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210B1 -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210B1
KR950004210B1 KR1019910023041A KR910023041A KR950004210B1 KR 950004210 B1 KR950004210 B1 KR 950004210B1 KR 1019910023041 A KR1019910023041 A KR 1019910023041A KR 910023041 A KR910023041 A KR 910023041A KR 950004210 B1 KR950004210 B1 KR 95000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pen
area
displayed
cur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185A (ko
Inventor
도모시 히라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문자입력장치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를 응용한 포터블콤퓨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의 형광판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LCD와 태블릿의 전기적 접속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체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블록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 7 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 8 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제 9 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0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1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2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3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4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5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6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7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제18도는 제 5 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을 설명하는 표시화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전원스위치
6 : 펜 7 : 스위치
8 : 화면 21 : 태블릿
22 : LCD 23 : 액정
26 : 형광판 41 : CPU
42a,42b : 구동회로 43 : LCD콘트롤러
44 : V-RAM 45a,45b : 클록발생회로
46 : 태블릿콘트롤러 51 : ROM
52 : RAM
본원 발명은 예를들면 소정의 플레이트상에 펜으로 문자를 손으로 써서 입력할 수 있는 전자수첩장치에사용하기에 적합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7도는 종래의 문자입력장치의 일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 문자입력장치는 기본적으로 LCD와,그 위에 배치된 태블릿으로 구성되고, 펜에 의해 트레이스된 궤적을 태블릿에 의해 검출하고, 검출된 트레이스궤적을 패턴인식해서, 인식된 결과 얻어진 문자를 LCD에 의해 표시한다. 즉, 활자플레이트(103)내의 네모칸(103a)에 도시생략된 펜에 의해 문자를 손으로 써서 입력하면, 그 문자가 패턴인식되고, 패턴인식된결과 얻어진 문자가 그 네모칸(103a)에 표시된다. 패턴인식에 의해 정확한 문자가 얻어졌을때, 다시 펜으로 기입버튼(102c)을 조작하면, 네모칸(103a)에 표시되어 있던 문자가 페이지플레이트(101)상에 표시된다그리고, 이 표시는 커서(104)가 위치하는 위치에 행해진다.
제17도A는 페이지플레이트(101)상에 「아이우에오」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 이 상태에 있어서, 소정의 문자(문자열)를 소거할 경우, 최초에 삭제버튼(102b)이 펜에 의해 터치된다. 다음에, 소거할 문자옅(이 예의 경우 「이우에」)을 펜에 의해 드래그(drag)한다. 드래그된 문자열은 제17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전표시된다. 펜을 소정의 문자로부터 소정의 문자까지 이동(드래그)한 후, 페이지플레이트(101)로부터 이탈시키면, 제17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한 문자열이 소거된다.
다음에, 페이지플레이트(101)상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일부를 다른 문자로 바꿀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먼저 바꾸어야 할 문자열을 삭제한다. 삭제가 완료된 후, 펜으로 수서(手書)버튼(102a)을 터치하여 수서문자모드로 변경한다. 제17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열을 삭제했다고 해도 커서(104)는 이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예를들면 문자「아」와 「오」사이에 다른 문자를 삽입할 경우, 커서(104)를 「아」와 「오」사이로 이동시킨다(제18도A) 이 이동은 펜으로 「아」와 「오」의 사이를 터치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에, 예를들면 제18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활자플레이트(103)의 각 네모칸(103a)에 삽입할문자(이 예의 경우 「사」,「가」의 문자)를 쓴다. 이 문자가 바르게 패턴인식되고,「사」,「가」의 문자가 표시되었을 때, 펜으로 기입버튼(102c)을 터치하면, 제18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가」의 문자가 커서(104)가 위치하는 위치에 삽입된다.
종래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문자를 삭제, 삽입, 정정할 경우, 각각 다른 조작을 해야하므로 조작싱이 나쁜 과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같은 조작으로 문자의 삭제, 삽입, 정정등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문자입력장치는 문자를 기입할 때 트레이스되는 제 1 의 영역과, 제 1 의 영역에 기입되어, 확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2 의 영역과, 문자를 기입할 때 조작하는 펜을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펜에 의해 제 2 의 영역상에 표시된 문자열이 드래그되었을 때, 그 문자열을 제 1 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문자입력장치는 문자를 기입할 때 트레이스되는 제 1 의 영역과, 제 1 의 영역에 기입되어, 확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2 의 영역과, 문자를 기입할 때 조작하는 펜과, 제 1 의 영역에 기입된 문자를 제 2 의 영역에 표시시킬 때 조작되는 기입버튼을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펜으로 제 2 의 영역상에 표시된 문자열이 드레그되었을 때 편집모드로 이행하고, 편집모드에 있어서 펜에 의해 기입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편집모드를 중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문자입력장치는 문자를 기입할 때 트레이스되는 제 1 의 영역과, 제 l 의 영역에 기입되어, 확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2 의 영역과, 문자를 기입할 때 조작하는 펜과, 제 1 의 영역에 기입된 문자를 제 2 의 영역상에 기입하는 위치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커서표시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커서표시제어회로는 커서가 펜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드래그가 종료된 위치에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제 2 의 영역상에 표시된 문자열을 펜으로 드래그하면, 그 문자열이 제 1 의 영역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문자의 삭제, 삽입, 정정등을 같은 조작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제2의 영역상에 표시된 문자열이 드레그되었을 때 편집모드로 이행하고, 편집모드에 있어서 펜에 의해 기입버튼이 조작되었을 때, 편집모드가 중지된다. 따라서, 편집버튼을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조작성이 개선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커서가 펜으로 드래그될 때, 그 드래그된 위치에 커서가 이동된다. 따라서, 편집버튼을 특별히 설치하지 않고 문자의 드래그와 커서의 드래그가 구별되고, 조작성이개선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원 발명의 문자입력장치를 전자수첩장치(포터블콤퓨터)에 응용한 경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체(1)에는 전원스위치(2)가 설치되고, 장치를 사용할 때 온되고, 사용을 중지할 때 오프된다. 전원스위치(2)의 좌측옆에는 화면(8)의 휘도(후술하는 LCD(22)의 휘도)를 조정하는 휘도조정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의 측부에는 케이스(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케이스(4)에는 선단에 스위치(7)를 가지고, 코드(5)를 통해서 본체(1)와 접속되어 있는 펜(6)이 비사용시에 수용된다. 이 펜(6)은 케이스(4)에서 꺼낸 상태에 있어서는 본체(1)의 상측부분에 수평으로 형성된 홈(10)에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홈(l0)의 좌측부에는 스피커(9)가 설치되어, 소정의 음이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본체(1)의 우측상부에는 2개의 스위치(11),(12)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11)는 후술하는 백라이트의 밝기를 예를들면 2단계로 전환하는 전환스위치이며, 스위치(12)는 스피커(9)로부터 출력되는 음의 음량을 예를들면 3단계로 전환하는 음량전환스위치이다. 본체(1)의 좌측측부에 설치된 스위치(13)는 소정의 동작을 도중에서 정지시킬 때(예를들면 방음(放音)중의 음을 정지시킬 때) 조작되는 정지스위치이다. 본체(1)의 좌측부에는 또한 메모리(IC)카드(70)(제 5 도 참조)가 장착되는 소켓(14)이 배치되어 있다. 본체(1)의 후측부에는 소켓(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의 후측부의 배터리(19)를 장착하는 배터리장착부(la)의 내부에도 소켓(16)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소켓(15),(16)에는 예를들면 RS232C의 케이블이나 모덴, 기타 어댑터 등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의 좌측부 상측에는 AC어댑터(17)의 접속단자(18)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도는 화면(8)의 보다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태블릿(21)(X축 방향의위치를 검출하는 태블릿(21a)과 Y축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태블릿(21b))이 가장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태블릿(21)의 하측에는 LCD(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LCD(22)는 상하에 설치된 유리판(22a),(22b)과, 그중간에 삽입된 액정(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LCD(22)의 하측에는 형광판(EL)(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백라이트로서의 형광판(26)이 광을 발생하면, 그 광이 LCD(22)를 조명한다. 태블릿(21a),(21b)은 투명한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23)에 표시된 화상이 도면중 상측에서 관찰된다. 프린트기판(PCB)(25)에는 도시생략된 부품이 장전되어 있으며, 고무코넥터(24)를 통히여 LCD(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필름(27)에 의해 태블릿(21)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도는 형광판(26)의 보다 상세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극(31)과 발광부(다른쪽 전극)(32)와의 사이에 절연필름(33)이 배치되어 있다. 전극(31)과 발광부(32)의 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부(32)가 발광한다. 전극(31)과 발광부(32)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화면(8)을 균일하게 조사(照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백라이트로서는 이밖에 형광관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형광관을 사이드라이트로서 본체의 측부에 설치하고, 그 광을 광전달부재에 의해 LCD(22)의 후부에 전달하여,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4 도는 태블릿에 의한 위치검출과 LCD에 의한 표시의 원리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태블릿(21)은 X축방향으로, 예를들면 512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으며, Y축방향으로 342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다. 이로써,5l2×342화소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태블릿콘트를러(46)는 클록발생회로(45a)를 제어하고,342개의 전극 한개 한개에 순차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에, 클록발생회로(45b)가 제어되고, 512개의 전극에 순차로 전압이 인가된다. 즉, 클록발생회로(45a)와 클록발생회로(45b)가, 발생하는 클록에 의해 태블릿(21)이 스캔되어 있다. 펜(6)을 태블릿(21)상의 소정의 위치에 접근시키면, 태블릿(21)과 펜(6)과의 사이에소정의 정전용량(靜電容量)이 형성된다. 그리고, 펜(6)을 태블릿(21)에 눌렀을 때, 펜(6)의 선단의 스위치(7)가 온되므로 펜(6)과 태블릿(21)상의 소정의 전극과의 사이에 발생한 전하가 검출되고, 앰프(47)를 통하여 태블릿콘트롤러(46)에 공급된다. 태블릿콘트롤러(46)는 클록발생회로(45a)와 (45b)의 클록발생타이밍을 관리하고 있으므로, 펜(6)으로부터 공급된 검출신호와 클록의 발생타이밍으로 부터 태블릿(21)상의 펜(6)에의한 누름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태블럿콘트롤러(46)는 이와 같이하여 검출한 펜(6)에 의한 조작좌표를CPU(41)에 공급한다.
한편, CPU(41)는 LCD 콘트롤러(43)를 제어하고, 메모리(V-RAM)(44)에 표시해야 할 화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기입한다. LCD 콘트롤러(43)는 메모리(44)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신호를 구동회로(42b)에 공급한다. LCD(22)는 태블릿(21)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512개의 전극을 가지며, 수직방향으로 342개의 전극을 가시고 있다. 구동회로(42a)는 342개의 전극에 1개씨 순차로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또한, 구동회로(42b)는 512개의 전극에 화상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을 순차인가한다. 이와 같이해서, LCD(22)상의 각 화소가 스캔되고, LCD(22)상에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제 5 도는 본체(1)의 보다 상세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CPU(4l)는 버스라인(57)을 통하여 각종IC등과 접속되어 있다. ROM(51)은 장치전체의 시스템프로그램 외에, 예를들면 워드프로세서기능용 일본문자 한자변환 프로그램 및 그를 위한 사전테이블, 그리고 수서입력에 대한 인식프로그램 및 그를 위한 사전테이블 등이 기입되어 있다. 워킹용 RAM(52)에는 동작상 필요한 데이터가 수시 기억된다.· 백업용RAM(53)에는 백업용 전지(54)(배터리(19)와는 별도의 전지)가 접속되어 있으며, 장치본체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 있어서도 필요한 데이터를 백업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머 IC(55)는 전지(54)에 접속되고, 수정진동자(56)로부터의 클록을 계수해서, 그 시점에 있어서의 년월일 및 시각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다. 전술한 LCD 콘트롤러(43)나 태블릿콘트를러(46)도 버스라인(57)을 통하여 CPU(41)에 접속되어 있다.
음성처리회로(58)는 소켓(14) 내지 (16)으로부터의 입력이나 CPU(41)로부터의 지령에 대응하여 소정의 음성신호를 발생하고, 가산기(59)에 출력한다. 음성메모리(61)는 CPU(41)에 제어되고, 미리 기억하고 있는 소정의 음성(예를들면 경고음 「엣?」)을 가산기(59)에 출력한다. 가산기(59)는 음성처리회로(58)의 출력과 음성메모리(61)의 출력을 가산하여, 음성음량 콘트롤러(60)를 통하여 스피커(9)에 출력된다. 음량콘트롤러(60)에는 음량전환스위치(12)가 접속되고, 이것을 조작함으로써 음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형광판(백라이트부)(26)에는 전원회로(64)(전원스위치(2)를 온했을 때, 배터리(19) 또는 AC 어댑터(17)로부터 전력이 공급됨)로부터의 전력이 인버터회로(63)를 통하여 공급되어 있다. 형광판(26)의 밝기는 전환스위치(11)를 전환함으로써 인버터회로(63)를 통하여 2단계(예를들면 밝은 방에 적합한 밝기와 어두운 방에 적합한 밝기)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는 별도로 회도조정스위치(3)를 제어함으로써, LCD(22)의 밝기를 다단계로 원하는 값으로 제어할 수 있모록 되어 있다. 스위치(65a)는 본체(1)에 장착된 배터리(19)가 1차전지인지 2차전지인지에 대응하여 온/오프된다. 스위치(65b)는 배터러(19)의 용량을 검출하고, 그용량의 대소에 따라 온/오프된다. 이들 스위치(65a)와 (65b)등은 전원회로(64)를 통하여 키인터페이스(62)에 접속되어 있다. 키인티페이스(62)에는 또한 휘도조정스위치(3), 전환스위치(11), 정지스위치(13)등이 접속되어 있다 키인티페이스(62)는 이들 스위치의 온/오프에 대응하는 신호를 CPU(41)에 공급한다.
소켓(14)에는 IC 카드(70)가 접속되고, CPU(41)는 IC 카드인터페이스(66)를 통해서, 그 IC 카드(70)와 데이터, 프르그램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소켓(15),(16)에는 어댑터(71)가 접속되고, 확장용 인터페이스(68)를 통해서 CPU(41)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 6 도 내지 제 8도 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펜(6)으로 화면(8)에 손으로 써서 입력한 문자를 편집할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스텝 S1에 있어서, 펜다운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된다. 펜다운은 상기 펜(6)의 선단의 스위치(7)가 온되었을 때 펜다운으로서 판정되고, 오프되었을 때 펜업으로서 판정된다. 펜다운이 행해졌을 때, 다음에 스텝 S2에 있어서, 화면(8)의 노트플레이트(81)(제 9 도)상의 문자표시영역내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펜다운이 이루어졌다해도, 그 위치가 문자표시영역외인 경우에 있어서는 기타의 처리가 스텝 S3에 있어서 행해진다 펜다운이 문자표시영역내에 있어서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는 그 펜다운된 문자의 좌표(XB,YB)가 메모리「선두문자」에 세트된다(S4). 다음에, 펜(6)의 밑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가 검게 반전된다. 그리고, 변수 XE에 변수 XB가, 그리고 변수 YE에 변수 YB가 각각 세트된다. 마찬가지로, 변수 Xo에 변수XB가, 빈수 Yo에 변수 YB가 각각 세트된다. 변수 XE는 펜(6)이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의 최종적인 위치를 도시한 좌표이며, 변수 Xo,Yo는 이미 검게 반전된 문자의 최종좌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펜다운이 행해진 후, 펜업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 있어서는(S7), 스텝 S8에 있어서 펜(6)이다른 문자로 이동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펜(6)이 펜다운한 문자로부터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는 그 이동한 문자좌표가 (Xc,Yc)로 된다(스텝 S9) 그리고, 이전에 검게 반전된 문자((XB,YB)에서 (Xo,Yo)까지)가 원래의 백색으로 반전된다(S10). 다음에, 스텝 S11에 있어서, 새로 (XB,YB)에서 (Xc,Yc)까지의 문자가 흑색으로 반전된다.. 그리고, 스텝 S12에 있어서, 변수 Xo에 Xc가, 또한 Yo에 Yc가 각각 세트된다. 마찬가지로, 변수 XE에 Xc가, 또한 YE에 Yc가 각각 세트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 후, 다시스텝 S7으로 복귀하여, 펜업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즉, 이와 같이 처리함으로써, 펜다운한 문자로부터 현재펜(6)이 위치하는 문자까지가 항상 검게 반전표시된다.
스텝 S7에 있어서, 펜업이 행해졌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21으로 진행하고, 그 위치에 있어서의 문자좌표(XE,YE)가 메모리 「최종문자」에 세트된다. 그리고, 스텝 S22에 있어서, 문자좌표(XB,YB)에서 (XE,YE)까지의 문자열이 활자플레이트(82)상의 네모칸(83)(제 9도)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해서, 페이지플레이트(81)상에 표시된 문자를 드래그함으로써, 그 문자를 활자플레이트(82)상에표시시킨 다음, 활자플레이트(82)상의 문자가 있는 네모칸(83)에 다시 펜다운이 행해지면, 그 네모칸(83)내의 문자가 소거된다(S23,S24). 또한, 활자플레이트(82)상의 문자가 표시되지 않은 네모간(83)에 펜(6)에의해 문자가 쓰여졌을 경우에는 문자인식이 행해지고, 문자인식의 결과 얻어진 제 l 후보의 문자가 그 네모칸(83)에 표시된다 또한, 이때 모든 후보문자가 후보문자표시 윈도(87)(제 9 도)에 표시된다(S25,S26).
다음에, 스텝 S27에 있어서, 기입버튼(85)(제 9 도)이 펜(6)에 의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기입버튼(85)이 터치되었을 때, 노트플레이트(8l)상에 반전표시되어 있는 (XB,YB)에서 (XE,YE)까지의 문자열이 소거된다. 그리고, 그 소거된 위치에 활자플레이트(82)상에 표시되어 있던 문자열이 삽입표시된다(S31). 그리고, 이때 그때까지 표시되어 있던 활자플레이트(82)상의 문자는 소거된다(S32).
스텝 S27에 있어서, 기입버튼(85)이 터치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있어서는 스텝 S28으로 진행하여, 취소버튼(86)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취소버튼(86)도 터치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스텝S29으로 진행하고, 기타의 처리가 실행되며, 스텝 S23으르 복귀한다. 취소버튼(86)이 터치된 경우에 있어서는 활자플레이트(82)상의 문자가 모두 소거되고, 노트플레이트(81)상의 문자의 반전표시가 해제된다(S30).
다음에, 이상의 동작에 대하여 제 9 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실제의 화면상의 표시에 따라 다시 설명한다.
제 9 도에 있어서는 노트플레이트(81)(제 2 의 영역)상에 「문자편집의 테스트를 위해 작성한 예문」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으며, 그 종단부에 커서(84)가 표시되어 있다. 8개의 네모칸(83), 기입버튼(85), 취소버튼(86), 후보문자표시윈도(87)등을 가진 활자플레이트(82)(제 1 의 영역)는 노트플레이트(81)상에 표시된 윈도이다. 지금, 네모칸(83)과 후보문자표시윈도(87)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다.
제10도는 페이지플레이트(8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한」에 펜다운하고, 그곳으로부터 3문자 우측의 문자「문」까지 드래그한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드래그한 문자열이 반전표시되는 동시에, 그 문자열이 활자플레이트(82)상의 네모칸(83)에 표시되어 있다. 제10도의 상태에 있어서, 활자플레이트(82)의 네모칸(83)중 문자가 표시된 네모칸(83)이 펜(6)에 의해 터치되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네모칸(83)상의 문자가 소거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 있어서,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입버튼(85)을 터치하면, 제11도에 있어서 반전표시되어 있던 페이지플레이트(81)상의 문자가 소거된다.(네모칸(83)에 표시되어 있는 공백문자가 삽입된다).
다음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이지플레이트(81)상에 「문자편집의 테스트를 위해 작성한 예문」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문자「위해」의 부분을 드래그하면,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한 문자가 반전표시되는 동시에, 그 문자가 네모칸(83)상에 표시된다. 그래서, 활자플레이트[82)의 각 네모칸(83)상에 정정해야 할 문자를 순차로 기입해가면, 이제까지 기입되어 있던 문자가 소거되고, 새로 기입한문자가 패턴인식되어 표시된다(제15도).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문자열 「위해」에 대신하여, 문자열 「위해 특별히」가 기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해서, 정정해야 할 문자를 기입한 후, 기입버튼(85)을 터치하면,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제까지 「위해」의 문자가 표시되어 있던 위치에 「위해 특별히」의 문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네모칸(83)상의 문자는 소거된다.
이와 같이하여, 문자의 삭제, 삽입, 정정을 같은 조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이지플레이트(81)에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문자열이 드래그된 경우에 있어서는 자동적으로 편집모드로 되어, 네모칸(83)상에 드래그한 문자가 표시된다. 그러고, 편집모드에 있어서, 기입버튼(85)을 터치했을 때, 네모칸(83)의 문자를 페이지플레이트(81)상에 표시함으로써, 편집모드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함으로써, 특별히 「편집버튼」을 화면(8)에 표시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화면(8)의 표시영역을 더욱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성이 개선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편집모드버튼을 설치하지 않고, 펜(6)으로 페이지플레이트(81)상의 문자가 드래그되었을 때 편집모드로 이행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는 종레의 경우와 같이 원하는 문자와 문자와의 사이를 펜(6)으로 터치해서, 그 위치에 커서(84)를 이동시키도록 하면, 조작성이 악화될 염려가 있다. 즉, 문자와 문자의 사이에 터치하려고 했을 때, 잘못해서 직접 문자에 터치해버리면, 커서(84)의 이동이 아니라, 문자의드랙으로 판정된다. 그래서, 커서(84)에 펜다운하여, 그대로 펜(6)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펜업함(즉 거서를 드대그함)으로써도 커서(84)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도는 이와 같이하여 커서를 이동시킬 경우의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즉, 스텝 S41에 있어서, 펜다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펜다운이 아니면 스텝 S42으로 진행하고, 기타의 처리가 실행된다. 펜다운이 행해졌을 때, 스텝 S43으로 진행하여, 문자상에 펜다운되었는지의 여부가판정된다. 만일 문자상에 펜다운이 이루어진 경우에 있어서는 스텝 S44으로 진행하여, 문자의 편집모드가 설정된다. 문자상에 펜다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스텝 S45에 있어서 커서(84)상에 펜다운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펜다운된 위치가 문자상도 또한 커서상도 아닌 경우에 있어서는 그 위치에 커서가 이동(점프)된다(S46). 다음에, 스텝 S47로 진행하여, 펜업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펜업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스텝 S48으로 진행하고, 펜끝의 위치에 커서가 이동, 표시된다. 커서의 위치에 펜다운이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는 스텝 S45에서 스텝 S47으로 진행하므르, 결국 펜(6)을 에이지플레이트(81)에 누른채 이동시킴으로써, 커서(84)를 원하는 위치에 끌듯이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펜업한 경우에 있어서는 그 펜업한 위치에서 커서가 점멸표시된다(S49).
전술과 같이, 청구항 1의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제 2 의 영역상에 표시된 문자열을 펜에 의해 드래그했을 때, 그 문자열을 제 1 의 영역상에 표시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문자의 삭제, 삽입, 정정등의 처리를 같은조작으로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제 2 의 영역상에 표시된 문자열에 펜으로 드래그했을때, 편집모드로 이행하고, 편집모드에 있어서 펜에 의해 기입버튼이 조각되었을 때, 편집모드를 중지하도록 하였으므로, 편집모드버튼을 특별히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화면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조작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청구항 3에 기록된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커서가 펜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드랙이 종료된 위치에 그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편집모드버튼을 설치하지 않고 편집모드를 설정하고, 또한 커서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Claims (3)

  1. 문자를 기입할 때 트례이스되는 제 1 의 영역과, 상기 제 1 의 영역에 기입되어, 확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2 의 영역과, 문자를 기입할 때 조작하는 펜을 구비하는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펜에 의해 상기 제 2 의 영역상에 표시된 문자열이 드래그되었을 때, 그 문자열을 상기 제 1 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2. 문자를 기입할 때 트레이스되는 제 1 의 영역과, 상기 제 1 의 영역에 기입되어, 확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2 의 영역과, 문자를 기입할 때 조작하는 펜과, 상기 제 1 의 영역에 기입된 문자를 상기 제 2 의 영역에 표시시킬 때 조작되는 기입버튼을 구비하는 문자입력창치에 있어서, 상기 펜으로 상기 제 2 의 영역상에표시된 문자가 드래그되었을 때 편집모드로 이행하고, 편집모드에 있어서 상기 펜에 의해 상기 기입버튼이 소작되었을 때 편집모드로 중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3. 문자를 기입할 때 트레이스되는 제 1 의 영역과, 상기 제 1 의 영역에 기입되어, 확정된 문자를 표시하는 제 2 의 영역과, 문자를 기입할 때 조작하는 펜과, 상기 제 1 의 영역에 기입된 문자를 상기 제 2 의 영역상에 기입하는 위치에 커서를 표시시키는 커서표시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커서표시제어회로는 상기 커서가 상기 펜으로 드래그되었을 때, 드랙이 종료된 위치에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입력장치.
KR1019910023041A 1991-01-22 1991-12-16 문자입력장치 KR950004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22803 1991-01-22
JP2280391A JP3329391B2 (ja) 1991-01-22 1991-01-22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方法
JP91-22,803 1991-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185A KR920015185A (ko) 1992-08-26
KR950004210B1 true KR950004210B1 (ko) 1995-04-27

Family

ID=1209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041A KR950004210B1 (ko) 1991-01-22 1991-12-16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64765A (ko)
EP (1) EP0496296B1 (ko)
JP (1) JP3329391B2 (ko)
KR (1) KR950004210B1 (ko)
DE (1) DE692256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2808A (ja) * 1992-11-12 1994-07-22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入力装置
JP3599973B2 (ja) * 1997-10-02 2004-12-08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カメラ
US6333995B1 (en) * 1999-01-29 2001-12-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robust keyword selection in a personal digital notepad
JP3956114B2 (ja) * 2002-06-28 2007-08-0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表示制御方法、これを用いた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光学式文字読み取り装置
US8077974B2 (en) * 2006-07-28 2011-12-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pact stylus-based input technique for indic scripts
CN101676838B (zh) * 2008-09-16 2012-05-23 夏普株式会社 输入装置
JP5306528B1 (ja) * 2012-09-19 2013-10-0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JP2015114836A (ja) * 2013-12-11 2015-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触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9483A (ja) * 1985-08-28 1987-03-04 Hitachi Ltd 実時間手書き文字認識の文字入力方式
CA1223366A (en) * 1984-09-27 1987-06-23 Abijah S. Fox System for automatic adjustment and editing of handwritten text images
US4672677A (en) * 1984-11-19 1987-06-09 Canon Kabushiki Kaisha Character and figure processing apparatus
US4972496A (en) * 1986-07-25 1990-11-20 Grid Systems Corporation Handwritten keyboardless entry computer system
US4839634A (en) * 1986-12-01 1989-06-13 More Edward S Electro-optic slate for input/output of hand-entered textual and graphic information
US4953225A (en) * 1987-10-16 1990-08-28 Sharp Kabushiki Kaisha Handwritten character-recogniz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displaying character frames
JPH02188818A (ja) * 1989-01-18 1990-07-24 Hitachi Ltd 手書き入出力装置並びにこの手書き入出力装置を用いた手書き入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25623T2 (de) 1999-01-21
US6064765A (en) 2000-05-16
KR920015185A (ko) 1992-08-26
JPH04238523A (ja) 1992-08-26
EP0496296A2 (en) 1992-07-29
EP0496296B1 (en) 1998-05-27
DE69225623D1 (de) 1998-07-02
EP0496296A3 (en) 1993-03-17
JP3329391B2 (ja) 200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1658B1 (en) Character inputting apparatus
KR100264192B1 (ko) 윈도우 표시장치
KR950004210B1 (ko) 문자입력장치
KR950004211B1 (ko) 문자입력제어장치
JP2965093B2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JP3045187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および光源制御方法
JPH03214223A (ja) 情報入力装置
KR100270848B1 (ko) 정보 처리 장치
JPH04255068A (ja) 文字列登録装置及び方法
JP3501291B2 (ja) 情報入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355606B2 (ja) 情報入力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H04250588A (ja) 文字認識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H04257055A (ja) 文字入力装置
JP3327464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電子手帳装置
JPH0424537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3210352B2 (ja) 情報入力制御方法および電子手帳装置
JP3211837B2 (ja) 時間情報入力装置および方法
JP3114736B2 (ja) 情報処理方法
JP3109108B2 (ja) 時刻設定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装置
JPH04250524A (ja) 入力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H04256891A (ja) 時刻設定装置
JPH05174068A (ja) 情報検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