌스,카를 카스리히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0070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3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F02M65/005Measuring or detecting injection-valve lift, e.g. to determine injection 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00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 F02B3/06Engines characterised by air compression and subsequent fuel addition with compression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와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대해 확대된 도면으로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분사 노즐의 니이들 이동 센서를 통과하는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분사 노즐의 코일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4도는 코일 형태의 상부 단면도이며,
제5도는 제3도에 대해 90° 회전시킨 사시도, 특히 단면도인 코일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7도는 종단면도인 제1도에 따라 분사 노즐의 와이어 가이드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A)방향에서 본 와이어 가이드체의 단면도이며,
제9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통과하는 종단면도이고,
제10도는 제9도 “X”의 확대 상세도이며,
제11도는 제9도의 XI-X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제12도는 제11도의 XII-X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의 상태]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분사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DE-A 3, 515,264)로 공지된 분사 노즐에 있어서, 폐쇄 스프링(closing spring)을 수용하는 노즐 홀더 챔버는 자기 아마추어(magnet armature)와, 유도 코일(induction coil)내의 코일 코어와, 와이어 가이드체 및, 니이들 이동센서(needle-movement)용 설치 채널을 통해서 안내되는 오일 누설 결합부(leakage-oil connection)에 채널을 경유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변형에 대해, 유도 코일의 코일 권선(coil winding)은 오일 누설도관으로부터 밀봉되지 않고, 더우기 코일 권선은 연료 혼합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다. 더우기, 폐쇄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진 측면상에 있는 코일 코어는 결합 와이어를 갖는 코일 권선의 결합점 너머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단락체(short-circuit body)는 측방향에서 결합점을 지나 흡수된다. 이러한 것은 비교적 많은 공간이 축 방향과 반경방향에 필요하고, 노즐 홀더상에서 비교적 좁은 환형면이 코일 코어의 고정 플랜지와 단락체를 경유하여 폐쇄 스프링을 지지하기에 용이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변형에 있어서, 오일 누설도관으로부터 코일 권선을 밀봉하는 경향이 있다면, 더 많은 공간은 니이들 이동 센서용 분사 노즐의 측방향에서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장점은 공지된 장치보다 분사 노즐의 축방향으로 더 많은 공간을 요하지 않고 유도 코일의 코일 권선이 폐쇄 스프링을 수용하는 노즐 홀더 챔버로부터 완전히 밀봉되는 것이다. 두개의 밀봉링(sealing ring)을 수용하기에 필요한 추가 공간은 코일 코어가 상기 공간안으로 역시 이동하기 때문에 축적되고, 니이들 이동 센서는 코일 코어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결합 와이어와 함께 코일 권선 결합점(junction point)의 영역에 배열되어진다.
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장치의 장점은 종속항에 포함된 측정의 결과로서 가능하다.
특히 코일 형태가 단락체내의 챔버의 연장부안으로 돌출되고 코일 코어의 돌출 단부에 대해 밀봉적으로 맞닿아 밀봉링을 지지하는 환형 칼라(annular collar)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특히 소형 제품이 얻어진다.
와이어 기이드체가 코일 형태와 상호 결합되어 있다면 노즐 홀더에서 코일 권선에 이미 결합된 결합 와이어와 함께 니이들 이동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결합 와이어가 와이어 가이드체 보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면 동시에 조립체에서 더 용이한 장력의 감소가 얻어진다. 상기 부분이 함께 결합되어 있을때 결합 와이어는 와이어 가이드체의 출구에서 축방향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부가적인 장력 감소 효과가 달성된다.
와이어 가이드체를 수용하기 위해 코일 형태로 배치된 보어가 리세스(recesses)내에 있는 출구에서 보다 서로에 대해 더 정밀하게 배치되어 수용 보어내에 있는 출구의 채널을 경유하여 코일 권선을 갖는 결합점을 수용하여 코일 와이어체의 측방 리세스에 결합되어 있다면, 니이들 이동 센서용 설치 채널은 단락체를 수용하여 노즐 홀더 보어에서 큰 직경의 변화 교차형이 없는 작은 직경으로 설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공지된 변형에서보다 폐쇄 스프링력에 의해 약간 더 넓은 지지면이 얻어지며, 이 결과 분사 노즐 개방 압력의 기본 설정치가 오랫동안 유지된다.
유도 코일(induction coil)이 사출 플라스틱, 양호하게는 실리콘에 의해 방진 형태(vibration-proof)로 간극없는 단락체내의 설치 보어내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아주 소형이면서 안정된 제품이 얻어지며, 상기 플라스틱은 와이어 가이드체에 있는 전기 단락의 영역에서 캐비티(cavity)를 간극없이 또한 충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라 와이어 가이드체로부터 돌출되는 유도 코일의 두개의 결합 와이어의 이들 단부부분이 단일 절연 플러그에서 서로에 대해 절연되게 설치된 노즐 홀더밖으로 안내된다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노즐 홀더내에 오일 누설 보어와 필터 보어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 커진다.
절연 플러그가 결합 케이블의 내부 결합 와이어와 독립 와이어를 결합시키는 두개의 금속 결합 부싱을 움직인다면 결합케이블의 독립 와이어에 대한 내부 결합 와이어의 확실한 결합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 케이블 독립 와이어의 단부 부분이 노즐 홀더의 외부면 영역에서 홈을 통하여 안내되어 적어도 하나의 홈 벽 영역의 연속적인 변형의 결과로 이들에 고정된다면 노즐 홀더에 대한 결합 케이블 독립 와이어의 양호한 고정과 전기 결합의 확실한 장력 감소가 얻어진다.
노즐 홀더의 외부면 영역에서 전기 결합 수단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 모든 처짐부(degression)가 노즐 홀더에 대해 간극없는 부분을 고정하여서 외부로부터 이들을 절연시키고 이들을 보호하기 위해 덮는 플라스틱에 의해 분사 충진(injection fill)된다면 특히 양호하다. 상기 플라스틱은 노즐 홀더를 에워싸며 노즐 홀더와 같은 동일 외경을 갖는 슬리브로 구성되어 있고, 고정 홀더를 제공하도록 결합 케이블의 단부 영역을 또한 에워싸고 이의 방향을 결정한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에 따른 분사 노즐은 노즐 홀더(10)를 가지며, 이에 대해 중간 디스크(12)와 노즐 본체(14)가 결합너트(1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밸브 니이들(18)이 노즐 본체(14)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노즐 홀더의 스프링 챔버(24)에 적용되는 폐쇄 스프링(22)은 트러스트피이스(thrustpiece ; 20)를 경유하여 작동한다. 폐쇄 스프링(22)은 자기력으로 전도단락체(conductive short-circuit body ; 25)를 경유하여 노즐 홀더(10)상에 지지되며, 이의 설계와 이중 기능은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된다.
밸브 니이들(18)은 노즐 본체(14)에서 내향 밸브 시트와 상호 작용하고, 연료 흐름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 행정(stroke)을 수행한다. 습관적으로, 밸브 니이들(18)의 가이드 보어는 밸브 니이들(18)이 밸브 시트와 직면하는 압력 견부를 갖는 영역에서 압력 공간을 형성하는 특정 위치에서 확장되며, 이는 노즐 본체(14)와 중간 디스크(12) 및, 노즐 홀더(10)에서 채널(도시않음)을 경유하여 노즐 홀더(10)의 연료 결합부분(26)에 결합되어 있다. 밸브 니이들(18)상의 견부(도시않음)가 중간 디스크(12)의 하부 단부면에 맞닿아 밸브 니이들(18)의 다른 상승 행정을 제한할 때까지, 밸브 니이들(18)의 압력 견부상에서 작용되는 연료압력은 폐쇄 스프링(22)의 힘에 대항하여 상부로 밸브 니이들을 민다.
참조 번호 28로 표시된 니이들 이동 센서가 노즐 홀더(10)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연료 공급을 위한 제어 유닛 또는 시험 계기의 평가 회로에 결합될 수 있다. 니이들 이동 센서(28)는 코일 권선(32)과 코일 형태(34)를 갖는 유도 코일(30)과, 코일 코어(36)와, 볼트형 자기 아마추어(38)와, 폐쇄 스프링(22)에 대한 지지체로써 제공되는 단락체(25) 및, 와이어 가이드체(44)를 통해 안내되는 두개의 결합 와이어(40,44)로 구성되어 있다. 니이들 이동 센서(28)의 상술한 부분은 하기에 상세히 기술한다.
코일 형태(34)는 연한 철로 구성된 코일 코어(36)를 형성하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된다. 코일형태(34)는 코일 권선(32)을 이송하는 제1원통부(50)를 제한하는 두개의 환형 플랜지(46,48)를 갖는다. 설치 단계에서 밀봉링(56)으로 에워싸인 두꺼운 칼라 에지(54)를 갖는 환형 칼라(52) 하류쪽에 환형 플랜지(46)가 인접되어 있다. 코일 코어(36)는 환형 플랜지(46)를 지나 돌출되고 환형 칼라(52)에 의해 밀봉적으로 에워싸인 단부(58)와 함께 설치되고, 볼트형 자기 아마추어(38)의 대응하는 원추형 단부부분을 관통하는 원추형 밀폐 코어(60)를 갖고 있다.
서로 대향적으로 배치된 두개의 방사 글리어린스(radial clearance ; 64)에 의해 두개의 세그먼트(66)로 분리되는 고정 플랜지(62)가 상부 단부에서 코일 코어(36)상의 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 플랜지(62)는 두 웨브(68)에 의해 고정 플랜지(62)의 클리어린스(64)를 통하여 형성되고 기본 원통 형성체로써 상기 고정 플랜지(62)상에 연속되는 코일 형태(34)의 환형 플랜지(46,48)보다 훨씬 더 큰 외경을 갖는다. 상기 본체는 고정 플랜지(62)를 덮으며 직경(D)을 갖는 환형 영역(72)과 평행한 측면(76)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부(74)를 형성하도록 배열된 두개의 세그먼트형 클리어린스(70)를 갖는다. 경사홈(78)이 각 웨브(68)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하여 코일 권선(32)의 결합 단부가 대응 클리어린스(70)안으로 안내된다.
클리어린스(70)상에서, 코일 형태(34)는 원추 환형면(82)에서 소직경(d) 원통부(84)안으로 합치되는 직경(D)의 완전한 원통 환형부(80)를 다시 구성한다. 외주 방향으로 각각 90° 오프셋된 네개의 리지(ridge ; 86)가 원통부(84)상에서 외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외부면은 직경(D)의 가상 원통상에 놓여 있는 코일 형태(34)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리지(86)의 상부(88) 부분은 코일 형태(34)의 상부 단부면(92)에 합치되는 경사면(90)에서는 약간 내향으로 단계져 있다.
코일 형태(34)의 원통부(82)에는 상부 단부면(92)으로부터 시작되는 막힘 보어(94)가 설치되어 있고, 평면 하부면(96)에 의해 하부에서 제한된다.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두개의 측면벽 관통부(98)로부터 막힘 보어(94)가 내부로 개구되어 있으며, 이의 상부에 있는 막힘 보어(94)에는 종방향 홈과 비슷한 벽 처짐부(100)가 제공되어 있다. 돌출부(102)는 하부면(96)으로부터 막힘 보어(94)내로 중앙으로 돌출되어 있고, 두개의 채널(104)은 막힘 보어로부터 측방 처짐부(70)안으로 그리고 깔대기형 부재내의 각 좁은 하향부로 이어져 원형 보어(106)를 형성한다.
유도 코일(30)은 코일 형태(34)상에 형성된 환형 칼라(52)를 수용하여 하향으로 연장된 부분(107)을 갖는 단락체(25)의 챔버안으로 삽입되며, 밀봉링(56)은 단락체상에 배열되어서 볼트형 자기 아마추어(38)에 의해 가이드 보어 하류에 인접된다. 코일 권선(32)은 자기 아마추어(38)와 밀봉링(56)에 의해 단락체(25)에 있는 가이드 보어 사이의 환형 갭으로부터 밀봉되어 있으며, 밀봉링은 챔버 연장부(107)의 보어벽과 코일 형태(34)의 환형 칼라(52) 사이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자기 아마추어(38)는 밸브 니이들(18)상에서 작동하는 폐쇄 스프링(22)을 경유하여 코드부(110)(제1도)를 트러스트 피이스(20)에 결합되어 있다. 단락체(25)는 외주연상에서 단락체(25)와 노즐 홀더(10)내에 단락체를 수용하는 보어(114)의 벽 사이에서 환형갭을 밀봉하는 밀봉링을 운송한다.
단락체(25)는 노즐 홀더(10)의 환형 견부(116)에 대해 삽입되어 코일 코어(36)상에서 형성된 고정 플랜지(62)를 갖는 보어(114)가 외부로부터 두개의 경사 보어(122)안으로 도입되어 설치 채널(120)의 내부 중심부(118)에서 합치되어 지탱된다. 에어 갭은 자기 아마추어(38)의 원추 단부부와 코일 코어(36)에 있는 원추형 막힘 보어(60)의 벽 사이에서 유도 코일(30)의 자기 회로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크기는 니이들 밸브(18)의 행정에 대해 변화된다. 자기 회로는 단락체(25)와 고정 플랜지(62)를 경유하여 장치에 대해 비교적 짧은 통로상에서 폐쇄된다.
코일 형태(34)는 설치 채널(120)의 중심부(118)내로 돌출되는 것이 좋다. 코일 형태(34)에서 측방 클리어 런스(70)의 영역에 있는 결합 와이어(40,42)는 코일 권선(32)의 결합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코일 형태(34)의 홈(78)안으로 삽입되어서 고정 플랜지(62)의 클리어런스(64)를 통하여 안내된다.
코일 형태(34)의 클리어런스(64) 영역에 있어서, 코일 권선(32)의 결합 단부는 장력 감소의 목적 또는 더 용이한 결합을 위해 클리어런스(70)에 있는 로프 등으로 형성되어 초과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장력 감소는 와이어 가이드체(44)에 있는 결합 와이어(40,42)를 고정시키므로써 및 코일 형태(34)와 함께 이것을 결합시키므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와이어 가이드체(44)는 두개의 축 보어(124)와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이의 접합부와 함께 안내되는 결합 와이어(40,42)가 예를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또는 가압되는 다른 방법으로 단단히 고착 또는 유지된다.
보어(124)는 와이어 가이드체(44)의 원통부(126)내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의 직경은 코일 형태(34)에 있는 막힘 보어(94)의 직경에 대응하며, 와이어 가이드체상에는 서로 대향되게 정반대로 배치된 두개의 캐치 노이즈(128)를 형성하고 있으며, 코일 형태(34)안으로 와이어 가이드체(44)의 삽입도중에 코일 형태(34)의 측방벽 관통부에 결합된다. 하부 영역에서, 원통부(126)는 접합부와 함께 코일 형태(34)상에 돌출부(102)를 수용하기 위한 중심 처짐부(130)와 함께 제공되어 있다. 원통부(126)는 대략 사각단면의 연장부(132)에 인접되어 있으며, 이는 두개의 결합 와이어(40,42) 사이에서 접합부에 의해 가압되어 설치 방법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된다. 노즐 홀더(10)의 보어(122)에 있어서, 결합 와이어(40,42)는 가압 또는 적절하다면, 보어(122)안으로 접착되어서 와이어 가이드체(44)의 상부 단부에 인접하게 내향으로 도달하는 미끄럼 부싱(134)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노즐 홀더(10)의 스프링 챔버(24)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오일 누설 채널에 결합되어 있으며, 측방으로 니이들 이동 센서(28)를 회피하여 노즐 홀더(10)에 고정된 오일 누설 결합부(136)안으로 도입된다.
니이들 이동 센서(28)가 노즐 홀더(10) 내에 설치되어 있을때, 제1결합 와이어(40,42)는 상기 길이를 지나 와이어 가이드체(44)에 있는 보어(124)를 통하여 안내되며, 보어(124)내에서 고정된다. 정면에 있는 결합 와이어(40,42)를 갖는 와이어 가이드체(44)는 결합 와이어(40,42)가 코일 형태(34)의 채널(104)안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코일 형태(34)까지 안내된다. 코일 형태(34)의 막힘 보어(94)안으로 와이어 가이드체(44)의 삽입중에, 결합 와이어(40,42)의 자유 단부에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서 코일 형태(34)의 측방 클리어런스(70)안으로 쏠린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결합 와이어(40,42)는 와이어 가이드체(44)의 출구에서 굴곡을 일으킴으로써, 부가적인 응력 제거 효과를 제공한다. 와이어 가이드체(44)가 코일 형태(34)에 결합된 후에, 와이어 단부는 코일 권선(32)의 결합 단부에 결합되어서 장력 감소를 위해 코일 형태(34)상에 단단히 고정된다.
조립된 배열 유닛은 단락체(25)안으로 삽입되어서 스프링 챔버(24)의 측면으로부터 노즐 홀더(10)안으로 도입되며, 코일 형태(34)는 접합부에 의해 설치 채널(120)의 중심부(118)로 도입되며, 결합 와이어(40,42)는 외향으로 통하는 보어(122)안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연속적으로, 절연 부싱(134)은 보어(122)내에서 미끄러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니이들 이동 센서(28)를 가압하므로써 오일 누설 채널과 밀봉링(56,112)에 의해 이미 절연 부싱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절연 부싱(134)은 자신들을 위한 밀봉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코일 형태(34)는 외주연상에서 독립 보스 등과 함께 상부부(80,84)상에 또한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설치채널(120)안으로 삽입구를 방해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방사상으로 부가하여 삽입 코일 형태(34)도 또한 고정시키므로써, 코일 형태와 와이어 가이드체(44) 사이에서 캐치 결합을 강화한다.
제9도에 따른 분사 노즐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특히 노즐 홀더(210)와 같은 동일한 하우징 구성을 가지며, 이에 대한 중간판(212)과 노즐 본체(214)는 결합 너트(216)에 의해 고정되어진다. 밸브 니이들(218)은 노즐 본체(214)에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두개의 폐쇄 스프링(220,222)은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작동한다. 더우기, 노즐 홀더(210)내에 설치된 니이들 이동 센서(228)는 유도 코일(230)과 와이어 가이드체(244)의 설계에 의해 상기 기술의 변형으로 또한 동일하다.
유도 코일(230)은 제2도에 따른 변화와 비교하여 보면 제2폐쇄 스프링(222)에 의해 지지 디스크(236)까지 도달하여 하나의 폐쇄 스프링(220)을 에워싸는 슬리브형 연장부(234)와 함께 설치된 단락체(232)내에 배열되어 있다. 슬리브형 연장부(234)는 단락체에 대하여 제공된 구성부에 의해 또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락체는 제1예시적인 실시예의 연장부와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제1폐쇄 스프링(220)은 단락체(232)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드러스트 피이스(238)와 드러스트 볼트(240)를 경유하여 밸브 니이들(240)상에 결합되어 있다. 드러스트 볼트(240)는 중간판(212)내에서 스스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부싱(242)과 지지 디스크(236)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안내된다. 제2폐쇄 스프링(222)은 드러스트 피이스(245)를 경유하여 니이들 본체(214)의 상부 단부면에 대해 하부에서 부싱(242)을 가압하며, 이의 부싱에는 지지 디스크(236)를 경유하여 노즐 홀더(210)의 하우징 견부(246)에 대해 놓여진 유도 코일(230)과 함께 단락체(232)를 유지한다.
밸브 니이들(218)의 개방 행정동안, 상부 폐쇄 스프링(220)은 밸브 니이들이 예비 행정(h1)을 실행한 후 부싱(242)의 하부 단부면에 대해 부딪힐때까지 밸브 니이들(218)상에서 먼저 작동한다. 그런후, 연료의 개방 압력은 또다른 부분의 행정(h2)후에 부싱(242)이 중간판(212)에서 가이드 보어에 있는 견부에 대해 부딪힐때까지 극복할 수 있는 폐쇄 스프링(222)을 또한 갖는다. 폐쇄력의 스텝 작용의 결과로써, 조기 분사와 주 분사 사이의 명백한 차이점은 다양한 작동 범위에서 나타난다. 단락체(232)내로 안내되어 유도 코일(230)안으로 관통하는 아마추어 핀(247)은 트러스트 피이스(238)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 운동의 결과 필요한 신호가 나타난다.
노즐 홀더(210)에서 유도 코일(230)에 대한 레벨에는 단락체(232)에 있는 대응 횡단 보어를 경유하여 유도 코일(230)에 의해 수용 챔버안으로 도입되는 횡단 보어(250)가 있다. 니이들 이동 센서(238)가 설치된 후, 실리콘은 횡단 보어를 경유한 유도 코일(230)과 챔버벽 사이의 환형 갭안으로 분사되며, 이에 의해 유도코일(230)에는 전동 시험 방법으로 확실한 자유 갭이 있다. 실리콘은 환형 갭으로부터 코일 단자(제3도 내지 제8도 참조)를 수용하여 자유 갭을 채우는 와이어 가이드체(244)의 캐비티 안으로 또한 통과한다.
실리콘이 도입된후에, 횡단 보어(250)는 압축 볼(242)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밀봉적으로 폐쇄된다.
다른 폐쇄 스프링 장치와 유도 코일(230)의 부가적인 고정 및 실리콘과 함께 와이어 가이드체(244)에 있는 캐비티의 충전에 더하여, 제9도에 따른 분사 노즐은 와이어 가이드체(244) 상부에서 와이어 가이드의 다른 설계와 다른 케이블 접속에 있는 제1예시적인 실시예와 다르다. 제2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두개의 결합 와이어(254,256)는 한 측면상에서 노즐 홀더(210)밖으로 안내되며, 정반대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뿐만 아니라 절연 플러그(258)에서 거의 서로 격리되게 놓여 있다. 따라서, 다른 공간에는 연료 채널에서 필터 본체(260)를 위한 보어와 오일 누설 보어가 제공되어 있고, 또한 외부 케이블 접속은 더 용이, 확실 및 외부에 대해 커버될 수 있다. 더우기, 단지 하나의 보어는 결합 와이어(254,256)를 통하여 도입되도록 노즐 홀더(210)에 제공된다.
두개의 결합 부싱(262)은 노즐 홀더(210)의 외부면 영역내에 있는 처짐부(261)에서 외측상에 나타나는 절연 플러그(258)에 대해 거의 서로 슬립되어 있으며, 절연 플러그(258)로부터 돌출된 결합 와이어(254,2356)의 단부는 결합되어 있다. 더우기, 절연 플러그(258)는 결합 부싱(262)과 노즐 홀더(210) 사이에서 금속 접촉을 방지하는 상향으로 돌출된 절연벽(264)과 결합 부싱(262)를 사이에서 절연 웨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더우기, 절연 플러그(258)는 하기에 기술되는 측정의 결과로써 절연 플러그(258)를 수용하는 보어의 대응원추 부분에 대해 밀봉적으로 가압되어 노즐 홀더(210)내에 배치된 원추 부분(266)을 갖는다.
전기 결합 케이블(270)은 서로상에 배열되어 있고, 절연 외장과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제11도를 따라 노즐 홀더(210) 둘레를 죄는 동시에 결합 부싱(262)안으로 안내되는 두개의 독립 와이어(272,274)를 포함한다. 각 독립 와이어(272,274)는 노즐 홀더(210)의 외부 외주연중 몇몇을 통하여 연장된 축방향으로 접근가능한 홈(276,278)을 통하여 안내되고, 노즐 홀더(210)의 리세스된 외부 표면 영역에 배치되고, 외부홈 벽(280) 과정의 결과로 홈내에 고정된다. 독립 와이어(272,274)의 베어 단부는 결합 부싱(262)안으로 결합된다.
플라스틱 사출 파일링(282)은 단부 영역이 노즐축에서 직각으로 유지되도록 슬리브형 방법으로 결합 케이블(270)의 인접 단부 영역과 노즐 홀더(210)를 에워싸므로써 최종 작동에 적용된다. 플라스틱 분사 파일링(282)은 독립 와이어(272,274)의 부가적인 고정을 완성하며, 노즐 홀더(210)의 처짐부(261)에 있는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를 자유 갭에 의해 채워지도록 하고, 절연 플러그(258)는 또한 분사 압력에 의해 설치 보어안으로 밀봉적으로 가압된다. 처짐부(261)의 하부상에 소반경으로 절연 플러그(258)를 에워싸는 환형홈(284)이 있다. 냉각동안, 분사 파일링중 환형홈(284)안으로 관통하는 플라스틱이 수축되며, 그후 절연 플러그(258)상에서 부가적인 방사 밀봉력이 발휘된다.

Claims (16)

  1. 밸브 시이트를 형성하며, 폐쇄 스프링과 이에 대향 방향에서 연료 압력에 의해 배치된 밸브 니이들을 변위가능하게 안내하고, 개방 행정동안 연료 흐름 방향과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는 노즐 본체와, 코일 코어와 함깨 설치된 유도 코일의 니이들 이동 센서와 유도 코일을 에워싸는 자기 단락체를 수용하며, 밸브 니이들과 함께 이동하는 자기 아마추어를 안내하여 코일 코어에 결합된 고정 플랜지를 경유하여 폐쇄 스프링에 의해 노즐 홀더내에서 견부에 대해 가압되어 유지되는 노즐 홀더를 가지며, 그 견부에서 유도 코일의 동축에 배열된 노즐 홀더 보어는 외향으로 도입되는 설치 채널의 중앙부안으로 합치되는 단락체를 수용하여 코일 권선을 운송하는 코일 형태와 함께 상호 작동하고, 단락체를 갖는 노즐 홀더와 유도 코일 및 결합 와이어안으로 삽입되는 코일 권선의 단자에 의해 장력 감소를 보장하는 내연 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에 있어서, ㄱ) 노즐 홀더(10)내에 배치되고 단락체(25)를 수용하는 보어(114)의 벽과 단락체(25) 사이의 환형 갭은 자기 아마추어(38)를 안내하는 단락체(25)부분의 외주상의 환형홈내에 양호하게 배열된 밀봉링(112)에 의해 밀봉되고, ㄴ) 유도 코일(30)의 코일 코어(36)는 폐쇄 스프링(22)과 직면하는 코일 권선(32)의 단부면을 지나 약간 돌출되고, ㄷ) 단락체(25)내에 배치되고 유도 코일(30)을 수용하는 챔버는 폐쇄 스프링(22)과 직면하는 코일 권선(32)의 단부면을 지나 연장되며, ㄹ) 단락체(25)에 있는 자기 아마추어(38)의 가이드 갭으로부터 유도 코일(30)을 밀봉하는 밀봉링(56)이 단락체(25)내에 배치되고 유도 코일(30)을 수용하는 챔버의 연장부(107)안에 삽입되며, ㅁ) 폐쇄 스프링(22)을 수용하고 노즐 홀더(10)내에 배치되며 니이들 이동 센서(28)를 수용하는 보어(114)를 개방시키는 챔버(24)는 측방에서 니이들 이동 센서(28)를 통과하여 노즐 홀더(10)에 있는 채널을 경유하여 오일 누설 결합부(136)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코일 형태(34)에는 단락체(25)에 있는 챔버의 연장부(107)안으로 돌출되고 코일 코어(36)의 돌출 단부에 대해 밀봉적으로 맞닿으며 밀봉링(56)을 운송하는 환형 칼라(5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코일 코어(36)에 결합된 고정 플랜지(62)는 코일 형태(34)에 속하며 코일 권선(32)의 인접 단부면을 덮는 환형 플랜즈(48)에 대해 직접 지지되고, 코일 권선(32)의 두개의 결합 단부는 고정 플랜지(62)에 있는 클리어스(64)를 통하여 안내되고 설치 채널(120)의 중심부(118)안으로 도달하는 코일 형태(34)의 팽창으로 측방 리세스(70)내의 결합 와이어(40,42)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와이어 가이드체(44)는 코일 형태(34)와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와이어 가이드체(44)는 코일 형태(34)의 수용 보어(9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6. 제5항에 있어서, 코일 형태(34)의 수용 보어(94)는 수용 보어(94)의 출구가 리세스(70)내의 출구보다 서로에 대해 더 밀접하게 배치된 채널(104)을 경유하여 코일 형태의 측방 리세스(7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7. 제4항에 있어서, 결합 와이어(40,42)는 와이어 가이드체(44)의 보어(124)에 단단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도 코일(230)은 갭이 없는 단락체(232)내의 설치 보어내에 그리고 사출 플라스틱, 양호하게는 실리콘에 의해 방진 형태로 설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분사 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사출 플라스틱은 와이어 가이드체(244)에 있는 전기 단자의 영역에서 캐비티를 갭이 없게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와이어 가이드체(244)로부터 돌출된 두개의 결합 와이어(254,256)의 단부 부분은 단일 절연 플러그(258)에서 서로에 대해 절연되게 놓여 있는 노즐 홀더(210)밖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11. 제10항에 있어서, 절연 플러그(258)는 내부 결합 와이어(254,256)와 외부 결합 케이블(270)의 독립 와이어(272,274) 모두에 결합되어 있는 두개의 금속 결합 부싱(262)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12. 제11항에 있어서, 결합 케이블(270)의 독립 와이어(272,274) 단부 부분은 노즐 홀더(210)의 외부 표면영역에 있는 홈(276,278)을 통해 안내되고, 적어도 하나의 홈벽 영역(280)의 연속 변형에 의해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노즐 홀더(210)의 외부 표면 영역에서 처짐부(261)에 배열된 결합 부싱(262)은 갭없는 전기 접속을 고정하며 외부에서 이를 덮는 플라스틱 사출 충진물(28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사출 충진물(282)은 슬리브식으로 덮혀지고, 노즐 홀더(210) 주위를 고리 모양으로 한 결합 케이블(270)의 독립 와이어(272,274) 단부 부분을 부가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15. 제14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사출 충진물(282)은 노즐 홀더(210)의 외부 표면 영역에서 전기 케이블 결합을 위해 제공된 처짐부를 완전히 충진하고, 양호한 유지를 보장 및 특정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 케이블(270)의 인접 단부 영역을 또한 에워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사 노즐의 밸브 니이들은 계단식 개방 압력 작용을 얻기 위해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두개의 폐쇄 스프링에 의해 장전되고, 니이들 이동 센서(228)의 단락체(232)는 슬리브형 연장부(234)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단락체(232)상에 지지된 폐쇄 스프링(220)을 에워싸고 그 하류 단부에서 제2폐쇄 스프링(222)에 대해 지지면을 형성하는 슬리브형 삽입물에 대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KR1019900701526A 1988-11-30 1989-05-05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KR960003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40339A DE3840339A1 (de) 1988-11-30 1988-11-30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DEP3840339.0 1988-11-30
PCT/DE1989/000285 WO1990006439A1 (de) 1988-11-30 1989-05-05 Kraftstoff-einspritzdüse für brennkraftmaschi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221A KR900702221A (ko) 1990-12-06
KR960003697B1 true KR960003697B1 (ko) 1996-03-21

Family

ID=6368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1526A KR960003697B1 (ko) 1988-11-30 1989-05-05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61742A (ko)
EP (1) EP0446201B1 (ko)
JP (1) JP2667269B2 (ko)
KR (1) KR960003697B1 (ko)
DE (2) DE3840339A1 (ko)
WO (1) WO1990006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5774A1 (de) * 1990-02-23 1991-08-29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DE4142996A1 (de) * 1991-12-24 1993-07-0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messen der mechanischen bewegung eines magnetventilankers, insbesondere von elektrisch gesteuerten einspritzanlagen
US6352209B1 (en) 1996-07-08 2002-03-05 Corning Incorporated Gas assisted atomiz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gas-assisted atomizing devices
US6189214B1 (en) 1996-07-08 2001-02-20 Corning Incorporated Gas-assisted atomiz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gas-assisted atomizing devices
WO1998001228A2 (en) 1996-07-08 1998-01-15 Corning Incorporated Rayleigh-breakup atomizing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rayleigh-breakup atomizing devices
DE29810989U1 (de) * 1998-06-19 1999-11-04 Bosch Gmbh Robert Stromspule
TW200805838A (en) * 2006-07-05 2008-01-16 Ks Terminals Inc Wire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529971B2 (ja) 2006-12-21 2010-08-2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弁
JP5120316B2 (ja) 2009-04-03 2013-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
DE102012208075A1 (de) * 2012-05-15 2013-11-21 Man Diesel & Turbo Se Injektor für ein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einer Brennkraftmaschine sowie Kraftstoffversorgungsanlage
DE102017217903A1 (de) 2017-10-09 2019-04-11 Robert Bosch Gmbh Kraftstoffinjektor mit Nadelbewegungs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64457A2 (ru) * 1978-09-06 1982-10-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Р-6194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расхода топлива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DE3137761A1 (de) * 1981-09-23 1983-03-3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DE3227989A1 (de) * 1982-07-27 1984-02-02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DE3326840A1 (de) * 1983-07-26 1985-02-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JPS6036772A (ja) * 1983-08-10 1985-02-25 Diesel Kiki Co Ltd 燃料噴射弁
DE3343269C1 (de) * 1983-11-30 1985-04-0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indirekten beruehrungslosen elektrischen Messen kleiner Wege
US4573349A (en) * 1984-06-28 1986-03-04 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y Needle position indicator for a fuel injection nozzle holder
DE3444451A1 (de) * 1984-12-06 1986-06-19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kraftstoffeinspritzventil
DE3515264A1 (de) * 1985-04-27 1986-11-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GB8516127D0 (en) * 1985-06-26 1985-07-31 Lucas Ind Plc Fuel injection nozzle
DE3724545A1 (de) * 1987-07-24 1989-02-02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duese fuer brennkraftmaschinen
DE3914636A1 (de) * 1989-05-03 1990-11-0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kombinierten ausblasen von kraftstoff und luft fuer kraftstoffeinspritzanlagen von brennkraft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6201B1 (de) 1992-08-05
JPH04501896A (ja) 1992-04-02
US5161742A (en) 1992-11-10
WO1990006439A1 (de) 1990-06-14
EP0446201A1 (de) 1991-09-18
DE58902006D1 (de) 1992-09-10
KR900702221A (ko) 1990-12-06
JP2667269B2 (ja) 1997-10-27
DE3840339A1 (de) 199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3697B1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노즐
US5114077A (en) Fuel injector end cap
CN100529379C (zh) 用于燃料喷射的喷射阀
US5494255A (en) Solenoid activated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US5330153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ble valve
KR100583900B1 (ko) 연료분배기
KR0169100B1 (ko) 전자기 밸브
KR100244358B1 (ko) 다수의 전기 작동식 연료분사밸브의 공통 전기 접속용 접촉 스트립
EP0487198A1 (en) Integrally formed fuel rail/injectors and method for producing
KR19980702840A (ko) 연료분사장치
KR930011563B1 (ko) 내연기관을 위한 연료 분사 노즐
KR950703200A (ko) 자기고정자에 몰딩된 코일(coil molded into magnetic stator)
US20020130205A1 (en) Fuel injector assembly
JP2003504560A (ja) 燃料噴射弁
US20080035116A1 (en) Fuel Injector
US4471914A (en) Electromagnetically actuatable valve
KR20160093017A (ko) 연료 분사 밸브
JPH04507126A (ja) 内燃機関の電気式に励磁可能な複数の装置の電気的な共通の接続のための接続条片
US6164266A (en) Magnet coil used in a fuel injection pump
US4362051A (en) Fuel injection nozzle hold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482093A (en) Fuel injection nozzl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9033264B2 (en)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fuel injector
US20020096938A1 (en) Connection device and associated process
EP0826107B1 (en) Bottom feed injector with top calibration feed
KR102040860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