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744Y1 -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744Y1
KR950002744Y1 KR2019930005478U KR930005478U KR950002744Y1 KR 950002744 Y1 KR950002744 Y1 KR 950002744Y1 KR 2019930005478 U KR2019930005478 U KR 2019930005478U KR 930005478 U KR930005478 U KR 930005478U KR 950002744 Y1 KR950002744 Y1 KR 950002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sash
dump truck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5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4594U (ko
Inventor
김정용
Original Assignee
김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용 filed Critical 김정용
Priority to KR2019930005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744Y1/ko
Publication of KR9400245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45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 B60J7/085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non-sliding type, i.e. movable or removable roofs or panels, e.g. let-down tops or roofs capable of being easily detached or of assuming a collapsed or inoperative position winding up, e.g. for ut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적용된 상태를 보인 덤프트럭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중 도어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중 가이드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2도중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구동부 50 : 회전축
52, 52A : 드럼 53, 53A : 와이어
54 : 정, 역모터 6 : 도어부
61 : 샷시 62, 63 : 절곡샷시
7 : 가이드부 71 : 고정판
72 : 덮개판 76 : 안내판
본 고안은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함의 상면에 이를 덮어주는 도어를 설치하여 주행중 적재함에 실린 적재물이 떨어지지 않도록한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덤프트럭의 적재함은 적재실내에 적재물이 담길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어서 상기 적재함에 자갈, 모래등과 같은 적재물을 싣고 주행중에 상기 적재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한 상면을 천이나 비닐등의 덮개로 덮어주어 운행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덮개를 별도로 보관하여 주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덮개를 보관할 곳이 마땅치 않아 덮개를 말아준 상태에서 적재실내에 방치하고 있어 취급부주의로 인해 덮개가 찢어지게되는 결함이 있으며, 상기 찢어진 덮개를 적재함 상면을 덮어주고 운행을 할 경우 자갈, 모래등과 같은 적재물이 찢어진 부위를 통해 떨어져 덮개를 덮어주더라도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고, 상기 운행중에 떨어지는 적재물이 후방에서 주행중인 차량으로 직접 떨어져 유리가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동반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재함 상면에 모우터 작동에 따라 개폐되는 도어를 설치하여 적재함 상면을 간단히 덮어줄 수 있도록 하여 적재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후속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운행중에 적재함에 담긴 적재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적재함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는 운전석과 적재함사이의 상면에 구비된 함체 내주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을 회전시켜주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축에 일측이 결합되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감겨지고 풀려지면서 적재함을 덮어주는 도어부와, 적재함을 구성하는 측면판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 양측면부가 내삽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가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실시예에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부호 1은 덤프트럭의 예시이다.
이 덤프트럭(1)은 운전실(2)후방에 적재물이 당겨질 수 있는 적재함(3)이 구비되는데, 상기 적재함(3)은 상면이 개방되고 좌, 우 양측판(31)과, 후면과(32)이 각기 개폐되도록하여 적재함(3)이 구성된다.
이상은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며, 다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적재함(3)과 운전석(2)사이에 구비되어 개방된 적재함(3)의 상면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개폐수단(4)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도어개폐수단(4)은 적재함(3)전방에 구비되어 함체(51)내부중앙에 종으로 구비된 회전축(50)일측에 구비되어 이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부(5)와, 상기 회전축(50)에 일측면이 결합되어 구동부(5)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50)에 감겨지고 풀려지면서 적재함(3)상면을 개폐하는 도어부(6)와, 양측판(31)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6) 양측면부를 가이드시켜주어 도어부(6)의 개폐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부(7)로 구성된다.
양측면(31)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6) 양측면부를 가이드시켜주어 도어부(6)의 개폐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부(7)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부(5)는 제2도에서와 같이 소정의 크기와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함체(51)내부중앙에 임의로 회전이 가능하도록된 회전축(50)양측에 각각 와이어(53), (53A)가 감겨지는 드럼(52), (52A)이 구비되고, 상기 드럼(52)일면에 정, 역모터(54)의 기어(541)와 치합되는 기어(55)로 구비된다.
또한, 도어부(60는 제3도에서 같이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체의 샷시(61)를 상, 하로 다수개 절곡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상기 샷시(61)양측에 폭과 두께를 동일하고, 길이가 짧은 절곡샷시(62), (63)가 구비되는 데, 상기 샷시(61) 상, 하면에 연결고리(611)와 체결고리(612)를 구비하고, 양측면에 연결고리(61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절곡샷시(62), (63) 상, 하면에도 이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고리(621), (631)와 체결고리(622), (632)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샷시중 절곡샷시(62)양측면에 샷시(61)와 절곡샷시(63)에 서로 연결되는 연결고리(623)와 체결고리(624)를 구비하였으며,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는 절곡샷시(63)일면에는 절곡샷시(62)의 연결고리(623)에 연결되는 체결고리(633)를 구비하여 이들을 서로 상·하, 좌·우로 절곡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일측의 샷시(61)는 회전축(50)에 결합되도록 하고, 타측 끝단부의 절곡샷시(63)에는 일측이 드럼(52), (52A)과 연결된 와이어(53), (53A)의 타측이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이드부(7)는 제4도에서와 같이 적재함(3)을 구성하는 양측의 측면판(31)상면에 고정되도록 "L"자로 절곡되는 고정판(7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에 경첩으로 체결되어 개폐되도록 하단면에 수개의 가이드레일(721)이 구비된 덮개판(72)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7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절곡샷시(63)의 저면을 안내하도록 소정간격으로 다수개의 가이드레일(711)이 구비되고, 저면에는 드럼(52), (52A)가 절곡샷시(63)에 연결되는 와이어(53), (53A)가 내삽되어 이를 보호하는 와이어 안내파이프(73)가 구비되며, 고정판(71)의 전면에는 와이어(53), (53A)를 잡아주는 로울러(7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71)내측에는 이와 체결 보울트(75)로 체결 고정되어 절곡샷시(63)를 잡아주고 이를 안내하여 주는 안내판(76)이 구비되는데, 이 안내판(76)선단에는 소정각을 갖는 경사면(761)이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고정판(71)에 구비된 체결공(712)과 동일 간격을 갖는 장공(762)이 구비되며 측면 상부에는 상기 절곡샷시(63)의 상면을 안내하는 걸림턱(76A)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재함(3)내에 자갈, 모래등의 각종 적재물이 담기게 되면 정, 역모터(54)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보턴(도시되지 않음)을 눌러준다.
이때 정, 역모터(54)가 구동됨에 따라 기어(541)와 치합된 기어(55)의 회전축(5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되는 회전축(50)에 의해 감겨진 도어부(6)가 풀림과 동시에 드럼(52), (52A)에 와이어(53), (53A)가 감겨지게됨에 따라 와이어가 연결된 도어부(6)가 펼쳐지면서 적재함(3)상면에 덮어주게 된다.
즉, 와이어(53), (53A)의 감김에 의해 펼쳐지는 도어부(6)의 양측 절곡샷시(62), (63)가 덮개판(72)를 들어주면서 고정판(71)내로 내삽되고 상기 고정판(71)내로 내삽된 절곡샷시(63)는 안내판(76)의 선단에 구비된 경사면(761)을 지나면서 도어부(6)가 내측으로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절곡샷시(63)상면이 안내판(76)의 걸림턱(76A)에 받쳐지고 저면이 고정판(71)의 가이드레일(711)에 얹혀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이송됨에 따라 경사면(761)을 지나 안내판(76)을 지나는 도어부(6)는 중간의 절곡샷시(62)가 소정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되어 도어부(6)가 제5도와 같이 상향 절곡된 상태에서 적재함(3)을 덮어주게 되고, 상기 적재함(3)을 덮어주는 샷시의 선단부의 고정판(71)끝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모터(54)의 구동을 정지시켜 주게된다.
그리고, 닫힌 도어부(6)를 열고자할 경우에는 모터(54)를 반대로 구동시켜 주면 회전되는 회전축(50)에 샷시(61)와 절곡샷시(62), (63)가 감겨지게 되고, 드럼(52), (52A)에 감겨진 와이어(52), (53A)는 풀리게되어 도어부(6)가 회전축(50)에 감겨지게 되어 적재함(3)이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적재함상면을 간단하고도 견고히 개폐시켜 줄 수 있어 별도의 덮개판을 구비하여 이를 적재함에 덮어주고 걷어내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또한 적재함 상면의 개방부를 견고하게 덮어주어 운행중에 적재물이 떨어지지 않게 되어 이로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덤프 차량의 적재함(3) 상단 전방에 구비되는 함체(51) 내부의 회전축(50)을 모터로 구동시켜 드럼의 와이어를 도어부(6)를 슬리이딩 시키는 구동부(5)와, 상기 도어부는 와이어와 결합되는 샷시(61)는 연결고리(611)와 체결고리(612) 및 측면 연결고리(613)를 구비하며, 양측판(31)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부 양측면부를 가이드시켜주어 도어부의 개폐를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부로 구성되는 도어 개폐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부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체로된 다수개의 샷시가 연결고리와 체결고리에 의해 상, 하 절곡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되고, 상기 샷시 양측으로 절곡 구성되도록 결합되는 절곡 샷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 트럭의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적재함을 구성하는 측판상면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이 고정판 상면에 경첩으로 체결되는 덮개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 내측에 이와 체결 보울트를 체결되어 양측에 결합된 절곡 샷시의 개폐를 가이드하여 주는 안내한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 개폐장치.
KR2019930005478U 1993-04-07 1993-04-07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KR950002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478U KR950002744Y1 (ko) 1993-04-07 1993-04-07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5478U KR950002744Y1 (ko) 1993-04-07 1993-04-07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594U KR940024594U (ko) 1994-11-16
KR950002744Y1 true KR950002744Y1 (ko) 1995-04-13

Family

ID=1935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5478U KR950002744Y1 (ko) 1993-04-07 1993-04-07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7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4594U (ko) 199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356B1 (ko) 개폐장치가 구비된 오픈 탑 컨테이너
KR950002744Y1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도어개폐장치
JPH0288345A (ja) 自動車用保護装置
KR101699355B1 (ko) 픽업차량용 적재함 커버 조립체
JP5232628B2 (ja) 車両用荷箱
JPH09315145A (ja) 車両用ブラインド装置
JPH11105615A (ja) トラック荷台のカバー装置
KR200264863Y1 (ko) 화물차 적재함용 2단 접이 덮개의 자동개폐장치
JPH0737962Y2 (ja) 車両用テ−ルゲ−トカバ−構造
KR100197020B1 (ko) 소형화물차용 적재함의 화물 고정장치
KR200166602Y1 (ko) 덤프트럭의 덮개자동개폐장치
KR200204052Y1 (ko) 화물차용 덮개 보관장치
KR19990011105U (ko) 화물차용 적재함 개폐장치
KR970003168Y1 (ko)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과적재 시 트렁크 리드 고정장치
KR19990027272A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오토커버
KR200151406Y1 (ko) 화물승강용 화물차의 리어게이트
KR960003516Y1 (ko) 차량의 트렁크 리드 단속장치
KR19990041594U (ko) 덤프 트럭의 적재함 커버 장치
KR200353563Y1 (ko) 화물차 적재함의 덮개장치
KR100191034B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JP3418934B2 (ja) コンテナ
KR200190133Y1 (ko) 화물차의 스페어 휠 캐리어 조립체(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KR19980017160A (ko) 자동차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장치
KR900009336Y1 (ko) 화물차 적재함 덮개의 개폐장치
JPH0924865A (ja) 貨物運搬車における荷台の天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