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60B1 -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60B1
KR960000560B1 KR1019880008696A KR880008696A KR960000560B1 KR 960000560 B1 KR960000560 B1 KR 960000560B1 KR 1019880008696 A KR1019880008696 A KR 1019880008696A KR 880008696 A KR880008696 A KR 880008696A KR 960000560 B1 KR960000560 B1 KR 96000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ire
layer
radial tire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728A (ko
Inventor
마사히로 구로사와
나미오 이소베
기미오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요꼬하마고무 가부시기가이샤
모또야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꼬하마고무 가부시기가이샤, 모또야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요꼬하마고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05Pretreatment of tyres or parts thereof, e.g. preheating, irradiation, prec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66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particle radiation
    • B29C2035/0877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n radiation, e.g. beta-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 B29K2105/243Partially c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yre Moulding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제1도는 본 발명이 되는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1예를 나타내는 반단면도.
제2도(a) 및 (b)는 각각 종래 타이어의 밸트 보강층 슬플라이스(Splice)부의 가류전 및 가류후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타이어의 유니포미티레벨(Uniformity level)(RFV)를 나타내는 도면.
종래 승용차 고속주행시의 소음 또는 진동에 영향을 주는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유니포미티레벨(RFV)은 타이어 제조시 벨트부 보강층의 양단이 중합되어짐에 의해 형성되는 중합부 즉, 스플라이스부 가류시의 변형에 기인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트레드부, 사이드 월(sidewall)부, 비드(bead)부, 카카스(carcass)부, 벨트부 및 적어도 1층의 벨트보강층등으로 구성된 래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이벨트부의 양단부와 트레드부와의 사이에는 타이어의 원주방향 전주(全周)에 걸쳐 전기벨트층의 양단부를 피복하는 벨트 보강층의 설해져 있다. 이 벨트 보강층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중합하는 스플라이스부는 이 벨트 보강층의 벨트부에 대하는 보강기능에 관계할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유니포미티에 영향을 주고 고속 주행시의 소음 또는 진동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자들은 미국특허 제 4,221,253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전자선을 이용한 고무가류기술에 착안하고, 이 가류기술을 이용한 전기 벨트부 보강층의 스플라이스부에 기인하는 타이어 유니포미티 저하가 적은 래디얼 타이어 제조방법에 대하여 예의 검토를하여 본 발명에 도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스플라이스부를 형성하는 벨트부 보강층의 중합층폭의 가류전후에 있어 변동이 적고 양호한 유니포미티레벨(RFV)을 갖는, 고속주행시의 소음 및 진동 이적은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부(Tread)부(1), 한쌍의 사이드월부(2), 한쌍의 비트부(3), 이양비드부(3)에 걸쳐 래디얼 방향에 배치한 적어도 1층의 카카스층으로되는 카카스부(4), 벨트부(5) 및 적어도 1층의 벨트보강층(도면에서는 6a,6b 2층)으로 구성된 래디얼 타이어에 있어서, 이 벨트부(5)의 양단부와 트레드부(1)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벨트 보강층(6)은 소정의 폭에서 타이어의 원주방향 전주(全周)에 걸쳐서 벨트층(5)의 양단부를 피복하고 있다.
이 벨트 보강층(6)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제2도(a)에서 나타내는대로 소정의 겹침길이 W1, 에서 오버랩하고, 스플라이스부(7)를 형성하고, 타이어의 가류이전에 접합 고정되어 있다.
제2도(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벨트보강층(6)은 보강코드층(8)과 외측을 피복하는 미가류고무층(9)으로 구성된다. 이 미가류피복고무층(9)을 갖는 벨트 보강층(6)과 벨트부(5)의 전주에 미가류 고무로 되는 트레드부(1)가 적층되고, 이것이 타이어 제조용 모울드에 의해 미가류 타이어(green tire)로 성형된다. 성형된 그린 타이어는 전기 모울드의 내측에서 가압, 가열된 가류되고, 제품타이어로 된다.
그런데 이 가압, 가열시에 모울드 내부에서 그린 타이어는 방사외방으로 신장되고, 미가류고무는 온도상승에 의해 연화, 유동해서 모울드 내면에 압착된다. 이때, 전기벨트 보강층(6)의 양단부가 중합하고, 스플라이스부(7)의 보강코드층(8)이 열수축하기 때문에 스플라이스(7)의 폭이 제2도(a)에 나타낸 미가류시의 폭 W1에서 제2도(b)에 나타낸 가류 후의 폭 W2까지 감소한다. 이벨트 보강층(6)의 스플라이스폭이 감소하면, 가류타이어의 유니포미티레벨(RFV)은 저하한다. 경우에 따르는 것이지만, 미가류시의 스플라이스부 폭 W1이 불충분한때에는 가류 후의 스플라이스부의 폭 W2은 제로(0)가 되고, 이 벨트 보강층(6)은 그 보강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위험이 있다. 여기서, 타이어의 유니포미티레벨(RFV)은 철제의 드럼 회전축선과 평행한 회전축선을 갖는 제품 타이어의 소정의 공기압을 충진해서 철제 드럼에 수직으로 소정의 하중으로 압압했을때, 철제드럼의 회전축에 생기는 수직방향의 하중 변동량(제품타이어의 둘레방향 하중의 군일성능에 대응한다)에 의해 나타나진다.
그래서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하중의 변동곡선(22)의 상하 피크 P22과 P24의 피크차 ㅿP20의 값이 큰만큼 RFV는 커서 다이어의 품질은 저하함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RFV의 콘타이어를 승용차에 장착하여 고속주행하면 소음 또는 진동을 일으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트레드부, 사이드월부, 비드부, 카카스부, 전기 카카스부와 트레드부 사이에 비치한 벨트부 및 이 벨트부를 보강하는 보강층등 타이어 구성재료를 각각 미가류 상태에서 적층하고, 성형, 가류함에 임해서 전기벨트 보강층으로서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해서 부분가교 시킨것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전리성 방사선으로서는 전자선과 r선이 있지만, 바람직하기는 전자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고무 조성물을 구성하는 고무성분으로서는 천연고무 혹은 디엔게고무가 적당하다. 다시, 이 고무조성물에는 통상의 타이어 제조용 고무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배합체, 예컨대, 가류, 가류촉진제, 보강제, 충진제, 가소제, 노화방지제등의 약품이 배합된다.
이와같은 고무조성물 및 나일론, 폴리에스텔섬유, 듀퐁사의 "케부라"로 대표되는 아라미드 섬유등의 유기섬유로되는 보강코드를 이용해서 벨트 보강층이 작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 벨트 보강층에 미리 전리성 방사선을 조사한것을 전기타이어 구성재료, 즉 벨트층과 적층하고, 이어서 이 적층체를 성형해서 그린 타이어를 작제하고 가류 모울드를 가압하에 가열해 가류할 필요가 있다. 즉, 벨트 보강층으로서 미리 전리방사선을 조사하고 이 벨트 보강층에 포함되는 고무 조성물의 가류속도를 조절한 것을 사용하고 그린 타이어의 가류, 성형시의 스플라이스부 폭의 변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벨트 보강층에 대한 상기 전리성 방사선, 특히 전자선의 조사조건으로서는, 벨트 보강층을 구성하는 고무조성물의 조성과 이 벨트 보강층의 형성, 두께등에 의해 약간 상이하지만, 가속전압을 적어도 100㎸이상, 흡수선량을 2~10M㎭ 범위내로하는 것이 좋다.
이 전자선의 가속전압, 흡수선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이 보강층 양단부의 스플라이스부의 가류전후폭 변화를 감소 또는 억제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유니포미티(RFV)를 개량할 수가 없다.
또, 지나치게 크면 벨트 보강층의 고무물성을 저하 시키는 것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 벨트 보강층으로 벨트부를 보강한 그린타이어를 모울드로 가압하에 가열해서 가류할때 모울드의 불래더(bladder) 내압은 적어도 10kgf/Cm2로 하는것이 좋다.
이것은 가류시의 스플라이스폭의 감소는 가류시의 스플라이스부의 피복고무의 열유동(熱流動)에 의해, 보강코드의 열수축이 해방되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따라서 스플라이스부의 피복 고무를 전자선에 의해 부분가교하고, 유동하기 어렵게하면, 이 스플라이스부에 모울드와 블래더의 스플라이스부를 협입 하는 힘이 잘 전달되게끔 되고, 스플라이스폭의 감소를 적게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 전자선의 흡수 선량은 다음의 측정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전자선 흡수선량: 후지사진필름(주)제의 FTR-125(三작산세루로스)를 고무시이트 표면에 첨부해서 측정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5, 비교예 1~4
천연고무: ...50 중량부
SBR(styrene-butadiene rubber) ...30 중량부
BR(butadiene rubber) ...20 중량부
카본블랙(GPF) ...60 중량부
유(油) ... 5 중량부
유황 ... 3 중량부
가류촉진제 ...1.5 중량부
를 각각 배합하고 B형 밴버리 믹서(Bumbury mixer)를 이용하여 혼련한다음 얻어진 고무 조성물로 나일론으로 되는 보강코드를 피복하고, 벡트보강층을 작제했다 얻어진 벨트 보강층에 대하여 각각 표1에 나타내는 흡수선량의 전자선을 조사(照射)한다음 벨트부에 적층하고, 다시 다른 타이어 구성재료를 적층해서 제1도에 나타내는 구성의 그린타이어를 작제했다.
이들 그린타이어를 표 1에 나타내는 가류 조건이 다른 가류 모울드에 넣어 가류하고, 각각 타이어 싸이르가 195/60 R 14의 타이어를 작성했다 얻어진 타이어의 유니포미티레벨(RFV)을 측정하고 표1에 나타냈다.
표 1중 RFV는 비교예 3의 타이어 측정값을 100(기준)으로 하는 상대값(지수)이고, 이 값의 작은 만큼 RFV가 양호함을 나타낸다.
표 1에서 전자선 조사에 의해 부분가교한 벨트보강층을 갖는 타이어는 그 RFV가 적고, 유니포미티에 우수함을 알았다.
또 가류시의 블래더 압력도 10kg/Cm2이상이 바람직함도 알았다.
또 전자성 이외에 r선등의 단파장전자파로도 같은 효과를 얻는것이 가능하다.
[표 1]
Figure kpo00001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조법에 의하면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벨트보강층에 전자선을 조사함에 의해 타이어의 제조공정을 실질적으로 변경함이 없이 이 벨트부 보강층의 양단부가 서로 중합하고, 스플라이스부에 기인하는 유니포미티저하 문제를 해결함에 성공한 것이다. 즉, 종래의 상기 스플라이스부에 기인하는 유니포미티저하의 대칙(실개소 61-181716호 공부)처럼, 이 스플라이스부를 사전에 접착제로 결합하고, 미싱으로 봉합하고, 가류제를 도부하는 등하여 결합하는 등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하지 않으니까 생산성이 양호하고 그러면서도 이 스플라이스부에 접착제를 도부하고, 이 스플라이스부를 봉합한 경우에 생기는 스플라이스부의 강직화를 걱정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Claims (3)

  1. 트레드부, 한쌍의 사이드월부, 한쌍의 비드부, 이 양비드부에 걸쳐 배치한 적어도 한층의 카카스층으로 되는 카카스부, 전기카카스부와 트레드부간에 배치한 벨트부 및 이 벨트부를 보강하는 보강층을 각각, 미가류 상태에서 적층하고 성형, 가류함에 임해서, 전기 벨트보강층으로서 전리성방사선을 조사해서 부분가교 시킨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리성 방사선이 전자선이고, 전자선 조사에 있어, 가속전압이 적어도 100KV이고, 전자선 흡수선량이 2~10Mrad범위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미가류 상태의 적층체를 적어도 10kgf/Cm2의 블래더 내압에서 조정한 모울드내에서 성형, 가류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KR1019880008696A 1987-07-22 1988-07-13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KR960000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80996 1987-07-22
JP62180996A JPS6424732A (en) 1987-07-22 1987-07-22 Preparation of radial tire for passenge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28A KR890001728A (ko) 1989-03-28
KR960000560B1 true KR960000560B1 (ko) 1996-01-09

Family

ID=1609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696A KR960000560B1 (ko) 1987-07-22 1988-07-13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S6424732A (ko)
KR (1) KR960000560B1 (ko)
DE (1) DE3824626A1 (ko)
FR (1) FR2618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030U (ko) * 1989-04-27 1990-11-22
US5088583A (en) * 1989-04-27 1992-02-18 Kabushiki Kaisha Daikin Seisakusho Clutch cover assembly with spring biased release assembly
JPH0632505Y2 (ja) * 1989-07-14 1994-08-24 株式会社大金製作所 クラッチカバーアッセンブリ
JPH04136525A (ja) * 1990-09-28 1992-05-11 Aisin Seiki Co Ltd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2003019762A (ja) * 2001-07-06 2003-01-21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89295A (fr) * 1971-09-27 1973-03-26 Firestone Tire & Rubber Co Vulcanisation partielle d'elastomeres synthetiques par irradiation
CA1068460A (en) * 1973-01-05 1979-12-25 Theophilus K. Seiberling Irradiation of rubber in the manufacture of tires
US3901751A (en) * 1973-04-06 1975-08-26 Goodyear Tire & Rubber Method of making radial ply tires
DE2411267A1 (de) * 1973-04-09 1974-10-24 Goodyear Tire & Rubb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neumatischen reifens
JPS55128447A (en) * 1979-03-29 1980-10-04 Sumitomo Rubber Ind Ltd Preparing method for cordless tire
US4221253A (en) * 1979-04-20 1980-09-09 Mildred Kelly Seibering Radiation cure of tire elements
JPS6059858B2 (ja) * 1980-06-10 1985-12-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二層構造トレツド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S59210958A (ja) * 1983-05-13 1984-11-29 Toyo Tire & Rubber Co Ltd タイヤのゴム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728A (ko) 1989-03-28
FR2618380A1 (fr) 1989-01-27
DE3824626A1 (de) 1989-02-02
JPS6424732A (en) 198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9658A (en) Pneumatic safety tire
US4917164A (en) Pneumatic safety tire
EP2457749B1 (en) Method for making a tire with foam noise damper and pneumatic tire
US6406575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neumatic tire
EP2025500B1 (en) Method of producing pneumatic tire
CA1100673A (en) Super rigid rubber composition and a tire using the same
EP0367556A2 (en) Pneumatic tyre
US5538572A (en) Method of making a pneumatic radial tire having inner carcass ply cord tension smaller than outer carcass ply cord tension
KR960000560B1 (ko) 승용차용 래디얼 타이어의 제조법
US5015315A (en) Method of making a pneumatic tire
JPH04118302A (ja) 空気入タイヤ
JPH1142909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EP3255099B1 (en) Tire
EP2025499B1 (en) Method of producing pneumatic tire
CA1336969C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rubber products
EP0426389A2 (en) A pneumatic tyre
JP279045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528631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084255B2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232829B1 (ko) 공기입 타이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공기입 타이어
JP2539227B2 (ja) ゴム製品の製造法
JPH04191102A (ja) 建設車輛用空気入りバイアスタイヤ
JP2002307443A (ja) タイヤの加硫方法および空気入りタイヤ
JPH09109285A (ja) スペアタイヤの製造方法
KR20030025976A (ko)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O063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