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3900A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3900A
KR940013900A KR1019920023099A KR920023099A KR940013900A KR 940013900 A KR940013900 A KR 940013900A KR 1019920023099 A KR1019920023099 A KR 1019920023099A KR 920023099 A KR920023099 A KR 920023099A KR 940013900 A KR940013900 A KR 94001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vehicle body
knuckle
whe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6262B1 (ko
Inventor
이언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2002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262B1/ko
Priority to US08/256,365 priority patent/US5560637A/en
Priority to PCT/KR1993/000107 priority patent/WO1994012359A1/en
Priority to EP94901049A priority patent/EP0623077B1/en
Priority to JP06512990A priority patent/JP3100636B2/ja
Priority to DE69320325T priority patent/DE69320325T2/de
Publication of KR94001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인슐레이터을 개재시켜 차체에 지지되는 스트러트 아암과; 양단에 연결부가 형성되어 이의 연결부를 통하여 차체와 너클에 연결되어 상기 휠을 포함하는 너클이 차체에 대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차체의 하부와 너클의 하측부분을 연결하여 주는 로워아암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에 의하여 휠이 상용구간 이상으로 상승될 때 "-" 캠버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휠의 상승에 따라 상승되는 스트러트 아암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로워아암을 외측으로 밀어줄 수 있는 캠버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캠버의 변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발췌도로서,
(가)는 휠이 상승할 때를 나타낸 것이며,
(나)는 휠이 하강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쇽 업소오버(3)와 스프링(4)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5)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인슐레이터(6)을 개재시켜 차체(7)에 지지되는 스트러트 아암(1)과; 양단에 연결부(11)(12)가 형성되어 이의 연결부(11)(12)를 통하여 차체(7)와 너클(5)에 연결되어 상기 휠(2)을 포함하는 너클(5)이 차체(7)에 대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차체(7)의 하부와 너클(5)의 하측부분을 연결하여 주는 로워아암(10)과; 노면으로부터 입력되는 진동에 의하여 휠(2)이 상용구간 이상으로 상승될 때 "-" 캠버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휠(2)의 상승에 따라 상승되는 스트러트 아암(1)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로워아암(l0)을 외측으로 밀어줄수 있는 캠버 제어수단(20)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캠버 제어수단(20)은 중간부에 힌지부(23)를 두고 하측과 외측으로 수직부(24)와 수평부(25)가 돌출하여 상기 힌지부(23)가 로워아암(10)의 차체측 연결부(11) 상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힌지 고정되는 회동아암(21)과; 상기 회동아암(21)의 수평부(25) 선단에 하단이 피봇 연결되고 상단이 스트러트 아암(1)의 하부 내측에 마련된 브라켓(26)에 피봇 연결되는 커넥팅 로드(22)와; 상기 로워아암(10)의 차체측 연결부(11)에 개재되는 편심 고무부시(27)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회동아암(21)의 수직부(24)는 소정의 곡률을 갖고 차체측으로 만곡되는 호형을 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편심 고무부시(27)는 일반적인 상용 진동구간에서는 로워아암(l0)의 상하동작을 적당한 스프링 특성을 갖고 제어하여 주고 외측으로 밀리는 과정에서는 이의 수용할 수 있도록 축공(29)을 일측으로 편심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편심 고무부시(27)는 그의 중심점(C)과 로워아암(10)의 축선을 연결선상에 축공(29)이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23099A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3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099A KR0136262B1 (ko)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현가장치
US08/256,365 US5560637A (en) 1992-12-02 1993-12-02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PCT/KR1993/000107 WO1994012359A1 (en) 1992-12-02 1993-12-02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EP94901049A EP0623077B1 (en) 1992-12-02 1993-12-02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06512990A JP3100636B2 (ja) 1992-12-02 1993-12-02 車両用懸架装置
DE69320325T DE69320325T2 (de) 1992-12-02 1993-12-02 Fahrzeugaufhängung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3099A KR0136262B1 (ko)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900A true KR940013900A (ko) 1994-07-16
KR0136262B1 KR0136262B1 (ko) 1998-05-01

Family

ID=1934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099A KR0136262B1 (ko) 1992-12-02 1992-12-02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2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6262B1 (ko) 199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389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3781032A (en) Trailing arm suspension system
KR940013889A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940013896A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940013894A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2002542975A (ja) 自動車の前車軸のための車輪懸架装置
KR0131309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950013754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940013893A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910000464A (ko) 차량의 타각제어장치
KR940013900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940013902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H038261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910007989Y1 (ko) 자동차용 스트러트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의 로워 콘트롤 아암 고정구조
KR940013888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14409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80365B1 (ko) 자동차의 구동륜 현가장치
JPH035400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JPS63265710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H0524421A (ja) 車両用懸架装置
JP2525347Y2 (ja) 自動車用ダブル・ウィッシュボ−ン型空気ばねサスペンション
SE455485B (sv) Arrangemang for upphengning av en fremre belysningsenhet vid fordon
KR0180363B1 (ko) 자동차의 비구동륜 현가장치
KR20030080475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