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586B1 -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 - Google Patents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586B1
KR950000586B1 KR1019920006689A KR920006689A KR950000586B1 KR 950000586 B1 KR950000586 B1 KR 950000586B1 KR 1019920006689 A KR1019920006689 A KR 1019920006689A KR 920006689 A KR920006689 A KR 920006689A KR 950000586 B1 KR950000586 B1 KR 950000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fastening member
joining
cavity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9637A (ko
Inventor
알. 비치 존
엘. 반에덴 도날드
Original Assignee
시그노드 코포레이션
토마스 더블유. 버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노드 코포레이션, 토마스 더블유. 버크만 filed Critical 시그노드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2001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04Joints produced by deformation of ends of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End-to-end integral band end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
제 1 도는 프레스에서 압축되어 본 발명의 스트랩이 감겨져서 스트랩의 중첩 단부들이 초기에 맞물리도록 수동 조작되어 있는 화물의 개략도
제 2 도는 스트랩과 맞물려서 부분 팽창된 압축 화물에 감겨진 본 발명의 스트랩 개략도
제 3 도는 서로 결합되기에 앞서 분리 배향된 스트랩 루우프 단부들의 부분 사시도
제 4 도는 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중첩되기 이전에 스트랩 단부들의 부분 평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에서 도시된 스트랩단부의 측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6-6선 확대 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7-7선 부분 단면도
제 8 도는 제 5 도의 8-8선 확대 단면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9-9선 부분 단면도
제 10 도는 충분히 맞물린 배향으로 도시된 스트랩의 중첩단부의 부분 사시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11-11선을 따라서 180°회전된 스트랩 결합부의 사시도
제 12 도는 제 10 도에서 도시된 스트랩 결합부의 상면도
제 13 내지 16 도는 접합부가 형성됨에 따른 중첩 스트랩 단부의 종방향 전위의 순서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제 17 도는 제 16 도의 17-17선 확대 단면도
제 18 도는 스트랩의 또다른 실시유형이지만 제 16 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 19 도는 스트랩의 또다른 실시형유이지만 제 18 도와 유사한 단면도
본 발명은 물품에 대해 단단한 루우프를 형성하고 중첩 스트랩 부분들 사이에 단단한 스트랩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스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그의 중첩단부에서 결합되는 스트랩과 맞물리도록 외향 팽창될 수 있는 압축 물품(예를 들어, 솜등의 화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압축가능한 포장 또는 다량의 압축 재료는 보다 작은 용량으로 압축되어 바인딩 또는 끈과 같은 보유수단에 의해 압축된 형태로 보유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취급, 수송 또는 선적될 수 있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방법중 하나로 적절한 프레스에서 압축된 물품이 스트랩 루우프와 단단하게 맞물리도록 어느정도 팽창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완된 후 스트랩은 어느정도의 압축력에 의해 물품을 유지한다.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스트랩 중첩 단부는 스트랩이 물품 또는 압축재료 둘레에 루우프로 배치되기 전 또는 후에 스트랩 단부에 형성된 맞물림 구조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용도에서 선호되는 한 기술에 있어서, 개개의 스트랩은 초기에 스트랩 단부로 이미 형성된 단부결합구조 또는 접합 형상을 구비한다.
그다음 사용자는 이 스트랩으로 단지 압축된 물품을 에워싸서 스트랩 단부를 나란히 놓고, 스트랩 단부가 함께 마주 접촉하도록 밀어넣은 다음 완전하지 않은 초기 결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트랩 단부들 사이에 소량의 종방향 상대 전위를 실시한다.
그다음, 높은 압축력하에 물품을 보유하는 프레스가 이완될 때, 팽창하는 물품은 스트랩 전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 또는 응력부하를 가하여, 중첩스트랩 단부를 사이에 상대전위가 일어나도록 하여서 접합구조를 충분히 맞물리도록 하여 접합부 형성을 완결시킨다. 이러한 접합구조는 예를들어 미국특허 제 4,825,512 호와 제 4,980,953 호에 기술되어 있다.
물품 또는 압축재료를 스트래핑하기 위한 상기 기술은 선적 또는 또다른 처리를 위해 고압축 재료가 축적형성되는 산업분야에 사용하기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스트래핑 기술은 솜화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솜산업에 있어서, 솜은 흔히 최초의 크기와 밀도를 보유하며, 최초의 금속스트랩 세트에 의해 묶여지는 화물을 생산하는 프레스에 의해 한 장소에서 화물로 된다. 그다음 이 화물은 스트랩이 제거될 수 있는 또 다른 위치로 이동되어 솜이 처리되거나 또는 보다 짧은 적절한 스트랩으로 묶여지는 고밀도의 보다 작은 화물을 형성하기 위해 더 압축될 수 있다.
화물이 초기에 적절한 프레스에 의해 형성될 때, 화물은 스트랩(들)에 의해 에워싸여지고, 스트랩 루우프가 압축된 화물둘레에 비교적 느슨하게 되어 있는 동안 각각의 스트랩 단부들 사이에 초기 결합이 이루어진다. 초기 스트랩 결합은 각각의 스트랩의 두 중첩단부상의 스트랩 결합구조들을 수동으로 맞물리게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초기 결합의 해체 저항력은 비교적 작을 수 있다. 물론 이것은 초기 형성된 결합을 단단히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장력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인 금속 스트랩 결합은 접합구조의 큰 힘의 마찰맞물림 및/또는 변형 맞물림을 시행하기에 충분한 힘을 수동으로 조작 또는 당길 수 없다.
그결과 프레스가 이완되기 전에 느슨한 스트랩 루우프가 우발적으로 찌그러질 수 있다. 이것은 각각의 중첩 스트랩 단부의 접합구조의 완전한 맞물림을 유지하기 위하여 팽창화물이 접합부에 고장력(일반적으로 1000 내지 3000파운드)를 가하기 전에 중첩 스트랩 단부를 분리시킬 수 있다.
수동 형성된 초기 접합의 해체는 6개 이상의 스트랩 루우프가 하나의 화물 주위에 처음에 느슨하게 배치되는 일반적인 솜 꾸리는 방법에서 현저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부가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랩 루우프에서 초기 스트랩 결합은 그 자세의 무게에 의해 또는 진동 또는 우연히 가해진 외부힘에 의해 화물프레스의 이완에 앞서 해체될 수 있다.
압축 화물을 에워싸고 있는 싱장되지 않은 스트랩 단부들의 우연한 이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스트랩 접합형상이 제안되어 왔다. 참조 미국특허 제 3,935,616 호, 제 4,048,697 호, 제 4,062,086 호, 제 4,031,594 호, 제 4,226,007 호, 제 4,228,565 호, 및 제 4,825,512 호.
이들 디자인은 그것이 사용되려는 특별한 용도에 만족스럽게 작용할 수 있지만, 중첩 스트랩 단부들의 결합이 고압축 화물에 사용하기 위한 고접합 강도 또는 장력부하 능력을 보유하는 개량된 스트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과다하거나 섬세한 조작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초기 스트랩 단부결합을 허용하는 결합구조를 지닌 개량된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같은 개량 스트랩이 수동으로 형성된 초기 결합의 해체를 방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면 유익하다.
또한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개량 스트랩이 고압축 화물에 의해 가해진 고장력을 조건으로 할 때 중첩 스트랩 단부들의 종방향 상대 이동을 제공할 수 있다면 유익할 것이다. 특히 접합구조의 충분한 장력부하와 화물에 의해 스트랩에 가해진 고장력에 의해 생성되는 종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해체방해 특성을 제공하는 것이 유익하다.
또한 스트랩 각 단부의 결합구조가 비교적 용이하고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는 개량 스트랩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트랩 단부 결합구조의 디자인은 바람직하기로는 비교적 낮은 불합격품 생산율로서 빠른 속도로 많은 량을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개량된 스트랩 단부 결합은 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작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된 이점과 형상을 갖는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개량된 스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개량된 스트랩이 물품을 묶기위해 제공된다. 이 스트랩은 압축된 화물둘레에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그 중첩 단부들은 용이하게 해체될 수 없는 초기결합을 형성하기 위해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이 스트랩은 제 1 과 제 2 대향면을 보유하고 스트립(strip)상에 종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두 결합영역을 보유하는 스트립을 포함한다. 이들 두 결합영역은 물품 둘레를 고리로 에워싸고 있을 때 중첩된다.
각각의 결합영역은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려는 서로 반대방향으로의 결합영역의 전위시 결합영역의 상응하는 접합요소 수단들을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합요소 수단을 형성한다.
결합영역중 하나의 제 1 면으로부터 하나의 체결부재가 돌출하여 있다. 하나의 공동이 결합영역중 나머지 하나의 스트랩에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 2 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공동은 체결부재에 의해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접속면에 의해 한 단부에서 형성된다. 공동을 체결수단에 관련하여 스트랩상에 배치되어 스트랩 결합영역들이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고 접합요소 수단들 사이의 결합을 이루려고 하는 방향으로 상대 전위된 후, 체결부재는 접합요소 수단을 해체시킬 수 있는 루우프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결합영역의 종방향 상대전위를 방지하기 위해 접속면에 맞물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이점 및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인용한 다음 설명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형상화한 스트랩이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인용부호 "20"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스트랩(20)은 압축된 솜 화물과 같은 물체둘레에 루우프로 배치되어 있다. 선호되는 실시유형에서 스트랩(20)은 강철과 같은 단단한 시트재료로 짜여져 있다.
일반적으로 솜 또는 기타 압축가능한 재료가 화물로 만들어지는 경우, 그 재료는 화물(22)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스(24)안에서 압축된다. 그다음 프레스(24)내에 들어 있는 채로 화물(22)둘레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랩(20)들이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스(24)는 화물(22)의 양측면에 맞닿도록 한쌍의 프레스부재(26)를 사용할 수 있다.
프레스부재(26)는 스트랩(20)이 화물(22)주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스트랩(20)을 수용하기 위한 슬로트 또는 채널(28)을 보유한다.
스트랩(20)의 양단부에는 접합된 형성 요소가 구비되어 있고, 이 단부들은 제 1 도와 제 2 도에서 원 A로 도시된 바와같이 함께 중첩 결합된다. 이 결합성질은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첩 스트랩 단부는 스트랩 루우프의 외향으로 활과 같이 휘어진 영역에서 결합되는데, 이 결합은 초기에는 수동조작에 의해 실시되어 충분히 단단하지 못하다. 그다음 이 결합은 화물(22)이 스트랩(20)으로 묶일 정도로 팽창하도록 프레스부재(26)를 화물(22)로부터 이완시키기 위하여 프레스(24)가 조작 되었을 때 완결된다.
팽창화물(22)은 스트랩 루우프 전체에 대해 종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 또는 테두리 응력부하를 부가시킨다. 이러한 힘은 접합요소를 보다 완전히 맞물리게 하고, 이 결합을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 중첩 스트랩 단부들 사이의 상대적인 전위를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솜 화물은 스트랩(20)에 대해 1000 내지 3000파운드의 장력부하를 가할 수 있다. 화물(22)이 스트랩(들)(20)쪽으로 팽창되는 경우 각각의 스트랩(20)은 제 2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어느정도 화물(22)쪽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러한 것은 직각 모서리가 아닌 휘어진 모서리를 갖는 루우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인 스트랩의 선호된 실시유형의 기본접합 요소구조가 제 3-5 도에 도시되어 있다. 스트랩(20)은 마주보는 제 1 과 제 2 대향면(31)(32)을 지닌다. 스트랩은 또한 제 1 결합영역(41)과 제 2 결합영역(42)을 포함한다. 이 결합영역(41)(42)은 일반적으로 스트랩을 따라서 세로로 간격져서 분할되어 있다. 대부분의 용도에서 이 결합영역(41)(42)은 스트랩의 양단부에 위치한다.
각각의 결합영역(41)(42)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요소를 정의하고, 선호되는 실시유형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영역(41)은 세로로 간격져서 위치하는 5개의 접합요소(44)를 정의한다. 결합영역(42)은 세로로 간격져서 위치하는 5개의 접합요소(46)를 정의한다. 각각의 접합요소(44)는 특정접합요소(46)와 일치하고 일치하는 접합요소들은 접합부 또는 결합부를 형성하기에 적합하다.
선호되는 실시유형에서 각각의 접합요소(44)의 기본형상은 각각의 접합요소(45)의 기본형상과 동일하다. 그러나 접합요소(44)의 폭과 길이는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인 바와같이 접합요소들의 용이한 접합을 위하여 접합요소(46)의 폭과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접합요소(44)는 도드라진 중앙웨브(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각각의 중앙웨브(52)는 떨어져 있는 한쌍의 거울상 슬로트(56)에 의해 각면에 형성된다.
각각의 슬로트(56)는 그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도드라진 웨브(52)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고 그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스트랩의 축방향 웨브(52)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된다. 중앙웨브(52)의 양측에 있는 축방향 웨브(58)는 제 2 스트랩면(32)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형되거나 바깥쪽으로 오프셋 된다.
이러한 오프셋은 중앙웨브(52)의 오프셋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웨브(52)의 각각 축방향 가장자리는 스트랩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1 가장자리(61), 제 1 가장자리(61)로부터 스트랩의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져서 형성되는 제 2 가장자리(62) 및 제 2 가장자리(62)로부터 스트랩의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 3 가장자리(63)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중간에 있는 제 2 가장자리(62)는 견부 또는 축방향 조그(jog)로서 특성화될 수 있다.
웨브(52)중 어느 한쪽의 가장자리들(61)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웨브(52)중 어느 한쪽에 있는 가장 자리들(63) 또한 서로 평행하다. 두가장자리(61) 사이의 간격은 두가장자리(63)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견부 또는 가장자리(62)는 가장자리(61)로부터 바깥쪽으로 빗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들(61)사이의 웨브(52)의 좁은 부분은 목부로 간주될 수 있고, 가장자리들(63)사이의 웨브(52)의 넓은 부분은 몸체부로 간주될 수 있다.
슬로트(56)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스트랩의 축방향 웨브(58) 가장자리는 외향 오프셋된 중앙웨브(52)의 가장자리들(61)(62) 및 (63)과 세로로 일치하는 형상을 지니다.
특히 각각의 축방향 웨브(58)은 제 1 가장자리(71), 제 2 가장자리 또는 견부(72) 및 제 3 가장자리(73)를 포함한다. 가장자리(71)과 (73)은 스트랩의 축가장자리에 평행하며, 제 1 가장자리(71)에 관련하여 스트랩측 가장자리를 향해 빗나가는 제 2 가장자리 또는 견부(72)에 의해 연결된다.
접합요소(44)는 스트랩 결합영역(41)에 배향되어 도드라진 중앙웨브(52)의 폭이 넓은 몸체부(즉, 보다 넓은 가장자리들(63) 사이에 정의되는 부분)가 폭이좁은 목부(즉, 가장자리들(61)사이에 정의되는 부분)보다 스트랩에 가깝게 접근한다.
선호되는 실시유형에서는 5개의 접합요소가 존재하는데, 이 요소(44)는 스트랩의 제 1 결합영역(41)을 따라서 세로로 동일하게 간격져서 위치한다. 또한 각각의 접합요소(44)는 스트랩 폭의 중앙에 측방향으로 위치한다.
제 2 결합영역(42)의 접합요소(46)는 스트랩을 따라서 세로로 동일하게 간격져서 위치하며 스트랩폭의 중앙에 측방향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접합요소(46)는 접합요소(44)중 상응하는 것에 맞물리기에 적합하고 접합요소(44)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지니다.
특히, 각각의 접합요소(46)는 한쌍의 간격져 있는 슬로트(156)에 의해 양측에 형성된 도드라진 중앙웨브(152)를 포함한다. 중앙웨브(152)의 양측면은 제 1 가장자리(161), 제 2 가장자리 또는 견부(162) 및 제 3 가장자리(163)를 보유한다. 슬로트(156)의 나머지 측면은 제 1 가장자리(171), 제 2 가장자리 또는 견부(172) 및 제 3 가장자리(173)을 지니는 측방향 웨브(158)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결합영역(42)에서 각각의 접합요소(46)의 배향은 제 1 결합영역(41)의 각각의 접합요소(44)에 대해 반대다. 각각의 접합요소(46)의 목부는 접합요소(46)의 몸체부보다 스트랩의 말단에 가깝게 접근하여 있다.
접합요소(44)(46)는 적합한 펀치와 다이로서 스트랩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접합요소는 다양한 길이와 두께의 스트랩에도 사용될 수 있다.
스트랩이 루우프로 형성되고 결합영역(41)(42)이 중첩되는 경우, 제 2 결합영역의 접합요소(46)의 배향은 제 5 결합영역의 접합요소(44)의 배향에 일치하게 되어 상응하는 접합요소들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영역(41)과 (42)을 중첩시키기 위하여 스트랩(20)이 루우프로 형성되는 경우, 결합영역(41)의 스트랩면(31)은 결합영역(42)의 스트랩면(32)과 마주보게 된다.
중첩되는 결합영역(41)(42)이 실제로 결합되는 결합요소(44)(46)와 나란히 놓이게 되면 스트랩 단부는 제 10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함께 압축될 수 있으므로 접합요소들은 어느 정도 포개지는 관계를 갖게 된다. 결국 제 2 결합영역(42)의 접합요소들(46)은 제 1 결합영역(41)의 접합요소들(44)보다 약간 크다는 것을 이해 할 것이다.
다음 결합영역(41)(42)사이에서 상대적인 종방향 전위가 실시되는데, 이 전위는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려고 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실시된다. 즉, 제 3 도를 보면, 결합영역(41)은 위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결합영역(42)은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기 결합을 형성하기 위한 결합영역(41)(42)의 초기 종방향 전위는 스트랩이 프레스(2)안에 있는 압축된 화물(22)둘레에 느슨하게 메어져 있는 동안 수동으로 실시된다(제 1 도).
결합영역(41)과 (42)사이에서 종방향 전위가 실시될 때 각각의 제 1 결합영역의 접합요소(44)의 견부(62)는 제 2 결합영역(42)의 상응하는 접합요소(46)의 슬로트(156)중 하나에 수용된다.
외향돌출견부(62)는 종방향 전위(제 10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위쪽으로)되어 결합될 접합요소(46)의 대향돌출견부(172)위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견부(62)는 접합요소(46)의 가장자리(161)과 (171)사이의 견부(172)에 관련하여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가장자리(161)와 (171)는 한선에 모이게 되므로, 만일 상대적인 종방향 전위가 실시된다면 이 형상은 웨브(152)와 (158)사이에 견부(62)를 단단하게 맞물리도록 한 형상을 제공한다.
부가하여 전위량에 의존하여 웨브(52)뿐만 아니라 웨브(152)(158)는 결합성과 당겨지는 힘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 어느정도 변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합영역(46)과 (42)가 처음에 수동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초기 결합될 때 중첩 스트랩 단부에 대해 반대로 작용하는 매우 큰 장력을 수동으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단지 소량의 상대적인 전위가 실시될 수 있다.
부가하여 이 접합은 팽창화물이 높은 장력을 가하도록 하므로서 완결되어진다.
결과적으로, 초기접합이 수동으로 이루어질 때 제 1 결합영역견부(62)와 제 2 결합영역견부(712)사이의 결합 정도는 매우 한정적이다. 또한, 결합영역(41)과 (42)을 함께 보존하려고 하는 마찰항력은 미소하다. 따라서 우반적인 충격, 진동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스트랩 루우프의 어떠한 이동은 프레스가 이완되고 완전한 고강도 접합을 위해 스트랩 루우프에 고강도 장력이 가해지기 전에 결합영역(41)과 (42)을 분리시킬 수 있다.
스트랩(20)은 수동 고정된 스트랩 결합의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를 포함한다. 특히, 제 1 결합영역(41)은 체결부재(80)를 포함한다. 이 체결부재(8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제 1 스트랩면(31)위에 올라와 있는 원통형 체결면을 정의한다. 이 체결부재는 제 1 결합영역(41)에서 스트랩의 말단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서 경사진 단면(81)(제 6 도 및 제 7 도)을 보유한다. 체결부재(80)는 적절한 펀치와 다이로서 스트랩(20)에 형성될 수 있다.
선호된 실시유형에서 체결부재(80)는 스트랩폭의 중앙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체결부재(80)는 5개의 접합요소(44)중 가운데 있는 접합요소상의 견부들(62)사이에 위치한다.
스트랩 결합영역(42)은 체결부재(80)를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를 구비한다. 특히, 제 2 결합영역(42)의 스트랩(20)에는 제 2 면(32)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공동(86)이 형성된다. 공동(86)은 전면(90)과 접속배면(92)에 의해 대향 단부들에서 정의된다. 접속배면(92)은 전면(90)보다 제 2 결합영역(42)에서 스트랩 단부로부터 더멀리 위치한다. 선호되는 실시유형에서 접속면(92)은 스트랩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되어 있고, 전면(90)은 제 2 결합영역에서 스트랩의 말단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공동(86)은 제 2 결합영역(42)의 5개의 접합요소(46)의 중앙부에 있는 접합요소의 웨브(152)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공동(86)은 외향돌출부 또는 리셉터클(94)내에 공동(86)을 형성하기 위하여 적절한 펀치와 다이로서 스트랩을 변형시키므로서 만들어진다.
선호되는 실시유형에서 리셉터클(94)은 접속배면(92)에 상응하고 스트랩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배면단부를 지닌다. 리셉터클(94)은 또한 경사진 전면(90)에 상응하는 경사진 전면단부를 보유한다. 리셉터클(94)의 두측면은 외측으로 경사져서 공동(86)내의 경사진 측면과 일치한다. 리셉터클(94)의 상면은 공동(86)내에 수용될 때 체결부재(80)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형성한다.
중첩되는 결합영역(41)과 (42)사이에 접합요소를 형성하는 순서가 제 13-16 도에서 도식적으로 설명된다. 이들 도면에서 공동(86)의 길이는 스트랩 결합영역(41)과 (42)의 위치와 상대적인 이동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과장하여 도시되었다.
결합영역(41)과 (42)은 일반적으로 초기에 약간 오프셋되어서 접합요소(41)과 (42)의 실제결합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으며, 스트랩 루우프는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보다 다소 작다. 이것은 제 13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접합요소(46)의 견부(172)는 접합요소(44)의 견부(62)위에서 거리 Y1에 위치한다. 이 배향에서 체결부재(80)는 공동(86)을 지나 위치한다. 부가하여, 체결부재(80)의 체결면은 접합요소(46)의 접속면(92)으로부터 거리 X1만큼 떨어져 있다.
다음 스트랩 결합영역(41)과 (42)는 함께 마주 접촉하여 있는 동안, 결합영역(41)과 (42)의 종방향 상대 전위가 일어난다. 이것은 화살표(96)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하향 이동하는 결합영역(42)을 도시하고 화살표(98)에 의해 표시된 바와같이 상향 이동하는 결합영역(41)을 도시하는 제 14 도에서 설명하고 있다.
종방향 상대전위는 결합영역(41)과 (42)을 제 14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약간 맞물린 위치로 이동하도록 실시된다. 이러한 약간 맞물린 위치에서 결합요소(44)의 견부(62)[ 및 웨브(52)]는 결합요소(46)의 견부(172)[ 및 웨브(158)]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결합길이는 Y2로 제 14 도에 표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체결부재(80)는 공동(86)안에 들어가게 되어 접속배면(92)에 인접하게 된다. 결합영역(41)과 (42)의 수동상대 전위가 일어나는 동안 체결부재(80)가 공동(86)안에 미끄러져 들어가므로서 딱하는 소리가 느껴질 수 있다.
결합영역(41)과 (42)의 제 13 도에서 도시된 위치에서 제 14 도에서 도시된 위치로의 상대전위는 수동으로 실시됨이 이해되었다. 수동전위 또는 이동이 제 14 도에서 도시된 정확한 위치에서 수동 종결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여기에서 체결부재(80)는 공동(86)안에 약간 들어가 있다). 부가하여 제 15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더 이상의 수동전위가 발생하여 체결부재(80)와 접속배면(2) 사이에 약간의 간격 X2이 존재하게 된다. 견부(62)와 (172)는 Y3만큼 더 중첩하게 된다.
어떠한 경우, 체결부재(80)가 공동(86)안에 일단 수용되면, 접합요소(44)와 (46)의 견부가 어느정도 중첩된다. 또한, 접속배면(92)과 체결부재(80)의 형상으로 인해 결합을 해체할 수 있는 결합영역(41)과 (42)의 역방향 전위가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결합영역(41)을 화살표(96)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결합영역(42)을 화살표(98)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합영역(41)과 (42)의 이들 역방향으로의 전위가 허용된다면 루우프의 크기를 감소시킬 것이고, 중첩 견부의 해체를 초래할 것이다.
그러나, 제 14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체결부재(80)가 이러한 역전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배면(92)에 접촉하는 경우 여전히 Y2만큼의 결합견부의 중첩이 있게 된다.
공동(86)은 스트랩 루우프에 충분한 장력을 제공하여 완전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할만한 크기로 되어 있다. 제 16 도에는 결합영역(41)과 (42)사이의 상대전위가 일어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부가적인 상대전위는 프레스(24)가 화물(22)로부터 이완되어 화물이 스트랩 루우프와 맞물리도록 팽창될 때, 고장력 부하가 스트랩 루우프에 가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것은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려고 하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영역(41)과 (42)을 전위시킨다. 이러한 것은 접합요소(44)와 (46)의 견부의 부가적인 중첩 또는 맞물림의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맞물림은 중첩크기 Y4로서 제 16 도에 도시하였다. 증가된 장력과 맞물림은 결합영역(41)과 (42)가 보다 가깝게 위치하므로서 제 16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어느정도 접합요소를 변형시키려고 할 수 있다.
결합영역(41)과 (42)가 제 16 도에서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스트랩(20)은 화물(22)에 의해 스트랩에 가해진 고장력을 받았으며, 이 힘은 결합영역(41)과 (42)사이에 더 이상의 상대전위가 없도록 균형이 잡혀진다. 최대 상대 전위상태에서 체결부재(80)와 전면(90)사이에 간결이 있게 되는데, 이것은 X3로 제 16 도에 표시되어 있다. 체결부재(80)는 전면(90)에 체결되지 않으므로, 결합영역(41)과 (42)의 최대 전위와는 상관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대 접합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
공동(86)의 위치와 길이는 일반적으로(1) 초기결합이 수동으로 이루어졌을 때(제 15 도) 체결부재의 위치 및(2) 스트랩 루우프에 가해진 고장력이 체결부재를 그의 최종위치로 이동시킨 후(제 16 도) 체결부재의 위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형태에서 접합요소는 약 19㎜의 폭과 약 0.76㎜의 두께를 지닌 강철 스트랩으로 형성된다.
제 1-17 도에서 인용문자로 표시된 스트랩 단부 결합영역의 크기는 아래와 같다.
C 0.76㎜ U 7.0㎜
D 6.2㎜ V 5.0㎜
E 2.0㎜ W 9.5㎜
F 3.0㎜ AA 6.5㎜
G 15° BB 0.5㎜
H 2.45㎜ CC 1.5㎜
I 0.64㎜ DD 6.7㎜
J 2.61㎜ EE 4.7㎜
K 3.25㎜ FF 9.5㎜
L 4.14㎜ GG 6.5㎜
M 2.0㎜ HH 5.0㎜
N 1.8㎜ II 6.0㎜
O 7° JJ1 6.0㎜
P 2.0㎜ KK 8.0㎜
Q 0.75㎜ LL 13.0㎜
R 0.64㎜ MM 19.0㎜
S 15° NN 35°
T 2.61㎜
제 1-17 도에서 도시된 실시유형의 변형된 형태에서 원통형 체결부재(80)는 어느정도 상이한 형태를 지닌다. 예를들어 직사각형 프리즘형상을 지닐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제 18 도에서는 결합영역(241)과 (242)를 보유하는 스트랩(230)에 포함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유형을 도시한다. 이 결합영역들은 제 1-17 도를 참조로하여 위에서 기술된 접합요소(44)(46)과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는 접합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 18 도에서의 실시유형은 해체되지 않은 형태를 지닌다.
이 실시유형은 제 1-17 도를 인용하여 기술된 공동(86)과 체결부재(80)과 유사한 공동(286)과 체결부재(280)를 포함한다.
그러나 제 18 도에서 도시된 실시유형에서 체결부재(280)는 예정된 수치보다 큰 등급의 전단력을 가했을 때 변형 또는 파괴(제 18 도에서 인용부호 "287")될 것인 부서지기 쉬운 영역에 의해 스트랩에 결합된다.
또한, 공동(286)은 제 1-17 도를 인용하여 기술된 공동보다 어느정도 짧다. 이 짧은 공동(286)은 제 1-17 도를 인용하여 기술된 접속배면(92)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접속배면(292)을 보유한다.
공동(286)은 또한 화물이 스트랩 루우프에 대해 팽창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 스트랩 루우프에 고장력이 가해지는 동안 결합영역(241)과 (244)사이에 최대 상대 전위가 일어날 때 체결부재(280)에 의해 체결되어지도록 되어 있는 접속전면(290)을 포함한다. 고장력에서 충분한 범위의 상대전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페결부재(280)는 상대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제 18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변형 또는 파괴된다. 이러한 것은 접합요소들이 화물에 의해 스트랩에 가해진 장력하에 가능한한 완전하게 맞물리게 되도록 한다.
접합요소(344)와 (346)를 각각 구비한 결합영역(341)과 (342)을 보유하는 스트랩(320)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유형으로서 제 19 도에 도시되어 있다. 결합영역(341)은 스트랩 제 1 면(331)의 외향 위치의 단부에서 끝나는 각진 캠면(381)을 형성하는 체결부재(380)를 포함한다. 체결부재(380)는 또한 캠면(381)의 단부로부터 스트랩 제 1 면(331)까지 형성한 체결면(383)을 형성한다.
결합영역(342)은 스트랩의 제 2 면(332)을 향하여 개방되는 공동(386)을 형성한다. 이 공동(386)은 스트랩 제 2 면(332)의 안쪽위치의 단부에서 끝나는 캠면(385)에 의해 형성된다.
캠면(385)은 체결부재(380)의 캠면(381)과 체결되기에 적합하다. 공동(386)은 또한 체결부재(380)의 체결면(383)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캠면(385)의 단부로부터 스트랩 제 2 면(332)까지 형성되는 접속배면(392)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해체방지 구조의 형태는 화물이 스트랩 루우프에 높은 장력을 가하는 경우 결합영역(341)과 (342)의 증가된 상대 전위를 제공한다. 특히 상대 이동은 체결부재(380)의 각진 캠면(381)과 미끄러지듯이 체결되는 각진 캠면(385)에 의해 제공된다.
제 18 도와 제 19 도에서 도시된 또다른 실시유형은 중첩 스트랩 단부들 사이의 결합이 수동을 이루어진 후 스트랩의 해체를 방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 18 도에서 도시된 실시유형은 화물(22)이 스트랩 루우프를 느슨하게 하기 위해 압축되는 경우 접합요소가 해체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접합요소의 형태는 장력이 이완되는 경우 접합요소의 바람직한 해체를 방해할 수 있는 변형을 피하기 위하여 부가된 높은 장력을 견디어낼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스트랩은 고압축 화물에 사용할만한 비교적 큰 접합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은 특별한 조작없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초기결합이 수동으로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트랩에 형성된 접합요소는 팽창된 화물에 의해 고장력 부하가 스트랩에 가해지기 전에 수동형성된 초기 접합의 해체를 방지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스트랩의 해체방지 특성은 스트랩이 화물에 의해 가해지는 높은 장력을 필요로할 때 중첩 스트랩 단부들의 종방향 상대이동을 제공한다.
스트랩의 해체방지 특성은 다양한 결합요소가 사용될 수 있고, 비교적 용이하고 저렴하게 얻어질 수 있다.
해체방지 특성의 실시유형은 보수필요없이 빠른 속도 또는 대량의 제작 및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개념 또는 원칙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8)

  1.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으로서, 제 1 과 제 2 대향면을 보유하고 종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제 1 과 제 2 결합영역을 보유하는 평평한 스트립, 상기 결합영역은 각각 상기 영역들이 중첩되도록 스트랩이 물품둘레에 고리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면에 직면하는 제 1 면과 함께 압축된 다음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려는 반대 방향으로 전위될 때 상기 결합영역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한 결합영역에 상응하는 접합요소 수단들을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합요소 수단들을 형성함 ; 상기 제 1 결합영역의 상기 제 1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제 1 면 위로 올라온 체결면을 형성하는 체결부재 ; 및 상기 제 2 결합영역의 스트랩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면을 향하여 개방된 공동, 상기 공동은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면에 의해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속면에 의해 한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에 관련하여 상기 스트랩에 배치되어서 예정된 크기의 종방향 상대전위가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켜서 상기 상응 접합요소 수단을 맞물리도록 하려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랩 결합영역들 사이에 이루어진 후,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접합요소 수단들을 해체시킬 수 있는 루우프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영역들의 종방향 상대전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면에 맞물릴 수 있으며, 스트랩의 루우프에 장력이 가해질 때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려고 하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랩 결합영역들 사이의 종방향 상대 전위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보유함 ; 으로 구성되는 스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스트랩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배면, 경사전면 및 두개의 경사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스트랩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변형부를 상기 제 1 면의 위로 돌출하여 있는 스트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스트랩 길이방향에 관련하여 경사져서 배향된 단부면을 갖는 원통형을 보유하는 스트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공동은 각각 스트랩 폭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스트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공동은 접합요소 수단위에 위치하고 있는 스트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스트랩의 변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랩.
  8.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으로서 제 1 과 제 2 대향면을 보유하고 스트립상에 종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하는 제 1 과 제 2 결합영역을 보유하는 제 1 스트립, 상기 결합영역은 각각 상기 영역들이 중첩되도록 스트랩이 물품 둘레에 고리로 배치되어 상기 제 2 면에 직면하는 제 1 면과 함께 압축된 다음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려는 반대방향으로 전위될 때 상기 결합영역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한 결합영역에 상응하는 접합요소 수단들을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합요소 수단들을 형성함 ; 상기 제 1 결합영역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한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는 예정된 값보다 큰 등급의 절단력이 가해질 때 파괴 또는 변형할 것인 부서지기 쉬운 영역에 의해 상기 스트랩에 결합됨 ; 및 상기 제 2 결합영역의 스트랩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제 2 면을 향해 개방되는 공동, 상기 공동은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각각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접속전면과 배면에 의해 대향 단부들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면들은 스트랩이 가깝게 있는 접속 제 2 면을 갖도록 스트랩의 길이방향에 관련하여 떨어져서 위치하고, 상기 공동은 상기 체결부재에 관련하여 상기 스트랩상에 위치하여, 상기 스트랩 결합영역들이 상기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키고 상기 상응하는 접합요소 수단들 사이의 맞물림을 이루려고 하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예정된 크기만큼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접합요소 수단들을 해체시킬 수 있는 루우프 크기를 감소시키려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영역들의 종방향 상대 전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배면에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전면은 루우프 크기를 증가시켜 상기 체결부재를 파괴 또는 변형시키므로서 더 이상의 상대 전위를 제공하려고 하는 방향으로 상기 예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결합영역의 종방향 상대 전위동안 작동함 ; 으로 구성되는 스트랩.
KR1019920006689A 1991-04-22 1992-04-21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 KR950000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88,865 US5117536A (en) 1991-04-22 1991-04-22 Binding strap with integral connecting structure and anti-disengagement feature
US07/688,865 1991-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9637A KR920019637A (ko) 1992-11-19
KR950000586B1 true KR950000586B1 (ko) 1995-01-26

Family

ID=2476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689A KR950000586B1 (ko) 1991-04-22 1992-04-21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17536A (ko)
EP (1) EP0510553B1 (ko)
JP (1) JP2519630B2 (ko)
KR (1) KR950000586B1 (ko)
AU (1) AU629766B1 (ko)
DE (1) DE69201902T2 (ko)
ES (1) ES2071370T3 (ko)
GR (1) GR3015702T3 (ko)
RU (1) RU2062738C1 (ko)
ZA (1) ZA9228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26458S (en) * 1999-04-23 2000-06-13 Panduit Corp. Strap fastener
USD424921S (en) * 1999-04-23 2000-05-16 Panduit Corp. Strap fastener
USD424417S (en) * 1999-05-28 2000-05-09 Axelsson Lennart C Strap fastener
US6085394A (en) * 1999-07-22 2000-07-11 Industrial Thermo Polymers Limited Coupler
US6711994B1 (en) 2000-03-31 2004-03-3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Wire-tie pull pins
US6616090B1 (en) 2000-03-31 2003-09-0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Wire supply control assembly for feeding wire
US6553900B1 (en) 2000-03-31 2003-04-29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hree-part wire return for baling machine
US6571597B1 (en) * 2001-04-04 2003-06-03 Tucker Industries, Inc. Process for providing metal stampings with integral studs
US6975911B2 (en) 2001-07-31 2005-12-13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Operator input interface for baling machine
US6628998B2 (en) 2001-07-31 2003-09-30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Operator input interface for baling machine
US7497158B2 (en) 2001-07-31 2009-03-03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Baling machine with narrow head wire feeder
US6705214B1 (en) 2001-07-31 2004-03-16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utomatic cotton baler with tilt-out heads
US6633798B2 (en) * 2001-07-31 2003-10-14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ntrol system for baling machine
US6637324B2 (en) 2001-07-31 2003-10-28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Wide aperture wire tracking for baling machine
JP3893334B2 (ja) * 2002-08-23 2007-03-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多系統数値制御装置
DE10259598A1 (de) * 2002-12-19 2004-07-01 Titan Umreifungstechnik Gmbh & Co Kg Verschluss einer Bandumreifung
US20070028427A1 (en) * 2005-08-04 2007-02-08 Timken Us Corporation Loop clamp
US20150332614A1 (en) * 2014-05-19 2015-11-19 Glen Rester Identi-TAG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6262A (en) * 1874-10-27 Improvement in bale-ties
US180910A (en) * 1876-08-08 Improvement in locks for bale-ties
US295340A (en) * 1884-03-18 Bale-tie splice
US203255A (en) * 1878-05-07 Improvement in bale-ties
US161409A (en) * 1875-03-30 Improvement in bale-ties
US165407A (en) * 1875-07-13 Improvement in bale-ties
US182031A (en) * 1876-09-12 Improvement in bale-ties
US1393791A (en) * 1917-03-01 1921-10-18 Nat Binding Machine Company Spliced joint for bale-bands
US1378508A (en) * 1917-10-22 1921-05-17 Remington Typewriter Co Box or receptacle
US1277076A (en) * 1918-03-12 1918-08-27 Harvey Ireland Sheet-metal shock-binder.
US1606331A (en) * 1925-11-16 1926-11-09 Anderson Bert Bale tie
US1687854A (en) * 1928-02-18 1928-10-16 Anderson Clayton & Company Bale tie
US1936909A (en) * 1931-05-18 1933-11-28 Acme Steel Co Method of forming metal hoops
DE603802C (de) * 1933-01-07 1934-10-10 Titan Eisenwarenfabr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erschluessen fuer die uebereinandergelegten Enden von Bandbereifungen ohne Huelse
US2035351A (en) * 1934-08-29 1936-03-24 Taylor Arthur Bernard Improvement in bale ties
US2253874A (en) * 1940-04-04 1941-08-26 Technicolor Motion Picture Film coupling
US2268339A (en) * 1940-09-07 1941-12-30 Signode Steel Strapping Co Strap joint
US2276988A (en) * 1940-09-07 1942-03-17 Signode Steel Strapping Co Sleeveless strap joint
DE822674C (de) * 1950-07-20 1951-11-26 Hugo Timmerbei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ndeisenverschluessen
DE942257C (de) * 1952-11-21 1956-04-26 Hugo Timmerbeil Bandfoermige Umreifung fuer Packstuecke
US2898673A (en) * 1954-06-11 1959-08-11 Aircraft Specialties Inc Piston ring compressor
US3137047A (en) * 1960-08-27 1964-06-16 Seal Less Strapping Ltd Metal strap joint
DE1198276B (de) * 1960-09-02 1965-08-05 Titan Eisenwarenfabrik Gmbh Band fuer Umreifungen von Packstuecken
US3188706A (en) * 1962-06-29 1965-06-15 Universal Steel Strapping Inc Fastenerless splic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3303540A (en) * 1965-06-30 1967-02-14 Signode Corp Sealless strap connection
ES138168Y (es) * 1966-05-04 1972-09-01 Titan Eisenwarenfabrik G. M. B. H. Fleje para embalajes a cerrar sin uso de manguitos.
DE1275449B (de) * 1966-12-22 1968-08-14 Titan Eisenwarenfabrik Gmbh Bandfoermige Umreifung, insbesondere fuer Pressballen
DE2256983C2 (de) * 1972-11-21 1975-02-13 Titan Verpackungssysteme Gmbh, 5830 Schwelm Hebeband für schwere Lasten
US3921799A (en) * 1974-08-16 1975-11-25 Signode Corp Fixed length loop-forming strap and overlap joint therefor
US3935616A (en) * 1975-01-24 1976-02-03 Signode Corporation Sealless strap connection means
US4048697A (en) * 1976-04-26 1977-09-20 Signode Corporation Sealless strap end alignment and connection means
US4031594A (en) * 1976-04-26 1977-06-28 Signode Corporation Sealless strap connection means
US4062086A (en) * 1976-04-26 1977-12-13 Signode Corporation Sealless strap end alignment and connection means
US4080689A (en) * 1976-05-24 1978-03-28 Signode Corporation Reusable connectable strap segment within a larger strap segment
US4228565A (en) * 1978-08-17 1980-10-21 Signode Corporation Strap for forming a readily disengageable anti-reverse sealless strap connection
US4226007A (en) * 1979-03-16 1980-10-07 Signode Corporation Sealless strap connection
DE3024573C2 (de) * 1980-06-28 1983-08-25 Hoesch Werke Ag, 4600 Dortmund Band für Umreifung von Packstücken
DE3213450A1 (de) * 1982-04-10 1983-10-20 Hoesch Werke Ag, 4600 Dortmund Vorrichtung zum spannen und verbinden der sich ueberlappenden enden eines um ein packstueck gelegten umreifungsbandes
JPS6458615A (en) * 1987-08-26 1989-03-06 Sumitomo Metal Ind Engagement structure for bundling metal strap
US4825512A (en) * 1987-12-02 1989-05-02 Signode Corporation Sealless strap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22838B (en) 1993-08-24
GR3015702T3 (en) 1995-07-31
EP0510553A1 (en) 1992-10-28
US5117536A (en) 1992-06-02
RU2062738C1 (ru) 1996-06-27
ES2071370T3 (es) 1995-06-16
KR920019637A (ko) 1992-11-19
JP2519630B2 (ja) 1996-07-31
JPH05170236A (ja) 1993-07-09
EP0510553B1 (en) 1995-04-05
DE69201902D1 (de) 1995-05-11
AU629766B1 (en) 1992-10-08
DE69201902T2 (de) 199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586B1 (ko) 일체형 결합구조와 해체방지 특성을 지닌 결합 스트랩
US4031594A (en) Sealless strap connection means
CZ280275B6 (cs) Zařízení ke spojování dvou okrajů pásů
US4131975A (en) Clip
GB1576381A (en) Strap having means for making sealless strap connections
CA2009209C (en) Closure strip
US4080689A (en) Reusable connectable strap segment within a larger strap segment
CZ291444B6 (cs) Svorka
US4062086A (en) Sealless strap end alignment and connection means
US4228565A (en) Strap for forming a readily disengageable anti-reverse sealless strap connection
US5426829A (en) Packing strap fastener
US4156385A (en) Method of readily disengaging anti-reverse sealless strap connection to facilitate reusing strap
JPH0314467A (ja) 改良された梱包用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H01279066A (ja) 梱包用シールレス結合
US3224055A (en) Package binding de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ame
US4035875A (en) Fastener arrangements for joining or separating material edges or surfaces
AU638373B2 (en) Binding-up band with locking structure
JPH10167213A (ja) バンド掛装置用パンチ
DE1182590B (de) Flickverschluss
US20060179616A1 (en) End connection for packing strap
US3401431A (en) Bale ties
JP3462906B2 (ja) テープ等の固定具
US2291773A (en) Combination bale tie and holder
US2034523A (en) Bale tie buckle
EP1190949A1 (en) Push-type strapping s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