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780B1 - 이동하고 있는 길다란 물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하고 있는 길다란 물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780B1
KR950013780B1 KR1019910701467A KR910701467A KR950013780B1 KR 950013780 B1 KR950013780 B1 KR 950013780B1 KR 1019910701467 A KR1019910701467 A KR 1019910701467A KR 910701467 A KR910701467 A KR 910701467A KR 950013780 B1 KR950013780 B1 KR 95001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
distance
long object
detection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886A (ko
Inventor
진동지
가즈로오 구리하라
후미히꼬 아베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 뗀끼 고요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도모마쓰 겐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 뗀끼 고요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도모마쓰 겐고오 filed Critical 후루까와 뗀끼 고요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JP21302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88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30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86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130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86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882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957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769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254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977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52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574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88008A/ja
Publication of KR92070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2Code or colour mar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11/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이동하고 있는 길다란 물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자기식 마아킹방식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 2 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제 1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부분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의 엔코우더 방식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a~f는 제 4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 7 도는 a~i는 제 6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 8 도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 9 도는 a~d는 제 8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11도는 a~f는 제10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13도는 제12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기능블록으로 한 도해한 도면.
제14도는 제13도에 표시하는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이고,
제15도는 제12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제13도와 상이하는 기능블록으로서 도해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로서의 마아킹방식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서의 마아킹방식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18도 및 제19도는 제17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계척장치를 기능블록으로 표시하는 도면.
제21도는 제20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 플로우차아트.
제22도는 제23도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계척장치가 대상으로 하는 측정조건을 도해하는 도면.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24도 및 제25도는 제23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변형형태를 표시하는 도면.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27도는 제26도의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29도a~g는 제28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30도a.b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부분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31도는 제30도b의 확대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33도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로서의 계척기준거리를 측정하는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의 구성을 표시하는 도면.
제34도는 제33도에 표시한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의 변형형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이동하고 있는 길다란 물건. 예컨대 통신용 케이블 등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계척(計尺)장치 및 계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통신용 케이블, 전력용 케이블 등의 길다란 물건을 측정하는 경우, 길다란 물건이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한다. 그 측정방법으로서는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여, 그 계척기준거리에 대하여 측정한 길이를 누적해 간다. 케이블의 길이는 매우 길기 때문에 계척기준거리당의 측정 오차가 누적되면 케이블 전체의 길이로서는 큰 오차가 된다. 따라서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정밀도는 매우 높아야 한다.
최근, 고정밀도로 계척된 케이블을 사용한 프레하브공법의 실용화가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프레하브공법에 있어서는 케이블 길이를, 예컨대 0.02% 정도의 매우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종래,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엔코우더방식과 마아킹방식(척취방식)이 알려져 있다.
엔코우더방식은 이동하고 있는 케이블에 하나의 엔코우더 휠(회전부재)을 접촉시켜 케이블의 이동에 의하여 엔코우더 휠을 회전시켜서, 케이블 이동량에 대응하는 펄스를 엔코우더로부터 출력시켜, 그 펄스를 계수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한다.
엔코우더 방식은 간단한 구성으로 계척을 할 수 있고, 마아킹 방식으로는 계척할 수 없는 짧은 길이도 계척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엔코우더 방식에 있어서는 엔코우더 휠의 슬립, 온도변화 또는 마모 등에 의한 엔코우더 휠의 외경의 이동, 케이블의 표면의 변형 등에 의한 오차가 상당히 크고, 그 검출정밀도는 기껏 0.2% 정도이며, 프레하브공법 등에서 요구되고 있는 0.02% 정도의 높은 정밀도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마이킹방식은 예컨대 특개소 57-2820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마아킹방식에 있어서는, 케이블의 이동방향에 계척기준거리를 띄어서 마아커와 마아커에 의하여 붙여진 마아크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가 마아크를 검출하면, 그 검출신호를 계척장치 본체에 출력하고, 계척장치 본체는 마아커를 구동하여 케이블의 표면에 마아크를 붙여, 케이블이 계척기준거리만큼 이동한 것으로 하여 카운터를 1만큼 진행시킨다. 마아커에 의하여 붙여진 마아크는 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케이블의 길이의 측정동작을 반복하여, 최종의 카운트수(N)에 계척기준거리(S)를 곱하여 케이블의 전길이를 산출한다.
마아킹방식은 미리 정해진 계척기준거리의 정수배로서 케이블의 계척을 행하므로 엔코우더방식보다도 측정 정밀도가 높다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마아킹방식은 계척기준거리보다도 짧은 계척을 할 수 없고, 이동하는 케이블에 붙이는 마아커의 위치적인 마아킹 정밀도가 낮아 전후하는 마아크간의 거리가 변동하였을 때 측정오차가 생기며, 케이블의 이동속도가 변동하였을 때 측정 오차가 생기고, 케이블의 표면의에 의하여 마아커의 동작타이밍이 어긋나서 마아크 사이의 거리가 변동하였을 때 측정오차가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엔코우더방식이든 마아킹방식이든, 상기와 같은 오차발생의 요인을 체크할 수 없다는 문제에 부딛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등의 장척물을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높은 정밀도로 측정하는 계척장치 및 계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 이동하고 있는 장척물의 이동속도가 변동되고 정확한 계척이 가능한 계척장치 및 계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신회성이 높은 계척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마아킹방식을 이용한 계척장치 및 계척방법에 있어서 정확도가 필요한 계척기준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거하면 장척물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계척기준거리 만큼 떨어져서 배치되어,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 또는 상기 장척물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인 마아클르 검출하는 제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사이의 거리 또는 테이프에 붙인 마아크와 마아크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의 거리차인 여장을 측정하는 여장 측정수단, 제1 및 제 2 마아크 검추수단 및 여장 측정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이동에 대응해서, 제 2 의 마아크 검출신호에 응답해서 사기 장척물이 계척기준거리를 이동한 것을 계수하고,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해서 여장을 산출하는 연산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계척장치가 제공된다.
또 상기 연산제어 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이동이 복수회 행해졌을 때,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회의 여장의 합을 산출하고, 또 상기 계수치와 계척기준거리와의 곱과 상기 여장의 합을 가산해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연속적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보다 특정적으로는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접해서 회전하는 회전체를 가지고 그 회전에 따라서 위치검출 펄스를 출력하는 엔코우더 수단과 이 엔코우더 수단으로부터의 펄스출력을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산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계수수단의 계수치를 참조해서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장척물이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계수치를 경신한다.
또 특정적으로는 상기 여장측정 수단은 토플러효과를 사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 장치이다.
혹은 상기 여장측정 수단은 스펙크틀 패턴을 이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측정장치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장측정수단이 그 검출 중심선이 상기 계척기준거리의 이동방향의 뒷쪽 끝을 지향하고 그 검출 중심선의 주변에 있는 넓어진 범위를 화상데이타로 출력하는 광학적 검출수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연산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상기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화상데이타에 기초해서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계수치를 갱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하는 테이프에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미리 마아크가 붙여져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그 표면에 광학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마아크가 미리 붙여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 2 마아크 검출수단이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을 가지고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이프는 자기재료가 코팅되어, 이 자기코팅면에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미리 자기적 마아크가 붙여져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 2 마아크 검출수단이 자기적 마아크 검출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의 계척장치에는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이동방향의 뒷쪽에 상기 장척물에 광학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마아크를 붙이는 마아킹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 2 마아크 검출수단이 상기 마아킹수단에 의해서 붙여진 마아크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제1 및 제 2 광학적 센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여장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접해서 회전하는 회전체를 가지고 있으며 그 회전에 따른 위치검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엔코우더수단가 이 엔코우더 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에 기초해서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마아크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계수치를 갱신한다.
또 상기 마아킹수단은 상기 계척기준거리에 거의 같은 상기 제 1 마아크 검출수단의 이동방향의 뒷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계척장치는 상기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과 상기 제 2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과의 사이에 배설된 제 3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 및 그 제 3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을 상기 제 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마아킹수단과 상기 제 3 의 마아크 검출수단과의 사이의 간격이, 상기 계척기준거리와 동등하게 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구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계척장치는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의 검출중심이며, 상기 이동하는 장착물 근방에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눈금을 가진 기준스케일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기 마아크를 상기 기준 스케일의 눈금과 함께 화상데이타로서 출력하고 상기 연산처리 수단은 상기 화상데이타로부터 상기 여장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으로 직교차 하는 위치에 그것들의 검출중심이 일치하고, 인접하는 적어도 2개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척물 또는 상기 장척물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여진 광학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마아크는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으로 경사된 에지를 가지고 있고, 이것들 2개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이 상기 경사된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산제어 수단이 이것들 2개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의 상기 에지검출 타이밍이 상이하는데 따르는 거리 계산의 보정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계척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장척물과 함께 이동하는 자기테이프를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이동방향의 전방에 상기 자기테이프에 자기적인 마아크를 붙이는 자기마아킹 수단이 배설되어 상기 제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이 상기 자기마아킹 수단에 의해서 붙여진 자기마아크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제1 및 2의 자기적 센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여장측정 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접해서 회전하는 회전체를 가지고 있고, 그 회전에 따른 위치검출 펄스를 출력하는 엔코우더 수단과 그 엔코우더 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계수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연산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의 자기적 마아크 검출수단의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참조해서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자기식 마아크 검출수단의 자기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한 계수치를 갱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 이동하는 장척물에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붙여진 광학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마아크 또는 그 장척물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에 소정의 간격으로 붙여진 광학적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마아크를 중심으로 해서, 어느 퍼짐을 갖고 검출하고 화상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광학적 검출수단,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계척기준거리 만큼 떨어져서 배치되고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 또는 그 장척물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의 에지를 검출하는 마아크 검출수단,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 및 마아크 검출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검출에 응답해서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거리 또는 상기 테이프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거리차인 여장을 측정하고, 또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를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연산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계척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이동이 복수회 행해졌을 때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회의 여장의 합을 산출하고 또 상기 계수치와 계척기준거리와의 곱과 상기 여장의 합을 가산해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부착시켜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과 함께 이동시키는 수단, 상기 자기테이프에 자기마아크를 붙이는 마아킹수단, 그 자기 마아킹 수단과 계척기준거리 만큼 떨어져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배설된 자기마아크 검출수단, 상기 마아싱수단과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수단을 고정하고, 상기 장척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변화분을 자동조정하는 부재, 상기 마아킹수단 및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수단으로 접속되어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마아킹 수단을 개재해서 상기 자기테이프에 새로운 마아크를 붙이고 또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계수하고 그 계수치와 상기 계척 기준거리와의 곱을 산출하는 계척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억하는 제 1 의 기억수단,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억하는 제 2 의 기억수단, 상기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의 기억정보를 서환하는 수단, 상기 장척물의 길이 측정 동작을 지령하는 초회 정보지령수단, 상기 제 1 의 기억수단으로부터의 기억데이타 중 기준이 되는 정보를 선택하는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 그 기준정보선택ㆍ지령수단으로부터의 선택정보를 기억하는 기준정보기억수단, 제 2 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정보와 상기 기준기억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비교해서 일치되어 있을때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 그 정보출력 수단으로부터의 일치 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척취(尺取)회수를 계수하는 수단, 그 척취회수계수 수단의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의 수치를 곱해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과 상기 기억서환수단과의 사이에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그 기억서환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시간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정보 중 유효하게 사용하는 정보만큼을 기억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계척기준거리는 상기 장척물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계척기준거리를 상기 장척물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자동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상기 장척물과 같은 재료로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으로 뻗는 봉체(捧體)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척물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예단측정 수단의 측정부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장척물의 선단에서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에서 상기 장척물의 종단부까지의 거리를 입력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연산제어 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길이의 산출에 상기 입력된 거리를 가산한다.
상기 중심검출선에서 어느 퍼짐을 가지고 검출하고 화상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광검출수단이 이미지 카메라 및 그 신호처리회로를 가지고 있다.
상기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이 레이저 스위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광학적으로 검출이 가능한 마아크가 잉크제트 또는 스탬프이다. 또 상기 자기마아크가 바이코우드일 수도 있다.
또다시 본 발명의 계척장치에 의하면 상기 계척장치의 2중화장치, 즉 장척물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계척기준거리를 떼어서 배설되고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 또는 그 장척물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여진 마아크를 검출하는 제2 및 제 3 의 마아크 검출수단,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 근방에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의 뒷쪽에 배설된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 제 3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근방에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석된 제 4 의 마아크 검출수단,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거리 또는 테이프에 붙여진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거리차인 여장을 측정하는 제 1 의 여장측정수단,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그 제 1 여장측정수단의 측정부와 소정의 거리를 떼어서 설치한 측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거리 또는 테이프에 붙여진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거리차인 여장을 측정하는 제 2 의 여장측정수단, 상기 제1~제 4 의 마아크 검출수단 및 제1 및 제 2 의 여장측정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1~제 4 의 마아크 검출수단 및 제1 및 제 2 의 여장측정수단의 고장의 판별을 행하고 정상으로 작동하는 마아크수단 및 여장측정수단을 사용해서 정상인 상기 제1 또는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을 결정한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 해서 이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정상인 여장측정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정상인 제3 또는 제 4 의 마아크수단을 결정한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해서 이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만큼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연산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계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계척장치를 실시하는 방법, 즉 이동하는 장척물의 표면 또는 그 장척물과 함께 이동하는 테이프에 마아크를 붙이는 단계, 그 마아크를 검출하는 제 1 의 마아크 검출단계, 그 제 1 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소정의 계척기준거리 만큼 상기 장척물이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단계, 그 마아크 검출에 응답해서 새 마아크를 상기 장척물의 표면 또는 상기 테이프에 붙이는 단계, 및 상기 계척기준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마아크와 마아크 사이의 거리와의 차인 여장을 산출하는 단계를 가지로 있는 장척물의 길이측정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방법은 상기 계수한 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과 상기 복수의 여장을 합을 가산해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또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장척물에 접촉하는 제 1 의 회전부재를 가지고 있고 그 장척물의 이동에 따른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의 엔코우더 수단과 제 1 의 엔코우더 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제 1 의 계수수단과 제 1 의 회전부재와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장척물에 접촉하는 제 2 의 회전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척물의 이동에 따른 펄스계 수치를 출력하는 제 2 의 엔코우더수단과 제 2 의 엔코우더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제 2 의 계수수단과, 제1 및 제 2 의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소정주기에 입력하고 양계수치를 비교하고 계수치가 큰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계수치가 작은 계수수단에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있는 장척물의 길이를 측정하는 계척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계척기준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가 제공된다. 이 계척기준거리 측정자치는 계척기준거리의 양단에 설치된 2개의 라벨, 이것들 라벨사이에서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고 절대원점을 가지고 있고 이동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눈금이 붙여진 리니어스케일의 눈금을 검출하는 슬라이드 헤드수단, 상기 리니어 스케일수단과 함께 이동하고 상기 라벨의 에지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로 있고, 상기 리니어 스케일수단을 상기 장척물이 이동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상기 라벨의 에지를 검출한 양단의 거리로부터 상기 계척기준거리를 측정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 1 도에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마아킹방식의 케이블 계척위치의 구성을 표시한다.
제 1 도에서, 계척의 대상인 테이블(1)이, 도시하지 않는 반송기구에 의하여 화살표방향(A)에 소정의 이동속도(V1), 예를 들면 20m/s로 이동되어 있다(반송되어 있다).
이 케이블 계척장치는, 이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자기테이프(2)를 이동하고 있는 케이블(1)의 표면에 첨부하기 위한 테이프 공급드럼(3), 테이프 첨부로울러(4), 이 테이프 첨부로울러(4)와 협동해서 일하는 백업로울러(5), 및 접착제에 의하여 케이블(1)에 첨부된 자기테이프(2)를 박리하기 위한 테이프 박리로울러(6), 이 테이프박리로울러(6)와 협력해서 일하는 백업로울러(7), 테이프감기드럼(8)을 갖고 있다. 또 케이블계척장치는 계척기준거리(S), 예를 들면 1~3m 정도 만큼 떨어져서 배설된 자기기록헤드(10) 및 자기재생헤드(14)를 갖고 있다. 더욱 계척장치는 이들의 헤드(10,14)에 접속된 자기기록회로(12) 및 자기재생회로(16), 이들의 회로(12,16)에 접속된 계척장치 본체(20) 및 카운터(22)를 갖고 있다. 계척장치 본체(20)는 예를 들면, 컴퓨터본체(CPU) 및 메모리를 갖고 있다.
제 1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를 사용한 이동하고 있는 케이블(1)의 계척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테이프공급드럼(3)에는 자기테이프(2)가 두루 감겨져 있고, 테이프감기드럼(8)이 테이프첨부로울러(4), 자기기록헤드(10), 자기재생헤드(14), 테이프박리로울러(6)의 경로로 케이블(1)과 더불어 반송되는 자기테이프(2)를 감는다. 이때 자기테이프(2)가 테이프공급드럼(3)으로부터 돌려 도로 감기게 된다.
자기기록헤드(10) 및 자기재생헤드(14)에 접하는 자기테이프(2)의 표면에는 자기재료가 코오팅되어 있고, 케이블(2)의 표면에 접하는 자기테이프(2)의 이면에는 박리가능한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자기테이프(2)는 도시한 바와같이, 미리, 테이프공급드럼(3), 테이프첨부로울러(4), 자기기록헤드(10), 자기재생헤드(14), 테이프박리로울러(6) 및 테이프감기드럼(8)의 경로로 연이어 통하고 있다. 테이프첨부로울러(4)는 도시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테이프공급드럼(3)으로부터 자기테이프(2)를 감아 도로 보내진 자기테이프(2)의 이면을 이동하고 있는 케이블(1)의 표면에 누름하여 자기테이프(2)를 케이블(1)의 표면에 접착한다.
백업로울러(5)는 테이프첨부로울러(4)의 누름에 대하여 케이블(1)의 가라앉음을 방지한다. 자기테이프(2)가 케이블(1)의 표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자기테이프(2)는 미끄러짐 없이 화살표방향(A)으로 케이블(1)과 더불어 이동한다.
테이프 감기드럼(8)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테이블박리로울러(6)를 사이에 두고 케이블(1)에 접착되어 있는 자기테이프(2)를 케이블(1)의 표면에서 박리한다.
백업 로울러(7)도 테이프 박리로울러(6)와 협력해서 일하여 케이블(1)의 이동에 지장을 주는일 없이 자기테이프(2)의 박리동작을 행한다.
이상의 자기테이프(2)의 케이블(1) 표면으로의 고정 및 박리는 케이블(1)의 이동과 더불어 케이블(1)의 원할 그리고 연속적인 이동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행해진다.
자기테이프(2)의 표면은 자기재료로 코오팅 되어 있고, 상기 자기테이프(2) 및 케이블(1)의 반송과정에 있어서, 자기기록헤드(10) 및 자기재생헤드(14)에 자기테이프(2)에 접촉하고, 케이블(1)의 계척이 행해진다.
작업자가 계척장치 본체(20)에 계척개시지령을 주면, 계척장치 본체(20)는 카운터(22)에 리세트 지령을 출력하여 카운터(22)의 계수치를 클리어한다. 이것과 동시에 계척장치 본체(20)는 자기기록회로(12)에 마아킹 지령을 출력한다. 이 출력에 응답하여, 자기기록회로(12)는 자기기록헤드(10)를 사이에 두고 이동하고 있는 자기테이프(2)에 자기적 마아크로 기록한다.
자기테이프(2)가 이동되어 자기재생헤드(14)를 통과할때, 자기기록헤드(10)로 기록된 마아크가 자기재생헤드(14)로 검출된다.
자기재생헤드(14)의 검출신호는 자기재생회로(16)에 있어서 재생신호 처리되고, 그 재생신호가 계척장치 본체(20)에 출력된다. 계척장치 본체(20)는 이 재생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자기기록회로(12)를 구동하여 자기기록헤드(10)를 사이에 두고 자기테이프(2)에 다음의 마아킹을 행하게함과 동시에 카운터(22)에 마아크 계수신호를 출력하고, 카운터(22)의 계수치를 1만큼 나가게 한다. 이하 마찬가지로, 자기기록헤드(10)에 의한 자기적 마아킹, 자기재생헤드(14)에 의한 자기마아크의 검출 및 계척장치 본체(20)에 의한 카운터(22)의 계수치 갱신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의 동작하는 사이, 케이블(1)의 이동속도(V1)는 일정하다고 하고, 상기 계척동작에 의하여, 카운터(22)의 계수치가 N으로 되었을 때 계척한 케이블(1)의 길이(L1)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L1=SㆍN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에 의하면 자기테이프(2)는 미끄러짐 없이 케이블(1)과 더불어 반송된다. 또 자기기록헤드(10)에 의한 마아킹방식은 자기적으로 행해지므로 동작 시간은 고속이다. 자기마아크의 폭도 수 ㎛ 정도로 매우 좁으므로, 자기재생헤드(14)로 자기마아크를 검출하였을 때에도 케이블(1)의 길이방향의 검출오차는 작다. 더욱 자기재생헤드(14)에 의한 마아크의 검출로부터 자기기록헤드(10)로부터의 다음의 마아크의 기록까지의 제어동작은 전기적으로 행해지므로 단시간이고, 이동하고 있는 자기테이프(2)에 대하여 시간 늦어짐이 작다.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1)의 높은 정밀도의 계척이 가능하다. 또 케이블(1)의 길이가 카운터(22)의 계수치(N)에 계척기준거리(S)를 곱하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으므로 계척신호 처리가 용이하다.
테이프박리로울러(6)로 케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고 테이프감기드럼(8)으로 감기는 자기테이프(2)의 이면의 접착제는, 케이블(1) 표면으로의 접착성과 더불어 박리성에 우수한 것을 사용하고 있고, 안정에 케이블(1)의 표면에 접착할 수 잇고 용이하게 케이블(1)의 표면에서 박리할 수 있고, 남은 풀도 적다. 더욱, 자기테이프(2)의 접착제는 상기한 바와같이 이면뿐만 아니라, 양면에 도포하여도 좋다.
자기테이프(2)의 소모를 적게하는 방법으로서는 테이프공급드럼(3), 테이프첨부로울러(4), 자기기록헤드(10), 자기재생헤드(14), 테이프박리로울러(6), 테이프감기드럼(8)으로 형성되는 엔드리스의 자기테이프 순환 루우프를 구성하고 이 루우프내를 자기테이프(2)를 순회시켜도 좋다. 이 경우, 테이프감기드럼(8)과 테이프공급드럼(3) 사이에 소자부재를 설치하고 자기기록헤드(10)로 마아킹된 마아크를 다음 마아킹전에 소자한다.
케이블(1)에 대하여 지장이 없는 경우는, 자기테이프(2)를 케이블(1)에 첨부한 대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1 도에 표시한 테이프박리로울러(6), 백업로울러(7) 및 테이프감기드럼(8)이 불필요로 된다.
또, 상기 접착제의 도포에 대힌하여, 자기테이프(2)의 이면을 충분히 거칠게 하여 마찰계수를 크게하여 케이블(1)의 표면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게 하면 상기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기테이프(2)를 케이블(1)의 표면에 눌러서 맞닿게만 함으로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케이블(1)의 계척을 행할 수가 잇다.
제 2 도에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의 마아킹방식의 계척장치의 부분구성도를 표시한다.
제 1 도에 표시한 마아킹방식에 있어서는, 계척기준거리(S)의 정확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계척장치의 주위 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자기기록헤드(10)와 자기재생헤드(14)를 지지하고 계척기준거리 S를 규정하고 있는 가대(도시하지 않음)의 열팽창률 2와 케이블(1)의 열팽창률 1와는 통상 상이하므로, 주위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계척정밀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실온 0℃일 때의 계척기준거리를 SO으로 하고, 케이블(1)의 전계척길이를 LO으로 하였을 때의 카운터(22)의 계수치(N)는 다음식으로 주어진다.
N=LO/SO
온도 T에서 (T+△T)로 변화할 때의 카운터(22)의 계수치 N'는 하기로 된다.
N'=[LO(1+△T 1)]/[SO(H△T 2)]
=N(1+△T 1)/(1+△T 2)
즉, 계수치 N'는 온도변화에 의하여(1+△T 1)/(1+△T 2)의 오차가 생긴다. 제 2 도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제 2 도의 계척장치는 제 1 도의 계척장치의 일부이다. 자기기록헤드(10), 자기기록회로(12), 자기재생헤드(14), 자기재생회로(16), 계척장치 본체(20) 및 카운터(22)의 외에 마루(25)에 고정되고 자기재생헤드(14)를 지지하고 있는 고정수단(26), 이 고정수단(26)에 접속된 열신축보정막대(24), 이 열신축보정막대(24)의 타단에 접속되고 자기기록헤드(10)를 지지하는 로울러대(27)로 이루어지는 계척헤드 위치결정장치(28)를 갖고 있다.
제 2 도에서는 제 1 도에 표시한 자기테이프(2), 테이프공급드럼(3), 테이프첨부로울러(4), 백업로울러(5), 테이프박리로울러(6), 백업로울러(7), 테이프감기드럼(8)을 생략하고 있다.
열신축보정막대(24)는 계척대상인 케이블(1)의 열팽창률 1와 거의 같은 열팽창을 갖는 재질로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면 케이블(1)의 소재가 구리인 경우는, 열신축보정막대(24)는 구리막대를 사용하고, 기준온도, 예를 들면 20℃로 정확히 계척기준거리 S의 길이에 설정되어 있다. 열신축보정막대(24)의 고정수단(26)은 접속측은 고정되어 있지만, 로울러대(27)의 접속측은 이동이 자유롭고, 온도변화에 의하여 열신축 보정막대(24)가 신축하였을 경우, 그 온도변화에 따른 로울러대(27)의 하부의 로울러(27a)가 이동한다. 따라서 온도변화에 따라 자기기록헤드(10)와 자기재생헤드(14)의 간격을 규정하는 계척기준거리가 변화한다. 이 계척기준거리의 변화는 케이블(1)의 온도변화에 의한 길이의 신축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온도보상이 행해지고, 정확한 계척이 가능하다.
더욱 케이블(1)의 온도를 온도센서(29)로 검출하고, 열신축보정막대(24)와의 온도차 또는 열신축의 차를 온도제어수단(30)을 사용하여 열신축보정막대(24)를 가열하여 보정함으로서 보다 한층 정확한 계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로서의 엔코우더 방식의 계척장치를 제 3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이 계척장치는 제 1 의 엔코우더(32), 제 2 의 엔코우더(34), 제 1 의 카운터(36), 제 2 카운터(37), 제 1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 본체(20)와 마찬가지, CPU 및 메모리로 구성된 계척 장치본체(38) 및 LCD등의 표시기(39)를 갖고 있다.
제 1 의 엔코우더(32) 및 제 2 의 엔코우더(34)의 각각의 엔코우더 휘일(33,35)은 케이블(1)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상이하는 위치에서 케이블(1)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케이블(1)이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면, 엔코우더휘일(33,35)이 회전하여 엔코우더(32,34)로부터 케이블(1)의 이동거리에 따라 펄스신호가 제 1 의 카운터(36) 및 제 2 의 카운터(37)로 출력된다. 제 1 의 카운터(36) 및 제 2 의 카운터(37)는 제 1 의 엔코우더(32) 및 제 2 의 엔코우더(34)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여, 케이블(1)의 이동거리를 상당하는 계수치를 표시한다. 통상, 제 1 의 엔코우더(32)로부터 출력펄스수와 제 2 의 엔코우더(34)로부터의 출력펄스수는 같다. 따라서 제 1 의 카운터(36)의 계수치와 제 2 의 카운터(37)의 계수치와는 통상 같다. 그러나, 한쪽의 엔코우더 휘일에 미끄러짐이 있으면 그 엔코우더로부터 출력펄스수는 다른 편의 엔코우더로부터의 출력펄스수 보다도 적어지다. 본 실시예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케이블(1)의 상이하는 위치에서 엔코우더 휘일(33.35)을 회전시키고 있으므로, 이들의 엔코우더 휘일(33,35)이 동시에 미끄러진느 것은 매우 적다. 따라서, 만일 제 1 의 카운터(36) 또는 제 2 의 카운터(37)의 계수치에 차가 생겼을 경우, 계수치의 적은 편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였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계척장치 본체(38)는 어떤 주기로 제 1 의 카운터(36)의 계수치와 제 2 으 카운터(37)의 계수치와 비교하여, 한쪽의 계수치가 작을 때, 다른쪽의 큰 계수치와 같게 되도록 계수치의 작은 편의 카운터, 예를 들면, 제 1 의 카운터(36)에 차의 계수치에 상당하는 가산데이타를 출력하고, 제 1 의 카운터(36)의 계수치를 제 2 의 카운터(37)의 계수치와 같게 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엔코우더 휘일(33,35)의 어느것에 미끄러짐이 생기더라도 미끄러짐에 의한 오차가 신속히 수정되고, 오차가 누적되는 일은 없다.
계척장치 본체(38)는, 제 1 의 카운터(36) 및 제 2 의 카운터(37)의 계수치 중, 큰 편의 계수치를 표시기(39)에 표시한다. 엔코우더 휘일(33,35)과의 케이블(1)에 접촉하는 위치는 케이블(1)의 긴쪽 방향으로 떨여져 있으면 좋고, 긴쪽 방향에 있어서 같은 선상에 있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예를 들면 케이블(1)의 주위에 90도 정도 벗어난 위치에서 긴쪽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엔코우더 휘일(33,35)을 케이블(1)의 표면에 접촉시킨 것이 같은 미끄럼을 받을 가능성은 작아진다.
계척장치 본체(38)가 행하는 제 1 의 카운터(36)와 제 2 의 카운터(37)의 계수치의 비교 및 수정을 위한 주기는 짧은편이 바람직하지만, 케이블(1)의 이동속도, 엔코우더(32,34)로부터의 펄스발생시간, 간격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결정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제 4 도~제10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이 실시예는 마아킹방식과 엔코우더방식을 조합한 계척장치이다.
제 4 도에 계척장치의 구성도를 표시한다. 복수의 반송로울러(42)는 케이블(1)을 지지하고 케이블(1)의 반송을 행한다. 이들의 반송로울러(42)는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제 4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는 이동하는 케이블(1)의 표면에 좁은 범위에서 마아크(44)를 붙이는 마아커(43), 케이블(1)의 이동방향(A)에 따라 배치된 제1 및 제 2 의 센서(45,46) 및 엔코우더 휘일(49A)이 케이블(1)의 표면에 접촉하는 엔코우더(49)를 갖고 있다.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와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와의 간격이 계척기준거리 S이고, 이 계척기준거리 S는 통상 1~3m정도이다.
마아커(43)로서는 이 실시예에서는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를 붙이는 것, 예를 들면 잉크제트 방식의 마아커 또는 스템프방식의 마아커이다.
제 1 의 센서(45) 및 제 2 의 센서(46)로서는, 높은 정밀도로 마아커(43)로 붙여진 마아크의 에지가 검출가능한 센서, 예를 들면, 레이저 스위치이다.
케이블(1)의 표면색이「흑」인 경우, 마이커(43)는 흰마아크를 붙여, 제 1 의 센서(45) 및 제 2 의 센서(46)로서의 레이저스위치는, 검출 대상물인 마아크의 평균반사율의 차 즉 레이저비임 조사시의 반사광량의 차에 의하여 마아크를 식별한다.
계척장치는 레이저스위치인 제1 및 제 2 의 센서(45,46)로부터의 반사광량을 표시하는 아날로그 검출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 2 의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ADC) (47,48) 엔코우더(49)로부터의 위치 검출 펄스를 계수사는 카운터(50), 이들 ADC(47,48) 및 카운터(50)로부터의 디지탈신호를 입력하여 계척처리를 행하고, 계척처리에 따라 마아커(43)에 마아킹 지령을 출력하는, 계척장치 본체(20) 및 계척장치 본체(38)와 마찬가지 컴퓨터 본체(CPU) 및 메모리를 갖는 계척장치 본체(51)를 갖고 있다. 더욱 계척장치는 계척장치 본체(51)에서 연산한 계척결과를 표시하는 CRT 또는 LCD등의 표시기(52) 및 계척동작의 개시시 또는 종료시등에 수동으로 줄자 등으로 측정하는 후술하는 계척결과를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하는 키이보오드 등의 입력장치(53)를 갖고 있다.
제 5 도a~f를 참조하여 제 4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기술한다.
케이블(1)의 이동이 정지하고 있는 계척 개시시점에 있어서 제 5 도a에 표시하는 동작을 행한다.
케이블(1)의 선단(1A)으로부터 케이블(1)의 표면에 접촉하는 엔코우더 휘일(49A)까지의 거리a, 및 엔코우더 휘일(49A)로부터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까지의 거리b를 각각 줄자 등으로 계척하고 입력장치(53)를 사이에 두고 계척장치 본체(52)에 입력하여 계척장치 본체(51)내의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이들 거리(a+b)가 계척장치 본체(51)로부터 표시기(52)에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계척장치 본체(51)에 계척지령이 주어지면 계척장치 본체(51)에 마아커(43)에 마아킹 지령을 출력하고, 마아커(43)가 케이블(1)의 표면에 제 1 의 마아크(441)를 붙인다. 이때의 제 1 의 마아크(441)의 위치로부터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까지의 간격을 거리(C1)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로부터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까지의 거리가 계척기준거리(S) 이다.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에 마아킹 지령을 출력할 때, 케이블(1)의 반송로울러(42)를 포함하는 케이블 반송기구(도시하지 않음)에 반송지령을 출력하여 동작시켜, 케이블(1)를 화살표방향(A)으로 이동시킨다.
제 5 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의 마아크(441)가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에 도달하면, 제 1 의 센서(45)가 그 마아크(441)의 에지를 검출한다.
제 1 의 센서(45)의 검출결과는 제 1 의 ADC(47)를 사이에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된다.
상기 케이블(1)의 이동거리는 엔코우더 휘일(49A)에 의하여 검출되고, 엔코우더(49)로부터의 펄스출력을 카운터(50)가 계수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제 1 의 ADC(47)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었을때의 카운터(50)의 계수치를 입력하고, 그직후, 카운터 50을「0」으로 클리어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입력한 계수치에 소정의 변환계수를 곱하여 거리 C1계산하고 그 거리 C1을 메모리에 기억한다.
거리(a,b)는 이미 입력장치(53)를 사이에 두고 계척장치 본체(51)에 주어져 있으므로 계척장치 본체(51)는 거리(a+b+C1)를 계산하여 메모리에 기억하고, 표시기(52)에 그 계산거리를 표시한다.
제 5 도 (C)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케이블(1)의 더욱 이동되어 제 1 의 마아크(441)가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에 도달하면, 제 2 의 센서(46)가 이 마아크(441)의 에지를 검출한다. 제 1 의 센서(46)의 검출신호는 제 2 의 ADC(48)를 사이에 두고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된다. 제 1 의 마아크(441)의 에지가 제 2 의 센서(46)로 검출되었을때 케이블(1)은 계척기준거리 S만큼 이동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계척장치 본체(51)는 계척기준거리 S만큼 계척이 행해진 것을 표시하는 1카운트의 계수갱신을 행하고, 그 계수결과를 메모리에 기억한다. 더욱 계척기준거리(S)의 계수는 메모리가 있는 어드레스의 값을 갱신함으로서 행하고 그 메모리 어드레스치는 상기 계척 개시시점에 있어서 「0」으로 초기화 되어 있다.
계척장치 본체(51)는 거리(a+b+C1+1ㆍS)를 계산하고, 이 계산한 거리를 표시기(52)에 표시한다.
이 계수 및 표시와 더불어,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에 다음의 마아킹 지령을 출력하여 마아커(43)로부터 케이블(1)의 표면에 제 2 의 마아크(441)를 붙게한다.
이 때의 제 2 의 마아크(442)의 위치와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와의 거리를 여장 C2로 한다.
더욱이, 여장이란 계척기준거리 S와 케이블(1)의 표면, 또는 케이블(1)과 같이 반송되는 테이프에 부착되는 인접하는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사이에 거리와의 차를 말한다. 이 여장은 통상, 계척기준거리(S)의 수 % 이다.
제 5 도 d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 2 의 마아크(442)의 에지가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에 도달하면, 제 1 의 센서(45)가 마아크(442)의 에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가 제 1 의 ADC(47)를 사이에 두고 계척장치 본체(51)에 출력된다.
이 케이블(1)의 이동기간, 엔코우더(49)가 케이블(1)의 이동거리를 검출하고 있고, 그 결과가 카운터(50)로 계수되어 있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제 1 의 ADC(47)으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입력되었을 때 카운터(50)의 계수치를 입력하고 소정의 변환계수를 곱하여 거리(여장)C2을 계산하고, 카운터(50)의 계수치를「0」으로 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메모리에 기억되고 있는 거리 C1과 여장 C2와를 가산한다. 더욱 편의 적으로 거리 C1도 최초의 여장이라 부른다. 계척장치 본체(51)는 거리(a+b+s+(C1+C2))를 계산하고, 메모리에 기억함과 동시에 표시기(52)에 표시한다.
제 5 도e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 2 의 마아크(442)의 에지가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에 도달하면, 제 2 의 센서(46)가 제 2 의 마아크(442)의 에지를 검출한다. 이 검출신호가 제 2 의 ADC(48)를 사이에 두고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케이블(1)이 계척기준거리 S만큼 이동하고 있으므로, 계척장치 본체(51)는 메모리내의 거리계수치를 1나아가게 하여 2로 한다. 이 계수동작과 더불어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에 제 3 의 마아크(443)를 붙이기 위하여 마아킹지령을 출력한다.
이때의 제 3 의 마아크(443)의 위치와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와의거리를 여장 C3라 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거리(a+b+s+(C1+C2))를 계산하고, 메모리에 기억하고, 이 계산한 거리를 표시기(52)에 표시한다.
이상, 제 5 도b~제 5 도e를 참조하여 기술한 계척동작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제 5 도f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 N번째의 마아크(44N)가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를 통과하고, 계척이 종료하였을때의 케이블(1)의 길이(L21)은, 계척장치 본체(51)내의 메모리의 계수치가 N으로 되어 있으므로 아래와 같다.
제 5 도f에 있어서 케이블(1)의 이동이 정지되었을 때 작업자는 줄자 등으로 마아크(44N)로부터 엔코우더 휘일(49A)의 케이블(1)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는 거리d, 및 엔코우더 휘일(49A)의 케이블(1)의 표면으로의 접촉 위치와 케이블(1)의 말단(1B)과의 거리e를 측정하여, 이들의 거리를 입력장치(53)로부터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상기 거리(L2)에 이들의 입력된 거리 d, e를 가산하여 하기 거리 L22를 산출한다.
이상에 이하여, 케이블(1)의 길이가 측정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엔코우더로 측정하는 여장 Ci의 각각은, 계척기준거리(S)보다 짧게(통상, 수% 정도)이므로, 엔코우더에 의한 측정오차는 상대적으로 작다.
또 마아킹방식에 의한 계척기준거리(S)의 측정과, 엔코우더방식에 의한 여장측정을 조합시켜 있고, 가령 케이블(1)의 이동속도가 변동하도라도, 이들 조합에 의하여 케이블(1)의 속도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정확한 계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이와같은 계척결과의 정밀도 평가를 행한다.
엔코우더(49)의 측정정도를 ±라 한다. 단,는 1%정도이다.
상기 수동으로 측정한 거리 a, b, d, e는 계척장치에 의한 자동계척의 대상밖이므로, 정밀도 평가의 대상에서 뺀다. 이로서 정밀도 평가의 대상으로 되는 측정거리 L3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계척장치에 의한 측정오차를 E라 할때 다음식이 성립한다.
거리 △Si는 제i번째의 마아크(44i)의 에지를 제 1 의 센서(45)가 검출하였을때부터 제 2 의 센서(46)가 검출하는 사이에 케이블(1)이 실제의 이동한 거리(S')와의 차를 표시한다. 이 거리△Si의 크기는 통상, 센서(45,46)의 마아크에지의 검출정밀도에 의존하고 이들 센서에 레이저스위치를 사용하였을때 검출정밀도는 약 0.01mm이다. 따라서, 거리 △Si는 통상, 수 10㎛의 차수로 된다. 이 실시예의 계척장치에 의한 측정 정밀도를라 하면 하기식이 성립한다.
이므로는 하기식으로 표시된다.
또,이므로는 하기식으로 표시된다.
예컨대로 하면,=±(/100)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측정 정밀도가 높은 마아킹방식을 사용하여 거리가 긴 계척(NS)을 행하고, 엔코우더방식을 사용하여 마아크가 부착된 위치로부터 제 1 의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까지의 짧은거리, 즉 잔여길이(Ci)를 측정하고 있으므로, 높은 정밀도의 계측이 행하여진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아크의 부착정밀도, 혹은 케이블(1)의 이동속도 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정밀도가 높은 케이블길이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45)를 설치하여 마아크가 부착되었을때의 위치를 측정하고, 인접하는 마아크간의 거리의 변동을 엔코우더방식으로 측정하고 있으므로, 마아킹방식에 있어서의 결점이 개선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블(1)이 계척기준거리(S)만큼 운송시마다 엔코우더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500를 「0」으로부터 개시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이 각각의 자로 측정한 것마다 카운터(50)값을 클리어하지 않고, 전회의 계수치와 금회의 계수치와 차를 계산하여도 된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잔여길이 측정수단으로서 엔코우더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잔여길이의 측정은 연속적으로 케이블(1)의 이동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 예컨대 도플러효과를 사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장치, 혹은 스펙트로패턴을 이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장치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연속적 이동거리 측정수단으로서 엔코우더를 예시하나 이들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을 말할 것도 없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의 계척장치를 제 6 도 및 제 7 도a~i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6 도는 본 실시예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예시한다. 이 계척장치는 제 4 도에 도시한 계척장치를 개량한 것이다.
케이블(1)이 운송로울러(42)에 의해 화살표시(A) 방향으로 운송된다. 표면에 미리 마아크간격(MS)으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58)가 부착되고, 뒷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57)가 케이블(1)표면에 접착되어서 케이블(1)과 함께 이동된다.
마아크간격(MS)은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완전히 일정하지 않아도 되며, 통상 마아크간격(MS)에는 마아크부착 오차, 테이프의 신장 등에 의한 다소의 오차가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잔여길이(C)를 측정하므로 반드시 정확한 마아크간격(MS)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테이프(57)의 케이블(1)에의 접착 및 박리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자기테이프와 동일하게, 테이프공급드럼(3), 테이프첨부로울러(4), 테이프박리로울러(6), 테이프감기드럼(8)에 의해 행해진다.
제 6 도에는 제 1 도에 도시한 백업 로울러(5,7)는 도시하고 있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들의 백업 로울러를 설치할 수 있다.
계척장치는, 제 4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센서(45,46), ADC(47,48), 엔코우더 휘일(49A)을 가지는 엔코우더(49), 카운터(50), 계척장치 본체(51), 표시기(52) 및 입력장치(53)를 가지고 있다.
제 6 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의 동작을 제 7 도a~i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자동계척 동작에 앞서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57)를 케이블(1)의 표면에 접착시키고, 다시 테이프첨부로울러(4)가 테이프박리로울러(6)간에 마아크간격(MS)으로 마아크(58)를 부착한다. 이 마아크간격(MS)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계척기준거리(S)보다 길때도 있고 뒤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짧을 때도 있다.
제 7 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와 제 2 센서(46a) 사이에 있는 마아크(58o)를 개시마아크로 한다.
제 5 도a를 참조한 제 4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같이, 줄자 등으로 케이블(1)의 앞끝(1A)으로부터 엔코우더 휘일(49A)에서의 거리a, 엔코우더휘일(49A)로부터 제 2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까지의 거리b 및 제 2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로부터 개시마아크(58o)까지의 거리(bb)를 측정하고, 입력장치(53)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내의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계척장치 본체(51)에 자동계척 개시지령이 부여되면, 계척장치 본체(51)는 메모리내에 있는 계척기준거리(S)의 회수를 계수하는 카운터를「0」으로 초기화하고, 케이블운송기구에 운송지령을 출력하여 운송로울러(42)를 통하여 케이블(1)을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테이프(57)가 테이프첨부로울러(4)에 의해 케이블(1)표면에 부착되어 케이블(1)과 함께 이동되고, 테이프박리로울러(6)에 의해 케이블(1)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테이프감기드럼(8)으로 감겨진다.
케이블(1)의 이동에 수반하여 엔코우더 휘일(49A)이 회전하고, 그 회전에 따른 펄스신호가 엔코우더(49)로부터 카운터(50)에 출력되어 카운터(50)가 케이블(1)의 이동거리에 따라 펄스수를 계수한다.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블(1)의 거리(bb)만큼 이동되면 개시마아크(58o)의 에지가 제 2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에 도달한다. 제 2 센서(46)가 이 개시마아크(58o)의 에지를 검출하고, 제 2 의 ADC(48)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에 마아크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엔코우더(49)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고 있는 카운터(50)의 계수치를 입력한다. 카운터(50)의 계수치는 거리(bb)를 나타내고 있다.
계척장치 본체(51)는 거리(a+b+bb)를 계산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표시기(52)에 계산된 거리를 표시한다.
마아크간격(MS)이 계척기준거리(S) 보다 길거나 짧은가에 의해 제 7 도b 또는 제 7 도c에 도시한 상태가 발생한다. 마아크간격(MS)이 계척기준거리(S) 보다 길때는 제 7 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아크간격(MS)과 계척기준거리(S)와의 거리차, 잔여길이(C1)가 제 1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의 뒤에서 제 1 마아크(581)의 앞에 있고, 반대의 경우는 잔여길이(C1)는 제 7 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반대의 위치관계로 된다.
잔여길이(C1)의 계척을 아래에 설명한다.
제 7 도b에 도시한 경우는 개시마아크(58o)의 에지를 제 2 센서(46)가 검출했을때의 카운터(50)의 계수치(SC2)를 계척장치 본체(51)가 입력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이어서 제 1 마아크(581)의 에지를 제 1 센서(45)가 검출했을때의 카운터(50)의 계수치(SC1)를 계척장치 본체(51)가 입력하여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계척장치 본체(51)가 아래의 연산을 행하여 잔여길이(C1)를 산출한다.
C1=(SC1-SC2)ㆍP
단, P는 엔코우더(49)의 1펄스당 케이블(1)의 이동거리이다.
이 잔여길이(C1)는 정의값이다.
제 7 도c에 도시하는 경우는 제1마아크(581)의 에지를 제 1 센서(45)가 검출했을때의 카운터(50)의 계수치(SC1)를 계척장치 본체(51)가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다음으로 개시마아크(58O)의 에지를 제 2 센서(46)가 검출했을때의 카운터(50)의 계수치(SC2)를 계척장치 본체(51)가 메모리에 기억시켜, 상기 식(11)과 같은 연산을 행한다. 이 경우 잔여길이(C1)는 부의 값으로 된다.
이와같이 하여 산출된 잔여길이(C1)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제 1 마아크(581)의 에지가 제 2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에 도달하여, 제 1 회의 계척기준거리(S)에 대한 계척이 완료되었을때 계척기준거리(S)에 대한 보정을 행하기 위하여 가산된다.
통상은 제 2 센서(46)가 마아크(58)를 검출할 때마다 계척기준거리(S)의 자질계산을 행하여 메모리내의 계수치를 1카운트씩 갱신해가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마아크(58O)를 제 2 센서(46)로 검출하여도 상기 계수처리를 행하지 않고, 제 1 마아크(581)가 제 2 센서(46)로 검출됐을때부터 상기 메모리내의 계수치의 갱신을 행한다.
케이블(1)의 제 7 도d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더욱 이동했을 때, 제 7 도b 또는 제 7 도c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7 도e 또는 제 7 도f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때의 계척기준거리(S)와 마아크간격(MS)와의 차의 잔여길이(C2)의 측정도, 상기 제 7 도b 또는 제 7 도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로 된다.
또한 제1 마아크(581)가 제 2 센서(46)로 검출되었을때 계척장치 본체(51)에 의해 잔여길이(C1)의 보정이 행해지고, 그때의 케이블(1)길이(L31)는 하기 식으로 표시한다.
L31=a+b+bb+C1+1ㆍS
이 길이(L31)가 메모리에 기억되어 표시기(52)에 표시된다.
케이블(1)이 제 7 도g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7 도h에 도시하는상태로 이행했을때도, 상기 제 7 도d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제 7 e 또는 제 7 도f에 도시하는 상태로 이행했을때와 동일하게 된다.
제 7 도h는 파선으로 표시하는 마아크(583)와 실선으로 표시하는 마아크(583)로 도시되어 있고, 제 7 도e 또는 제 7 도f의 양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마아크(582)의 에지를 제 2 센서(46)가 검출했을때의 케이블(1) 길이(L32)는 하기 식으로 표시한다.
L32=a+b+bb+C1ㆍC2+2ㆍS
이 길이(L32)가 메모리에 기억되어 표시기(52)에 표시된다. 이상의 계척동작이 반복된다.
제 7 도i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N번째의 마아크(58N)의 에지가 제 2 센서(46)로 검출됐을때의 케이블(1) 길이(L33)은 하기와 같다.
상기한 바와같이 자동계척 종료시에 마아크(58N)와 엔코우더 휘일(49A)간의 거리d 및 엔코우더 휘일(49A)과 케이블(1)의 종단부(1B)와의 거리e를 줄자등으로 측정하여 입력장치(53)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함으로써 케이블(1)의 최종적인 길이(L34)를 다음식으로 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밀도 평가는 상기한 정밀도 평가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는 미리 마아크간격(MS)으로 마아크가 부착된 테이프(57)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계척기준거리(S)보다 짧은거리라도 측정할 수 있고 계척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테이프(57)에는미리 마아크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 4 도에 도시한 마아커(43)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센서(46)로 마아크를 검출 후, 마아커(43)를 구동시켜 마아킹을 행하는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며, 시간지연에 따르는 계척정밀도의 저하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가 부착되어 있는 테이프(57)를 제 1 도에 도시한 제 1 실시예에서 사용한 자기테이프(2)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기테이프(2)에는 상기 마아크간격(MS)으로 마아크가 부착되어 있고, 센서(45,46) 및 ADC(47,48)를 각각 자기재생헤드(14) 및 자기재생회로(16)에 상당하는 것으로 대채한다.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계척장치를 제 8 도 및 제 9 도(a~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8 도에 도시한 계척장치는, 제 6 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의 제 1 센서(45)를 차지커플 디바이스(CDD)를 사용한 이미지 카메라(61), 제 1ADC(47)를 이미지 카메라신호처리회로(62)로 대체하고, 다시 제 6 도의 엔코우더(49) 및 카운터(50)를 제거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제 6 도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미지 카메라의 검출중심위치(61a)와 제 2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와의 사이가 계척기준거리(S)이며, 접착테이프(57)에는 마아크간격(MS)으로 마아크(58)가 부착되어 있다.
제 9 도(a~d)를 참조하여 이 계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9 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계척 앞에 케이블(1)의 단면(1A)으로부터 개시마아크(58O)까지의 거리a를 줄자 등으로 측정하고, 그 거리a를 입력장치(53)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시킨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입력된 거리를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계척개시 지령이 계척장치 본체(51)에 부여되면, 계척장치 본체(51)는 케이블운송기구를 통하여 케이블(1)의 이동을 개시시킨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1)이 화살표시방향(A)으로 이동하여 테이프(57)도 케이블(1)과 같이 이동한다.
제 9 도b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케이블(1)이 이동되면, 개시마아크(58O)의 에지가 제 2 센서(46)로 검출되고, 그 검출신호가 제 2ADC(48)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표시기(52)에 상기 입력된 거리a를 표시한다.
또 동시에 계척장치 본체(51)는 이미지 카메라신호 처리회로(62)에 계척지령을 출력하고, 넓은 시야를 가진 이미지카메라(61)가 그 지향의 중심주위의 범위의 화상을 촬영시킨다. 이 촬영정보가 이미지카메라 신호 처리회로(62)에 입력되어 이미지카메라(61)의 지향방향 중심선에 대한 제 1마아크(581)의 어긋남을 표시하는 잔여길이(C1)를 입력한 화상점의 간격으로 검출된다.
예컨데 이 잔여길이(Ci)의 검출은 다음식에 의거하여 행하여진다.
C1=(xSE-xC)ㆍP
단,XSE는 제i번째의 마아크(58i)의 검출위치가 존재하는 화소순번이며, XG는 이미지 카메라의 검출위치(61a)의 화소위치이며, P는 인접화소간의 거리이다.
제 9 도는 c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 1 마아크(581)의 에지가 제 2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에 도달하며, 제 2 센서(46)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계척장치 본체(51)가 그 초기치가 「0」인 메모리내의 계수치(N)를 1만 갱신하여 N=1로 한다.
이때 계척장치 본체(51)는 이미지 카메라(61) 및 이미지 카메라신호 처리회로(62)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잔여길이(C2)를 검출하고, 그 값을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지금까지의 케이블(1)의 이동거리(L41)를 (a+1ㆍS+C1)으로 하여 산출하고 표시기(52)에 표시한다.
상기와 동일한 계척동작이 반복된다. 제 9 도d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케이블(1)의 종단면(1B)과 마아크(58N)와의 사이의 거리(b1)를 줄자 등으로 측정하여 입력장치(53)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계척장치 본체(51)에서 산출되는 케이블(1)의 길이(L4)는 하기식으로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카메라(61) 및 이미지카메라신호 처리신호(62)로 직접 마아크(58)와의 어긋남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테이프(57)를 자기테이프(2)에 대체할 수 있음을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또 이미지카메라(61) 및 이미지카메라신호 처리신호(62)에 대체하여, 레이저광을 회전미러로 고속회전시켜서 스캐닝을 행하여도, 상기 잔여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의 잔여길이(C1)는 하기식으로 산출된다.
C1=(tSE-tC)ㆍQ
단 tSE는 제i번째의 마아크(58i)를 검출했을 때의 시각이며, tC는 계척기준 위치를 검출했을 때의 시각이며, Q는 스캐닝 속도이다.
제 7 실시예를 제10도 및 제11도(a~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0도에 도시한 계척장치는 제 8 도에 도시한 계척장치를 개량한 것이며, 제 8 도에 있어서의 테이프(57) 및 테이프(57)를 케이블(1)에 부착시켜 그 후 박리시키는 부재(3,4,6,8)를 제거하고, 제 4 도에 도시한 마아커(43)에 상당하는 마아커(63)를 설치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제 8 도에 도시한 테이프(57)에 설치된 마아크(58)에 대신하여, 레이저스우치로 구성된 제 2 센서(46)가 마아크(59)를 검출할 때마다 계척장치 본체(51)에 의해 구동되는 마아킹(63)가 케이블(1)표면에 마아크(51)를 부착한다.
이 마아크(59)와 계척기준거리(S)와의 어긋남을 검출하는 이미지카메라(61) 및 이미지카메라 신호처리신호(62)의 동작처리는 제 6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11도(a~f)에 계척장치의 동작처리를 도해하고 있으나, 제11도a에 도시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케이블(1)의 단면(1A)으로부터 개시마아크(59O)까지의 거리a의 수동측정 및 제11도f에 도시한 마아크(59N)로부터 케이블(1)의 종단면(1B)까지의 거리(b2)의 수동측정을 제외하여, 그 동작은 제 6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이미지카메라(61) 및 이미지카메라 신호처리신호(62)에 대체하여 레이저광을 회전미터로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스캐닝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제12도~제1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제 1 도, 제 4 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에 있어서는, 제 2 센서가 마아크를 검출하고나서 마아커가 이동하고 있는 케이블(1)의 표면에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 또는 자기테이프(2)에 자기적인 마아크를 부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1)의 이동속도가 대단히 고속으로 되면, 제 2 센서가 마아크를 검출하고나서 마아커가 마아크를 부착할 때까지 시간지연이 발생하여, 제2 및 제 2 센서간의 계척기준거리(S)를 고정으로 하여 계척연산을 행하면 측정 오차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제12도에 본 실시예의 계척장치의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 계척장치는 마아크간격(MS)으로 미리 자기적인 마아크가 부착되어 있는 뒷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자기테이프(65)외에 이 자기테이프(65)를 케이블(1) 표면에 접착하여 케이블(1)과 같이 운송시키고, 그 후 자기테이프(65)를 케이블(1)로부터 박리시킬 테이프 공급드럼(3), 테이프첨부로울러(4), 테이프박리로울러(6) 및 테이프감기드럼(8)을 가지고 있다.
계척장치는 다시 주행하는 자기테이프(65)에 부착된 마아크를 검출하기 위한 제1 재생헤드(66), 이 재생헤드(66)와 소정의 계척기준거리(S) 만큼만 떨어져서 배열 설치된 제 2재생헤드(68) 및 이들 재생헤드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여 재생신호를 발생시키고, 계척장치 본체(51)에 출력하는 제1 및 제 2 의 재생회로(67,69)를 가지고 있다.
또한 계척장치는 계척장치 본체(51)에 접속된 기억수단(70)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억수단(70)을 계척장치 본체(51) 내부의 메모리부터 도시하지 않고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억수단(70)을 도해(圖解)하고 있다. 제13도에 제12도에 도시하는 계척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서 도시한다.
이 기능블록 구성의 계척장치는 제 1 재생헤드(66), 제 1 재생회로(67) 및 계척장치 본체(51)에 내장된 컴퓨터본체(CPU)와 이 CPU로 동작하는 제어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 및 제 2 재생헤드(68), 제 2 재생회로(69) 및 계척장치 본체(51)의 CPU와 그 제어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제 2마아크판독수단(72)을 가지고 있다.
또 계척장치는 각각 기억수단(70)의 일부를 이루는 제 1기억수단(73), 제 2기억수단(74) 및 기준정보 기억수단(75)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계척장치는 각각 계척장치 본체(51)의 CUP와, 그 제어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기억 바꿔쓰기수단(79), 정보비교수단(77), 초회정보 지령수단(76),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78) 및 길이산출수단(81)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또한 계척장치는, 계척장치 본체(51)의 CPU와 제어프로그램 및 기억수단(70)의 일부를 메모리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측정회수 계수수단(80)을 가지고 있다.
케이블(1)의 표면에 접착되는 자기테이프(2)에는 될 수 있는 대로 짧은 간격, 예컨대 50㎛간격으로 랜덤한 패턴으로 바코우드 등의 자기마아크가 부착되어 있다.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 및 제 2 의 마아크판독수단(72)은 자기테이프(65)의 상기 마아크(64)를 판독한다. 마아크판독수단(71,72)으로 판독된 마아크(64)는 각각 기억 바꿔쓰기수단(79)에 의해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73,74)에 기억된다.
초회정보지령수단(76)은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이 판독하고, 제 1기억수단(73)에 기억된 데이타 중, 계척기준거리(S)를 기준하여 계척하는 자질의 기준으로 되는 최초의 판독데이타인, 케이블(1)의 위치를 대표하는 기준위치데이타를 기준정보기억수단(75)에 기억시킨다.
정보비교수단(77)은 제 2기억수단(74)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와, 기준정보기억수단(75)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를 비교하여 일치되어 있을 때는 계척기준거리(S1)만을 케이블(1)이 이동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질(尺取)회수 계수수단(80)에 자질신호(계수신호)를 출력한다.
기억바꿔쓰기수단(79)은, 이 자질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71,72)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를 바꿔쓴다. 자질회수계수수단(80)은 자질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그 계수치(N)를 1씩 갱신한다. 길이 산출수단(81)은 자질회수계수수단(80)의 결과에 의거하여 케이블(1) 길이를 산출한다.
이 계척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제14도에 도시한다.
(스텝 S001~S003)
제 1 의 마아크판독수단(71)이 최초의 마아크를 판독하고 (스텝 S001), 그 판독데이타를 초회정보지령수단(76)이 기준정보기억수단(75)에 기억시키고 (스텝 S002), 제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71,72)이 마아크를 차례로 판독한다(스텝 S003).
스텝 S004~스텝 S006의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한다.
(스텝 S007~S009,S011)
정보비교수단(77)이 제 2기억수단(74)의 기억내용과 기준정보 기억수단(75)의 기억내용을 비교하여(스텝 S007), 일치하면 자질신호를 자질회수계수수단(80)에 출력하고, 자질회수계수수단(80)은 이 자질신호가 입력되면 그 계수치(N)를 1만 진행시킨다(스텝 S008).
자동게척의 종료여부를 판별하고(스텝 S009). 아직 종료되지 않은 경우는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78)은 제 1 의 기억수단(7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로부터 선택하여 기준정보를 기준정보기억수단(75)에 기억시켜 (스텝 S011), (스텝 S004)의 동작으로 복귀한다.
(스텝 S010)
자동계척이 종료된 경우, 길이산출수단(81)이 자질회수계수수단(80)의 계수치(N)를 참조하여 이동한 케이블(1)의 길이를 산출한다. 또한 이상의 동작에 있어서, 제12도에 도시한 계척장치 본체(51)가 중간계척 결과를 LCD등의 표시기(52)에 표시할 것, 수동에 의한 케이블(1)의 선단부 및 종단부의 길이측정 및 도시하지 않은 입력장치(53)를 통하여 그것들의 측정결과의 계척장치 본체(51)에의 입력 등은 종전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 계척장치에 있어서도, 계척기준거리(S) 마다의 자질계수를 행하여 케이블(1)의 길이를 산출하고 있으나,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과 제 2마아크판독수단(72)을 동시에 동작시켜서 마아크를 판독하고 있으므로, 계척오차가 발생되지 않고 각 자질마다의 측정 정밀도가 높다.
제15도에 제12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의 변형형태로서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계척장치는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78)과 기억바꿔쓰기수단(79)과의 사이에 동작시간 설정수단(82)을 설정하고 있다. 이 동작시간 설정수단(82)을 설정하여 제14도의 스텝(S004~S006)에 도시한 처리를 행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스텝 S004), 기억바꿔쓰기수단(79)이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73,74)의 기억내용을 말소하고, 기억을 개시한다(스텝 S005).
기억수단(73,74)은 제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71,72)으로부터의 마아크의 기억을 행한다(스텝 S006).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간을 두고 기억내용의 교체를 행함으로써 계척에 직접 관계하지 않는 마아크의 기억을 적제하여, 제 1기억수단(73)과 제 2기억수단(74)의 용량을 삭감시키고 있다.
이상의 예에 있어서는 제13도 및 제15도에 있어서,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72)으로서, 자기테이프(65)에 기록된 자기적인 마이크를 판독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광학적인 마아크를 판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제 1 의 마아크판독수단(71) 및 제 2 의 마아크판독수단(72)은 상기한 마아크판독수단에 한하지 않고, 케이블(1) 표면의 거칠기, 수 ㎛정도의 범위에서 편차가 있는 높이 등의 계척해야할 케이블자체의 특징을 나타내는 패러미터를 케이블 특징 패러미터신호로서 검출하는 판독수단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하는 케이블(1) 자체의 특징을 검출하므로, 케이블(1) 표면에 마아크를 붙일 필요가 없고, 또 케이블(1)과 같이 운송되는 테이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즉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72)으로서의 제1 및 제 2 의 케이블 특징 신호 판독수단이 직접 계척해야할 케이블(1)의 표면상태, 운송상태 등의 패터미터를 검출하여, 그 검출결과를 사용하여 제13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구성으로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케이블(1)의 계척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계척장치를 제16도에 도시한다.
제13도 및 제15도에 있어서 제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71,72)으로서 각각 제 1 재생헤드(66), 제 1 재생회로(67) 및 제 2 재생헤드(68), 제 2 재생회로(69)를 사용하여 자기테이프(65)의 마아크를 판독하는 예를 예시하였으나, 제16도에 있어서는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으로서, 제 6 도에 도시한 제 1 센서(45) 및 제 1ADC(47), 제 2마아크판독수단(72)으로서 제 2 센서(46) 및 제 2ADC(48)를 사용한 것이다.
제16도에 도시한 계척장치는 케이블(1) 표면에 부착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를 검출하나, 그 계척동작은 상기 제 8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계척장치에 대하여 제17~제2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행하는 케이블(1) 표면에 부착한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마아크가 케이블(1)의 비틀림으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없고 정확한 계척을 행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제10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제17도에 본 발명 계척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이 계척장치는 계척장치 본체(51), 표시기(52)외에 광학적인 마아크를 케이블(1) 표면에 부착하는 마아킹 수단(85) 및, 레이저 스위치 등의 제1 및 제 2 광학식 마아크판독수단(86,87)을 가지고 있다.
이들 제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86,87)의 후단에는, 제 4 도의 ADC(48)에 상당하는 ADC가 붙여지나, 이 도면에 있어서는 생략하고 있다. 제 2마아크판독수단(87)의 중심위치와 제 2마아크판독수단(87)의 중심위치는 케이블(1)의 이동방향으로 직교되는위치에 있어서 동등하다.
제18도는 케이블(1) 표면에 부착되는 마아크(88)의 확대도와 제 1 마아크판독수단(86)의 검출점(86a)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87)의 검출점(87a)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제 1마아크판독수단(86)의 검출점(86a)과 제 2마아크판독수단(87)의 검출점(87a)은 케이블(1)의 주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있다.
마아킹수단(85)에 의해 부착되는 마아크(88)는 전체로서 4각형을 하고 있고, 4각형의 1점 (RR)로부터의 연장선(PP)과 대각선(QQ)에 의해 규정되고 있다. 대각선(QQ)의 아래부분은 케이블(1)의 표면, 예컨대 흑색과 명료하게 식별가능한 색, 예컨대「백」이 착색되어 있고, 대각선(QQ)의 위는 케이블(1)의 표면에 가까운색, 예컨대「흑」이 착색 되어 있고, 대각선(QQ)의 상하가 명료하게 식별가능함과 동시에, 대각선(QQ)에 명료하게 식별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8도는 계척기준거리(S)를 사이에 두고 좌측의 마아크(881)와 우측의 마아크(882)가 케이블(1)의 비틀림에 의해 케이블(1)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제19도는 제18도에 도시한 마아크(881)를 확대하여 그 비틀림을 검출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20도는 제17도의 계척장치의 기능을 블록구성으로 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 계척장치는 제17도의 계척장치 본체(51)를 구성하는 CPU와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제 1 거리 산출수단(91), 제 2 거리 산출수단(92), 제 3 거리 산출수단(93), 자질거리 산출수단(94), 자질회수계수수단(95) 및 케이블길이 산출수단(96)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아킹수단(85), 제 1 마아크판독수단(86) 및 마아크판독수단(87)은 상기한 것과 동일하다.
제 1 거리 산출수단(91)은 제 1 마아크판독수단(71)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19도에 도시하는 제 1 거리(la)를 산출한다. 제 2 거리 산출수단(92)은 제 2 마아크판독수단(87)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19도에 도시하는 제 2 거리(lb)를 산출한다.
제 3 거리 산출수단(93)은 제 3 거리(ld)를 산출한다. 자질거리 산출수단(94)은 자질거리(LS)를 다음식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LS=S+[(laㆍld)/(la-lb)]
자질회수계수수단(95)은 제 1 마아크판독수단(86)이 마아크(88)를 판독할 때마다 자질계수치(N)를 갱신한다.
케이블길이 산출수단(96)은 자질회수계수수단(95) 및 자질거리산출수단(94)으로부터의 산출결과에 의거하여 케이블(1) 길이를 산출한다.
제21도와 제20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스텝 S021)
자동계척 동작의 개시에 의해, 마아킹수단(85)이 케이블(1) 표면에 최초의 마아크(88)를 형성한다. 또한 이 초기 동작시에 자질회수계수수단(95)은 그 계수치(N)를 「0」에 클리어한다.
(스텝 S022~S024)
제 1 거리산출수단(91) 및 제 2 거리산출수단(92)이 제19도에 도시한 마아크(88)에 있어서의 점(E,f,G,H)을 판독하고, 판독한 시각을 기억한다.(스텝 S022).
제 2 마아크판독수단(87)이 마아크(58)의 점(E)을 판독하면, 곧바로 마아킹수단(85)에 지령을 발하여 마아킹수단(85)으로부터 다음의 마아크(88)의 형성을 행하게 한다 (스텝S023). 동시에 제 2 마아크판독수단(87)은 자질회수계수수단(95)을 가동시켜 자질계수치(N)를 갱신시킨다(스텝S024).
(스텝 S025~S027)
제1~제 3 거리산출수단(91~93)은, 제1 및 제 2 마아크판독수단(86,87)이 마아크(88)의 점(E,F,G,H)을 판독한 시각으로부터, 상기 제1~제 3 거리(la,lb,ld)를 산출한다(스텝S025). 자질거리 산출수단(94)이 이들의 산출된 거리(la,lb,ld)와 계척기준거리(S)를 사용하여 상기식(33)에 의거하여 자질거리(LS)를 산출한다(스텝 S026).
케이블길이 산출수단(96)은 자질(尺取)거리산출수단(94)으로 산출한 자질거리(LS)와, 자질회수계수수단(95)이 계수한 계수치(N)를 곱하여 케이블(1)의 계척길이 L4=N×LS를 산출한다.(스텝 S028).
(스텝 S028)
스텝 S022~스텝 S027의 처리를 자동계척이 종료될 때까지 반복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마아크(88)가 케이블(1)의 비틀림에 의해 어긋남이 발생하여도, 정확한 케이블(1)의 계척이 가능하게 된다.
제11실시예를 제22도 및 제2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엔코우더를 사용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블(1) 표면에 파도가 있으면 그 파도에 따라 엔코우더 휘일의 회전이 모방하므로 계척 오차가 발생된다. 또 주위 온도의 변화 또는 마모등에 의해 엔코우더의 휘일 직경의 크기가 변화하면 계척오차가 발생된다.
제11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제23도에 이 실시예의 계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계척장치는 계척장치 본체(51),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마아크를 케이블(1) 표면에 붙이는 마아커(34), 레이저스위치등의 광학식 제1 및 제 2 센서(45,46), 제1 및 제 2ADC(47,48), 엔코우더 휘일(49A), 엔코우더(49), 카운터(50), LCD등의 표시기(52) 및 이 보드등의 입력장치(53)를 가지고 있다.
마아커(43)는 운송로울러(42) 위를 이동하는 케이블(1) 표면에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마아크(44)를 부착한다.
엔코우더(49)로 계측한 케이블(1)의 길이(L5)는, 엔코우더(49)의 1펄스당 이동거리(△L)와 카운터(50)의 계수치(N)와의 곱으로 계산된다.
L4=△LㆍN
여기서 △L은 하기식으로 규정된다.
△L=πD/J
단, D는 엔코우더 휘일(49A)의 직경이며, J는 엔코우더 휘일(49A)의 1회전마다 엔코우더(49)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수이다.
식 21을 20에 대입하여 하기식을 얻을 수 있다.
L4=πND/J
엔코우더 휘일(49A)의 직경(D)은 수동으로 측정되고, 상기 계수(J)와 함께 입력장치(53)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되어 있다.
엔코우더 휘일(49A) 측정시의 실제 직경을 Dt로 하면 하기 식이 성립된다.
Dt=KㆍD
단, K는 보정계수이다.
엔코우더 휘일(49A)의 직경이 Dt일 때의 바른 계척길이 Lt는 하기 식으로 표시된다.반식 24]
Lt=πNDt/J
이 식 24에 식 23을 대입하면 하기 식으로 된다.
Lt=KㆍL4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정계수(K)를 온라인으로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계척을 행한다.
이하 보정게수(K)의 온라인에서의 산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어떤 주기로 마아커(43)를 통하여 케이블(1) 표면에 마아크를 부착한다. 이 주기는 엔코우더 휘일(49A)의 직경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마모등에 의해 엔코우더 휘일(49A) 직경의 변화가 대단히 늦을 때는 그 주기는 1개월 혹은 6개월로 된다. 또 하루라도 온도변화가 대단히 클때등은 수시간 주기로 마아킹방식을 행하여도 된다. 또 임의의 타이밍으로 행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붙여진 마아크(441)가 제 1 센서(45)로 검출되었을 때, 계척장치 본체(51)는 그 때의 카운터(50)의 계수치(SC1)를 기억한다. 이어서 마아크(441)가 제 2 센서(46)로 검출되었을 때, 계척장치 본체(51)는 그때의 카운터(50)의 계수치(SC2)를 기억한다.
이와같이 마아크(441)가 계척기준거리(S)를 주행했을 때의 엔코우더(49)로 검출되는 거리는(SC2~SC1)△L이며 계척기준거리(S)를 미리 정확하게 측정해 두면, 이 계척기준거리(S)는 엔코우더 휘일(49A)에는 의존하지 않는 값이며, 보정계수(K)는 다음 식으로 구할 수 있다.
K=S/(SC2-SC1)△L
따라서 계척장치 본체(51)는 이 보정계수(K)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길이(Lt)를 측정한다.
또한, 엔코우더 휘일(49A)이 측정하는 것은 제2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케이블(1)의 표면이 파도치고 있어도 그 파도를 포함한 실제의 길이로 된다.
제23도에 도시한 제11실시예의 계척장치외의 적용예를 제24도 및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예는 제23도에 도시한 계척장치를 사용하여, 제24도에 도시한 병설되어 있는 복수의 심선(101)이 테이프형상 시이스(102)로 부분적 또한 주기적으로 피복되고, 이들 시이스(102)의 상호간의 창(103)이 설치되어 있다.
플랫케이블(100)의 길이를 측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 측정계의 개요를 제25도에 도시한다. 플랫케이블(100)은 운소로울러(42, 42a)에 의해 운송된다.
제 1 센서(45) 및 제 2 센서(46)는 제23도에 도시한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44) 대신에 창(103)으로 끊어져 있는 테이프형상 시이스(102)의 끝부분을 측정한다.
각각의 테이프형상 시이스(102)의 이동방향의 길이는 판명되어 있으나, 그 길이를 참조하여 상기 보정계수(K)를 산출하여, 정확한 케이블(1) 길이가 측정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를 제26도 및 제2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6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의 구성은, 제23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는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 예컨대 잉크제트에 의한 마아크를 붙이는 마아커(43)의 마아킹 동작이, 통상수 10~수 100mm/sec걸리므로 고속으로 이동하는 케이블(1)의 계척응답지연이 생기거나, 마아킹 동작이 흩어짐으로써 이동하는케이블(1) 표면에의 마아킹의 편차 등에 의한 계척오차를 개선한다.
게이저스위치등의 제 1 센서(45)와 제 2 센서(46)는 제 1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와 제 2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가 계척기준거리(S) 만큼 떨어져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마아커(43)의 마아크 부착위치와 제 1 센서(45)의 검출포인트(45a)는 계척기준거리(S)보다 짧은 거리(D)의 마아크간격만큼 떨어져서 배열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계척기준거리(S)와 마아크간격(D)과의 거리(C)는 하기 식으로 표시한다.
C=S-D
제27도는 계척장치 주로 계척장치 본체(51)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 흐름도를 참조하여 계척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031~S033)
입력장치(53)를 통하여 목표잔여길이(Cr), 계척기준거리(S), 마아크간격(D)를 계척장치 본체(51)에 설정한다(스텝 S031). 계척장치 본체(51)는 체아크기준길이(RCHEO)를 계산한다(스텝 S032).
RCHEO=S+Cr-D
또 계척장치 본체(51)는 루프연산인덱스(n)를 0으로 초기화한다(스텝 S032).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에 마아킹지령을 출력하고, 마아커(43)를 통하여 주행하는 케이블(1) 표면에 최초의 마아크(44O)를 부착한다(스텝 S033).
(스텝 S034~S035)
계척장치 본체(51)는 제 1 센서(45)가 최초의 마아크(44O)를 검출할 때까지 대기하고 (스텝 S00), 제 1 센서(45)가 최초의 마아크(44O)를 검출하면, 계척장치 본체(51)는 카운터(50)의 계수를 개시시킨다(스텝 S035).
(스텝 S036)
제 1 센서(45)가 최초의 마아크(44O) 검출시부터 계척장치 본체(51)는 카운터(50)의 계수치를 감시하고, 카운터(50)의 계수치가 표시하는 케이블(1)의 주행길이(lr)가 체크길이(RCHEn)에 도달한지의 여부를판단한다.
(스텝 S036~S039)
주행길이(lr)가 체크길이(RCHEn)에 도달하면(스텝 S036),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를 통하여 다음의 마아크(441)를 케이블(1)의 표면에 붙인다(스텝 S037).
최초 마아크(44O)가 제 2 센서(46)로 검출되면, 계척장치 본체(51)는 거리(Cn) (이 경우는 C1)를 계산한다(스텝 S038).
C1=L6(SC1-SC2)
단, SC1은 제 1 센서(45)가 마아크(441) 검출시의카운터(50) 계수치이며, SC2는 제 2 센서(46)가 마아크(44O) 검출시의 카운터(50)의 계수치이며, L6은 케이블(1)의 이동거리이다.
거리(C1)가 구해지면 계척장치 본체(51)는 체크길이(RCHE)의 수정을 행한다(스텝 S039). 0]
RCHE1=RCHEO=C1+Cr
(스텝 S040~S041)
계척장치 본체(51)는 계척의 종료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040), 계척이 종료되지 않았을 때는 인덱스(n)를 1진행시켜(스텝 S041),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040~S042)
자동계척이 종료되면(스텝 S040), 계척장치 본체(51)는 상기 거리(Ci)의 총화를 산출하여 케이블(1)의 전체길이(L7)를 계산한다(스텝 S042).
이와같이 하여 정확하게 거리(C)를 산출하고, 이 거리(C)를 사용하여 정확한 케이블(1)의 계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연속적인 케이블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엔코우더(49)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와 같이 도플러 효과를 사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센서, 혹은 스펙트로 패턴을 이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 센서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를 제28도 및 제29도 a~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이킹방식을 사용한 계척장치, 예컨대 제 4 도에 도시한 계척장치에 있어서는, 단위당의 계척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마아커(43)와 제 1 센서(45)간의 간격을 계척기준거리(S)와 같은 정도의 길이로 하고 있다.
통상 계척기준거리(S)는 1~3m정도로 하고 있고, 마아커(43)와 제 1 센서(45)와의 간격도 계척기준거리(S)와 같은 정도의 1~3m정도로 하면, 계척에 필요한 거리가 길어지며, 장치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마아커(43)~엔코우더 휘일(49A)까지의 사이, 케이블(1)을 쳐짐, 구부러짐이 없는 직선상태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한다.
제28도에 도시하는 계척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예시한 마아커(43), 제 1 센서로서의 CCD를 사용한 이미지카메라(61) 및 이미지카메라 신호처리신호(62), 제 2 센서(46) 및 제 2ADC(48), 계척장치 본체(51), 표시기(52) 및 입력장치(53)를 가지고 있다.
계척장치는 다시 제 3 마아크검출센서(105), 이 센서(105)를 이동시키는 센서이동기구(110), 이 센서이동기구(110)를 구동시키는 구동드라이버(106) 및 제 3 마아크검출센서(105)로부터의 애널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키는 ADC(107)를 가지고 있다.
센서이동기구(110)는, 프레임(111), 이 프레임(111)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나사축(112), 이 나사축을 회전시키는 모터(113) 및 나사축(112)에 비틀어 박힌 제 3 마아크검출센서(105)를 이동시키는 자동스테이지(114)로 구성되어 있다.
센서이동기구(110)은 계척장치 본체(51)로부터의 지령으로 구동드라이버(106)에 의해 구동된다. 이 계척장치의 동작을 제29도(a~g)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9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계척 앞에 케이블(1)의 선단부(1A)로부터 적당한 위치(a3)에 있어서, 계척장치 본체(51)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마아커(43)로부터 마아킹 위치(43a)에 있어서, 케이블(1)의 표면에 마아크(44O)를 부착한다.
이 마아킹으로서는 상기한 바와같이 잉크제트방식, 스탬프방식, 라벨부착방식등이 있다. 케이블(1)의 선단부(1A)로부터 마아킹위치(43a)까지의 거리(a3)를 줄자등으로 측정하고, 입력장치(53)를 통하여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시킨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케이블운송기구에 케이블(1)을 운송시키는 지령을 받는다. 이것에 의해 케이블(1)이 화살표시(A)의 방법으로 운송된다.
제29도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마아크(44O)가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의 검출위치(105a)에 도달하면 마아크(44O)가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에 의하여 검출되고, ADC(107)를 사이에 두고 검출신호가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된다. 이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에 마아킹지령을 출력하고 다음의 마아크(441)가 케이블(1)의 표면에 분쳐진다.
제29도c에 표시하는 위치까지 케이블(1)이 이동하면,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에 있어서 마아크(44O)가 제 2 의 센서(46)로 검출되고, 제 2 의 ADC(48)를 사이에 두고 검출신호가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상기 거리(a3)를 표시부(52)에 표시하고 이미지카메라 신호처리부(62)를 사이에두고 이미지카메라(61)에 계척을 행하게 한다.
이미지카메라(61)는 이미지카메라의 검출위치(61a)과 마아크(441)와의 거리(C1)를 측정한다. 이 거리(C1)는 상술한 바와같이 계척기준거리(S)에 대한 마아크간격 MS와의 차, 즉 여장(余長)을 표시한다. 이 여장의 측정방법은 제12실시에에 기술한 방법과 같다.
측정된 여장(C1)이 양의 값일 경우, 계척장치 본체(51)는 구동드라이버(106) 및 센서이동기구(110)를 사이에 두고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를 측정된 여장(C1)만큼 도면에 있어서 우측, 즉, 이미지카메라(61)측으로 이동시킨다. 여장(C1)이 음인 경우는 계척장치 본체(51)는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를 거리(C1) 만큼 제 2 의 센서(46)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테이블(1)의 이동속도가 빨라졌을 때에는 제 3 의 마아크 검출센서(105)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거리(D)를 짧게 한다. 케이블(1)의 이동속도가 늦어졌을 때에는 제 3 의 마아크 검출센서(105)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서 케이블(1)의 이동속도가 변화하더라고 여장(C1)을 작은 범위로 억제할 수가 있다.
제29도 d에 표시하는 마아크(441)가 제 3 의 마아크 검출센서(105)로 검출되면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에 마아킹 지령을 출력하여 마아크(442)가 케이블(1)의 표면에 붙여진다.
제29도 e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마아크(441)가 제 2 의 센서(46)의 검출포인트(46a)에 도달하면, 제 2 의 센서(46)가 마아크를 검출한다.
계척장치(51)는 계척계수치를 갱신한다. 또 계척장치 본체(51)는 이미지카메라(61)를 사이에 두고 마아크(442)에 대한 여장(C2)을 측정하고 메모리에 기억한다. 이와같이 하여 계척기준거리(S)에 대한 제 1 회의 계척이 행해진다.
이하, 상기 계척이 반복된다.
제29도 f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제 N번째의 마아크(44N)가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에 의하여 검출되면, 계척장치 본체(51)는 마아커(43)를 사이에 두고 케이블(1)의 표면에 마아크 44N+1를 붙인다.
제29도 g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마아크 44N+1가 제 2 의 센서(46)에 의하여 검출되면 자동계척이 종료한다.
작업자는 마아크 44N+1와 케이블(1)의 종단부(1B)와의 거리(b3)을 줄자 등으로 측정하여 입력장치(53)를 사이에 두고 계척장치 본체(51)에 입력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케이블(1)의 계척길이(L7)를 산출한다.
L7=a3+∑1+NㆍS+b3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이하면, 제 1 의 센서로서의 이미지카메라(61)와 제 2 의 센서(46)와의 사이에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을 배설하고, 이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가 마아크를 검출한 시점에서 마아커(43)에 의한 마아킹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케이블(1)의 계척거리를 짧게할 수 있따. 계척거리가 짧으면 계척장치의 전체 구성이 작아질 뿐만 아니라, 그 계척거리에 있어서 케이블(1)의 직선성의 유지가 용이하게 되므로, 측정정밀도가 향상된다. 또 여장(C)의 크기에 의하여 제 3 의 마아크 검출센서(105)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으므로 케이블(1)의 이동속도의 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 높은 정밀도의 계척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의 계척장치를 제30도 a,b 및 제31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예를 들면, 제28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에 있어서, 이하에 기술하는 문제가 있다.
케이블(1)은 이동하고 있으므로, 제 3 의 마아크 검출센서(105)의 선단과 케이블(1)의 표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어떤 범위에서 변동하여 검출정밀도가 저하한다.
상기 거리변동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려면 케이블(1)과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와의 거리를 크게하고, 제 3 의 마아크 검출센서(105)의 촛점심도를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만일 제 3 의 마아크 검출센서(105)가 진동하는등 하면, 마아크검출오차가 매우 커지고, 제 3 의 마아크검출센서(105)의 검출이치(105a)의 특성이 어렵고 그 위치 차이를 발견하기 어렵다.
본 실시예는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30도 a, b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이동하는 케이블(1)의 근방에 기준스케일(120)를 설치한다.
기준스케일(120)에는 등간격의 눈금(121)이 설치되어 있다.
제31도에 눈금(121)의 확대도를 표시한다. 눈금(121)의 중앙에는 이미지카메라의 검출위치(61a)에 일치하는 위치에 센터눈금 121O이 붙여지고, 그 전후의 간격 t, 예를 들면 2mm로 눈금 121, 1212이 설정되어 있다.
이미지카메라(61)가 마아크(44)를 검출하여 여장 C를 측정할 때 이미지카메라(61)에는 제31도에 표시하는 화상데이타가 입력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눈금(121O)에 대한 마아크(44)의 거리차를, 우선 눈금(1212)에 의하여 크게 측정하고, 더욱 눈금(1212)과 마아크(44)의 에지와의 거리 X를, 눈금간격 t에 대응하여 화소수로부터 산출한다. 예를 들면 눈금간격 t=2mm로 그 사이의 화소수가 100인 경우, 눈금(1212)로부터 마아크(44)까지의 화소수가 50인 경우, 거리 X는 1mm론 산출할 수 있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이 거리 X도 계척에 사용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지카메라(61)와 제 2 의 센서(46)와의 사이의 계척기준거리(S)가 정확히 규정할 수 있고, 또 여장(C)이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므로 계척정밀도가 매우 향상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눈금(121O)을 설정하여 있으므로 이미지카메라의 검출위치(61a)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의 계척장치를 제32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이 실시예는 제 4 도에 표시한 계척장치에 있어서 마아킹 측정계 및 엔코우더 측정계를 각각 이중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 계척장치는 계척장치 본체(51), 표시부(52), 입력장치(53) 및 마아커(43)를 갖고 있다. 또 계척장치는, 제 3 도에 표시한 그 계통의 엔코우더 측정계, 즉, 제 1 의 엔코우더(32)와 제 1 의 카운터 36 및 제 2 의 엔코우더(34)와 제 2 의 카운터(37)를 갖고 있다. 더욱 계척장치는 4개의 마아크 검출부, 즉 제 1 의 센서(141)와 그의 ADC(142), 제 2 의 센서(143)와 그의 ADC(144), 제 3 의 센서(145)와 그의 ADC(146), 제 4 의 센서(147)와 그의 ADC(148)를 갖고 있다.
제 1 의 센서(141)와 제 2 의 센서(143)와는 같은 가대(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고 그 사이의 거리는 (S1)이다.
제 3 의 센서(145)와 제 4 의 센서(147)도 같은 가대에 장착되어, 그 거리는(S3)이다.
제 2 의 센서(143)와 제 3 의 센서(145)와의 사이의 거리를 (S2)라 한다. 예를 들면 거리(S1) 및 (S3)는 거리(S2)에 대하여 매우 짧은, 예를 들면 32.5mm이고 거리(S2)는 전술한 계척기준거리(S)와 동정도의 2.95m이다. 거리(S1) 및 거리(S3)은 극력ㆍ짧은 것이 좋은데, 인접하는 센서(141)와 (143),(145)와 (147)의 치수의 관계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값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이 마아킹 방식에 의한 계측계를 2중화하고 있지만, 그 전장은 그다지 길어지지 않고 있다.
엔코우더 휘일(33)과 엔코우더 휘일(35)과는 도시한 바와같이 근방에 인접하여 배설하는 외, 제 3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같이 미끄러짐의 영향을 적게 되도록 예를 들면 엔코우더 휘일(35)을 제 4 의 센서(147)의 후단에 배설하여도 좋다.
이 실시예는 2중화 엔코우더계에 대하여는 제 3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에 의한 카운터의 계수조정 동작을 행하여 엔코우더계 자체로 정확한 계척을 행할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는, 제 4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제 4 실시예의 2중화 계통으로서의 동작을 행할 수가 있다. 이하 이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마아킹 측정계로서 계척장치 본체(51)는 하기표에 입각한 센서의 조합을 사용하여 계척을 행한다. 표중 블랭크는 그 센서가 정상임을 표시하고, X는 그 센서가 고장된 것을 표시한다. 표중의 번호는 상기 센서의 부호를 표시한다.
[표 1]
센서가 모두 정상인 경우, 계척장치 본체(51)는, 제 1 의 센서(141)와 제 3 의 센서(145)의 조합을 주마아킹 측정계로 하고, 이 측정계를 사용하여 주계척거리(S1+S2)를 측정하고, 또 센서(143)와 제 4 의 센서(147)의 조합을 부마아킹 측정계로 하고, 이 측정계를 사용하여 부계척거리(S2+S3)를 측정한다.
또 제 1 의 엔코우더(32) 및 제 1 의 카운터(36)의 엔코우더 측정계를 주엔코우더 측정계로 하고, 제 2 의 엔코우더(34) 및 제 2 의 카운터(37)를 주엔코우더 측정계로 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주마아킹 측정계와 주엔코우더 측정계를 사용하여 케이블(1)의 계척을 행한다. 그 동작은 제 4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단,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마아킹 측정계와 부엔코우더 측정계가 존재한다. 이들 부마아킹 측정계와 부엔코우더 측정계는 주마아킹 측정계 및 주엔코우더 측정계의 측정의 정상성의 판정에 사용한다.
계척장치 본체(51)는 주엔코우더 측정계의 계척결과는 부엔코우더 측정계의 계척결과와 비교하고, 그 차가 허용치 이상으로 주엔코우더 측정계 결과가 통상의 측정결과로부터 크게 다르고 주엔코우더 측정계가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부엔코우더 측정계의 결과를 사용한다.
또는, 제 3 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제 3 실시예와 같이 계척장치 본체(51)는 계척장치 본체(38)와 마찬가지로 엔코우더 휘일(33)의 미끄럼 조정을 행하고, 제 1 의 카운터(36) 또는 제 2 의 카운터(37)의 계수치가 큰 편의 계수치를 사용한다.
단 어느 한쪽의 계수치가 예상치보다도 크게 차이가 있는 경우든가, 계수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엔코우더 측정계를 고장으로 취급하고 정상으로 동작하고 있는 엔코우더 측정계의 결과를 사용한다.
마아킹측정계에 대하여도 양계통의 결과를 비교한다. 그리고, 양결과의 오차가 허용치보다 초과하여 있고 한쪽의 값이 예정치보다 차이가 있는 경우, 센서의 조합을 대신 하여 고장되고 있는 센서의 특징을 행한다. 고장센서가 특정되었으면, 표 1에 따라 센서조의 변경을 행한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우선 엔코우더 측정계의 하나 또는 마아킹 측정계의 하나의 고장에 의하여 계척이 할 수 없는 일은 없다.
이동하고 있는 케이블(1)의 계척 중에, 무엇인가의 측정계에 고장이 발생하면 계척이 행해지지 못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계척불가능으로 되는 확률은 현저히 감소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마이킹 측정계 및 엔코우더 측정계를 각각 2중화하여 고장된 센서 또는 엔코우더를 특정할 수 있다라는 효과를 이룬다.
제32도에서 마아커(43)를 2중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시간 센서가 하등의 마아크 검출이 없는 경우, 마아커(43)가 고장한 것으로 계척장치 본체(51)는 2중계의 마아커를 동작시킨다. 마아크가 되지 않는 기간도 제 1 의 엔코우더(32) 또는 제 2 의 엔코우더(34)에 의하여 계척이 행해지고 있으므로 케이블(1)의 계척을 하지 못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15실시예를 제33도 및 제34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이 실시예는 계척기준거리(S)의 정확한 측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계척에 있어서는 단위길이의 거리 측정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계척기준거리(S)의 값이 정확하게 측정되어 있을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계척정밀도 0.02%의 경우, 계척기준거리(S)의 설정 정밀도로서는 0.01% 이하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계척기준거리(S)가 3m의 경우, 허용오차는 0.3mm 미만으로 된다. 계척기준거리(S)의 길이를 크게 하면, 허용오차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1)의 이동방햐에 따른 계척장치의 길이가 길어지고 그 긴 계척기준거리(S)의 범위를 이동하는 케이블(1)의 직선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계척기준거리(S)는 크게 취할 수 없고, 오히려, 1m 이하로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와같은 상황에 있어서 계척기준거리(S)를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33도의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는, 제 1 의 선형스케일(155) 및 제 2 의 선형스케일(165)을 갖는다. 제 1 의 선형스케일(155)에는 제 1 의 LM가이드(154)가 설치되고, 그에 앞서 제 1 의 표적(151)이 장착되고, 제 1 의 표적(151)의 선단에는 제 1 의 라벨(152)과 제 1 의 검은 고부(153)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의 선형스케일(165), 제 2 의 LM가이드(164), 제 2 의 표적(161), 제 2 의 라벨(162) 및 제 2 의 검은 고무(163)도 마찬가지이다.
제 1 의 선형스케일(155)은 이동방향B으로 이동한다. 제 1 의 선형스케일(155)과 제 1 의 LM가이드(154)가 케이블(1)의 이동방향과 정확히 평행하여 이동가능하게 되도록, 제 1 의 선형스케일(155) 및 제 1 의 LM가이드(154)를 케이블 이동가이드의 본체위에 장착한다. 케이블 표면과 마아크의 콘트라스트를 정확히 재현하기 위하여 제 1 의 표적(151)을 설치하고, 이 표적위에 얇은 고무판의 제 1 의 검운 무(153)을 첨부하고 그 위에 흰 제 1 의 라벨(152)를 첨부한다. 제 1 의 라벨(152)의 좌측의 에지는 케이블(1)의 이동방향, 즉, 방향 B와 직교하고, 항상 같은 위치로 한다. 제 1표적(151), 제 1 의 LM가이드(154)의 블록, 제 1 의 선형스케일(155)의 슬라이드헤드와의 상대위치는 표적가대에 고정된다. 이 표적가대는, 계척기준거리(S)의 측정일때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데, 통산의 케이블(1)의 계척 동작일때는, 케이블(1) 이동위치로부터 퇴피된다.
이상, 제 1 의 선형스케일(155)측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제 2 의 선형스케일(165)측도 마찬가지이다.
제33도에는 더블체크 장치로서 4개의 마아크센서(171~174)를 사용한 장치구성을 표시하고 있다. 이들 마아크센서(171~174)의 레이저비임스폿 위치(175~179)는 제 1기준거리(S11)와 제 2 의 기준거리(S12)를 규정한다.
즉 제 1 의 마아크센서의 스폿(175)와 제 3 의 마아크센서의 스폿(177)와의 사이가 제 1 의 기준거리(S11)이고, 제 2 의 마아크센서의 스폿(176)과 제 4 의 마아크센서의 스폿트(178)와의 사이가 제 2 의 기준거리(S12)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거리 교정이란, 이들 기술거리(S11), (S12)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또 제 1 의 선형스케일(155)과 제 2 의 선형스케일(165)에는 각각, 제 1 의 선형스케일 절대원점(155a)과 제 2 의 선형스케일 절대원점 (165a)이 설치되고 이들 사이의 거리는 고정의 L11이다.
제 1 선형 스케일 절대원점(155a)과 슬라이드헤드(155a)와의 사이의 거리가 a11, 슬라이드헤드(1555b)와 제 1라벨(152)의 좌측에지의 위치(155c)와의 사이의 거리가 b11이다. 마찬가지로 제 2 의 선형스케일 절대원점 (155a)과 슬라이드헤드(165b)와의 사이의 거리가 a12, 슬라이드헤드(165b)와 제 2라벨(162)의 좌측에지의 위치(165c)와의 거리가 b12이다. 제33도에 표시한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는 계측의 연산제어를 행하는 컴퓨터(182), 제 1 의 선형스케일(155)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 1 의 선형스케일 어댑터(156) 및 제 1 의 엔코우더카운터(157), 마찬가지로 제 2 의 선형스케일 어댑터(166) 및 제 2 의 엔코우더 카운터(167)를 갖고 있다. 또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는 제 1 의 센서스위치 어댑터(179) 및 제 2 의 센서스위치 어댑터(180)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의 선형스케일(155) 및 제 2 의 선형스케일(165)의 분해능은 5㎛이고, 변위 측정의 최대오차는 20㎛이다. 제 1 의 선형스케일 절대원점(155a)는 20㎛의 정밀도로 검출가능하다. 이 제 1의 선형스케일 절대원점(155a)는 제 1 의 선형스케일(155)에 있는 위치에 고정 되어 있다. 단, 제 1 의 선형스케일 절대원점(155a)의 위치와 제 2 의 선형스케일 절대원점(165a)의 위치와는 상이하다.
제 1 의 선형스케일(155)의 위치는 제 1 의 선형스케일 어댑터(156) 및 제 1 의 엔코우더 카운터(157)를 사이에 두고 컴퓨터(182)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고 슬라이드헤드에 대한 그 상대 정밀도는 20㎛이다. 제 2 의 선형스케일(165)측도 마찬가지이다.
또 슬라이드헤드(155b) 및 슬라이드헤드(165b)의 위치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컴퓨터(182)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제 1의 라벨(152)의 왼쪽 가장자리의 위치(155c) 및 제 2라벨(162)의 왼쪽 가장자리의 위치(165c)의 위치는 고정이다. 따라서, 상술한 거리(a11,b11,a12,b12)가 정확히 검출된다.
이하, 기슬거리(S11 및 S12)를 측정하는 기본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 1 의 표적(151) 및 제 2 의 표적(161)을 케이블의 이동방향 B에 따라 이동시켜 마아크센서(171~174)가 라벨의 에지를 검출한 순간에 상기 표적의 이동을 정지한다. 이때의 라벨(152,162) 의 에지를 마아크센서의 스폿의 검출위치에 겹친다. 이로써 상기 제1 및 제 2 의 거리(S12,S12)가 측정된다. 다음에 두 라벨(152,162) 사이의 에지간의 거리(M)를 어떻게 하여 정확하게 측정하는가에 대하여 기술한다.
두 라벨 사이의 에지간의 거리(M)는 다음식으로 규정된다.
M=L11+a11+a12+b11+b12
여기서 상술한 바와같이 거리 a11와 a12과는 컴퓨터(182)를 사이에 두고 20㎛ 정도의 정밀도로 정확히 구할 수 있었다. 거리(L11+b11+b12)는 변동하지 않는 고정치이다. 따라서 일단 이 거리(L11+b11+b12)를 구하고 컴퓨터(182)의 메모리에 기억하면 거리(a11,a12)를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함으로서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측정할 수 잇다.
이하, 상기 고정의 거리(L11+b11+b12)를 구하고 기억하여 두기 위하여 초기처리로서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측정하는 제 1 의 방법은, 예를 들면, 3m의 길이의 고정밀도의 금속제 직척과 20배의 확대경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확대경을 하용하여 두개의 표적의 라벨을 각각 고정밀도 금속제 직척의 눈금의 괘선과 딱들어 맞도록 a11과 a12a를 적절히 조정하여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측정한다. 이 측정방법에 의하면 약 0.2mm 정도의 정밀도로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측정할 수 있다.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측정하는 제 2 의 방법을 제34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케이블 이동 가이드의 본체(190)에 긴 선형스케일(191)을 부착하다. 이 선형스케일(191)의 길이(L12)를 예를 들면, 3m라 한다. 가대에 선형스케일(191)의 슬라이드헤드(192), LM 가이드(193)의 블록 및 마아크 센서인 레이저스위치(194)를 일체화 한다.
제3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선형스케일(191)에는 제 2 의 선형스케일 어댑터(166) 및 제 2 의 엔코우더 카운터(167) 및 컴퓨터(182)가 접속되어 있고, 선형스케일(191)를 이동시켰을 때의 출력패턴을 컴퓨터(182)가 판독한다. 이 판독정밀도는 상술한 바와같이 20㎛이다. 또 레이저스위치(194)의 검출신호를 컴퓨터(182)에 입력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측정한다.
컴퓨터(182)를 사이에 두고 선형스케일(191)의 절대원점(191a)을 검출하고, 제 2 의 엔코우더 카운터(167)를 리세트한다. 레이저스위치(194)를 선형스케일(19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동으로 주사시킨다.
레이저스위치(194)가 좌측의 표적(196)의 흰라벨의 에지를 검출한 순간, 컴퓨터(182)는 선형스케일(191)의 출력치(N11)를 판독하고 메모리에 기억한다. 계속하여 레이저스위치(194)가 우측으로 이동되고, 레이저스위치(194)가 우측의 표적(197)의 흰라벨의 에지를 검출한 순간, 선형스케일(191)의 출력치(J11)를 판독하고 메모리에 기억한다. 이상에서 컴퓨터(182)는 두 라벨 사이의 거리(M)를 다음식으로 산출한다.
M=PK(J11-N11)
단, PK는 펄스/길이변환계수이다.
더욱 상기 측정 동작전에 레이저스위치(194)의 감도를 조정하고, 표적의 레벨과 레이저스위치(194)와의 거리를 적절한 크기, 예를 들면, 36mm로 설정하여 둔다.
상기 어느 방법이든지 두 라벨 사이의 거리(M)가 산출되면 상술한 바와같은 거리(a11,a12)가 측정되고, 거리(L11+b11+b12)가 산출된다. 이와같은 측정된 기준거리(S1,S2)를 사용하면, 계척기준거리(S)를 0.01% 정도로 측정할 수가 있고, 케이블(1)의 계척이 매우 정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를 여러가지 포함시킬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계척하여야 할 대상인 장척물로서 케이블(1)을 예시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계척장치는 케이블에 한정되는 일없이 상기 케이블과 마찬가지의 긴 물건을 정확히 측정하는 계척장치는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주로, 계척장치 및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이들의 동작설명에 있어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척물의 계척방법까지도 개시하고 있다.
더욱 본 발명의 계척장치,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 및 이들의 방법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기술에 입각하여 당업자가 적용할 수 있는 범위에 미친다.

Claims (40)

  1.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계척기준거리(S) 만큼 사이 두고 배설되고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 또는 그 장척물과 같이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여진 마아크를 검출하는 제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45 : 47, 46 : 48),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와 이 마아크에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사이의 거리 또는 테이프에 붙여진 마아크와 이 마아크에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거리차인 여장(C)을 측정하는 여장 측정수단(49 ; 50,51), 상기 제1 및 제 2 마아크 검출수단 및 여장 측정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를 이동한 것을 계수하고,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여장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입각하여 여장을 산출하는 연산제어수단(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이동이 복수회 행해졌을 때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을 산출하고, 복수개의 여장의 합을 산출하고, 더욱 상기 계수치와 계척기준거리와의 곱과 상기 여장의 합을 가산하여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연속적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49A)를 갖고 그 회전에 따른 위치검출 펄스를 출력하는 엔코우더수단(49)과 그 엔코우더수단으로부터의 펄스츨력을 계수하는 계수수단(50)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참조하여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도플러효과를 사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장치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계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스펙트럼 패턴을 이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장치임을 특징으로하는 계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그 검출 중심선이 상기 계척기준거리의 이동방향의 후방의 단부를 지향하고, 그 검출 중심선의 둘레에 있는 퍼진 범위를 검출하고 화상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광학적 검출수단(61,62)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상기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으로부터의 화상데이타에 입각하여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하는 테이프는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미리 마아크가 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거의 일정한 건격으로 그 표면에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마아크가 미리 붙여져 있고 상기 제1 및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이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는 자기자료가 코오팅 되고, 그 자기코오팅면에 거의 일정한 간격으로 미리 자기적 마아크가 붙여져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이 자기적 마아크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이동방향의 후방에 상기 장척물에 광학적으로 검출 가능한 마아크를 붙이는 마아킹수단(43)이 배설되고, 상기 제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이 상기 마아킹수단에 의하여 붙여진 마아크를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제1 및 제 2 광학적센서(45 : 47, 46 : 48)을 갖고,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49A)를 갖고, 그 회전에 따라 위치검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엔코우더수단(49)과 그 엔코우더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계수수단(50)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에 입각하여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아킹수단이, 상기 계척기준거리(S)에 거의 같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이동방향의 후방의 위치에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과 상기 제 2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46,48)과의 사이에 배설된 제 3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105,107) 및 그 제 3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을 상기 제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10,106)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은 상기 마아킹 수단과 상기 제 3 의 마아크 검출수단과의 사이의 간격(D)이, 상기 계척기준거리(S)와 같게 되도록, 상기 이동수단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의 검출중심이고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의 근방에,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설치된 눈금을 갖는 기준스케일을 갖고,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은 상기 검출중심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상기 마아크를 상기 기준스케일의 눈금과 같이 화상데이타로서 출력하고, 상기 연산처리수단(51)은 상기 화상데이타로부터 상기 여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위치에 그들의 검출중심이 일치하고, 인접하는 적어도 두개의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86,87)을 갖고, 상기 장척물 또는 상기 장척물과 더불어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여지는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는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경사한 에지를 갖고, 이들 두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이 상기 경사한 에지를 검출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이 이들 두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의 상기 에지 검출타이밍의 상이에 입각하는 거리계산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물과 더불어 이동하는 자기테이프를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수단(3,4)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이동방향의 후방에 상기 자기테이프에 자기적 마아크를 붙이는 자기마아킹 수단이 배설되고, 상기 제1 및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이 상기 자기마아킹 수단에 의하여 붙여진 자기마아크를 자기적으로 검출하는 제1 및 제 2 의 자기적 센서를 갖고,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49A)를 갖고, 그 회전에 따른 위치검출 펄스를 출력하는 엔코우더수단(49)과 그 엔코우더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계수수단(50)를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은 상기 제 1 의 자기적 마아크 검출수단의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참조하여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자기적 마아크 검출수단의 자기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7. 이동하는 장척물(1)에 거의 일정한 간격이 붙여진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 또는 그 장척물과 더불어 이동하는 테이프에 소정의 간격으로 붙여진 광학적으로 검출가능한 마아크로 중심으로 하여 어떤 퍼짐을 갖고 검출하고 화상데이퍼로서 출력하는 광학적 검출수단(61,62),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계척기준거리(S) 만큼 떨어져서 배설되고,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 또는 그 장척물과 더불어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 검출수단(46,48),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 및 마아크 검출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광학적 검출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와 이 마아크와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거리 또는 상기 테이프에 붙여진 상기 마아크와 이 마아크와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거리차인 여장(C)을 측정하고, 더욱,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를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연산제어수단(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이동의 복수회 행해졌을 때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히는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회의 여장의 합을 산출하고, 더욱 상기 계수치와 계척기준거리와의 곱과 상기 여장의 합을 가산하여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19. 장척물(1)의 이동과 더불어 자기테이프(2)을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부착시켜 상기 장척물의 이동과 같이 이동시키는 수단(3,4), 상기 자기테이프에 자기마아크를 붙이는 마아킹수단(10 : 12, 66 : 67), 그 자기마아킹 수단과 계척기준거리(S) 만큼 떨어져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배설된 자기마아크 검출수단(14 ; 16, 68 ; 69), 상기 마아킹 수단과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수단을 고정하고, 상기 장척물의 온도변화에 따르는 길이 변화분을 자동조정하는 부재(28). 상기 마아킹수단 및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자기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마아킹 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자기마아크에 새로운 자기마아크를 붙여 또,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계수하고 그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을 산출하는 연산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기억하는 제 1 의 기억수단(73),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르 기억하는 제 2 의 기억수단(74), 상기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의 기억정보를 바꿔쓰는 수단(79), 상기 장척물의 길이측정 동작을 지령하는 초회정보 지령수단(76), 상기 제 1 의 기억수단으로부터의 기억테이퍼 중, 기준으로 되는 정보를 선택하는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78), 그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으로부터의 선택정보를 기억하는 기준정보 기억수단(75), 제 2 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정보와 상기 기준 기억수단에 기억된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여 있을 때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77), 그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일치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척취하기 회수를 계수하는 수단(80), 그 척취하기 회수계수수단의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의 값을 곱하여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수단(8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78)과 상기 기억바꿔쓰는 수단(79)과의 사이에 소정시간 경과 후, 그 기억 바꿔쓰는 수단을 동작시키는 동작시간 설정수단(8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정보 중 유효하게 사용하는 정보만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척기준거리는 상기 장척물의 온도변화에 따라 자동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계척기준거리를 상기 장척물 온도변화에 따라 자동조정 가능하게 하는 수단은 상기 장척물과 같은 재질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으로 길어지는 봉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4.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계척기준거리(S2) 간격을 두고 배설되고,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 또는 그 장척물과 더불어 이동하는 테이프에 붙여진 마아크를 검출하는 제2 및 제 3 의 마아크 검출수단(143 : 144, 145 : 146),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근방에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 후방에 배설된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141 : 142), 제 3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근방에서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설된 제 4 의 마아크 검출수단(147 : 148),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와 이 마아크에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거리 또는 테이프에 붙인 마아크와 이 마아크에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거리차인 여장(C)을 측정하는 제 1 의 여장측정수단(33 : 32,36),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그 제 1 의 여장측정수단의 측정부와 소정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설치된 측정부를 갖고, 상기 이동하는 장척물에 붙여진 마아크와 이 마아크에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거리 또는 테이프에 붙여진 마아크와 이 마아크에 인접하는 마아크와의 거리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거리차인 여장( C)을 측정하는 제 2 의 여장 측정수단(35 : 34,37), 상기 제1~제 4 의 마아크 검출수단 및 제1 및 제 2 의 여장 측정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제 4 의 마아크 검출수단 및 제1 및 제 2 의 여장측정수단의 고정판별을 행하고, 정상으로 동작하는 마아크수단 및 여장 측정수단을 사용하여, 정상인 상기 제1 또는 제 2 마아크 검출수단을 결정한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서, 이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정상인 여장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입각하여 상기 여장을 산출하고, 정상인 제3 또는 제 4 의 마아크수단을 결정한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서 이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의 마아크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연산제어수단(5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마다의 이동이 복수회 행해졌을 때, 상기 장척물의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을 산출하고, 상기 복수회의 여장의 합을 산출하고, 더욱 상기 계수치와 계척기준거리와의 곱과 상기 여장의 합을 가산하여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상기 장척물의 연속적인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 2 의 여장 측정수단이 각각 상기 장척물의 표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회전체(33,35)를 갖고, 그 회전에 따른 위치검출 펄스를 출력하는 엔코우더수단(49)과 그 엔코우더수단으로부터의 펄스츨력을 계수하는 계수수단(36,37)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은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참조하여 상기 여장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표시하는 계수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도플러 효과를 사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여장 측정수단이 스펙트럼 패턴을 이용한 레이저식 이동거리 측정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물의 선단부(1A)로부터 상기 여장 측정수단의 측정부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장척물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2 의 마아크 검출수단까지의 거리 및 상기 제 1 의 마아크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장척물의 종단부(1B)까지의 거리 또는 상기 광학적으로 마아크를 붙이는 광학적 마아킹수단으로부터 상기 장척물의 종단부까지의 거리를 입력하는 수단(53)이 설치되고, 상기 연산제어수단(51)은 상기 장의 길이의 산출에 상기 입력된 거리를 가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검출선으로부터 어떤 넓이를 갖고 검출하고 화상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광학검출수단이 이미지 카메라 및 그 신호처리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마아크 검출수단이 레이저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 검출가능한 마아크가 잉크제트 또는 스탬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마아크가 막대코우드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5. 이동하는 장척물의 표면 또는 그 장척물과 더불어 이동하는 테이프에 마아크를 붙이는 단계, 그 마아크를 검출하는 제 1 의 마아크 검출단계, 그 제 1 의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고 소정의 계척기준거리 만큼 상기 장척물이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단계, 그 마아크 검출에 응답하여 새로운 마아크를 상기 장척물의 표면 또는 상기 테이프에 붙이는 단계, 및 상기 계척기준거리와, 상기 인접하는 마아크와 마아크와의 사이의 거리와의 차인 여장을 산출하는 단계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의 길이 측정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한 값과 상기 계척기준거리와의 곱과 상기 복수의 여장의 합을 가산하여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그 위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의 길이 측정방법.
  37. 계척기준거리(S) 만큼 떨어져서 배설되고, 이동하는 장척물(1)의 표면의 거칠기, 높이등의 케이블의 특징을 표시하는 신호를 검출하는 제1 및 제 2 의 케이블 특징신호 판독수단(71,72) 및 이들 제1 및 제 2 의 케이블 특징신호 판독수단에 접속된 연산제어수단을 구비하고, 그 연산제어수단은, 상기 제 1 의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신호를 기억하는 제 1 의 기억수단(73), 상기 제 2 의 판독수단으로부터의 판독신호를 기억하는 제 2 의 기억수단(74), 상기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의 기억정보를 바꿔쓰는수단(79), 상기 장척물의 길이 측정 동작을 지령하는 초회 정보지령수단(76), 상기 제 1 의 기억수단으로부터의 기억 데이타 중, 기준으로 되는 정보를 선택하는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78), 그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으로부터의 선택정보를 기억하는 기준정보기억수단(75), 제 2 의 기억수단에 기억된 정보와 상기 기준 기억수단에 기억된 정보와를 비교하여 일치하여 있을때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77), 그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일치신호에 응답하고 상기 장척물이 상기 계척기준거리 만큼 이동한 것을 계수하는 척취하기 회수를 계수하는 수단(80), 그 척취하기 회수계수수단의 계수치와 상기 계척기준거리의 값을 곱하여 상기 장척물의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수단(81)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선택ㆍ기억지령수단(78) 상기 기억바꿔쓰는 수단(79)과의 사이에 소정시간 경과후, 그 기억바꿔쓰는수단을 동작시키는 동작시간 설정수단(8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 2 의 기억수단에 기억시키는 정보 중 유효하게 사용하는 정보만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장치.
  39. 장척물(1)에 접촉하는 제 1 의 회전부재를 갖고, 그 장척물의 이동에 따른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 1의 엔코우더수단(32)과 제 1 의 엔코우더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제 1 의 계수수단(36)과, 제 1 의 회전부재와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장척물에 접촉하는 제 2 의 회전부재를 갖고, 상기 장척물의 이동에 따른 펄스계수치를 출력하는 제 2 의 엔코우더수단(34)과, 제 2 의 엔코우더수단으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계수하는 제 2 의 계수수단(37)과, 제1 및 제 2 의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소정의 주기로 입력하고, 양계수치를 비교하고, 계수치의 큰 계수수단의 계수치를 계수치가 작은 계수수단에 설정하는 제어수단(38)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의 길이를 측정하는 계척장치.
  40. 계척기준거리(S)의 양단에 설치된 2개의 라벨(196,197), 이들 라벨사이에서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이동가능하고, 절대원점(191a)을 갖고 이동방향에 따라 직선상으로 눈금이 매겨진 선형스케일수단(191)과, 상기 선형스케일의 눈금을 검출하는 슬라이드헤드수단(192a), 상기 선형스케일 수단과 더불어 이동하고, 상기 라벨의 에지를 검출하는 센서(194)를 갖고 상기 선형스케일 수단을 상기 장척물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시켜 상기 센서가 상기 라벨의 에지를 검출한 양단의 거리로부터 상기 계척기준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척기준거리 측정장치.
KR1019910701467A 1990-05-22 1985-02-28 이동하고 있는 길다란 물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950013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30234A JP2738877B2 (ja) 1990-05-22 1990-05-22 長尺物の計尺装置
JP2130235A JP2818685B2 (ja) 1990-05-22 1990-05-22 長尺物の計尺装置
JP90-130235 1990-05-22
JP90-130234 1990-05-22
JP2130236A JP2818686B2 (ja) 1990-05-22 1990-05-22 長尺物の計尺装置
JP90-130236 1990-05-22
JP90-208822 1990-08-07
JP20882290A JPH0495702A (ja) 1990-08-07 1990-08-07 エンコーダ式計尺方法
JP24769790A JPH04125410A (ja) 1990-09-18 1990-09-18 長尺物の計尺方法
JP90-247697 1990-09-18
JP90-279775 1990-10-18
JP27977590A JPH04155207A (ja) 1990-10-18 1990-10-18 長尺物の計尺方法及び装置
JP90-315742 1990-11-22
JP31574290A JPH04188008A (ja) 1990-11-22 1990-11-22 長尺物の計尺方法及び装置
PCT/JP1991/000269 WO1991018261A1 (en) 1990-05-22 1991-02-28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ength of long moving obj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886A KR920702886A (ko) 1992-10-28
KR950013780B1 true KR950013780B1 (ko) 1995-11-16

Family

ID=2756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467A KR950013780B1 (ko) 1990-05-22 1985-02-28 이동하고 있는 길다란 물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30665A (ko)
EP (1) EP0484536B1 (ko)
KR (1) KR950013780B1 (ko)
CA (1) CA2051701A1 (ko)
DE (1) DE69115858T2 (ko)
WO (1) WO19910182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88A2 (ko) * 2011-02-25 2012-08-30 (주)에스와이리더 재단장치
CN102661711A (zh) * 2012-04-28 2012-09-12 广东日丰电缆股份有限公司 基于LabVIEW平台的非接触电缆长度测量系统
KR20130096675A (ko) * 2012-02-22 2013-08-30 포마갈스키 공중 케이블, 특히 의자식 리프트 또는 케이블 카의 운송 케이블의 속도를 측정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14636C2 (de) * 1993-05-04 1995-03-02 Pietzsch Ag Längengebervorrichtung zur Positionsbestimmung einer Abtasteinrichtung an einem Kabel und Verfahren zu einer derartigen Positionsbestimmung
JP3413645B2 (ja) * 1995-03-22 2003-06-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レーザ刻印装置における刻印位置補正装置
US5809194A (en) * 1995-06-07 1998-09-15 Alcatel Na Cabl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the protective jackets of optical fiber cables to identify switchback locations
AU724885B2 (en) 1996-07-10 2000-10-05 Vigilant Networks Llc Method and system for characterizing terminations in a local area network
US5745628A (en) * 1997-01-13 1998-04-28 Alcatel Na Cabl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region of an S-Z stranded cable core and for marking an outer sheath covering the S-Z stranded cable core to indicate a region thereunder
US6293081B1 (en) 1997-06-12 2001-09-25 Siecor Operations, Llc Fiber optic cable marking process and a sensor device use therewith
US5904037A (en) * 1997-06-12 1999-05-18 Siecor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reversal point marking process and a marking device for use therewith
US6066275A (en) * 1998-07-07 2000-05-23 Alcatel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excess length of a communications element in a conduit
US6205635B1 (en) * 1998-09-08 2001-03-27 Brian Scura Method for adjusting cable detangler systems
US6829223B1 (en) 1998-12-31 2004-12-07 Vigilant Networks Llc Computer network physical-layer analysis method and system
US6657437B1 (en) 1999-10-04 2003-12-02 Vigilant Networks Ll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contemporaneously with recurrent transmissions on computer network
JP2002108836A (ja) * 2000-09-29 2002-04-12 Hitachi Ltd プロセッサシステム
US6526793B1 (en) * 2000-10-25 2003-03-04 Donald M. Danko Magnetic marking and positioning system for unfinished metal bars
DE10116233A1 (de) * 2001-04-02 2002-05-29 Forbo Int S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timmung einer relativen Längenänderung eines Antriebs-oder Förderbandes
IL143255A (en) 2001-05-20 2015-09-24 Simbionix Ltd Endoscopic ultrasonography simulation
US7634372B2 (en) 2001-09-11 2009-12-15 Prysmian Cavi E Sistemi Energia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able stranding
BR0213236B1 (pt) * 2001-10-12 2011-04-19 método e aparelho para fabricar fio elétrico e fio elétrico.
SE0203567D0 (sv) * 2002-12-03 2002-12-03 Mentice Ab An interventional simulator control system
US6745487B1 (en) * 2003-02-18 2004-06-08 Barry J. Nield Downhole cable length measuring apparatus
US7850456B2 (en) 2003-07-15 2010-12-14 Simbionix Ltd. Surgical simu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50159917A1 (en) * 2004-01-20 2005-07-21 Borgwarner Inc. Part length measurement technique using two or three proximity sensors
US20050183278A1 (en) * 2004-02-24 2005-08-25 Broadhead John B. Electronically coded device measuring well depth information
FR2867998B1 (fr) * 2004-03-23 2007-06-15 Laselec Sa Procede de marquage d'un cable, notamment marquage laser, et dispositif de marquage correspondant
US20050283266A1 (en) * 2004-06-17 2005-12-22 Geraci Gwen R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unit level traceability of semiconductor die
JP4668643B2 (ja) * 2005-02-23 2011-04-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装置
US7354000B2 (en) * 2005-05-05 2008-04-08 Opto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sensing a barcode
US20070068272A1 (en) * 2005-09-23 2007-03-29 Houser Guy M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portions of a body
JP2007139756A (ja) * 2005-10-17 2007-06-07 Ricoh Co Ltd 相対位置検出装置、回転体走行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58170B1 (en) 2006-02-17 2008-12-02 Richardson Shane D Automatic cord length measuring device
US8543338B2 (en) 2007-01-16 2013-09-24 Simbionix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puterized simulations for image-guided procedures using a patient specific model
GB2459225B (en) 2007-01-16 2011-07-20 Simbionix Ltd Preoperative surgical simulation
WO2009040893A1 (ja) * 2007-09-26 2009-04-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長尺物の送り量計測装置
JP4438882B2 (ja) * 2008-05-12 2010-03-24 村田機械株式会社 移動体システム
TWI377494B (en) * 2008-12-22 2012-11-21 Pixart Imaging Inc Variable-size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redefining size of sensing area thereof
FR2942315A1 (fr) 2009-02-16 2010-08-20 Nereus Technologies Dispositif de mesure de longueur de cables
US8970211B1 (en) 2009-04-23 2015-03-03 See Scan, Inc. Pipe inspection cable counter and overlay management system
JP2011079662A (ja) * 2009-09-10 2011-04-21 Fuji Xerox Co Ltd 測長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GB0919059D0 (en) * 2009-10-30 2009-12-16 Sencon Europ Ltd Application and inspection system
US8989929B2 (en) * 2010-01-22 2015-03-24 Joy Mm Delaware, Inc. Device for reducing the likelihood of damage to a trailing cable
JP2012121667A (ja) * 2010-12-07 2012-06-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長さ測定装置
KR101249488B1 (ko) * 2011-02-07 2013-04-09 (주)엔에스 치수측정장치 및 치수측정방법
US9103798B2 (en) 2011-12-07 2015-08-11 Ndt Technologies, Inc. Magnetic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CN103017710A (zh) * 2012-11-26 2013-04-03 晶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台式线缆长度精确测量仪
ITTO20130936A1 (it) * 2013-11-19 2015-05-20 Cte Sistemi Srl Gruppo di misura per misurare il raggio di curvatura e l'avanzamento in una macchina curvatrice, in particolare in una macchina curvatrice per la curvatura di conduttori per bobine superconduttive
US9417054B2 (en) * 2014-05-15 2016-08-16 Textron Innovations Inc. Digital measurement unit for fish tape device or duct rodding device
BR112017006262B1 (pt) * 2014-09-26 2021-06-29 Hewlett -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étodo de ajuste do comprimento do quadro em uma impressora jato de tinta, impressora de jato de tinta de ajuste de comprimento de quadro e mídia de armazenamento não transitória e legível por máquina armazenando instruções quando executadas por um processador
CN105758355B (zh) * 2016-04-25 2019-01-01 张儒豪 缆绳牵引和测长装置
US10859363B2 (en) 2017-09-27 2020-12-08 Stanley Black & Decker, Inc. Tape rule assembly with linear optical encoder for sensing human-readable graduations of length
CN110202026B (zh) * 2019-05-23 2024-02-20 杭州佐帕斯工业有限公司 加热管管长精度提升设备
CN111579637B (zh) * 2020-06-11 2022-04-29 哈尔滨工业大学(深圳)(哈尔滨工业大学深圳科技创新研究院) 一种检测及区分钢丝绳内外缺陷的无损检测方法和装置
CN111735420B (zh) * 2020-08-10 2021-11-09 晶锋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缆生产用计米器
CN112484602B (zh) * 2020-10-16 2022-04-15 深圳市成天泰电缆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电缆线制造用检验设备
CN112432763B (zh) * 2020-12-09 2023-12-08 南京华信藤仓光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光纤长度和衰减检测的蝶缆合格的判别方法
CN113376181A (zh) * 2021-06-09 2021-09-10 深圳中科飞测科技股份有限公司 检测方法及检测设备
CN116269335B (zh) * 2023-05-10 2023-07-25 深圳市爱博医疗机器人有限公司 病灶长度测量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146677B (zh) * 2023-11-01 2024-02-02 山东鲁南大数据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线缆安装用测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6601A (en) * 1967-09-19 1968-10-22 Clifford Francis Patrick Automatic measuring apparatus
US4052599A (en) * 1974-04-25 1977-10-04 Bethlehem Ste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il sheet length
JPS561301A (en) * 1979-06-20 1981-01-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Length measuring device for long magnetic wire
JPS56117101A (en) * 1980-02-20 1981-09-1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Measuring apparatus for electric wire
JPS57147007A (en) * 1981-03-06 1982-09-10 Hitachi Cable Ltd Method for measurement of length of continuously running material
JPS5869210U (ja) * 1981-11-02 1983-05-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長尺体計尺装置
JPS58102103A (ja) * 1981-12-14 1983-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材料長さ計測装置
JPS61223511A (ja) * 1985-03-28 1986-10-04 Hitachi Ltd 鋼帯のトラツキング方法
US4718168A (en) * 1985-12-19 1988-01-12 Kerr Measurement Systems, Inc. Cable length measurement correction system
US4984458A (en) * 1989-10-06 1991-01-15 A.M.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measuring the relaxed length of a moving web
US5235515A (en) * 1992-02-07 1993-08-1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utting and placement of components on a moving substra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388A2 (ko) * 2011-02-25 2012-08-30 (주)에스와이리더 재단장치
WO2012115388A3 (ko) * 2011-02-25 2012-11-01 (주)에스와이리더 재단장치
KR20130096675A (ko) * 2012-02-22 2013-08-30 포마갈스키 공중 케이블, 특히 의자식 리프트 또는 케이블 카의 운송 케이블의 속도를 측정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N102661711A (zh) * 2012-04-28 2012-09-12 广东日丰电缆股份有限公司 基于LabVIEW平台的非接触电缆长度测量系统
CN102661711B (zh) * 2012-04-28 2015-11-25 广东日丰电缆股份有限公司 基于LabVIEW平台的非接触电缆长度测量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51701A1 (en) 1991-11-23
EP0484536A4 (en) 1993-09-22
DE69115858D1 (de) 1996-02-08
DE69115858T2 (de) 1996-06-13
EP0484536A1 (en) 1992-05-13
KR920702886A (ko) 1992-10-28
WO1991018261A1 (en) 1991-11-28
EP0484536B1 (en) 1995-12-27
US5430665A (en) 1995-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780B1 (ko) 이동하고 있는 길다란 물건의 길이를 측정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945885B2 (ja) 非直線的な、とくに回転する機械部品を位置決め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3767228A1 (en) Sheet thickness measurement device
CN110126878A (zh) 轨道交通车辆的车轮磨损评估方法、装置及系统
US4033697A (en) Automatic exposure control for a luminous object monitor system
CN111288941B (zh) 电池贴胶检测方法及电池贴胶系统
US20030164954A1 (en) Device for optoelectronically determining the length and/or the width of a body situated on a support
US43934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mensionally measuring articles
CN2034264U (zh) 同轴度测量仪
CN102506718A (zh) 一种具有真实刻度的精密位移测量装置
JP2779275B2 (ja) 長尺物の計尺装置
JP2005037341A (ja) 電子式長さ/角度測定器
CN113375690B (zh) 一种用于地铁隧道病害移动检测的里程校准编码系统及施工方法
JP2912050B2 (ja) 長尺物の計尺装置
CN110440826B (zh) 一种位置姿态测量系统里程计数据处理方法
US114739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a calibration device
CN110132135B (zh) 电池极片涂布区域长度计量方法及装置
JPH03142307A (ja) 長尺物の計尺方法
CN217331047U (zh) 一种基于视觉的电缆长度测量系统
JP2764468B2 (ja) 回転体の接地圧測定方法および装置
RU233385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прогиба рельса
JPH04188008A (ja) 長尺物の計尺方法及び装置
CN115436166A (zh) 一种用视频引伸计测量拉伸变形材料伸长率的方法
CN110689530A (zh) 一种基于位置补偿的轴类零件图像拼接方法
CN116689512A (zh) 一种基于视频监测的轧制状态跟踪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