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933B1 - 냄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냄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933B1
KR950006933B1 KR1019880002595A KR880002595A KR950006933B1 KR 950006933 B1 KR950006933 B1 KR 950006933B1 KR 1019880002595 A KR1019880002595 A KR 1019880002595A KR 880002595 A KR880002595 A KR 880002595A KR 950006933 B1 KR950006933 B1 KR 950006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ing device
odor removing
ozone generator
motor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782A (ko
Inventor
준기 미야까미
유조 요시오까
가주히꼬 오또지
히로야수 나까가와
도시유끼 쉬로우주
푸미오 야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3752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715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44990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5262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449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715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5901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22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6050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22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369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8021U/ja
Priority claimed from JP60892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6914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706291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522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211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416583U/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782A/ko
Publication of KR950006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6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using an ozone gener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냄새제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냄새제거장치의 기본구조를 표시하는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또 다른 냄새제거장치의 기본구조를 표시하는 투시도.
제3도는 단위구성에서 냄새제거장치를 표시하고 그리고 제1도의 기본구성을 표시하는 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장치의 전기회로 표시도.
제6도는 제1도의 장치에 연결된 냉장고의 내부배치 표시도.
제7도는 제2도의 장치에 연결된 냉장고의 내부배치 표시도.
제8도는 제6도와 제1도의 장치를 위한 제어회로를 표시한 블록도.
제9도와 제10도는 제8도의 제어회로의 작동을 설명하는 비교시간표.
제11도와 제12도는 더욱 상세하게한 제8도의 회로를 표시한 부분도.
제13도는 산출된 오존량과 비교를 위한 본 발명의 냄새제거장치와 종전의 비교용장치에 의해 설정된 고압 발전단위의 일차전압과의 관계표시도.
제14a도에서 제14c도까지는 제8도의 제어회로의 작동을 설명하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채널 2 : 공기입구
4,10 : 냄새제거촉매 6 : 오존발생기
15a,15b : 블레이드 16a : 잭
19 : 다이오드 20 : 저항기
본 발명은 공기중에 있는 산소를 오존으로 전환함으로서 공기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냉장고와 같이 그러한 저장실에서의 효용을 위한 냄새제거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예를들면 탄소의 흡착성질을 이용하여 그곳에 저장된 식품에서 방출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활성탄소(active carbon)가 냉장고에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활성탄소는 포화상태로 냄새를 흡수하는데에는 매번 교체가 필요하다. 더우기 활성탄소는 포화상태가 되었는가 아닌가를 알아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짧은시간동안에 필요한 교체를 하기가 어려운 결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냄새제거장치는 냄새를 가지고 있는 공기속의 약간의 산소를 무성방전(silent discharge)에 의해 오존으로 전환되는 것은 이미 제안되었고 그리고나서 냄새를 제거하기위해 촉매의 표면상의 공기로서 재반응이 된다.
이러한 냄새제거장치로서 냄새의 성분은 오존으로 활성화된 냄새제거 촉매에 의해서 분해되어 산화하고 그리고 그와동시에 오존의 초과량은 산소로 분해되고(2O3→3O2) 그리고 그것은 그 장치에서 발산한다.(참조 일본실용신안 특개소 60-24351)
그러나 종전의 관례적인 냄새제거장치는 전기모우터나 기능장애 혹은 약간의 다른 원인으로 그의 작동이 중지될때 잔여 오존이 저장실의 내부물질과 그곳에 저장되 있는 식품에 역작용이 초래하여 공기입구를 통해 케이스 밖으로 흘러나오는 결점이 있다. 이 장치는 또 다른 결점이 있다. 연장된 시간에 사용될때 냄새제거 촉매는 그 장치 밖으로 흘러나오는 산소중의 잔여 오존량을 증가하고 내부물질과 저장 식품에 역으로 영향을 주기 위해 잔여 오존의 농도를 더욱 높여주면서 감소된 오존의 분해효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공기입구와 공기출구를 가지고 있는한 케이스로 구성하는 냄새제거장치, 공기입구와 공기출구 사이의 공기흐름채널 안에 배치된 발사형의 오존 발생기, 냄새와 오존의 분해를 가속하기 위해서 그곳의 공기출구쪽의 공기흐름채널속에 배치된 가속기관 케이스의 범위내에 주어진 팬, 움직이는 팬의 케이스안에 주어진 전기모우터, 그리고 흘러나오는 오존의 초과를 방지하기 위해 그곳의 공기입구쪽의 공기흐름채널에 배치된 기관을 제공한다.
오히려 그 방지수단은 냄새와 오존의 분해를 가속하기 위한 둘째수단이다. 모우터가 공기입구쪽의 공기흐름채널에 배치되었을때는 방지수단은 전기모우터가 된다.
본 발명은 비록 전기팬의 작동이 중지되더라도 나머지 오존이 그 장치의 케이스 밖으로 흘러내리는 방법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에서 언급한 타입의 냄새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더우기 오존 발생기는 냄새제거장치가 설치되는 저장소의 수용량과 구성에 따라 예정된 오존량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지정된 간격에서 때때로 중단되게 작동된다. 게다가 저장소안의 오존농도는 발생기가 작동중 잔여 오존의 존재로 인한 증가와 발생기가 작동중지일때 오존이 산소(2O3→3O2)로 자발적분해의 효능, 누출, 기타 등등에 의한 감소하는 내부 오존농도의 그러한 변화를 활용하여 주어진 규정치 보다도 높지않게 제어할수 있도록 즉시 만들어진다.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냄새제거장치의 기본 구조를 표시한다.
제1도의 장치는 공개채널(1)을 마련하고 있고 그리고 그의 앞과 뒤에 냄새를 포함하고 있는 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공기입구(2)와 그리고 공기 출구(3)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를 가지고 있다.
채널을 통하여 흐름을 시작하는 공기를 위해 위치된 공기 흐름 채널(1)의 상류 끝부분의 입구(2)는 냄새와 오존의 분해를 감속하는 것을 위한 하니콤 구조의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냄새제거 촉매(4)로서 구성된다. 고압 발전부(5)는 촉매(4)에서 채널(1) 하류에 배치된다. 고압 발전부(5)에서 채널 하류에 배치된 것은 고압전극(7), 저압전극(8)과 그리고 전극지주(9)로 이루어지는 오존 발생기(6)이다. 공기 흐름 채널(1)은 더우기 촉매(4)와 같은 냄새제거 촉매(10)로 마련되어 있고, 그리고 오존발생기(6), 모우터(11)와 모우터(11)에 부착되어 있는 팬(12)으로부터 떨어져 하류에 위치되어 있다. 냄새제거 촉매(4), (10)는 냄새성분을 흡착하거나 혹은 분해하고 그리고 역시 오존의 초과를 분해할 수 있는 촉매활동력을 가지고 있다. 더욱 정확하게 이러한 촉매들은 기판표면을 피복하는 실리카와 산화망간으로된 티타니아의 조성기판을 이룬다.
상기의 구조의 냄새제거장치가 가동되면 모우터(11)가 팬(12)을 회전하고 그곳에 있는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공기입구(2)를 통해 장치안으로 들어온다. 그 반면에 고압은 고압발전부(5)에서 고압전극(7)과 저압전극(8)을 지나 무성방전을 일으키며 오존발생기(6)로 공급된다.
채널(1)안으로 들어오는 공기는 팬(12)에 의해 공기출구(3)쪽으로 보내여지는 동안 그 공기는 무성방전에 의해 산소가 오존(O3)으로 전환된다. 케이스(1a)안으로 흐르는 공기는 냄새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발생기(6)에 의해 산출된 오존과 함께 따라서 냄새제거촉매(10)를 통하여 통과한다.
오존으로 활성화한 촉매(10)는 산화와 관련있는 냄새요소를 분해하고 동시에 오존의 초과를 산소(2O3→3O2)로 분해하고 그리고나서 케이스(1a)로부터 출구(3)를 통하여 밖으로 내보낸다. 만약 팬(12)만이 오로지 기능장애로 인하거나 혹은 약간의 다른 원인으로 오존발생기(6)가 정상작동에 있는 동안 작동하지 않는다면 그 공기는 항상 입구(2)에서 출구(3)쪽으로 흐르나(전진흐름), 그러나 출구(3)에서 입구(2)쪽으로 흐르는것 같다(역흐름).
본 발명에 따라 만약에 오존이 그 장치에서 생산되어지고 있을때 역흐름이 발생하면 그 장치내에 있는 오존은 입구(2)를 통하여 통과하기전에 냄새제거촉매(4)에 의해 산소로 분해된다. 이것은 개량된 안정성으로 사용가능한 장치를 주어서 입구(2)에서 밖으로 흐르는 잔여 오존의 기능을 제거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화의 기본구조를 표시하는 투시도이다.
제2도의 냄새제거장치는 공기흐름채널(1)을 마련하는 수직의 케이스(1b)를 가지고 있는 그리고 그의 더 낮고 그리고 더 높은 끝부분에 각각 따로따로 냄새 함유의 공기를 안으로 들여오기 위한 공기입구(2)와 그리고 공기출구(3)를 가지고 있다.
입구(2)와 출구(3) 사이에는 채널(1)이 언급된 순서로 입구(2)에서 출구(3)를 향하여 하류로 조정된 모우터(11), 모우터(11)에 부착되어 있는 팬(12), 오존발생기(6)와 하니콤 냄새제거촉매(10)가 마련되어 있다. 장치가 가동될때 모우터(11)는 팬(12)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오존을 산출하기 위하여 고압전극(7)과 저압전극(8)을 지나 오존발생기(6)에서 무성방전이 발생하면 그곳에 있는 냄새를 함유하고 있는 공기는 흐름채널(1)로 들어오게된다.
채널(1)에 들어온 공기는 팬에 의해 출구(3)쪽으로 보내여진다. 이때에 공기중의 냄새요소는 오존에 의해 활성된 냄새제거촉매(10)와 접촉하여 냄새나지 않는 요소로 분해하기위해 가속되는 산화에 의하여 지배된다. 산소의 초과는 역시 촉매(10)를 통해 통과할때 산소로 분해된다.
팬(12)이 정상적인 작동을 할 동안 발생기(6)에서 온 오존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촉매(10)를 통해 통과함으로서 분해되고 그러므로서 그와 같이 흘러나오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약 모우터가 어떤 이유 혹은 다른 이유로 멈추면 오존은 거꾸로 공기입구쪽으로 흐를것이고 종래의 장치의 케이스 속에서 밖으로 흘러나오고 그에 반하여 역흐름은 공기입구(2), 모우터(11), 오존발생기(6), 냄새제거촉매(10), 그리고 공기출구(3)는 위로 향해 최하의 위치에서 조정되는 수직형의 본 냄새제거장치로서 회피가 가능하다.
비록 본 장치의 모우터(11)가 팬(12)을 멈추기 위해 폐쇄되면 폐쇄 모우터(11)에서 방출되는 열이 위로 향한 공기 흐름을 만들고 발생기(6)에 의해 산출된 오존은 강제로 위로 향하게 하고 그리고 입구(2)를 경유하여 흘러나오는 것을 막게된다.
제1도와 제2도의 기본 구조의 냄새제거장치는 냉장고와 같이 저장소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할 수가 있는 그러한 단위 형태로서 일반적으로 나눌수 있고 그리고 그러한 것들은 저장소에서 통합된다.
제3도는 제1도의 기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단위 형태의 냄새제거장치의 투시도이고, 제4도는 부분적인 단면도이고 그와 같은 것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그리고 제5도는 제3도의 장치의 전기회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도면들은 변압기 케이스(13)를 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교류 100V를 교류 23V, 변압기(14)의 일차권선에 연결된 블레이드(15a), (15b) 그리고 받아들일 수 있는 교류 100V에 삽입될 수 있게 그곳에 있는 플러그(16b)를 이동하여 받을수 있기위해 잭(16a), 그의 한끝에 플러그(16b)를 가지고 있는 케이스(1a)의 다른끝에 고정되고 케이블(17)을 통해 공급된 교류전류를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19), 그리고 LED(18)를 위한 전류의 고정을 위한 저항기(20)를 끼우는 변압기 케이스(13)를 표시한다. 제1도와 제3도를 통하여 제5도까지는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다.
장치가 사용되어질때 케이스(1a)는 문을 가지고 있는 예시되어 있지않은 냉장고안의 선반에 위치해 있고 케이블(17)의 앞끝부분은 냉장고 몸체와 그의 문 사이의 틈 사이를 통하여 냉장고에서 나오고 케이블(17)은 접착 테이프로 냉장고의 내부벽에 고정된다. 반면에 블레이드(15a)(15b)가 케이스(13)를 고정하는 방의 내부벽에 받아 들일 수 있는 교류 100V에 삽입된다. 케이블 끝부분에 있는 플러그(16b)는 그곳에서 LED(18)가 온이고 모우터(11)와 오존 발생기(6)를 작동하는 곳의 잭(16a)에 삽입된다. 냉장고 안에 있는 냄새를 함유한 공기는 제4도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것과 같은 곳에서 케이스(1a)속으로 흡수되고 악취를 없애고 그리고 방출된다. 변압기(4)는 이심(TWO-CORE) 케이블(17)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냉장고에서 밖으로 빼낼 수가 있는 축소원 형태의 케이스(17)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일을 한다.
제6도는 제1도의 장치를 결합 냉장고의 내부 배열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제7도는 냉장고속에서 동일하게 결합되는 것과 같은 제2도의 장치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6도와 제7도에 관하여 21은 냉장고이고 22는 문이고, Sd는 문스위치로서 문을 닫는데 사용되며 23은 온도감지기로서 냉장고의 내부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 제2도, 제6도 및 제7도의 동일부품에는 동일한 참조숫자 기호로 표시되어있다. 제7도에 관하여 공기흐름채널(1)은 U-형상이고, 그리고 공기출구(3)에 배치되어 있는 팬(12)은 공기입구(2)에 위치하는 모우터(11)에 의해 작동된다.
제8도는 제7도와 동일하게 제6도의 냄새제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를 표시한 단편적인 블록도이다.
제어회로는 트라이액 혹은 계전기접촉 모우터(11)를 가동하기 위한 전류의 존재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 검출회로(26)와 정전압회로(27)와 같은 ROM, RAM, CPU와 I/O 포오트, 100V 교류전원장치(25), 스위칭소자(Sf), (So)를 이루는 마이크로 컴퓨터(24)를 포함한다. 전원장치(25)는 전력을 스위칭소자(Sf)와 전류검출회로(26)를 경유하여 모우터(11)에 공급하고 그리고 역시 스위칭소자(Sf), (So)와 정전압회로(27)의 방법에 의해 고압발전부(5)와 공급한다.
마이크로 컴퓨터(24)는 스위칭소자(Sf), (So)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문스위치(Sd), 온도감지기(23)와 전류검출회로(26)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제9도는 스위칭소자(Sf), (So)와 그리고 문스위치(Sd)의 작동을 표시하는 시간표이고 제10도는 온도감지기(23)의 출구에 따라 제어되는 스위칭소자(So)의 기간중의 변화를 표시하는 시간표이다. 이러한 도면에 관하여 냄새제거장치의 작동과 작동의 특징이 전반에 걸쳐 설명되어진다. 마이크로 컴퓨터(24)는 타이머를 가지고있고(Ta 타이머와 Tb 타이머), 그리고 그것은 이 기간동안 작동중에 오존발생기(6)를 관리하며 타임(Ta)의 기간동안에 스위칭소자(So)를 유지하고(Ta 모우드), 그리고 제9도에서 표시한 것과같이 이 간격(Tb 모우드)동안 작동하지 않는 오존발생기(6)를 관리하여 시간간격(Tb)동안 스위칭소자(So)가 오프로 후에 유지하기 위하여 움직인다. 이 사이클은 반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냉장고(21)의 수용력과 그리고 냄새제거촉매(10)의 능력을 고려하여 Ta는 10분에 그리고 Tb는 20분에 고정된다. 이리하여 오존발생기(6)는 20분의 간격에서 10분간 간헐적으로 운전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냄새제거촉매(10)의 오존분해효율은 항상 100%가 아니고 공기출구(3)에서 냉장고로 흘러나가는 잔여 오존을 허용하고 냉장고안의 오존농도가 각 10년간의 주어진 규정치를 초과하는 결과는 오랜시간의 사용중에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라 오존발생기(6)는 언제나 규정치 하에서 내부 오존농도를 유지하도록 위에서 언급한 간격에서 간헐적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내부 오존의 농도는 대단히 높은 안정성으로 냄새제거장치를 실시가능하게 하면서 20년간 0.1ppm의 규정치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더우기 마이크로 컴퓨터(24)는 그곳에 있는 장시간의 타이머(본 실시예에서 3일간의 기간측정을 위한 3일 타이머)에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그것이 만약에 문(22)이 내부 오존농도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3일 이상동안 규정시간의 기간보다 더 이상 닫히면 오존발생기(6)와 모우터(11)를 강제적으로 잠그는 기능을 한다.
더우기 문스위치(Sd)에서 닫는 신호(Sd=오프)에 응하여 마이크로 컴퓨터(24)는 후에 언급하는 것과 같이 모우터(11)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그리고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간격(Tb)에서 (Ta)기간동안 오존발생기를 작동한다. 만약 문이 이 모우드의 제어동안 열려있으면 모우터(11)과 오존발생기(6)는 문동작으로 에너지를 잃게된다.
모우터(11)와 발생기(6)는 그로부터 문을 닫으므로써 에너지를 공급받게 되고 그래서 Ta 혹은 Tb 타이머는 남이있는 시간의 기간동안 작동(혹은 작동중지)에서 오존발생기(6)를 유지하기 위해 그의 시간측정작동을 다시 하게 된다.
따라서 문의 개폐는 장치의 온기간 혹은 오프간격에는 변화가 없다.
더우기 만약 문이 예를들면 몇일동안의 오랜시간 동안 닫혀있으면 오존발생기(6)는 모우터(11)는 증가하는 내부오존농도를 방지하기 위해서 강제로 에너지가 상실된다.
오존발생기에는 발생된 오존양의 변화인 방전전극 주위의 온도와 습도에 의하여 무성방전이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냄새가 높은 온도에서는 매우 강하게 나고 그러나 낮은 온도에서는 약간 덜하여 온도에 따라 냄새제거장치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오존감지기(23)에 의해 검출되는 냉장고의 내부온도에 따라 생산되는 오존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 적용된다. 더욱 정확하게 장치는 스위칭소자(So)가 내부온도(Th)가 고정된 온도(TS)(5℃)보다 더 낮지 않고 이에 반하여 만약 온도(Th)가 고정된 온도(TS)보다 더 낮게 되면 그 사이클이 매우 변화히기 때문에 스위칭소자(So)는 제10b도에서 표시한것과 같이 생산되는 오존의 양을 감소하기 위해서 7분간 온이고 20분간은 오프일때 제10a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10분간은 온(오존의 생산을 위해) 그리고 20분간은 오프인 사이클로서 간헐적으로 운전된다.
더욱 다수의 온도대 들이 내부온도(Th)에 비교할 수 있도록 오존의 양을 조정할수있게 간헐적인 작동을 위해 더욱 상세하게 변화한 시간의 비율을 알릴수 있도록 제공되어진다.
만약 간헐적인 작동시간 비율이 온도감지기(23) 대신 습도감지기를 사용하여 유사하게 조정한다면 습도증가에 의한 오존의 양을 감소하는 것도 보충될 수가 있다.
다음은 팬(12)을 가동하는 모우터(11)의 작동을 설명하겠다. 이미 언급한 바와같이 모우터(11)는 스위칭소자(Sf)에 의해 제어되고 그리고 회전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24)의 신호에 의해서 온과 오프시 회전된다.
제9도에서 표시한것과 같이 스위칭소자(Sf)의 신호 온은 타임(t1)의 기간에 의한 고압발전부(5)를 작동하기 위해 스위칭소자(So)의 온신호 보다도 더 앞서 주어진다. 스위칭소자(Sf)의 오프신호는 오프신호가 스위칭소자(So)에 주어진 후에 타임(t2)의 기간을 산출하게 된다.
이리하여 고압발전부(5)가 작동될때 모우터(11)는 처음 작동되고 그리고 고압발전부(5)는 그후 타임(t1)의 기간을 작동하기 시작한다. 더우기 고압발전부(5)가 작동을 중지한후 규정시간(t2)의 결과이상이면 모우터(11)는 에너지가 상실된다. 이 모우터의 제어는 제7도에서 표시한 냄새제거장치의 케이스에서 특히 공기입구(2)를 통해 케이스(1a)에서 반대로 흘러나오는 오존을 방지하면서 앞방향에 잔여 오존이 흐르도록 한다. 비록 모우터(11), 오존발생기(6)의 간헐적인 작동을 계속적 독립적으로 작동하더라도 모우터(11)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간의 연장기간과 전력의 절약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간헐적으로 운전된다.
제6도의 냄새제거장치로서 잔여 오존은 오존발생기(6)와 같이 같은 간격에 모우터(11)가 간헐적으로 작동하도록 냄새제거촉매(4)에 의해 산소로 전환된다.
다음은 제11도에 관하여 전류검출회로(26)는 모우터(11)와 직렬로 연결되는 저항기(R1), 저항기(R1)와 저항기(R2)를 포함하여 병렬로 연결되는 직렬회로, 다이오드(28)와 커패시터(29) 그리고 커패시터(29)의 반대 끝부분과 저항기(R3)와 포토 커플러(PHOTOCOUPLER)(30)를 포함하여 연결되는 직렬회로로 이루어져있다. 모우터(11)가 정상작동을 하고 있을때 저항기(R1)는 매우 낮은 교류전압을 발생하고 그리고 그것은 다이오드(28)와 커패시터(29)에 의해서 직류전압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포토 커플러(30)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는 온이 되고 그리고 그곳에 있는 광트랜지스터도 역시 모우터(11)가 정상 작동하고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24)에 지시하여 전도하게 된다. 만약 제동이 모우터(11)에서 발생하며는 커패시터(2)에 전압이 주어지지 아니하므로 포토 커플러(30)내의 발광 다이오드는 오프가 되어 저항기(R1)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것은 모우터(11)가 작동중지인 것을 가르킨다.
모우터(11)안의 브레이크가 검출될때 고압발전부(5)는 오존발생기(6)가 오존의 생산을 중지하도록 하여 에너지가 상실된다.
더욱 정확하게 만일 브레이크가 냄새제거장치의 작동중 어떤 이유나 혹은 또 다른 이유로 팬(12)을 중지시키기 위해 모우터(11)에서 발생하면은 전류검출회로(26)는 위에서 말한 이유로 인해 이것을 검출하고 그래서 마이크로 컴퓨터(24)는 고압발생부(5)의 에너지가 상실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오존발생기(6)는 모우터(11)의 정지로 인한 오존의 유출을 제외하고는 오존을 발생하지 않는다. 스위칭소자(Sf)와 (So)는 아래에서 언급하는 것과 같이 제어회로에 연결된다.
스위칭소자(Sf)는 모우터(11)로 이루어지는 병렬회로로 직렬 그리고 고압발전부(5)와 스위칭소자(So)의 직렬회로로 연결되어있다.
따라서 온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24)에 의해 간헐적으로 발생되면 스위칭소자(Sf), (So)는 고압발전부(5)와 모우터(11)의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닫혀진다.
스위칭소자(So)가 기능장애 때문에 언제든지 온이라고 가정한다면 고압발전부(5)는 에너지화가 되지도 않고 만일 스위칭소자(Sf)가 온이 아니고 예를 들면 만약에, 모우터(11)가 운전되지 않으면 오존발생기(6)는 오존을 생산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만약 오존이 모우터(11)가 중지되어 있는 동안 생산되지 않으면 오존은 냉장고 안으로 흐르고 그리고 특히 제2도, 제7도에서 표시한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 큰 위험에 빠지게 된다. 더우기 만약 스위칭소자(Sf)가 기능장애이고 그리고 어떤 이유 때문에 닫히지 않는다면 고압발전부(5)는 마찬가지이고 에너지가 상실되고 그리고 오존발생기(6)는 오존을 생산하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구조는 예를 들면 높은 안전성의 냄새제거장치를 보증하고 스위칭소자(Sf), (So)의 기능장애 혹은 결함 때문에 계속적인 오존생산을 제거한다.
고압발전부(5)와 정전압회로(27)는 제12도와 제13도에 관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제12도는 다이오드(31), (32), (33) 일차권선(35)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다이리스터(THYRISTOR)(34), 오존발생기(6)에 연결되어있는 이차권선(36), 저항기(37), (38), (39) 그리고 커패시터(40), (41)를 표시한다. 고전압은 커패시터(41)의 충전과 방전 그리고 다이리스터(34)의 전도와 비전도에 의해 오존발생기(6)에 적용된다.
발생기(6)에 의해 생산되는 오존의 양은 고압발전부(5)로부터 적용된 전압과 변화를 주어 정전압을 발생기(6)에 적용함으로서 일정하게 만들어져야 한다.
더 정확하게 제13도 곡선(A)에 관하여 언급한 산출된 오존의 양은 고압발전부(5)의 일차 전압으로 변화하여서 일정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발명에 따라 고압발전부(5)를 위해 제공된 정전압회로(27)는 제13도 곡선(B)에서 표시한 것과 같은 일정한 양의 오존을 생산하기 위해 발생기에 능력을 주고 그리고 안정된 냄새제거장치의 장치를 보증하고 일정한 전압을 오존발생기(6)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만든다.
정전압이란 비록 고압 발전부의 일차 전압이 80에서 120V까지의 범위에서 변화할지라도 표준치에 관한 ±5%에 이를때가지 변화의 범위가 고압발전부(5)의 이차전압에 속하는 것을 말한다.
냄새제거장치의 작동은 제14a도에서 제14c도까지 순서도면에 관하여 총괄적으로 기술하겠다. 장치가 작동을 시작할때 제어계통은 초기치 설정이다(스텝 101). 순서도에서 표시한 순서는 0.1초의 경과(스텝 102)로서 문(22)이 정검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24)의 내부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것과 같이 0.1초의 간격에서 단계적으로 일어난다.
만약 그것이 문스위치(Sd) 오프로서 닫혀있는 것이 발견되면은 3일 타이머는 시작된다(스텝 103, 104). 3일 타이머가 계속 작동중 일때는(스텝 105), Ta 모우드는 따라가고 그리고 그 안에서 스위칭소자(Sf)와 (So) 둘다가 온이된다(스텝 107).
만약 모우터(11) 브레이크가 없으면 Ta 타이머는 출발된다(스텝 109). 온도감지기(23)에 의해 검출된 온도는 설정온도(Ts)(5C)(스텝 110)보다 낮지 않고 그리고 10초의 경과면 시간(Ta)(스텝 111), 모우드는 시행된다(스텝 112). 만약 Th가 스텝 110에 있는 Ts보다 낮고 그리고 시간(Ta) 7분이 경과하면 Tb 모우드가 실시된다. Tb 모우드에서는 Tb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Tb)이 t1(스텝 114)까지 일때는 스위칭소자(Sf)만이 온으로 된다. 만약 t1<Tb<t2+t3이면 스위칭소자(Sf)와 (So) 둘다 오프가 되고 혹은 만약 Tb
Figure kpo00001
t2+t3일때 스위칭소자(Sf)만이 온이된다(스텝 116 혹은 117). Tb 타이머가 Tb 타이머를 마감하면(20분)(스텝 118, 119) Ta모우드가 다시 따른다(스텝 120). 문(22)이 3일간 닫혀있을때는 스위칭소자(Sf)와 (So) 둘다는 오프가된다(스텝 121). 문(22)이 그후에 열리면(스텝 122) 3일 타이머는 고쳐놓는다(스텝 123).
만약 문(22)이 Ta 혹은 Tb 모우드에서 열리면(스텝 103), 스위칭소자(Sf)와 (So) 둘다는 오프가 되고 그리고 3일 타이머는 고쳐놓는다(스텝 124, 123).
본 발명에 따라 냄새제거장치는 위에서 설명한것과 같은 냉장고나 그리고 역시 자동차 객실과 같은 닫힌 방에 편리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Claims (29)

  1. 공기입구와 출구로 구성된 케이스와 공기입구와 출구 사이의 공기흐름 채널에 배치된 방전형의 오존발생기와 냄새 및 오존의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그곳의 공기 출구측에서 공기흐름 채널내에 배치된 촉진수단과 케이스안에 설치된 팬과 팬을 작동하기 위해 케이스내에 설치된 전기모우터와 흘러나오는 오존의 초과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입구측의 공기 흐름 채널에 배치된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지 수단은 냄새와 오존의 분해를 촉진하기 위한 둘째 촉진수단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방지 수단은 모우터이고, 그 모우터는 공기입구측의 공기 흐름 채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촉진수단은 하니콤 구조로 된 플레이트의 형이고 또한 냄새와 오존의 분해를 촉진을 가능하게 하는 물질로서 만들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공기입구, 모우터, 둘째 촉진수단, 오존발생기, 첫째 촉진수단, 팬과 공기 출구는 공기 흐름 채널내에서 순서대로 정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모우터와 오존발생기는 상용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강압 변압기의 출력 전압에 의해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강압 변압기는 냄새제거장치의 케이스에서 분리된 케이스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장치의 케이스는 이심 케이블에 의한 변압기의 케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이심 케이블은 변압기 케이스에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변압기 케이스가 리셉터클에 변압기를 연결하기 위해 상용 전원 리셉터클에 삽입할 수 있는 블레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문이 있는 냉장고 안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모우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첫째 제어수단과 규정된 온-과 오프-기간으로 오존발생기를 간헐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둘째 제어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첫째 제어수단이 둘째 제어수단에 의해 오존발생기의 간헐적인 작동과 작동 제어관계에 있는 모우터를 간헐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첫째 제어수단이 이 오존발생기의 작동기간보다 더 길고 포함하는 시간의 기간 동안의 작동에서 모우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모우터는 그의 구동 전류회로에 포함되는 전류검출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전류검출수단이 모우터의 운전전류의 결여를 검출하고 둘째 제어수단이 오존발생기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7. 제1항, 2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오존발생기가 그의 전원공급 입력측에서 정전압회로를 가지고 있는 고압발전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공통 전류 전원은 구동 전력을 모우터와 오존발생기(6)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첫째 제어수단은 교류 전원에서 모우터와 오존발생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를 개폐하는 첫째 스위칭 수단을 가지고 있고 둘째 제어수단은 첫째 제어수단으로부터 오존발생기까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의 개폐를 위한 둘째 스위칭 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0. 재12항에 있어서, 첫째와 둘째 제어수단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냉장고는 그의 내부에 온도감지기 혹은 습도감지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둘째 제어수단은 온-과 오프-기간으로 제어된 오존발생기를 간헐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온도감지기 혹은 온도감지기에서 출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3. 제12항에 있어서, 냉장고는 문을 개폐하는 작동을 하는 문스위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둘째 제어수단은 오존발생기의 간헐적인 작동의 온-기간을 측정하고 고정하는 첫째 타이머를 가지고 있고 오존발생기의 간헐적인 작동과 첫째 타이머의 작동 측정을 방해하고 첫째 타이머와 오존발생기가 그들의 작동을 다시 시작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5. 제23항 또는 24항에 있어서, 둘째 제어수단은 문이 닫혀있는 시간 동안의 기간을 측정하기 위한 둘째 타이머를 가지고 있는 적어도 미리 설명한 시간의 기간동안 문이 닫혀 있을때 오존발생기의 작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6. 제1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냉장고의 내벽을 부분적으로 이용하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7. 제2항에 있어서, 공기입구, 둘째 촉진수단, 오존발생기, 첫째 촉진수단, 모우터, 팬 그리고 공기출구는 이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8. 제3항에 있어서, 공기 흐름 채널은 U형상이고 공기입구, 모우터, 오존발생기, 첫째 촉진수단, 팬 그리고 공기출구는 이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29. 제3항에 있어서, 공기입구, 모우터, 팬, 오존발생기, 첫째 촉진수단과 공기출구는 중력의 방향에 대하여 상향의 장치의 더 낮은 끝부분에서 이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장치.
KR1019880002595A 1987-03-13 1988-03-12 냄새제거장치 KR950006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7520 1987-03-13
JP1987037520U JPH0417152Y2 (ko) 1987-03-13 1987-03-13
JP?62-37520 1987-03-13
JP?62-44989 1987-03-25
JP4499087U JPS63152627U (ko) 1987-03-25 1987-03-25
JP?62-44990 1987-03-25
JP62-44989 1987-03-25
JP62-44990 1987-03-25
JP1987044989U JPH0417153Y2 (ko) 1987-03-25 1987-03-25
JP1987059013U JPH0415220Y2 (ko) 1987-04-17 1987-04-17
JP?62-59013 1987-04-17
JP62-59013 1987-04-17
JP1987060501U JPH0415221Y2 (ko) 1987-04-20 1987-04-20
JP62-60501 1987-04-20
JP?62-60501 1987-04-20
JP62-60369 1987-04-21
JP6036987U JPS63168021U (ko) 1987-04-21 1987-04-21
JP?62-60369 1987-04-21
JP6089287U JPS63169142U (ko) 1987-04-22 1987-04-22
JP?62-60892 1987-04-22
JP62-60892 1987-04-22
JP62-62918 1987-04-24
JP1987062918U JPH0415222Y2 (ko) 1987-04-24 1987-04-24
JP?62-62918 1987-04-24
JP11021187U JPS6416583U (ko) 1987-07-17 1987-07-17
JP62-110211 1987-07-17
JP?62-110211 1987-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82A KR880010782A (ko) 1988-10-24
KR950006933B1 true KR950006933B1 (ko) 1995-06-26

Family

ID=27576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595A KR950006933B1 (ko) 1987-03-13 1988-03-12 냄새제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04289A (ko)
EP (1) EP0282301B1 (ko)
KR (1) KR950006933B1 (ko)
AU (1) AU610566B2 (ko)
DE (1) DE388643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78B1 (ko) * 2005-02-19 2007-11-22 김성환 옥외공기를 이용한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8693A (ja) * 1987-04-16 1988-10-26 Yasunobu Yoshida 空気と水の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H02164420A (ja) * 1988-12-19 1990-06-25 Hitachi Ltd 冷蔵庫用脱臭装置
CA2011820C (en) * 1989-03-17 1995-12-05 Tomochika Ishii Sterilizing and deodorizing device
EP0390159B1 (en) * 1989-03-31 1994-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zone deodorizing device
JP2907439B2 (ja) * 1989-05-09 1999-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ファインセラミック沿面放電体
IL96555A0 (en) * 1989-12-08 1991-09-16 Union Carbide Chem Plastic Process and apparatus for de-polluting circulated air
ES2054570B1 (es) * 1992-04-29 1997-02-16 Fagor S Coop Mejoras introducidas en los medios anticondensacion de aparatos frigorificos domesticos.
JP2904328B2 (ja) * 1992-11-24 1999-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微生物繁殖防止装置
GB2302653B (en) * 1992-11-24 1997-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Microbe propagation preventing apparatus
US5325876A (en) * 1993-01-04 1994-07-05 Yang Tsung Hsun Ashtray with ozone generator and catalytic exchanger
KR0111186Y1 (ko) * 1993-09-07 1998-04-06 김광호 냉장고
US5501844A (en) * 1994-06-01 1996-03-26 Oxidyn, Incorporated Air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IL115559A (en) * 1994-10-13 2000-02-29 Balkany Alexander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ir in a building
US5573730A (en) * 1995-05-09 1996-11-12 Gillum; Theodore J.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irborne residues
US20020098109A1 (en) * 1997-09-17 2002-07-25 Jerry Nels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urified or ozone enriched air to remove contaminants from fluids
US5931016A (en) * 1997-10-13 1999-08-03 Advanced Thermal Technologies, Llc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multiple energy regeneration capabilities
US6167711B1 (en) * 1999-04-16 2001-01-02 Restaurant Technology, Inc. Sanitized ice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US7056476B2 (en) * 2000-06-15 2006-06-06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US20020051739A1 (en) * 2000-10-03 2002-05-02 Chi-Hsiang Wang Deodorizing apparatus for doored containers
JP2002153552A (ja) * 2000-11-20 2002-05-28 Toshiba Corp 脱臭装置
DE60139575D1 (de) 2000-12-12 2009-09-24 Tersano Inc Vorrichtung zur erzeugung und applikation von ozonisiertem wasser
GB0100714D0 (en) * 2001-01-11 2001-02-21 Ozone Ind Ltd Air treatment system
JP4028706B2 (ja) * 2001-09-28 2007-12-26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DE10203234A1 (de) * 2002-01-28 2003-07-31 Kendro Lab Prod Gmbh Dekontaminierbare Sicherheitswerkbank
JP2007500055A (ja) * 2003-05-08 2007-01-11 エコ−アールエ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気体状の流体から汚染物質を浄化および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
ATE530203T1 (de) * 2003-07-18 2011-11-15 David Richard Hallam Luftreinigungsvorrichtung
US7335240B2 (en) * 2004-12-15 2008-02-2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ir filter unit and service line enclosure for a refrigerator
US8257648B2 (en) 2004-12-21 2012-09-04 Scott Elro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odors in a blind
US20070212253A1 (en) * 2004-12-21 2007-09-13 Elrod Scott A Descenting systems and methods
US7939015B1 (en) 2004-12-21 2011-05-10 Parah, Llc Method of descenting hunter's clothing
US8187533B2 (en) * 2004-12-21 2012-05-29 Parah, Llc Descenting systems and methods
US20100289655A1 (en) 2004-12-21 2010-11-18 Elrod Scott A Detecting descented material
US8329096B2 (en) 2004-12-21 2012-12-11 Para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descented material
US20080118395A1 (en) * 2006-11-21 2008-05-22 Karen Benedek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impurities in air and materials
US8388900B2 (en) * 2007-11-21 2013-03-05 Primaira,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impurities in air and materials
US10702623B2 (en) 2006-11-21 2020-07-07 Bluezone Ip Holding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impurities in air and materials
KR20090056366A (ko) * 2007-11-30 200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품 선도 유지 장치 및 방법
US8092416B2 (en) 2008-03-28 2012-01-10 Vitalmex Internacional S.A. De C.V.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a blood pump without trapping air bubbles
US9479741B2 (en) 2012-04-04 2016-10-25 Guy LaMonte McClung, III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ng efforts to thwart material detection by service animals
US20170295828A1 (en) * 2014-09-08 2017-10-19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Methods of reducing contaminants in cocoa beans
CN105641730B (zh) * 2014-11-11 2019-03-01 天津市科易电子科技有限公司 除味装置
US10933159B2 (en) 2017-03-16 2021-03-02 Bluezone Ip Holding Llc Air treatment method
US10898604B2 (en) 2017-03-16 2021-01-26 Bluezone Ip Holding Llc Air treatment system
US10933158B2 (en) 2017-03-16 2021-03-02 Bluezone Ip Holding Llc Ai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2240668A (zh) * 2019-07-17 2021-01-1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FR3100315B1 (fr) * 2019-08-27 2021-09-24 Nateosante purificateur d’air avec production et capture d’ozone.
FR3106283B1 (fr) * 2020-01-21 2022-08-12 Jean Angelidis dispositif de désodorisation et/ou de purification d'air
US11384974B2 (en) * 2020-12-14 2022-07-1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14562A (en) * 1925-03-14 1929-05-28 Air Conditioning & Eng Ventilating system
US1837296A (en) * 1927-10-26 1931-12-22 Arthur R Speer Household ozonizer
US1961878A (en) * 1932-02-10 1934-06-05 Frigidaire Corp Removal of tobacco smoke from air
US2116480A (en) * 1936-01-17 1938-05-03 Climax Machinery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air
US2173073A (en) * 1936-10-19 1939-09-12 Carl W Pierson Air treatment device
US2203188A (en) * 1936-12-08 1940-06-04 Beer Henri Bernard Treatment of air
US2212109A (en) * 1937-12-22 1940-08-20 Siemens Ag Device for ozonizing refrigerators
US2331147A (en) * 1938-07-23 1943-10-05 Franklin S Smith Preservation of foods in transit
US2920622A (en) * 1955-06-06 1960-01-12 Van H Steel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energy carrier states of oxygen in inspired air
US3230033A (en) * 1962-09-12 1966-01-18 Lockheed Aircraft Corp Enclosed chamber air purification apparatus
US3421836A (en) * 1964-07-03 1969-01-14 Benjamin Capla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zonizing air circulating in a confined refrigerated space
JPS5234276B2 (ko) * 1974-06-10 1977-09-02
FR2498083B1 (ko) * 1981-01-19 1986-05-23 Charbonnages De France
FR2552597B1 (fr) * 1983-09-23 1989-12-29 Degremont Sa Dispositif d'alimentation en energie electrique pour generateur d'ozone
US4780277A (en) * 1985-05-10 1988-10-25 Shinry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jecting gases to discharge treatment
US4842829A (en) * 1985-11-19 1989-06-27 Tohkai Kogyo Co., Ltd. Deodoriz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678B1 (ko) * 2005-02-19 2007-11-22 김성환 옥외공기를 이용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782A (ko) 1988-10-24
AU1281688A (en) 1988-09-15
EP0282301B1 (en) 1993-12-22
DE3886433T2 (de) 1994-07-07
AU610566B2 (en) 1991-05-23
US4904289A (en) 1990-02-27
EP0282301A3 (en) 1990-04-18
DE3886433D1 (de) 1994-02-03
EP0282301A2 (en) 198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933B1 (ko) 냄새제거장치
US7056476B2 (en)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US5893944A (en) Portable PSA oxygen generator
JP3754601B2 (ja) 冷蔵庫
JP5211820B2 (ja) 空気調和機
EP0390159B1 (en) Ozone deodorizing device
JPH02150683A (ja) 冷蔵庫用脱臭装置
JPH0125268Y2 (ko)
JP2007144110A (ja) 脱臭装置
JP5861204B2 (ja) 小型脱臭器
JPH0415220Y2 (ko)
JP3060596B2 (ja) 脱臭装置
JPH0417152Y2 (ko)
JPS61209665A (ja) 脱臭装置
JPH0445823A (ja) オゾン脱臭器
JPH0423556Y2 (ko)
CN213221610U (zh) 一种臭氧除臭装置
JPH01256784A (ja) 冷蔵庫
JPH0336483A (ja) 冷蔵庫等の脱臭装置
JPH0339885A (ja) 脱臭装置
JPH0417153Y2 (ko)
JPH0342924Y2 (ko)
JPH02265617A (ja) 電池を電源とするオゾン脱臭器
JPH03290537A (ja) トイレ用脱臭装置
KR100789814B1 (ko) 냉장고용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