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820B1 - 화상작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작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820B1
KR960000820B1 KR1019910014718A KR910014718A KR960000820B1 KR 960000820 B1 KR960000820 B1 KR 960000820B1 KR 1019910014718 A KR1019910014718 A KR 1019910014718A KR 910014718 A KR910014718 A KR 910014718A KR 960000820 B1 KR960000820 B1 KR 960000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creen
monitor
input
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841A (ko
Inventor
나에 야스하라
미유끼 마루사와
히로시 야스하라
히로꼬 쿠사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이데이 노브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이데이 노브유끼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8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작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의 조작판넬의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른 도면이다.
제5도는 플로우차트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의 조작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른 플로우챠트도이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의 설명에 따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버스
3 : ROM 4 : RAM
8 : 모니터 15 : 부저
본 발명은 예를들면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상에서 그림을 작성하는 화성작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상에 그림을 작성하는 화상작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의 화면상에 캐릭터를 표시하고, 확정된 캐릭터 패턴(Character Pattern)의 갯수를 계수수단과, 계수수단의 계수값이 소정의 값으로 되었을 때에 경고를 행하는 경고수단을 갖고, 계수수단이 계수한 값을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계수한 값이 소정의 값에 도달했을 때에 경고수단에 의해 경고를 행하도록함에 따라 화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 패턴의 나머지 량을 항상 모니터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화면상에서 사용한 캐릭터 패턴의 갯수가 소정의 수에 도달한 것을 부저에 의해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에를들면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상에서 그림을 작성하는 화상작성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 화상작성장치는 널리 알려진 타블렛(Tablet) 및 키이군을 갖는 본체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화상작성장치는 모니터 화면상에 몇개의 같은 크기{예를들면 16×16도트(dot)}의 캐릭터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그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된 몇개의 캐릭터 가운데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키이(Select Key) 등으로 선택하면 커서가 그 선택한 캐릭터로 된다. 또, 모니터의 화면상에 나타낸 몇개의 캐릭터에 원하는 캐릭터가 없을 때는 사용자는 다른 몇개의 캐릭터를 모니터 화면상에 나타내도록 하고, 새롭게 나타낸 다른 몇개의 캐릭터로부터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키이 등으로 색을 선택하고, 이에 의해 캐릭터의 색을 화면상에 있어서 바꾸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술한 모니터 화면과 대응하는 타블렛에 전용의 펜(Pen)으로 모니터 화면상의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지정함에 따라 커서를 모니터(8) 화면상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위치확정-키이를 누름에 따라서 그 위치에 커서로 된 캐릭터를 확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같이 화면상에서 확정할 수 있는 캐릭터의 갯수는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한계가 있지만, 예를들면 화면상에서 사용한 캐릭터의 수가 한계의 수에 도달했을 때에는 새로운 캐릭터를 화면상에서 화정할 수 없으므로 이때 화면상에서의 그림의 작성은 중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화상작성장치는 모니터 화면상에 몇개의 캐릭터그룹을 차례로 나타내고, 그 나타낸 캐릭터의 그룹으로부터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하여 커서로 나타내고, 그 커서의 위치를 타블렛으로 지정한 후, 그 커서로 나타낸 캐릭터를 그 위치에 확정함에 따라 모니터의 화면상에 있어서 그림을 작성하도록 하고, 모니터 화면상에서 사용(확정)한 캐릭터의 갯수가 한계수에 도달했을 때는 그림의 작성을 중단하도록 되었다.
그런데 상술한 화상작성장치에서는 화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의 갯수에 한계가 있지만, 화면상에서 사용한 캐릭터의 갯수가 한계의 수에 도달했을 경우는, 메모리에 기억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없어지므로, 그 이상 화면상에서 캐릭터를 확정하여 그림을 작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림을 작성할 수 없게 되었을 때에 화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의 갯수가 한계에 도달하였다는 것을 그때서야 사용자는 알게 된다.
그렇지만 단지 그림의 작성이 불가능하게 되었다는 것만으로는 다른 원인으로 그림의 작성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줄수가 없는 불편함이 있다.
또 예를들면 화면상에서 사용한 캐릭터의 갯수가 한계에 도달했을 때에, 비로소 이와같은 간접적인 메시지를 보내는 것 만으로는, 예를들면 사용자가 다음에 얼마만큼의 갯수의 캐릭터를 사용할 수 있는가를 인식하면서 게획적으로 그림을 작성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 패턴의 나머지 량을 항상 모니터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면상에서 사용한 캐릭터 패턴의 갯수가 소정의 수에 도달한 것을 부저에 의해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작성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는 예를들면 제1도~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수의 캐릭터패턴을 입력하는 제1입력부(22,23)와 상기 제1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캐릭터패턴의 확정을 입력하는 제 2입력부(33)를 가지는 입력수단(10,11,20,30)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장치(8)에 표시하는 변환수단(3,4,5,6,7)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되고 상기 표시장치(8)의 화면상에 표시한 복수의 캐릭터패턴중 상기 제 2입력부(33)에 의해 확정된 캐릭터패턴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1)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가 소정치로 되었을 때 경고를 행하는 경고수단(15,표시장치상의 표시)과를 갖추고, 상기 계수수단이 계수한 수치를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시에 계수한 수치가 상기 소정치에 달하였을 때 상기 경고수단이 경고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수수단이 계수한 값을 모니터의 화면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계수한 값이 소정의 값에 도달했을 때에 경고수단이 경고를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화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 패턴의 나머지 량을 항상 모니터에 의해 인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화면상에서 사용한 캐릭터 패턴의 갯수가 소정의 수에 도달한 것을 부저에 의해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 화상작성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제1도에 있어서, 부호(1)은 실행키이(33)에 의해 확정된 캐릭터패턴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나타내는 CPU이고, 부호(2)는 버스(어드레스, 제어 및 데이터버스로서 이루어짐), 부호(3)은 실행프로그램 및 각종 추상도형 및 구상도형의 형상을 기억하는 ROM, 부호(4)는 기억영역에 따라서 조작키이의 조작에 의해 그에 해당하는 기억영역에 도형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형번호, 가로(X), 세로(Y)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 여러가지 색을 지정하는 색정보, 스크롤정보 및 애니메이션셀번호 등을 기억하는 RAM이고, 부호(6)은 비디오 프로세서(5)가 읽고 쓰는 전용의 RAM으로 RAM(4)에 기억된 데이터에 기초해서 ROM(3)으로부터의 불러온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RAM(6)에 기억된 데이터를 비디오 프로세서(5)에 의해 차례로 읽어들여서 R,G,B의 신호로 변환하고, 엔코더(7)에 의해 NTSC칼라 영상신호로 변환된 후 표시장치인 모니터(8)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RAM(4)의 기억영역은 일예로 1~100까지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기억영역은 프로그램 및 화상작성장치의 메모리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 엔코더(7)는 비디오 프로세서(5)로부터의 화상데이터신호를 NTSC 방식의 칼라영상신호로 하고 이 NTSC 방식의 칼라영상신호를 모니터(8)에 공급하고, 이 모니터(8)의 화면상에 화상데이터로서 나타나게 한다. 여기서 부호(3,4,5,6,7)은 입력된 데이터를 화상데이터를 변환하여 모니터(8)에 표시하는 변환수단이다. 즉 부호(20)은 후술하는 시트스위치군이며, 이들 시트스위치군(20)은 모니터(8)의 화면상에 나타내는 캐릭터 패턴을 지정하는 키이나 선택한 캐릭터 패턴의 색을 지정하는 키이로 구성한다. 이들 시트스위치군(20)의 어느 한 키이가 눌러지게 되면 이 시트스위치군(20)의 키이부름에 의하여 출력되는 아날로그 정보신호가 A/D 변환회로(12)에서 디지탈정보신호로 변환되고, 게이트회로(14) 및 버스(2)를 통하여 CPU(1)에 공급되도록 한다. 부호(10)은 예를들면 직각으로 배치된 포텐시오미터(Potentiometer)에 의하여 아날로그 위치정보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조이스틱(Joy-stick)으로서, 이 조이스틱 (10)으로부터 아날로그 위치 정보신호가 A/D 변환회로(12)에서 디지탈위치정보신호로 변환되어, 게이트회로(14) 및 버스(2)를 통하여 CPU(1)에 공급되도록 한다. 부호(11)은 슬라이드 볼륨(Slide Volume)으로서, 이 슬라이드 볼륨(11)을 슬라이드 시킴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의 배경색을 바꾸는 아날로그 배경색 정보신호가 A/D 변환회로(12)에서 디지탈 배경색 정보 신호로 변환되어, 게이트회로(14) 및 버스(2)를 통하여 CPU(1)에 공급되도록 한다. 부호(30)은 키이스위치군으로써 클리어-키어(31), 언두(Undo)-키이(32), 실행-키이(33), 전후 지정-키이(34r 및 34f), 소거-키이 (35), GO/STOP-키이(36), 스크롤(Scroll)-키이(37)로서 이루어지고, (모두 제2도 참조) 이들 키이 스위치군(30)의 어느 하나의 키이를 누름에 의하여 출력되는 명령정보신호가 인테페이스(13)회로와 게이트회로(14) 및 버스(2)를 거쳐 CPU(1)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부호(10,11,20,30)은 캐릭터패턴을 선택하고 활용하여 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다. 부호(15)은 경고수단을 나타내는 부저로서, CPU(1)로부터 게이트회로(14)를 통하여 공급되는 스위치의 누름 정보, 각종 명령정보나 조이스틱(10)을 조작하여 도형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고 있을 때의 위치정보에 대응한 신호에 의하여 음성을 발하도록 한다.
우선, 전원스위치(39)가 온(ON)되면, 미리 ROM(3)에 기억된 데모패턴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임의의 키이가 눌러졌으면 커서를 초기설정하며 그후 조작키의 조작에 의한 데이터는 A/D 변환회로(12)에서 디지탈데이터로 변환된 후 게이트회로(14)와 버스(2)를 거쳐 CPU(1)에 입력되고, 상기 CPU(1)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지탈데이터는 RAM(4)에 기억되며 상기 RAM(4)에 기억된 RAM(4)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RAM(3)에 기억된 데이터를 읽여들여서 RAM(6)에 기억된다.
상기 RAM(6)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는 비디오 프로세서(5)에 의해 읽혀진 후 엔코더(7)에 의해 NTSC 칼라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모니터(8)에 출력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에 대한 실시에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제2도에 있어서, 시트스위치군(20)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추상(抽象) 도형-키이(22), 색지정-키이(21) 및 구상(具象)도형-키이(23)로서 구성한다.
색지정-키이(21)는 후술하는 추상도형-키이(22)나 구상도형-키이(23)에 의한 도형에 대하여 화면상에서의 색을 지정하는 키이로서 이 색지정-키이(21)는 백색-키이(21w), 황색-키이(21y), 오렌지색-키이(21o), 적색-키이(21r), 자색-키이(21p), 청색-키이(21b), 녹색-키이(21g), 흑색-키이(21bl)로서 구성하고, 각 키이(21w,21y,21o,21r,21p,21b,21g,21bl)의 누름 부분은 각각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술의 명칭대로, 백색, 황색, 오렌지색, 적색, 자색, 청색, 흑색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키이가 어느색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즉석에서 파악할 수 있다. 추상도형-키이(22)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42개의 키이로서 구성하고, 이들 키이를 누름에 따라 눌렀던 키이에 표시되어 있는 추상도형을 화면상에 나타내도록 한다.
구상도형-키이(23)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상도형이 각각 표시된 예를들면 14개의 키이(23a,23b,…,23n)로서 구성하고, 이들 키이를 누름에 따라 눌렀던 키이에 표시되어 있는 구상도형을 화면상에 나타내도록 한다. 여기서 추상도형키이922), 구상도형키이923)는 캐릭터패턴을 입력하는 제1입력부이다. 또한 클리어-키이(31)는 화면상에 나타낸 도형을 클리어처리하는 키이이고, 언두-키이(32)는 어떤 명령에 의한 상태의 전상태로 되돌리도록 하는 키이이고, 부호(33)은 추상도형-키이(22)나 구상도형-키이(23)로 선택한 도형의 위치를 확정하여 입력하는 제 2입력부를 나타내는 실행키이이고, 전후 지정-키이(34r 및 34f)는 각각 도형의 전후를 지정하는 키이이고, 소거-키이(35)는 도형을 삭제하는 키이이고, GO/STOP-키이(36)는 도형을 움직이게 하거나 정지하게 하는 키이이고, 스크롤-키이(37)는 도형을 스크롤 시키는 키이이다. 이 스크롤-키이(37)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크롤의 상태를 표시한 9개의 키이(37a,37b,…37i)로서 이루어지고, 추상도형-키이(22)나 구상도형-키이(23)로 선택한 도형을 모니터(8)의 화면상에서 각 스크롤-키이(37a,37b,…,37i)에 나타낸 움직임으로 스크롤 시키는 것이다.
또, 부호(38)은 부저(15)를 울릴것인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부저스위치이고, 부호(39)는 전원스위치이다.
다음으로 제5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상작성장치에 대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원스위치(39)가 온(ON)되면, 스텝(1000)에서는 데모를 수행한다.
이 데모는 미리 ROM(3)에 기억된 데포패턴 프로그램으로부터 모니터(8)의 화면상에서 추상도형이나 구상도형으로 구성된 그림이 스크롤 하거나 움직이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1100)으로 수행한다.
스텝(1000)에서는 임의의 키이(제2도 또는 제3도 참조)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1200)을 수행하고, 「NO」이면 다시 스텝(1100)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1200)에서는 커서의 초기설정을 행한다. 이 커서의 초기설정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예를들면 미리 ROM(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예를들면 ROM(4)의 기억영역에 소정의 추상도형(예를들면 동그라미)을 나타내는 위치(X,Y)(모니터 화면상에 있어서, 횡축 및 종축의 좌표)와, 색 데이터가 각각 기억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기억영역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모니터(8)의 화면에 대응한 RAM(6)에, 버스(2)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도형이 미리 정해진 색데이터로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억시키게 된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5)가 이 RAM(6)의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여진 화상데이터가 엔코더(7)를 통하여 모니터(8)에 공급된다. 따라서 모니터(8)의 화면상에는 커서로 나타낸 제6도(A)에 표시한 바와같은 적재 동그라미 형상의 추상도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스텝(1300)을 수행한다.
스텝(1300)에서는 조이스틱(10)이 움직여졌는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1400)을 수행하고, 「NO」이면 스텝(1500)을 수행한다.
스텝(1400)에서는 제4도에 나타낸 RAM(4)의 기억영역의 위치(X,Y)의 데이터를 조이스틱(10)으로부터 A/D 변환회로(12)와 게이트회로(14) 및 버스(2)를 통하여 공급되는 디지탈위치 정보신호에 대응하여 수시로 변경하고, 다시 이들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ROM(3)에 기억되어 있는 도형을 읽어들여서 색번호에 대응한 색데이터로써, 위치(X,Y)에 대응한 위치(어드레스) 등을 RAM(6)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5)가 이 RAM(6)의 화상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여진 화상데이터가 엔코더(7)를 통하여 모니터(8)에 공급됨으로써, 예를들면 제6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커서로 나타낸 추상 도형을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은 위치에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1500)에서는 슬라이드 볼륨(배경색버튼)(11)이 움직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16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1700)을 수행한다.
스텝(1600)에서는 모니터(8)의 화면상에 도형이외의 부분을 지정된 배경색으로 변경한다. 즉 배경에 대응하는 RAM(6)의 어드레스 영역에 지정한 배경색의 색데이터를 기억시킨다. 그리고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1700)에서는 임의의 키이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18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1300)으로 되돌아간다.
이 임의의 키이를 누르면 후술하는 구상도형-키이(23)로 나타낸 모니터(8) 화면상의 구상도형의 움직임이나 추상 및 구상도형의 스크롤이 정지하게 된다.
스텝(1800)에서는 구상도형의 움직임이나 이 구상도형이나 추상도형의 스크롤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19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000)을 수행한다.
스텝(1900)에서는 구상도형의 움직임이나 구상 및 추상도형의 스크롤을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2000)을 수행한다.
스텝(2000)에서는 실행-키이(33)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21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200)을 수행한다.
스텝(2100)에서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커서가 도형의 경우이면 그 커서가 있는 위치에 그 커서로 되어 있는 도형이 확정된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RAM(4)의 위치(X,Y)가 확정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기억 영역이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2200)에서는 색지정-키이(21)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23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400)을 수행한다.
스텝(2300)에서는 커서의 색을 변경한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RAM(4)의 기억영역에 해당하는 색에 대한 색데이터를 색지정-키이(21)로 지정된 색에 대응한 색데이터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RAM(6)에서는 상술한 RAM(4)에 기억된 색데이터로 상술의 기억영역의 도형이 기억시켜진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5)가 RAM(6)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여진 화상데이터가 엔코더(7)를 통하여 모니터(8)에 공급되고, 모니터(8)의 화면상에 커서로 나타낸 도형이 색지정-키이(21)에서 지정한 색으로 되어 나타난다. 예를들면 제6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색지정-키이(21g)를 누르면 추상도형이 녹색으로 변한다. 그리고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2400)에서는 추상도형-키이(22)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25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600)을 수행한다.
스텝(2500)에서는 커서의 형상을 변경한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RAM(4)의 기억영역에 해당하는 도형번호란의 도형번호 데이터를 추상도형 -키이(22)로 지정된 도형에 대응한 도형번호 데이터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RAM(4)에 기억된 도형번호 데이터에 대응한 도형데이터를 ROM(3)으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여진 도형데이터가 상술한 기억영역의 각 데이터에 기초하여 RAM(6)에 기억시켜진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5)가 RAM(6)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여진 화상데이터가 엔코더(7)를 거쳐 모니터(8)에 공급되고, 모니터(8)의 화면상에 커서로 나타낸 도형이 추상도형-키이(22)에 의해 지정한 도형으로 되어 나타난다. 예를들면 제6도(D)에 나타낸 바와같이 동그라미 형상이었던 커서는 추상도형-키이(22)의 정사각형표시가 있는 키이를 누르면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2600)에서는 구상도형-키이(23)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25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70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2500)에서는 커서의 형상을 변경한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RAM(4)의 기억영역에 해당하는 도형번호란의 도형번호 데이터를 구상도형 -키이(23)로 지정된 도형에 대응한 도형번호 데이터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RAM(4)DP 기억된 도형번호 데이터에 대응한 도형데이터를 ROM(3)으로부터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여진 도형데이터가 상술한 기억영역의 각 데이터에 기초하여 RAM(6)에 기억시켜진다.
그리고 비디오 프로세서(5)가 RAM(6)에 기억된 화상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여진 화상데이터가 엔코더(7)를 통하여 모니터(8)에 공급되고, 모니터(8)의 화면상에 커서로된 도형이 구상도형-키이(23)에 의해 지정한 도형으로 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후 예를들면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가고, 재6도(E)에 나타낸 바와같은 위치에 추상도형을 조이스틱(10)으로 수행하고, 스텝(2000)에 있어서, 실행-키이(33)를 누르면 제6도(F)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형의 위치, 색, 형상이 결정되고 다시 커서는 같은 도형 그대로 된다.
스텝(2700)에서는 소거-키이(35)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2800)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900)을 수행한다. 또한 이 소거-키이(35)는 예를들면 후술하는 손의 형상의 범위지정용 포인터(Pointer)(P)에 의하여 화면상에 있는 도형을 소거함과 동시에 제4도에 나타낸 기억영역으로부터 이 도형의 모든 정보를 소거하는 것이다.
스텝(2800)에서는 커서의 형상을 재6도(H)에 나타낸 바와같이 손의 형상의 범위지정용포인터(P)로 변경한다. 그리고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 간다.
스텝(2900)에서는 전후 지정-키이(34r 또는 34f)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2800)을 수행하여 커서의 형상을 범위지정용포인터(P)로 변경하고 「NO」이면 스텝(3000)을 수행한다.
스텝(3000)에서는 스크롤-키이(37)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2800)을 수행하며, 커서의 형상을 범위지정용포인터(P)로 변경하고,「 NO」이면 스텝(3100)을 수행한다.
스텝(3100)에서는 클리어-키이(31)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3200)을 수행하며, 후술하는 클리어용의 처리를 행하고,「NO」이면 스텝(3300)을 수행한다.
스텝(3300)에서는 GO/STOP-키이(36)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3400)을 수행하고,「NO」이면 다시 스텝(130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3400)에서는 움직임, 즉 추상도형이나 구상도형의 스크롤이나 구상도형의 움직임을 시작한다. 예를들면 스크롤의 경우는 스크롤-키이(37)를 구성하는 각 스크롤-키이(37a,37b,…,37i)의 상부에 각각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처럼 위치의 확정 후, 범위지정용포인터(P)에 의하여 지정한 추상도형이나 구상도형을 모니터(8)의 화면상에 있어서 스크롤 시킨다. 이 스크롤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RAM(4)의 기억영역에 해당하는 스크롤코드란의 스크롤코드 데이터가 눌러진 스크롤-키이(37)에 대응하여 다시 써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비율로 위치(X,Y)의 데이터가 순차변경됨과 동시에, 순차변경된 RAM(4)의 기억영역의 데이터에 따라서 RAM(6)DP 차례로 화상데이터로서 써넣고, 순차 비디오 프로세서(5)로 읽어들인다. 그리고 이 읽어들여진 화상데이터가 엔코더(7)를 통하여 모니터(8)에 공급됨으로써 제6도(I)에 나타낸 바와같이 도형이 스크롤하게 된다.
또한 스텝(3400)에서 스크롤이나 구상도형의 움직임이 시작된 후에, 다시 GO/STOP-키이(36)나 다른 임의의 키이가 눌러지면, 이들 스크롤이나 구상도형의 움직임은 정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술한 제5도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같이, 모니터(8)의 화면상에서 그림을 작성할 때에는 추상도형-키이(22)나 구성도형-키이(23)를 누루고, 다시 실행-키이(33)를 누르고, 이하, 이 반복을 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렇지만, RAM(4)의 기억영역에는 한계(예를들면 도형 100개분까지)가 있다. 따라서 화면상에서 그림을 작성하고 있을 때에는, 항상 현시점에서 얼마만큼의 수의 도형을 사용했는지 사용자가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도형의 수가 한계수(예를들면 100)에 도달했을 때에 명확한 경고를 사용자에 대해 행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제7도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술한 사용도형의 수나 사용할 수 있는 도형의 수가 한계수에 도달한 경우의 경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낸 루틴(Routine)은 제5도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스텝(2000)에서 실행-키이(33)가 눌러지고, 스텝(2100)을 수행함에 따라 시작된다.
우선 스텝(2130)에서는 변수(사용한 도형의 수)(M)를 0으로 한다. 그리고 스텝(2131)을 수행한다.
스텝(2131)에서는 확정한 도형이 추상도형 또는 구상도형인지를 판단하고, 「YES」이면 스텝(2132)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139)을 수행한다.
스텝(2132)에서는 변수(M)에 1을 가산한다. 그리고, 스텝(2133)을 수행한다.
스텝(2133)에서는 변수(M)의 값을 RAM(6)의 소정위치에 써넣는다. 이에 따라 제8도(A)에 나타낸 바와같이 화면상의 오른쪽 위에 이 화면상에서 그림을 구성하고 있는 현시점에서의 도형의 수(도면에 있어서는「99」)가 나타난다. 또한 이 제8도에 있어서는 이들 그림을 구성하고 있는 각 도형에 대한 색의 구별표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들면 사용할 수 있는 도형의 수에 대한 한계수가 100이면, 제8도(A)의 경우에서는 「99」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다름 사용할 수 있는 도형의 수는 「1」이라고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스텝(2134)을 수행한다.
스텝(2134)에서는 변수(M)가 100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YES」이면 스텝(2135)을 수행하고,「NO」이면 스텝(2139)을 수행한다.
스텝(2135)에서는 커서를「100」으로 변경한다. 즉 RAM(4)의 커서로 된 도형의 기억영역의 도형번호의 위치에「100」을 나타낸 도형번호데이터를 써넣는다. 이에 따라 RAM(6)의 소정위치에「100」을 써넣는다. 그리고 스텝(2136)을 수행한다.
스텝(2136)에서는 추상도형-키이(22) 및 구상도형-키이(23)를 각각 실행불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스텝(2137)을 수행한다.
스텝(2137)에서는 버스(2) 게이트회로(14)를 거쳐 부저(15)에 경고정보 신호를 공급하고 부저(15)를 올리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2138)을 수행한다.
스텝(2138)에서는 RAM(6)에 곁어진 화상데이터를 비디오 프로세서(5)로 읽어들이고, 이것이 엔코더(7)를 통하여 모니터(8)에 공급되고, 제8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화면상에서는「100」으로 나타나고, 그리고 종효한다.
스텝(2139)에서는 커서에 대한 처리를 행하며, 다시 스텝(2131)으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바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화면상에서 그림을 작성할 때는 수시로 그 화면상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도형의 갯수를 나타냄과 동시에 한계의 수에 도달했을 때는 부저(15)에서 음성을 발생시키고, 이와동시에 화면상에 한계의 수를 커서로서 표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사용자는 계획적으로 그림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계의 수에 도달한 것을 부저에 의해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제9도는 예를들면 이 화상작성장치에서 그림을 작성하기 시작하고부터 소정시간, 예를들면 1시간 경과한 경우의 화면상의 나타내는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즉 CPU(1)가 예를들면 그림의 작성이 시작되고부터의 시간을 계측하고, 에를들면 1시간 경과했을 때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작성한 그림 전체를 어둡게(예를들면 흑색)함과 동시에, 이 도면 중앙의 하부에 인간형상의 가이드를 나타내고, 마치 체조의 동작을 하고 있는 것과 같은 동작을 시킨다. 이 가이드는 ROM(3)에 미리 써넣어진 예를들면 3가지의 형상을 가지며, 이 3가지의 형상을 순차 RAM(6)에 써넣음에 따라서, 화면상에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체조의 동작을 행하고 있는 것처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에 대하여 장시간 행하지 않도록 경고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에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타 여러가지의 구성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을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수수단이 계수한 값을 모니터에 의해 화면상에 표시함과 동시에, 계수한 값애 소정의 값에 달했을 때에 경고수단에 의해 경고를 행하도록 한 것이므로, 화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패턴의 나머지량을 항상 모니터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면상에서 사용한 캐릭터패턴의 갯수가 소정의 수에 도달한 것을 부저에 의해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화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캐릭터패턴의 나머지량을 항상 모니터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계획적으로 그림을 작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모니터(8)에 의해 화면상에 캐릭터를 표시하는 화상작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캐릭터패턴을 입력하는 제1입력부(22,23)와 상기 제1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캐릭터패턴의 확정을 입력하는 제 2입력부(33)를 가지는 입력수단(10,11,20,30)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화상데이터로 변환하여 표시장치(8)에 표시하는 변환수단(3,4,5,6,7)과, 상기 입력수단에 입력되고 상기 표시장치(8)의 화면상에 표시한 복수의 캐릭터패턴중 제 2입력부(33)에 의해 확정된 캐릭터패턴의 갯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1)과,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가 소정치로 되었을 때 경고를 행하는 경고수단(15,표시장치상의 표시)과, 를 갖추고, 상기 계수수단이 계수한 수치를 상기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동시에 계수한 수치가 상기 소정치에 달하였을때 상기 경고수단이 경고를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작성장치.
KR1019910014718A 1990-09-06 1991-08-24 화상작성장치 KR9600008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36810 1990-09-06
JP2236810A JPH04116776A (ja) 1990-09-06 1990-09-06 画像作成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841A KR920006841A (ko) 1992-04-28
KR960000820B1 true KR960000820B1 (ko) 1996-01-13

Family

ID=1700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718A KR960000820B1 (ko) 1990-09-06 1991-08-24 화상작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16776A (ko)
KR (1) KR9600008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16776A (ja) 1992-04-17
KR920006841A (ko)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3036A (en) Mobile station with touch input having automatic symbol magnification function
US5511983A (en) Graphic image generating apparatus with automatic demonstration image generating program
CA2046968C (en) Graph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211625B1 (ko) 애니메이션 그림 장치
EP083615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276498B1 (ko)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장치
JPH05165593A (ja) 画像編集装置における領域選択方式
KR960000820B1 (ko) 화상작성장치
US6377254B1 (en) Information input/output apparatus
JPH07160398A (ja) ペン入力装置
KR100248450B1 (ko) 화상작성시스템
KR100248449B1 (ko) 화상 작성 시스템
KR950005535B1 (ko) 화상작성 시스템에 있어서의 클리어 처리방법
JP3357504B2 (ja) ディジタル波形のパターン変更方法
JP3257100B2 (ja) 手書き入力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822474B2 (ja) トレンドグラフ表示装置
JPH04118781A (ja) 画像作成システム
JP2510042B2 (ja) キ―配列位置の表示機能を備えた文書作成装置
JPH07248866A (ja) 文字入力装置
KR20000047230A (ko)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JPS6246890B2 (ko)
JPH0310390A (ja) 文字認識装置
JPS58114203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のcrt図示式プログラミング装置
JPH08249117A (ja) カーソル切換装置
JPH11338596A (ja) 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