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323B1 - 접동성 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동성 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323B1
KR950001323B1 KR1019900021462A KR900021462A KR950001323B1 KR 950001323 B1 KR950001323 B1 KR 950001323B1 KR 1019900021462 A KR1019900021462 A KR 1019900021462A KR 900021462 A KR900021462 A KR 900021462A KR 950001323 B1 KR950001323 B1 KR 95000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thermoplastic resin
vinyl
resin
improv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2035A (ko
Inventor
쇼이찌 요시다니
히로끼 미즈다니
노부요시 수즈끼
카즈미네 오오하라
야스시 오오야나기
이사무 세끼구찌
Original Assignee
닛뽕유시 가부시기가이샤
오까모도 키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유시 가부시기가이샤, 오까모도 키네오 filed Critical 닛뽕유시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C08F4/34Per-compounds with one peroxy-radic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접동성 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접동성 개량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열가소성수지에 사용하면 열가소성수지의 물리적특성, 기계적성질, 열적성질을 유지할 뿐아니라 열가소성수지의 접동특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접동성 개량제이고, 전기 및 전자기계부품, 정밀기계부품, 자동차부품등 넓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수지재료는 기계특성, 전기특성, 생상성, 내부식성, 경량성등에 뛰어나기 때문에 금속대체의 공업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용도의 하나로, 수지재료의 자체 윤활성을 이용한 접동부재를 들 수 있고, 자동차, 건재, 전기분야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접동용도에는 열경화성수지, 열가소성수지의 어느 것이나 사용되나, 특히 생산성이 양호한 점에서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는 일이 많다.
최근 이용분야의 확대에 수반하여, 수지재료에 대해서도 한층 고도의 접동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열가소성수지의 접동특성의 개량방법으로서, 다음에 표시한 고체 혹은 액체의 윤활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폴리옥시메틸렌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서, 일본국 특개소 62-253650호 공보, 동 63-37198호 공보에는 특정의 MI(멜트인덱스)를 가진 폴리에틸렌수지를 폴리옥시메틸렌수지에 첨가하고, 마찰계수의 저하 및 접동중의 소리나는 현상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동특개소 63-33465호 공보에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미분말을 폴리옥시메틸렌속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성형성, 내마찰, 내마모특성에 뛰어난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얻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
또, 동특개소 60-144351호 공보에는 특정성상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분말을 폴리옥시메틸렌과 용융혼련하고,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용융한계 PV치가 높은 폴리옥시메틸렌 조성물을 얻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동특개소 62-253651호 공보에 방향족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에 부분적으로 불소화된 폴리올레핀을 블렌드하는 방법, 동특개소 63-162756호 공보에는 방향족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에 불소화된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실리콘유체를 블렌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각각 마모내성에 뛰어난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를 얻게 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스티렌 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동특개소 63-182361호 공보에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에 폴리올레핀, 스티렌-올레핀 그라프트 혹은 볼록공중합체 디메틸실리콘을 블렌드하는 방법, 동특개평 1-201351호 공보에는 스티렌계 수지에, 실리콘-오일, 주석계 안정제를 블렌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각각 접동성에 뛰어난 스티렌계 수지를 얻게 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동특개소 59-170138호 공보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에 고체윤활제, 윤활유제, 폴리옥시알킬렌계 화합물을 블렌드하는 방법, 동특개소 59-140253호 공보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에 티탄산칼륨섬유 및 불소수지를 블렌드하는 방법, 동특개소 63-213551호 공보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에 4불화에틸렌수지를 블렌드하는 방법, 동특개소 63-297455호 공보에는 폴리에스테르수지에 탄소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블렌드하는 방법등이 개시되어 있고, 각각 접동특성에 뛰어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얻게 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폴리아릴렌살파이드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동특개소 50-119040호 공보에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에 4불화에틸렌수지를 배합하는 방법, 동특개소 52-129761호 공보에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에 흑연, 4불화에틸렌수지를 배합하는 방법, 동특공소 56-50124호 공보에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에 흑연, 4불화에틸렌수지, 윤활유를 배합하는 방법, 동특공소 57-13586호 공보에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에 2황화몰리부덴, 탄소섬유를 배합하는 방법, 동특개소 60-228558호 공보에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에 4불화에틸렌수지, 2황화물리부덴, 분해성을 가진 무기충전제, 섬유상 강화제를 배합하는 방법, 동특개소 62-232457호 공보에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에 4불화에틸렌수지, 강화충전제, 특정의 유기실란화합물을 배합하는 방법등이 개시되어 있다.
또, 폴리아미드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동특개소 60-96649호 공보에 폴리아미드수지에 분말상 고밀도 폴리에틸렌, 티탄산칼륨 위스커를 블렌드하는 방법, 동특개소 60-144351호 공보에는 폴리아미드수지에 특정입자직경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분말을 블렌드하는 방법, 동특개소 62-218453호 공보에는 폴리아미드수지에 탄소섬유와 특정분자량의 폴리에틸렌을 블렌드하는 방법등이 개시되어 있고, 각각 접동특성에 뛰어난 폴리아미드수지가 얻게 되는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동특개소 60-186560호 공보에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에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를 배합해서 마찰마모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 폴리아릴레이트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킬목적으로, 동특개소 59-179662호 공보에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에 윤활유, 윤활유담체, 운모, 고체윤활제를 배합해서 마찰마모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폴리옥시메틸렌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62-253650호 공보, 동 63-37198호 공보와 같이 폴리에틸렌수지를 용융혼련하고 폴리에틸렌을 폴리옥시메틸렌속에 분산시켜서 폴리옥시메틸렌의 접동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옥시메틸렌과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나 내열성이 크게 저하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 아니라, 얻게 된 성형품이 층형상 박리현상을 일으키거나, 금형에로의 부착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동특개소 60-144351호 공보나 동 63-33465호 공보와 같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미분말을 폴리옥시메틸렌속에 분산하는 방법으로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 큰 입자로 분산하므로 마찰계수의 저하에는 큰 효과를 올릴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62-253651호 공보, 동 63-162756호 공보와 같이 불소화된 폴리올레핀 단독을 블렌드하는 방법이나, 불소화된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실리콘유체를 블렌드하는 방법에서는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의 마모내성은 개선되지만, 불소화된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실리콘유체등과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와의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의 뛰어난 물리적 특성, 기계적 성질이 손상될 뿐아니라, 얻게 된 성형품이 블리이드현상이나 층형상 박리현상을 일으키거나, 금형에로의 전사현상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스티렌 수지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63-182361호 공보와 같이 폴리올레핀수지, 스티렌-올레핀그라프트 혹은 블록 공중합체, 디메틸실리콘을 블렌드하는 방법에서는 접동성은 어느정도 개선되지만, 얻게 된 스티렌계 수지의 기계적물성이 저하될 뿐아니라, 성형시의 층형상 박리현상이나 블리이드현상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동특개평 1-201351호 공보와 같이 실리콘오일, 주석계안정제를 블렌드하는 방법에서는 종래의 것보다 성형시의 불탄현상은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아직 충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없다.
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58-170138호 공보와 같이 윤활유를 블렌드하는 방법에서는 성형품 표면에 윤활유가 블리이드아우트해서 달라붙는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고, 동특개소 59-140253호 공보, 동 63-213551호 공보, 동 63-297455호 공보와 같이 불소수지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블렌드하는 방법에서는, 열가소성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접동특성은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불소수지나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등과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의 뛰어난 물리적특성, 특히 기계적물성이 손상될 뿐아니라, 얻게 된 성형품이 층형상 박리현상을 일으키거나, 금형에로의 부착현상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폴리아릴렌살파이드수지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50-119040호 공보, 동 52-129761호 공보, 동특공소 56-50124호 공보, 동 57-13586호 공보, 동특개소 60-228558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은, 어느 것이나 접동성 개량제로서 4불화에틸렌수지, 2황화몰리부덴, 흑연 등의 고체윤활제를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에 배합하는 것으로, 이들의 고체윤활제의 배합량이 많은 것에 기인된 마모량의 증대나 특히 4불화에틸렌수지를 배합하는 것에 대해서는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응집에 의한 분산불량이나 기계적특성의 저하, 표면상태의 악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동특개소 62-232457호 공보에 있어서는,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와 4불화에틸렌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의 유기실란화합물을 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서도 아직 충분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또, 폴리아미드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60-96649호 공보, 동 60-144351호 공보, 동 62-218453호 공보와 같이 고밀도폴리에틸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등을 블렌드하는 방법에서는, 폴리아미드수지의 접동특성은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형상을 분말상으로 하거나, 입자직경을 특정하거나, 분자량을 특정해도 원래 폴리에틸렌과 폴리아미드수지와의 상용성이 없기 때문에, 폴리아미드수지의 뛰어난 물리적특성, 특히 기계적물성이 손상될 뿐아니라, 얻게 된 성형품이 층형상 박리현상을 일으키거나, 금형에로의 부착현상을 일으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60-186560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비마모량의 저감 즉 마모특성에 대해서는 개선되지만, 마찰계수의 저하에 대해서는 거의 효과가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폴리아릴레이트의 접동성향상방법으로서 제안되고 있는 동특개소 59-179662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마찰마모특성은 개선되지만 윤활유의 블리이드 아우트에 의한 표면성의 저하나 폴리아릴레이트수지와 윤활유, 고체윤활제와의 상용성이 부족한데 기인되는 기계적물성의 저하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고체 윤활제 또는 액체 윤활제를 열가소성수지에 첨가한 것에서는, 열가소성수지의 뛰어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고, 접동특성을 향상시킨 것을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의 다상(多相)구조 열가소성수지가 접동성 개량제로서 뛰어난 접동성 개량효과를 표시함과 동시에, 본 접동성 개량제를 사용한 수지조성물은, 기계적특성, 내열성에도 뛰어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a) 5∼95중량% 및 비닐계 중합체(b) 95∼5중량%로 이루어지고, 분산수지의 입자직경이 0.001∼10㎛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접동성 개량제이고, 여러가지 마찰조건에 있어서 안정된 접동특성을 표시함과 동시에 기계적특성, 내열성이 뛰어난 수지조성물을 부여하는 접동성 개량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속의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에는 에틸렌계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비공역디엔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 에틸렌과 극성 비닐 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틸렌은 에틸렌단량체를 고압라디칼 중합, 중저압 이온중합등에 의해 얻게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량체를 이온중합등에 의해 얻게 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속의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중량비는 95 : ∼5 : 95의 것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α-올레핀 단랑체는 탄소수 3∼20개를 가진 불포화 탄화수소화합물이고, 예를 들면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헥센-1, 헵텐-1, 옥텐-1, 4-메틸부텐-1, 4-메틸펜텐-1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프로필렌이다.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비공역디엔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에 있어서 사용되는 α-올레핀 단량체는 탄소수 3∼20개를 가진 불포화탄화수소화합물이고, 예를 들면,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헥센-1, 헵텐-1, 옥텐-1, 4-메틸부텐-1, 4-메틸펜텐등을 들 수 있다. 또, 비공역디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리덴노르보르넨,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2-메틸-1,5-헥사디엔, 1,4-시클로헵타디엔, 1,4-시클로옥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과 α-올레핀과 비공역디엔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에틸리덴노르보르넨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1,4-헥사디엔공중합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시클로펜타디엔 공중합체 고무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과 극성 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에 있어서 사용되는 극성비닐계 단량체란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기를 가진 단량체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푸마르산, 말레산, 무수말레산, 이타콘산, 무수이타콘산, 비시클로(2,2,1)-헵텐-2,3-디카르복시산등의 α,β-불포화카르복시산 및 그 금속염,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 n-부틸, 아크릴산 이소부틸, 아크릴산 t-부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 n-부틸, 메타크릴산이소부틸등의 α,β-불포화 카르복시산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카프론산비닐, 카프릴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트리플루올아세트산비닐등의 비닐에스테르류, 아크릴산글리시딜, 메타크릴산글리시딜, 이타콘산모노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의 불포화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과 극성비닐계 단량체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 에틸렌-아크릴산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이소프로필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n-부틸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이소프로필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2-에틸헥실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메틸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에틸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n-부틸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이소부틸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프로피온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무수말레산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글리시딜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글리시딜공중합체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비닐계 중합체란, 구체적으로는, 스티렌, 헥치환스티렌(예를 들면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이소프로필스티렌, 클로르스티렌등), α-치환스티렌(예를 들면 α-메틸스티렌, α-에틸스티렌등)등의 비닐방향족단량체 ; 아크릴산 혹은 메타크릴산의 탄소수 1∼7의 알킬에스테르(예를 들면, (메타) 아크릴산의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등)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크릴레이트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 알킬에스테르단량체 ; 아크릴로니트릴 혹은 메타크릴니트릴등의 시안화 비닐 단량체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등의 비닐에스테르단량체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등의 (메타)아크릴아미드 단량체 ;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크로톤산 등의 불포화카르복시산 및 그 아미드, 이미드, 에스테르, 무수물등의 유도체등의 비닐 단량체의 1종 또는 2종이상을 중합해서 얻게 된 중합체이다.
이들중에서도 특히, 비닐방향족단량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단량체, 시안화비닐단량체 및 비닐에스테르단량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시안화비닐 단량체 0∼50중량% 및 비닐방향족단량체 50∼100중량%로 이루어진 비닐계 공중합체, 또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50중량% 이상 함유한 비닐계 중합체는, 열가소성수지에로의 분산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태양이 된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또는 비닐계 중합체 매트릭스 속에, 그것과는 상이한 성분인 비닐계 중합체 또는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가 구슬형상이고 바다섬 형상으로 균일하게 분사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분사되어 있는 중합체의 입자직경은 0.001∼10㎛, 바람직하게는 0.01∼5㎛이다. 분산수지 입자직경이 0.001㎛ 미만인 경우 혹은 5㎛을 초과하는 경우, 열가소성수지에 블렌드 했을때의 분산성이 낮고, 예를 들면 외관의 악화 혹은 기계적성질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속의 비닐계 중합체의 수평균중합도는 5∼10000, 바람직하게는 10∼5000이다.
수평균중합도가 5미만이면, 수지조성물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수지에 블렌드했을때의 분산성이 낮고 기계적물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수평균중합도가 10000을 초과하면, 용융점도가 높고, 성형성이 저하하거나, 표면광택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는,비극성α-올레핀중합체 20∼95.2중량%와 비닐계 중합체 4.8∼80중량%로 유기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것이다.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가 20중량% 미만이면, 접동특성 개량효과가 불충분하고 바람직하지 않다. 또,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가 95중량%를 초과하면 접동특성 개량효과는 충분히 얻게 되나, 기계적성질이나 내열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제조할때의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연쇄이동법, 전리성 방사성 조사법등의 그라프트 화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하기에 표시한 방법에 의한 것이다. 왜냐하면 다상구조체의 분산입자직경이 매우 미세하고 또 균일하며, 열에 의한 2차적 응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성능의 발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1의 방법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100중량부를 물에 현탁시키고 따로 적어도 1종의 비닐 단량체 5∼400중량부에, 10시간의 반감기를 얻기 위한 분해온도가 40∼130℃인 라디칼중합개시제를 비닐 단량체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5중량부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고, 라디칼중합개시제의 분해가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조건에서 가열하고, 비닐 단량체 및 라디칼중합개시제를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에 함침시키고, 그 함침율이 처음의 10중량% 이상에 달했을때, 이 수성현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비닐 단량체를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속에서 중합시킨 중합체(A)를 얻는다.
이 중합체(A)도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임으로 접동성 개량제로서 사용해도 좋다.
또, 중합체(A)를 100∼300℃에서 용융하, 혼련하므로서,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얻을 수도 있다.
이때, 이 중합체(A)에 대해서, 따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99중량% 이하 또는 비닐계 중합체 99중량% 이하를 혼합하고, 용융하에 혼련해도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중합체(A)에 대해서, 따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및 비닐계 중합체를 99중량% 이하 혼합하고, 용융하에 혼련해도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접동성 개량제는, 중합체(A)를 혼련해서 얻게 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이다.
또 제2의 방법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100중량부를 물에 현탁시키고, 따로 적어도 1종의 비닐단량체 5∼400중량부에, 하기 일반식(a) 또는 (b)로 표시되는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의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이 비닐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해서 0.1∼10중량부와, 10시간의 반감기를 얻기 위한 분해온도가 40∼90℃인 라디칼중합개시제를 비닐 단량체와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과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5중량부를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 라디칼중합개시제의 분해가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조건에서 가열하고, 비닐 단량체,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 및 라디칼중합개시제를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에 함침시키고, 그 함침율이 처음의 10중량% 이상에 달했을때, 이 수성현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비닐 단량체와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을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속에서 공중합시켜서, 중합체(B)를 얻는다.
이 중합체(B)도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이므로 접동성 개량제로 사용해도 좋다.
또, 중합체(B)를 100∼300℃의 용융하, 혼련하므로서,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얻을 수도 있다.
이때, 중합체(B)에 대해서, 따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99중량% 이하 또는 비닐계 중합체 99중량% 이하를 혼합하고, 용융하에 혼련해도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얻을 수 있다.
또, 중합체(B)에 대해서, 따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및 비닐계 중합체를 99중량% 이하 혼합하고, 용융하에 혼련해도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들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접동성 개량제는, 중합체(B)를 혼련하고, 그라프트공중합체를 함유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이다.
상기 일반식(a)으로 표시되는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이란, 식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의 알킬기,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 R3및 R4는 각각 탄소수 1∼4의 알킬기, R5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 페닐기, 알킬치환페닐기 또는 탄소수 3∼12의 시클로 알킬기를 표시함. m는 1 또는 2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또, 상기 일반식(b)으로 표시되는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이란, 식
(식중, R6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R7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R8또는 R9는 각각 탄소수 1∼4의 알킬기, R10은 탄소수 1∼12의 알킬기, 페닐기, 알킬치환페닐기 또는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기를 표시함. n은 0.1 또는 5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일반식(a) 및 (b)로 표시되는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의 구체예는 동특개평 1-13122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t-부틸퍼옥시아크릴로일옥시 에틸카아보네이트 ; t-부틸퍼옥시메타크릴로 일옥시에틸카아보네이트 ; t-부틸퍼옥시마타릴 카아보네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접동성 개량제로서 사용하는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는,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또는 비닐계 중합체 매트릭스속에 그것과는 상이한 성분인 비닐계 중합체 또는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가 바다섬형상으로 분산한 구조일 것이 필수적이고, 반드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과 비닐계 중합체와의 사이에 그라프트 공중합체 구조와 같은 화학적 결합이 없어도 좋다.
그런,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와 비닐계 중합체 와의 사이에 그라프트 공중합체 구조와 같은 화학적 결합이 있으면, 더욱 접동성 개량효과가 향상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태양이 된다.
또 본발명에서 접동성 개량제로서 사용하는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에 윤활제를 0.1∼50중량% 배합하면, 더욱 접동성 개량효과가 향상한다.
윤활제의 배합량이 0.1중량% 이하이면, 접동성 개량효과의 향상효과가 없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를 첨가한 수지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이나 표면상태가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에 배합하는 윤활제로서는, 통상 수지의 접동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되어 있는 것이고, 예를 들면, 스핀들유, 냉동기유 터어빈유, 머시유, 실린더유, 기어유등의 고나유, 유동파라핀, 파라핀옥솨, 폴리에틸렌왁스등의 탄화수소 ;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틴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딘산, 베헨산, 몬탄산등의 지방산 ; 헥실알코올, 옥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리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글리콜류,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롤, 펜타에티트리톨등의 알코올 ;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 베헤닐베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베헤네이트등의 지방산에스테르 ; 스테아릴아미드, 팔미틸아미드, 오레일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로아미드, 에틸렌비스스테아로아미드등의 지방산아미드 ;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의 금속비누 ; 몬탁왁스등의 천연왁스 ; 실리콘등이 1종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실리콘, 광유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는, 특히 열가소성수지에 사용할 경우, 양호한 접동성 개량효과를 표시하나, 열가소성수지중에서도 특히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카아보네이트, 스티렌계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릴렌살파이드,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아릴레이트의 1종이상의 이루어진 열가소성수지에 사용할 경우, 특히 양호한 접동성 개량효과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폴리옥시메틸렌은, 옥시메틸렌호모폴리머, 대부분이 옥시메틸렌 단위로 이루어진 코폴리머 또는 터폴리머등으로서, 예를 들면 동특개소 63-344호 공보속에 개시되어 있는 것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는, 예를 들면, 4,4-디히드록시디페닐-2,2-프로판(통칭 비스페놀 A)를 비롯한 4,4-디옥시아릴알칸계 폴리카아보네이트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동특개소 62-253651호 공보속에 개시되어 있는 것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스티렌 수지는, 예를 들면 동특개소 63-248836호 공보속에 개시되어 있는 것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예를 들면 동특개소 59-170138호 공보속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아릴렌살파이드수지는, 예를 들면, 동특공소 45-3368호 공보, 동 52-12240호 공보, 동특개소 53-136100호 공보, 동 61-7332호 공보, 동 63-39926호 공보 등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 특히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가 바람직하고, 가교구조를 가진 것이나 선형상 고분자량형의 분자구조를 가진 것이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폴리아미드수지는, 예를 들면 동특개소 60-144351호 공보속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2, 나일론 46등의 지방족폴리아미드수지, 폴리헥사디아민테레프탈아미드, 크실렌기 함유 폴리아미드등의 방향족 폴리아미드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계수지는, 예를 들면 2,6-디메틸페놀등의 단고리식페놀의 1종 이상을 중축합해서 얻게 되는 폴리페닐렌에테르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나, 이들에게 고무강화폴리스티렌등의 방향족비닐중합체를 배한한 것등이고, 예를 들면 동특개소 60-186560호 공보속에 개시되어 있는 것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상이 되는 폴리아릴레이트수지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류와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에서 얻게 되는 폴리에스테르이고, 예를 들면 동특개평 1-268751호 공보속에 개시되어 있는 것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의 열가소성수지에로의 첨가량은, 열가소성수지에 대해서 0.1∼50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0.1중량% 이하인 경우, 접동성 개량효과가 불충분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를 첨가한 수지조성물의 기계적특성, 열적특성 다같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또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등의 무기난연제, 할로겐계, 인계등의 유기난연제, 황산칼슘, 규산칼슘, 점토, 규조토, 활석, 알루미나, 규사, 유리분, 산화철, 금속분, 흑연, 탄화규소, 질화규소, 실리카,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카아본블랙, 2황화몰리부덴등의 분말입자상 충전제 ; 운모, 유리판, 견운모, 파이로 필라이트, 알루미플레이크등의 금속분, 흑연등의 평판형상 혹은 인편형상 충전제 ; 실라스발루운, 금속발루운, 유리발루운, 경속 등의 섬유형상 충전제, 티탄산칼륨위스커, 황산칼슘위스커, 카아본위스커등의 단결정섬유 형상충전재등의 무기충전재, 목재분말등의 유기충전재, 산화방지제, 자외선방지제, 활제, 분산재, 커플링제, 발포제, 가교제, 착색제등의 첨가제 및 기타의 폴리올레핀계수지,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아보네이트, ABS수지, 폴리페닐렌살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불소수지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등을 첨가해도 지장없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 비교예속에서 측정한 동마찰계수에 대해서는, 이하의 측정조건에서 측정해서 얻게 된 값을 표시한다.
[동마찰계수의 측정]
시험기 ; 오리엔틱(주) 사제 마찰마모시험기
모델 EFM-Ⅲ-F(고속형)
상대재료 : 내경 20㎜, 외경 25.6㎜의 원통재 재질 S45C
시험편 : 30㎜각, 두께 3㎜의 평판
시험조건 : 하중 50 ㎏/㎠, 선속도 30㎝/sec 또는 하중 ㎏/㎠, 선속도 80㎝/sec
또, 본 실시예, 비교예속에서 측정한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에 대해서는 각각 이하에 표시한 JIS에 준거해서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JIS K-7113 시험속도 10㎜/min
[굽힘탄성율]
JIS K-7203 시험속도 2㎜/min
[열변형온도]
JIS K-7207 하중 18.5㎏/㎠
사출성형품의 외관에 대해서는, 눈관찰에 의해 그 충형상박리 유무를 판정하였다.
참고예 1∼9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A∼I의 제조)
내용적 5ℓ의 스테인레스제 오오토클레이브에, 순수 2500g을 넣고, 또 현탁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2.5g을 용해시켰다. 이 속에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상품명「렉스론 F41」, 닛본세끼유 가가꾸(주)제, 저밀도폴리에틸렌 밀도 0.924g/㎠) 700g을 넣고, 교반해서 분산시켰다. 따로 라디칼중합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시드(상품명「나이바-B」, 니혼유우시(주)제) 1.5g,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로서 t-부틸퍼옥시메타크릴로일옥시 에틸카아보네이트 6g을 비닐 단량체로서의 스티렌 단량체 210g 및 아크릴로니트릴단량체 90g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상기 오오토클레이브속에 투입교반하였다. 이어서, 오오토클레이브를 60∼65℃로 승온하고, 2시간 교반하므로서, 라디칼중합개시제 및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을 함유한 비닐 단량체를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속에 함침시켰다. 이어서, 함침된 비닐 단량체,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 및 라디칼중합개시제의 합계량이 처음의 10중량%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온도를 80∼85℃로 올리고, 그 온도에서 7시간 유지해서 중합을 완결시키고, 수세 및 건조해서 중합체(A')를 얻었다. 이 중합체(A')속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를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GPC에 의해 수평균중합도를 측정한 결과, 900이었다.
이어서, 이 중합체(A')를 라브플라스토밀 1축압출기((주) 도오요오세치끼 제작소재)로 200℃에서 압출하고,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A를 얻었다.
이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주사형 전자현미경(「JEOL JSM T300」, 닛본덴시(주)제)으로 보았던 바, 입자직경 0.3∼0.4㎛의 진짜 구술형상수지가 균일하게 분산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이었다.
또한 이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의 그라프트효율은 62.3중량%이었다.
상기의 방법에 준해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나 비닐 단량체의 종류, 양을 바꾸고, 제1표에 표시한 처방에 따라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B∼I를 각각 제조하였다.
※ 저밀도폴리에틸렌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렉스론 F41 밀도 0.924g/㎠
고밀도폴리에틸렌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스타프렌 E780 밀도 0.963g/㎠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미쯔이세끼유가가구고오교오(주)제 류부마-L4000 밀도 0.966g/㎠
직사슬저밀도 폴리에틸렌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리니렉스 AJ5310 밀도 0.923g/㎠
참고예 10
(비닐계 중합체 i의 제조)
내용적 5ℓ의 스테인레스제 오오토클레이브에, 순수 2.500g을 넣고, 또 현탁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 2.5g을 용해시켰다. 이 속에 라디칼중합개시제로서 벤소일퍼옥시드(상품명「나이파 B」, 니혼유우시(주)제) 5g을 비닐 단량체로서의 스티렌다량체 700g 및 아크릴로니트릴다량체 300g 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상기 오오토클레이브속에 투입 교반하였다. 이어서, 오오토클레이브를 80∼85℃로 승온하고, 그 온도에서 7시간 유지해서 중합을 완결시키고, 수세 및 건조해서, 비닐계 중합체 i로서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공중합체를 얻었다. 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수평균 중합도는 850이었다.
참고예 11
(비닐계 중합체 ii의 제조)
참고예 10에 있어서, 비닐단량체로서의 스티렌다량체 700g 및 아크릴로니트릴단량체 300g 대신 메타크릴산메틸단량체 1,000g로 바꾸고, 분자량 조정제로서 n-도데실메르갑탄 2g을 첨가한 이외는, 참고예 10에 준해서 비닐계 중합체 ii로서의 메타크릴산메틸중합체를 얻었다. 이 메타크릴산메틸중합체의 수평균 중합도는 730이었다.
참고예 12
(비닐계 중합체 iii의 제조)
참고예 10에 있어서, 비닐단량체로서의 스티렌단량체 700g 및 아크릴로니트릴다량체 300g 대신 스티렌다량체 1,000g로 바꾼이외는, 참고예 1에 준해서 비닐계 중합체 iii로서의 스티렌중합체를 얻었다. 이 스티렌중합체의 수평균 중합도는 820이었다.
참고예 13∼18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J-O의 제조)
참고예 1∼3에 있어서 얻은 중합체(A')∼(C')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렉스론 F41」,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또는 참고예 10∼12에 있어서 얻은 비닐계 중합체 i∼iii을 제2표에 표시한 조성으로, 라보플라스토밀 1축압출기((주) 도오요오세이끼 제작소재)로 200℃에 압출해서 각각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J-O을 얻었다.
※ 저밀도폴리에틸렌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렉스론 F41 밀도 0.924g/㎠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종류에 있어서 '를 붙인 것은, 압출혼련하고 있지 않는 것을 표시함.
참고예 19∼21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P-U의 제조)
참고예 1에 있어서,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로서의 t-부틸퍼옥시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카아보네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이외는, 참고예 1에 준해서 제3표에 표시한 조성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P-U를 얻었다.
※ 저밀도폴리에틸렌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렉스론 F41 밀도 0.924g/㎠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V-a의 제조)
참고예 19∼21에 있어서 얻은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렉스론 F41」,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또는 참고예 10∼12에 있어서 얻은 비닐계 중합체 i∼iii을 제4표에 표시한 조성으로, 라보플라스토밀 1축압출기((주) 도오요오세이끼 제작소재)로 200℃에 압출해서 각각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V-a를 얻었다.
※ 저밀도폴리에틸렌 닛본세끼유가가구(주)제 렉스론 F41 밀도 0.924g/㎠
참고예 28∼35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b-i의 제조)
참고예 1, 19∼21에 있어서 얻은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에, 윤활제로서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니혼유우시(주)제 유니스터-M 9676), 광유(이데미쯔고오산(주)제 다푸니메카닉오일 100), 디메틸폴리실록산)도오레실리콘(주)제 SH 200)을 각각 제5표에 표시한 조성을 배합해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b-0을 얻었다.
실시예 1∼20
폴리옥시메틸렌(상품명「듀라콘 M90-01」, 폴리플라스틱스(주)제)에 대해서, 접동성 개량제로서 참고예에서 얻은 제6표에 표시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제6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합하고, 210℃로 설정한 같은 방향 2축압출기(구리모도 철공소(주)제, KRC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200℃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對鋼)·시험조건 5㎏/㎠, 선속도 3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6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1∼16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또는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대신,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7표에 표시한다.
실시예 21∼46
폴리카아보네이트수지(상품명 「판라이트 L-1250 데이진가세이(주)제), 무기충전재로서 유리섬유(평균섬유길이 3.0㎜, 직경 13㎛), 접동성 개량제로서 참고예에서 얻은 제8표에 표시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제8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합하고, 270℃로 설정한 같은 방향 2축 압출기(구리모도철공서(주)제, KRC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275℃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 : 시험조건 5㎏/㎠, 선속도 3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8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17∼32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21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9표에 표시한다.
[실시예 47~98]
스티렌계수지로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공중합수지(상품명 「사이코락 EX121, 우베사이론(주)제), 고충격폴리스티렌수지(HI 스타이론404, 아사히가세이공업(주)제), 일반용폴리스티렌수지(GP스타이론 666, 아사히가세이공업(주)제), 참고예에서 얻은 제10표에 표시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무기충전재로서 유리섬유(평균섬유길이 3.0㎜, 직경13㎛)를 제10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배합하고 230℃로 설정한 같은 방향 2축압출기(구리모도철공소(주)제, KRC 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230℃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 : 시험조건 5㎏/㎠, 선속도 3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10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33∼49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47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11표에 표시한다.
1) 압출성형시 스트란드를 당길수 없고 샘플을 얻지 못한다.
[실시예 99∼126]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의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상품명「듀라넥스 2002 폴리플라스틱스(주)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극한점도 0.74), 접동성 개량제로서 참고예에서 얻은 제12표에 표시한 다강수조열가소성수지, 무기충전재로서 유리섬유(평군 섬유길이 3.0㎜, 직경 13㎛)를 제12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배합하고, 230℃(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의 경우는 280℃)로 설정한 같은 방향 2축압출기(구리모도철공소(주)제, KRC 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230℃(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의 경우는 280℃)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 : 시험조건 5㎏/㎠, 선속도 3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12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50∼65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99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13표에 표시한다.
1)압출성형시 스트란드를 당길 수 없고, 샘플을 얻지 못한다.
[실시예 127∼155]
폴리아릴렌살파이드수지로서 폴리페닐렌살파이드수지(용융점도 2,900포아즈 ; 300℃, 하중 10kg), 접동성개량제로서 참고예에서 얻은 제14표에 표시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 무기충전재로서 유리섬유(평균섬유 길이 5.00㎜, 직경 10㎛)를 제14표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배합하고, 290℃로 설정한 같은 방향 2축압출기(구리모도 철공소(주)제, KRC 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320℃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 : 시험조건 5㎏/㎠, 선속도 8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14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66∼81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27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15표에 표시한다.
1)압출성형시 스트란드를 당길수 없고, 샘플을 얻지 못한다.
[실시예 156∼191]
폴리아미드수지로서의 나일론 6수지(상품명 「UBE 나일론 1013B」우베고오산(주)제, 나일론 66수지(상품명 「UBE 나일론 2020B」우베고오산(주)제), 나일론 MXD6수지(상품명「RENY6002」미쯔비시가스가가구(주)제), 무기충전제로서 유리섬유(평균섬유길 이 3.0㎜, 직경 13㎛), 접동성 개량제로서 참고예로 얻은 제16표에 표시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제16표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배합하고, 240℃(나일론 66수지의 경우는 275℃, 나일론 MXD 6수지의 경우는 260℃)에 설정한 같은 방향 2축압출기(구리모도 철공소(주)제, KRC 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240℃(나일론 66수지의 경우는 275℃, 나일론 MXD6수지의 경우는 260℃)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 : 시험조건 5㎏/㎠, 선속도 3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16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82∼97
접동성 개량제로서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56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17표에 표시한다.
1)압출성형시 스트란드를 당길수 없고, 샘플을 얻지 못한다.
[실시예 192∼227]
폴리페닐렌에테르계수지와 스티렌계중합체로 이루어진 혼합물로서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상품명「노릴731J」EPL사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단독으로서 폴리페닐렌에테르수지(300℃, 전달속도 100S-1에 있어서의 용융점도가 30,000포아즈의 것), 무기충전재로서 유리섬유(평균섬유길이 3.0㎜, 직경 13㎛), 접동성 개량제로서 참고예로 얻은 제18표에 표시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제18표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합하고, 270℃로 설정한 같은 방향 2축압출기(구리모도 철공소(주)제, KRC 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290℃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P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 : 시험조건 5㎏/㎠, 선속도 8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18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98∼113
접동성 개량제로서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92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19표에 표시한다.
1) 압출성형시 스트란드를 당길수 없고, 샘플을 얻지 못했다.
[실시예 228~255]
폴리아릴레이트수지(상품명 「U폴리머 U100」유니티가(주)사제), 무기충전제로서 유리섬유(평균섬유 길이 3.0㎜, 직경 13㎛) 접동성개량제로서 참고예에서 얻은 제20표에 표시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제20표에 표시한 바와같이 배합하고, 320℃로 설정한 같은 방향 2축압출기(구리모도 철공소(주)제, KRC 니이더 S-1형)에 의해 혼합하였다.
이어서 340℃로 설정한 인라인스크루우식 사출성형기(다하다 기계공업(주)제, TS-35-FV-25형)로 각각의 시험편을 작성하고, 인장강도, 굽힘탄성율, 열변형온도, 동마찰계수(대강 : 시험조건 5㎏/㎠, 선속도 80cm/sec)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제20표에 표시한다.
비교예 114∼129
접동성 개량제로서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을 바꾸거나,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228에 준해서 시험편을 작성하고, 검토하였다.
결과를 제21표에 표시한다.
1)압출성형시 스트란드를 당길수 없고, 샘플을 얻지 못했다.
접동성 개량제로서 본 발명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열가소성수지에 배합하면 열가소성수지의 기계적, 물리적성질을 크게 손상하지 않고, 접동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음이 명백하여졌다.
또 본 발명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를 열가소성수지로의 분산성이 매우 양호하고 성형품의 외관도 충형상박리현상은 보이지 않는 것이 명백하여 졌다.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로서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는, 열가소성수지의 기계적, 물리적성질을 크게 손상하지 않고, 접동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또 용융하에 혼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접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 접동 특성의 정도는 배합되는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배합비율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하다.
이상의 점에서, 본 발명의 접동성 개량제는, 예를 들면 자동차부품, 가전부품, 정밀기계부품등의 폭넓은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 (a) 20∼95.2중량%, 및 비닐계 중합체 (b) 4.8∼80중량%로 이루어지고, 분산수지의 입자직경이 0.001∼10㎛인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2. 제1항에 있어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a)가 에틸렌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3. 제1항에 있어서, 비닐계 중합체(b)가 비닐방향족단량체, 아크릴산에스테르단량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단량체, 시안화비닐단량체 및 비닐에스테르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4.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5. 제1항에 있어서,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a)와 비닐계 중합체(b)와의 그라프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6.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에 윤활제를 0.1∼50중량% 배합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7. 제3항에 있어서, 비닐계 중합체(b)의 수평균중합도가 10∼5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8. 제4항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가 이하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카아보네이트, 스티렌계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아릴렌살파이드, 폴리아미드,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아릴레이트.
  9. 제4항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로의 첨가량이 0.1∼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10. 제6항에 있어서, 윤활제가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에스테르, 실리콘 및 광유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
  11.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가,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의 수성현탁액에, 적어도 1종의 비닐 단량체 및 라디칼중합개시제를 첨가, 라디칼중합개시제의 분해가 실질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조건하에서 가열하고, 이 비닐 단량체의 1종이상 및 라디칼중합개시제를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에 함침시키고, 그 함침율이 처음의 10중량% 이상에 달했을때, 이 수성현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비닐 단량체를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속에서 중합시킨 중합체로 이루어지나, 또는 이 중합체를 100∼300℃의 범위에서 용융혼합해서 얻게된 것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의 제조방법.
  12. 청구범위 11항 기재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제조방법에서, 비극성 α-올레핀중합체의 수성현탁액에, 라디칼중합성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해서 공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의 제조방법.
  13. 청구범위 11항 기재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제조방법에서, 라디칼중합섬 유기과산화물을 첨가함으로서 그라프트공중합시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의 제조방법.
  14. 청구범위 11항 기재의 다상구조 열가소성수지의 제조방법에서, 얻게된 중합체, 또는 이 중합체를 100∼300℃의 범위에서 용융혼합해서 얻게된 것에, 윤활제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동성 개량제의 제조방법.
KR1019900021462A 1989-12-22 1990-12-22 접동성 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KR950001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47489 1989-12-22
JP1-334474 1989-12-22
JP2-10111 1990-01-19
JP1011190 1990-01-19
JP3117490 1990-02-09
JP2-31174 1990-02-09
JP3526890 1990-02-16
JP2-35268 1990-02-16
JP2-54179 1990-03-06
JP5417990 1990-03-06
JP2-57379 1990-03-08
JP5737990 1990-03-08
JP7799790 1990-03-27
JP2-77997 1990-03-27
JP9621090 1990-04-13
JP2-96210 1990-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2035A KR910012035A (ko) 1991-08-07
KR950001323B1 true KR950001323B1 (ko) 1995-02-17

Family

ID=2757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462A KR950001323B1 (ko) 1989-12-22 1990-12-22 접동성 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314912A (ko)
EP (1) EP0435171B1 (ko)
KR (1) KR950001323B1 (ko)
CA (1) CA2033039C (ko)
DE (2) DE690321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0740A1 (de) * 1991-01-12 1992-07-16 Basf Ag Flammgeschuetzt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JP2783750B2 (ja) * 1993-10-07 1998-08-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乾湿両用摺動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64980A (ja) * 1995-12-19 1997-06-24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用突起ゴム組成物
EP0816431A3 (en) * 1996-06-28 1998-05-27 Polyplastics Co. Ltd.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 having enhanced sliding properties
US5886066A (en) * 1997-07-17 1999-03-23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exhibiting improved wear
US6391956B1 (en) * 1998-02-24 2002-05-2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oxymethylene resin composition
WO2001005888A1 (fr) * 1999-07-16 2001-01-25 Polyplastics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polyacetal et procede de production correspondant
KR20030015681A (ko) * 2001-08-17 2003-02-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WO2009100986A1 (en) * 2008-02-14 2009-08-20 Basf Se Biocidal compositions for plastics
WO2015059598A1 (en) 2013-10-21 2015-04-30 Ticona Gmbh Intrinsic low friction polyoxymethylene
US10538611B2 (en) 2014-04-18 2020-01-21 Nippon A&L Inc. Graft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S2894040T3 (es) * 2014-11-18 2022-02-11 Nof Corp Composición de resina de copolímero de etileno-acetato de vinilo, copolímero de injerto, composición de resina termoplástica y artículo de resina moldeado
JP6563316B2 (ja) * 2014-11-28 2019-08-21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グラフト共重合体
EP3341439A1 (en) 2015-09-30 2018-07-04 Celanese Sales Germany GmbH Low friction squeak free assembly
EP3577168B1 (en) 2017-03-10 2022-09-07 Celanese Sales Germany GmbH Polyester polymer compositions
JP6696928B2 (ja) * 2017-03-23 2020-05-20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改質剤、改質さ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及び改質さ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の製造方法
JP7071693B2 (ja) * 2017-08-23 2022-05-19 日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樹脂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4980A (en) * 1965-12-23 1971-01-12 Kanegafuchi Spinning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stickiness of fibre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copolyamide
US4212958A (en) * 1978-08-10 1980-07-15 Borg-Warner Corporation Graft polyblend flow improvers for PVC
US4806581A (en) * 1983-10-12 1989-02-21 Occidental Chemical Corporation Graft polymers of polymerizable monomers and olefin polymers
DE3582435D1 (de) * 1984-01-06 1991-05-16 Mitsui Petrochemical Ind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en.
US4640788A (en) * 1985-04-29 1987-02-03 Texaco Inc. Hydrocarbo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olefin graft polymers
JPH0621132B2 (ja) * 1985-07-08 1994-03-23 三菱化成株式会社 変性ポリオレフイン樹脂およびその組成物
US4839432A (en) * 1986-03-18 1989-06-13 Nippon Oil And Fats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grafted resin composition
KR910004490B1 (ko) * 1987-01-31 1991-06-29 니혼유시 가부시기가이샤 그라프트화 전구체 및 그 제조방법
DE3886833T2 (de) * 1987-06-16 1994-04-28 Nippon Oils & Fats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fropfharzzusammensetzungen.
US4957974A (en) * 1988-03-29 1990-09-18 Rohm And Haas Company Graft copolymers and blends thereof with polyolefi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32154D1 (de) 1998-04-23
US5314912A (en) 1994-05-24
EP0435171A2 (en) 1991-07-03
DE69032154T2 (de) 1998-07-02
KR910012035A (ko) 1991-08-07
DE435171T1 (de) 1992-04-30
CA2033039C (en) 2001-10-02
EP0435171B1 (en) 1998-03-18
CA2033039A1 (en) 1991-06-23
EP0435171A3 (en) 1991-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323B1 (ko) 접동성 개량제 및 그 제조방법
JP304978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0412572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WO2005030819A1 (ja) 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用流動性向上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の成形品
CA2032704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CA2153328A1 (en) Toughened polyphenylene sulfide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077948B2 (ja) 樹脂組成物
JP3099396B2 (ja) 摺動性改良剤および摺動性改良方法
JP3252190B2 (ja) 摺動部材用樹脂組成物
US20030088026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20170086074A (ko)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그래프트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수지 성형품
CA2032705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and their use
JP3985278B2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940865A (ja) ポリアリ−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JPH01236266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710894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9115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36070A (ja) 流動性改良剤及び流動性の改良された樹脂組成物
JP3060542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02006397A1 (fr) Composition de resine thermoplastique presentant d'excellentes proprietes de glissement
JPH042055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78574A (ja) 摺動性改良ポリアリーレンサルフアイド樹脂組成物
JP2000034384A (ja) 樹脂組成物及び摺動部材
JPH0433948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用耐衝撃性改良剤
JPH11302530A (ja) 脂肪族ポリケト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