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143B1 -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 Google Patents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143B1
KR950006143B1 KR1019910008764A KR910008764A KR950006143B1 KR 950006143 B1 KR950006143 B1 KR 950006143B1 KR 1019910008764 A KR1019910008764 A KR 1019910008764A KR 910008764 A KR910008764 A KR 910008764A KR 950006143 B1 KR950006143 B1 KR 950006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conductive polymer
polymer electrolyt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047A (ko
Inventor
겐지 모또가미
시게오 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이찌 고오교오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스기야마 도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찌 고오교오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스기야마 도모오 filed Critical 다이이찌 고오교오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2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22Cyclic ethers having at least one atom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26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6/18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 H01M6/181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with solid electrolyte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olyether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imary Cell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로서는,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의 유기 폴리머 전해질, 다관능성(多官能性) 폴리에테르 분자 구조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부분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부분이 랜덤 공중합형으로 함유되는 유기 폴리머 전해질(특개소 62-249361호 공보), 이온 화합물을 용융 상태로 함유하는 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체 폴리머 전해질(특개소 61-83249호 공보), 및 열가소성으로 교차결합을 가지지않은 단독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의 분지쇄로 실질적으로 구성되어있는 가소성을 가지는 고분자 고체 물질을 이용한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특개소 55-98480호 공보)등이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온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에는,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의 유기 폴리머 전해질은, 40℃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리튬 이온 전도도를 나타내지만, 25℃ 정도의 실온 범위에서는 그 특성이 급격히 저하하여 전기적인 각종 용도에 응용하기 곤란하다.
특개소 62-249361호 공보 기재의 유기 폴리머 전해질은 25℃ 정도의 실온범위에서 리튬 이온 전도도의 급격한 저하는 없지만, 실용 온도 범위에서 고려되는 0℃ 이하에서는 그 저하가 진행하므로 실용성있는 이온 전도도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특개소 61-832469호 공보 기재의 유기 폴리머 전해질은, 에틸렌 옥사이드와 다른 모노머를 랜덤 공중합한 유기 폴리머로서, 랜덤 공중합함으로써 유기 폴리머의 구조를 결과적으로 무정형화하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각종 모노머의 반응성의 차이에 의해 무정형화가 불충분하여 품질도 분안정하게 되기 쉽다.
또한, 특개소 55-98480호 공보에 기재된 유기 폴리머 전해질은 열가소성이기 때문에 형성되는 필름이 단순한 것에 한정되고, 필름 밀착성도 조악하다.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저온에도 안정하여 우수한 전도도를 나타내며, 취급하기 쉬운 이온 도전성 폴리머를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은 일반식(1) :
Z-[(Am-Xp)-Y]k(1)
식중, z는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 잔기, Y는 활성 수소기 또는 중합 반응성 관능기, m은 1-250의 정수, k는 1-12의 정수, A는 일반식(2) :
n은 0-25의 정수, R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릴기 또는 알킬 아릴기를 나타내며, X는 -(CH2-CH2-O)-, p는 O 또는 1-450의 정수를 나타내고, p가 0이 아닌 경우, A와 X는 블럭 공중합되고, m 및 p는 각각 블럭 공중합된 A 및 X의 총계를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골격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교 반응된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가용성 전해질 화합물 및 유기 용제와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일반식(1)의 유기 화합물은,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에 글리시딜 에테르류를 단독으로, 또는 글리시딜 에테르류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함께 반응시켜 얻은 폴리에테르 화합물 또는, 상기 폴리에테르 화합물에 다시 중합 반응성 관능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에틸렌 옥사이드의 주쇄(主鎖) 말단 활성 수소기에 중합 반응성 관능성을 도입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상 평균 분자량 2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 4-부탄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 프로판, 소르비톨, 수크로스, 폴리글리세린등의 다가 알콜, 부틸 아민, 2-에틸헥실아민,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벤다민, 벤다에틸렌헥사민, 아닐린, 벤질아민, 페닐렌디아민 등의 아민 화합물, 비스페놀 A, 하이드로퀴논, 노보락 등의 페놀성 활성 수소화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등의 한분자중에 각종의 활성 수소함유기를 가지는 화합물등을 들수가 있으며, 그중에서도 다가 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글리시딜에테르류로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알킬-, 알케닐-, 아릴- 또는 알킬아릴 폴리에틸렌 글리시딜에테르류
식중, n은 0-25의 정수, R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킬 아릴기를 나타낸다. 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R이 예를들면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등의 직쇄 알킬기, 이소프로필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등의 분지 알킬기, 비닐기, 아릴기, 1-프로페닐기, 1, 3-부타디에닐기등의 알케닐기, 페닐기, 노닐 페닐기, 트릴기, 벤질기등의 아릴 또는 알킬아릴기등의 것을 들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n이 1-15, R의 탄소수가 1-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사용할수있는 촉매로서는, 소듐메틸레이트,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리튬등의 염기성 촉매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와 같은 산성촉매 및 트리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등과 같은 아민계 촉매도 유용하다. 역시, 촉매의 사용량은 임의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유기 화합물은 활성 수소함유 화합물에 글리시딜 에테르류가 단독으로 결합한 것이어도, 또한 글리실 에테르류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블럭 공중합하여 결합한 것이어도 좋으나, 어느것으로하든 글리시딜에테르류의 부가 몰수는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의 활성 수소 1개당 1-250몰인 것이 바람직하며, 글리시딜 에테르류와 블럭 공중합되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몰수는 상기 활성 수소 1개당 1-4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시딜 에테르류와 에틸렌 옥사이드를 블럭형으로 공중합하는 경우, 각각의 위치 관계 및 블럭의 수에 있어선, 특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기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이 20,000보다 커지지않도록 부가 몰수를 적절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유기 화합물의 가교는, 주쇄 말단기 Y가 활성 수소기인 경우, 가교제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유용한 가교제로서는, 예를들면, 2, 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2, 4-TDI), 2, 6-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2, 6-TDI), 4, 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이소보론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페이트, 리진에스테르트리이소시아네이트, 1, 8-디이소시아네이트, 4-이소시아네이트메틸옥탄, 1, 6, 11-운데칸트리이소시아네이트, 1, 3, 6-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시클로헵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뷰렛결합 HMDI,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HMDI, 트리메틸올프로판 TDI 3몰 부가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의 사용량은, 예를들면,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유기 화합물의 주쇄 말단 활성수소기수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 수가 1-1.5배로되는 양인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가교 반응을 조기에 완결하기위하여 촉매로서, 예를들면,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BTDL), 디부틸틴디아세테이트(DBTA), 페닐 수은 프로피온산염, 옥텐산납등의 유기 금속 촉매, 트리에틸렌디아민, N, N'-디메틸피페라딘, N-메틸모포린, 테트라메틸구아니딘, 트리에틸아민등의 아민계 촉매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주쇄 말단기 Y가 중합 반응성 관능기인 경우,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에 글리시딜에테르류 또는 글리시딜에테르류와 에틸렌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폴리에틸의 주쇄 단말에 중합반응성 관능기를 도입하지만, 이 중합 반응성 관능기로서는, 비닐기등의 알케닐기, 아크릴로일기나 메타크릴로일기와 같은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기, Si를 함유하는등의 직쇄 및 환상 부분을 가진 기를 들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는, 전술한 바와같이 폴리에테르에 중합 반응성 관능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분자중에 도입시킨다.
중합 반응성 관능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계피산, 말레인산, 푸르산, 이타콘산, p-비닐 안식향산등과 같이 한 분자중에 카르복실기와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것 및/또는 무수 말레인산이나 무수 이타콘산등과 같은 상기 화합물의 무산, 및/또는 상기와 같은 화합물의 클로라이드, 아릴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메탈크릴레이트등의 글리시딜류, 메타크릴로일이소시아네이트등의 시소시아네이트류, 디클로로실란, 디메틸비닐클로로실란 등과 같이 Si를 함유하는 화합물등을 들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기 화합물은, 중합에 의해 가교되지만, 이 중합반응은, 필요에 따라 중합제나 증감제를 이용하여, 광, 열, 전리 방사선등으로 행해진다.
다음에, 이와같이하여 얻어진 유기 화합물에 도핑하는 가용성 전해질염 화합물로서는 Lil, LiC1, LiC1O4, LiSCN, LiBF4, LiSCN4, LiAsF6, LiCF3SO3, LiCF3CO2, LiHgI3, NaI, NaSCN, NaBr, KI, CsSCN, AgNO3, CuC12Mg(ClO4)2등과 같이 Li, Na, K, Cs, Ag, Cu 또는 Mg 중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무기 이온염 (CH3)4NBF, (CH3)4NBr, (C2H5)4NClO4, (C2H5)4NI, (C3H7)4NBr, (n-C4H9)4ClO4, (n-C4H9)4NI, (n-C5H4)4NI 등의 4급 암모늄염, 스테아릴술폰산리튬, 옥틸술폰산나트륨, 도데실벤젠술폰산 리튬, 나프탈렌술폰산 나트륨, 디부틸나트탈렌술폰산리튬, 옥틸나프탈렌술폰산 칼륨, 도데실 나프탈렌 술폰산 칼륨등의 유기 이온염을 들수있다. 이들의 가용성 전해질 염화물은 2종 이상 병용(倂用)해도 좋다.
이러한 가용성 전해질 염화물의 배합 비율은 전기 유기 화합물의 에테르 결합 산소수에 대하여, 가용성 전해질 염화물이 0.0001-5.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05-2.0몰인 것이 좋다. 또한, 가용성 전해질 염화물의 배합 비율이 크면, 과잉의 가용성 전해질 염화물, 예를들면 무기 이온염이 해리되지않고 단지 혼재하게되어, 이온 전도도를 역으로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가용성 전해질 염화합물의 도핑 방법등에 있어서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예를들면, 메틸 에틸 케톤(MEK)나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등의 유기 용매에 용해하여 유기 화합물에 균일하게 혼합한후, 유기용매를 진공 감압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등을 들수 있다.
다음에, 유기 고분자 화합물중에 가용성 전해질 염화합물과 함께 배합하는 유기 용제로서는, 용질로서의 가용성 전해질 염화화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은바, 예를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1, 3-디옥소란, 4, 4-디메틸-1, 3-디옥소란,-부티로락톤,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술폰산, 3-메틸술폰, tert-부틸에테르, iso-부틸에테르, 1, 2-디메톡시에탄, 1, 2-에톡시메톡시에탄, 에틸렌 글리콜디에틸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유기제의 배합은,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기본 골격을, 변화시키지않고 전도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유기 용제의 배합 비율은 임의로서, 그 배합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유기 화합물을 가교하는 경우에 가용성 전해질 염화합물과 함께 질소 분위기하에서 부가하고 가교 반응시켜 이온 도전성 폴리머전해질을 얻는 방법, 유기 고분자 화합물에 전기 유기 용매를 함침시켜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는 방법등을 들수가있으며, 가교 반응전 또는 후에도 어떤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작용]
본 발명은, 특정 구조를 가지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그 유기 고분자 화합물 구조가 무정형화하고, 다시 주쇄와 같은 모양의 측쇄를 가지기때문에 유기 고분자 화합물의 결정화 온도가 낮게되며, 가용성 전해질 염화물, 예를들면 리튬염을 함유한 경우, 리튬 이온의 움직임을 용이하게하고, 그 결과, 실온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리튬 이온 전도도가 향상하고, 저온 특성이 뛰어나고 품질이 안정화한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을수 있다. 또한,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열경화성이기 때문에 다향한 형상을 취할수 있으며, 또한 전해면과도 밀착성이 우수한 필름으로 제작할수 있고, 실용성있는 각종의 형상으로 사용할수있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을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를 설명하는바, 실시예에서 m, p의 값은 평균치를 나타낸다.
[실시예 1]
글리세린 18g과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메틸디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 에테르 990g을,
촉매(수산화 칼륨 2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4,890(수산기가에 의한 산출)의 폴리에테르 876g을 얻었다.
이 폴리에레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해서 1.1당량의 아크릴산을 그 아크릴산과 등량의 벤젠속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유출 수량 및 산가 측정치에 의해 반응이 완결되었는지를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수세(水洗)한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5053의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Z :, Y : -OCCH=CH2, m : 9, n : 2, p : 0, R : -CH3, k : 3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해서 얻은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3.6g을 LiSCN 0.13g(0.025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이소부틸올니트릴) 1%와 함께 메틸에틸케톤 3ml에 용해하고, 대기압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 및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해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프로필렌카보네이트 2.0g을 함침시켜 두께 48μm의 이온 도전성 폴리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2]
소르비톨 20g에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메틸트리에틸렌글리콜글리시딜 에테르
1320g을 촉매(수산화 칼륨 2.7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11,760의 폴레에테르(일반식(1)로 표현되는 화합물, 단,
,Y:-H, m:9, n:3, p:0, R:-CH3,k:6)954g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하여 얻은 폴리에테르 3.6g을 LiC1O40.12g(0.010몰/에테르 결합 산소수), 폴리에테르 1.5당량에 상당하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1g과 함께 메틸에틸케톤 3ml에 용해한후, 페트리 접시상에 유출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흐름속에 60℃에서 30분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 80℃에서 8시간 열처리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8g을 함침시켜 두께 44μm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3]
글리세린 15g과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메틸헥사에틸렌글리콜글리시딜 에테르 2650g을
촉매(수산화칼륨 5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15,260(수산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2,160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해서 1.1 당량의 아크릴산을 그 아크릴산과 등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은 유출 수량 및 산가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에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15,422의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Z:, Y:-OCCH=CH2, m:14, n:6, p:0, R:-CH3, k:3)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하여 얻은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3.6g을 LiC1040.14g(0.022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 에틸케톤 3ml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해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t-부티로락탄 1.8g을 함침시켜 두께 48μm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4]
모노에탄올아민 20g과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페닐디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 에테르 1,630g을,
촉매(수산화 칼륨 5.8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4,830(수산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1,430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해서 1.1당량의 아크릴산을 그 아크릴산과 동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은 유출 수량 및 산기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에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4,990의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Z :, Y:-OCCH=CH2, m:7, n:2, p:0, R :, k:3)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하여 얻은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3.6g을 0.11g의 NaClO4(0.015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 에테르 케톤 3ml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α-부티로락톤 1.8g을 함침시켜 두께 45μm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5]
비스페놀 A 20g과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메틸도데카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에테르 1,140g을,
촉매(수산화 칼륨 4.2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12,710(수산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1,060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해서 1.1 당량의 p-비닐 안식향산을 그 p-비닐 안식향산과 등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완결은 유출 수량 및 산가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12,970의 말단에 p-비닐 안식향산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m : 10, n : 12, p : 0, R : -CH3, k : 2)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하여 얻은 말단 p-비닐 안식향산 에테르 결합을 가지는 폴리에테르 3.6g을 NaSCN 0.10g(0.015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에틸케톤 3ml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에틸렌 카보네이트 1.8g을 함침시켜 두께 42μm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6]
에틸렌디아민 20g과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페닐헥사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에테르 2,650g을
촉매(수산화 칼륨 9.4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7,870(수산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2,360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에 대해 1,1 당량의 아크릴산을 그 아크릴산과 등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 %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은 유출 수량 및 산가 측정에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으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8,084의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K:4)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렇게 하여 얻은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3.6g을 0.09g의 LiSCN(0.020몰/에테르 결합 산소수)과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에틸케톤 3ml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해서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 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1,2-디메톡시에탄 1.9g을 함침시켜 두께 50㎛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7]
에틸렌 글리콜 30g에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n-부틸트리에틸렌 글리콜글리시딜에테르 2,650g을,
촉매(수산화 칼륨 6.8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3,950(수산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2,094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해 1.1당량의 p-비닐 안식향산을 그 p-비닐 안식향산과 등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은 유출 수량 및 산가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4,203의 말단에 p-비닐 안식향산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Z : -O-CH2-CH2-O-
CH2-CH2-CH3, k:2)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말단에 P-비닐 안식향산에스테르 결합을 가지는 폴리에테르 3.6g을 LiClO÷0.01g (0.015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에틸케톤 3㎖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 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1,3-디옥소란 1.2g을 함침시켜 두께 48㎛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8]
벤다에틸렌헥사민 30g에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메틸트리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 에테르 1,920g을,
촉매(수산화 칼륨 6.9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해서 분자량 13,660(수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1,598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는, 일반식(1), 단, Z : -N-(CH2-CH2-N)5-, Y:-H, m:8, n:3, p:0, R:-CH3, k:8)의 골격을 가졌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폴리에테르 3.6g을 LiClO4 0.12g(0.015몰/에테르 결합 산소수), 폴리에테르 1.5당량에 상당하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01g과 함께 메틸에틸게톤 3ml에 용해한 후, 패트리접시상에 유출시키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60℃에서 30분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이하, 80℃에서 8시간 열처리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 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8g을 함침시켜 두께 50㎛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9]
에틸렌 글리콜 20g에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메틸글리시딜에테르 6,250g을,
촉매(수산화 칼륨 50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해서 분자량 19,020(수산기기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5,970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하여 1.1 당량의 아크릴산을 그 아크릴산과 등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은, 유출 수량 및 산가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19,160의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Z : -O-CH2-CH2-O-, Y : -OCCH=CH2, m : 108, n : 0, p : 0, R : -CH3, k : 2)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3.6g을 LiClO4, 0.13g(0.015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 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에틸케톤 3ml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가열 처리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 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γ-부티로락톤 1.8g을 함침시켜 두께 48μm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10]
모노에탄올 아민 20g과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페닐디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에테르 1,630을,
촉매(수산화칼륨 3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그후 다시 에틸렌옥사이드 192.6g을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5.010(수산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1,032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하여 1.1 당량의 메타크릴산을 그 메타크릴산과 등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은 유출수량 및 산가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5,215의 말단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일반식(1)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단, Z:, m :6.7, n:2, R :, p : 1.4, Y :-OCC(CH3)=CH2, K:3)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말단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3.6g을 LiClO40.13g(0.020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에틸케톤 3ml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소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하여 메틸 에틸 케톤을 제거한 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g을 함침시켜 두께 42μm의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실시예 11]
프로필렌 글리콜 15g과 하기식으로 표현되는 페닐디에틸렌글리콜 글리시딜 에틸 188g을,
촉매(수산화 칼륨 3g)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고, 그후 다시 에틸렌 옥사이드 3,448g을 반응시키고 탈염 정제를 수행하여 분자량 18,320(수산기가에 의해 산출)의 폴리에테르 3,170g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와 그 수산기수에 대해 1.1당량의 메타크릴산을 그 메타크릴산과 등량의 벤젠에 넣고, 황산 0.01몰%를 사용하여 80-90℃에서 공기를 취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완결은, 유출 수량 및 산가 측정에 의해 확인했다. 반응 완결후,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중화하고, 포화 황산 나트륨 수용액으로 수세후 감압하여 벤젠을 제거하고, 브롬가 및 비누화가에 의해 분자량 18448의 말단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일반식(3)의 골격을 가지는 화합물, z :, m : 2.0, n : 2, R :, p :196.5, Y:-OCC(CH3)=CH2, k/2)의 생성을 확인했다.
이와같이 하여 얻은 말단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3.6g을 LiClO40.13g(0.020몰/에테르 결합 산소수)와 중합 개시제(2, 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와 함께 메틸에틸케톤 3ml에 용해하고, 통상 압력하의 질수 기류속 80℃에서 1시간 방치후 진공도 1×10-3Torr 이하의 같은 온도에서 8시간 열처리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제거한 후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2.0g을 함침시켜 두께 42μm의 이온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비교예]
분자량 4,890의 폴리에테르 대신에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8/2, 평균 분자량 3,000의 랜덤 에테르를 이용하여 말단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를 제조한 것 및 LiSCN 0.13g 대신에 LiClO40.20g을 사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리튬 이온 전도도 시험)
실시예 1-9 및 비교예에서 얻은 이온 전도성 폴리머 전해질을 백금판에 삽입하고, 전극간의 교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복소(複素)

Claims (7)

  1. 일반식(1) :
    Z-[(Am-Xp)-y]k (1)
    식중, z는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 잔기, Y는 활성 수소기 또는 중합 반응성 관능기, m은 1-250의 정수, k는 1-12의 정수, A는 일반식(2) :
    n은 0-25의 정수, R은 탄소수 1-20의 알킬기, 알케닐기, 알릴기 또는 알킬 아릴기를 나타내고, X는 -(CH2-CH2-O)-, p는 O 또는 1-450의 정수를 나타내고, p가 0이 아닌 경우, A와 X는 블럭 공중합되고, m 및 p는 각각 블럭 공중합된 A 및 X의 총계를 나타냄.
    로 표현되는 골격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가교 반응시킨 유기 고분자 화합물과 가용성 전해질 염화합물과 유기 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화합물의 평균 분자량이 2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제가 분자 구조중에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적어도 1개 가지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주쇄 말단기 Y가 활성 수소기인 상기 유기 화합물을 가교제를 이용하여 가교해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고분자 화합물이, Y가 중합 반응성 관능기인 상기 유기 화합물을 중합시켜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전해질 염화합물이 Li, Na, K, Cs, Ag, Cu 또는 Mg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무기 이온염 : ; (CH3)4NBF4, (CH3)NBr, (C2H5)4NCIO4, (C2H5)4NI, (C3H7)4NBr, (n-C4H9)4NCIO4, (n-C4H5)4NI, 또는 (n-C5H11)4NI의 4급 암모늄염 ; 스테아릴술폰산리튬, 옥틸 술폰산 나트륨, 도데실벤젤술폰산 리튬, 나프탈렌 술폰산 나트륨, 디부틸 나프탈렌 술폰산 리튬, 옥틸 나프탈렌 술폰산 칼륨, 옥틸 나프탈렌 술폰산 칼륨 및 도데실나프탈렌 술폰산 칼륨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전해질 염화합물이 상기 유기 화합물의 에테르 결합 산소수 1개당 0.001-5.0몰의 비율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KR1019910008764A 1990-05-31 1991-05-29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KR950006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43697 1990-05-31
JP2143697A JP2813834B2 (ja) 1990-05-31 1990-05-31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JP143697 1990-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47A KR910020047A (ko) 1991-12-19
KR950006143B1 true KR950006143B1 (ko) 1995-06-09

Family

ID=15344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8764A KR950006143B1 (ko) 1990-05-31 1991-05-29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59001A (ko)
EP (1) EP0460876B1 (ko)
JP (1) JP2813834B2 (ko)
KR (1) KR950006143B1 (ko)
CA (1) CA2043461C (ko)
DE (1) DE69114049T2 (ko)
TW (1) TW1981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896B1 (ko) * 1996-06-28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폴리머전해질의조성물,고체폴리머전해질의제조방법및이를채용한리튬2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7474B2 (ja) * 1991-10-15 1999-12-06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固体電解質
JPH05198303A (ja) * 1992-01-21 1993-08-06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電 池
US5268243A (en) * 1992-01-27 1993-12-07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Galvanic cell
WO1993026057A1 (fr) * 1992-06-16 1993-12-23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Materiau a conduction ionique, comportant comme solvant un copolymere bloc
US5538811A (en) * 1992-07-23 1996-07-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onic 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EP0585072B1 (en) * 1992-08-27 1997-12-29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Ion-conductive polymer electrolyte
DE69305741T2 (de) * 1993-08-13 1997-04-30 Eniricerche Spa Fester Polymerelektrolyt auf Basis von Polyether
DE69418672T2 (de) * 1993-10-19 1999-09-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onenleitender Polymerelektrolyt und seine Anwendung in einem Elektrolytkondensator
CA2111049A1 (fr) * 1993-12-09 1995-06-10 Paul-Etienne Harvey Copolymere d'oxyde d'ethylene et/ou d'oxyde de propylene et d'au moins un oxiranne portant une fonction reticulable, un 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pour l'elaboration de materiaux a conduction onique
US5549987A (en) * 1994-07-22 1996-08-27 Motorola, Inc. Polyurethane based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electrochemical cells using same
WO1996017359A1 (en) * 1994-12-01 1996-06-06 Danacell Aps Ion-conductive polymers
CA2175950C (en) * 1995-05-08 2008-12-02 Shinzo Kohjiya Polymer solid electrolyte
KR100570949B1 (ko) * 1996-05-08 2006-08-30 다이소 가부시키가이샤 공중합체, 가교고분자전해질 및 그의 용도
DE69722890T2 (de) * 1996-10-28 2004-05-13 Daiso Co., Ltd. Polyethercopolymer und fester Polymerelektrolyt
JP3301378B2 (ja) * 1998-03-24 2002-07-15 ダイソー株式会社 ポリエーテル共重合体および架橋高分子固体電解質
JP3491539B2 (ja) 1998-10-13 2004-01-26 ダイソー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その用途
KR100330148B1 (ko) * 1999-05-03 2002-03-28 김순택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JP5618255B2 (ja) * 2010-10-27 2014-11-05 ダイソー株式会社 色素増感太陽電池用高分子電解質およびその用途
US10539326B2 (en) 2016-09-07 2020-01-21 Clearsign Combustion Corporation Duplex burner with velocity-compensated mesh and thicknes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77830D1 (en) * 1981-11-03 1988-01-21 Comp Generale Electricite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olymeric solid electrolyte for an electrochemical generator
JPS59189171A (ja) * 1983-04-12 1984-10-26 Sumitomo Chem Co Ltd 導電性樹脂組成物
GB8333388D0 (en) * 1983-12-15 1984-01-25 Raychem Ltd Materials for electrical devices
FR2570224B1 (fr) * 1984-09-11 1987-03-20 Elf Aquitaine Electrolyte solide polymere constitue par un copolymere reticule
US4750817A (en) * 1986-06-26 1988-06-14 Eltron Research, Inc. Multi-color electrochromic cells hav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layer with organic electrochromic material dissolved therein
JPS63136408A (ja) * 1986-11-27 1988-06-08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ポリマ−電解質
GB8804860D0 (en) * 1988-03-01 1988-03-30 Ici Plc Solid electrolyte devices
JP2762145B2 (ja) * 1989-04-13 1998-06-04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JP2813828B2 (ja) * 1989-10-26 1998-10-2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JP2813832B2 (ja) * 1989-10-26 1998-10-22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896B1 (ko) * 1996-06-28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체폴리머전해질의조성물,고체폴리머전해질의제조방법및이를채용한리튬2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47A (ko) 1991-12-19
EP0460876A1 (en) 1991-12-11
JP2813834B2 (ja) 1998-10-22
DE69114049T2 (de) 1996-05-15
US5159001A (en) 1992-10-27
EP0460876B1 (en) 1995-10-25
JPH0436347A (ja) 1992-02-06
CA2043461C (en) 1996-03-19
DE69114049D1 (de) 1995-11-30
CA2043461A1 (en) 1991-12-01
TW198142B (ko) 199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143B1 (ko) 이온 도전성 폴리머 전해질
KR950001854B1 (ko) 이온 도전성 중합체 전해질
US6537468B1 (en) Composition for ionically conductive solid polymer, ionically conductive solid polyelectrolyte, binder resin, and secondary battery
US5521019A (en) Crosslinkable copolymers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and ionically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the same
JP3149247B2 (ja)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US20050159561A1 (en) Copolymer of ethylene oxide and at least one substituted oxirane carrying a cross-linkable function,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for producing ionically conductive materials
KR19990082380A (ko) 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고분자 고체 전해질
KR0161277B1 (ko) 이온 도전성 중합체 전해질
JP2923542B2 (ja)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JP2762145B2 (ja)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JP2813832B2 (ja)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JPH08283523A (ja) 高分子固体電解質
US6855788B2 (en) Copolymer of ethylene oxide and at least one substituted oxirane carrying a cross-linkable function,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for producing ionically conductive materials
JP2813828B2 (ja)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JPH0238451A (ja) イオン導電性固体電解質材料
JP3843505B2 (ja) 高分子電解質及び電池
JP2813831B2 (ja) イオン導伝性ポリマー電解質
KR100365392B1 (ko)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화학소자
JPH0588482B2 (ko)
JP2664808B2 (ja)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
JPH05205779A (ja) 電 池
KR100382992B1 (ko)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