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571B1 - 탈곡기 - Google Patents

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571B1
KR950011571B1 KR1019920025876A KR920025876A KR950011571B1 KR 950011571 B1 KR950011571 B1 KR 950011571B1 KR 1019920025876 A KR1019920025876 A KR 1019920025876A KR 920025876 A KR920025876 A KR 920025876A KR 950011571 B1 KR950011571 B1 KR 95001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chamber
swing
threshing chamber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484A (ko
Inventor
에이지 시노자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에 유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에 유키지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1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Landscapes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탈곡기
제1도는 탈곡기의 요부의 측면도.
제2도는 탈곡기의 요부의 정면도.
제3도는 탈곡기의 요부의 일부 파단시킨 정면도.
제4도는 탈곡기의 요부의 탈곡실 요동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탈곡기의 요부의 탈곡실 요동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탈곡기의 요부의 측단면도.
제7도는 탈곡기의 요부의 내부의 사시도.
제8도는 탈곡기의 탈곡실 요부의 사시도.
제9도는 제6도의 S₁- S₁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의 S₂- S₂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의 S₃- S₃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곡동제축 2 : 탈곡동체
3 : 탈곡실 4 : 전축판
5 : 후측판 6 : 옆프레임
7 : 수망(受網) 8 : 이송체인
9 : 협지레일 10 : 체인레일
11 : 지지축 12 : 탈곡동체커버
13 : 기로축 14 : 구동축
15 : 구동스프로켓 16 : 유니버셜 조인트
17 : 처리실 18 : 처리동체
19 : 처리동체 수망 20 : 송진구(送塵口)
21 : 배진실(拜塵室) 22 : 배진동체
23 : 배진동체 수망 24 : 배진구
25 : 기체측 프레임 26 : 세로축
27 : 좌측판 28 : 우측판
29 : 횡단류(橫斷流)팬 30 : 케이싱
31 : 보강프레임 32 : 선별실
33 : 요동선별선반 34 : 1번양곡통(1番楊穀洞)
35 : 낟알탱크 36 : 2번양곡통.
본 발명은 탈곡동체를 축을 내장하여 설치한 탈곡실을 아래쪽의 선별실에 대하여 요동개폐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탈곡기에 있어서 탈곡동체를 탈곡동체커버와 같이 왼쪽으로 요동개방함으로써 탈곡 실내의 청소나 정비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은 예를들면, 일본국 설계소 59-150231호 공보등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지 기술은 탈곡동체만의 요동 개폐이기 때문에, 수망은 별도로 붙였다 떼었다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 때문에, 탈곡실 아래쪽의 선별실의 보전은 물론이고, 이송체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망의 탈착도 용이하지 않고,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탈곡실 및 선별실의 보전이 용이한 탈곡기를 구현하고나 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수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 수단은, 탈곡동체(2)가 축을 내장하여 설치되어 공급된 볏짚을 축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수망(7)과의 사이에서 탈곡처리하는 탈곡실(3)과, 그 탈곡실(3) 한쪽의 흡입구를 따라 설치되는 이송체인(8)과, 그 이송체인의 윗쪽에 대면 설치되어 상기 탈곡실 상부의 탈곡동체커버(12)에 장착되는 협지레일(9)로 되며, 상기 협지레일(9)은 상기 탈곡동커버(12)와 같이 상하로 요동개폐 가능하게하고, 상기 이송체인(8)은 상지 협지 레일을 윗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바깥쪽으로 요동개방할 수 있는 구성으로하며, 상기 탈곡실(3)은 아래쪽의 선별실에 대하여 상하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이송체인을 밖으로 열었을 때 내외측족으로 향하여 요동캐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탈곡실내를 청소할 때는 탈곡동체커버와 같이 위로 움직여 이송체인에서 이탈되므로 이송체인을 바깥쪽으로 열수가 있다. 따라서, 이 이송체인을 바깥쪽으로 열수가 있다. 따라서, 이 이송체인을 바깥쪽으로 요동 개방 시키면 탈곡실 한쪽면이 크게 개방된다. 이 개방된 부분에서 수망을 잡아 뺄 수가 있으므로 그 개방부분에서 꺼내어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 선별실내를 청소할 때는 상기 이송체인을 바깥쪽으로 연 다음, 탈곡실을 옆바깥쪽으로 요동개방할 수가 있다. 결국, 탈곡실은 탈곡실내의 탈곡동체와 수망이 일체로되어, 전단측(前端側)의 종축중심둘레로 요동개폐할 수가 있다. 따라서, 탈곡실을 요동개방할 때는, 선별부의 윗쪽이 크게 개방되는 것으로 되므로, 선별부의 보전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탈곡실에 대하여 이송체인을 밖으로 열도록 가능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탈곡실내의 보전은 물론 수망의 탈착이 용이하다.
탈곡동체와 탈곡동체수망을 일체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탈곡실 아래쪽의 선별부이 보전이 용이하게 되었다. 특히 요동선별선반은 탈곡실을 개방하는 것 만으로 보전이 가능하고 탈곡동체수망을 떼는 번잡함이 없어지고, 청소, 점검, 정비등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게다가 탈곡실은 이송체인을 먼저 밖으로 열고나서 요동개방사는 것이 때문에 이 탈곡실 자체의 요동개폐가 용이하게 되며, 구성자체도 지장없이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 탈곡실(3)은 전측판(4), 후측판(5), 옆프레임(6)등에 의하여 프레임세트를 구성해 놓았으며, 그리고 이 탈곡실(3)내에는 기체전후쪽 축(1)중심둘레로 회전하는 탈곡동체(2)를 가설하여, 그 탈곡실의 적어도 하반둘레부에 따라서는 수망(7)을 정확하게 붙임 상태로 설치함과 동시에, 이 윗쪽에 대면 설치하는 협지레일(9)에 의하여 볏짚을 협지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송체인(8)은, 체인레일(10)가 같이 이 시단축(始端側)에 설치한 상하방향의 지지축(11)둘레로 요동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10A는 체인지지프레임, 11A는 기계의 받침대로부터 돌설하는 지주(支柱)로서 탈곡실의 고정측 전측판(40)에서 돌출 설치하는지지 스테이(11B)에 의하여 공고하게 보지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체인지지 프레임(10A)을 상기 지지축(11)둘레로 회동자재로 장착하고 잇다.
또, 탈곡실(3)의 상부를 덮는 탈곡동체커버(12)에는 상기 이송체인(8)의 협지레일(9)이 장착되어 있고, 그리고, 그 커버(12)는 전후방향으로 가로축(13)을 지지점으로하여 상하방향으로 요동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잇다.
상기 이송체인(8)에로의 구동부는 구동장치(14)에서 회전구동되는 신축 슬라이더 자재로 스플라인 결합된 이송체인구동축(14a, 14b)과 이송체인(8)에로의 구동 스프로켓(15)을 유니버셜 조인트(16)를 통하여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동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송체인(8)을 탈곡부 전방을 요동지지점을 하여 개방하는 경우, 수확 반송체인이나 입구에서 떨어지는 낟알과의 간섭방지를 위해 요동 지지점을 이송체인의 시단 근처에 배설할 필요가 있으나 이 경우, 이송체인 구동부와 상기 요동지지머이 어긋나는 일이 많고, 기어의 치합, 클릭클러치에 의한 동력전달이 제안되어 있으나, 조립상의 오차 혹은 휨등에 의해 치합 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저장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6)를 통한 동력전달에 의해 해소할 수가 있다.
또, 이 처리실(17)에는 처리동체수망(19)을 붙인상태로 설치하여 탈곡처리된 곡식알을 아래쪽의 선별부로 탈락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리동체수망(19)은 탈곡실(3)쪽으로 향하여 잡아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평상시는 탈곡실(3)이 옆프레임(6)에 의하여 걸려 지지되어 있다.
배진실(21)는 상기 처리실(17)의 종단에 이르러 송진구(20)에서의 처리물을 받아들여 뒤쪽으로 이송하면서 배지처리하는 것으로, 배진동체922)를 축으러 내장하여 설치하고 외주적소에는 배진동체수망(23)을 붙인 상태로 설치하고 잇다. 그리고, 이 배진실의 종단쪽에서는 배진구(24)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실(3)내에 공급되는 볏짚은 탈곡동체(2)에 의하여 탈곡처리된다. 삽실(3)내에서 발생한 지푸라기나 미처리낟알 등의 처리물은 도중부에서 처리실(17)내로 보내어져, 처리동체(18)에 의하여 뒤쪽으로 이송되면서 탈곡처리됨과 동시에 또한 여기서부터 배진실(21)내로 보내어진다. 그리고, 배진실(21)내에서는 배진동체(22)에 의하여 뒤쪽으로 이송되면서 탈곡처리된다. 각 실(17, 21)에서 아랫쪽의 선별실로 떨어지고, 지푸라기 등의 배진처리물은 배진구(24)에서 기계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탈곡실(3)은 아래쪽의 선별실 및 상기 처리실(17)에 대하여, 탈곡동체(2) 및 수망(7)이 일체로 밖으로 열 수 있도록 구성하나 결국, 탈곡실(3)의 전단측에서 또한 처리실(17)쪽에 위치하는 기체측 프레임(25)에 설치한 세로측(26)을 회동지지점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요동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처리실(17)과 배진실(21)과의 연통구부(連通口部) 부근에서 탈곡실을 분할 구성함으로써 그 탈곡실을 요동개방시켰을 때, 작업자는 배진동체부 까지 몸을 넣을 수가 있어 배진실내의 잔류 벼의 제거나 청소, 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이송체인(8)의 요동개폐지지머(11)을 상기 탈곡실(3)의 요동개폐지지머(26)보다도 앞쪽에 설정함으로써, 이송체인의 개방각도가 작지만 탈곡실의 개방각도는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실 및 요동선별선반의 소재, 점검이 용이하다.
탈곡실(3) 뒤쪽의 좌우측판(27, 28)은 횡단류(橫斷流) 팬(29)의 케이싱(30)에 의하여 연결보지되어 있다.
특히, 좌측판(27)은 이것과 탈곡실(3)의 고정측 후측판(5A)간에 걸쳐 연결하는 보강프레임(31)을 통하여 공고히 보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곡실의 요동개폐지지점은 이것을 요동개방할 때, 이 가동측 전측판(4)의 하면이 고정측 전측판(4A)의 상면 (4a)에 상시 접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관계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찰곡실 아래쪽의 선별실(32)에는 요동선별선반(33)이 배치되어 있다. 34는 1번양곡통으로, 낟알탱크(35)에 연통되어 있다. 36는 2번양곡통으로, 이 2번양곡통(36)은 선별부에서 2번째 물건을 상기 처리실(17)의 전단측에 환원하여 이 처리실내에서 재처리하도록 연통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처리실내에서 치러된 것은 개구부(開口部)(37)로부터 아래쪽의 요동선별선반(33)위로 되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38은 탈곡실의 컬림록크기구, 39는 배출 짚 협지봉, 40은 배출 짚 반송체인으로 이것은 상기 탈곡동체커버(12)와 일체적으로 되어 상하로 요동 개폐 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Claims (1)

  1. 탈곡동체(2)가 축을 내장하여 설치되어 공급된 볏짐을 탈곡동체(2)의 축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수망(7)과의 사이에서 탈곡처리하는 탈곡실(3)과, 그 탈곡실(3) 한쪽의 흡입구에 따라 설치되는 이송체인(8)과, 그 이송체인의 윗쪽에 대면 설치되어 상기 탈곡실상부의 탈곡동체커버(12)에 장착되는 협지레일(9)로 되며, 상기 협지레일(9)은 상기 탈곡동체커버(12)와 같이 상하로 요동개폐 가능하게 하고상기 상기 이송체인(8)은 상기 협지레일을 윗쪽으로 이동시켰을 때 바깥쪽으로 요동개방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탈곡실(3)은 아랫쪽의 선별실에 대하여 상하로 분할구성되어, 상기 이송체인을 밖으로 열었을 때 내외측쪽으로 향하여 요동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기.
KR1019920025876A 1992-02-14 1992-12-28 탈곡기 KR950011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8095 1992-02-14
JP4028095A JPH05219821A (ja) 1992-02-14 1992-02-14 脱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84A KR930017484A (ko) 1993-09-20
KR950011571B1 true KR950011571B1 (ko) 1995-10-06

Family

ID=1223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876A KR950011571B1 (ko) 1992-02-14 1992-12-28 탈곡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219821A (ko)
KR (1) KR950011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96150B (zh) * 2017-12-21 2023-06-20 浙江理工大学 一种半自动覆盆子脱粒机及其脱粒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484A (ko) 1993-09-20
JPH05219821A (ja) 199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571B1 (ko) 탈곡기
JP3246455B2 (ja) 脱穀機
JPS61274612A (ja) 普通形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3411489B2 (ja) コンバインの防塵構造
JPH0745Y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3822835B2 (ja) 脱穀機の二番処理装置
JP2508364Y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H05268822A (ja) 脱穀装置
JP2578673Y2 (ja) 脱穀装置
JP2007319090A (ja) 脱穀選別処理構造
JP3206091B2 (ja) コンバイン
JPH0325556Y2 (ko)
JP3206072B2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
KR960000056Y1 (ko) 탈곡선별장치
JP3402798B2 (ja) 脱穀機
JP3372660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排藁搬送装置
JP2972085B2 (ja) コンバイン
JPH0646662A (ja) 脱穀機
JP3044858B2 (ja) 脱穀装置
JP2001269047A (ja) 脱穀装置の揺動選別装置
JP2001275468A (ja) 脱穀機
JP3025613B2 (ja) 脱穀機の茎稈搬送装置
JP3201676B2 (ja) 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JP3214089B2 (ja) 複胴型脱穀機
JPH06245626A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