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141B1 - 압연기 및 압연기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압연기 및 압연기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141B1
KR950009141B1 KR1019920014563A KR920014563A KR950009141B1 KR 950009141 B1 KR950009141 B1 KR 950009141B1 KR 1019920014563 A KR1019920014563 A KR 1019920014563A KR 920014563 A KR920014563 A KR 920014563A KR 950009141 B1 KR950009141 B1 KR 950009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rolling mill
upper housing
fluid
plat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982A (ko
Inventor
데쯔오 이노우에
도오루 요시오까
히데아끼 요시마쯔
아끼라 노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3000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6Locking mechanisms
    • F15B15/262Locking mechanisms using friction, e.g. brake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B21B13/147Cluster mills, e.g. Sendzimir mills, Rohn mills, i.e. each work roll being supported by two rolls only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passing through the work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3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by liquid pressure, e.g. hydromechanical adju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21B31/04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with tie rods in frameless stands, e.g. prestressed tie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연기 및 압연기 작동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길이방향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정면도 및 유압 회로도.
제3도는 제2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길이방향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판두께제어수단의 단면도.
제5도는 제3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4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5실시예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종래 비교예의 부분 파단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부하우징과 관련해서 칼럼을 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부칼럼을 구비하고 있는 압연기 및 상기 압연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연기의 종래의 압하장치로서, 제8도에 도시한 스크류-형 압하장치(종래의 비교예 1)와 유압압하장치(종래의 비교예 2)와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91-169406(유럽특허 제0 429 812 A2)에 개시되어 있다.
제8도에서, 하부롤(33)을 유지하고 있는 하부하우징(31)은 베이스(32)에 고정되어 있고, 상부롤(37)을 유지하고 있는 상부하우징(36)은 하부하우징(31)의 4코너에 너트(35)로 상향으로 장치되어 있는 4개의 컬럼(34)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컬럼(34)은 나사부(38)가 구비되어 있는 정상 단부에서 직경이 감소된다. 나사부(38)는 상부하우징(36)에 회전가능하지만 수직으로 이동가능하지 않게 고정되어 있는 웜기어(39)의 나사구멍(40)에 장치되어 있다. 각각의 웜기어(39)와 톱니식으로 맞물려 있는 웜(41)은 구동기어와 전동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기적으로 회전되어 로울갭을 미리 설정하고, 로울교체시 로울갭을 확장하도록 상부하우징(36)은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비교예 1은 다음과 같은 결점을 가지고 있다. 즉 상부하우징의 상승속도가 60㎜/min이기 때문에, 스트립 또는 로울교체시 로울갭의 신속한 확장이 요구되는 경우에 상부로울이 신속하게 상승될 수 없고 그 결과 판파괴의 경우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파괴된 재료가 로울툴 부분에 남게되며 또한 로울갭을 미리 설정하기 위하여 하우징을 낮추는 경우에 상당한 시간을 요하여 작업효율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한편 종래의 비교예 2에서는 상부하우징 승강수단이 유압식 승강수단이고 따라서 상기 비교예 2의 예컨대, 로울갭의 신속한 확장이 가능한 압연기는 종래의 비교예 1보다 훨씬 유리하다.
그러나 종래의 비교예 2는 로울의 압하력이 유압식으로 조정되기 때문에, 판두께제어정밀도는 유체압축성(fluid compressibility)에 기인하여 열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첫째목적은 하우징이 마찰잠금수단으로 잠겨진 컬럼에 고착되어 있어서 판두께제어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유체압축성이 가능한한 억제되고 그럼으로써, 압연중에 유체의 탄성변형의 경우에 밀정수(mill comstant)를 낮추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둘째목적은 신속한 로울갭의 설정 및 확장과 단순하고, 고정밀도 하우징위치제어가 가능한 압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셋째목적은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는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 로울갭의 확장 및 설정 그리고 로울의 효과적인 교환이 가능한 압연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서, 하부로울, 하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하부하우징, 상부로울, 상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상부하우징, 상·하부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컬럼, 컬럼의 외측에 끼워맞추어지고 상부와 하부하우징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마찰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진 압연기가 있다.
더욱이,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수단을 사용하고, 압하력 및 로울갭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식 승강수단을 유압식으로 조장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두께제어를 위한 유체의 탄성(압축성)이 마찰잠금수단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압연에 의해 발생되는 반발력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에 따라 하우징위치를 고정밀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유압승강수단과 마찰잠금수단을 복합하여 사용하면 하우징을 신속하게 해제하고 해제된 상태로 하우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단시간에 로울교환을 안전하게 완료하고, 또한 하우징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하부상태에서 하우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안전하고 단시간의 로울갭 설정공정을 보장한다. 더욱이 압연되는 재료의 파단이 발생하는 경우에 화재를 방지하고 용이한 회복작업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하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하부하우징, 상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상부하우징, 상기 두 하우징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컬럼,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 수단, 로울갭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식 승강수단 및 해제 그리고 컬럼과 관련해서 상부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슬리브를 포합하는 마찰잠금수단으로 이루어진 압연기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단계와 마찰잠금수단을 해제하고 유압식 승강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하부하우징으로부터 상부하우징을 신속하게 상승시키기 위하여 신속하게 로울갭을 확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로울갭 확장단계후에 로울을 교환하는 단계를 추가하거나 또는 판두께제어단계전에 컬럼상에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로울갭 설정단계를 추가함으로써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마찰잠금수단과 유압식 승강수단을 제공함으로써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하고 단시간내에 로울의 교체를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과 다른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은 명백해질 것이며, 본 발명자체를 본 발명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고로 해서 하기의 설명과 첨부된 청구의 범위를 보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와 압연기의 작동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압연기의 다른 부재의 구성이 종래 비교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부분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부재번호 1은 상부하우징을 표시하고 부재번호 2는 컬럼을 나타낸다. 상부하우징(1)의 4코너에 형성되어 있는 컬럼삽입구멍(3)의 상부에로 수축구멍부분(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컬럼(2)의 정상 단부상의 3개의 단(stage)에 형성되어 있는 최하단수축부(2A)이 외측에 접동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수축구멍부분(4)에는 시일링(5)이 끼워져 있고, 수축구멍부분(4)의 상부에는 유체체임버(7)를 형성하는 부싱(6)이 장치되어 있다.
상부하우징(1)의 컬럼삽입구멍의 하부에는 컬럼을 고정하기 위한 유체체임버(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체임버(8)에는 상부와 하부 개구단부의 외부가장자리에 외향으로 뻗어있는 칼라(9)를 구비하고 있는 컬럼가압슬리브(10)가 끼워져 있다. 유체통로(11)를 통하여 유체체임버(8) 상의 슬리브(10)의 외부가장자리에 유압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슬리브(10)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그것에 의해 컬럼(2)에 슬리브(10)가 고정된다. 슬리브(10)는 유압유체를 방출함으로써 컬럼(2)으로부터 해제된다.
다시 말해서, 축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지 않지만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상태로 유체체임버(8)에 끼워맞추어져 있는 슬리브(10)는 압력매질로서 유압유체를 슬리브(10)의 외부가장자리에 가함으로써 그리고 유압유체를 유지함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그럼으로써 컬럼(2)을 마찰에 의해 잠근다. 컬럼(2)은 유압유체를 제거함으로써 해제될 것이다. 슬리브(10)는 마찰잠금수단(10)을 구성하고 각각의 4개의 컬럼(2)에 장착되어 있다.
컬럼(2)의 상단부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단수축부분(2B)의 외측표면상에는 예압(preload) 실린더 유압체임버(13)와 그 안에 삽입되어 있는 피스톤(12)을 구비한 고정피스톤(14)이 장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피스톤(14)의 외측표면상에는 부싱(6)이 수직으로 접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체체임버(13)내에는 유압 유체배출통로(15)가 구비되어 있다. 시일링(16)은 고정피스톤(14)의 하부의 외부표면에 장치되어 있다. 부재번호 17은 유체체임버(7)로 유압유체를 공급하고 유체체임버로부터 유압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압유체공급-배출 통로이다. 판두께제어수단(7, 14)은 마찰잠금수단(10)과 공축적으로 각각의 4개의 컬럼에 장착되어 있다.
컬럼(2)은 최상단 수축부분에 나사부(2C)가 구비되어 있는데 나사부에는 고정피스톤(14)를 고정하기 위한 예압너트(18)와 고정너트(19)가 나사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너트(19)는 직경이 크기 때문에, 고정너트(19)가 단단히 죄어진 경우에 예압너트(18)는 나사식으로 고정된 상태 그리고 고정피스톤(14)은 예압되고 고정너트(19)는 단단히 죄어진 상태에서 유체체임버(13)내의 피스톤(12)의 내측에 유압유체가 공급된다.
컬럼(2)의 정상단부에는 피스톤로드(20)가 컬럼(2)과 공축적으로 고정되어 장치되어 있다. 피스톤(21)이 상기 로드(20)의 하부의 외측표면에 고착되어 있다.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하기 위한 유압실린더(22)는 피스톤 로드(20) 전체에 걸쳐서 공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22)의 하부는 직경이 팽창되어 레그부분(23)을 형성하는데 레그부분은 상부하우징(1)은 상부표면상에 타이로드(24)로 고정장착되어 유압실린더(22)와 상부하우징(1)은 일체가 된다.
유압실린더(22)의 정상단부에는 배출유체회수체임버(drain fluid recovery chamber; 25)를 구비한 커버(26)가 고정장치된다. 배출유체회수체임버(25)에는 피스톤(21)상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체임버(30)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압유체공급통로(27)와 배출유체회수구멍(28)이 구비되어 있다. 유압실린더(22)는 레그부분(23)에도 역시 배출유체회수구멍(29)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유압피스톤(21), 유압실린더(22) 등은 잠금수단(10)과 공축적으로 각각의 4개의 컬럼(4)에 장착되어 있는 상부하우징(1)의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하기 위한 유압승강수단(22)이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유압유체는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하기 위하여 유압실린더(22) 위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체임버(30)내로 균형압오일(balance pressure oil)로서 일정하게 공급된다. 제1도는 유체체임버(30)를 유압유체로 충전한 후에 낮아진 상부하우징(1)의 로울갭의 설정상태를 도시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유압유체는 컬럼을 가압하기 위한 잠금수단(10)의 외부가장자리에 충전되는데, 컬럼은 설정상태로 로울갭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다시말해서, 판두께제어는 유압식으로 실행된다; 상기 판두께제어는 잠금수단(10)이 해제된 유체체임버(7)에 유압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부하우징(1)의 하부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실행된다. 압연중에 컬럼(2)은 잠금수단(10)에 의해 가압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부하우징(1)을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그럼으로써 가능한한 유압의 압축성을 제어한다.
로울갭이 로울교체를 수행하도록 신속하게 확장되는 경우에, 먼저 유압유체는 컬럼을 가압하기 위한 잠금수단(10)의 외부가장자리로부터 배출되어, 슬리브는 컬럼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하여 그 자체의 탄성억제력으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다. 동시에, 유압유체가 상부하우징(1)의 유체체임버(7)의 밖으로 배출될 때, 유압유체는 유압실린더(22)의 상부의 유체체임버(30)내로 빠른 속도로 충전되며 상부하우징(1)은 유압실린더(22)와 함께 수초내에 로울갭을 확장하도록 빠르게 상향으로 이동한다.
로울갭이 그렇게 확장된 경우에, 유압유체가 컬럼을 가압하고 유체압으로 탄성적으로 슬리브를 수축시키도록 잠금수단(10)의 외부가장자리로 충전되고 이것에 의해 마찰력으로 컬럼(2)을 고정하고, 결과적으로 로울갭을 확장된 상태로 유지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 기간동안에 로울을 신속하고 안정하게 교체할 수 있다.
로울교체가 완료되었을때, 유압유체는 컬럼을 가압하기 위한 잠금수단(10)의 외부가장자리로부터 배출되어 컬럼은 고정되지 않는다. 그 다음에 상부하우징의 유체체임버(7)가 유압유체로 충전되었을때, 상부하우징(1)이 고속으로 하향으로 이동하여 로울갭의 설정을 완료한다. 그 다음에, 유압유체는 컬럼을 가압하기 위한 잠금수단(10)의 외부가장자리에 충전되고, 상부하우징(1)은 컬럼(21)에 고정되고 그럼으로써 상부하우징(1)의 상향·하향운동을 체크하여 로울갭을 유지한다.
제2와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는 다음의 두가지 점에서 제1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유체체임버(52, 53)가 고정피스톤(51)상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체임버(52)에 일정하게 공급되는 균형압유체로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하기 위하여 각각의 컬럼(50)의 상부말단부분(50A)에 주로 장착되어 있는 고정피스톤(51)의 위와 아래에 제공되어 있고, 대직경판두께제어유압실린더(57)가 하부하우징(54)내의 하부로울(55) 특히 중앙백업로울(56)의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하부로울(55)은 모두 하부하우징(54)내에서 지지되는 1개의 작업로울, 2개의 중간로울 및 3개의 백업로울을 포함한다. 상부하우징(62)내에서 지지되는 상부로울은 패스라인의 중앙의 상·하 양측에 하부로울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스톤(51)은 각각의 컬럼의 상부말단부분(50A)상에 너트(58)로 고착되어 있고; 슬리브(59)는 피스톤(51)밑에 인접해서 고정되어 있고; 로울갭의 신속한 확장을 위한 유압실린더(60)는 슬리브(59)의 외측표면과 고정피스톤(51)상에 공축적으로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유압실린더(60)의 하부는 직경이 확장되어 레그부분(61)으로서 작용하고 : 상기 레그부분의 하단은 상부하우징(62)의 상부표면에 타이로드(63)로 고정부착되어 있다. 유압실린더(60)와 하부하우징은 일체로 되어 있다.
유압실린더(60)의 상단에는 고정피스톤(51)의 로드부분(51A)을 통과하는 실린더커버(64)가 단단하게 장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커버(64)에는 뚜껑을 구비한 원통형 피스톤커버(65)가 고착되어 있다. 유압실린더(60)의 측벽의 상부와 하부에는 유체체임버(52, 53)와 연통되어 있는 균형압 유체공급통로(66)와 보조압 유체공급통로(67)가 구비되어 있다. 실린더커버(64)에는 배출유체회수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62)의 4코너에 형성되어 있는 컬럼삽입구멍(69)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갈수록 확장하는 3단의 확장된 부분(70, 71, 7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단확장부분(70)에는 슬리브(59)가 수직으로 접동가능하게 장치되어 있고; 중간단확장부분(71)에는 로드셀(73)이 장치되어 있다. 상부단확장부분(72)은 유압실린더 레그부분(61)과 동일한 내경을 갖고; 상기 두부분은 서로 연결되어 고정을 위한 유체체임버(74)를 형성하는 압력저항실린더체임버(75)로서 작용한다. 압력저항실리더(76)와 컬럼을 가압하기 위한 슬리브(77)는 상기 실린더체임버(75)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압력저항실린더(76)의 가장자리벽에는 고정압유체공급-배출통로(78)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공급-배출통로(78)와 연통되어 있는 유체파이프연통구멍(79)은 유압실린더 레그부분(61)에 구비되어 있다. 제3도에서 부재번호 80은 로드셀케이블출구이고 부재번호 81는 배출유체회수구멍을 나타낸다.
제2도에 도시한 것처럼 로울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판두께제어를 위한 2개의 유압실린더(57)는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시키기 위한 유체체임버(52와 53)보다 내경이 더 크고, 중앙백업로울(56)의 페더스탈(83)은 제4도에 도시한 구형표면부분(57A)을 통하여 실린더(57)에 장치된 피스톤(82)에 의하여 지지되어 감압력을 가한다.
구형표면부분(57A)은 스큐우리덕숀(skew reduction)시에 곧바로 뒤따른다. 판두께를 제어하는 유압유체공급-배출파이프(84)는 유압실린더(57)에 연결되어 있고; 유체공급파이트(86)와 유체배출파이프(87)는 서보밸브(85)를 통하여 상기 유체공급-배출파이프(84)에 연결되어 있고; 첵크밸브(88, 89), 어큐뮬레이터(90) 및 오일펌프(91)은 유체공급파이프(86)의 중간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공급파이프(92, 93)와 유체공급-배출파이프(94)는 제2도에 도시한 것처럼 압력유체공급통로(66, 67)와 고정압력유체공급-배출통로(78)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공급파이프(92, 93)는 둘다 전자비례변환밸브(electromagnetic proportional changeover value; 95)를 통하여 압력유체공급분기파이프(pressure fluid supply branch pipe; 96)와 유체배출분기파이프(97)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공급-배출파이프(94)는 파이 로드첵크밸브(98)와 부스터(99)를 통하여 전자유압변환밸브(100)에 연결되어 있고; 유압유체공급파이프(101)와 유체배출분기파이프(102)는 전자유압변환밸브(100)에 연결되어 있다.
파이로트첵크밸브(103)와 감압밸브(104)는 유체공급파이프(92) 중간에 장치되어 있고; 파이로트첵크밸브(107)는 유체공급파이프(93)에 연결되어 있고; 파이로트첵크밸브(103, 107)의 외부파이로트 유체파이프(108)는 전자밸브(109)를 통하여 압력유체공급분기파이프(96)에 연결되어 있다.
유압유체공급-배출파이프(94)의 파이로트첵크밸브(98)와 유체공급-배출통로(78) 사이에는 직동 무유출열 이완밸브(direct-acting leackage-free thermal relief value; 110)(설정압력은 감압밸브(112)의 압력보다 큼)가 연결되어 있어서 유체온도의 상승에 따른 과잉압력을 방지한다. 첵크밸브(111), 감압밸브(112), 부스터(99)시스템의 유체누수를 보충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113) 및 압력센서(114), (어큐뮬레이터(113)와 부스터(99)용 압력원의 첵크와 경고)는 고정유압유체 공급파이프(101)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공급파이프(86)와 유체배출파이프(87)는 탈부하 이완밸브(116)를 통하여 우회파이프(117)에 연결되어 있다. 부재번호 118은 유체탱크를 나타낸다.
다음에 압연기의 제2실시예의 작동양태를 설명한다.
전자비례 변환밸브(95)는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하기 위한 유압실린더(60)상에 위치되어 있는 유체체임버(52)내에 균형압오일로서 압력유체를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작동된다. 상부하우징(62)이 고속으로 하강되는 경우에, 파이로트밸브(103)는 전자밸브(109)에 의해 개방되어 유압실린더(60) 밑의 유체체임버(53)내에 압력유체를 공급하도록 전자비례변환밸브(95)를 변환시키고 상부하우징(62)을 설정위치(센서로 감지됨)에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전자변환밸브(100)는 슬리브(77)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는 고정유체체임버(74)에 유압유체를 공급하도록 작동되고 그것에 의하여 상부하우징(62)를 컬럼(50)에 잠그기 위하여 디스탄스슬리브(distance sleeve; 59)를 통하여 컬럼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62)은 특정로울갭을 유지하도록 상향과 하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첵크된다.
한편, 잠금수단(77)이 해제된채 압력유체는 유압실린더(57)내로 공급되어 하부로울(55)의 중앙백업로울(56)을 지지하고 그럼으로써 로울갭을 설정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로울갭 제어 또는 판두께제어는 압연될 재료에 따라 서보밸브(85)에 의해 시행된다.
상기의 판두께제어에 있어서, 제4도에 도시한 한쌍의 유압실린더(57)는 동시 리덕숀(simultaneous reduction)에 대해서는 동일한만큼 그리고 스큐우리덕숀에 대해서도 다른 양만큼 즉 균형잡히게 않게 유압식으로 작동된다. 유압실린더의 경동은 구형표면부분(57A)에 의해 흡수되어 교정된다.
압연될 재료에 따라 판두께제어수단(57)에 의해 압하압력을 조정한 후에 잠금수단(77)은 컬럼을 잠그도록 작동된다. 상기의 압연공정중에, 상부하우징(62)상에 작용하는 압력반발력은 컬럼(50)을 잠그는 것에서 기인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컬럼을 잠그기 위한 슬리브(77)로부터 슬리브(59)를 통하여 컬럼(50)에 전달된다.
더욱이, 압력유체를 순간적으로 고속으로 공급하는 것은 판두께제어를 위해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로 유체공급파이프(86)내의 어큐뮬레이터(90)에 의해 고속으로 만족될 수 있고 따라서 펌프용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한편, 로울교환을 목적으로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할때, 먼저 압력유체는 유체체임버(74)로부터 컬럼을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인 슬리브(77)의 외부가장자리내로 배출되어 컬럼의 고정을 해제하고 그 다음에 전자밸브(109)는 파이로트첵크밸브(107)를 개방하도록 변환된다. 전자비례변환밸브(95)가 변환되었을때, 압력유체는 상부유체체임버(52)내로 고속으로 충전되고; 따라서 상부하우징(62)은 유압실린더(60)와 함께 급속히 상승하게 되어 짧은시간내에 로울갭을 확장한다.
로울갭이 확장되었을 경우에 유압유체는 유체체임버(74)내에 충전되고 컬럼(50)은 로울갭을 확장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그럼으로써 상부하우징(62)의 하강을 방지하여 로울교체가 상기 기간내에 만족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로울교체가 완료된 후에 유압유체는 컬럼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하여 유체체임버의 밖으로 배출된다. 그 다음에, 압력유체는 하부유체체임버(53)에 충전되고 그것에 의해 상부하우징(62)를 신속하게 하강시켜 로울갭의 설정을 완료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감압밸브(104)는 압력유체공급파이프(92)의 중간에 장치되어 있다. 상기 감압밸브(104)는 상부하우징의 자체중량의 대응하는 압력보다 약간 높게 설정된다. 따라서 유압실린더(60)은 압연중에 상부하우징의 자체중량과 알파가 더해진 힘을 산출하고 그것에 의해 컬럼을 잠그기 위한 슬리브(77)의 잠금기능과 상부하우징(62)의 작용에 의해 잠금양만큼 상부하우징을 이동시키고 그에 따라 그 작용을 보상한다.
또한, 위치정밀도를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제2실시예의 전자비례변환밸브(95)와 전자변환밸브(100)을 대신하여 서보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컬럼고정잠금수단은 동시리덕숀으로부터 스큐우리덕숀으로 변환될 때 압연중에 일단 해제되어야만 하고 상기의 변환후에 잠금수단은 다시 잠겨진다. 한편,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는 압연공정중에 동시리덕숀으로부터 스큐우리덕숀으로 변환될 때 잠금수단의 해제를 요하지 않음으로써 개선되었다.
다시 말해서, 제3실시예 내지 제5도실시예는 스큐우리덕숀으로 변환될 때 잠금수단을 고정하는 컬럼을 일단 해제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제거한다.
(1) 잠금이 해제되는 순간(유압잠금으로부터 상부유체체임버로 압하력유지부가 변환되는 순간)에 위치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상기의 위치유지는 ±1㎛의 정밀도를 요하기 때문에, 잠금수단이 해제되는 순간에 유체의 탄성변형(압축성)에 의해 야기되는 변위를 순간적으로 교정하기가 어렵다.
(2) 유압잠금을 해제하는데 시간손실(약 1sec)이 생겨서 스큐우리덕숀 공정이 지체된다.
(3) 자동편평도제어장치(automatic flatness control; AFC)가 장착된 압연기에 있어서, 스큐우리덕숀이 신속하게(AFC가 장착되지 않은 압연기의 10 내지 100배) 수행되고 따라서 잠금수단은 잠금과 해제공정을 신속하게 반복하여 잠금수단의 내구성을 열화시킨다.
(4) 1쌍의 유압실린더와 같은 판두께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압연기는 실린더자체가 고강성(스프링계수)이기는 하지만 실린더사이에 저강성 즉, 압연될 재료의 형상에 영향을 미치는 압연기의 측방강성(판의 폭방향 강성)을 갖는다.
이하 주로 이들 개선사항을 차례대로 설명한다. 하기한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있어서, 단지 1개의 컬럼만을 설명하지만 다른 3개의 컬럼의 구조는 동일하다.
제5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하부하우징으로부터 직립해 있는 컬럼(120)은 상부하우징(121)을 통하여 수직으로 관통하고, 그럼으로써 상부하우징은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상기 컬럼(120)상에서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한다. 따라서, 상부하우징(121)에는 가이드부싱(122)이 구비되어 있다.
상부하우징(121)에는 위에서 보았을때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오목한 바닥부(12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오목한 바닥부(123)에는 판두께제어수단(124)과 잠금수단(125)이 장치되어 있다. 컬럼(120)은 실질적으로 오목한 바닥부(123)를 통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유압승강수단(126)이 구비되어 있다.
판두께제어수단(124)은 잠금수단(125) 밑에 로드셀(127)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고 유압승강수단(126)의 실린더표면으로서 내부가장자리 표면을 따라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피스톤(12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판두께 제어수단(124)은 보다 큰 압력-수용영역과 유압승강수단(126)의 실린더 또는 피스톤보다 더 짧은 행정을 가지고 있으며 유체통로(129)로부터 유체체임버(130)내로 공급되고 유체체임버(130)로부터 배출되는 유압유체로 작동된다.
잠금수단(125)은 오목한 바닥부(123)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실린더(131)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실린더(131)에는 유체통로(132)로부터 유압유체를 공급하고 배출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내향과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슬리브(133)가 장치되어 있어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경우에서처럼 컬럼(120)을 고정하고 해제한다.
유압승강수단(126)은 컬럼(120)에 고정되어 있는 피스톤(143)과 피스톤(134)의 위와 아래에 유체체임버(135, 136)를 형성하는 실린더(137)를 가지고 있다. 실린더(137)는 상부하우징(121)에 볼트로 고착되어 있고 유체체임버(135, 136)와 연통되어 있는 유체통로(138, 139)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제5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의 작동방식을 설명한다. 판이 로울을 통과하였을때, 상부하우징(121)은 유압승강수단(126)에 의해 상부행정의 끝단에 유지되고 잠금수단(125)에 의해 고정된다.
판이 통과한 후에 잠금수단은 해제되고 유압유체는 유체체임버(136)내에 충전되고 동시에 유압유체는 유체체임버(135)로부터 배출되어, 상부로울의 작업로울이 압연될 재료와 접촉되는 레벨만큼 상부하우징(121)을 하강시킨다.
이때, 리덕숀을 위한 유체체임버(130)내의 피스톤(128)은 판의 끝단 통과와 동시에 작업로울을 뻣어나는데 필요한 행정과 스큐우리덕숀에 필요한 예컨대 2㎜의 행정을 갖는다. 유체체임버(130)내에 유압유체를 충전하여 특정의 압연하중을 설정하고 잠금상태에서 잠금수단(125)으로 압연고정을 시작한다.
압연중에, 리덕숀조정과 스큐우리덕숀은 잠금수단(125)을 해제하지 않고 즉 컬럼이 잠긴 상태에서 판두께제어수단(124)의 유체체임버(130)내로 유압유체를 공급하거나 또는 유체체임버로부터 유압유체를 배출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다시말해서, 리덕숀조정(동시리덕숀)은 4개의 판두께제어수단(124)의 유체체임버(130)내로 유압유체(7)를 공급하고 유체체임버로부터 배출함으로써 동이한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피스톤(128)을 이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스큐우리덕숀은 4개의 판두께제어수단(124)의 판통과방향으로 전·후의 2개의 피스톤(128)을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한 양만큼 작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압연이 종료된 후에, 먼저 유체는 유체체임버(130)의 밖으로 배출되어 압연하중을 제로(해제)로 감소시키고 그후에 압연이 다시 수행될 때, 유체는유체체임버(130)로 다시 충전되어 역시 잠긴상태에 있게 된다.
로울을 교체해야 할때, 잠금수단(125)은 해제되고 유압유체를 유체체임버(135)에 충전하는 것과 동시에 유체는 유체체임버(136)으로부터 배출되어 로울이 교체될 수 있는 위치만큼 높이 승강수단(126)으로 상부하우징(121)을 승강시킨다. 상기의 승강된 위치에서 상부하우징(121)은 잠겨져서 로울교체를 하도록 한다.
제6도에 도시한 제4실시예는 제5도를 참고로 상술한 제3실시예와 구성과 기능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공통된 것이다.
따라서 이하 차이점만을 공통된 부재에 대해 공통된 부재번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하부하우징(140)으로부터 적립해 있는 4개의 컬럼(120)은 상·하로 움직이는 상부하우징(121)을 가이드하기 위한 상·하부싱(122, 122A)을 구비하고 있다.
판두께제어수단(124)내에는 내부와 외부삽입물의 형태로 오목한 바닥부(123)내에 실린더(123A)를 끼워맞추고 실린더(123A)내에 피스톤(128)을 끼워맞춤으로써, 유체체임버(130)가 형성되어 있다.
로드셀(127)를 통하여 오목한 바닥부(123)내에 구형부(142)가 피스톤(128) 밑에 구비되어 있어서 스큐무리덕숀중에 경동거동을 따라할 수 있다.
승강수단(126)은 잠금수단(125)의 실린더(131)상에 실린더(137A)와 실린더커버(137B)를 유지하기 위한 커버(141)를 제공함으로써 구성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서도 역시 리덕숀조정과 스큐우리덕숀은 상기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압연공정중에도 잠금상태에서 잠금수단(125)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6도와 제7도에서, 우측은 행정의 상부끝단에 유지되어 있는 상부하우징(121)을 나타내며 좌측은 행정의 하부끝단이 상부하우징(121)을 나타낸다.
제7도에 도시한 제5실시예는 컬럼(120)의 상부끝단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143)상에 피벗샤프트(126C)에 의해 피벗지지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26A)를 승강수단(126)으로써 구비하고 있고; 피스톤로드(126B) 역시 상부하우징(121)에 피벗샤프트(126D)로 피벗지지되어 있고; 또한 실린더(131)는 아암(126E)으로 지지되어 있다. 다른 부재의 구조는 제3실시예와 제4실시예에서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것과 공통이다.
따라서, 제5실시예는 승강수단(126)이 컬럼(120)의 축중앙으로부터 외향으로 떨어져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3및 제4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공통된 부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표시하였다.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판두께제어수단(124)는 잠금수단(125) 밑에 배치되어 있고, 보다 큰 압력수용영역과 승강수단(126)의 실린더 또는 피스톤보다 더 짧은 행정을 가지고 있다. 그럼으로 이들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압연중에 컬럼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해제할 필요가 없다. 즉 비선형제어를 할 필요가 없음으로 하우징의 단순하고 고정밀위치제어를 보장한다.
(2) 컬럼을 고정하기 위해 잠금수단을 해제하는데 시간소모가 발생되지 않음으로 형상제어성을 개선한다. 즉, 형상수렴(shape convergence) (안정성)에 짧은시간이 요구되어 생산성을 개선한다.
(3) 컬럼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의 잠금과 해제빈도가 감소되어 컬럼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수단의 수명이 연장된다.
(4) 압하력을 수용하는 유체체임버는 짧은 행정과 큰 압력수용영역을 구비하고 그럼으로써 압연중에 유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밀정수의 저하가능성을 낮춘다. 즉 개선된 판두께정밀도가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세팅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력을 전자브레이크수단에 의해 컬럼을 잠그고 해제하기 위한 잠금수단의 매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냉간 압연판과 포일용 다단압연기와 열간압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른 여러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단순히 예에 불과하며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 보호되고 본 명세서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청구항의 동일한 범위에 속하는 다른 모든 변경과 개량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30)

  1. 하부로울, 하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하부하우징, 상부로울, 상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상부하우징(1),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기 하부하우징에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컬럼(2) 및 상기 컬럼의 외측에 끼워맞춤되고 상기 상·하하우징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컬럼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컬럼에 상기 하우징중 어느 하나를 잠그도록 작동되는 마찰잠금수단(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잠금수단(10)은 상기 컬럼의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컬럼을 고정하고 해제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잠금수단(10)은 상기 하우징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체임버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체임버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컬럼(2)을 고정하고 해제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고정슬리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잠금수단(10)은 상기 하부하우징(1)내에 형성되어 있고, 로드셀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잠금수단(10)은 상기 하부하우징(1)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울의 압하력을 유압식으로 조정함으로써 압연될 재료의 두께를 제어하도록 작동되는 판두께제어수단은 상기 실린더 밑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제어수단은 상기 실린더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14)과 상기 피스톤의 하부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체임버(7)로 이루어져 있으며,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는 상기 유체체임버내에 유체를 충전하여 상기 로울의 압하력을 조정함으로써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7. 제6항에 있어서, 로드셀은 상기 피스톤(14)과 상기 실린더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8. 제7항에 있어서, 스큐우리덕숀 공정을 뒤따를 수 있도록 상기 로드셀 밑에 구형표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체임버(7)는 상기 오목한 바닥부를 가지고 있는 상기 실린더내에 망원경식으로 피스톤을 삽입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의 압하력을 유압식으로 조정함으로써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각의 상·하부로울은 1개의 작업로울, 2개의 중간로울 및 3개의 백업로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판두께제어수단은 상기 3개의 백업로울중 중앙백업로울(56)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제어수단은 상기 컬럼(2)에 장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2)의 상부 끝부분에는 적어도 2단의 수축된 부분(2A, 2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판두께제어수단인 상기 유압실린더(22)는 최하단의 수축된 부분(2A)과 상기 상부하우징(1) 사이에 형성된 유체체임버(7)와 최하단의 수축부의 상단부에서 수축된 부분의 외측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고정피스톤(14)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2)의 상부 끝부분에 3단의 수축부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판두께제어수단은 최하단수축부분(2A)과 상기 상부하우징(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체체임버(7)와 중간단수축부분(2B)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피스톤(14)으로 이루어져 있고, 최상단수축부분에 나사부(2C)와 상기 나사부에 나사조임되어 있고 상기 컬럼의 상기 최하단수축부의 상부단부 표면상에 상기 고정피스톤을 고착시키는 고정너트(19)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19)를 조이기 위한 예압실린더 유체체임버(13)가 상기 고정피스톤(14)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6. 제1항에 있어서, 로울갭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승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승강수단은 상기 컬럼의 상단부에 공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피스톤(51)과, 상기 피스톤의 외측에 끼워맞춤되어 있고 상기 상부하우징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컬럼과 관련해서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작동함으로써 상기 로울갭을 조정하는 유압실린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승강수단은 상기 컬럼의 외부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는 고정피스톤(51), 상기 고정피스톤의 위에 구비되어 있고 항상 균형압유체로 충전되어 있는 상부유체체임버(52), 및 상기 고정피스톤의 아래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로울갭을 신속하게 확장하도록 유체를 공급받는 하부유체체임버(5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하부유체체임버(52, 53)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유체의 공급을 상기 유체체임버로 변환시키는 전자비례변환밸브(9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감압밸브(104)가 상기 상부유체체임버(52)와 상기 전자비례변환밸브(95)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승강수단이 상기 컬럼의 축중앙으로부터 외향으로 떨어져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승강수단은 상기 컬럼의 상단에 고정된 브래킷상에 피벗지지되고 있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피벗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3. 하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하부하우징; 상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상부하우징(121);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상·하부하우징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4개의 컬럼(120); 상기 로울의 압하력을 유압식으로 조정함으로써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수단(124); 로울갭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승강수단(126); 및 상기 4개의 컬럼의 외측표면에 끼워맞춤되고 있고 상기 상부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적으로 변경가능한 슬리브(13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슬리브의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컬럼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컬럼의 축방향으로 상기 상부하우징을 유지하는 마찰잠금수단(12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4. 로울이 장착되어 있는 하부하우징과 상부하우징(121)은 상부하우징을 하부하우징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4개의 코너에서 컬럼(120)으로 상호연결되어 있고; 유체체임버는 각각의 상기 컬럼의 상부단부 부분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외측상의 상부하우징의 컬럼 삽입구멍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체임버의 가장자리벽을 따라서 수직으로 접동하는 고정피스톤은 상기 각각의 컬럼의 상부단부 부분에 장치됨으로써 상기 유체체임버내에 압하를 위해 유압유체를 충전시키고 상기 유체체임버로부터 상기 유압유체를 배출시키고; 로울갭의 신속한 확장을 위한 피스톤이 상기 각각의 컬럼의 상부단부에 고착되어 있고; 상기 로울갭의 신속한 확장을 위한 유압실린더는 상기 피스톤의 외측상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상부하우징상에 고착되어 있고 그리고 압력유체는 상기 로울갭의 신속한 확장을 위해 상기 피스톤상의 상부유체체임버내로 일정하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유체체임버가 상기 상부하우징(121)의 컬럼삽입구멍의 적당한 위치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유체체임버내에 컬럼(120)을 고정하기 위한 슬리브(133)가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압력유체는 상기 컬럼상에 상기 상부하우징을 고정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슬리브의 외부가장자리표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
  26. 하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하부하우징, 상부로울을 유지하기 위한 상부하우징(121),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해 상기 상부하우징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하우징을 연결하기 위한 컬럼(120), 상기 로울의 압하력을 유압식으로 조정함으로써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수단(124); 로울갭을 조정하기 위한 유압승강수단(126), 및 상기 컬럼에 대해 상기 상부하우징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탄성적으로 변경가능한 슬리브(133)로 이루어진 마찰잠금수단(125)을 구비하고 있는 압연기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찰잠금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판두께제어수단을 작동함으로써 압연될 재료의 판두께를 제어하기 위한 판두께제어 단계와 상기 마찰잠금수단을 해제하고 상기 유압승강수단을 작동함으로써 상기 하부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을 신속하게 상승시키기 위한 로울갭 신속확장단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작동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의 로울신속확장 단계후에 상기 컬럼(120)에 상기 상부하우징(121)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마찰잠금수단(125)을 상기 상부하우징과 함께 작동시키고 로울을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작동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제어 단계시에 동시리덕숀을 스큐우리덕숀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작동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잠금수단(125)을 해제하지 않고 상기 동시리덕숀을 상기 스큐우리덕숀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작동방법.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판두께제어 단계전에 상기 상부하우징(121)을 낮추도록 상기 유압승강수단(126)을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의 상태에서 상기 상부하우징을 상기 컬럼(12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마찰잠금수단(125)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로울갭 설정을 위한 로울갭 설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기작동방법.
KR1019920014563A 1991-08-14 1992-08-13 압연기 및 압연기 작동방법 KR950009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41291 1991-08-14
JP91-204412 1991-08-14
JP34559591 1991-12-26
JP91-345595 1991-12-26
JP4104825A JP2966187B2 (ja) 1991-08-14 1992-04-23 圧延機
JP92-104825 1992-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982A KR930003982A (ko) 1993-03-22
KR950009141B1 true KR950009141B1 (ko) 1995-08-16

Family

ID=2731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563A KR950009141B1 (ko) 1991-08-14 1992-08-13 압연기 및 압연기 작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55707A (ko)
JP (1) JP2966187B2 (ko)
KR (1) KR950009141B1 (ko)
DE (1) DE4226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5469B2 (ja) * 1999-02-24 2009-11-18 パスカ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油圧式ロック装置
FR2792229B1 (fr) * 1999-04-16 2001-07-13 Kvaerner Metals Clecim Laminoir a serrage hydraulique
DE19946561C1 (de) * 1999-09-29 2001-04-26 Sundwig Gmbh Walzgerüst zum Walzen von Bändern
KR100446973B1 (ko) * 2002-03-29 2004-09-0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마그네트론의 출력부 구조
KR100854364B1 (ko) * 2002-07-10 2008-09-02 주식회사 포스코 연결배관의 내압을 제거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유체 배관밸브
FR2905428A1 (fr) 2006-09-06 2008-03-07 Hydro Leduc Soc Par Actions Si Verin hydraulique a verrouillage automatique
US7765844B2 (en) * 2007-12-20 2010-08-03 Intergrated Industrial Systems, Inc. Prestressed rolling mill housing assembly with improved operational features
KR101488022B1 (ko) * 2008-12-24 2015-01-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홀딩밸브
US8091817B2 (en) * 2009-12-11 2012-01-10 Flsmidth A/S Milling device
US9003854B2 (en) 2011-06-16 2015-04-14 I2S, Llc Split housing cluster mill designed for temper and cold rolling
CN102886688A (zh) * 2012-10-08 2013-01-23 武汉贝格泰克数控直驱机械有限公司 内转子直驱转台转子定位单元
EP2930006B1 (en) 2012-12-06 2017-09-13 Scivax Corporation Roller-type pressurization device, imprinter, and roller-type pressurization method
CN102979784B (zh) * 2012-12-10 2016-05-25 沈阳工业大学 一种液压锁紧机构
US10421218B2 (en) * 2014-06-03 2019-09-24 Scivax Corporation Roller-type depressing device, imprinting device, and roller-type depressing method
EP4235113A3 (en) * 2017-12-28 2023-10-04 Onicon Incorporated Scalable monolithic sensor assembly, controller,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CN116274373B (zh) * 2023-05-23 2023-07-25 河北燕山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的高利用率冷轧成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4939A (en) * 1935-05-16 1936-03-24 United Eng Foundry Co Rolling mill screwdown
US2582030A (en) * 1950-11-30 1952-01-08 Halward Folke Piston lock for die casting and other machines
FR1563073A (ko) * 1968-02-20 1969-04-11
DE1939181B2 (de) * 1969-08-01 1977-10-27 Sundwiger Eisenhütte Maschinenfabrik Grah & Co, 5870 Hemer Vielwalzen-kaltwalzgeruest zum herstellen von blechen oder baendern gleichmaessiger dicke ueber die breite
JPS5024902B2 (ko) * 1972-01-28 1975-08-19
SE390608B (sv) * 1973-02-12 1977-01-03 Metalform Ab Anordning for bearbetning av material genom valvsning eller pressning
JPS561207A (en) * 1979-06-15 1981-01-08 Kobe Steel Ltd Screw down mechanism for rolling mill
JPS6038205B2 (ja) * 1979-06-15 1985-08-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圧延機
US4435039A (en) * 1981-11-02 1984-03-0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image quality of a reduction/enlargement gradient index lens array
JPS5885404A (ja) * 1981-11-16 1983-05-21 Olympus Optical Co Ltd 変換フイルタ−
JPS60131206A (ja) * 1983-12-20 1985-07-12 鈴木 喜一 無機質成形板体製造法
JPS60132106A (ja) * 1983-12-21 1985-07-15 Takashi Kimura 中間停止機構付空気圧シリンダ
JPS6241403A (ja) * 1985-08-19 1987-02-23 Kubota Ltd 流量調節回路
DE3810389A1 (de) * 1988-03-26 1989-10-05 Kontec Gmbh Sicherheitsklemmvorrichtung fuer den kolben einer kolbenzylinderanordnung
SU1585036A1 (ru) * 1988-06-01 1990-08-15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м.А.И.Целикова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н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DE3913837A1 (de) * 1989-04-27 1990-10-31 Bolender Kubitz Masch Bkm Vorrichtung zum walzen von metallischem bandmaterial
DE3933124A1 (de) * 1989-10-04 1991-04-11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es geraet mit flexiblem leiterplattenbereich
DE3939124A1 (de) * 1989-11-25 1991-05-29 Sundwiger Eisen Maschinen Vielwalzengeruest mit hydraulischer an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28520A (ja) 1993-09-07
DE4226887A1 (de) 1993-02-18
KR930003982A (ko) 1993-03-22
JP2966187B2 (ja) 1999-10-25
US5355707A (en) 1994-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141B1 (ko) 압연기 및 압연기 작동방법
US4736678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rolls in a calender roll stack
DE102005026100B4 (de) Ziehkissenvorrichtung
DK1924773T3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piston-cylinder device
US4206699A (en) Retracting bolster for a press
US4311086A (en) System for damping abrupt movement of a punch press ram
EP2183096A1 (de) Antriebssystem für hydraulische pressen
KR100266339B1 (ko) 유압 프레스의 고속 안전 회로
KR100259876B1 (ko)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US3364848A (en) Calender, especially for paper satinizing
ITMI20130898A1 (it) Sistema di regolazione pattini di una traversa mobile di una pressa
EP2813723B1 (de) Mit schräg angeordneter Abrollzone ausgestattete Brems- und/oder Klemmvorrichtung eines an mindestens einer Schiene geführten Schlittens
US2934968A (en) Hydraulic bolt stressing system
FI89949B (fi) Valspress med en anordning foer avlastning av en belastningsvals
KR19990035990A (ko) 프레스내 블랭크-홀더 작용력-조절 시스템
US6497177B2 (en) Calender arrangement and a deflection controlled roll and method of operating them
US1934233A (en) Paper calender pressure regulator
FI89420C (fi) Manoeverventil
JPH05248405A (ja) 加工機械の加圧装置
US3628363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member displaceably mounted in a housing
US4721039A (en)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rolls of a calender
US2809542A (en) Compensating system for presses
JP6093408B2 (ja) スライドガイド
JP3593953B2 (ja) ロールチョッククランプ装置
US3486360A (en) Adjustmen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