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94Y1 -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94Y1
KR950000094Y1 KR2019900002987U KR900002987U KR950000094Y1 KR 950000094 Y1 KR950000094 Y1 KR 950000094Y1 KR 2019900002987 U KR2019900002987 U KR 2019900002987U KR 900002987 U KR900002987 U KR 900002987U KR 950000094 Y1 KR950000094 Y1 KR 950000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distributo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2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226U (ko
Inventor
하루유키 마쓰오
요시구니 후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2915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52379Y2/ja
Priority claimed from JP291518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19974U/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7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2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2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60Devices for 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e.g. commutating device, distributor, interrup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2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distributors
    • F02P7/021Mechanical distributors
    • F02P7/026Distributors combined with other ignition devices, e.g. coils, fuel-in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
제1도는 이 고안의 한 실시예에 의한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의 배전캡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에 요부를 표시하는 측단면도.
제3도는 이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의 요부를 표시하는 정단면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요부를 표시하는 평면단면도.
제5도는 종래장치의 요부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단면도.
제7도는 다른 종래장치의 요부를 표시한 정면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관통부
2 : 축 9A,9B,9C : 각각 제1, 제2, 제3의 전기장치
10 : 도출수단 12 : 커넥터부
13B.13C : 접속부 14 : 몰드피복
이 고안은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에 관한 것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개정판 자동차용 전장품의 구조" (전국자동차정비전문학교협회편, 1989.3.30개정 제1판 일본(주)산가이도발행)에 제시된 종래의 내연기관 점화용배전기의 요부를 표시한 단면도이다.
하우징(1)에는 내연기관(도시생략)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축(2)이 삽입되어 베어링(3)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에는 진공컨트롤러(4)가 부설되어 있으며, 이 진공컨트롤러(4)는 하우징(1)내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브레이커플레이트(5)를 회전시킨다.
상기축(2)에 의하여 구동되는 거버너웨이트(6)는 상기축(2)과 동축으로 회전하는 타이밍로터(7) 및 배전로터(8)의 축(2)에 대한 상대각도를 축(2)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시킨다.
브레이커플레이트(5)에는 타이밍로터(7)와 대향하는 위치에 자석(91) 및 픽업 코일(92)로된 전기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픽업코일(92)의 출력신호는 일단부가 단자부(9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가요성도체(11)로 되어 있고 타단부가 커넥터부(12)로된 도출수단(10)에 의하여 하우징(1)의 외부로 송출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내연기관에 회전에 의하여 축(2)의 회전하면은 자성재료로된 이밍로터(7)로 회전한다.
이 타이밍로터(7)의 외주면은 회전방향에 소정의 요철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철(凸)부가 자속가이드(94)의 선단부와 대향하였을때에 자속가이드(94)를 통과하는 자속이 최대로 되고, 요(凹)부가 대향하였을때는 자속가이드(94)를 통과하는 자속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자속가이드(94)에 잠긴 픽업코일(92)에는 자속가이드(94)를 통과하는 자속에 따른 전압이 발생한다.
이 발생전압은 도출수단(10)에 의하여 외부로 도출되어서 도시생략한 점화기 등의 외부회로에 의하여 점화코일의 1차전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내연기관점화용배전기는 도출수단(10)으로서 가요성도체(11)를 사용하였으므로 하우징(1)내어서 위치결정이 어렵고 이 때문에 타부품과의 간섭에 의한 균열, 단선등이 생기는 일이 있으며 또 부품점수가 많고 조립작업시에 도선배선이 수고스러운동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의 다른예로서 배전기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점화코일이나 점화기 등의 유닛을 수용한 것이 많이 알려져있다.
제7도 및 제7도는 종래의 이와같은 내연기관점화용배전기의 도선인출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하우징(1)에는 점화코일(9C), 점화기(9B)가 수용되어 있다.
기타는 모두 도시생략하였지만 내연기관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축이 삽입되어 베어링을 통하여 하우징(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고, 또한 크랭크각을 검출하기위한 센서장치가 내장되어, 상기축의 회전에 의하여 검출신호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점화코일(9c)는 1차측코일권선(21), 단자부(22), 상기 코일 권선(21)의 단부와 단자부(22)를 접속하는 도선(23) 및 이들을 일체적으로 결합하는 동시에 전기적인 절연을 보지하는 몰드피복(14)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2차측코일권선은 도시생략 하고 있다.
하우징(1)과 배전캡(24)의 결합부근방에는 고무보시(25)를 통하여 가요성이 있는 (6a)(6b)로된 복선의 도선(6)이 관통되고 하우징(1)내어서 압착단자(61a)(61b)에 의하여 접속편(62a)(62b)이 전기적으로 고착되고 이 접속편(62)의 선단부가 공사기 점화코일(9c)의 단자부(22)에 결합됨으로서 코일권선(21)과의 전기접속이 이룩되고 있다.
그리고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압착단자(61c)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 도선(63)은 점화기(9B)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도선(6)에 선단부에는 커넥터부(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커넥터부(12)는 하우징(1)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도시생략).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전구조에 있어서는 이것을 조립하는 경우에 점화코일(9c)을 하우징(1)내에 수용하는 한편 고무부시(25)에 도선(6)을 삽입시켜 그 일단에 커넥터부(12)를 부착하고 타단부에 압착단자(61)를 통하여 접속편(62a)을 설치하며 이 접속편(62a)을 점화코일(9B)의 단자부(22a)와 접속하는 한편 고무부시(25)를 하우징(1)에 결합함으로서 결선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내연기관점화용배전기는 가요성이 있는 도선(6)을 사용하여 하우징(1)내로부터 인출하고 있었으므로 압착단자(61)가 3개 필요하고 조립이 번잡하여 시간이 소요되는 외에 부품수가 많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같은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립이 간단하면서도 균열이나 단선사고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신뢰성 높은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고안은 조립이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으며 염가제작이 가능한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를 얻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점화용배전기는 도출수단으로서 일단부가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형성하고 타단부가 하우징에 대한 관통부에 설치된 커텍터부를 형성하고 이를 일단부와 타단부를 몰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이고안에 의한 내연기관점화용배전기는 점화코일과 도출수단인 커넥터부를 몰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커넥터부를 관통부에 배치한 구성으로 한것이다.
이고안의 도출수단은 커넥터부를 하우징에 대한 관통부에 형성하는 동시에 커넥터부에서 전기장치의 단자부에 이르는 부분을 몰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서 전체가 고형물이며 조립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타부품간의 간섭을 없앤다.
또 이 고안에 도출수단은 점화코일과 커넥터부를 코일권선부와 함께 몰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서 압착단자에 의한 접속개소를 감소하고 조립을 간소화한다.
다음은 이 고안의 한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배전캡을 제거한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의 요부만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측면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내에 자석(도시생략), 픽업코일(92A) 등을 갖춘 자기식의 회전 각도검출장치로된 제1전기장치(9)의 점화기로된 제2전기장치(9B) 및 점화코일로된 제3전기장치(9C)를 내장하고 있다.
픽업코일(92A)의 출력단자(93A)는 점화기(9B)의 입력단자(95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출수단(10)은 일단부가 점화기(9B)의 단자부(93B)에 대한 접속부(13B)를 형성하고 다른 일단부가 점화코일(9C)의 단자부(93C)에 대한 접속부(13C)를 형성하며 타단부는 하우징(1)의 관통부(1a)에 고착되는 커넥터부(12)를 형성하고 이들 일단부와 타단부간은 몰드성형에 의하여 형성된 몰드피복(14)에 의하여 일체적인 고형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1a)는 하우징(1)과 배전캡(20)의 결합부에 설치된 요(凹)부로 되어 있으며 조립시에 도출수단(10)을 제2도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커넥터부(12)의 관통부(1a)의 결합, 점화코일(9C)의 단자부(93C)에 대한 접속부(13C)의 결합 및 점화기(9B)의 단자부(93B)에 대한 접속부(13B)의 위치결정이 될 수 있다.
이후 접속부(13B)는 작은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단자부(93B)에 고정된다.
또 점화코일(9C)의 단자부(93C)와 접속부(13C)는 스프링작용에 의하여 결합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출수단(10)의 내부에서는 도체가 적의 접속 또는 분기되어 있는 것을 말할것도 없다.
그외의 부호는 상기 종래장치와 같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조립시에 접속부(13C)에 단자부(93C)를 결합면서 도출수단(10)을 관통부(1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단자부(93B)와 접속부(13B)의 위치는 말하자면 자동적으로 합치시킬수 있으며 그다음은 접속부(13B)와 단자부(93B)을 작은나사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면은 설치, 접속이 완료된다.
따라서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의 자동화도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 커넥터부(12)와 단자부(93) 및 (93C)간을 결선하는 도체는 몰드피복(14)에 의하여 고형으로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진동 등에 강하고 타부품과 간섭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균열, 단성 등의 사고를 방지할수 있어 신뢰성 높은 배전기 제공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내에 회전검출장치, 점화기 및 점화코일로된 3개의 전기장치(9A)(9B)(9C)를 수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장치를 임의의 하나이상 수용한 것이며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
따라서 상기 도출수단(10)은 반드시 2개의 접속부(13B)(13C)가 있을 필요는 없으며 접속부가 하나 또는 3이상의 것도 있을수 있다.
또 관통부(1a)는 하우징(1)에 설치한 요부를 형성하였지만 요부는 하우징(1)과 배전캡(20)도 쌍방에 설치하여도된다.
또한 회전각도 검출장치의 종류, 진각장치의 종류, 진공컨트롤러의 유무등은 이 고안과 직접 관계없으며 소망에 의하여 적의 변경가능한 것임은 말할것도 없다.
다음은 이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서 점화코일(9C)는 그 코일권선(21)을 포위하는 몰드피복(14)에 의하여 도출수단(10)인 커넥터부(1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넥터부(12)에는 접촉편(26)에 매입되어 있으며 이 접촉편(26)의 단부는 몰드성형전에 도선(23)에 의하여 코일권선(21)과 미리 결선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도선(23)도 몰드피복(14)내에 일체적으로 매입되어 있다.
또 하우징(1)에는 이점화코일(9C)을 관통시키기위한 관통부(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부(12)는 관통부(1a)에 고착되어 있다.
기타부호는 다른 종래장치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12)를 코일권선(21)과 일체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조립. 결선작업이 극히 간단하게되고 수고스러운 압착단자(61)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1개소면된다.
또 커넥터(12)는 하우징(1)에 직접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종래예와 같이 일부러 하우징(1)의 외부로 배선한 다음 커넥터를 고정하는등 작업도 불필요하게되고 실용상효과는 극히 현저하며 염가로 신뢰성 높은 배전기를 제공할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커넥터부(12)를 하우징(1)의 외부에 돌출시켰지만 예를들면 커넥터(12)의 선단부와 하우징(1)의 외주면이 대략일치하는 점도로 하우징(1)내에 후퇴시키는등 소망에 따라 적의위치에 배치할수가 있다.
또 회전검출을 위한 센서위치, 점화기등을 동일한 하우징(1)내에 수용하지않는것이라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수가 있다.
또 압착단자(61)는 반드시 필요한것은 아니며 또한 결선방법 접촉편수등도 실시예의 것에 한전된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이 고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나타낸 한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들 고안의 정선범위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에 의하면 도출수단으로서 일단부가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형성하고 타단부가 하우징에 대한 관통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부를 형성하여 또 이들 일단부와 타단부를 몰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도록 구성함으러써 도선의 배선작이 불필요하고 타부품과의 간섭이 없으며 균열이나 단선사고가 예방되고 더구나 제조가 용이하므로 신뢰성높은 배전기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고안에 의하면, 하우징내에 점화코일을 내장한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관통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점화코일이나 이 코일과 외부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위한 커넥터부를 함께 몰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부를 상기 관통부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서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며 염가제조 가능한 배전기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기관의 회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축(12)을 포위하는 동시에 단자부(93A)(93B)(93C)가 있는 전기장치(9A)(9B)(9C)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한 하우징(1), 일단부가 상기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부를 상기 하우징(1)의 외부로 도출시키는 도출수단(10)을 갖춘 내연 기관점화용 배전기에 있어서, 상기 도출수단(10)은 일단부가 상기 단자부(93B)(93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13B)(13C)를 형성하고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1)에 대한 관통부(1a)에 배치되 는 커넥터부(12)을 형성하여 이들 일단부와 타단부를 몰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내연기관 점화용 배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출수단(10)의 일단부가 점화코일된 제3전기장치(9C)인 내연 기관점화용 배전기.
KR2019900002987U 1989-03-16 1990-03-15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 KR9500000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29152U JPH0752379Y2 (ja) 1989-03-16 1989-03-16 内燃機関点火用配電器
JP1-29151 1989-03-16
JP1-29152 1989-03-16
JP2915189U JPH02119974U (ko) 1989-03-16 1989-03-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226U KR900017226U (ko) 1990-10-05
KR950000094Y1 true KR950000094Y1 (ko) 1995-01-09

Family

ID=2636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2987U KR950000094Y1 (ko) 1989-03-16 1990-03-15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24185A (ko)
KR (1) KR950000094Y1 (ko)
DE (1) DE4008539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710B1 (ko) * 1994-01-26 2002-09-12 히다치 오토모티브 엔지니어링 가부시키 가이샤 내연기관용배전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8225A (en) * 1973-09-26 1975-06-10 Gen Motors Corp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controller
US4125103A (en) * 1977-01-07 1978-11-14 Jackson Charles D Breakerless ignition distribu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2744949C3 (de) * 1977-10-06 1981-07-23 Kabel- und Metallwerke Gutehoffnungshütte AG, 3000 Hannover Steckverbinder für Zündanlagen von Kraftfahrzeugen
US4282836A (en) * 1979-12-14 1981-08-11 Ford Motor Company Lightweight distributor rotor driveshaft
DE3039228A1 (de) * 1980-10-17 1982-05-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uendverteiler fuer brennkraftmaschinen
DE3109606A1 (de) * 1981-03-13 1982-10-2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uendverteiler fuer brennkraftmaschinen
DE3131644A1 (de) * 1981-08-11 1983-02-2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Zuendverteiler fuer brennkraftmaschinen
US4677946A (en) * 1985-05-30 1987-07-07 Ford Motor Company Apparatus for positioning two sensor devices
JPS6375356A (ja) * 1986-09-18 1988-04-05 Nippon Denso Co Ltd 内燃機関用点火配電器
JPH0663498B2 (ja) * 1988-09-19 1994-08-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用配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24185A (en) 1991-06-18
DE4008539C2 (de) 1993-11-18
KR900017226U (ko) 1990-10-05
DE4008539A1 (de) 199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342B1 (ko) 홀 효과형 센서 장치
KR20000010896A (ko) 홀 센서로 회전수를 측정하는 전동기
EP1202435A3 (en) Terminal unit for electric motor
KR20040007471A (ko) 전기 모터, 특히 전자식으로 정류되는 dc 모터용 릴레이지지 디바이스
KR20000068936A (ko) 센서 장치
US20200169144A1 (en) Electric motor
US4853575A (en) Tachometer generator
KR950000094Y1 (ko) 내연기관점화용 배전기
KR20110098659A (ko) 전기 케이블의 접속 구조 및 전기 기기
JP2001082310A (ja) 内燃機関用燃焼状態検知装置
KR920006639A (ko) 내연기관 점화용 배전기
ES2155365A1 (es) Bobina de encendido con configuracion de posicionamiento en abertura para terminal del lado de la torre.
JPH0752379Y2 (ja) 内燃機関点火用配電器
JPS58187578A (ja) 内燃機関点火用デイストリビユ−タ
JP2590753Y2 (ja) 回転電機の接続装置
US4577610A (en) Ignition distributor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707616A (en) Electric engine starter
KR20220025740A (ko) 회전 전기 기계용 플라스틱 베어링
JP2589537Y2 (ja) 内燃機関用磁石発電機の固定子
US2020078A (en) Magneto generator
JP3307517B2 (ja) 内燃機関用配電器
KR100239287B1 (ko) 전동기의 고정자
JP3042571B2 (ja) 内燃機関用配電器及び電磁式信号発生器
CN215860580U (zh) 一种无刷燃油泵
JPH09246074A (ja)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