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565B1 - 용기 운반차 - Google Patents

용기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565B1
KR950002565B1 KR1019910009332A KR910009332A KR950002565B1 KR 950002565 B1 KR950002565 B1 KR 950002565B1 KR 1019910009332 A KR1019910009332 A KR 1019910009332A KR 910009332 A KR910009332 A KR 910009332A KR 950002565 B1 KR950002565 B1 KR 950002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ifting bar
container
support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558A (ko
Inventor
요시카즈 타바야시
Original Assignee
오오사카 다이유유 가부시기가이샤
스가하라 테루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사카 다이유유 가부시기가이샤, 스가하라 테루미 filed Critical 오오사카 다이유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7Drum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25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gripping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42Grips for grasping the upper rim of the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andcart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기 운반차
제1도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운반차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용기 운반치의 사면도.
제2a도는 승강바아 및 연결부재 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유압장치의 회로도.
제4도는 팰릿에 용기를 얹은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연결부재와 피스톤로드의 연결방법을 도시한 1실시예의 설명도.
제6도 및 제7도는 종래의 용기 운반차를 도시한 도면.
제8a도는 종래의 용기 운반차의 승강 바아에 작용하는 반력의 설명도.
제8b도는 본 발명의 용기 운반차의 승강바아에 작용하는 반력의 설명도.
제9a도 및 제9b도는 승강 바아를 손조작으로 들어올렸을때, 연결부재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반차 본체 2 : 지주
3 : 실린더 장치 4 : 승강바아
6 : 연결부재 9 : 드럼
21 : 세로홈 30 : 실린더
31, 33, 62 : 피봇축 32 : 피스톤로드
34 : 유압펌프 36 : 해제노브
36a : 유압해제 밸브 37 : 오일탱크
38 : 관로 38a : 첵크밸브
39 : 배출용 관로 41 : 접촉부
60 : 연결판 61 : 안내로울러
68 : 스토퍼
본 발명은 드럼등과 같은 대형용기의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의 상부 가장자리를 상클릭과 하부클릭에 의해서 클램프하여 용기를 들어올려서 운반하는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이러한 종류의 운반차로서는 예를들면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것이 알려져 있다. 제6도의 운반차에 대해서 설명하면, 운반차는 본체(1)에 지주(2)를 입설하고, 지주(2)내에 승강바아(4)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갖추고 있다. 승강바아(4)의 상단에는 하부클릭(5)과 상부클릭(7)의 각각의 중앙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양클릭(5)(7)의 일단부를 링크(71)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연결하고 있다. 운반차 본체(1)위에 실린더장치(3)을 배설하고, 피스톤로드(32) 가 승강레버(4)에 연결된다.
하부클릭(5)과 상부클릭(7)과의 사이에 드럼(9)의 상부 가장자리를 끼우고, 승강바아(4)를 상승시키면, 하부클릭(5)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링크(71)를 개재하여 상부클릭(7)의 타단부, 즉 그 선단부는 끌어내려져서 양 클릭에 의해서 드럼의 가장자리는 강력하게 크램프된다. 또, 운반차본체(1)에는 드럼(9)에 들어올렸을 때에 드럼의 몸통부에 닿아서 용기가 앞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접촉부(41)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운반차의 경우 접촉부(41)가 운반차 본체(1)에 고정되어 있어 드럼(9)이 들어올려질경우에는 그 하부 가장자리가 접촉부를 초과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릴 수 없었다. 따라서, 약간 높이가 있는 받침대위에 드럼을 얹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접촉부(41)의 높이를 변화가능하게 하기위하여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에 평행링크(23)(23)을 개재해서 승강바아를 연계하고, 상기 승강바아(4)에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하부클릭(5) 및 상부클릭(7)을 배설함과 동시에 승강용 실린더 장치(3)을 접속한 운반차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운반차의 경우 승강바아(4)는 평행링크(23)(23)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바아(4)가 상하로 이동하는 사이에 전후로도 이동한다. 즉, 드럼을 들어올린 위치와 착지위치가 어긋나게 된다. 이 때문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팰릿(8)에 4개의 드럼을 쌓을 경우는 팰릿으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드럼(9)을 쌓기가 곤란하다.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의해 창고에 팰릿마다 드럼을 반입할 경우 팰릿(8)으로 부터 드럼(9)이 비어져 나와 있으며 안전회로가 작동하여 자동사이클이 정지하기 때문에 드럼(9)을 손으로 눌러서 팰릿(8)으로 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잔손질이 간다.
또, 드럼(9)을 끌어올렸을때 드럼의 하부는 접촉부(41)에 당접하지만, 이때 반력(F)이 접촉부에 작용한다(제8도a참조). 이 반력(F)은 드럼의 중량을 W, 직경을 D, 높이를 h로 하였을 때, F=(D/2 xW)/h로서 주어지고, 하부클릭(5) 및 상부클릭(7)의 클램프부에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그러나,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종래의 운반차의 경우, 승강바아(4)만으로 클램프부에 작용하는 반력(F)을 받기때문에, 이반력(F)은 승강바아(4)에 대하여 그대로 휨 모우멘트로서 작용한다. 이 때에 승강바아는 이 흼 모우멘트에 견뎌낼수 있는 강성을 구비시키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의 들어올리는 높이를 크게할 수 있는 용기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바아에 작용하는 휨모우멘트를 적제 억제시킴으로써 승강바아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용기와 신속한 승강동작을 가능하게 한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 운반차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입설되어 앞벽에 세로홈이 형성된 중공의 지주와,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를 가지며 실린더의 하단을 운반차 본체에 부착하여 지주내에 배설한 실린더 장치와, 지주의 앞벽 외면에 접근하여 승강가능하게 배설되며, 하부로 운반해야될 용기의 몸통에 당접가능한 접촉부 및 지주의 외벽외면에 당접하여 회동가능한 로울러가 설치된 승강바아와,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로드 상단부와, 승강바아의 상단부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연결된 연결부재와, 승강바아의 상부에 돌설된 제1클램프요소 및 연결부재의 선단부에 배설한 제2클램프 요소를 이루어지고, 양요소의 협동작용에 의해서 용기의 상부 가장자리를 파지하는 클램프 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운반차본체(1)는 베이스(11)의 양측에 드럼(9)의 진입을 허용하는 간격을 두고 대체로 L자형상의 아암(12)(12)을 돌설하고, 아암(12)(12)의 선단 및 베이스(11)에는 차륜(13)을 각각 부착하고 있다.
베이스(11)위에 단면이 네모진 중공의 지주(2)을 수직으로 돌설하고, 상기 지주(2)의 앞벽에는 대체로 전체길이에 걸쳐서 세로홈(21)을 형성하고 있다. 또 지주(2)의 후벽에 손으로 누르는 핸들(22)을 돌설하고 있다.
지주(2)내에는 실린더(30)와 이것보다 상부방향으로 뻗은 피스톤로드(32)로 이루어진 실린더장치(3)를 배설한다. 피스톤로드(32)는 안내로울러(61)를 회전자재케 부착하고, 상기 로울러를 지주(2)의 앞벽내면에 닿게 하도록 되어있다. 혹은 또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스톤로드(32)에 지주(2)의 내경보다 약간 직경이 작은 확대부(32a)를 형성하여 지주내로 슬라이딩시켜도 된다.
실린더(30)에는 유압장치를 연결하고 있고, 이회로도를 제3도에 도시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오일탱크(37)와 실린더(30)는 관로(38)에 의해서 연결되고, 상기 관로에는 탱크(37)로부터 실린더(30)로만 오일의 유통을 허용하는 2개의 첵크밸브(38a)(38a)를 구비하고, 양첵크밸브(38a)(38a)의 사이에 유압펌프(34)을 연계하고 있다. 실린더(30)와 하류측 첵크밸브(38a)와의 사이의 관로(38)에 배출용의 관로(38)를 접속하고, 상기 배출관로(39)의 중간에 유압해제밸브(36a)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에 해제 노브(36)를 연결하고 있다. 또 유압 펌프(34)에는 페달(35)(제2도참조)을 연계하고 있다.
다시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실린더장치(3)의 피스톤로드(32)상단부와, 후술하는 승강바아(4)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연결부재(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해서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재(6)는 한쌍의 연결판(60)(60)을 대향배치한 것으로써, 지주(2)의 세로홈(21)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면내에서 회동가능하다. 연결부재(6)는 승강바아(4)의 피봇부로 부터 더욱 앞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이 돌출단부에는 상부클릭(7)을 고정하여 설치하고 상기 상부클릭은 하단부를 약간 내향하고 있다. 또, 연결판(60)(60) 사이에는 후술하는 피봇축(62)의 약간 앞방향 위치에 소토퍼(68)을 설치하고 있다. 또, 상부클릭을 들어올리는 핸들(63)을 돌설하고 있다.
피스톤로드(32)와 연결부재(6)는 피봇축(33)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연결된다. 상기 안내 로울러(61)는 피봇축(33)의 양단에 회선자재케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로드(32)의 선단부를 지주(2)의 내부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장치의 실린더(30)의 하단부는 본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린더로드(32)에 안내로울러(61)를 설치한 실시예에서는 실린더(30)의 하단부는 피봇축(31)에 의해서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로울러(61)의 외경칫수가 지주(2)의 내경칫수보다 상당히 작은 경우에도 드럼(9)를 들어올려서 로울러(61)가 지주(2)의 앞벽 내면에 닿았을 때 실린더를 직접 비트는 일은 없기 때문이다.
지주(2)의 앞쪽에는 지주(2)의 앞벽 외면에 접근하여 승강바아(4)를 배설한다. 승강바아는 상단부를 피봇축(62)에 의해서 연결부재(6)에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하고 있다.
승강바아(4)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클럭(7)에 대항해서 앞방향으로 향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하부클릭(5)을 돌설하고 있고, 상부클릭과 하부클릭의 협동작용에 의해서 클램프 수단을 구성한다. 승강바아(4)의 대체로 중앙부에는 승강바아를 들어올리는 수동핸들(43)을 돌설하고 있다. 승강바아(4)의 하단부에는 드럼(9)의 몸통부에 당접하는 원호형상의 접촉부(41)을 돌설하고, 상기 접촉부(41)의 근방에 지주(2)의 앞벽외면에 당접하는 로울러(42)(4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승강바아(4)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향하여 계지부재(44)를 돌설한다. 계지부재는 지주(2)의 세로홈(21)을 통과하고, 지주(2)의 앞벽 내면에 당접가능하며, 승강바아(4)의 앞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유압펌프(34)를 페달을 밞아서 조작하면 실린더장치(3)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32)가 돌출하고, 연결부재(6)을 개재하여 승강바아(4)가 끌어올려진다.
하부클릭(5)과 상부클릭(7)의 높이가 드럼(9)의 상부가장자리 상부면 높이에 대응하면 상부클릭을 작동시키는 핸들(63)을 조작하여 상부클릭(7)을 들어올리고, 운반자를 드럼(9)으로 향하여 전진시켜 양클릭 사이에 드럼(9)의 상부가장자리를 진입시킨다.
다음에 페달(35)을 밟고 실린더장치(3)를 작동시키면, 하부클릭(5)에 작용하는 드럼(9)의 하중이 연결부재(6)를 개재하여 상부클릭(7)을 끌어내리도록 작용하고, 양 클릭(5)(7)에 의해서 용기의 가장자리부분은 강력하게 클램프되어 이 상태로 드럼이 들어올려져서 소망 위치까지 운반할 수 있다.
피스톤로드(32)를 하강시키면 드럼의 가장자리 부분을 클릭(5)(7)에 의해 클램프된채로 내릴수 있다. 드럼(9)이 바닥면에 도달하면 하부클릭(5)에 작용하고 있는 용기의 하중은 없어지기 때문에 상부클릭(7)을 열어서 양 클릭의 사이로부터 용기의 가장자리 부분을 해제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운반차의 경우, 상술한 바와같이, 실린더장치(3)의 피스톤로드(32)의 상단부와, 승강바아(4)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연결부재(6)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연결하고 있다. 예를들면, 연결부재에 안내로울러(61)를 회전자재케 부착한 실시예의 경우는 제8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럼(9)을 끌어올렸을때 클램프부에 작용하는 반력(F)은 승강바아(4)와 안내로울러(61)의 양자로 받기때문에, 승강바아(4)에 작용하는 휨모우멘트는 종래의 운반차에 비하여 현저하게 경감된다. 이것은 제5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 결과, 승강바아(4)는 큰 강성을 필요로하지 않고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약 200 내지 300kg중량의 드럼 운반용의 겅우, 클램프 수단을 포함하여도 약 4kg이내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단한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위에 놓여져 있는 드럼(9)을 받침대 위로 부터 내리고 싶을경우 다음과 같이 조작하면 작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먼저, 핸들(43)을 들어올려서 제9a도의 상태로부터 승강바아(4)를 상승시키면, 제9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부재는 피봇축(33)을 회동중심으로해서 회동하고, 스토퍼(68)가 승강바아(4)의 상단부근방에서 당접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43)을 다시 들어올리면, 연결부재(6)를 개재하여 실린더장치(3)의 피스톤로드도 끌어올려진다. 클램프해야될 드럼(9)이 어떤 소망의 높이까지 상승시키면, 상술한 바와같이 운반차를 드럼(9)을 향하여 전진시킨다. 핸들(43)을 놓으면 자중으로 상부클릭(7)이 내려가고, 드럼(9)의 상부가장자리를 파지할 수 있다. 이어서, 페달(35)을 밟아서 실린더장치(3)를 작동시키면, 드럼(9)을 단단히 죄어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와같이 하면 페달조작에 의한 펌프(34)의 작동을 소망이 높이위치에서 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승강바아(4)의 승강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동작에 있어서, 제9b도의 상태로부터 다시 승강바아(4)를 들어올리고 실린더장치(3)의 피스톤로드(32)도 들어올렸을때 유압장치내에서는 탱크(37)의 기름이 관로(38)를 통하여 실린더내로 흡입되지만 첵크밸브(38a)(38a)의 작용에 의해서 피스톤로드(32)는 그 끌러올려진 위치에서 지지된다. 이 상태는 유압해제밸브(36a)를 해방하지 않는한 지속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강바아(4)에 작용하는 휨모우멘트를 적게함으로써 승강바아(4)를 경량화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핸들의 들어올리는 조작은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강바아(4)는 드럼용기를 클램프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상하 이동할뿐이고, 제5도에 도시한 종래의 운반차와 같은 전후로의 움직임은 없다. 이 때문에, 제4도와같이 팰릿(8)위에 상기 팰릿으로 부터 비지어 나오지 않도록 드럼(9)을 놓는 것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반차에 의해서 운반할 수 있는 용기를 드럼(9)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하부클릭(5)과 상부클릭에 의해서 클램프할 수 있는 상부가장자리를 갖춘 용기이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각각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본체에 입설되어 앞벽에 세로홈이 형성된 중공의 지주와,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가지며 실린더의 하단부를 운반차 본체에 부착하여 지주내에 배설된 실린더장치와, 지주의 앞벽 외면에 접근하여 승강가능하게 배설되고, 하부에 운바해야될 용기의 몸통부에 당접가능한 접촉부 및 지주의 앞벽외면에 당접하여 전동가능한 로울러를 설치한 승강바아와,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로드와 승강바아 상단부와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연결된 연결부재와, 승강바아의 상부에 돌설한 제1클램프 요소와, 연결부재의 선단부에 배설한 제2클램프 요소로 이루어지고, 협동작용하여 용기의 상부가장자리를 파지하는 클램프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운반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톤로드는 그 상단부에 지주의 앞벽 내면에 당접하여 전동가능한 안내로울러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운반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더 하단부는 운반체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운반차.
  4. 제1항에 있어시, 상기 실린더에 유압장치를 연결하고, 상기 유압장치는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탱크와 실린더를 연결하는 관로와, 상기 관로내에 설치되어 탱크로부터 실린더로만 오일의 유통을 허용하는 제1 및 제2의 첵크 밸브와, 제1 및 제2첵크밸브와의 사이에 설치한 유압펌프와, 실린더 및 하류측의 제2첵크밸브와의 사이의 관로에 접속되어 오일탱크로 통하는 배출용관로와, 상기 배출용 관로에 설치한 유압해제 밸브와, 상기 유압해제 밸브에 연결한 해제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운반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한쌍의 연결판을 대향배설하여 구성하고, 상기 연결판은 피봇축에 의해서 승강바아에 연결되어 있고, 대향하는 연결판의 사이에는 스토퍼를 피봇축의 약간 앞방향 위치에서 승강바아의 상단부와 당접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운반차.
KR1019910009332A 1990-06-07 1991-06-05 용기 운반차 KR950002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0550 1990-06-07
JP2150550A JPH072591B2 (ja) 1990-06-07 1990-06-07 容器の運搬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558A KR920000558A (ko) 1992-01-29
KR950002565B1 true KR950002565B1 (ko) 1995-03-23

Family

ID=1549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332A KR950002565B1 (ko) 1990-06-07 1991-06-05 용기 운반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22027A (ko)
EP (1) EP0460662B1 (ko)
JP (1) JPH072591B2 (ko)
KR (1) KR950002565B1 (ko)
AU (1) AU630813B2 (ko)
DE (1) DE69101879T2 (ko)
MY (1) MY1063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2242B1 (fr) * 1992-06-12 1998-03-27 Lebre Charles Chariot elevateur a variation d'aplomb par rapport au sol, equipe d'une pince a prise et retrait automatiques d'un fut.
US5342163A (en) * 1993-03-01 1994-08-30 Chemonics Industries, Inc. Drum grasping device
US5427494A (en) * 1993-03-01 1995-06-27 Fitzgerald; Stanley R. Container carrier
US5417344A (en) * 1993-12-13 1995-05-23 Wells; William E. Secondary containment apparatus with support and clamp
US5575605A (en) * 1994-03-07 1996-11-19 Fisher; Herbert H. Elevatable shopping cart
US5482421A (en) * 1994-06-21 1996-01-09 The Thurman Manufacturing Co. Drum lifter and transporter with integral force measuring device
JPH0832629A (ja) * 1994-07-15 1996-02-02 Minolta Co Ltd シリアルデータ伝送装置
US5618154A (en) * 1994-09-29 1997-04-08 Easy Lift Equipment Co., Inc. Drum transporter
EP0726224A3 (en) * 1995-02-13 1997-03-05 Liftomatic Material Handling Lifting and transport device for drums
US5639197A (en) * 1995-09-07 1997-06-17 The Drum Runner Material Handling Company Universal carrier with optional integral force measuring device
US5658118A (en) * 1996-02-27 1997-08-19 Luca; Battista Cylinder transporter
US5738480A (en) * 1996-04-15 1998-04-14 Butzen; Michael J. Two-wheeled dolly for moving heavy objects
US5885047A (en) * 1996-12-04 1999-03-23 Genie Industries, Inc. Pneumatic level maintaining transport
US20040076501A1 (en) * 2000-12-04 2004-04-22 Mcgill Dennis E. Apparatus for lifting and moving a workload
US6406248B1 (en) 2000-12-04 2002-06-18 Mcgill Dennis E. Apparatus for lifting and moving an upright cylindrical container
CA2521164A1 (en) 2002-09-05 2004-03-18 Quadeltrad, Sl. Inner rolling platform for moving a rigid container comprising a positioning receptacle
US20040265104A1 (en) * 2003-06-24 2004-12-30 Burnett Davis Container transporting device
US7273216B1 (en) 2006-07-24 2007-09-25 Hohrman Harlan W Welding tank cart system
US20090014979A1 (en) * 2007-07-10 2009-01-15 Kmd Enterprises, L.L.C. Hand truck apparatus
US8083458B2 (en) * 2007-08-17 2011-12-27 Wilkie Susan J Hoist system for flat screen televisions and heavy objects
US9815036B2 (en) * 2014-02-20 2017-11-14 Maguire Productss, Inc. Liquid color cart and method for liquid color dispensing
US10625997B1 (en) * 2016-04-29 2020-04-21 King Kutter, Inc. Container mobility lift
JP2019073353A (ja) * 2017-10-13 2019-05-16 日本通運株式会社 搬送装置
DE102018000477B4 (de) * 2018-01-20 2019-12-05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Fasstransportwagen mit Kippfunktion
US11059409B2 (en) * 2018-12-17 2021-07-13 Data Shredding Services of Texas, Inc. Methods and systems associated with a mobile bin tipper
CN111825014A (zh) * 2020-07-28 2020-10-27 利辛县江淮扬天汽车有限公司 一种垃圾车的垃圾箱装车辅助装置
CN112225124B (zh) * 2020-09-17 2022-04-1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箱体结构水平转运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5775A (en) * 1949-03-09 1953-04-21 Charles F Ernst Grasp device for hand trucks
US2905347A (en) * 1956-10-11 1959-09-22 Grand Specialties Company Drum handling lift truck
DE2531370A1 (de) * 1975-07-14 1977-01-20 Vaclav Pscholka Handbetriebener fass-transportwagen mit hydraulischer abhebung und mechanischem fassgreifer
US4257729A (en) * 1977-05-06 1981-03-24 Gilles Morissette Hand truck
US4741659A (en) * 1986-04-03 1988-05-03 Liftomatic Material Handling, Inc. Powered drum lifting truck
JPH0427740Y2 (ko) * 1986-04-10 1992-07-03
US4981412A (en) * 1990-02-20 1991-01-01 Hawkins Bruce L All terrain, variable fulcrum hand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0813B2 (en) 1992-11-05
AU7821491A (en) 1991-12-12
US5122027A (en) 1992-06-16
DE69101879D1 (de) 1994-06-09
JPH0441399A (ja) 1992-02-12
EP0460662B1 (en) 1994-05-04
EP0460662A1 (en) 1991-12-11
KR920000558A (ko) 1992-01-29
MY106311A (en) 1995-04-29
JPH072591B2 (ja) 1995-01-18
DE69101879T2 (de) 199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565B1 (ko) 용기 운반차
JPH032456Y2 (ko)
US3971485A (en) Forklift attachment
JPH06344922A (ja) パレットリフトトラック
CN213326570U (zh) 一种快速倾倒翻箱器及叉车
US4923357A (en) Container transfer lift
EP1213255B1 (en) A rotating jack winch
US3493137A (en) Pallet clamping device
US3799373A (en) Valve actuator & safety hook mechanism for vertical closing tailgate
CN112209218A (zh) 一种汽车车身多车型平台切换吊具切换站
US3180512A (en) Drum handling attachment for lift trucks
JP2000142413A (ja) ドラム缶運搬車
JPH0423916Y2 (ko)
EP0174709A1 (en) Lift truck
JP2557859Y2 (ja) 油圧式ジャッキ
US3334762A (en) Bale grab and hoist apparatus
CN213622844U (zh) 一种汽车车身多车型平台切换吊具切换站
JP3396816B2 (ja) 缶状容器の運搬装置
JPH045420Y2 (ko)
CN115959561A (zh) 一种吊具及吊挂方法
JPH0614193U (ja) 荷役車両
JPH06329399A (ja) 被搬送物の挟持搬送装置
JPS583960B2 (ja) フオ−クリフトヨウアタツチメント
JP3254505B2 (ja) 缶状容器の運搬装置
RU1794847C (ru) Грузо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