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2113B1 - 부품공급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공급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2113B1
KR960002113B1 KR1019880016116A KR880016116A KR960002113B1 KR 960002113 B1 KR960002113 B1 KR 960002113B1 KR 1019880016116 A KR1019880016116 A KR 1019880016116A KR 880016116 A KR880016116 A KR 880016116A KR 960002113 B1 KR960002113 B1 KR 960002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upply rod
supply
rod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740A (ko
Inventor
요시다카 아오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다카 아오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079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805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07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484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15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48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1503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4881A/ja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카 아오야마 filed Critical 요시다카 아오야마
Publication of KR89000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6Holding or positioning the article in front of the applying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부품공급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부품공급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공급로드의 끝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개폐판의 측면도.
제6도는 장치외관을 표시하는 측면에서 세워서 본 도면.
제7도는 제3도의 공급로드 끝부분의 변경예를 표시하는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고정전극 14 : 가이드핀
15 : 가동전극 17 : 돌기너트
18 : 공급관 19,35 : 에어실린더
20 : 공급로드 21 : 돌기
22 : 마그네트 23 : 중공축
24 : 내부축 31 : 제어핀
본 발명은 용착용 돌기를 보유한 너트나, 짧고 두꺼운 파이프와 같은 것이나 또는 헤드가 있는 볼트와 같은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방법 및 장치에 관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술은 일본 특공소 59-75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며, 그 요점은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의 구성을 설명하면, 중공(中空)인 외부축(outer shaft) (1)내에 내부축(inner shaft) (2)이 미끄럼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고 내부축(2)의 앞끝에는 부품(프로젝션너트) (3)을 흡착(吸着)하는 마그네트(영구자석) (4)가 고정되어 있다.
중공인 외부축(1)을 수용하고 있는 외통(5)은 정지부재(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되고 외통(5)의 내면에 스트로크(stroke)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홈(7)내에 중공인 외부축(1)을 고정시키는 핀(S)이 끼워진다.
상대방측의 판금부품(9)은 고정전극(10)위에 얹혀있으며, 고정전극의 가이드핀(11)이 판금부품(9)의 구멍을 관통하여 윗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부축(2)과 외부축(1)은 그 끝면이 한 평면상에 정열되어 면이 되어 그 면에 너트(3)를 흡착하고 있다.
이 상태대로 양쪽축이 일체가 되어 진출되어 소정위치까지 다다르게 되면, 내부축(2)의 진출이 정지되고, 외부축(1)만이 진출되어 제13도와 같이 너트(3)가 마그네트(4)로부터 격리되어 너트(3)에 대한 자력이 실질적으로 소멸된다.
이렇게 되는 것에 의해서 너트(3)는 외부축(1)의 아래끝면으로부터 떨어져 가이드핀(11)축으로 튕기듯이 이동하여 가이드핀(11)이 너트(3)의 나사구멍안에 꼭끼워진 상태로 되어 공급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제13도에 공간이동거리(L)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내부축(2)의 진출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조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축(2)에 고정된 제어핀을 내부축에 개구된 장공(長孔)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양쪽축(1),(2)이 일정량만큼 진출한 후에 상기한 제어핀이 정지부재에 걸리게 되므로 내부축(2)의 진출이 강제적으로 정지되고 외부축(1)만이 제13도와 같이 전진하여 마그네트(4)의 너트흡착력이 저하되어 가이드핀(11)에 관성적으로 낙하시켜 끼워맞추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마그네트가 정지하고 외부축이 저진하고 있는 과도기에 너트(3)에 대한 흡인자력이 실질적으로 소멸되는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제1의 문제는 외부축만이 이동하고 있는 단계에서 너트에 세워 자력이 차츰 저하되어가기 때문에 너트가 소정장소로 도달할 때까지 외력에 의한 진동 등이 너트에 작용하면 갑자기 너트가 떨어지게 되어 공급의 차질이 발생한다.
제2의 문제는 너트에 대한 흡인자력이 실질적으로 소멸되는 현상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너트중량의 불균등이나 너트에 부착되어 있는 유류 등의 점착성에 의하여 너트가 외부축으로부터 떨어지는 시간이 일정하지 못하고 그 때문에 너트의 공간 이동거리가 길거나 짧게 되기 때문에 이 거리를 가장 긴 경우에 맞추는 정밀하게 길이설정을 할 필요가 있고, 이점도 또 공중이동의 범위가 넓어지므로 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에 너트(3)의 나사구멍이 있기 때문에 마그네트(4)의 흡인력이 너트에 대하여 충분히 작용되지 않으며, 또, 내부축(2)에 마그네트를 부착하게 될 경우 마그네트 크기에도 한계가 있다.
더우기 너트(3)는 양쪽축(1),(2)의 끝면만 접촉되는 것으로 외력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되면 너트(3)의 위치가 변동이 되어 나사구멍과 가이드핀(11)과 일치되지 않아 손상되므로 너트(3)가 가이드핀(11)에 튕겨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위에 기술한 문제의 발생원인을 추구해보면 마그네트 설치상의 구조적인 면에 기인되고 있다.
즉 종래 기술의 마그네트는 내부축의 앞끝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너트와 같이 나사구멍이 개구되어 있으면 너트에 대한 흡인자력을 충분히 큰 값으로 하기가 불가능하며,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외력에 의한 진동에 의해 너트가 떨어지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다.
더욱, 중요한 문제는 흡인자력이 불충분하면 공급로드의 전진속도를 높일 수가 없기 때문에 부품공급범위를 줄이는 점에 있어서 매우 불리하다.
본 발명은 위에 기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부품공급방법 및 장치의 제공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는 공급로드의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부품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가 공급로드로부터 돌출된 곳에 진퇴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공급로드가 목적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한 후, 또는 이 정지와 거의 동시에 상기한 마그네트를 강제적으로 후퇴시킨다.
부품의 외측면에 부여되는 마그네트가 흡인력에 의하여 공급로드의 전진중에는 일정불변의 흡인자력을 부여하고, 부품이 목적위치에 도달한 후, 또는 도달과 거의 동시에 흡인자력을 소멸시켜 목적위치에의 공급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부품에 대한 흡인자력은 공급로드가 목적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불변의 값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부품이동중에 어떤 외력에 의한 진동 등이 부품에 작용할지라도 부품은 공급로드의 앞끝부분으로부터 쉽사리 이탈되는 일이 없다.
또 공급로드 앞끝부분의 부품이 목적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한 후 또는 이 정지와 거의 동시에 마그네트를 강제적으로 후퇴시키므로 공급로드로부터 부품이 떨어지는 위치나 시간을 항상 균일하게 할 수가 있어서 안정한 부품공급이 실현된다.
특히 부품이 목적위치에 도달하고 나서 자력개방이 이루어지므로, 예를 들어 전극 가이드핀의 아주 가까운 곳에서 부품을 이탈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하여 부품 공급 차질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서 공급하는 공급로드가 제공되고, 부품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가 공급로드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진퇴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급로드의 앞끝에는 부품의 외측을 유지하는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부품의 외측면에 부여되는 마그네트의 흡인력과 부품의 외측에 대한 돌기의 유지작용에 의하여 부품을 안정하게 로드 앞끝부분에 위치시켜서 목적위치로 향하게 함과 아울러 마그네트의 후퇴작용에 의하여 부품의 흡인유지력을 해제하여 목적위치로의 공급을 완료하는 것이다.
공급로드의 외측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의 마그네트이므로 그 크기는 필요에 따라서 가능한 크게 설정할 수가 있어서 흡인자력의 부족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 부품유지용의 돌기가 유지기능을 다하므로서, 그 정도만큼 마그네트를 작게 할 수 있다.
더우기, 부품의 외측을 돌기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어떤 외력에 의한 진동 등이 부품에 작용할지라도 부품의 흡착위치가 어긋난다던지 갑자기 탈락한다던지 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공급로드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공급로드를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진퇴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부품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가 공급로드로부터 돌출한 곳에 진퇴가능한 상태로, 더구나 경사져 있는 공급로드의 아랫쪽에 설치되어 부품이 돌출상태의 마그네트를 향하여 진입해 오도록 부품공급통로를 설치하여 공급로드가 진출하여 부품을 이탈시킬 때에는 마그네트를 후퇴시킨다.
경사진 공급로드의 아랫쪽으로부터 부품을 마그네트를 받아내어 흡인유지하고 이것에 의하여 부품을 안정하게 로드 앞끝부분에 위치시켜 공급로드를 진출시킴과 아울러 마그네트의 후퇴작용에 의해 부품으로 흡인유지력을 해제하여 목적위치에 공급을 정확하게 완료하는 것이다.
공급로드가 경사져 있으며, 마그네트가 경사의 아랫쪽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부품공급통로로부터 진입된 부품을 아랫쪽에서 받아내어 흡인유지하며, 따라서 부품이 확고하게 공급로드 앞끝부에 유지되어서, 어떠한 외력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하여 유지위치가 쉽게 어긋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경사진 상태와 마그네트도 받아내는 것에 의하여 확고하게 유지된 부품은 공급로드가 진출하여 부품을 이탈시킬 때에 마그네트를 후퇴시켜서 흡인력을 실질적으로 소멸시키는 것이므로 부품을 정확하게 공급로드로부터 격리시킬 수가 있어서 공급신뢰성이 현저하게 높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는 공급로드의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부품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가 공급로드로부터 돌출한 곳에 진퇴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급로드의 전진스트로크 끝부근으로 전진도중에, 상기한 마그네트를 강제로 후퇴시킨다.
부품의 측면에 부가되는 마그네트의 흡인력에 의하여 공급로드의 전진중에서 일정분변의 강한 흡인력을 부여하여 부품이 목적위치에 도달하기전의 로드전진중에 마그네트의 흡인자력을 신속하게 소멸시켜 목적위치에의 공급을 완료하는 것이다.
우선, 제1도∼제5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것은 제6도에 표시되어 있는 것은 스포트 용접장치의 경우이며 상대편 강판부품(12)이 고정전극(13)위에 얹혀지고 상기한 전극의 가이드핀(14)이 강판부품(12)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부호(15)가 표시하고 있는 것은 고정전극(13)과 같은 축위에 설정된 가동전극이다.
공급로드가 결합된 공급유니트(16)에는 프로젝션너트(이 실시예에서는 프로젝션너트인 경우이다) (17)의 공급관(18)이 접속되어 있음과 아울러, 에어실린더(19)가 연결되어 있다.
공급로드(20) 끝면에는 제1도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17)가 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너트(17)를 외측으로부터 유지하는 돌기(21)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돌기(21)는 제3도와 같이
Figure kpo00001
자형의 테두리 형태로 되어 있다.
공급로드(20)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
너트(17)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22)는 공급로드(20)의 끝면으로부터 돌출한 위치를 취하여 공급로드(20)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22)를 진퇴시키기 위하여 공급로드(20)를 안팎 2중 구조한 것으로서 공급로드(20) 자체가 중공축(23)으로 되어 그 내부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한 상태로 내부축(24)이 삽입되어 있다.
마그네트(22)는 중공축(23)의 외측면에 맞붙어 있는 미끄럼부재(25)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축(24)과 미끄럼부재(25)는 볼트(26)를 개재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중공축(29)에 스트로크방향으로 장공(27)을 뚫어, 상기한 볼트(26)는 이 장공을 관통하고 있다.
내부축(24)의 아랫끝면은 중공축(23)의 아랫끝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너트(17)에 밀착가능하며, 너트(17)에 윗방향으로 약간의 흡인력을 부여하기 위한 작은 마그네트(영구자석) (28)가 끼워져 있다.
공급로드(20)는 외통(29)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수용되며, 외통(29) 윗쪽에는 에어실린더(19)가 결합되고 아랫쪽에는 공급핀(18)이 용접되어 있다.
에어실린더(19)의 피스톤로드(30)가 공급로드(20)에 결합되어 있다.
내부축(24)에는 제어핀(31)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이 중공축(23)의 스트로크방향으로 뚫은 장공(32)을 관통하여 공급로드(20)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중공축(23)내에 삽입된 코일스프링(33)이 내부축(24)에 그 장력을 가하고 있으며 그것은 제어핀(31)이 장공(32)의 아래끝에 맞닿아 있음에 의하여 제어되어 있다.
공급로드(20)가 소정거리만큼 진출하여 정지, 즉 부품이 목적위치에 도달한 후 또는 이 정지와 거의 동시에 마그네트(22)를 후퇴시키기 위하여 진동장치(34)가 외통(29)의 외측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 구동장치로서는 전자솔레노이드 등을 사용하여도 좋으나 여기에서는 에어실린더(35)를 사용하였으며 그 피스톤로드(36)에 고정한 걸림부재(37)가 외통(29)에 스트로크 방향으로 뚫은 장공(38)을 거쳐서 외통(29)에 돌출되어 상술한 제어핀(31)과 맞붙을 수 있도록 마주보고 있다.
제2도에서 명백하듯이 이 공급로드(20) (중공축(23))는 양쪽에 평면(39) (40)이 형성됨에 의하여 작은 도장형태의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공급관(18)의 윗판(41)에 뚫은 관통구멍(42)내에 꼭맞게 끼워져서 회전을 정지시키고 있다.
윗판(41)에는 미끄럼부재(25)를 받아들이는 잘린부분(43)이 설치되어 있다.
공급관(18)은 장방형의 단면이고, 그 끝부분에는 제1도와 같은 잘린부분(44)을 설치함에 의하여 두갈래 형상인 돌편(45) (46)을 설치하고(제4도), 여기에 고정한 회전축(47) (48)에 개폐판(49) (50)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결국 경첩의 한쪽판이 개폐판(49) (50)이 되고 다른쪽 판이 고정판(51) (52)으로서 볼트(53) (54)로 돌편(45) (56)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47) (48)에 끼워져 있는 코일스프링(55) (제5도에 회전축(47)쪽만을 도시함)은 개폐판(49) (50)에 닫히는 방향으로 단력을 부여하여 제4도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제5도의 2점 쇄선은 개폐판(49)이 개방상태로 표시하였다.
공급로드(20)의 아랫부분이 관통구멍(42)을 상기한 바와 같이 관통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공급관(부품공급통로) (18)으로부터의 너트(17)가 마그네트(22)를 향하여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공급관(18)내를 압축공기 등으로 밀려진 너트가 이동되어 공급관(18)의 끝부분 근처까지 오게 되면 너트(17)는 마그네트(22)에 흡착되어서 돌기(21)에 도입되어 제1도 및 제4도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다음에 공급로드(20)가 전진하면 너트(17)에 의하여 개폐판(49) (50)이 열려서 너트(17)가 마그네트(22)에 흡인유지된 채 진출하여 고정전극의 가이드핀(14)의 아주 가까운 곳까지 와서 정지한다.
그후 에어실린더(35)가 작동하여 걸림부재(37)가 끌어올려지면 제어핀(31), 내부축(24), 볼트(26)를 거쳐서 미끄럼부재(25)에 변위가 전달되어 마그네트(22) (다른 마그네트(28)도 동시에)가 너트(17)로부터 격리되므로 너트(17)에 대한 흡인자력이 실질적으로 소멸되어 너트의 나사구멍으로 가이드핀(14)이 관통되어 너트공급이 완료된다.
공급로드(20)의 작동이 비교적 저속이라도 상관없는 공급사이클인 경우에는 마그네트(22)의 후퇴시기는 공급로드(20)가 정지하고 근소한 시간이 경과한 시점이라도무방하다.
상기한 공급사이클이 단축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그네트(22)의 후퇴시기는 공급로드(20)의 정지와 거의 동시에 하는 것이 적당하다. 여기서 거의 동시라고 하는 것은 공급로드(20)의 정지직전, 정지와 동시, 또는 정지직후라는 폭이 있는 시간대를 의미하고 있다.
제7도의 실시예는 공급로드 끝부분의 돌기에 변형을 시행한 것으로서 앞서의 실시예에서는 돌기(21)가
Figure kpo00002
자형이나 여기에서는 너트의 외측에서 마주보는 상태의 2개의 돌기(56) (57)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대신에 마그네트(22)가 제7도와 같이 개방부를 폐쇄하여 마그네트(22)가 너트(17)와 직접 밀착하도록 되어 있다.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공급로드(20)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지지하여도 좋으며 이런 경우 너트(17)를 마그네트(22)로 아랫쪽에서 받아내어 흡인유지하게 된다.
제9도의 실시예는 공급로드(20)의 외측을 따라 작동간(58)에 의하여 마그네트(22)를 후퇴시키는 것으로 공급로드(20)와의 미끄럼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통(59) (60) 사이에 작동간(58)이 가설되어 있다.
가이드통(59)의 플랜지(62)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63)을 개재시켜 공급로드(20)의 스트로크방향으로 형성한 홈(64)안에 가이드통(59)에 고정한 핀(65)을 끼워넣어두는 것에 의하여 코일스프링(63)의 장력을 받고 있다.
공급로드(20) 전체가 일체가 되어 진출하여 목적위치에서 정지하고 나서 상술한 것과 같은 작동조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그 때문에 걸림부재(37)가 플랜지(61)를 강제적으로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급로드(20)의 앞끝에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돌기(21)나 마그네트(28)에 상당하는 것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단순하게 되어 있는 평탄한 끝면뿐이다.
제10도의 실시예는, 상술한 구동장치를 제외한 경우의 것으로 제어핀(31)이 정지부재와 결합함에 의하여 마그네트(22)의 상대적인 후퇴를 가능하게 하는 형식이다.
이 정지부재로서는 외통(29)의 내측에 돌출시킨 돌출편(56)이 가장 간단하게 실현가능한 예이다.
이와 같은 형식인 경우에는 마그네트(22)가 정지한 다음에도 공급로드(20)가 전진하여 너트(17)가 마그네트(22)로부터 어느정도 격리된 후 너트에 대한 흡인자력이 실질적으로 소멸되어 공급로드(20)가 정지함과 동시에 너트는 관성력으로서 돌기(21)로부터 이탈하여 가이드핀(14)에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28)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축(24)의 아랫끝이 공급로드(20)의 아랫면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하였다.
제11도의 실시예는 공급로드(20)의 외측을 따라 작동간(59)에 의하여 마그네트(22)를 진퇴시키는 것으로서 공급로드(20)와의 미끄럼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가이드통(60), (61)의 사이에 작동간(59)이 가설되어 있다.
가이드통(60)의 플랜지(62)와 공급로드의 플랜지(63)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64)을 개재시켜 공급로드(20)의 스트로크방향으로 형성한 홈(65)안에 가이드통(60)에 고정한 핀(66)을 끼워둠에 의하여 코일스프링(64)의 장력을 받고 있다.
공급로드(20) 전체가 일체로 되어서 진출하게 되면 플랜지(62)가 돌출편(56)으로 제지되어 제10도와 동일한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공급로드(20) 앞끝에 마그네트(22)로 흡인유지된 너트(17)가 고정전극의 가이드핀(14) 바로 근처의 소정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한 후, 또는 그 정지와 거의 동시에 마그네트에 의한 흡인자력을 소멸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공급로드가 전지되어 스트로우크 부근으로 전지되는 도중에 있어서는 흡인자력을 소멸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도시한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그네트가 부품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곳, 즉 공급로드의 외측면에 밀착한 상태로서 진퇴작동을 하는 것이므로 마그네트자체를 충분히 큰 것으로 하여 강한 흡인유지력을 갖게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외력에 의한 진동 등에 의해 부품이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고 더구나 공급스트로크의 속도를 높게 하여도 부품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전혀 없다.
마그네트의 자력강화가 도모되면 부품에 대한 자력을 실질적으로 소멸시키기 위해서는 마그네트를 부품에서 상당한 거리로 격리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공급로드가 전진되어 스트로우크의 끝부분으로 진출하고 있는 도중에 있어서, 즉, 빠르게 움직이는 단계에서 마그네트를 강제적으로 역동(逆動)시킴에 의하여 상술한 길고 먼거리를 단시간에 얻을 수가 있다.
환언하면 공급로드의 전진속도에 대하여 마그네트의 역동속도가 가산되는 상태이므로 시간단축에 유효하며 흡인자력도 신속히 소멸되므로 부품이 항상 일정한 곳에서 로드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공급차질이 없는 고도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품의 이탈위치가 항상 일정함에 의하여 공급로드의 정지위치와 목적위치, 예를 들어 고정전극의 가이드판과의 거리를 극히 근소한 거리로 할 수 있으므로 제13도의 거리(L)와 같은 문제는 해소된다.
본 발명을 이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각종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자명할 것이다.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이탈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고 당업자로서는 자명한 변경 내지 수정은 모두 청구범위내에 포함시키도록 의도되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공급로드(20)의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부품의 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22)가 공급로드(20)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진퇴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급로드(20)가 목적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한 후, 또는 이 정지와 거의 동시에 상기한 마그네트(22)를 강제적으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2. 공급로드(20)의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부품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22)가 공급로드(20)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진퇴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급로드(20) 앞끝에는 부품의 외측을 유지하는 돌기(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3. 공급로드(20)의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공급로드(20)를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진퇴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부품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22)가 공급로드(20)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진퇴 가능한 상태로, 더우기 경사져 있는 공급로드(20)의 아랫쪽에 설치되어 부품이 돌출상태의 마그네트(22)로 향하여 진입해 오도록 부품공급통로를 설치하고, 공급로드(20)가 진출하여 부품을 이탈시킬 때에는 마그네트(22)를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장치.
  4. 공급로드(20)의 끝면에 부품을 밀착시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부품의 외측면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마그네트(22)가 공급로드(20)로부터 돌출한 위치에 진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고 공급로드의 전진 스트로크 끝부근측으로 전진도중에 있어서, 상기한 마그네트(22)를 강제적으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공급방법.
KR1019880016116A 1987-12-05 1988-12-03 부품공급방법 및 장치 KR960002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07990 1987-12-05
JP???62-?307989 1987-12-05
JP?62-307989 1987-12-05
JP62307990A JPH0780557B2 (ja) 1987-12-05 1987-12-05 部品供給ロツド
JP?62-?307990? 1987-12-05
JP62307989A JPH01148475A (ja) 1987-12-05 1987-12-05 部品供給方法
JP62315034A JPH01154882A (ja) 1987-12-12 1987-12-12 部品供給方法
JP???62-?315034 1987-12-12
JP?62-?315033? 1987-12-12
JP62315033A JPH01154881A (ja) 1987-12-12 1987-12-12 傾斜進退式の部品供給装置
JP?62-?315034? 1987-12-12
JP???62-?315033 1987-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740A KR890009740A (ko) 1989-08-03
KR960002113B1 true KR960002113B1 (ko) 1996-02-10

Family

ID=2747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116A KR960002113B1 (ko) 1987-12-05 1988-12-03 부품공급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74742A (ko)
KR (1) KR960002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5441A (en) * 1993-11-23 1995-01-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and placing an article
US5845950A (en) * 1996-08-20 1998-12-08 Industrial Magnetics, Inc. Pneumatically actuated magnetic article holder
KR100219434B1 (ko) * 1997-03-12 1999-09-01 윤종용 청소기용 모터의 너트 체결 장치
US6102193A (en) * 1998-06-30 2000-08-15 Rivers, Jr.; Ernest 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rts to workpieces
US6152281A (en) * 1998-09-04 2000-11-28 Ford Motor Company Magnetic bulk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s
US6653590B1 (en) * 2000-09-07 2003-11-25 Yoshitaka Aoyama Projection bolt welding device
US20040071539A1 (en) * 2002-07-03 2004-04-15 Anater Raymond J. Automated container management system
JP4147557B2 (ja) * 2004-11-13 2008-09-10 好高 青山 プロジェクションナットの供給装置
US20080240895A1 (en) * 2005-10-24 2008-10-02 Yoshitaka Aoyama Shaft-Like Parts Feeding Apparatus
NZ603326A (en) * 2010-06-30 2014-08-29 Weyerhaeuser Nr Co Pick-up and deliver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592207B1 (ko) 2014-06-20 2016-02-11 (주)용신프라임 미닫이 반자동도어용 피스톤 및 그를 이용한 미닫이 반자동도어
JP6452015B1 (ja) * 2018-05-17 2019-01-16 青山 省司 軸状部品用供給ロッドおよび供給方法
CN111390535A (zh) * 2020-03-26 2020-07-10 上海威克鲍尔通信科技有限公司 电子元器件生产用磁铁快速安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1764A (en) * 1946-01-31 1949-05-31 Carl H Miller Magnetic hand pickup tool
US2683618A (en) * 1950-12-11 1954-07-13 Louis Slovis Automatic pickup device
GB738193A (en) * 1953-03-03 1955-10-12 Speed Tool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ools for handling workpieces of iron and steel
US2976075A (en) * 1959-07-17 1961-03-21 Monarch Tool & Machinery Co Magnetic pick-up device
US3200931A (en) * 1962-12-20 1965-08-17 Voorhies Carl Automatic handling of magnetic parts
US3905631A (en) * 1974-05-13 1975-09-16 Tom E Ricks Magnetic fishing tool
US4328181A (en) * 1979-07-06 1982-05-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Indicator material
SU956235A1 (ru) * 1979-07-17 1982-09-07 Волжский Автомобильный Завод "Ваз"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ферромагнитных заготовок на рабочую позицию
JPS597549A (ja) * 1982-06-29 1984-01-14 Haruchika Seimitsu:Kk レンズ研磨装置におけるレンズ加圧位置決め機構
DD230702A3 (de) * 1983-12-02 1985-12-11 Gundram Schumann Einrichtung zum aufnehmen, manipulieren und ablegen von bauteilen
DE3536982A1 (de) * 1985-10-17 1987-04-23 Bruno Gruber Vorrichtung zum aufnehmen und ablegen ferromagnetischer teile
JPS62259744A (ja) * 1986-05-01 1987-11-12 Yoshitaka Aoyama 有孔部品の供給装置
JPS62259743A (ja) * 1986-05-01 1987-11-12 Yoshitaka Aoyama 有孔部品の供給装置
US4943098A (en) * 1987-06-26 1990-07-24 Yoshitaka Aoyama Parts supply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740A (ko) 1989-08-03
US5074742A (en) 199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113B1 (ko) 부품공급방법 및 장치
KR100245184B1 (ko) 부품 공급장치
US5067763A (en) Parts supplying apparatus
US6163004A (en) Method of welding projection nut and apparatus therefor
US5248058A (en) Parts feeder
JPH01104514A (ja) 部品供給装置
JP3364791B2 (ja) 軸状部品の供給装置
KR940007173B1 (ko) 축 형상부품의 공급방법 및 장치
US5230141A (en) Device for feeding apertured parts
US5191691A (en) Apparatus for feeding slender parts
JPH0639015B2 (ja) 部品供給装置
KR960002112B1 (ko) 프로젝숀너트의 공급방법
JPH037093Y2 (ko)
JP2004314079A (ja) 自動機用はんだ付けヘッド
US5226228A (en) Part feeding apparatus
JP2519510B2 (ja) 軸状部品の供給方法
JP3944776B2 (ja) 部品供給装置
CN1022611C (zh) 机械零件加料的方法及装置
JPH11347747A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その供給方法
KR940010895B1 (ko) 나사부품의 공급체결방법 및 장치
JPH0539122A (ja) 部品供給制御装置
JPH0431793B2 (ko)
JPH01154882A (ja) 部品供給方法
JPH01264729A (ja) 棒状部品の組入れ方法
JPH0780557B2 (ja) 部品供給ロ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