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9876B1 -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9876B1
KR100259876B1 KR1019940023979A KR19940023979A KR100259876B1 KR 100259876 B1 KR100259876 B1 KR 100259876B1 KR 1019940023979 A KR1019940023979 A KR 1019940023979A KR 19940023979 A KR19940023979 A KR 19940023979A KR 100259876 B1 KR100259876 B1 KR 10025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dead center
bottom dead
center position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176A (ko
Inventor
야기다카시
사토오미츠오
Original Assignee
아이다 기미가쯔
아이다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다 기미가쯔, 아이다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다 기미가쯔
Publication of KR950017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9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26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cams, eccentrics, or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 B30B15/004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29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 B30B15/003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ace between the press slide and the press table, i.e. the shut height using a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press drive means and the press sl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Presse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크랭크축(3)에 연결된 커넥팅로드(4)와 슬라이드(5)와의 사이에 유압실린더(15)를 구비한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이며, 유압실린더(15)는 커넥팅로드(4)에 일단쪽이 연결된 피스톤로드(16)와, 이 피스톤로드(16)와 상대이동 가능한 실린더 본체(17)와, 피스톤부(16A)의 밑쪽에 형성한 유압실(27)과, 이 유압실(27)에 연결된 압력조정수단(4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로드(16)의 외주에는 커넥팅로드와 실린더 본체와의 사이를 결합하는 신축부재(19)가 장착되어 있으며, 유압실(27)의 유압조정에 의하여 신축부재(19)가 신축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조정이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장치가 적용된 기계프레스의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유압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는 회로도 및 압력조정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4도는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작업을 도시하는 플로챠트이며, 그리고
제5도는 압력조정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제3도와 같은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펀치와 다이로 재료를 펀칭하는 경우에는 펀치와 다이의 수명장기화를 도모하기 위해 정확한 슬라이드의 하사점 위치를 유지하여 가공할 필요가 있다. 또, 상형과 하형으로 재료를 압축하는 코이닝(coining)가공, 혹은 새김눈(notch)을 내는 스코아링(scoring) 가공을 할 경우에는 볼스터(bolster)에 근접한 슬라이드가 스토퍼블록(stopper block)에 맞닿아 펀치가 재료에 파고듦과 재료의 잔류부의 두께를 정확하게 콘트롤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계프레스에는 가공하중 외에 슬라이드의 스토퍼 블록에의 당접(當接)에 의한 부가하중이 생기고 있다. 프레스 운전이 개시되면, 크랭크축과 슬라이드를 연결하고 있는 케넥팅로드 등의 부재가 운동에 의해 승온하여 열팽창한다. 이 승온이 부재에 따라 똑같지 않으므로 펀치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가 정확한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어긋난다. 또한 코이닝 가공이나 스코아링 가공의 경우에는 스토퍼블록에 의한 부가하중이 증가하여 프레스가공시에 큰 프레스 하중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책으로서, 종래 커넥팅 로드에 온도관리된 오일을 끼얹는 방법(일본국 특공평 1-30569호)이나 다이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다이높이 조정나사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커넥팅로드에 온도관리된 오일을 끼얹는 종래기술로는 오일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커넥팅로드의 길이를 온도조정한 오일로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여, 소정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얻는 것은 실질상 어려웠다. 또, 다이높이 조정나사기구에 의한 종래기술에서는 프레스운전 중은 조정나사의 흔들림을 없에기 위한 조정나사를 잠금너트로 잠그고, 다이높이 조정시에는 잠금너트에 의한 잠금을 해제하고나서 다이높이 조정하며, 그 후 다시 잠금너트에 의해 잠그지 않으면 안된다. 이 다이높이 조정나사 기구의 경우는 조정나사의 흔들림 때문에 프레스운전중에 이 다이높이 조정작업을 하면 잠금을 해제하고 있는 사이에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가 크게 변화해 버린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프레스 운전중의 커텍팅로드 등의 열팽창에 기인하여 변화하는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의 보정수단으로서는 반드시 유효한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작업을 프레스정지중은 물론이고 프레스 운전중에도 할 수 있고,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정확하게 보지하는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위치 조정장치는 크랭크축에 연결된 커넥팅로와, 이 커넥팅로드에 플런저, 이 플런저에 유압실린더를 통해 연결된 슬라이드를 구비한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장치와로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플런저를 개재하여 상기 커넥팅로드에 일단쪽이 연결된 피스톤로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실린더 본체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밑쪽에 유압실을 구비하고 있다. 이 유압실에 압력조정수단을 통하여 조정한 압유가 공급 배출된다.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주에는 일단쪽이 커넥팅로드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쪽이 상기 실린더 본체에 결합된 신축부재(伸縮部材)가 장착되며, 이 신축부재는 상기 유압실의 유압조정에 의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한다.
프레스정지중에 압력조정수단으로 실린더 본체내의 유압실의 유압을 승압하면 실린더 본체에는 눌리는 하중이 작용하며, 이 눌리는 하중은 피스톤로드의 외주에 끼워맞추어진 통상(筒狀)의 신축부재에 전달되어, 이 신축부재는 신장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하사점위치는 내려간다. 이 위치가 당초의 목표하사점 위치이며, 이후 프레스 운전을 개시한다. 이 프레스 운전으로 케넥팅로드 등이 열팽창하여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가 내려갔을 때는 유압실의 유압을 낮추고, 이것에 의해 신축부재에 작용하고 있는 눌리는 하중을 감소시켜 신축부재의 신장량을 작게함으로써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상승시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 결과로서 프레스하중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계프레스(1)를 도시한다. 크라운(crown)(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부터의 동력으로 플라이 휠이 회전하며, 클러치를 거쳐 크랭크축(3)이 회전하도록 배설되며, 크랭크축(3)의 편심부(3A)에는 커넥팅로드(4)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커넥팅로드(4)의 하단에는 제2도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관한 장치를 개재하여 슬라이드(5)가 연결되며, 크랭크축(3)의 회전으로 슬라이드(5)는 상하동(上下動)한다. 슬라이드(5)에는 상형(6)이 취부되며, 베드(bed)(7)상의 볼스터(bolster)(8)에는 하형(9)이 취부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럼(column)(10)에는 슬라이드(5)의 하사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이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커넥팅로드(4)의 하단에는 핀(12)으로 플런저(13)가 연결되며, 플런저(13)는 크라운(2)에 고정된 가이드부재(14)로 안내되면서 상하동한다. 플런저(13)에는 피스톤로드(16)가 볼트(13A)로 결합되며, 유압실린더(15)의 실린더 본체(17)는 슬라이드(5)에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로드(16)의 외주에는 통상의 신축부재(19)가 끼워져 있으며, 신축부재(19)의 상단(19A)은 볼트(13A)로 피스톤로드(16), 플런저(13)에 연결되어 있다. 신축부재(19)의 내주면은 피스톤로드(16)의 외주면에 대하여 슬라이드 자유로이 되어 있으며, 신축부재(19)의 하단의 플랜지부(19B)는 피스톤로드(16)의 하단의 피스톤부(16A)로부터 윗쪽으로 간격(S) 분리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7)의 상면에는 암나사부재(20)가 고정되며, 더욱 그 위에 제1,제2캡부재(21)(22)가 취부되어 있다. 이들 제1,제2캡부재(21)(22)로 만들어진 공간에는 피니언(23)이 수납되며, 피니언(23)은 제2캡부재(22)상의 회전부재(24)를 수동 또는 모터 등의 구동수단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축(25)을 통하여 회전한다.
신축부재(19)의 외주에는 숫나사부재(26)가 회전자유로이 끼워져, 숫나사부재(26)의 숫나사부(26A)는 암나사부재(20)의 암나사부(20A)와 이 맞물려 있다. 숫나사부재(26)의 상부에는 피니언(23)과 이 맞물리는 톱니부(26B)가 형성되며, 이 때문에 피니언(23)이 회전하면 숫나사부재(26)도 회전한다. 숫나사부재(26)의 하단에는 플랜지부(26C)가 형성되며, 제2도의 상태에서는 이 플랜지부(26C)와 신축부재(19)의 하단플랜지부(19B)가 맞닿아 있다.
이상에서, 유압실린더(15)의 실린더 본체(17)에 유압실의 유압을 승압함으로써 상하방향의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는 제2도의 점선(A)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하중은 암나사부재(20), 숫나사부재(26)를 통해 신축부재(19)에 전달되는 것으로 된다. 환언하면, 신축부재(19)는 유압실린더(15)의 축방향으로 실린더 본체(17)와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신축부재(19)는 실린더 본체(17)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신축부재(19)의 탄성계수에 따른 길이만큼 신장변화한다. 그리고, 이 때는 신축부재(19)의 신장변형에 의해 슬라이드(5)의 하사점 위치는 변화한다. 이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의 변화량은 피스톤(16A)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신축부재(19)의 탄성계수에 의거하여 결정한다.
실린더 본체(17)내에는 피스톤로드(16)의 피스톤부(16A)의 밑쪽에 유압실(27)이 설치되며, 실린더 본체(17)내에는 유압실(27)의 윗쪽에 유압실(28)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본체(17)의 측벽부에는 이들 유압실(27)(28)과 연통하고 있는 압유의 급배구인 포트(29)(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포트(29)(30)에 접속된 유압회로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포트(29)(30)에는 유압관로(31)(32)의 종단이 접속되며, 이들의 유압관로(31)(32)의 도중에는 파일럿이 붙은 첵크밸브(33), 전환밸브(35)가 설치되며, 유압관로(31)(32)의 시단(始端)에는 압유공급원(36), 오일탱크(37)가 접속되어 있다.
또, 유압관로(31)에는 유압관로(38)가 접속되며, 유압실(27)에 압력조정용의 유압공급원으로 부터의 압유를 공급하기 위해 유압공급원과 이 유압관로(38)의 도중에는 압력제어밸브(39)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제어밸브(39)는 서보드라이버(40)로 부터의 신호로 전환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서보드라이버(40)에는 신호비교수단(41)이 접속되어 있다. 신호비교수단(41)에는 하사점 위치 결정수단(42)과 제1도에 도시한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이 접속되며, 신호비교수단(41)과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과의 사이에는 래치회로(4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신호비교수단(41)과 래치회로(43)에는 제어수단(44)이 접속되어 있다.
압력조정수단(45)은, 이상의 압력제어밸브(39), 서보드라이버(40), 신호비교수단(41),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 래치회로(43), 제어수단(44)에 의해 구성되어, 유압실린더(15)의 유압실(27)의 유압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전환밸브(35)를 위치(35C)로부터 (35A)로 전환하면, 유압실(27)에 압유가 공급되어 유압실(28)로부터 압유가 배출됨으로써 피스톤로드(16)가 상승하여 유압실린더(15)는 신장 작동함과 동시에 신축부재(19)는 피스톤(16A)에 작용하는 유압으로 신장변형하며, 재료를 프레스가공하는 준비가 갖추어졌다.
또, 형교환 등에 사용하는 다이높이 조성은 전환밸브(35)를 위치(35C)로 전환하여 압력제어밸브(39)를 위치(39A)로부터 (39C)로 전환하여 유압실(27)의 유압을 강압한 후 회전부재(24)로 피니언(23)을 회전시켜, 숫나사부재(26)를 암나사부재(2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신축부재(19)를 통해 실린더 본체(17)를 피스톤로드(16)에 대하여 상승(유압실린더 15의 길이가 단축되는 동작)시킨다든지, 실린더 본체(17)를 피스톤로드(16)에 대하여 하강(유압실린더 15의 신장동작)시켜 다이높이를 조정한다.
다이높이 조정후는 전환밸브(35)를 위치(35C)로부터 (35A)로 전환함과 동시에 압력제어밸브(39)를 위치(39B)로 전환하여 유압실(27)에 압유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압유의 압력이 피스톤(16A), 피스톤로드(16), 신축부재(19)를 통해 숫나사부재(26)에 작용하여 암나사부재(20)에 대한 숫나사부재(26)의 흔들림 발생이 방지되며, 나사부재(20)(26)에 의한 조정나사는 잠금상태로 된다.
한편, 전환밸브(35)를 위치(35B)로 전환하면 제2유압실(28)에 공급된 유압은 암나사부재(20)를 통해 실린더 본체(17)와 결합상태의 숫나사부재(26)의 플랜지부(26C)의 하면 및 신축부재(19)의 플랜지부(19B)의 상면에 압력을 작용시킴과 동시에 유압실(27)로부터 압유가 배출되기 때문에 실린더 본체(17)는 피스톤로드(16)에 대하여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제1도에서 도시한 크랭크축(3)을 회전시키지 않아도 슬라이드(5)를 상승시킬 수가 있는 상형(6)과 하형(9)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금형의 조정작업을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15)는 금형조정작업시에 사용하는 퀵다이오픈기구(quick die-opening mechanism)의 실린더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새로운 금형을 사용하여 프레스가공을 시작할 때는 상술한 퀵다이오픈기구에 의하여 금형조정작업을하며, 이후, 다이높이 조정기구의 피니언(23)을 회전시킴으로써 다이하트 조정작업을 하고, 이 작업에 의해 슬라이드(5)의 높이위치가 새로운 금형의 프레스가공시의 높이(다이높이)보다 약간 높게 한다. 이후, 제3도에서 도시한 압력조정수단(45)의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에 의해 슬라이드(5)의 하사점 위치를 새로운 금형의 다이높이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위치인 소정하사점 위치에 설정한다. 이어, 크랭크축(3)의 회동으로 슬라이드(5)가 하사점 위치까지 도달하면, 이 때의 슬라이드(5)의 높이 위치는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으로 검출된다.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으로 부터의 신호(Pi)는 래치회로(43)에 보내어져 슬라이드(5)의 하사점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보지된다. 제어수단(44)에 도시하지 않은 조작수단으로부터 압력조정작업 개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수단(44)은 래치회로(43)로부터 신호(Pi)를 신호비교수단(41)에 보냄과 동시에 신호비교수단(41)은 신호(Pi)와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으로 부터의 신호(Ps)를 비교하여, 이 결과를 신호(Si)로 하여 서보드라이버(40)에 보낸다. 이 때 슬라이드(5)의 높이위치가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의 설정치보다 높으면, 그 편차에 따라 서보드라이버(40)는 압력제어밸브(39)를 전환제어하고 유압실(27)의 유압을 조정한다.
이 결과, 유압실(27)의 유압은 설정해야 할 압력으로 승압되며, 피스톤(16A)에는 유압에 의한 누르는 하중이 작용한다. 이 누르는 하중은 제2도에서 도시한 점선(A)과 같이, 신축부재(19)에 전달되며, 신축부재(19)는 신장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5)는 밑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압력제어밸브(39)는 유압실(27)의 유압이 신호(Pi)와 (Ps)와의 편차에 따르도록 전환제어되기 때문에, 유압실(27)의 유압은 소정의 압력으로 되며,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는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으로 설정된 정확한 위치로 된다.
이상의 작업에서는, 제4도에서 도시한 플로차트로 도시되어 있다(스텝 S1~S3 참조).
제4도에 의해 프레스운전중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작업을 다시 설명한다.
프레스운전을 개시하면(스텝 S4), 이 프레스운전시에 있어서 슬라이드(5)의 1회전마다의 상하동에 있어서의 하사점 위치는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으로 검출된다(스텝 S5). 슬라이드(5)의 1회의 상하동마다에 검출된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의 신호(Pi)는 래치회로(43)에 보지되며, 슬라이드(5)가 하사점 위치로부터 상승행정도중의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이 때의 크랭크축(3)의 크랭크 각도를 검출하는 센서로 부터의 신호가 제어수단(44)에 입력되어, 제어수단(44)은 래치회로(43)로부터 신호(Pi)를 신호비교수단(41)에 입력시킴과 동시에, 신호비교수단(41)으로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으로 부터의 신호(Ps)와 신호(Pi)를 비교시킨다(스텝 S6).
이 비교에 있어서,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가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으로 설정된 바와 같이 정확한 위치인 경우에는 압력제어밸브(39)는 전환위치(39A)를 유지한다. 한편, 프레스 운전개시후 슬라이드(5)가 연속하여 상하동하여 커넥팅로드 등이 열팽창하였기 때문에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가 정확한 위치보다 밑쪽으로 어긋난 경우에는 신호비교수단(41)로 부터의 신호로 서보드라이버(40)는 압력제어밸브(39)를 위치(39A)로부터 위치(39C)로 신호(Ps)와 (Pi)와의 편차에 따라 전환한다.
압력제어밸브(39)가 위치(39C)로 전환되면, 유압실(27)의 유압은 일정압력까지 강하한다(스텝 S7). 이 결과, 실린더 본체(17)에 작용하고 있던 누르는 하중은 감소하는 것으로 되고, 신축부재(19)에 작용하고 있던 인장력은 작게되기 때문에 신축부재(19)의 신장량은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는 상승하며, 소정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된다.
또, 스텝(S6)에 있어서,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가 정확한 위치보다 윗쪽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신호비교수단(41)로 부터의 신호를 받은 서보드라이버(40)에의하여 압력제어밸브(39)는 신호(Pi)와 (Ps)와의 편차에 따라 위치(39A)로부터 위치(39B)로 전환하며 유압실(27)의 유압은 일정압력까지 승압된다(스텝 S8).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는 내려가는 것으로 되며, 소정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상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작업은 슬라이드(5)가 1회 상하동 할 때마다 행하여지며, 프레스운전의 정지(스텝 S9)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프레스운전을 정지하여, 금형교환을 하고 다음의 프레스작업을 시작할 때는 스텝(S1)에서 시작하는 이상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면, 정확한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얻으면서 프레스작업을 할수 있게 되며, 이 결과, 프레스하중도 적정치로 된다.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작업은 프레스 정지중이라도, 또 프레스운전중이라도 할 수 있으며, 이 조정작업 때문에 프레스의 운전을 정지시킬 필요는 없고,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면서 프레스 작업을 효율좋게 할 수가 있다.
더욱, 본 실시예의 의하면, 유압실린더(15)는 퀵다이오픈기구로서도 동작하는 것이며, 또 신축부재(19)의 외주에는 다이높이 조정기구를 구성하는 숫나사부재(26)를 끼워 맞추어 놓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관한 장치는 다이높이 조정작업도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 제5도와 같이, 유압관로(38)에 유압센서(46)를 접속하여 유압실(27)의 유압의 크기를 상시 검출할 수 있도록 하여, 압력제어밸브(39)가 위치(39A)로부터 위치(39C) 또는 (39B)로 전환한 후 유압센서(46)에 의하여 유압실(27)의 크기가 소정압력(소정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얻어지는 압력)이 된 것을 검출했을 때, 유압센서(46)에서의 신호를 받은 서보드라이버(40)가 압력제어밸브(39)를 위치(39A)로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술한 압력조정수단(45)은 이와 같은 구성의 것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장치는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의 변화에 따라 변하는 프레스 가공시의 프레스하중을 조정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사점 위치 설정수단(42) 대신에 프레스 하중 설정수단을 사용하고,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11)에 대신하여 프레스 하중 검출수단을 사용한다. 이 프레스 하중검출수단은 펀치나 다이 혹은 슬라이드 등에 취부된다.
또, 상기 실시예의 기계프레스는 커넥팅로드(4)의 수가 2개인 타잎의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장치는 이 수가 1 또는 3 이상의 기계프레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욱, 상기 유압실린더(15)는, 퀵다이오픈기구용의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관한 장치는 기계프레스에 설치하는, 예를 들면 스틱이탈기구(stick-disengagement mechanism)용 유압실린더, 과부하 안전장치용 유압실린더의 것으로 바꾸어 구성할 수 있으며, 또, 퀵다이오픈기구를 포함하지 않은 본 발명에 관한 장치전용의 유압실린더를 기계프레스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확한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작업을 조정나사의 로크를 해제하지 않고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게다가 이 작업을 프레스 정지중은 물론이고 운전중에도 할 수 있게 되어 고정도가공을 달성할 수 있다고 하는 종래에 없는 우수한 효과를 성취하는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

  1. 크랭크축에 연결된 커넥팅로드와, 이 커넥팅로드에 유압실린더를 개재하여 연결된 슬라이드를 구비한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플런저를 개재하여 상기 커넥팅로드에 일단쪽이 연결된 피스톤로드와, 상기 슬라이드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로드에 대해 상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 본체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밑쪽에 구비된 유압실과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압실에는 압력조성수단을 통하여 조정한 압유가 공급, 배출되며; 상기 피스톤로드의 외주에는 일단쪽이 플런저를 개재하여 상기 커넥팅로드에 연결됨과 동시에 타단쪽이 상기 실린더 본체에 결합된 신축부재가 장착되며, 이 신축부재는 상기 유압실의 유압조정에 의하여 신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수단으로 상기 유압실의 유압을 조정함으로써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수단은 상기 유압실에 접속된 압력조정밸브와, 상기 슬라이드의 근방에 설치한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과을 포함하고, 슬라이드가 상하동할 때마다의 하사점 위치 검출치를 출력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압력조정밸브는 상기 하사점 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치와 소정의 설정치와의 편차에 의거하는 전환동작으로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를 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KR1019940023979A 1993-12-27 1994-09-23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KR100259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31347 1993-12-27
JP33134793A JP3345144B2 (ja) 1993-12-27 1993-12-27 プレス機械のスライ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176A KR950017176A (ko) 1995-07-20
KR100259876B1 true KR100259876B1 (ko) 2000-06-15

Family

ID=1824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979A KR100259876B1 (ko) 1993-12-27 1994-09-23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45072A (ko)
EP (1) EP0659546B1 (ko)
JP (1) JP3345144B2 (ko)
KR (1) KR100259876B1 (ko)
DE (1) DE69403764T2 (ko)
TW (1) TW2456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7197B1 (de) * 1994-01-18 1997-10-08 GFM Gesellschaft für Fertigungstechnik und Maschinenbau Aktiengesellschaft Schmiedemaschine
US5682813A (en) * 1996-03-27 1997-11-04 The Minster Machine Company Press shutheight control through hydraulic pressure
US6267050B1 (en) * 1998-11-25 2001-07-31 The Minster Machine Company Quick access/adjustment piston
DE19857744B4 (de) * 1998-12-15 2007-05-16 Schuler Pressen Gmbh & Co Presse mit Stempelverstellung, insbesondere zur Massivumformung
JP2003117698A (ja) * 2001-10-10 2003-04-23 Komatsu Ltd プレス機械のスライド駆動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4759414B2 (ja) * 2006-03-16 2011-08-3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プレス機械
US7265728B1 (en) 2006-05-30 2007-09-04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tenna and system thereof
EP1870230A1 (de) * 2006-06-23 2007-12-26 Haulick + Roos GmbH Presse, Stanz- oder Umformautomat
EP1870231A1 (de) * 2006-06-23 2007-12-26 Haulick + Roos GmbH Verfahren zum Verstellen des unteren Totpunktes eines Stössels sowie Press-, Stanz- oder Umformautoma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7030772B4 (de) * 2007-07-03 2013-05-16 Schuler Pressen Gmbh & Co. Kg Lastumkehrfreie Stößelanschlusseinrichtung
JP5267842B2 (ja) * 2008-01-30 2013-08-21 株式会社Ihi プレス機械とその調節方法
CN102079148B (zh) * 2010-11-12 2014-05-14 济南二机床集团有限公司 压力机摆臂式安全拴
ES2458269B1 (es) * 2012-10-30 2015-02-03 Fagor, S.Coop. Prensa mecánica adaptada para procesos de conformado, y método
TWI487846B (zh) * 2013-02-07 2015-06-11 聖約翰科技大學 可調整活塞移動行程的油壓缸
KR101952405B1 (ko) 2018-10-05 2019-06-17 강호근 프레스 슬라이드의 높이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5404A (en) * 1959-09-01 1961-10-24 Tucker & Sons Hydraulic connecting unit for punch-press rams
US4011809A (en) * 1974-04-03 1977-03-15 L. Schuler Gmbh Press with hydraulic overload safety device and ram weight counterbalancing mechanism
DE2424783C3 (de) * 1974-05-22 1980-09-18 Maschinenfabrik Weingarten Ag, 7987 Weingarten Vorrichtung zum Verändern des Abstandes zwischen Tisch und Stößel an einer Presse
DE2621727A1 (de) * 1976-05-15 1977-12-08 Schuler Gmbh L Presse mit veraenderbarem abstand eines stoessels von einem tisch und entlastbarem druckkissen
JPS541266A (en) * 1977-06-07 1979-01-08 Amino Tekkosho Kk Apparatus for reducing contact load in metallmold mating machine
US4166415A (en) * 1978-04-21 1979-09-04 Gulf & Western Manufacturing Company Press having overload responsive slide shut height adjusting mechanism
JPS59137133A (ja) * 1983-01-28 1984-08-07 Komatsu Ltd プレスのダイハイト自動補正装置
US4677908A (en) * 1985-12-11 1987-07-07 Aida Engineering, Ltd. Slide adjusting device for a press
EP0273604B1 (en) * 1986-12-04 1991-04-17 Kabushiki Kaisha Kosmek Die-height adjusting device of mechanical press
JP2507740B2 (ja) * 1987-05-29 1996-06-19 株式会社 アマダ プレス機械におけるダイハイト調整装置
CH671730A5 (ko) * 1987-06-25 1989-09-29 Nestle Sa
JPH01180800A (ja) * 1987-12-28 1989-07-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液圧室荷重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29223B2 (ja) * 1991-06-28 1995-04-05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プレス機械の下死点位置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45683B (en) 1995-04-21
KR950017176A (ko) 1995-07-20
EP0659546B1 (en) 1997-06-11
US5445072A (en) 1995-08-29
DE69403764D1 (de) 1997-07-17
JP3345144B2 (ja) 2002-11-18
DE69403764T2 (de) 1998-01-15
EP0659546A1 (en) 1995-06-28
JPH07185898A (ja) 1995-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9876B1 (ko) 기계프레스의 슬라이드 하사점 위치 조정장치
US5493959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slide bottom dead center position of mechanical press
KR100509376B1 (ko) 프레스 기계
US3122033A (en) Die forging press
US537968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pressing force of press machine
US586270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ering rack bars
US4311086A (en) System for damping abrupt movement of a punch press ram
KR100247366B1 (ko) 유압프레스의 슬라이드 제어방법
JP2000312998A (ja) プレスたわみ制御装置
US4233872A (en) Hydraulic shock absorption in punch or cutting presses
GB2311478A (en) Press shutheight control system
KR100579535B1 (ko) 기계프레스의 가공력 측정방법 및 그 장치
JPH08112699A (ja) 機械プレスのスライド装置
JPH08174297A (ja) プレス機械のダイハイト調整装置
US67154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free clearances in a press shut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6772682B1 (en) Press shutheight adjustment using bolster hydraulic tie rod assemblies
US4372144A (en) Wrap ring assembly for precision no-draft forging
US2236154A (en) Press combination having means for avoiding jamming
JPH07185890A (ja) プレス機械のスライド装置
JP6907092B2 (ja) 鍛造プレス及びその制御方法
US6688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gib-slide clearance using a pressurized chamber combination
JP3298112B2 (ja) 機械プレスの加圧力保持装置
JP2003200299A (ja) プレス機械
JP2001009600A (ja) 機械プレスの加工力の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1543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