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449B1 -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449B1
KR950009449B1 KR1019920016011A KR920016011A KR950009449B1 KR 950009449 B1 KR950009449 B1 KR 950009449B1 KR 1019920016011 A KR1019920016011 A KR 1019920016011A KR 920016011 A KR920016011 A KR 920016011A KR 950009449 B1 KR950009449 B1 KR 95000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video signal
signal
memory
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7265A (ko
Inventor
겐지 가쯔마따
시게루 히라하따
하루끼 다까따
미쯔오 곤노
고이찌 이시바시
가즈히로 가이자끼
다까아끼 마또노
아쯔시 하라따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화상정보시스템
요시네 히로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화상정보시스템, 요시네 히로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3000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및 처리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제 1도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16 : 9, 4 : 3의 종횡비의 표시장치로의 영상신호의 표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종래의 확대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제5도는 항목(a)∼(g)에 의해서 종래의 수직확대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항목(a)∼ (i)에 의해서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확대의 원리를 도시한 설명도.
제7도(a)는 본 발명의 수평압축회로의 1예를 도시한 회로도.
제7도(b)∼(i)는 제7도(a)의 회로의 동작을 도시한 파형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수직필터부를 도시한 블럭도.
제9도(a)∼(h)는 본 발명의 수평확대용 메모리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신호파형도.
제10도(a), (b)는 각각 본 발명의 수평필터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회로도.
제11도(a) ∼ (k)는 본 발명의 수평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필스파형의 포함하는 도면.
제12도는 동기회로를 포함한 본 발명의 블럭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필드메모리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15도(a), (b)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혼합기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블럭회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계수발생회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럭회로도.
제17(a)∼(i)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는 클럭의 왜곡에 의한 출력영상의 왜곡을 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의 처리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한 텔레비젼신호와 같은 비디오 신호를 임의의 크기로 확대해서 표시하는 장치에 적합한 비디오 신호처리회로와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16 : 9의 종회비를 가진 고품위 텔레비젼의 보급에 따라 공래의 NTSC방식 등의 표준텔레비젼과의 호환성에 대해서 여러가지로 검토가 시도되고 있다. 특히, 16 : 9의 종횡비를 갖는 표시장치에 표준방식인 4 : 3 의 종횡비를 가진 영상을 투영하는 경우, 영상이 없는 부분에 삽입한 측면패널신호에 의한 형광체의 소결등 많은 문제를 안고 있었다.
16 : 9의 종회비의 디스플레이에 4 : 3의 종횡비를 가진 표준신호를 투영하는 경우 그대로 표시하면 제 3도 (a)와같이 원이 가로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되기 때문에, 통상 제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를 수평방향으로 압축하여 양끝에 측면패널신호를 삽입해서 표시한다. 그러나, 이 표시방법에서는 16 : 9의 와이드디스플레이를 유효하게 이용하고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디스플레이스크린상에 영상을 표시하고 있지 않는 부분이 있으므로, JP-A-3-11891호의 제 3도(c)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같이, 화면에 수직방향으로 확대해서 표시하여 디스플레이의 유효이용을 도모하고 이다. 상기 종래예의 개념회로도를 제4도(a)에 도시한다. 제4도(a)에 있어서, (401)은 NTSC신호의 입력단자, (402)는 종횡비가 변환된 영상신호의 출력단다, (403)은 NTSC신호를 휘도 및 색차신호로 변환하는 NTSC디코더, (404)는 배속신호로 변환해서 순차 주사화하는 논인터레이스변환회로, (405)는 시간축을 변환하는 제1의 메모리회로, (406)은 영상신호의 추출위치를 결정하는 제2의 메모리회로, (407)은 화면의 상하의 라인간의 연산을 실행하는 라인연산 회로, (408), (409)는 제1, 제2의 선택회로이다.
우선 제3도(b)와같이, 화면의 양측에 측면패널신호를 삽입해서 4 : 3의 종횡비의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제1의 메모리회로(405)를 사용하여 라이트클럭에 의해 주파수가 높은 리드클럭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서 시간축의 압축을 실행하고, 제2의 선택회로(409)의 a측 단자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에 영상신호를 공급한다. 또, 입력영상신호가 NTSC신호이면서, 제3도(d)에 도시한 바와같이 16 : 9의 종횡비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 즉 입력영상신호가 그 영상의 원이 미리 세로방향으로 긴 타원형으로 해서 기록되어 있는, 소위 스퀴지 신호인 경우는 제1, 제2의 메모리회로를 거치지 않고 제1의 선택회로(408)의 a측, 제2의 선택회로(409)의 b측 단자를 통해서 그대로 표시한다. 따라서, 제3도(e)에 도시한 바와같이, 16 : 9의 종횡비의 디스플레이에는 정확한 형상의 영상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제3도(c)와 같은 화면의 상하의 일부분을 잘라서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용량이 충분히 큰 제2의 메모리회로(406)을 사용해서 화면의 추출영역을 결정하고, 라인연산회로(407)에서 화상을 보간하여 수직방향으로 확대한다.
제4도(b)는 상비 라인연산회로(407)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b)에 있어서, (410)은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406)에서의 영상신호의 입력단자, (411)은 출력단자, (412)는 1라인 지연메모리회로, (413), (414)는 입력신호를 고정계수배로 하는 계수기메모리, (415)는 가산기이다. 라인연산회로(407) 에 있어서의 보간처리를 제5도를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5도(a), (b)는 주사선을 보간해서 화대 할 때의 신호의 바른 레벨과 각 주사선의 무게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4/3배로 확대하는 경우에 대한 계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4/3배로 확대하는 경우는 비교적 간단한 계수의 필터처리에 의해 확대한 신호를 만들어낼 수 있다. 제 5도(c)는 입력단자(410)에 있어서의 주사선, 즉 필드메모리(406)의 출력을 도시하고, 4라인마다 1라인 같은 주사선을 반복해서 리드한다. 제5도(d)는 상기 입력단자(410)의 주사선에 승산하는 계수 α를 저장하고 있는 제2의 계수회로(414)의 값을 도시한다. 제5도(e)는 1라인 지연메모리(412)의 출력 주사선을 도시한다. 제5도(f)는 상기 제1의 계수 승산회로(413)의 계수값(1∼α)를 도시한다. 제5도(g)는 가산기(415)의 출력신호이다. 이와 같이, 각라인마다 계수를 전환해서 새로운 주사선을 만들어내는 것에 의해, 제5도(b)에서 도시한 바른 레벨을 가진 확대신호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여기서 기술한 종래예에서는 16 : 9의 종횡비의 디스플레이에 4 : 3의 종횡비의 영상신호를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또, 다른 종래예로서는 JP-A-3-60583호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도(f)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영화크기의 신호를 수직방향으로 확대해서 제3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는 방법을 편향회로를 사용해서 실현하고 있는 것도 있다.
한편, 입력한 영상신호를 수평방향으로 압축해서 제3도(b)와 같이 표시하는 기술로서는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405)의 라이트클럭에서 PLL(Phase Locked Loop)회로를 사용해서 리드하여 클럭을 작성하는 방법이 채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라이트클럭을 작성하는 PLL회로와 리드클럭을 작성하는 PLL 회로, 더나아가서는 표시장치의 편향회로의 AFC회로와 동기계에 다중의 PLL회로가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PLL의 특성변화에 의해 양호한 동기계의 신호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가정용의 VTR과 같이, 지터가 많은 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지터가 크게 표시되게 되어 화질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16 : 9의 종횡비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시스템에 4 : 3의 종횡비의 표준신호를 표시하는 종래예의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신호를 수직방향으로 확대해서 16 : 9의 종횡비의 디스플레이 가득히 표시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영상의 중요부분이 누락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 제3도(f)에 도시한 영화크기의 신호는 영상신호의 크기가 다른 여러가지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여 이들의 영상신호를 단순히 수직방향으로 확대한 경우는 자막이나 영상의 중요한 부분이 커트되거차 또는 영화영상의 상하에 있는 공백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상기 종래예로서 도시한 JP-A-3-11891호에서는 수직의 확대모드로 해서 상기 제1, 제2의 계수회로(413), (414)의 값을 4/ 3배와 5/4배의 2종류로 바꾸어서 화면의 상하의 보이지 않게 되는 영상부분을 적게 되도록 하고 있지만, 이 화면의 수평방향의 확대/압축은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또, 입력신호를 제3도(b)와같이, 압축해서 표시하는 경우에는 지터에 대한 성능의 저하를 회피하는데 곤란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관련기술로서 필드메모리를 사용해서 주사선을 보간하여 영상을 확대하는 비디오신호 처리회로가 Heitniaun의 U.S Pat. 4,496,974와 본 발명의 U.S. Pat. 5,029,006에 개시되어 있다. 후자는 종래기술로 인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종횡비를 갖는 표시장치에 그것보다 작은 종횡비를 가진 영상신호를 표시할때 입력영상신호를 왜곡시키는 일없이 입력영상신호에 가장 적합한 크기로 확대 또는 압축해서 표시하는 확대화면 신호생성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후, 본 발명의 "화상의 확대"라는 것은 "화상의 압축"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화상의 압축표시를 실행한 경우의 지터성능을 저하시키는 일이 없는 구성의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식이 다른 TV영상을 공통의 구동회로로 표시할 수 있는 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는 확대화면 신호생성회로는 순차 주사된 입력 영상신호에 동기한 라이트용의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제1의 클럭발생수단, 상기 제1의 클럭의 대략 4/3배의 안정된 리드용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제2의 클럭발생수단, 상기 라이트용 클럭으로 상기 입력화상신호를 라이트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리드용 클럭으로 간혈적으로 리드하는 것이 가능한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의 출력신호에 필터처리를 해서 확대한 영상신호를 작성하는 공간필터수단 및 상기 기억수단, 상기 동기수단, 상기 필터수단을 제어하는 확대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기억수단의 라이트클럭을 입력화상신호에 동기한 클럭으로 하고, 리드클럭을 라이트클럭의 대략 4/3의 주파수를 가진 클럭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영상신호의 시간압축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리드클럭을 입력신호와 비동기의 안정된 클럭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확대처리중에 발생하는 지터의 경감을 도모하는 것도 동시에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영상신호의 리드, 리드정지는 상기 확대제어수 단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라인단위와 화소단위로 실행되어 영상신호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확대가 가능하게 된다. 또, 이때의 리드정지의 주기, 리드의 개시위치도 상기 확대제어수단에 의해 설정된 확대배율, 확대위치에 따른다.
상기 공간필터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의해서 확대된 신호의 왜곡을 제거한다. 즉, 상기 공간필터회로는 라인지연수단과 화소지연수단을 갖고, 현재신호와 라인지연신호에서 새로운 주사선을 만들어내는 수직방향의 필터, 현재신호와 화소지연의 신호에서 새로운 화소를 만들어 내는 수평필터의 역할을 한다. 이 공간필터수단은 상기 확대제어구단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확대제어회로에 의해서 설정된 크기로 확대된 영상신호는 지터가 적은 안정된 영상신호로 되어 16 : 9의 종횡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확대화면 표시회로의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참조수자 (101)은 순차 주사화된 영상신호의 입력단자, (102)는 출력단자, (103)은 클럭의 입력단자, (109)는 동기신호의 입력단자, (100)은 입력화상의 확대/압축용의 메모리, (104), (105)는 메모리 (100)에 포함되는 다른 클럭에서의 라이트와 리드가 가능한 제1, 제2의 메모리회로, (106)은 영상신호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연산 을 실행하는 보간신호를 작성하는 공간필터회로, (107)은 상기 제1, 제2의 메모리회로(104), (105)와 상기 공간필터회로(106)을 제어하는 확대제어회로, (108)은 상기 각 회로에 바라는 클럭 등을 공급하는 동기처리 회로이다. 제1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01)에서 입력된 순차 주사의 영상신호는 상기 제 1의 메모리회로 (104), 회로(107) 및 (108)에 의한 리드/라이트동작에 의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확대된다. 화상확대는 라이트영상신호를 수직방향으로 동일 라인을 여러회, 수평방향으로는 동일화소를 여러회 리드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해서 수직, 수평방향으로 확대된 화상의 영상신호는 상기 공간필터 (106)에 의해서 필터처리되어 원활한, 즉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영상신호로 수정된 형태로 출력된다.
제1도의 구성의 실시예를 제2도의 상세한 회로블럭도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참조수자(201)은 2개의 주사선에서 새로운 주사선을 만들어내는 수직필터회로, (202)는 2화소에서 새로운 화소를 만들어내는 수평필터회로, (203)은 다른 영상신호를 삽입하는 측면패널신호 삽입회로, (204)는 상기 제1, 제2의 메모리회로(104), (105), 상기 수직필터회로(201), 상기 측면패널신호 삽입회로(203)을 바라는 확대배율에 따라서 제어하는 수직확대 제어회로, (205)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 상기 수평필터회로 (202), 상기 측면패널신호 삽입회로(203)을 바라는 확대배율에 따라서 제어하는 수평확대 제어회로, (206)은 입력단자(103)에서의 클럭과 거의 같은 주파주의 안정된 제1의 클럭을 발생하는 제1의 클럭발생회로, (207)은 상기 제1의 클럭에서 주파수의 약 4/3배의 주파수를 갖는 새로운 제2의 클럭을 발생하여 제2의 메모리회로(105)에 공급하는, 예를 들면 결정소자에 의한 안정발진 주파수 발생원을 포함하는 제2의 클럭 발생회로를 나타낸다. 그밖은 제1도의 실시예와 같다.
여기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입력영상신호를 4/3배로 확대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는 입력영상신호, 즉 화상중의 확대하는 대상영역의 수직방향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 확대배율에 따른 라인주기로 메모리에서의 리드를 정지하는 것, 지터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에서 안정된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갖는다. 제6도에 수직방향, 즉 주사선의 확대방향에 대한 원리도를 도시한다.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의 동작은 제6도(a)∼(f)에 도시된다. 제6도는 텔레비젼화면을 가로에서 본 도면으로, 주사선은 ⓐ, ⓓ와 같이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6도(a)는 입력신호의 수직동기신호의 위치를 도시한다. 제6도(b)는 입력단자(101)에서 입력된 영상신호의 주사선 ⓐ∼ⓟ의 위치를 도시한다. 화면의 확대를 주사선 d부터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는 제6도(c)와 같이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의 라이트리셋트 신호펄스를 상기 수직확대제어회로(204)에 의해서 제6도(c)의 위치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의 라이트어드레스는 주사선 d의 위치에서 0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확대를 위한 순차 라이트가 실행된다.
제6도(e) 리드클럭의 게이트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게이트신호가 오프하고 있는 동안은 메모리의 리드클럭이 정지하여 1라인간 데이타의 리드가 정지한다. 4/3배로 확대하는 경우에는 사기 수직확대 제어회로(204)에서 4라인에 1회의 주기로 리드회로의 클럭게이트를 오프하는 제어신호가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 (104)엑 부여된다. 이와 같이 해서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에서 확대위치와 주사선확대의 주기가 결정되어 제6도(f)에 도시한 신호가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에서 출력된다(가산출력, 제6도(I)). X표시 되는 리드신호가 누락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는 상기 제1의 클럭발생 회로(206)에서의 안정된 제1의 클럭을 리드클럭으로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메모리에서의 출력영상신호 자체에는 지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는 시간축의 변환과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가 리드를 정지하고 있는 동안에 데이타의 재생을 실행한다. 제7도(a)∼(i)에 제2의 메모키회로(105)의 상세한 구성의 1예와 그 동작원리를 도시한다. 제7도(a)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701)은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에서의 신호의 입려단자, (702)는 출력단자, (703)은 상기 제1의 클럭발생회로(206)에서의 라이트클럭의 입력단자, (704)는 상기 제2의 클럭발행회로(207)에서의 리드클럭의 입력단자, (705), (706)은 각각 라이트라세트신호, 리드리세트신호의 입력단자, (707), (708)은 라이트이네이블 신호의 입력단자, (709)는 출력제어신호의 입력단자, (710), (711)은 각각 1라인 용량의 메모리, (712)는 선택 회로이다. 제7도(a)의 회로의 동작에 대해서 제7도(b)∼(i)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7도(b)는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에서의 출력신호로서, 4/3으로 확대하기 위해 4라인에 1회의 테이타가 누락되어 있다. 제7도(c)는 입력단자(705), (706)에서 입력되어 내부의 메모리 (710), (711)을 리세트하는 라이트리세트와 리드리세트신호이다. 이 양리세트신호에 의해서 라이트어드레스와 리드어드레스는 0번지로 리세트된다. 제7도(d), (g)는 내부의 메모리 (710)과 (711)의 라이트 제어신호로, 입력데이타가 누락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쪽의 메모리에도 라이트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제7도(e)는 리드클럭으로, X표시부는 리드클럭이 공급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리드클럭은 라이트클럭의 약 4/3의 주파수를 갖고 있다. 이 리드클럭은 상기 제2의 클럭 발생회로(207) 에 의해 PLL회로를 사용해서 만들어져 공급된다. 따라서, 데이타는 압력되어 리드되고, 클럭이 정지하고 있는 기간동안 데이타는 유지된다. 상기 내부의 메모리 (710), (711)에서 리드되는 데이타는 제7도(f), (h)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신호가 누락되어 있는 라인은 같은 데이타가 다시 리드되게 된다. 제7도(i)에 도시된 출력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 선택회로(712)를 전환하면, 수평방향으로 압축된 신호가 제6도(g)에 도시한 주사선의 평행성을 갖고 출력된다. 이상,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의 내부구성의 1예를 제7도 (a)를 사용해서 사용하게 나타내지만, 이 제2의 메모리회로(105)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라이트리세트와 리드리세트의 위치관계를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서 한개의 라인메모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응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처리에서 영상신호는 수평방향으로 압축되고, 수직방향으로는 3라인에 1라인 2번 라이트를 해서 확대한 영상으로 된다. 그러나, 원활하게 수직방향으로 확대된 영상신호를 얻기 위해서는 수직방향으로 필터처리를 할 필요가 있고, 이것을 상기 수직필터회로(201)로 실행한다. 제8도는 상기 수직필터회로(201)의 상세한 구성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8도에 있어서 (801)은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에서의 신호의 입력단자, (802)는 출력단자, (803)은 상기 수직확대 제어회로(204)에서의 확대배율에 따라서 혼합계수의 입력단자, (806)은 라이트 제어신호의 입력단자, (804)는 1라인 지연메모리, (805)는 상기 1라인 지연메모리의 입출력신호를 혼합계수에 따라서 합성하는 혼합기이다. 입력단자(801)에서의 입력신호는 제6도(g)에 도시하였다. 제6도(e)에 도시된 신호는 상기 1라인 지연메모리 (804)의 라이트 제어신호로 되어 4라인에 1회 라이트가 정지된다. 이 결과, 상기 1라인 지연메모리 (804)에서의 출력신호는 제 6도(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혼합계수는 상기 수직 확대 제어회로(204)에 의해서 작성되지만, 본예와 같이 4/3배의 경우에는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4)의 리드정지 주기와 같이, 4라인주기로 계수가 일순한다. 상기 1라인 지연메모리 (804)의 입력신호에 승산되는 계수를 α, 출력신호에 승산되는 계수를 β로 하면, 상기 1라인 지연메모리 (804)의 입출력신호가 같은 경우에 α=0, β=1(α+β=1)로 되도록 제어하고, 제 6도(i)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계수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서 바른 레벨을 가진 새로운 (보간)주사선이 얻어진다.
상기 수직필터회로(201)의 출력신호는 수평방향으로는 시간압축되고, 수직방향으로 필터링되어 원활하게 확대된 영상신호로 된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의 영상은 가로방향으로 길게 왜곡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왜곡을 없애기 위해서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와 상기 수평필터회로(202)를 사용해서 수평확대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제7도에서는 수평으로 확대를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서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여기에서는 수평의 확대도 실행하는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9도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의 수평확대시에 있어서의 동작의 상세한 설명도이다. 제9도(a)는 제7도(a)의 입력단자(701)에서 입력되는 엉상신호의 1예로, 공백기간과 영상기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제9도(b)는 라이트리세트신호, 제9도(c)는 라이트클럭이다. 라이트클럭은 상기 제1의 클럭발생회로에서의 안정된 제1의 클럭에서 작성된다. 또, 이 라이트출력은 확대해야 할 영상신호가 바르게 데모리에 라이트되도록 확대위치에 따라서 클럭의 정지위치, 정지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9도(a)의 a점에서 확대하는 경우에는 공백종료 위치에서 a점까지 라이트클럭을 정지한다. 따라서, 이 라이트클럭에 의해 메모리에 기억된 신호를 연속해서 리드한 경우 공백후 즉시 a점의 신호가 출력된다.
제9도(e), (f)에 리드리세트와 리드클럭을 도시하였다. 리드클럭은 상기 제2의 클럭발생회로(207)에서 출력되는 라이트클럭의 약 4/3배의 주파수를 갖는 제2의 클럭에서 만들어진다. 리드클럭은 확대배율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게이트가 잠겨져 클럭이 정지한다. 제9도(g)에서는 4회에 1회 클럭이 정지하고, 제9도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해야 할 부분이 확대된다. 단, 이 확대는 여러 확대는 1회 2번 라이트를 실행 하는 것으로 원활하게 확대딘 것은 아니다. 또, 공백기간중에 있어서는 리드클럭, 공백의 데이타를 화대되지 않는다.
상기 수평필터회로(202)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확대된 신호를 필터링해서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10도(a)에 상기 수평필터회로(202)의 상세한 구성의 1예를 도시하였다. 제10도(a)에 있어서, (1001)은 상기 수직필터회로(201)에서의 신호의 입력단자, (1002)는 출력단자, (1003)은 상기 수평확대 제어회로(205)에서의 제어신호의 입력단자, (1004), (1006)은 각각 1화소분의 지연 회로(라인메모리), (1005)는 선택스위칭회로, (1007)은 상기 수평확대 제어회로(205)에서 지시될 확대계수에 따라서 입력단자(1001)에서의 신호와 상기 지연회로(1006)에서의 신호를 혼합해서 새로운 화소의 신호를 만들어내는 혼합기이다.
수직방향의 확대의 설명에서는 4/3배로 확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여기에서는 좀더 복잡한 예로서 7/5배로 확대하는 경우에 대해서 제11도(a)∼(k)를 사용하여 제10도(a)의 동작을 설명한다. 7/5배로 확대하는 경우, 영산신호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105)에 의해서 7화소에 2화소의 비율로 2번 라이트를 해서 화소를증중가시키고난 후 입력단자(1001)에 입력된다. 제11도(c)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도시한다. 또, 제11도 (a), (b)는 7/5배로 확대하는 경우의 화소의 원래의 레벨과 2개의 화소로 만들어지는 새로운 화소의 레벨과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새로운 바른 레벨의 보간화소를 만들어내기 위해 상기 선택스위칭회로(1005)는 제11도(e)에 도시한 제어신호에 의해서 현재 화소와 1화소지연의 신호를 전환한다. 제11도(f)는 상기 선택스위칭회로(1005)로 전환되고, 또 1화소 지연한 지연회로(1006)의 출력신호이다.
이때, 7/5배와 같이, 제11도(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2개의 화소 사이에 2개 이상의 새로운 화소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단순히 원화소와 1화소분 지연한 화소의 연산에서는 바른 레벨을 가진 보간화소는 얻어지지 않는다.
바른 레벨을 가진 보간화소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제11도(C)의 현재신호를, 예를 들면 제11도(e)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1화소분 지연시킨 제11도(d)에도시한 신호로서 전환하여 새로운 제11도(f)에 도시한 신호를 작성하고, 제11도(c), (f)의 신호를 상기 혼합기(1007)에 입력해서 바른 레벨을 가진 보간화소, 제11도(g)를 작성한다. 일반적으로 나타내면 배율을 (M/N)배 (M, N은 자연수)으로 했을때,
n≥(M-1)/N≥(n-1), (n은 자연수)
이라면, 두개의 화소 사이에 n개의 새로운 화소의 레벨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7/5배의 경우는 두개의 화소의 사이에 두개의 새로운 화소를 보간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가 있고, 제10도(a)의 구성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지연출력을 얻는 회로를 사용해서 바른 화소를 얻고 있다.
제10도(b)에 상기 수평필터회로(202)의 상세한 구성의 다른 1예를 도시하였다. 제10도(b)에 있어서, (1008)은 게이트회로, (1009)는 클럭의 입력단자, 그밖은 제10도(a)의 예와 같다. 제10도(b)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회로(1008)은 상기 입력단자(1009)에서의 클럭을 상기 입력단자(1003)에서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정지시키고, 화소를 유지하여 제10도(a)의 회로와 등가인 처리를 한다. 제11도(i)는 클럭정지를 위한 게이트신호, 제11도(j)는 게이트된 클럭, 제11도(k)는 상기 지연회로(1004)의 출력신호이다. 따라서, 제1도 (c), (k)의 출력신호를 상기 혼합기 (1007)에 입력하면, 바른 레벨의 보간화소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제10도(b)의 구성의 회로에서는 상기 입력단자(1003)에서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n=2이상의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어 임의의 수평확대가 실행된다.
이상, 수평필터회로(202)의 구성의 1예를 도시했지만, 수평필터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본적으로 수평필터는 확대율에 따른 클럭정지에 맞는 지연량과 혼합출력을 얻는 구성이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까지의 설명에서는 수직의 확대로서 4/3배를, 수평의 확대로서 7/5배를 예로 취해서 설명해 왔다. 다음에 다른 임의의 배율을 실현하는 경우의 혼합회로와 확대제어회로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에 수직방향으로 1∼2배의 확대를 실현하는 경우의 혼합회로의 계수를, 표 2에 8비트로 근사해서 도시한다
[표 1]
[표 2]
예를 들면, 배율은 M/N(N은 8이하, M은 15이하의 자연수)로 정의하면 23가지의 확대배율이 설정가능하다. 표 1에서는 그중에서 10가지를 나타냈다. 혼합기 (805)의 제어신호 α, β의 비트수를 예를 들면 8비트 라고 하면, 확대배율을 M/N≒256/L(0≤L≤255 ; L은 정수)로 되도록 근사하는 것에 의해서 α(1)∼α(15) 는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값으로 된다. 표 2에 근사한 확대배율과 8비트로 나타내어 얻는 α(n)의 값을 나타낸다. α(n)의 주기는 M으로 부여되며, 또 α(n)의 값은 다음의 식 (1)로 나타낼 수가 있다.
α (0) =O
α(1) = (256- L) /256
α (n) =f{α (n-1) +α (1) } ……………………………… 식(1)
단, f(X)는 x의 소수부를 취한 함수, 0≤n≤M-1인 정수. 식 (1)로 표시된 혼합계수와 상기 메모리회로 (104), (105)의 제어의 동기를 취하는 것에 의해서 23가지의 조합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영화크기의 신호를 확대해서 와이드한 디스플레이를 가진 시스템에 표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2배까지의 확대율이나 4비트∼8비트정도의 혼합계수를 가지면 충분하지만, 상기 정수 M, N이나 혼합계수의 비트수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임의의 확대배율이 설정가능하다.
제15도(a), (b), 제16도를 사용해서 혼합기 (805), 혼합계수의 발생회로의 예를 도시하였다. 제15(a), (b)에 있어서, (1501), (1502)는 상기 혼합기 (805)의 입력단자, (1503)은 출력단자, (1504), (1505), (1508)은 제1, 제2, 제3의 계수기, (1506), (1509)는 제1, 제2의 가산기, (1507)은 감산기이다. 제15도(a)에 예시한 혼합기에서는 입력단자(1501), (1502)에서의 신호를 각각 A, B로 하면, 혼합출력 C는 식 (2)로 나타낼수 있고, 제5도(b)에 예시한 혼합기에서는 식 (3)으로 표시할 수 있다.
C= αA+(1-α) B ‥‥‥‥‥‥‥‥‥‥‥‥‥‥‥‥‥‥‥‥ (2)
C= α(A-B)+B ‥‥‥‥‥‥‥‥‥‥‥‥‥‥‥‥‥‥‥‥‥ (3)
제15도(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혼합기 (805)는 계수 α를 부여하는 것만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16도는 혼합계수 α의 계수발생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6도에 있어서, (1601)은 리세트신호의 입력 단자, (1602)는 혼합계수 α를 갱신하기 위한 클럭의 입력단자, (1603)은 상기 제1, 제2의 메모리회로 (104), (105)의 라이트, 리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의 출력단자, (1604)는 혼합계수 α의 출려단자, (1605)는 확대율 M/N이나 확대율에 의해서 정해지는 정수 L을 결정하는 확대율 설정회로, (1606)은 M분주카운터, (1607)은 가산기, (1608)은 래치회로이다. M/N이 결정되면 상기 확대율 절정회로(1605)는 M/N에 가까운 256/L인 L을 설정하고, (256-L)/256인 K를 산출해서 상기 가산기 (1607)에 공급한다. 상기 입력단자 (1602)에서의 클럭은 수직확대의 경우는 1라인기의 클럭이고, 수평확대의 경우는 화소단위의 클럭이다. 상기 가산기 (1607)의 출력신호는 상기 래치회로(1608)로 래치되어 갱신되고, 혼합계수 α로 되어 출력된다. 혼합계수 α는 상기 카운터 (1606)에 의해 M주기로 리세트되어 초기값으로 되돌아온다. 또, 상기 카운터 (1606)은 확대개시위치에 따라서 수직주기마다 리세트한다. 제6도는 혼합계수 α나 메모리의 콘트롤러타이밍을 설정하는 회로의 1예를 도시했지만, 이와 같은 회로를 사용하면 표 1에 도시한 α(n)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배율을 임의로 선택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의 메모리 (103)에 의한 수직확대, 상기 제2의 메모리 (104)에 의한 시간압축과 수평확대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하므로, 입력영상신호가 왜곡되어 있는 경우라도 그것을 보정할 수 있다. 즉, 고품위 텔레비젼신호를 표준신호(NTSC등)로 변환한 신호, 예를 들면 제3도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신호입력에 대해서도 시간압축후의 수평확대율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제3도 (e)와 같은 바른 형상의 신호로 되돌릴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준신호로 변환된 고품위 텔레비젼의 신호는 그대로 16 : 9의 종횡비를 갖는 와이드한 디스플레이로 표시하면 왜곡이 없는 영상신호로 되돌아오지만, 표준신호 변환시 주파수 변환에 왜곡이나 고품위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실행해야할 수평방향으로의 12/11배의 보정을 본 실시예에서는 한번에 실행할 수 있어 회로의 간이화와 왜곡이 없는 영상이 얻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표시장치의 종횡비가 4 : 3인 경우에 있어서도 입력영상신호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확대율을 독립적으로 조정해서 표시장치의 종횡비의 차이에 의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인 영상신호의 안정화에 대해서 제1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1201)은 영상신호의 입력단자, (1202)는 영상신호의 디지탈화, 순차 주사화등을 실행하는 영상처리회로, (1203)은 CRT와 같은 디스플레이, (1204)는 입력영상신호에 동기처리 등을 실행하는 PLL회로를 포함 하는 동기처리회로, (1205)는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편향회로, 그밖은 제1도, 제2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종래의 디지탈텔레비젼 수신기에 있어서의 클럭발생 방법에서는 제1의 메모리회로(103)의 라이트클럭을 작성하는 동기회로(1204), 제2의 메모리회로(104)의 리드클럭을 작성하는 제2의 클럭발생회로 (212), 디스플레이(1203)의 동기신호를 작성하는 편향회로에 3종류의 PLL계의 루우프를 가진 회로가 사용 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회로를 종속접속하면 입력신호에 큰 지터가 있는 경우에는 지터에 대한 각 PLL회로 출력의 추종성때문에 지터를 강조해서 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클럭발생회로(211)이 수정발진기등을 사용한 독립한 클럭발생회로로 구성되므로, 안정한 클럭발생을 가능하게 하여 후단의 2개의 PLL루프를 가진 회로에 지터를 부여하지 않는다. 즉, 본 시스템의 디지탈된 입력영상신호의 메모리로의 라이트클럭 이외의 메모리로의 리드/라이트를럭을 상기와 같은 안정된 클럭으로 하고 있으므로, 원래의 동기처리회로(1204)에서 발생한 지터성분보다도 지터량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
제12도의 클럭발생회로(211)은 예를 들면 색부반송파 3.58MHz의 8배의 주파수인 28.63MHz의 발진주파수를 갖는 안정된 클럭, 즉 수정발진기 등을 사용한 발진회로이고, 동기처리회로(1204)에서 발생하는 클럭 과는 주파수가 상당히 가깝지만, 동기는 취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한 독립클럭으로 하면 입력영상신호와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10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는 점차 어긋남량이 크게 되어 메모리용량본만큼 어긋나면 영상신호의 연속성이 파탄한다. 제13도는 이 메모리의 파탄을 방지하기 위한 메모리회로(103)과 그 주변회로의 구성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3도에 있어서, (1301)은 영상신호의 입력단자, (1302)는 출력단자, (1303), (1304)는 상기 동기처리회로(1204)에서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와 클럭, (1305)는 필드메모리, (1306), (1307)은 각각 카운터, (1308), (1309)는 각각 디코더, (1310)은 지연회로, 그밖은 제2도와같은 구성이다.
제13도에 있어서, 필드메모리 (1305)의 라이트클럭은 영상신호에 동기한 입력단자(1303)에서의 클럭이고, 이 라이트클럭은 카운터 (1306)의 클럭피기도 하다. 또, 상기 필드메모리 (1305)의 리드클럭은 클럭발생회로 (211)에서 발생한 안정된 클럭이고, 이 클럭은 상기 카운터 (1307)에도 공급된다. 상기 카운터 (1306), (1307)은 그 카운터값이 디코더 (1308), (1309)에서 디코드되고, 필트메모리 (1305)의 라이트리세트 및 리드리세트로 된다. 통상의 신호에서는 안정된 클럭에 대해서 지터가 큰 영상신호라도 그 어긋남량은 1필드에서 겨우 2라 인분 정도이다. 따라서, 필드메모리와 같은 충분한 용량을 가진 메모리를 사용하고, 라이트리세트와 리드리세트에 지연회로(1310)등을 사용해서, 예를 들면 2라인분 정도이상의 시간차를 가지게 해두면, 영상신호의 불연속점을 수직귀선 기간에 갖고 갈 수 있다. 그 상세한 내용은 제17도를 참조해서 다음에 기술한다. 또, 제1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이트용의 카운터 (1306)과 리드용의 카운터(1307)을 모두 상기 입력단자 (1304)에서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위상을 유지하면서, 수라인분의 지연을 가지게하여 리세트하고 있으므로, 라이트클럭과 리드클럭의 주파수차에 의해 메모리의 파탄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제13도에 도시한 방법에서는 리드용의 카운터 (1307)이 클럭발생회로(211)에서 공급되는 리드용의 클럭에 관계없이 리세트되므로, 카운터 (1307)의 카운트값을 디코드해서 작성되는 디스플레이용의 수평동기 신호는 리세트시에 그 주기성이 유지되지 않는다. 즉, 디스플레이의 편향회로의 수평동기신호에 대한 추종 성을 좋게 해서 영상신호가 왜곡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제12도, 제13도에 도시한 구성의 회로를 사용하면, 지터를 많은 포함한 입력신호에 대해서도 고화질의 영상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구성은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제17도(a)∼(i)는 화면의 왼쪽 아래 측을 2배로 확대한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17도(a)는 입력된 수직동기신호를 도시하고, 제17도(c) 입력영상을 도시한다. 제17도(b)는 동기신호에 의해 클럭의 왜곡을 도시한다. 제17도(d), (e), (f)는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확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7도(d)는 출력수직동기신호를, 제17도(e)는 클럭의 왜곡의 상태를, 제17도(f)는 출력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1계통의 클럭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17도(e)에 도시한 클럭은 제17도(b)와 마찬가지로 왜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확대한 영상신호는 제17도(f)와 같이 클럭이 왜곡되어 있는 수직위치의 영상이 왜곡되어 버리게 된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이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서 1필드이상의 메모리를 전용으로 사용할 필용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신호처리에 의한 확대의 상태를 제17도(g), (h), (i)에 도시하였다. 제17도(g)는 출력수직동기 신호를, 제17도(h)는 클럭의 왜곡의 상태를, 제17도(i)는 출력영상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7도(h)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안정된 클럭에 의해 영상신호를 일시기억메모리에서 리드하므로, 입력동기신호 제17도(a)에 의해 영상신호의 왜곡은 없어지게되어 전체의 확대위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왜곡을 없앨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기 클럭발생회로(211)에 있어서 발생하는 클럭의 주파수가 동기처리회로(1204)에서 발생하는 클럭에 아주 가까운 것으로 해 왔다. 즉, 수정발진기의 발진주파수는 색부반송파 fsc=3.579545MHz의 8배의 주파수인 8fsc=28.63636MHz이다. 이와같이, 상기 제1의 클럭발생회로(211)의 안정된 클럭의 발진 주파수를 8fsc로 한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1라인의 주파수가 NTSC의 배속 수평주파수인 약 31.5kHz로 된 다. 본래 본 발명과 같은 와이드한 디스플레이를 가진 텔레비젼시스템은 고품위 텔레비젼의 보급과 아울러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따라서 시스템으로서는 고품위 텔레비젼도 표시가능한 것이 아니면 안된다. 통상 고품위 텔레비젼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가 2모드, 즉 수평편향의 주파수가 NTSC배속의 31.5kHz와 고품위 TV의 33.75kHz의 2종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고품위 텔레비젼의 입력신호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에서 제1의 클러발생회로(211)의 안정된 클럭의 발진주파수를 약 30.7125MHz정도로 설정해 두면, 910화소만큼의 수평의 주파수는 거의 33.75kHz로 되어 고품위 텔페비젼의 수평주파수와 일치하고, 편향측을 2모드대응으로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의 메모리회로(204)는 라이트클럭에 대해서 리드클럭이 빠르게 되므로, 적어도 메모리용량은 40라인 정도가 필요하게 된다. 또, 이와같은 수평주사 주파수의 변환을 실행한 경우에는 주파선수가 525개에서 거의 562개로 늘서나게 된다. 즉, 주사선의 간격이 좁아진 것과 등가로 되어 표시된 화면은 수직방향으로 왜곡되어 표시된다. 이 왜곡의 비율은 (525/562.5)=0.93 정도이다. 따라서, 항상 고품위 텔레비젼의 수평동기 주파수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확대기술을 응응해서 수직방향으로 (562.5/5.25)배로 확대하면 좋다. 예를 들면, (16/15)배 정도의 우직 확대를 실행하면 왜곡이 없는 영상신호를 고품위 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기능을 유지한채로 편향회로를 단일주파에만 대응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고, 컨버전스의 간이화, 고압회로의 간략화를 실현할 수 있고, 시스템의 저코스트화에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4 : 3의 종횡비를 갖는 영상신호가 입력되었을때 입력된 영상 신호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205)에 의해서 일단 시간압축을 한후, 임의의 배율의 확대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해서 수직필터회로(201)과 수편필터회로(202), 수직확대 제어회로(209)와 수평확대 제어회로(210)은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한 구정으로 되어 있으므로, 수직방향의 확대율과 수평방향의 확대율을 임의로 독립해서 결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의 메모리회로(205)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시간압축을 실행한 후에 확대를 하고 있다. 시간압축을 수평확대의 전단에서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 확대율이 4/3배이하일 때에는 수평의 축 소를, 4/3배 이상일 때에는 확대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수직방향은 항상 확대되므로 제어회로가 복잡하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은 확대의 전단에서 시간압축을 한 경우에는 확대율이 4/3배 이하일 때도, 4/3배 이상일 때도 같은 제어회로로 수평방향의 확대를 제어할 수 있어 시스템을 간단화할 수 있다.
제14도에 본 발명의 다른 1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제14도에 있어서의 각 소자는 제2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제1의 메모리회로(204)의 라이트클럭과 리드클럭은 다르고, 특히 리드클럭 은 안정된 클럭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라이트클럭과 리드클럭이 다르면 상기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강제적으로 리세트를 실험하여 라이트와 리드이 어긋남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동기신호에 불연속이 발생하여 화면이 희미해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메모리 (104)의 라이트클럭과 리드클럭을 동일한 것으로 하여 동기회로의 불연속을 방지하고 있다. 클럭발생회로(1401)은 상기 제1의 클럭 에서 PLL회로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약 4/3배의 주파수를 가진 클럭을 발생하여 동기신호에 불연속은 발생 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그밖의 동작은 제2도의 실시예와 아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기의 희미함이 없는 확대된 영상신호를 16 : 9의 종횡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16 : 9의 종횡비를 가진 디스플레이에 4 : 3의 종횡비를 가진 영상신호를 영상신호의 특징에 맞게 확대 촉소하고, 16 : 9의 종횡비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클럭의 안정화에 의해 지터가 적은 영산신호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평방향의 확대율과 수직방향의 확대율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4 : 3의 종횡비의 디스플레이로의 응용 또는 원래 왜곡되어 있는 신호로의 웅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응용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5)

  1. 순차 주사된 영상신호와 동기신호를 입력해서 화상의 확대처리를 실행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를 클럭에 의해 리드 라이트하기 위한 기억수단(100, 104, 105), 입력영상신호의 라이트클 럭의 주파수에 대해서 4/3배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리드클럭으로 리드하는 동기신호를 상기 기억수단에 공급하기 위한 동기처리수단(108), 상기 기억수단의 출력신호로 구성되는 화면에 수직방향, 수평방향의 필터 처리를 실행하는 공간필터수단(106) 및 상기 기억수단과 상기 공간필터수단을 제어해서 입력영상신호를 임의의 크기로 확대하도록 기억수단에 간헐적인 리드를 실행하는 확대제어수단(107)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회로.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주시된 신호는 고품위 TV신호를 표준 TV신호로 변환한 후 순차 주사화된 신호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각각 화면의 수직방향성분과 수평방향성분을 처리하는 제1, 제2의 기억수단(104, 105)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처리수단은 입력영상신호에 동기한 제1의 클럭을 발생하는 제1의 클럭발생수단(108, 1204) 상기 제1의 클럭과 같은 주파수의 안정된 제2의 클럭을 발생하는 제2의 클럭발생수단(206, 211) 상기 제2의 클럭에서 상기 제2의 클럭의 4/3배의 주파수 를 갖는 클럭을 발생하는 제3의 클럭발생수단(207, 212) 및 상기 제1의 기억수단의 라이트클럭으로서 상기 제1의 클럭을, 리드클럭으로서 상기 제2의 클럭을, 상기 제2의 기억무단의 라이트클럭으로서 상기 제2 의 클럭을, 리드클럭으로서 상기 제3의 클럭을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지터량이 적은 확대영상의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처리회로.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클럭발생수단(207)은 상기 제1의 클럭발생수단과 독립적으로 마련된 상기 제1의 클럭의 4/3배의 안정된 클럭을 발생하는 안정클럭 발생기 (1401)을 포함하고, 또, 상기 제1의 기억수단의 라이트, 리드클럭으로서 상기 제1의 클럭을, 상기 제2의 기억수단의 라이트 클럭으로서 상기 제1의 클럭을, 리드클럭으로서 상기 제3의 클럭을 공급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지터량이 적은 확대영상을 공급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5.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클럭발생수단은 수평동기 주파수가 고품위 텔레비젼의 수평동기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여 고품위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로 표시가능하게 한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6.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클럭발생수단은 수평동기 주파수와 고품위 텔레비젼의 수평도기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클럭을 발생하여 고품위 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로 표시가능하게 한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7.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필터수단(106)은 일시기억한 영상신호의 리드와 리드정지를 어떤 정해진 주기에서 실해할 수 있는 상기 기억수단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1의 지연수단(1004), 상기 제1의 지연수단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전환하는 선택수단(1005), 상기 선택수단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제2의 지연수단(1006) 상기 기억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의 지연수단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조합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8. 특허청구의 범위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필터수단(106)은 일시기억한 영상신호의 리드와 리드정지의 어떤 정해진 주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상기 기억회로의 출력신호를 지연하는 클럭동기의 지연수단 (1004), 상기 지연수단으로의 클럭의 공급을 정지하기 위한 게이트(1008) 및 상기 기억수단의 출력신호와 상기 지연수단의 출력신호를 합성하는 조합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9.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일시기억한 영상신호의 리드와 리드정지를 어떤 정해진 라인주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제1의 기억수단, 상기 제1의 기억수단(104)의 출력신호의 라이트와 라이트정지를 라인주기에서 실행할 수 있는 제2의 기억수단(105)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필터수단은 상기 제2의 기억수단의 출력신호 라이트와 라이트정지가 라인주기에서 가능한 제3의 기억수단, 상기 제3의 기억수단(106, 804)의 입출력신호를 합성하는 조합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10. 소정의 주기에서 입력양자화된 비디오 신호를 메모리 (100)내에 저장할 수 있고, 화면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신호가 상기 메모리의 리드주기에서 비디오 신호가 기억된 주기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원화상의 확대표시를 실행하는 비디호신호처리회로에 있어서, 어떤 종횡비의 화상의 입력영상신호의 상기 메모리의 라이트주파수에 대해서 상기 종횡비보다 큰 화상의 배수 이상의 주파수의 리드클럭을 입력신호와 동기해서 생성하기 위한 클럭발생수단(108), 입력영상신호의 확대율에 따라서 상기 클럭수단에서의 메모리로의 클럭인가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에서 저장영상신호를 간혈적으로 리드하기 위한 확대제어수단(107) 및 상기 확대제어수단의 제어출력에 응답해서 상기 메모리에서 리드된 영상신호에 대해서 필터링처 리를 실행하여 표시해야할 확대화상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공간필터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의 화상의 종횡비는 4/3이고, 확대해야할 화상의 종횡비는 16/9이며, 상기 리드클럭의 주파수는 라이트 주파수의 4/3인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수단은 상기 입력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하기 의한 클럭원과는 독립적으로 마련되고, 주파수가 안정된 클럭원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입력영상신호에 대해서 화상의 수직방향의 확대/압축을 처리하기 위한 제1의 메모리영역과 화상의 수평방향의 확대/압축을 처리하기 위한 제2의 메모리영역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14. 비디오 신호처리회로가 소정의 주기에서 입력양자된 비디오 신호를 메모리 (100)내에 저장할 수 있고, 주변을 확장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비디오신호가 상기 메모리의 리드주기에서 비디오 신호가 기억된 주기로 변경하는 것에 의해 원화상의 확대표시를 실행하는 비디오신호처리방법에 있어서, 순차 주사된 입력영상신호를 입력동기신호에 따라서 작성된 제1의 출력에 의해 상기 메모리에 라이트하는 스텝, 상기 입력된 동기신호와 동기해서 상기 라이트클럭 주파수에 대해서 종횡비의 확대배 이상의 높이 주파수의 안정된 리드클럭을 생성하는 스텝, 상기 생성리드클럭에서 필요한 화상확대율에 따라서 상기 메모리에서 저장영상신호를 간헐적으로 리드하도록 상기 메모리의 리드를 제어하는 스텝 및 상기 리드된 영상신호에 대해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필터처리를 실시하여 표시해야할 확대화상을 나타내는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입력화상을 수직방향으로 확대하기 위한 제1의 메모리와 상기 제1의 메모리의 출력을 수평방향으로 시간압축하고, 또 확대하기 위한 제2의 메모리로 상기 메모리를 구성 하는 스텝, 입력영상신호에 동기한 제1의 클럭을 발생하는 스텝, 상기 제1의 클럭과 같은 주파수의 안정된 제2의 클럭을 발생하는 스텝, 상기 제2의 클럭에서 상기 제2의 클럭의 4/3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을 발생하는 스텝 및 상기 제1의 기억수단의 라이트클럭으로서 상기 제1의 클럭을, 리드클럭으로서 상기 제2의 클럭을, 상기 제2의 기억수단의 라이트클럭으로서 상기 제2의 클럭을, 리드클럭으로서 상기 제3의 클럭을 사용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KR1019920016011A 1991-09-26 1992-09-03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및 처리방법 KR950009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47292A JP3034659B2 (ja) 1991-09-26 1991-09-26 拡大画面表示回路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水平フィルタ回路
JP91-247292 1991-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7265A KR930007265A (ko) 1993-04-22
KR950009449B1 true KR950009449B1 (ko) 1995-08-22

Family

ID=1716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011A KR950009449B1 (ko) 1991-09-26 1992-09-03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76515A (ko)
EP (1) EP0534220B1 (ko)
JP (1) JP3034659B2 (ko)
KR (1) KR950009449B1 (ko)
DE (1) DE6922156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86218B1 (en) * 1992-09-01 1998-07-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960015397B1 (ko) * 1993-03-17 1996-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이드컷 모드 및 상하절단 모드를 적용한 고화질 티브이신호 변환회로
JP3304501B2 (ja) * 1993-05-14 2002-07-22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方法、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3231142B2 (ja) * 1993-06-18 2001-1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圧縮拡大回路及び装置
JP2705547B2 (ja) * 1993-12-16 1998-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縮小装置
TW269091B (ko) * 1993-12-22 1996-0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US5943097A (en) * 1993-12-24 1999-08-2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ans for processing image signals of different signal formats
US5576771A (en) * 1994-06-13 1996-11-1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Horizontal picture compression in widescreen television receivers
EP1307056B1 (en) * 1995-06-30 2004-10-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can conversion apparatus with improved vertical resolution and flicker reduction apparatus
JPH1011009A (ja) * 1996-04-23 1998-01-16 Hitachi Ltd 映像信号の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DE19640010A1 (de) * 1996-09-27 1998-04-09 Sony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vertikalen Zoomen eines 4:3 Fernsehbildes in einem Breitbild-Fernsehempfänger mit entsprechendem Decoder
US5796392A (en) 1997-02-24 1998-08-18 Paradis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recovery in a digital display unit
US5739867A (en) * 1997-02-24 1998-04-14 Paradis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pscaling an image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DE19717140A1 (de) * 1997-04-23 1998-10-29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Formatumwandlung von Bilder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687269B2 (ja) * 1997-05-08 2005-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717648B2 (ja) * 1997-11-07 2005-11-16 株式会社エルモ社 フィールドメモリを用いた拡大画像信号作成方法
US6259470B1 (en) * 1997-12-18 2001-07-10 Intel Corporation Image capture system having virtual camera
US6133960A (en) * 1998-06-26 2000-10-17 Lsi Logic Corporation Field-based upsampling method for performing zoom in a digital video system
KR100614788B1 (ko) * 1998-12-22 2006-08-25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영상 신호 재생 장치
US7071992B2 (en) 2002-03-04 2006-07-04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bridging different video formats
KR20040022737A (ko) * 2002-09-05 2004-03-18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동영상 부호기의 전처리 회로 및 방법
US7505636B2 (en) * 2004-03-04 2009-03-17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wo-pass interpolation for quarter-pel motion compensation
US20060059514A1 (en) * 2004-09-10 2006-03-16 Eric Hsiao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blank space on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creen
JP4408836B2 (ja) * 2005-05-30 2010-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761834B1 (ko) * 2006-01-13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라인들을 복수개의 메모리에 나누어 저장하는비디오 디코딩 장치, 비디오 디코딩 방법 및 기준화면 저장방법
JP4350742B2 (ja) 2006-12-19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474283B2 (ja) * 2007-07-04 2014-04-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モード切替装置
US9636298B2 (en) 2014-01-17 2017-05-02 Methylgene Inc. Prodrugs of compounds that enhance antifungal activity and compositions of said prodrug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6635A1 (de) * 1981-07-06 1983-01-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zur wandlung der zeilenzahl
US4528585A (en) * 1983-03-30 1985-07-09 Rca Corporation Television receiver having picture magnifying apparatus
GB2160051A (en) * 1984-04-26 1985-12-11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Video signal processing arrangement
US4729012A (en) * 1985-08-30 1988-03-01 Rca Corporation Dual mode television receiver for displaying wide screen and standard aspect ratio video signals
JPH01205688A (ja) * 1988-02-10 1989-08-18 Nec Corp テレビ受像機
JP2880168B2 (ja) * 1988-04-25 1999-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拡大表示可能な映像信号処理回路
JPH01292984A (ja) * 1988-05-20 1989-11-27 Sony Corp 映像信号の方式変換装置
US5191417A (en) * 1988-09-02 1993-03-02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Compatible EDTV system providing multi-aspect ratio display on EDTV and conventional television receivers
JP2882584B2 (ja) * 1988-09-30 1999-04-12 株式会社東京放送 既存テレビジョン放送方法と互換性のあるワイドスクリーンテレビジョン放送方法
JPH02264583A (ja) * 1989-04-05 1990-10-29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
JPH0311891A (ja) * 1989-06-08 1991-01-21 Toshiba Corp ワイド・アスペクト・テレビジョン装置
US5016103A (en) * 1989-08-17 1991-05-1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Spatial scan converter with vertical detail enhancement
JP2767933B2 (ja) * 1989-11-14 1998-06-25 ソニー株式会社 画素数変換回路
JP2533393B2 (ja) * 1990-02-16 1996-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Ntsc―hdコンバ―タ
JPH04124983A (ja) * 1990-09-17 1992-04-24 Pioneer Electr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
US5119193A (en) * 1990-09-19 1992-06-02 Nec Corporation Video-signal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4220A2 (en) 1993-03-31
JPH05252457A (ja) 1993-09-28
EP0534220A3 (en) 1993-06-09
JP3034659B2 (ja) 2000-04-17
US5276515A (en) 1994-01-04
DE69221569T2 (de) 1998-03-26
EP0534220B1 (en) 1997-08-13
DE69221569D1 (de) 1997-09-18
KR930007265A (ko)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449B1 (ko) 비디오신호 처리회로 및 처리방법
US5781241A (en)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rt computer graphics signals to television video signal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scaling requiring no frame buffers
KR100195363B1 (ko) 휘도 처리 시스템
JP2533393B2 (ja) Ntsc―hdコンバ―タ
JP2907988B2 (ja) ワイド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520116B2 (ja) ビデオ表示システム
EP1164568B1 (en) Video signal conversion device and video signal conversion method
JP3231142B2 (ja) 映像圧縮拡大回路及び装置
KR100190251B1 (ko)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상내 화상(pip) 디스플레이용 수평 패닝 시스템
US5374963A (en) Picture resolution enhancement with dithering and dedithering
KR20030008840A (ko) 파노라마/워터글라스 기능 구현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방법
JP2001218128A (ja) マルチ画面合成装置
JP3559740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3304469A (ja) 映像信号拡大装置
KR100209849B1 (ko)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용 수평 패닝 장치
JPH07245729A (ja) 映像信号処理方法および映像特殊効果装置
JPH11308551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154715A (ja) 二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6197274A (ja) 画像拡大処理装置
JPH1093886A (ja) アスペクト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