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461B1 -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461B1
KR950001461B1 KR1019920002598A KR920002598A KR950001461B1 KR 950001461 B1 KR950001461 B1 KR 950001461B1 KR 1019920002598 A KR1019920002598 A KR 1019920002598A KR 920002598 A KR920002598 A KR 920002598A KR 950001461 B1 KR950001461 B1 KR 950001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exhaust
vehicle
engin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700A (ko
Inventor
다다시 다베
마모루 쓰모리
후꾸이찌 요꼬가와
마사오 쓰기야마
야쓰시 자이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유-맥스
도리노 다다오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유-맥스, 도리노 다다오,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유-맥스
Publication of KR920016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엔진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적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장치 12 : 엔진
14 : 플랜지 16 : 제1배기다기관
18 : 플랜지 20 : 제2배기다기관
22 : 플랜지 24 : 제1배기관
26 : 플랜지 28 : 제2배기관
30 : 오일팬 32 : 오목한부
34 : 만곡부 36 : 합류부
38 : 공통의 배기관 40 : 촉매전환기
42 : 연통관
본 발명은 2열의 기통열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지향되어서 전후에 배치되는 브이(V)형 등의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엔진에는 직렬기통식 V형 기통식 및 수평대향 기통식등 각종이 존재하지만, V형 기통식이라든가 수평대향 기통식등과 같이 2열의 기통열을 갖는 엔진을 가로형으로 해서 차량에 탑재시킨 경우(회전축이 차폭방향을 지향) 2열의 기통열은 차량전후 방향으로 대향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차량후방의 기통열에 대해 그 후방측에 접속되는 배기관은 그대로 차량후방으로 안내하면 되지만 차량전방의 기통열에 대해 그 전방측에 접속되는 배기관은 엔진의 차량전방측으로부터 엔진을 넘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되어서 그 배기관의 배치가 곤란하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로부터 일본국 실개소 62-67920호 공보등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의 오일팬(oil pan)의 하부에 오목한부를 형성하여 이 오목한부내에서 차량전방의 기통열로부터의 배기관과 차량후방의 기통열로부터의 배기관과를 합류시켜서 이 합류부에 공통의 배기관을 접속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하도록 한것이 있다.
즉, 이와 같이 오일팬의 오목한부에서 배기관을 합류시키므로서 배기관의 배치를 소형화해서 도로와의 간격을 높게 설정할 수가 있다.
그런데, V형 기통식이라든가 수평대향식등의 엔진을 가로형으로 하는 경우 차량전방 및 차량후방의 각 기통열에 접속시키는 배기관의 길이는 기통간의 배기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긴쪽이 바람직하고, 다시 또 각각의 배기저항을 동등하게 하기 위해 동등한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의 배기장치에 있어서는 각 배기관을 엔진의 바로 아래에서 오일팬에 형성한 오목한 부에서 합류시키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배기관의 길이, 결국 기통의 접속부분으로부터 합류부까지의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가 없고, 기통간의 배기가 상호간섭해서 합류부에서의 배기저항이 현저하게 커져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전방의 기통열과 차량후방의 기통열과에 각각 접속하는 각 배기관의 관의 길이를 동등하게 하면서 충분히 길게 설정할 수 있는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2열의 기통열이 차폭방향으로 지향되어서 전후로 배치되는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에 있어서 차량전방의 기통열에 대해 그 전방측에 접속되는 제1배기관을 엔진의 오일팬의 하부에 형성한 오목한부를 통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차량후방의 기통열에 대해 그 후방측에 접속하는 제2배기관을 일단 전기한 오목한부내에 인도해서 만곡시켜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하고, 이들 제1배기관, 제2배기관과를 엔진의 차량후방에서 합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전기한 제1배기관과 제2배기관과는 전기한 오목한부내에서 연통관을 거쳐서 연달아 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엔진의 배기장치에 있어서는 차량전방의 기통열에 대해 그 전방측에 접속되는 제1배기관은 엔진의 오일팬의 하부에 형성한 오목한부를 통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되고 차량후방의 기통열에 대해 그 후방측에 접속되는 제2배기관은 전기한 엔진하부의 오일팬의 오목한부내로 향해서 일단 전방으로 인도한 후 그 오목한부내에서 만곡되어서 차량후방으로 유(U)자 형상으로 되접어 꺾어서 안내된다.
그리고, 이들 제1, 제2배기관은 엔진의 후방에서 각각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대략 동등한 길이로 합류된다.
이 때문에 배기간섭이 현저하게 저감됨과 동시에 배기저항이 거의 동등하게 된다.
또, 전기한 제1배기관과 제2배기관을 전기한 오목한부내에서 연통관을 거쳐서 연달아 통하게 하면 이 연통관을 거쳐서 제1 및 제2배기관의 배기음이 상호 간섭해서 저감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제3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엔진의 배기장치(10)으로서 제1도는 평면도, 제2도는 측면도, 제3도는 정면도, 제4도는 엔진의 개념적 평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이 실시예에서는 엔진(12)에는 V형 6기통식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이 엔진(12)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 기통(a1)(a2)(a3)로된 기통열(A)와 마찬가지로 3개의 기통(b1)(b2)(b3)로된 기통열(B)를 갖고, 이들 기통열(A)(B)는 차량폭방향(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지향되어서 차량전후방향(도면중 좌우방향)으로 대향배치되어서 차량에 탑재되도록 되어 있다.
차량전방의 기통열(A)의 각 기통(a1)(a2)(a3)에 대해서는 그 전방측에 플랜지(flange)(14)를 거쳐서 제1배기다기관(exhaust manifold)(16)이 접속되고, 차량후방의 기통열(B)의 각 기통(b1)(b2)(b3)에 대해서는 그 후방측에 플랜지(18)을 거쳐서 제2배기다기관(20)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의 배기다기관(16)(20)은 각각 같은 길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1배기다기관(16)에는 플랜지(22)를 거쳐서 제1배기관(24)가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한 제2배기다기관(20)에는 플랜지(26)을 거쳐서 제2배기관(28)이 접속되어 있어서 제1배기다기관(16)에서 모여진 배기가스는 제1배기관(24)로 흐르고, 또 제2배기다기관(20)에서 모여진 배기가스는 제2배기관(28)로 흘러내린다.
그런데, 전기한 엔진(12)의 아래쪽 끝부분에 부착된 오일팬(30)에는 그 하면을 위쪽으로 오목하게 마련한 오목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전기한 배기관(24)는 아래쪽으로 인도된 후 그 오목한부(32)를 통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된다.
또, 전기한 배기관(28)은 마찬가지로 아래쪽으로 인도된 후 일단 차량전방으로 향해서 만곡되어서 전기한 오목한부(32)내로 인되고, 그 오목한부(32)내에서 재차 만곡되어서 되접어 꺾어져서 차량후방으로 안내된다.
즉, 이 제2배기관(28)의 만곡부분(34)는 플랜지(26)의 아래쪽부분에서 일단 오일팬(30)의 오목한부(32)로 향해서 차량전방으로 만곡된 후 전기한 제1배기관(24)와 격리되는 측으로 재차 유(U)자 형상으로 되접어 꺾어져서 만곡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한 오목한부(32)를 통과한 제1배기관(24)의 후부측과 전기한 유(U)자 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제2배기관(28)의 후부측과는 엔진(12)의 차량후방측에서 합류되고, 이 합류부(36)으로부터 하부는 1개의 공통의 배기관(38)이 접속되어 있다. 이 공통의 배기관(38)에는 촉매전환기(4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배기관(24)(28)은 예리한 각도로 원활하게 합류되어서 공통의 배기관(38)에 접속된다.
또, 제1배기관(24)와 제2배기관(28)과는 전기한 오목한부(32)내에 배치한 부분이 상호연통관(42)를 거쳐서 연달아 통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에서는 차량전방의 기통열(A)의 각 기통(a1)(a2)(a3)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제1배기다기관(16)을 거쳐서 제1(24)로 흘러내려가고, 또 차량후방의 기통열(B)의 각 기통(b1)(b2)(b3)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제2배기다기관(20)을 거쳐서 제2배기관(28)로 흘러내려간다. 그리고, 이들 제1배기관(24) 및 제2배기관(28)에 흘러내려간 배기가스는 합류부(36)에서 합류한 후 공통의 배기관(38), 촉매변환기(40) 및 도시하지 않은 소음기 등을 통과해서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전기한 배기관(24)는 엔진(12) 아래쪽의 오일팬(30)의 오목한부(32)를 통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하고 있으나, 전기한 제2배기관(28)은 만곡부(34)에서 유턴(U-turn)시킨 후에 차량후방으로 안내하고 있다.
따라서, 제2배기관(28)은 만곡부(34)에 의해 그 길이를 더 얻을 수 있고, 이 제2배기관(28)이 차량후방측에 배치되는데도 불구하고, 제1배기관(24)와 제2배기관(28)과를 대략 동등한 길이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2배기관(24)(28)을 동등한 길이로 하므로서 각각의 배기저항을 동등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제1,제2배기관(24)(28)을 동등한 길이로 한 다음 이들 양자의 합류부(34)를 엔진의 차량후방에 배치했기 때문에 각각의 배기관(24)(28) 자체를 보다 길게 할 수가 있고, 각 기통열(A)(B)로부터 배출하는 배기간섭을 현저하게 저감해서 배기가스를 원활하게 흘릴 수 있게 된다.
다시 또, 이와 같이 제1, 제2배기관(24)(28)을 동등한 길이로 또한 길게 설정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제1배기관(24)을 오일팬(30)의 오목한부(32)를 통하고, 또한 제2배기관(28)의 만곡부(34)를 이 오목한부(32)에 배치하므로서 배기관의 배치를 소형화하고, 도로와의 간격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또, 고온이 되는 전기한 제1배기관(24) 및 전기한 만곡부(34)를 전기한 오목한부(34)내에 배치하므로서 이들 고온부분을 오일팬(30)의 윤활유가 고인 저면부로부터 떨어지게 할 수가 있고, 이 윤활유의 온도 상승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제1배기관(24)와 제2배기관(28)과는 전기한 오목한부(32)내에 배치한 부분을 연통관(42)를 거쳐서 연달아 통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연통관(42)를 거쳐서 제1배기관(24)와 제2배기관(28)의 배기음을 상호간섭시켜서 소음효과를 현저하게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V형 기통식의 엔진(12)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일이 없이 수평 대향 기통식의 엔진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실시예에서는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나타내는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에 있어서는 차량폭 방향으로 지향되어서 차량전후방향에 대향 배치되는 2열의 기통열에 대해, 차량전방의 기통열에 그 전방측으로부터 접속하는 제1배기관을 오일팬 하부에 형성한 오목한부를 통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차량후방의 기통열에 그 후방측으로부터 접속하는 제2배기관을 일단 전기한 오목한부내에 인도해서 그 오목한부내에서 만곡시켜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하고, 이들 제1배기관과 제2배기관과를 엔진의 차량후방에서 합류시켰기 때문에 제1배기관과 제2배기관과를 동등한 길이로 하면서 각각을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배기관과 제2배기관과의 배기저항을 동등하게 하면서 차량전후에서 대향한 기통간의 배기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해서 배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전기한 제1배기관 및 제2배기관의 만곡부를 오일팬의 오목한부에 배치하므로서 이들 배기관을 소형으로 배치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오일팬의 저면부에 고인 윤활유에 배기열이 작용하는 것을 감소시키고, 이 윤활유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제1배기관과 제2배기관과를 전기한 오목한부내에서 연통관을 거쳐서 연달하 통하도록 하므로서 이 연통관을 거쳐서 제1 및 제2배기관의 배기음을 상호간섭시켜서 소음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각종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다.

Claims (2)

  1. 2열의 기통열이 차폭방향으로 지향되어서 전후에 배치되는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10)에 있어서, 차량전방의 기통열에 대해 그 전방측에 접속되는 제1배기관(24)를 엔진(12)의 오일팬(30)의 하부에 형성한 오목한부(32)를 통해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차량후방의 제2기통열에 대해 그 후방측에 접속되는 제2배기관(28)을 일단 전기한 오목한부(32)내로 인도한 후 만곡시켜서 차량후방으로 안내하고, 이들 제1배기관(24)와 제2배기관(28)과를 엔진(12)의 차량후방에서 합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배기관(24)와 제2배기관(28)과는 전기한 오목한부(32)내에서 연통관(42)를 거쳐서 연달아 통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KR1019920002598A 1991-02-25 1992-02-21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KR950001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53430 1991-02-25
JP5343091 1991-02-25
JP33088291A JP3184271B2 (ja) 1991-02-25 1991-12-13 横置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91-330882 1991-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700A KR920016700A (ko) 1992-09-25
KR950001461B1 true KR950001461B1 (ko) 1995-02-24

Family

ID=2639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598A KR950001461B1 (ko) 1991-02-25 1992-02-21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52138A (ko)
JP (1) JP3184271B2 (ko)
KR (1) KR950001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9994A (en) * 1994-02-18 1996-05-28 Tennessee Gas Pipeline Company Muffler with inlet pipe equalizer
US5473891A (en) * 1994-06-10 1995-12-12 Ap Parts Manufacturing Company Three-piece stamp formed connector for achieving equal length exhaust pipes
FR2738032B1 (fr) * 1995-08-25 1997-09-19 Renault Moteur a combustion interne comportant un dispositif d'echappement a pot catalytique
US6978606B2 (en) * 2002-11-01 2005-12-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qual length crossover pipe exhaust system
JP2008195113A (ja) * 2007-02-08 2008-08-28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及び自動二輪車
JP5033721B2 (ja) * 2008-06-27 2012-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型4気筒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20110060415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파이프 구조
US8550204B2 (en) * 2010-12-28 2013-10-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Exhaust device of a vehicle and a utility vehicle provided with the same
JP2013213411A (ja) * 2012-03-30 2013-10-17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6245123B2 (ja) * 2014-09-24 2017-12-13 マツダ株式会社 多気筒エンジンの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1925A (ja) * 1983-04-29 1984-11-15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S6267920A (ja) * 1985-09-19 1987-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圧制御発振器
US4831823A (en) * 1987-02-24 1989-05-23 Yamada Hatsudoki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control means for motorcycle and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52138A (en) 1992-10-06
JPH0510122A (ja) 1993-01-19
KR920016700A (ko) 1992-09-25
JP3184271B2 (ja)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9130B2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KR950001461B1 (ko) 가로형 엔진의 배기장치
US5908079A (en) Air intake apparatus of motorcycle
JP2008297960A (ja) 内燃機関の吸気マニホルド
US5956949A (en) Variable exhaust system for V-engines II
JP2892700B2 (ja) V形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4204585A (en) Carburetor system for a multi-cylinder engine of a motorcycle
US4833882A (en) Exhaust manifold for 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497443B2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890000253B1 (ko) 자동차엔진의 배기장치
JPS6285163A (ja) V形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JP7400693B2 (ja) エンジンの排気循環装置
US20190195174A1 (en)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43506A (en) Injection line system
JP3496106B2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JP2592095Y2 (ja) エンジンのブローバイガス還流装置
JPH0245003B2 (ko)
JP2921434B2 (ja) 車両用縦置き式エンジンの冷却構造
KR0169410B1 (ko) 브이형 엔진의 배기장치
JPH0618033Y2 (ja) エンジンの排気マニホールド構造
JPS595829A (ja) 自動二輪車等の冷却水通路装置
JPS6069230A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3856207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排気装置
JP7400547B2 (ja) エンジンにおけるegrバルブの取り付け構造
JP2005083193A (ja) 内燃機関の排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