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519B1 -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519B1
KR950013519B1 KR1019880000623A KR880000623A KR950013519B1 KR 950013519 B1 KR950013519 B1 KR 950013519B1 KR 1019880000623 A KR1019880000623 A KR 1019880000623A KR 880000623 A KR880000623 A KR 880000623A KR 950013519 B1 KR950013519 B1 KR 950013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box
slide holder
open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403A (ko
Inventor
마스이 후쿠모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오가사와라 토시아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887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25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8872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41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88725A external-priority patent/JP26661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88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25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8872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04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8873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04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93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8169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오가사와라 토시아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88001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23Containers for magazines or cass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제 1 도 내지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제 2 도는 개구를 닫은 상태의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 연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IV-IV선에 연한 단면도.
제 5 도는 개구가 개방상태의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VI-VI선에 연한 단면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VII-VII선에 연한 단면도.
제 8 도는 뚜껑을 개폐하는 상태의 동작설명도.
제 9 도는 상단 슬라이드 홀더와 케이스 본체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 단면을 포함한 평면도.
제 10 도는 하단 슬라이드 홀더(좌측은 전진상태, 우측은 후퇴상태)와 케이스 본체의 관계를 나타낸 일부단면을 포함한 평면도.
제 11 도는 가입체의 조립상태의 종단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를 이면에서 본 분해상태의 사시도.
제 13 도 내지 제 22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3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제 14 도는 제 3 도와 동일한 상태의 단면도.
제 15 도는 제 6 도와 동일한 상태의 단면도.
제 16 도는 상단 슬라이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제 17 도는 하단 슬라이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로서 좌반은 전진상태, 우반은 후퇴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제 18 도는 캠홈의 확대 평면도.
제 19 도는 록크 핀 주변의 분해 사시도.
제 20 도는 제 19 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21 도는 제 20 도의 XXI-XXI선에 연한 단면도.
제 22 도는 안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 23 도는 종래예의 사시도.
제 24 도는 종래예의 조립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장치 11 : 상자형 물품(예컨대, 카세트 케이스)
12 : 케이스 본체 13 : 개구
14 : 상단 슬라이드 홀더 14' : 재치면
14" : 전연 15 : 하단 슬라이드 홀더
15' : 재치면 15" : 저면
15c : 수직단면 16 : 축
17 : 뚜껑 17' : 내면
17" : 단차면 19 : 요실
19-1 : 취부기판 19-3 : 웨이트
19-4 : 코일 스프링 20 : 상부 실린더
21 : 하부 실린더 27 : 압축 스프링
30 : 피스톤 롯드 30c : 캠홈
34 : 압축 스프링 36 : 록크 핀
40 : 단차면 48 : 가압체
본 발명은 예컨대, 카세트 케이스 등의 상자형 물품을 슬라이드식으로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삽입 및 취출이 용이하고 작동이 원활하며 안전장치가 부착된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수납장치로서는 제 23 도 및 제 24 도에 나타낸 차량 실내 탑재형의 카세트 케이스용의 수납장치가 종래에 주지된 바 있었다.
종래의 수납장치는 전면이 개구된 상자형의 케이스 본체(1)와 이 케이스 본체(1)의 상벽에서 수설된 카세트 케이스(2)의 두께에 거의 동등한 간격으로 병설된 복수의 종차단판(3)과 이 종차단판(3)의 각 간격내에 각각 삽착된 카세트 케이스(2)를 하향으로 압압하는 판스프링(4)으로 구성되고, 이 케이스 본체(1)를 차량 실내의 센터 콘솔 파넬(5)에 개설된 가로 공간부(6)내로 쏙끼게 삽착시켜 왔었다.
그러나, 종래의 수납장치에서는 케이스 본체(1)내에서 상호 인접하는 카세트 케이스(2)사이에 간격이 매우 좁기 때문에 인접되는 카세트 케이스(2)가 방해가 되어서 개개의 카세트 케이스(2)를 취출하는데 어려운 결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카세트 케이스(2)를 케이스 본체(1)내부에 수납되어 있어도 그 일부가 센터 콘솔 파넬(5)의 전면으로부터 항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센터 콘솔 파넬(5)과의 일체감이 결여된 것이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그 내용을 도면에 나타낸 일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면에 적어도 개구(13)를 갖으며 상호 독립되게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구분되는 케이스 본체(12)와, 이 케이스 본체(12)내로 습동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개구(13)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자형 물품(예컨대, 카세트 케이스(11))을 재치면(14')(15')으로 재치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홀더(14)(15)와, 이 슬라이드 홀더(15)의 전단부에 축지되며 이 축(16)을 지점으로 전방으로 전도되어 개방하여 상기 개구(13)를 개폐하는 뚜껑(17)과,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홀더(14)(15)를 전방으로 항하여 개별로 압압하는 부세수단(27)(34)과 이 부세수단(27)(34)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 홀더(14)(15)를 케이스 본체(12)내로 수용된 후퇴위치에 계류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17)을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를 폐색하도록 직립 상태로 계지하고 이 직집된 뚜껑(17)이 상기 케이스 본체(12)로 향하여 압압될시에 그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록크수단(피스톤 롯드(30)의 하트형 캠홈(30c)과 록크 핀(36)과, 상기 부세수단(27)(34)의 부세력에 의하여 압출된 슬라이드 홀더(14)(15)의 최전진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 수단(케이스 본체(15)의 단차면(40)과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수직단면(15c)과 요실(19)의 후면)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톱퍼 수단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홀더(14)(15)에 각각 재치된 상기 상자형 물품(예컨대, 카세트 케이스(11))이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상기 개구(13)로부터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량이 상호 상단의 것이 하단의 것보다도 계단적으로 적어지도록 각 상자형 물품(11)을 상이한 최전진 위치에 각각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17)이 전도되어 개방된 그 내면(17')이 슬라이드 홀더(15)의 재치면(15')과 거의 동일평면으로 된 위치에서 뚜껑(17)의 최대 개방각도를 규제하는 각도 규제수단(슬라이드 홀더(15)의 저면(15")과 뚜껑(17)의 단차면(17"))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세수단(27)(34)에 의한 슬라이드 홀더(14)(15)의 습동이동과 뚜껑(17)의 개방운동의 적어도 일측의 이동을 에어댐퍼(실린더부(20)(21)와 피스톤부(14c)(30a))에 의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전연에는 직립상태에 있는 상기 뚜껑(17)의 축(16)보다 하측의 내면(17')을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가압체(48)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17)의 내면(17')에는 상자형 물품(11)의 삽입방향을 규제하는 이 상자형 물품(11)의 좌우의 횡폭에 거의 동등한 간격으로 상호 대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 수단(리브(41), 죠인트 카버(46))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충돌사고가 발생할시에 충돌시의 충격이나 관성력이 작용하여도 돌출주체(상자형 물품, 하단 슬라이드 홀더 및 뚜껑)가 비돌출 위치에서 더욱 압입되는 결과로 되어 록크수단이 해제되어 상기한 돌출주체가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하여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충돌시, 승객이 돌출상태로된 상기한 돌출주체에 두부 등을 강타하여 상처를 입힐 우려가 있는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술한 록크수단(예컨대, 캠홈(30c)과 록크 핀(36))에 관성력이 작용할시에 그 록크상태의 해제동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인 웨이트(19-3)와 코일 스프링(19-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제 5-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17)이 개방되어 있을시에는 상자형 물품(11)을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에서 슬라이드 홀더(14)(15)에 장전한다. 이때에 뚜껑(17)의 내면(17')이 슬라이드 홀더(15)의 재치면(15')과 거의 동일 평면으로 되어 있어서 상자형 물품(11)의 하면을 뚜껑(17)의 내면(17')에 약간 재치하여 그대로 속으로 향하여 압입하면 슬라이드 홀더(15)의 재치면(15')으로 환승되어서 슬라이드 홀더(15)내로 장전된다. 이때 가이드 수단(41),(46)에 의하여 상자형 물품(11)의 삽입방향이 맞춰지게 되며, 뚜껑(17)을 닫으면서 케이스 본체(12)로 향하여 압입한다. 이것에 의하여 뚜껑(17)으로 압입되어 슬라이드 홀더(14),(15)가 후퇴하고, 이 슬라이드 홀더(14),(15) 및 이 슬라이드 홀더(14),(15)에 장전되어 있는 상자형 물품(11)이 케이스 본체(12)내로 수납된 위치에서 슬라이드 홀더(15)는 록크수단(30c),(36)에 의하여 계류되고 이때에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는 직립상태로 된 뚜껑(17)에 의하여 폐색된다(제 2-4 도).
따라서, 뚜껑(17)이 직립하면, 그 내면(17')의 축(16)보다 하측을 가압체(48)가 전방으로 압압하게 되어 슬라이드 홀더(14),(15)에 상자형 물품(11)이 장전되어 있을시는 그 상자형 물품(11)의 전면에 뚜껑(17)의 내면(17')이 누르면서 당접되고, 또한 상자형 물품(11)을 장전하지 않을시에는 케이스 본체(12)의 전연에 뚜껑(17)의 내면(17')이 누르면서 당접되어 자동차의 주행시의 진동 등에 의하여 뚜껑(17)은 진동하지 않으며, 뚜껑이 진동하여 까딱거림이 저지된다.
한편, 상자형 물품(11)을 취출시에는 록크수단(30c),(36)을 해제하면 된다. 이 록크수단(30c),(36)을 해제하면, 제 5 도-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홀더(14),(15) 및 뚜껑(17)은 부세수단(27),(34)의 부세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일체적으로 습동하면서 압출됨과 동시에 뚜껑(17)은 습동하면서 축(16)을 지점으로 전방으로 전도되어 개방된다. 이때에 에어 댐퍼(20)(21)(14c)(30a)의 제동력이 작동하여 슬라이드 홀더(14),(15) 및 뚜껑(17)은 서서히 정숙하게 습동함과 동시에 뚜껑(17)은 서서히 개방시킨다.
그리고, 슬라이드 홀더(14),(15)는 스톱퍼 수단(40),(14"),(15c)에 의하여 최전진위치에 정지하게 되고, 이때에 슬라이드 홀더(14),(15)내에 장전된 상자형 물품은 전방으로 계단상으로 돌출시켜서(제 5 도, 7, 10 도) 각각의 상자형 물품(11)을 취출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또한, 뚜껑(17)은 각도규제수단(15"),(17")에 의하여 그 내면(17')이 슬라이드 홀더(15)의 재치면(15')과 거의 동일평면으로 되는 위치까지 전도 개방되어 정지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홀더(15)와 뚜껑(17)의 내면(17')이 평활하여 상자형 물품(11)의 취출 또는 장전이 더욱 편리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수납장치(10)를 차량의 실내에 탑재하여 사용하고 있을시에 충돌사고가 발생하면 상자형 물품(11)(예컨대, 카세트 케이스), 하단 슬라이드 홀더(15) 및 뚜껑(17)에 관성력이 작용하여 이들이 케이스 본체(12)로 향하여 압입된 상태로 되어 있어도 이때에 안전장치(19-3),(19-4)가 작동하여 록크수단(30c),(36)의 록크상태의 해제동작을 저지하여 상기한 상자형 물품(11), 하단 슬라이드 홀더(15) 및 뚜껑(17)이 부세수단(예컨대, 부세 스프링(27),(34))의 부세력에 의하여 돌출상태로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 제 1 도 내지 제 12 도에 나타낸 일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10은 수납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수납장치(10)는 차실내에 탑재되며 콤팩트 카세트용의 카세트 케이스(11)를 수납하는 것이다.
상기 수납장치(10)는 대별하면,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이 적어도 개구된 케이스 본체(12)와, 이 케이스 본체(12)내로 개구(13)를 통하여 상하 2단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고, 각 재치면(14'),(15')에 카세트 케이스(11)를 가로로 나란하게 2개씩 재치가능한 상하 2단의 슬라이드 홀더(14),(15)와, 이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전방단부에 축지되고, 이 축(16),(16)을 지점으로 전방으로 전도되면서 열리는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을 개폐하는 뚜껑(17)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케이스 본체(12)는 전면이외에 후면도 개구된 상하로 편평한 각통형으로 되고 그 높이의 거의 중앙에는 케이스(12)의 개구(13)에서 그 속으로 향하는 도중까지 연장된 횡구획판(18)을 설치하고, 이 횡구획판(18)에 의하여 중공내부를 상하 2단으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2)의 상벽의 거의 중앙에는 상면이 개구된 복수형의 요실(19)을 설치하여 이 요실(19)의 좌우의 측벽에 의하여 상기 횡구획판(18)에 의하여 구획된 상부 공간을 또한 좌우로 구획하고 각각에 카세트 케이스(11)를 1개씩 별개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2)의 개구 후면에는 거의 중앙부에서 후향으로 돌출된 상하 한쌍의 실린더부(20),(21)를 가진 카버재(22)에 의하여 폐색된다(제 2,3,9 도). 그리고 케이스 본체(12)와 상기 카버재(22)의 사이에는 상호 역지적으로 계합하는 요철부(23),(24)를 어느 일측에 각각 설치하고, 양 요철부(23),(24)에 계합에 의하여 케이스 본체(12)의 개구 후면에 카버재(22)를 원터치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양 요철부(23),(24)의 계합상태를 해제하는 것에 의하여 카버재(22)를 이탈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양 슬라이드 홀더(14),(15)중에서 상단의 것은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중앙의 돌상부(14a)에서 좌우 가로로 향하여 장출된 틀상의 좌우 한쌍의 홀더부(14b),(14b)와 상기 돌상부(14a)에서 후향으로 돌출된 중공인 피스톤부(14c)를 일체적으로 갖는다.
상기 피스톤부(14c)는 제 3 도 및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버재(22)의 상부 실린더부(20)내에 삽입하고 양부에 의하여 에어댐퍼를 구성한다. 도면에서 25는 피스톤부(14c)의 선단의 환상홈(26)에 감착된 O링, 27은 피스톤부(14c)와 실린더부(20)와의 사이에 압축되는 압축 스프링을 각각 나타내며, 또한, 28은 실린더부(20)에 개설된 오리피스, 29는 이 오리피스(28)에 나사결합된 소나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환상홈(26)은 O링(25)보다 폭이 넓어서 피스톤부(14c)의 후단부에 근접되게 피스톤부(14c)의 중공 내부로 통하는 배기공(26')을 갖는다.
한편, 하단 슬라이드 홀더(15)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중앙에 전후면이 개구된 중공인 통형부(15a)와 이 통형부(15a)에서 좌우측을 향하여 장출된 틀형의 좌우 한쌍의 홀더부(15b),(15b)를 일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형부(15a)의 상면에는 장공(15-1)을 개설함과 동시에 그 전단부에 슬릿트(15-2)를 설치한다.
상기 통형부(15a) 내부에는 피스톤 롯드(30)를 습동가능하게 삽입한다.
상기 피스톤 롯드(30)는 후단부에 중공인 피스톤부(30a)를 일체적으로 갖으며, 이 피스톤부(30a)를 하부 실린더부(21)내로 삽입하고 양 부에 의하여 에어댐퍼를 구성한다(제 3,10 도).
또한, 도면에서 31은 피스톤부(30a)의 중공 내부에 개설된 배기공(32)을 개폐하는 역지밸브, 33은 피스톤부(30a)의 외주에 감착된 O링, 34는 피스톤부(30a)와 실린더부(21)와의 사이에 압축되는 압축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 것이며, 또한, 35는 실린더부(21)에 개설된 오리피스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피스톤 롯드(30)의 전단부에는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축을 갖는 축부(30b)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길이의 도중의 상면에는 하트형의 캠홈(30c)이 각설되어 있다. 도면에서 36은 케이스 본체(12)의 요실(19)의 저면에 개설된 통공(37) 및 통형부(15a)의 장공(15-1)을 통하여 캠홈(30c)에 돌입하는 록크 핀, 38은 록크 핀(36)을 캠홈(30c)으로 향하여 압하하는 누름스프링, 39는 이를 고정하는 소나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는 그 피스톤부(14c)를 통하여 상기 압축 스프링(27)에 의하여, 또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는 상기 피스톤 롯드(30)를 통하여 압축 스프링(34)에 의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 되지만 이때에 양 슬라이드 홀더(14),(15)의 최전진 위치가 상이한 스톱퍼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 5,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슬라이드 홀더(14),(15)의 홀더부(14b),(14b)와 홀더부(15b),(15b) 내지 재치면(14'),(14')과 재치면(15'),(15')에 재치된 카세트 케이스의 일부가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에 재치된 카세트 케이스(11)의 돌출량 보다 적어지도록 각각 설정되어 있어서, 상하의 카세트 케이스(11)가 계단상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단 슬라이드 홀더(11)의 최전진 위치를 케이스 본체(12)의 양 측벽내면에 설치된 단차면(40) 및 요실(19)의 후면에 의하여 규제되고, 양면에 대하여 그 전연(14")이 당접된 위치에서 이 슬라이드 홀더(14)가 정지되어진다(제 6,7,9 도).
또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최전진 위치도 상기 단차면(40)에 의하여 규제받지만, 이 단차면(40)에 대하여 당접하는 것은 이 슬라이드 홀더(12)의 후부에 설치된 수직단면(15c)으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보다도 많이 돌출되어 정지된다(제 7,8,10 도).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스톱퍼 수단은 케이스 본체(12)의 단차면(40) 및 요실(19)의 후면 및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의 전연(14"),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수직단면(15c)으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2)내를 상하로 구획하는 전술한 횡구획판(18)의 후단은 상기 단차면(40)과 일치한다.
상기 뚜껑(17)은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판상으로서 그 내면의 좌우 양단부에는 삼각형상으로 융기된 좌우 한쌍의 리브(41),(41)를 돌설하고, 양 리브(41),(41)의 하단부의 축공(42),(42)에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좌우의 축(16)에 추착된다. 또한, 뚜껑(17)의 내면에 거의 중앙에는 좌우로 돌출된 한쌍의 축을 가진 축부(43)를 돌설하고, 이 축부(43)에 피스톤 롯드(30)의 전단보다 약간 후방으로 돌설된 축부(30b)에 일단이 추착된 죠인트(44)의 타단을 추착하여서 피스톤 롯드(30)와 뚜껑(17)을 상호 연결한다. 이 죠인트(44)의 하면에는 경사지고 후방으로 향하게 연장된 판 스프링(45)을 돌설하여 뚜껑(17)이 전방으로 전도되어 개구(13)를 개방할 시에 판 스프링(45)을 통하여 죠인트(44)가 뚜껑(17)의 내면(17')에 직접 당접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형부(15a)의 전단부 상면에는 죠인트(44)가 경사져서 상향으로 된다든지, 수평으로 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슬릿트(15-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5 도에서 46은 죠인트(44)를 덮어주는 죠인트 카버를 나타내며, 이 죠인트 카버(46)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 좌우 양 측면과 상기 뚜껑(17)의 좌우 리브(41)의 양 내면과의 사이의 각각 간격이 카세트 케이스(11)의 좌우의 횡폭과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양 리브(41)와 죠인트 카버(46)는 카세트 케이스(11)가 출입할시에 그 삽입방향을 규제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47은 죠인트 카버(46)를 뚜껑(17)에 대하여 끌어당기는 코일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 1,11,12 도에서 48은 닫은 상태의 뚜껑(17)의 상기 축(16)보다 하측의 내면(17')에 당접하는 가압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가압체(48)는 케이스 본체(12)의 저면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고 한쌍의 돌출연부(49')를 갖는 안내틀(49)에 의하여 전후로 습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안내틀(49)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가압스프링(50)에 의하여 안내틀(49)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제 11 도).
또한, 제 11,12 도에서, 51은 안내틀(49)의 하벽에 가압체(48)의 습동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한쌍의 안내홈이며, 52는 안내홈(51)에 삽입되는 가압체(48)의 하면보다 돌출된 한쌍의 계지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 4,7,10 도에서 53은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후벽에 개설된 좌우 한쌍의 구멍(54)을 통하여 슬라이드 홀더(15)의 내부로 돌출되어 이 슬라이드 홀더(15)내의 카세트 케이스(11)의 후면에 탄성적으로 당접하여 전방으로 향하도록 압압하는 가압 버튼을 나타낸 것이며, 이 가압버튼(53)은 카버재(22)에 고정된 실린더형의 버튼홀더(55)내에 습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버튼홀더(55)의 후단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56)에 의하여 부세되어 있다(제 10 도). 또한, 가압 버튼(53)의 길이의 도중에는 구멍(54)의 내경보다 경이 큰 환상융기(57)를 설치하며, 하단 슬라이드 홀더(15)내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 환상융기(57)를 통하여 슬라이드 홀더(15) 자신을 전방으로 향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 가압 버튼(53)은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홀더(55)의 양측으로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절결(55')에 돌입하는 계지편(53')을 후단 양측에 갖어서 이 계지편(53')이 상기 절결(55')의 전단에 걸리게 되어서 버튼홀더(55)가 전방으로 인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조립상태의 수납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제 2-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어진 상태의 케이스 본체(12)를 열시에는 손으로 뚜껑(17)의 전면을 약간 누르면 되는 것이다.
즉, 뚜껑(17)이 눌려지면, 피스톤 롯드(30)가 죠인트(44)를 통하여 눌러져서 후퇴한다.
이 후퇴 이동에 의하여 피스톤 롯드(30)의 하트형 캠홈(30c)내에 계지되어 있는 록크 핀(36)이 캠홈(30c)내에서 이동하여 록크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록크상태가 해제되면, 피스톤 롯드(30)의 피스톤부(30a)가 하부 실린더(21)내의 압축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눌러서 피스톤 롯드(30)가 전진한다.
이 피스톤 롯드(30)의 전진으로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죠인트(44)를 통하여 뚜껑(17)은 일단 케이스 본체(1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눌러져서 이탈되고, 이것에 수반되어 뚜껑(17)의 리브(41)에 천설된 축공(42)에 축(16)이 추착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가 인출되면서 전진한다.
이후에 뚜껑(17)은 축(16)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전도되면서 서서히 개구되고, 그 최대개방각도는 각도규제 수단에 의하여 규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17)의 내면(17')의 하부보다 일단 낮은 단차면(17")이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저면(15")에서 접촉된 수평위치까지 개방되어 정지한다(제 6,7 도). 이 개방위치에 있어서는 뚜껑(17)의 내면(17')이 슬라이드 홀더(15)의 재치면(15')과 거의 동일한 면으로 된다(제 5 도).
한편, 하단 슬라이드 홀더(15)는 그 양 수직단면(15c)이 케이스 본체(12)내의 단차면(40)에 당접되는 최전진 위치에서 정지한다(제 6,7 및 제 10 도의 좌측).
또한, 이 피스톤 롯드(30)의 전진에 의하여 하부 실린더부(21)는 오리피스(35)에서 제어된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작동되어 피스톤 롯드(30) 및 하단 슬라이드 홀더(15)는 서서히 조용하게 전진하며, 또한 뚜껑(17)도 서서히 조용하게 개방된다. 또한, 뚜껑이 열릴시에 죠인트(44)의 판 스프링(45)이 뚜껑(17)의 내면(17")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쿠션으로서 작용을 행하기 때문에 뚜껑(17)은 더욱 정숙하게 개방된다.
한편, 상단 슬라이드 홀더(14)가 좌우 또는 그 어느측의 홀더부(14b)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수납되어 있을시에는 카세트 케이스(11)의 전면이 닫혀있는 뚜껑(17)의 내면(17')에 압축 스프링(27)으로 눌려있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는 후퇴위치에 있게 되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17)이 개방되면, 압축 스프링(27)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는 그 홀더부(14b)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재치된 상태에서 동일 상태로 전진하여 그 전연(14")이 케이스 본체(12)내의 단차면(40) 및 요실(19)의 후면에 당접되어 최전진 위치에서 정지된다(제 6,7 도 및 제 9 도의 점선).
또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의 전진할시에는 그 피스톤부(14c)의 O링(25)의 실린더부(20)의 내벽과 마찰하여 환상홈(26)내에서 후측으로 이동하여 배기공(26')을 폐색하여 이 배기공(26')을 밀폐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이 밀폐된 상부 실린더부(20)는 오리피스(28)로부터 내부로 공기를 제어하여 흡입하기 때문에 제동력이 작용하여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도 서서히 정숙하게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내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수납되어 있지 않을시에는 이 홀더(14)는 압축 스프링(27)의 복원력으로 전방으로 눌려져서 전연(14")이 상술한 단차면(40)이나 요실(19)에 당접되어 최전진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어서 뚜껑(17)을 개방하여도 그 상태 그대로 있게 된다.
따라서, 뚜껑(17)을 개방하여서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에서 각 카세트 홀더(14),(15)로 향하여 카세트 케이스(11)를 삽입하며, 여기서는 합계 4개의 카세트 케이스(11)를 장전할 수가 있다.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에 카세트 케이스(11)를 장전할려고 하면은 케이스 본체(12)의 횡구획판(18)의 상면에 카세트 케이스(11)의 단부를 재치하여 이를 그대로 속으로 향하여 압입하면 된다. 카세트 케이스(11)를 압입하면, 카세트 케이스(11)는 횡구획판(18)에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의 재치면(14')에 일부 재치되어 이동되어 그 후면에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의 후벽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어 정지된다(제 7 도).
또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에 카세트 케이스(11)를 장전할려고 하면은 뚜껑(17)의 내면(17')이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재치면(15')과 거의 동일면이어서 뚜껑(17)의 내면(17')상을 습동하면서 카세트 케이스(11)를 속으로 향하여 압입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에 카세트 케이스(11)를 뚜껑(17)의 리브(41)와 죠인트 카버(46)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카세트 케이스(11)를 압입하면 리브(41)와 죠인트 카버(46)에 의하여 카세트 케이스(11)의 삽입 방향에 맞춰져서 그 하면이 뚜껑(17)의 내면(17')과 거의 동일평면으로 되는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재치면(15')에 환승 이동되어 그 후면이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후벽에 당접되는 위치에 정지된다(제 7 도).
이에 따라 각 슬라이드 홀더(14),(15)에 카세트 케이스(11)를 장전된 상태에서는 상하의 카세트 케이스(11)의 전단부는 계단상으로 돌출된다(제 5,7 도).
다음에, 카세트 케이스(11)를 케이스 본체(12)에 수납하는데에는 뚜껑(17)을 손으로 올려 세우면서 뚜껑(17) 전체를 케이스 본체(12)로 향하여 압입하면 되는 것이다.
즉, 뚜껑(17)을 손으로 올려 세우면 뚜껑(17)이 그 축(16)을 지점으로 상향으로 회동하여 직립하는 것에 의하여 우선 피스톤 롯드(30)가 약간 후퇴하며, 이어서 뚜껑(17)을 압입하는 것으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와 피스톤 롯드(30)가 동시에 후퇴하고, 또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에 장전되어 있는 카세트 케이스(11)의 전면이 뚜껑(17)의 내면(17')에 압압되어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와 그 피스톤부(14c)도 동시에 후퇴하게 된다.
이에따라, 뚜껑(17)의 내면(17')이 케이스 본체(12)의 전연에 당접하면 뚜껑(17)이 더이상 압입되지 않어서 뚜껑(17)에서 손을 떼면 피스톤 롯드(30)에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하여 뚜껑(17)은 눌러져서 되돌아 오게 된다. 그러나, 약간 되돌아오면 록크 핀(36)이 피스톤 롯드(30)의 캠홈(30c)내에 계지 되어서 뚜껑(17)을 눌러서 되돌아오게 하는 피스톤 롯드(30)의 전진을 정지시키게 되어서 뚜껑(17)은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에서 전방으로 근소하게 떨어져서 직립상태로 된다(제 3,4,11 도).
따라서, 뚜껑(17)을 닫는 압입행정에서는 각 실린더부(20),(21)에는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게되어서 뚜껑(17)에 더 많은 힘을 요하지 않고 압입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의 피스톤부(14c)의 후퇴행정에서는 그 O링(25)이 환상홈(26)내에서 전진하여 배기공(26')을 개구하게 되어서 상부 실린더부(20)내의 공기는 그 배기공(26')으로부터 외부로 배기되어진다.
따라서, 환상홈(26)을 구성하는 전후의 플랜지부의 외경은 실린더부(20)의 내경보다 근소하게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운 것이다.
또한, 피스톤 롯드(30)의 피스톤부(30a)의 후퇴행정에 있어서도 그 역지밸브(31)에서 하부 실린더부(21)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기 때문에 뚜껑(17)을 닫을시에나 뚜껑(17)을 압입할 시에는 제동작용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한편, 뚜껑(17)의 직립상태에서는 그 내면(17')의 축(16)보다 아래인 하측을 가압체(48)가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각 슬라이드 홀더(14),(15)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장전되어 있을시에는 뚜껑(17)의 내면(17')은 각 카세트 케이스(11)의 전면에 당접되고, 또한 카세트 케이스(11)가 장전되어 있지 않을시에는 최전진 위치로 압압되어 있는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의 전연(14")이 케이스 본체(12)의 단차면(40)에 당접되어진다.
따라서, 뚜껑(17)에 외부진동이 전달되어도 뚜껑(17)이 까닥까닥 유동이 하는 것이 없게 되는 것이다(제 3,11 도).
이것은 뚜껑(17)과 케이스 본체(12)의 전연과의 사이에 다음에 카세트 케이스(11)를 취출하기 위하여 뚜껑(17)을 압입하면 근소한 간격이 있어서 이 간격에 의하여 뚜껑(17)이 축(16)을 지점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뚜껑(17)의 내면(17')이 케이스 본체(12)의 전연에 당접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납장치(10)에 외부진동이 가해져도 내부에서 카세트 케이스(11)가 까닥까닥 유동이 없게 되는 것이다.
즉,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내의 카세트 케이스(11)는 피스톤부(14c)를 통하여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에 작용하는 압축 스프링(27)에 의하여 뚜껑(17)의 내면(17')으로 향하여 항시 눌러져서 전후의 이동이 저지되어 지게 된다(제 3 도).
또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에서는 카세트 케이스(11)의 후면이 구멍(54)을 통하여 내부로 돌입하는 가압 버튼(53)에 의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카세트 케이스(11)의 전면이 뚜껑(17)의 내면(17')에 눌러져서 전후의 이동이 동일한 상태로 저지되어진다.
또한, 양 슬라이드 홀더(14),(15)내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장전되어 있지 않을시에도 양 슬라이드 홀더(14),(15) 자신이 케이스 본체(12)내에서 까닥거리는 유동은 없게 된다.
즉, 상단 슬라이드 홀더(14)내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없을시에는 이 슬라이드 홀더(14)는 압축 스프링(27)에 의하여 전진되어 제 9 도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최전진 위치로 눌러져서 전후 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진동이 전해져도 까닥거리는 유동이 없게된다.
또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내에 카세트 케이스(11)가 없을시도 가압버튼(53)의 환상융기(57)에 의하여 하단 슬라이드 홀더(15) 자신이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그 선단부가 뚜껑(17)의 내면(17')에 눌러져서 전후 이동이 없기 때문에 외부 진동이 전해질 시에도 까닥거리는 유동이 없게 된다.
한편, 카세트 케이스(11)를 취출할 시에는 전술한 수순으로 케이스 본체(12)의 전연에서 전방으로 근소하게 떨어져서 직립된 뚜껑(17)을 손으로 조금 압입을 하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뚜껑(17)은 전진하면서 전방으로 향하여 전도되어 개방되어 카세트 케이스(11)의 전부가 개구(13)에서 계단상으로 돌출되어서 카세트 케이스(11)의 돌출부분을 잡어서 간단하게 취출할 수가 있다. 또는 비어있는 개소에 카세트 케이스(11)를 장전하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자형 물품을 콤팩트 카세트용의 카세트 케이스(11)로서 설명하였지만, 상자형 물품으로서는 카세트 하프 자신으로 사용하여도 되며, 또한 비디오용 테이프나 DAT(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용의 테이프나 그 테이프 케이스, 그외 콤팩트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용의 디스크 케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수납장치(10)도 차실내 탑재형의 것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고, 오디도 락크나 OA기기에 조립 설치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반적인 가구에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세수단으로서의 압축 스프링(27),(34)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지만, 코일 스프링만 아니로 판스프링 등으로 하여도 되며, 이것에 부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슬라이드 홀더(14),(15)를 통하여 카세트 케이스(11)를 간접적으로 부세하도록 되어 있지만, 스프링이나 판스프링 등에 의하여 카세트 케이스(11)를 직접적으로 부세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 홀더(14),(15)나 뚜껑(17)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되며, 또한 슬라이드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단수나 횡형 종형의 구별을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스톤 롯드(30)의 하트형 캠홈(30c)과 이것에 안내 계지되는 록크 핀(36)에 의하여 해제가능한 록크수단을 구성한 것이지만, 동일한 기능을 행하는 훅크체와 록크 핀에 록크수단으로 구성하여도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 14 도 내지 제 22 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위는 동일부호를 부가하여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는 전술한 캠홈(30c)과 록크 핀(36)에 관성력이 작용할시에 그 록크상태의 해제동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한 것과 전술한 상,하부 실린더(20),(21)의 끝부위에 필터를 삽착하여 구성된 것만 상이하고 그외 부위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하트형 캠홈(30c)는 제 1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트형의 섬과 같이 돌설된 돌출부(30d)를 중심으로 각설되고 그 하단부(30e)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길게 연장되며 그 후단이 진행이 끝나게 되는 도입홈(a)과 이 도입홈(a)에 연속되고, 또한 돌출부(30d)의 비교적 완만하게 경사진 일측으로 연하여 서서히 얕어지는 진입로(b)와, 이 진입로(b)의 가장 얕은단(b')에서 짧게 연장되고 진입로(b)보다 깊게되어 끝나는 종단부(c)와, 이 종단부(c)에 인접하여 하트형 돌출부(30d)의 상단부에서 반원주를 둘러싸는 종단부(c)보다 약간 얕은 정지부(d)와, 이 정지부(d)에 인접하고 정지부(d)보다도 깊으며 돌출부(30d)의 타측으로에의 탈출부(e)와, 이 탈출부(e)에서 돌출부(30d)의 타측에 연하여 점차적으로 얕게되면서 그 가장 얕은단(f')을 경유하여 도입홈(a)으로 떨어지는 귀로(f)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캠홈(30c)에는 캠홈(30c)과 함께 전술한 록크 핀(36)이 록크수단을 구성한다. 이 록크 핀(36)은 제 1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제의 선재를 ㄷ자 형으로 절곡하고, 그 기축(36a)을 비교적 짧게하고, 타단의 트레이스축(36b)을 길게한다.
상기 록크 핀(36)은 제 14 도, 제 20 도 및 제 2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축(36a)을 취부기판(19-1)의 축공(19-2)내로 축지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12)의 요실(19)내에 장착되며, 타단의 트레이스축(36b)은 요실(19)의 개방 하면에서 하단 슬라이드 홀더(15)의 통형부(15a)의 장공(15-1)을 통하여 피스톤 롯드(30)의 캠홈(30c)내로 돌입되어 피스톤 롯드(30)의 전후방향의 이동에 수반된 캠홈(30c)의 변이에 의하여 기축(36a)을 지점으로 좌우로 회동하면서 캠홈(30c)의 저면의 고저에 따라서 일순한다.
또한, 록크 핀(36)의 트레이스축(36b)을 캠홈(30c)의 밑바닥에서 부상하지 않도록 록크 핀(36)을 상부에서 압입하는 누름 스프링(38)을 갖으며, 이 누름 스프링(47)은 취부기판(19-1)을 요실(19)에 고정하는 나사(39)을 통하여 함께 고정된다.
또한, 상기 캠홈(30c)과 록크 핀(36)과의 조합으로 된 록크수단에는 관성력이 작용할시에 록크상태의 해제동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장치는 제 1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부기판(19-1)의 일측에 연하여 전후 방향으로 습동하는 금속제의 웨이트(중추)(19-3)와, 이 웨이트(19-3)를 항시 후퇴방향으로 부세하는 코일 스프링(19-4)으로 구성된다.
상기 웨이트(19-1)는 제 20,2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취부기판(19-1)의 일측에 전후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 홈(19-5)에 횡측으로 감입되고, 이 슬라이드 홈(19-5)에 연하여 전후 이동함과 동시에 그전연의 일측에서는 L자형으로장출된 장출부(19-6)를 설치하고, 이 장출부(19-6)는 웨이트(19-3)의 전진위치에서 록크 핀(36)의 트레이스축(36b)의 횡축에 임하게되어 록크 핀(36)의 해제방향으로의 회동, 즉 트레이스축(36b)이 캠홈(30c)의 정지부(d)에서 탈출부(e)로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제 22 도).
또한, 상기 코일 스프링(19-4)은 그 일단이 취부기판(19-1)의 L자형으로 굴곡된 굴곡편(19-7)의 선단 내면에서 상기 슬라이드 홈(19-5)으로 향하여 돌출된 핀(19-8)에 감입되며, 타단은 웨이트(19-3)의 저면에 형성된 홈부(19-9)내로 감입되어 굴곡편(19-7)의 선단내면과 홈부(19-9)의 단면과의 사이에서 탄력압축된다. 또한, 웨이트(19-3)의 홈부(19-9)의 개방하면은 취부기판(19-1)의 슬라이드 홈(19-5)의 상면에 습접되어 폐색하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9-4)이 홈부(19-69)에서 이탈됨이 없이 코일 스프링(19-4)은 웨이트(19-1)를 취부기판(19-1)의 슬라이드 홈(19-5) 내부에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 롯드(30)의 피스톤부(30a)는 제 14 도 및 제 1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것이며 또한 상단 슬라이드 홀더(14)의 피스톤부(14c)도 거의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카버재(22)의 상,하부 실린더(20),(21)내에 전술한 부세수단으로서 부세 스프링(27),(34)과 함께 삽입되고 그 선단에는 전후로 폭이 약간 넓은 환상홈(26),(30')을 설치하여 이 환상홈(26),(30')내로 O링(25)(33)을 삽착함과 동시 이 환상홈(26),(30')의 기단부 근처에 한쌍의 배기공(26'),(33a)을 형성하고, 여기서 배기공(33a)을 형성한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것이고 그외는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 카버재(22)의 하부 실린더(21)에 오리피스(35)를 형성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부 실린더(20)에도 오리피스(20')을 개설함과 동시에 오리피스(20'),(35)에서 흡입되는 공기의 청정용의 필터(20"),(21')를 각각 내장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17)의 내면(17') 거의 중앙부에는 상호 근접되게 대향하여 그 대향간격내로 축을 가진 한쌍의 연결편(43')을 돌설하고, 전체를 플라스틱으로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구성된 것이며, 이와 연결되는 죠인트(44)의 형상이 제 1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상이한 것이나, 그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다음에,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된 수납장치(10)는 차량의 실내 센터파넬(도시안됨)에 카세트 테크나 오디오장치(도시안됨) 등과 함께 조립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은 생략하고, 상이한 작용만 설명한다.
즉, 피스톤 롯드(30)의 후퇴에 수반하여 캠홈(30c)의 위치가 변이되어 록크 핀(36)의 트레이스축(36b)은 캠홈(30c)내의 정지부(d)에 있게 되어 탈출부(e)가 보다 깊게 되어 있어서 정지부(d)에서 탈출부(e)로 진입하여 탈출부(e)에서 진행이 정지된다. 여기서 뚜껑(17)을 더욱 압입하지 않게 되어서 뚜껑(17)의 압입력을 석방하면, 피스톤부(30a)가 하부 실린더(21)내에서 압축되어 있는 하단 부세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하여 압출되고, 이때에 트레이스축(36b)은 캠홈(30c)의 탈출부(e)에서 귀로(f)를 통하여 도입홈(a)에 다다르게 된다.
이때, 하부 실린더(21)내에는 오리피스(35)에서 제동된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이 피스톤부(30a)의 신장과정에 있어서 제동력이 작용하여 피스톤 롯드(30)는 서서히 조용하게 전진하게 된다. 이하의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뚜껑(17)을 닫을려고 압입하면, 피스톤 롯드(30)가 죠인트(44)를 통하여 압입되어 되눌르게 되어 그 피스톤부(30a)가 하단 부세 스프링(34)에 대항하여 하부 실린더(21)내부로 압입된다.
이 피스톤부(30a)의 단축공정에서는 그 환상홈(30')에 감착되어 있는 O링(33)이 하부 실린더(2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환상홈(30')내로 후퇴한다.
따라서, 피스톤부(30a)의 공기는 환상홈(30')의 배기홈(33a)으로 배기되어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게되어 뚜껑(17)을 닫을려고 압입할시에는 여분의 힘이 필요하지 않게된다.
여기서, 피스톤 롯드(30)의 후퇴에 수반하여 캠홈(30c)의 위치가 변이되어 록크 핀(36)의 트레이스축(36b)은 도입홈(a)으로 전진하게 되고 이때에 귀로(f)가 도입홈(a)보다 일단 높기때문에 귀로(f)에로 진입하지 않게 되고, 진입로(b)로 진입하여 진입로(b)의 가장 얕은단(b')에서 종단부(c)로 인입되어 진행이 정지된다. 여기서, 뚜껑(17)을 더 압압하지 않게되면 이 위치는 뚜껑(17)이 닫쳐지는 위치를 약간 지나치도록 정하였기 때문에 뚜껑(17)의 압압력을 석방하면, 피스톤부(30a)가 하부 실린더(21)내에서 압축되어 있는 하단 부세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하여 압출되어 뚜껑(17)이 직립된 채로 약간 되눌려짐과 동시에 트레이스축(36b)이 캠홈(30c)의 종단부(c)내에서 역진하게 된다.
트레이스축(36b)은 진입로(b)가 종단부(c)보다 일단이 얕은 것이어서 진입로(b)로 돌아오지 않고, 종단부(c)에 인접됨과 동시에 일단이 깊게 된 정지부(d)로 떨어져서 인입되어 하단 부세 스프링(34)의 복원력이 돌출부(30d)에서 당접되어 정지하게 되어서 뚜껑(17)은 케이스 본체(12)의 개구(13)와 대향된 직립상태로 정지한다(제 20 도).
한편, 차량의 충돌시 등에는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뚜껑(17)의 개방을 저지한다.
즉, 차량의 충돌시의 충격에 의하여 웨이트(19-3)에 관성력이 작용하여 관성력이 소정치(예컨대, 30G)를 넘으면, 웨이트(19-3)가 코일 스프링(19-4)의 부세력에 대향하여 전진하고, 그 장출부(19-6)가 캠홈(30c)의 정지부(d)내에서 정지하고 있는 록크 핀(36)의 횡측으로 임하게 되어 록크 핀(36)의 해제방향에로의 회동, 즉 트레이스축(36b)이 캠홈(30c)의 정지부(d)에서 탈출부(e)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제 22 도). 이렇게 되어서, 뚜껑(17)이 관성력에 의하여 폐색위치를 진행하여 통과된 위치까지 압입된 상태로 되어도 트레이스축(36b)이 캠홈(30c)내에서 이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그 록크상태가 유지되어 뚜껑(17)이 열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충돌시에 탑승객이 뚜껑(17)에 두부를 강타하여도 뚜껑(17)이 닫혀있기 때문에 그만큼 안전성이 높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안전장치는 관성력이 상기 소정치 미만에서는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의 가속중이나 감속중에는 뚜껑(17)을 자유롭게 개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록크수단을 캠홈(30c)과 록크 핀(36b)의 조합에 한하지 않고, 회전캠을 사용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안전장치도 웨이트(19-3)가 관성력으로 전진하도록 한 것이지만, 그외에, 웨이트(19-3)을 축지하고 웨이트(19-3)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서 록크 핀(36b)의 이동영역내로 돌출하도록 하여도 되며, 이 때에는 웨이트(19-3)을 코일 스프링으로 후방으로 경사방향으로 인장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부 실린더(20),(21)의 후벽에 형성된 오리피스(20'),(35)에 필터(20"),(21')가 삽착되어 외부에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하여 깨끗한 공기를 공급하여 케이스 본체(12)내부로의 먼지의 유입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자형 물품을 케이스 본체내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으로 수납할 수 있어서 그 단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자형 물품의 수납 개수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납상태에 있어서도 각 상자형 물품이 케이스 본체내로 완전히 수납시키는 것이어서 외관이 미려하고 체재도 우수한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스 본체의 개구에 직립상태의 뚜껑에 의하여 폐색되어서 케이스 본체내로 먼지 등이 인입이 안되며, 상자형 물품을 취출시에는 상자형 물품이 개구로부터 계단상으로 돌출되어서 그 재치면에 재치된 상자형 물품이 매우 취출하기에 편리하고, 더욱이 뚜껑이 슬라이드 홀더와 일체적으로 습동하면서 개구되고, 그, 동작이 에어 댐퍼를 사용하여서 그 작동시의 동작을 유연하고 정숙하게 행하게 되어 차량의 실내의 정숙성을 해치지 않게되므로 고급감을 갖는 부가가치가 높은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뚜껑이 폐색되어 직립상태로 있을시 그 내면의 축보다 하측을 가압체로서 전방으로 압압하여 뚜껑에 외부진동이 전달되어도 뚜껑이 까닥거림이 없어 소음의 발생이 적게되며, 또한 록크수단을 원터치로 해제할 수 있어서 조작성이 우수하고, 더욱이 뚜껑이 최대로 개구하면, 그 내면이 슬라이드 홀더의 재치면과 거의 동일면이 되어서 상자형 물품의 취출 및 장전이 월등하게 용이하고 또한 가이드 수단에 의하여 상자형 물품의 삽입방향을 규제하게 되어서 그 취출 및 장전이 더 한층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차량의 충돌시에는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록크수단의 록크상태의 해제동작을 미연에 저지하는 것이어서 상자형 물품이 케이스 본체의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게 되어서 안전성이 높은 차량 탑재용 수납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전면에 적어도 개구를 갖으며 상호 독립되게 상하방향으로 복수단으로 구분되는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내로 습동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되는 상자형 물품을 재치면상으로 재치하는 복수의 슬라이드 홀더와, 이 슬라이드 홀더중 하나의 전단부에 축지되며 이 축을 지점으로 전방으로 전도되어 개방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홀더를 전방으로 향하여 개별로 압압하는 부세수단과, 이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상기 슬라이드 홀더를 케이스 본체내로 수용된 후퇴위치에 계류하는 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을 케이스 본체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직립상태로 계지하고 이 직립된 뚜껑이 상기 케이스 본체로 향하여 압압될시에 그 계지상태를 해제하는 록크수단과,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력에 의하여 압출된 슬라이드 홀더의 최전진 위치를 규제하는 스톱퍼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 수단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홀더에 각각 재치된 상기 상자형 물품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기 개구로부터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돌출량이 상호 상단의 것이 하단의 것보다도 계단적으로 적어지도록 각 상자형 물품을 상이한 최전진 위치에 각각 정지시키도록 구성된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전도되어 개방된 그 내면이 슬라이드 홀더의 재치면과 거의 동일 평면으로 된 위치에서 뚜껑의 최대 개방각도를 규제하는 각도 규제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수단에 의한 슬라이드 홀더의 습동이동과 뚜껑의 개방운동의 적어도 일측의 이동을 에어댐퍼에 의하여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연에는 직립상태에 있는 상기 뚜껑의 축보다 하측의 내면을 전방으로 향하여 압압하는 가압체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내면에는 상자형 물품의 삽입방향을 규제하는 이 상자형 물품의 좌우의 횡폭에 거의 동등한 간격으로 상호 대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쌍의 가이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크수단에는 관성력이 작용할시에 그 록크상태의 해제동작을 저지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 수납장치.
KR1019880000623A 1987-04-13 1988-01-27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KR950013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88730 1987-04-13
JP?62-88727 1987-04-13
JP62088728A JP2542512B2 (ja) 1987-04-13 1987-04-13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62-88726 1987-04-13
JP?62-88728 1987-04-13
JP62088727A JP2524148B2 (ja) 1987-04-13 1987-04-13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62088725A JP2666136B2 (ja) 1987-04-13 1987-04-13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62-88725 1987-04-13
JP62088726A JP2542511B2 (ja) 1987-04-13 1987-04-13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62-88725? 1987-04-13
JP62088729A JPH07100424B2 (ja) 1987-04-13 1987-04-13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62088730A JPH07100425B2 (ja) 1987-04-13 1987-04-13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62-88726? 1987-04-13
JP?62-88729 1987-04-13
JP62193699A JP2881691B2 (ja) 1987-08-04 1987-08-04 安全装置付き車輌搭載用収納装置
JP?62-193699 1987-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03A KR880012403A (ko) 1988-11-26
KR950013519B1 true KR950013519B1 (ko) 1995-11-08

Family

ID=2756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623A KR950013519B1 (ko) 1987-04-13 1988-01-27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4890735A (ko)
EP (1) EP0287314B1 (ko)
KR (1) KR950013519B1 (ko)
DE (1) DE385016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020B1 (ko) * 2006-10-10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519B1 (ko) * 1987-04-13 1995-11-0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JPH01317265A (ja) * 1988-06-17 1989-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プストック収納ラック
IL91583A (en) * 1989-09-08 1992-09-06 Plasgad Plastic Products Self-assembly furniture system
JPH077225Y2 (ja) * 1989-10-18 1995-02-22 株式会社ニフコ 車載移動体の閉位置係止装置
US5080231A (en) * 1989-11-20 1992-01-14 Engineered Data Products, Inc. Holder for tape cartridges
DE3942845A1 (de) * 1989-12-23 1991-06-27 Fischer Artur Werke Gmbh Aufnahmebehaelter fuer magnetbandkassetten
NL9100386A (nl) * 1991-03-04 1992-10-01 Philips Nv Houder.
US5154291A (en) * 1991-05-17 1992-10-13 Sur Francis Y Compact audio disc storage apparatus
US5265721A (en) * 1991-07-26 1993-11-30 Castritis Tryfon D Ejectable compact disc container
DE4129392A1 (de) * 1991-09-04 1993-03-11 Fischer Artur Werke Gmbh Behaelter fuer flachteile, insbesondere muenzen
DE4135324A1 (de) * 1991-10-25 1993-04-29 Fischer Artur Werke Gmbh Aufbewahrungseinrichtung fuer aufzeichnungstraeger
US5190153A (en) * 1992-01-21 1993-03-02 Schultz Gregory A Compact disc holder
DE4324266A1 (de) * 1993-07-20 1995-01-26 Fischer Artur Werke Gmbh Kassettenhalterung mit Klemmeinrichtung
ATE202993T1 (de) 1998-08-10 2001-07-15 Alpla Werke Im blasverfahren hergestellte mehrkammerflasche aus kunststoff und verschluss für mehrkammerflasche
DE19852165A1 (de) * 1998-11-12 2000-05-18 Mettler Toledo Gmbh Box
JP4425618B2 (ja) * 2003-12-08 2010-03-03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ノック式スライドケース
US7614674B2 (en) * 2007-09-10 2009-11-10 Honda Motor Co., Ltd. Console box
DE102014019429B9 (de) 2014-12-22 2017-08-17 Ralph Richter DVD/CD-Regalbox mit Schubfächern, Beleuchtung und Archivierungssystem, modular erweiterbar
CN112811000A (zh) * 2021-02-04 2021-05-18 北京华辉智惠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一种自动开启的包装盒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69408C (nl) * 1972-04-18 1982-07-16 Idn Invention Dev Novelties Opberginrichting omvattend een gestel met vakken voor het opnemen van schuifladen, in het bijzonder voor het opbergen van geluids- en beeldbandcassettes.
US3904259A (en) * 1974-02-22 1975-09-09 Boeing Co Magnetic tape cassette storage containers
US4121877A (en) * 1977-03-21 1978-10-24 Brown James L Magnetic tape cassette storage case
US4235490A (en) * 1978-12-26 1980-11-25 Le-Bo Products Company, Inc. Video cassette storage and ejection device
US4216857A (en) * 1979-04-19 1980-08-12 Huang Lung Fei Box for reserving cassette or cartridge
US4275943A (en) * 1980-03-31 1981-06-30 Shape Inc. Container for a cassette
US4399913A (en) * 1981-05-18 1983-08-23 Shape Inc. Cassette container with flexible and hinged drawers
US4549775A (en) * 1982-11-19 1985-10-29 Anthony J. Foto Tape cassette holder
EP0119320B1 (de) * 1983-01-15 1987-03-18 idn inventions and development of novelties ag Behälter zur Aufnahme von Datenträgern
DE3309739C2 (de) * 1983-03-18 1985-04-04 Sidler GmbH & Co, 7400 Tübingen Behältnis zum Aufbewahren von flachen Gegenständen
US4519655A (en) * 1983-04-22 1985-05-28 Kamperman Charles F Storage container
EP0134278B1 (de) * 1983-08-29 1988-03-16 idn inventions and development of novelties ag Behälter mit Verriegelungseinrichtung zum Aufbewahren von Aufzeichnungsträgern
NL8401546A (nl) * 1984-05-14 1985-12-02 Philips Nv Behuizing voor tenminste een een informatiedrager bevattende houder.
DE8416751U1 (de) * 1984-06-01 1985-09-26 IDN Inventions and Development of Novelties AG, Chur Vorrichtung zum Aufbewahren von Aufzeichnungsträgern, insbesondere zum Einbau in Kraftfahrzeuge
DE3431814A1 (de) * 1984-08-30 1986-03-06 Werner Grüske, EDV Zubehör, 8521 Spardorf Einrichtung zum geordneten aufbewahren einer groesseren anzahl von aufzeichnungstraegern
US4630732A (en) * 1984-09-06 1986-12-23 Robert Snyman Storage device for storing disc-shaped articles
DE8436935U1 (de) * 1984-12-18 1986-04-17 IDN Inventions and Development of Novelties AG, Chur Behälter für eine Schall- oder Bildplatte
DE3513606A1 (de) * 1985-04-16 1986-10-16 Kurz Kunststoffe GmbH, 7452 Haigerloc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aufbewahrung flacher aufzeichnungstraeger
US4776463A (en) * 1986-09-05 1988-10-11 Digital Masters, Inc. Diskette holder storage tray
KR950013519B1 (ko) * 1987-04-13 1995-11-08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US4838422A (en) * 1987-11-23 1989-06-13 Empak, Inc. Data storage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020B1 (ko) * 2006-10-10 2008-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레이의 도어 열림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403A (ko) 1988-11-26
DE3850169D1 (de) 1994-07-21
EP0287314B1 (en) 1994-06-15
EP0287314A3 (en) 1989-10-18
US4890735A (en) 1990-01-02
EP0287314A2 (en) 1988-10-19
US4976350A (en) 1990-12-11
DE3850169T2 (de) 199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519B1 (ko) 슬라이드식의 상자형 물품용 수납장치
US4655344A (en) Apparatus for storing recording media
US4474196A (en) Vanity case
JPS61178774A (ja) カセツトロ−デイング装置
JP2881691B2 (ja) 安全装置付き車輌搭載用収納装置
KR100372880B1 (ko) 자동차용 애쉬 트레이 어셈블리
KR100269670B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47736B1 (ko) 카트리지 안착용 트레이
KR200147380Y1 (ko) 자동차용 트레이
JP3607527B2 (ja) 車載用電子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JP2666136B2 (ja)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H02204143A (ja) スライダの格納装置
JP2542512B2 (ja)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H025037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開閉機構
JPH07812Y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器の収納ケース
KR940010714B1 (ko) 차량용 우산 수납장치의 자동우산압출장치
KR930002894B1 (ko) 디에이티 프론트로더의 카세트 취출장치
JP3590988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755682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の収納ケース
JP2524148B2 (ja)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H0621098Y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開閉機構
KR890004694Y1 (ko) 브이티알용 카세트 하우징의 커버 리프트 장치
JPS63255146A (ja) スライド式の箱形物品用収納装置
JP3370784B2 (ja) パトローネイジェクタ
JPH04505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