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159B1 -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159B1
KR950006159B1 KR1019910005199A KR910005199A KR950006159B1 KR 950006159 B1 KR950006159 B1 KR 950006159B1 KR 1019910005199 A KR1019910005199 A KR 1019910005199A KR 910005199 A KR910005199 A KR 910005199A KR 950006159 B1 KR950006159 B1 KR 95000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ventilation
exhaust
damp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138A (ko
Inventor
마사또 시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토 후미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구성의 개략적 측면도.
제2도는 환기장치 본체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는 흡기 및 배기댐퍼 부분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어회로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6도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기장치 본체 11 : 렌지
12 : 의류 건조기 14 : 세면대
15 : 변기 16 : 석유 스토브
21a : 흡기댐퍼 24a : 배기댐퍼
30 : 제어장치 33 : CPU
34 : 기억장치 35 : 설정수단
본 발명은 방에 설치된 복수의 기기 사용상황에 따라서 환기장치 본체의 운전상황을 변화시키도록 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환기량의 변화를 가스센서 혹은 사람검지센서 등에 의해서 검지하고 환기 풍량을 변화시켜서 에너지 절약을 꾀하는 것이, 예를들면 일본 특공평 01-50825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가스센서는 가스의 종류에 따라서 검출 정도가 다르고, 또 사람 검지센서는 방의 온도 혹은 습도에 의해서 검출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방의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환기량에 대해 과부족하게 된다는 불합리점을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에 설치된 복수 기기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환기장치 본체의 운전이 항상 최적의 환기량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되고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방을 최적상황으로 환기할 수 있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환기 시스템은 흡기팬과 배기팬이 1개의 상자에 들어 있는 동시 흡·배기 타입의 환기장치 본체 ; 복수의 방에 형성된 흡기구와 배기구를 각각 상기 환기장치 본체에 연결시키는 복수의 덕트 ; 상기 각 덕트에 설치된 복수의 댐퍼 ; 및 상기 복수의 방에 설치된 1이상의 기기의 사용 상황에 관한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환기 장치 본체를 운전·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각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이 제어장치는 각 방에 설치된 상기 기기의 사용 상황에 따른 각 방의 환기량 설정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상기 설정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각 방의 환기량을 계산하는 연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사용 상황에 따른 신호는 각 방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각 기기의 ON-OFF 전환신호, 동작모드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억수단에 각 방에 설치된 기기들의 동작 상황에 따라서 설정되는 환기량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설정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각 기기의 동작 상황에 따라서 상기 댐퍼가 열리는 정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각 방에 설치된 기기의 사용 상황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동시 흡·배기 타입 환기장치 본체를 운전·제어하면서 동시에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각 방에 있는 기기들의 사용 상황에 가장 적합한 환기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기기들의 사용 상황에 따른 각 방의 환기량 설정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상기 설정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각 방의 환기량을 계산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여 최적의 환기를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방을 항상 쾌적하게 환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제어 장치가 각 기기의 동작 상황에 따라서 상기 댐퍼의 열리는 정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각 방의 환기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은 천정 위에 설치되는 공기 환기팬 등의 환기장치 본체이며, 그 내부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흡기용 모토(2)에 의해서 구동되는 흡기팬(3), 배기용 모터(4)에 의해서 구동되는 배기팬(5), 및 열교환기(6)가 있으며, 흡입구(7)에서 흡기팬(3)을 통하여 흡입된 실외공기는 제2도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6)내를 통해서 배출구(8)에 송풍되고, 또 흡입구(9)에서 배기팬(5)을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제2도에서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6)를 통하여 배출구(10)에 송풍되고 열교환기(6)에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제1도에 있어서, "A"는 부엌, "B"는 세면장, "C"는 변소, "D"는 거실을 나타내며, 부엌(A)에는 렌지(11)와 이 렌지(11)의 위쪽에 렌지 후드 팬(12)이 설치되며, 세면장(B)에는 의류건조기(13) 및 세면대(14)가 설치되어 있다. 변소(C)에는 온수세정 기능과 보온 좌석을 가진 변기(15)가 설치되어 있고 거실(D)에는 석유스토브(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7) 및 배출구(10)에 연결되는 덕트(17)(18)은 각각 실외로 통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배출구(8)로 통하는 덕트(19)는 부엌(A), 세면장(B), 변소(C) 및 거실(D)의 각 흡입구(20A), (20B), (20C), (20D)에 연결되어 있는 흡기통(21)(제3도 참조)에 각각 접속되며, 흡입구(9)로 통하는 덕트(22)는 세면장(B), 변소(C) 및 거실(D)의 각 배기구(23B), (23C), (23D)에 연결되어 있는 배기통(24)(제3도 참조)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각 흡기통(21) 및 각 배기통(24)에는 제3도에 도시된 형태의 흡기댐퍼(21a) 및 배기댐퍼(2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흡기통(21)의 실내쪽에 부착된 흡기그릴(25)과 실내쪽에 부착되어진 배기그릴(26)은 바람을 안내하는 경사판(25a), (26a)의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 흡기댐퍼(21a) 및 배기댐퍼(24a)가 열리는 정도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구(28)에서 모터(27)의 회전을 감속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제1도에 있어서 "2"”는 상용 전원을 받는 분전반으로서 전원선을 통해서 렌지(11), 렌지후드팬(12), 의류건조기(13), 세면대(14), 변기(15), 석유스토브(16)등 각 기기, 흡기구(20A)-(20D)와 배기구(22B)-(22D)에 설치되어 흡기댐퍼(21A)와 배기댐퍼(24a)의 열림 정도를 조정하는 모터(27) 및 환기장치 본체(1)의 흡기용 모터(2)와 배기용모터(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분전반(29)에 접속되는 제어장치(30)는 제5도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같이 입력회로(31), 출력신호회로(32), CPU(33), 기억장치(34) 및 필요 환기량(기기의 사용상황에 따른 필요한 배기량) 설정수단(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억장치(34)에는 각 기기 즉 렌지(11), 의류 건조기(13), 세면대(14), 변기(15), 석유스토브(16)등의 설치시에 설정수단(35)에 의해 설정된 기기의 사용 상황에 따른 렌지후드팬(12) 및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이 기억되어 있다. 렌지(11)가 강하게 켜져 있을때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qA1로 기억되어 있고, 또 렌지후드팬(12)의 배기 풍량은 qR1로 기억되어 있으며, 렌지(11)가 강하게 켜져 있지 않은 통상 운전시에는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qA2로 기억되어 있고, 렌지후드팬(12)의 배기 풍량은 qR2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의류건조기(13)가 강하게 켜져 있고 세면대(14)의 스위치가 켜져있을 때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qB1이고, 또 의류건조기(13)만이 강하게 켜져있을 때의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qB2로 기억된다.
그리고 의류건조기(13)가 강하게 켜져 있지 않은 통상의 운전 상태이며 세면대(14)의 스위치가 켜져 있을때에는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이 qB3으로 기억되고, 세면대(14)의 스위치가 꺼져 있다면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qB4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의류건조기(13)의 스위치가 꺼져 있고 또 세면 화장대(14)의 스위치가 켜져 있을 때는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이 qB5이고, 세면대(14)의 스위치가 꺼져 있으면 세면장소(B)를 위한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0"으로 기억된다.
한편, 변기(15)의 좌변기 스위치가 켜져 있을 때는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 qC1으로 기억되고, 상기 좌변기 스위치가 꺼져 있으면 변소(C)를 위한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0"으로 기억되고 있다. 또 석유스토브(16)의 스위치가 켜져 있을 때는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이 qD1으로 기억되고, 상기 석유스토브(16)의 스위치가 꺼지면 거실(D)을 위한 환기장치 본체(1)의 송풍량은 "0"으로 기억된다.
한편, 부엌(A), 세면장(B), 변소(C), 거실(D)등 각 방에는 그 방에 배치되어 있는 기기의 운전 정지 및 운전시의 상황을 검지하는 운전정보수단(36), (37), (38), (39)이 설치되고, 각 운전정보수단(36), (37), (38), (39)은 검지된 신호를 처리하는 출력신호회로(36a), (37a), (38a), (39a)를 가지고 있으며, 이 출력신호회로 (36a), (37a), (38a), (39a)에서 처리된 신호가 주지의 전등선 반송수단(40)에 의해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통해서 제어장치(30)의 입력회로(31)에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 환기장치 본체(1) 및 렌즈후드팬(12)에는 운전제어장치(41), (42)가 설치되어 있고 각 운전제어장치(41), (42)에는 각각 입력회로 (41a), (4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장치(30)의 출력신호회로(32)에서의 운전 제어용 장치가 전등선 반송수단(43)을 통해서 입력회로(41a), (42a)에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부엌(A), 세면장(B), 변소(C), 거실(D)등 각 방에는 그 방에 연결된 흡기용 덕트에 설치되어 있는 흡기댐퍼(21a)의 개폐 및 열리는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흡기댐퍼 제어장치 (44), (45), (46), (47)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댐퍼 제어장치 (44), (45), (46), (47)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댐퍼 제어장치(44), (45), (46), (47)에는 제어장치(30)의 출력신호회로(32)에서의 운전제어 신호가 전등선 반송수단(43)을 통해서 (44a), (45a), (46a), (47a)에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세면장(B), 변소(C), 거실(D)등 각 방에는 그 방에 연결된 배기용 덕트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댐퍼(24a)의 개폐 및 열리는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배기댐퍼 제어장치 (48), (49), (50)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댐퍼 제어장치(48), (49), (50)에는 제어장치(30)의 출력신호회로(32)에서의 운전제어용 신호가 전등선 반송수단(43)을 통해서 입력회로 (48a), (49a), (50a)에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제6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부엌에 관한 작용
우선 단계 "S1"에서 방A(부엌)의 기기 즉 렌지(11)의 운전용 스위치가 온(운전중)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Yes라면 단계 "S2"로 넘어가고, 스위치가 강하게 커져 있는지(강온) 여부를 판단해서 Yes라면 단계 "S3"으로 넘어가서 제어장치(30)는 방 A에 설치된 흡기댐퍼(21a)를 완전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댐퍼 제어장치(43)에 보내어 이 흡기댐퍼(21a)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하고, 다음 단계 "S4"에서 제어장치(30)가 환기 장치 본체(1)의 송풍량(QA)을 QA=qA1로 설정하며, 다음 단계 "S5"에서 제어장치(30)가 렌지후드팬(12)의 배기풍량(QR)을 QR=qR1이 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렌지후드팬(12)의 운전제어장치(42)로 보내면 이 렌지후드팬(12)의 배기풍량(QR)을 상기 풍량이 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2"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6"으로 이행하여 제어장치(30)는 방 A에 설치된 흡기댐퍼(21a)을 각도 "αA"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댐퍼제어장치(44)로 보내고 이 흡기댐퍼(21a)를 각도 "αA"의 열림각도로 설정하고, 다음 단계 "S7"로 이행하여 제어장치(30)는 송풍량(QA)을 (QA)=qA2로 설정하고, 다음 단계 "S8"로 이행하여 제어장치(30)는 배기풍량(QR)을 QA=qA2로 되도록 하기 위한 신호를 렌지후드팬(12)의 운전제어장치(42)에 보내고, 이 렌지후드팬(12)의 배기풍량(QR)이 상기 풍량이 되도록 제어한다.
단계 "S1"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9"로 이행하여 제어장치(30)가 방 A에 설치된 흡기댐퍼(21a) 완전 닫힘으로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흡기댐퍼 제어장치(44)에 보내면 이 흡기댐퍼(21a)를 완전 닫힘 상태로 되며, 단계 "S10"에서 제어장치(30)는 송풍량(QA)을 QA=0으로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5", "S8"또는 "S10"이 완료되면 방 A의 환기 상태 설정이 완료되고 다음 방 B의 설정을 위해서 단계 "S11"로 이행한다.
(2)세면장에 관한 작용
우선 단계 "S11"에서 방 B(세면장)의 기기, 즉 의류건조기(13) 스위치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Yes라면 단계 "S12"로 이행하고, 스위치가 강온인지 아니면 판단하여 Yes라면 단계 "S13"로 이행하여 세면대(14)의 스위치가 온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라면 단계 "S14"로 이행한다. 제어장치(30)가 방 B에 설치된 배기댐퍼(24a)를 완전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 배기 댐퍼제어장치(48)로 보내면 이 배기댐퍼(24a)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되며, 다음 단계 "S5"에서 제어장치(30)가 방 B에 설치된 흡기댐퍼(21a)를 완전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흡기댐퍼 제어장치(45)로 보내면 이 흡기댐퍼(21a)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되고, 다음 단계 "S16"에서 제어장치(30)가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 풍량(QB)을 QA=Q+qB1로 설정한다.
단계 "S13"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17"로 이행하고 제어장치(30)는 방 B에 설치되어진 배기댐퍼(24a)를 각도 "αA"만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배기댐퍼 제어장치(48)로 보내면 이 배기댐퍼(24a)는 각도 "αA"의 개방 상태로 되고, 다음 단계 "S18"로 이행하여 제어장치(30)가 방 B에 설치되어진 배기댐퍼(24a)를 각도 "αA"만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배기 댐퍼제어장치(48)에 보내면 이 배기댐퍼(24a)는 각도 "αA"의 개방상태로 되고, 다음 단계 "S18"로 이행하여 제어장치(30)가 각 방 B에 설치되어진 흡기댐퍼(21a)를 각도 "αB1"만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흡기댐퍼 제어장치(45)로 보내면 이 흡기댐퍼(21a)는 각도 "αB1"의 개방 상태로 되고, 다음 단계 "S19"로 이행하여 제어장치(30)가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QB)을 QB=QA+qB2로 설정한다.
단계 "S12"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20"으로 이행하여 세면대(14)의 스위치가 온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Yes라면 단계 "S21", 단계 "S22", 단계 "S23"을 단계 "S17"-"S19"로 준하는 순으로 행한다. 단계 "S21"에서 배기댐퍼(24a)는 각도 "αB2"의 개방상태로 되고, 단계 "S22"에서 흡기댐퍼(21a)는 각도 "αB2"의 개방상태로 되고, 단계 "23"에서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량(QB)을 QB=Q+qB3로 설정한다.
단계 "S20"에서 NO라고 판단되면 단계 "S24", 단계 "S25", 단계 "S26"을 단계 "S21"-"S23"에 준하는 순서로 행한다. 단계 "S24"에서 배기댐퍼(24a)는 각도 "αB3"의 개방상태로 되고, 단계 "S25"에서 흡기 댐퍼(21a)는 각도 "αB3"의 개방 상태로 되고, 단계 "S25"에서 댐퍼(21a)는 각도 "αB3"의 개방상태로 되고, 단계 "S26"에서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QB)을 QB=QA+qB4로 설정한다.
단계 "S11"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27"로 이행하여 단계 "S23"및 "S20"과 같은 양상의 판단이 행하여진다. 단계 "S27"에서 Yes라고 판단되면 단계 "S28", 단계 "S29", 단계 "S20"을 단계 "S24"-"S26"에 준하는 순으로 행한다. 단계 "S28"에서 배기댐퍼(24a)는 각도 "αB4"의 개방상태로 되어 단계 "S20"에서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QB)을 QB=QA+qB5로 설정한다.
단계 "S27"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31", 단계 "S32"”, 단계 "S33"을 단계 "S28"-"S30"에 준하는 순으로 행한다. 단계 "S31"에서 배기댐퍼(24a)는 같이 완전 닫힘 상태로 되고 단계 "S30"에서 배기장치본체(2)의 배기 및 흡기용량(QB)을 QB=QA로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6" "S19" "S23" "S26" "S30" 또는 "S33"이 완료되면 방 B의 환기 상태의 설정이 완료되고 다음으로 방 C의 설정을 위해서 단계 "S34"으로 이행한다.
(3) 변소에 관한 작용
우선 단계 "S34"에서 방 C(변소)의 기기 즉 변기(15)의 좌석스위치가 온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Yes라면 단계 "S35"로 이행하고 단계 "S35", 단계 "S36", 단계 "S37"을 단계 "S14"-"S16"에 준하는 순으로 행한다. 단계 "S35"에서 배기댐퍼(24a)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되고, 단계 "S36"에서 흡기댐퍼(21a)는 같이 완전 닫힘 상태로 되어 단계 "37"에서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QC)을 QC=QB+qC1으로 설정한다.
단계 "34"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38", 단계 "S40"을 단계 "S35"-"S37"에 준하는 순으로 행한다. 단계 "S38"에서 배기댐퍼(24a)는 같이 완전 닫힘 상태로 되며 "S39"에서 흡기댐퍼(21a)는 완전 닫힘 상태로 되고, 단계 "S40"에서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QC)을 QC=QB로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37"또는 단계 "S40"이 완료되면 방 C의 환기 상태 설정이 완료되고 다음으로 방 D의 설정을 위해서 단계 "S41"으로 이행한다.
(4) 거실에 관한 작용
우선 단계 "S41"에서 방 D(거실)의 기기 즉 석유스트브(16)의 스위치가 온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Yes라면 단계 "S42"로 이행하고 단계 "S42" 단계, 단계 "S43", 단계 "S44"를 단계 "S35"-"S37"에 준하는 순으로 행한다. 단계 "S42"에서 배기댐퍼(24a)는 완전 개방 상태로 되고, 단계 "S43"에서 흡기댐퍼(21a)는 같이 완전 닫힘 상태로 되고 단계 "S44"에서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QD)를 QD=QC+qD1으로 설정한다.
단계 "S41"에서 NO로 판단되면 단계 "S45", 단계 "S46", 단계 "S47"를 단계 "S38"-"S40"에 준하는 순으로 행한다. 단계 "S45"에서 배기댐퍼(24a)는 완전 닫힘 상태로 되고, 단계 "S46"에서 배기댐퍼(21a)와 같이 완전 닫힘 상태로 되고, 단계 "S47"에서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QD)를 QD=QB로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44" 또는 단계 "S47"이 완료되면 단계 "S48"로 이행하여 환기장치 본체(1)의 배기 및 흡기풍량을 QD로 하는 송풍기 제어신호 송신 단계를 행하고 설정신호가 제어장치(30)의 출력신호회로(33)에서 전등선반송수단(43)에 의해 환기장치 본체(1) 운전제어장치(41)의 입력회로(41a)에 부여되고 이 환기장치 본체(1)의 흡기용 및 배기용 모터(2), (4)에 부여되는 신호에 기초하는 송풍량으로 운전·제어되고 각 방 A 내지 D의 환기량은 사용(온)되고 있는 기기에 필요한 환기량으로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방 A 내지 D에 설치된 렌지(11), 의류건조기(13), 세면대(14), 변기(15), 석유스토브(16)등 복수의 기기 사용 상황에 따른 신호가 제어장치(30)에 부여되고 이 신호를 기초로하여 제어장치(30)가 환기장치 본체(1)의 필요한 환기 풍량을 계산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환기장치 본체(1)의 운전, 즉 환기량이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복수 기기의 사용상황에 따라서 환기장치 본체(1)의 운전이 항상 최적의 환기량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되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방을 쾌적하게 환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어장치(30)는 방 A 내지 D에 설치된 복수기기의 각 사용 상황에 따라 환기량 설정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치(34) 및 기억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기량을 산출하는 CPU(33)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환기장치 본체를 단순하게 운전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환기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지만 제어장치(30)로서는 단지 운전되고 있는 기기의 갯수를 기초로하여 환기 풍량을 변화시키는 정도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도 소기의 목적을 어느 정도는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기기의 복수의 방 A 내지 D에 적절하게 배치되고 각 방의 흡기구 및 배기구가 덕트를 통해서 환기장치 본체(1)에 연결되고 각 방의 흡입구 및 배기구가 각각 댐퍼(21a), (24a)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기기가 복수의 방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 각 방을 최적의 환기량으로 환기시키도록 하지만 반드시 복수방을 동시에 환기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방에 기기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같은 양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댐퍼(21a), (24a)는 기기의 사용 상황에 따른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제어장치에 의해 열리는 정도가 조정되기 때문에 복수의 방을 환기할 경우에 각 방의 환기량이 환기장치 본체(1)의 전체 송풍량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각 방의 각 댐퍼(21a), (24a)의 열리는 정도를 조정하지 않을 경우에 비해서 한층 정밀한 흡기 및 배기량의 제어를 할 수 있지만 흡기 및 배기댐퍼(21a), (24a)의 열리는 정도 조정은 필요에 따라서 적용하면 되고 일부 방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환기시스템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기팬과 배기팬이 1개의 외부상자에 들어 있는 동시 흡·배기 타입의 환기장치 본체 ; 복수의 방에 형성된 흡기구와 배기구를 각각 상기 환기장치 본체에 연결시키는 복수의 덕트 ; 상기 각 덕트에 설치된 복수의 댐퍼 ; 및 상기 복수의 방에 각각 설치된 1이상의 기기의 사용 상황에 관한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환기장치 본체를 운전·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각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이 제어장치는 각 방에 설치된 상기 기기의 사용상황에 따른 각 방의 환기량 설정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설정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각 방의 환기량을 계산하는 연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므로 기기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환기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기기들의 사용상황에 따른 각 방의 환기량을 계산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여 환기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방을 항상 쾌적하게 환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가 각 기기의 동작 상황에 따라서 상기 댐퍼의 열리는 정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각 방의 환기량이 한층 정밀하게 제어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흡기팬과 배기팬이 1개의 상자에 들어 있는 동시 흡·배기 타입의 환기장치 본체 ; 복수의 방에 형성된 흡기구와 배기구를 각각 상기 환기장치 본체에 연결시키는 복수의 덕트 ; 상기 각 덕트에 설치된 복수의 댐퍼 ; 및 상기 복수의 방에 각각 설치된 1이상의 기기의 사용 상황에 따른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환기장치 본체를 운전·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각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각 방에 설치된 상기 기기의 사용상황에 따른 각 방의 환기량 설정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및 설정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각 방의 환기량을 계산하는 연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각 기기의 동작 상황에 따라서 상기 댐퍼가 열리는 정도를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각 기기들의 사용상황에 따른 신호가 각 기기의 ON, OFF 전환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각 기기들의 사용상황에 따른 신호가 각 기기의 ON, OFF전환신호 및 동작모드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이 각 방에 설치된 기기들의 동작 상황에 따라서 설정되는 환기량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
KR1019910005199A 1990-03-31 1991-03-30 환기 시스템 KR950006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600890A JP3347141B2 (ja) 1990-03-31 1990-03-31 送風システム
JP02-086008 1990-03-31
JP??02-086008 199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138A KR910017138A (ko) 1991-11-05
KR950006159B1 true KR950006159B1 (ko) 1995-06-09

Family

ID=1387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199A KR950006159B1 (ko) 1990-03-31 1991-03-30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47141B2 (ko)
KR (1) KR950006159B1 (ko)
GB (1) GB22441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671A (ja) * 1992-03-04 1993-09-24 Kajima Corp 燃焼器具を使用する室内における換気方法およびその装置
DE4333173A1 (de) * 1993-09-29 1995-03-30 Schoettler Lunos Lueftung Be- und Entlüftungssystem
DE4333194A1 (de) * 1993-09-29 1995-03-30 Schoettler Lunos Lueftung Zuluftgerät
GB9506365D0 (en) * 1995-03-28 1995-05-17 British Steel Plc Process control,method and apparatus
FR2769693B1 (fr) * 1997-10-14 1999-12-17 Aldes Aeraulique Systeme de ventilation a double flux
JP4796234B2 (ja) * 2000-04-19 2011-10-19 株式会社ハーマン 換気装置
DE20214833U1 (de) * 2002-09-24 2003-11-06 Meltem Waermerueckgewinnung Gm Luftaustauschsystem für die Belüftung wenigstens eines Raums eines Gebäudes
KR20060055439A (ko) * 2003-01-31 2006-05-23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과산화수소 증기로의 건물 오염제거
KR100654893B1 (ko) * 2004-11-15 2006-12-06 주식회사 인벤트이엔지 열/습기 교환수단을 구비한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한실내온도 및 습도 조절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7987615B2 (en) 2006-11-08 2011-08-02 Lg Electronics Inc. Exhaus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in apartment building
JP5987164B2 (ja) * 2012-09-18 2016-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排型換気装置
EP2781846A4 (en) * 2011-11-16 2015-07-29 Panasonic Ip Man Co Ltd AIR AND EXHAUST
JP6074608B2 (ja) * 2011-11-16 2017-0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CN112050291B (zh) * 2020-08-10 2021-08-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风口切换控制方法、装置及区域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4807A (en) * 1976-03-23 1978-09-19 Conservation Controls Corp. Control system
JPS622648Y2 (ko) * 1977-03-04 1987-01-22
GB1595976A (en) * 1977-05-18 1981-08-19 Carrier Drysys Ltd Air conditioning system
US4407447A (en) * 1981-12-07 1983-10-04 Sta-Tech International, Inc. Energy control system
JPS5994229U (ja) * 1982-12-15 1984-06-26 株式会社ニチイ レンジフ−ドの排気装置
JPS6363635U (ko) * 1986-10-13 1988-04-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106126D0 (en) 1991-05-08
JPH03286941A (ja) 1991-12-17
GB2244148A (en) 1991-11-20
GB2244148B (en) 1994-01-19
KR910017138A (ko) 1991-11-05
JP3347141B2 (ja)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2770A (en) Ventilation system
KR950006159B1 (ko) 환기 시스템
KR950006160B1 (ko) 환기장치
US62958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conditioned space
JP6690946B2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JP3959181B2 (ja) 熱交換換気システム
KR100845836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운영방법
JPH08210690A (ja) 換気空調装置
KR20030063844A (ko) 환기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H09184649A (ja) 省エネルギ空調設備
JP2867648B2 (ja) 空気調和装置
JPH05240484A (ja) 浴室用空気調和機
JPH05240487A (ja) 空気調和機
JP3157494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3015576B2 (ja) 浴室用空気調和機
JPH0719518A (ja) 天井設置用空調換気ユニット
JP4304402B2 (ja) 浴室換気装置
JP2000257894A (ja) 衣類乾燥機を用いた室内暖房システム
JP2530731Y2 (ja) 空気調和装置
JPH0626702A (ja) 建物の空調設備の構造
JP3965730B2 (ja) 浴室暖房乾燥装置
JPH0415442A (ja) 換気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装置
JPH11281071A (ja) 暖房装置
JP2004132668A (ja) 浴室暖房乾燥システム
JPH06201154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