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309B1 - 자동차의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현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309B1
KR0131309B1 KR1019920022193A KR920022193A KR0131309B1 KR 0131309 B1 KR0131309 B1 KR 0131309B1 KR 1019920022193 A KR1019920022193 A KR 1019920022193A KR 920022193 A KR920022193 A KR 920022193A KR 0131309 B1 KR0131309 B1 KR 0131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arm
vehicle body
vehic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230A (ko
Inventor
이언구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2002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309B1/ko
Priority to JP5313986A priority patent/JP2898530B2/ja
Priority to US08/155,831 priority patent/US5374075A/en
Publication of KR94001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06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a single lateral arm, e.g. MacPhers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Joints with ca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3Rails, tub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4232Sliding mou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2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L-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차체에 지지되는 완충기구인 스트러트 아암과; 상기 너클의 하측을 차체의 하부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아암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아암의 차체측단을 차체 또는 서브 프레임에 고착된 브라켓과 탄성부시를 개재시켜 연결하되, 탄성부시의 축공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그의 중심점과 로워아암의 축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 축공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브라켓의 탄성부시 전측에는 상측부를 외측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로 호형의 장공을 형성하여 이의 장공내에 로워아암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울러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캠버의 변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현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4도 (a)는 본 발명에 의한 캠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선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선도이다.
제 5 도는 종래 기술의 설명을 위한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러트 아암 5 : 너클아암
7 : 로워아암 8 : 브라켓
10 : 탄성부시 11 : 축공
13 : 장공 14 : 로울러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캠버의 변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라 함은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의 연결이 유연하여야 하고, 휠에 발생되는 구동력, 제동력, 선회시의 원심력등을 이겨낼 수 있는 수평 방향의 연결이 견고해야만 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는 그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여러종류로 구분되어지며, 당해 차량에 가장 이상적인 기구학적 특성을 갖는 현가장치가 선별 적용되고 있는데, 승용차의 경우에는 차축을 분할하여 양휠이 서로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동작되게 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이 좋은 독립 현가장치를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독립 현가장치에는 여러 종류의 현가장치가 있는데, 최근 승용차의 조향륜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를 일예로 설명하면,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는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쇽 업소오버(51)와 스프링(52)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53)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차체(54)에 지지되는 완충기구인 스트러트 아암(55)과; 상기 너클(53)의 하측을 차체(54)의 하부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아암(56)으로 구성되어 휠(50)의 상하 진동시 로워 아암(56)이 휠(50)의 상하 운동 범위를 한정함과 동시에 이의 내단을 차체(54)와 연결하는데에 개재되는 탄성부시 연결부(57)에 의하여 완충작용을 하도록 하고, 완충기구인 스트러트 아암(55)의 쇽 업소오버(51)와 스프링(52)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노면으로부터 들어오는 충격이 차체(53)에 작게 전달되도록 하는 현가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주행 조건에 따른 휠(50)의 상하 진동시 로워 아암(56)이 길이가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하 요동을 하게 되는 바, 휠(5)은 로워 아암(56)의 내단 연결부(57)를 기준으로 하는 로워아암(56)의 길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운동궤적(M)과 스트러트 아암의 쇽 업소오버 피스톤 로드의 미끄럼 운동 궤적에 의하여 상하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휠(50)이 상하 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승차감과 선회 안정성 및 주행 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휠의 캠버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로워아암(56)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그의 휠측단이 휠 중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바, 휠(50)의 상승시 휠(50)이 로워 아암(56)의 운동궤적(M)을 따라 상승되는 과정에서 일정의 높이 즉, 로워 아암(56)의 내측단 연결부(57)의 동일 높이까지는 운동궤적(M)의 곡률에 따라 그의 하측부가 외측으로 밀리면서 캠버각이 - 쪽으로 커지게 된다.
그러나 휠(50)이 일정의 높이를 지난후에는 로워아암(56)이 그의 운동궤적(M)에 의하여 휠(50)의 하측부를 당기면서 상승하게 되는 바, 휠(50)의 캠버각은 다시 + 쪽을 향하게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캠버각의 변화는 제4도 (a)의 점선과 같은 상태로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캠버각의 변화에 의하여 휠(50)의 트레드 변화 또한 제4도 (b)의 점선과 같이 변화하게 됨으로써, 조향 특성에 많은 악영향을 주어 선회시 안정성이 결여되고, 직진 주행성 안정성에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 조건에 따라 캠버의 변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쇽 업소오버와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차체에 지지되는 완충기구인 스트러트 아암과; 상기 너클의 하측을 차체의 하부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아암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아암의 차체측단을 차체 또는 서브 프레임에 고착된 브라켓과 탄성부시를 개재시켜 연결하되, 탄성부시의 축공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그의 중심점과 로워아암의 축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 축공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브라켓의 탄성부시 전측에는 상측부를 외측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로 호형의 장공을 형성하여 이의 장공내에 로워아암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울러가 삽입되도록 형성한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현가장치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현가장치는 쇽 업소오버(2)와 스프링(3)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5)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차체(6)에 지지되는 완충기구인 스트러트 아암(1)과; 상기 너클(5)의 하측을 차체(6)의 하부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아암(7)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로워 아암(7)의 차체측단을 차체 또는 서브 프레임(6)에 고착된 브라켓(8)과 탄성부시(10)를 개재시켜 연결하되, 탄성부시(10)의 축공(11)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이에 고정 볼트(12)로서 로워아암(7)을 연결하였다.
상기에서 탄성부시(10)는 그의 중심점(C)과 로워아암(7)의 축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 축공(11)이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8)의 탄성부시(10) 전측에는 호형의 장공(13)을 형성하여 이의 장공(13)내에 로워아암(7)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울러(14)가 삽입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에서 호형 장공(13)은 그의 상측부를 외측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로 형성하여 휠(4)의 상승에 의하여 로워아암(7)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면 로울러(14)가 장공(13)의 내면(15)과 접촉을 이루면서 로워 아암(7)을 외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노면의 조건이나 차체의 진동에 의하여 휠(4)이 상승되면 이에 로워아암(7)이 차체측단의 연결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동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로워아암(7)의 회동과정에서 로워아암(7)이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면 장공(13)내에서 비접촉 상태로 동작되던 로울러(14)가 장공(13)의 내면(15)과 접촉이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이때, 로울러(14)는 원래 제3도의 점선과 같은 운동궤적(M)을 따라 상승되어야 하지만 상측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진 장공(13)내에서 구름접촉을 하면서 상승되는 로울러(14)가 장공(13)의 내면(15) 기울기에 의한 운동궤적(M')을 따라 상승하면서 외측으로 밀리게됨으로써, 로워아암(7)은 탄성부시(10)의 후측을 압축하면서 제3도의 가상선과 같이 외측으로 b 만큼 이동하게 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로워아암(7)이 b 만큼 외측으로 이동하면 결국은 이의 측단으로 연결된 휠(4)의 하측부가 외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휠(4)은 - 쪽으로의 캠버각이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가장치의 동작에 의한 캠버의 변화는 제4도 (a)의 실선과 같이 나타나며, 이는 점선과 같은 종래의 캠버에 비하여 - 캠버로 크게 변하게 되므로 선회시 대지캠버를 0에 가깝도록 만들어주어 한계 선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버의 변화에 의하여 트레드 또한 제4도 (b)의 실선과 같이 크게 되는 바, 조향특성이 개선되어 선회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직진시에는 캠버 및 트레드 변화가 적게 발생하여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안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종합하여 볼 때, 장공(13)의 곡률 형태와 탄성부시(10)의 편심량에 의하여 캠버와 트레드 변화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주행상에 가장 이상적인 캠버 및 트레드 변화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자동차의 주행 조건에 따라 캠버의 변화를 가장 이상적으로 제어하여 선회시 선회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직진시 승차감은 물론 직진 주행 안정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쇽 업소오버(2)와 스프링(3)의 조립체로 형성되어 그의 하단이 휠(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5)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이 차체(6)에 지지되는 완충기구인 스트러트 아암(1)과; 상기 너클(5)의 하측을 차체(6)의 하부와 연결하여 주는 로워 아암(7)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아암(7)의 차체측단을 차체 또는 서브 프레임(6)에 고착된 브라켓(8)과 탄성부시(10)를 개재시켜 연결하되, 탄성부시(10)의 축공(11)을 편심되게 형성하여 그의 중심점(C)과 로워아암(7)의 축선을 연결하는 연결선상에 축공(11)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브라켓(8)의 탄성부시(10) 전측에는 상측부를 외측으로 약간 기울인 상태로 호형의 장공(13)을 형성하여 이의 장공(13)내에 로워아암(7)의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로울러(14)가 삽입되어 구름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19920022193A 1992-11-24 1992-11-24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31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193A KR0131309B1 (ko) 1992-11-24 1992-11-24 자동차의 현가장치
JP5313986A JP2898530B2 (ja) 1992-11-24 1993-11-22 自動車の懸架装置
US08/155,831 US5374075A (en) 1992-11-24 1993-11-23 Vehicle suspension mounting for controlling change in camber and tr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2193A KR0131309B1 (ko) 1992-11-24 1992-11-24 자동차의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230A KR940011230A (ko) 1994-06-20
KR0131309B1 true KR0131309B1 (ko) 1998-04-21

Family

ID=1934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193A KR0131309B1 (ko) 1992-11-24 1992-11-24 자동차의 현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374075A (ko)
JP (1) JP2898530B2 (ko)
KR (1) KR0131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058B1 (ko) * 1997-08-30 2001-07-12 이계안 스테빌라이저바아 장착구조
AU754946B2 (en) * 1998-11-12 2002-11-28 Hyundai Motor Company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6176501B1 (en) 1999-02-11 2001-01-23 Fluidrive, Inc. Independent front suspension eccentric alignment device
PL192322B1 (pl) * 1999-07-12 2006-09-29 Oledzki Wieslaw Julian Zawieszenie sprężyste do pojazdów, zwłaszcza drogowych i terenowych
DE10140288C1 (de) * 2001-08-16 2002-08-29 Thyssen Krupp Automotive Ag Querlenker
KR100427346B1 (ko) * 2001-08-31 2004-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뒷바퀴 캠버각 조절장치
KR100476222B1 (ko) * 2002-11-26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에이-부시 위치 제어 시스템
JP2005104225A (ja) * 2003-09-29 2005-04-21 Aisin Seiki Co Ltd アライメント制御装置
US20050156398A1 (en) * 2004-01-16 2005-07-21 John Edward Ramsey Device for leveling a trailer floor
JP4739807B2 (ja) * 2005-04-28 2011-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7914020B2 (en) * 2008-01-31 2011-03-29 Roy Boston Vehicle suspension system with a variable camber system
KR101510325B1 (ko) * 2009-10-08 2015-04-1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JP6863207B2 (ja) * 2017-09-29 2021-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アアーム支持ブラケ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ロアアーム支持機構
CN112124425B (zh) * 2020-10-10 2021-09-2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轮后倾角调节结构、悬架及车辆
US11820197B2 (en) 2022-02-09 2023-11-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control arm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7835A (en) * 1966-10-17 1968-12-24 Ford Motor Co Wheel toe control for independent rear suspension
DE2061909A1 (de) * 1970-12-16 1972-07-13 Dr.-Ing. H.C. F. Porsche Kg, 7000 Stuttgart-Zuffenhausen Radführung für einzeln aufgehängte Fahrzeugräder
JPS5659702A (en) * 1979-10-22 1981-05-23 Chugai Pharmaceut Co Ltd Rearing agent of good rice plant seedling
JPS58218408A (ja) * 1982-06-12 1983-12-1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リア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S61132406A (ja) * 1984-11-29 1986-06-19 Fuji Heavy Ind Ltd ストラツト型後輪懸架装置
SE8406434L (sv) * 1984-12-18 1985-11-11 Esselte Almanacksforlag Ab Systemkalender
JPS63263113A (ja) * 1987-04-20 1988-10-31 Daihatsu Motor Co Ltd 後輪懸架装置のト−角制御装置
JPS6456214A (en) * 1987-08-26 1989-03-03 Mazda Motor Automobile suspension device
JPS6456215A (en) * 1987-08-26 1989-03-03 Mazda Motor Automobile suspension device
IT1211507B (it) * 1987-11-09 1989-11-03 Fiat Auto Spa Perfezionamenti alle sospensioni per autoveicoli del tipo mac pher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230A (ko) 1994-06-20
US5374075A (en) 1994-12-20
JPH06206413A (ja) 1994-07-26
JP2898530B2 (ja) 199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520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US7185902B1 (en) Strut suspension with pivoting rocker arm
KR0180370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31299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31301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31300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31309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H08505586A (ja) 車両用懸架システム
KR013952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0142556B1 (ko) 자동차의 구동측 조향륜 현가장치
US5560637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US20090218783A1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KR0185442B1 (ko) 자동차용 후륜 현가장치
KR0136258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80365B1 (ko) 자동차의 구동륜 현가장치
KR0136262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34511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0142553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14409Y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237453Y1 (ko) 자동차의 위시본형 조향장치
KR0131296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0140766Y1 (ko) 유압 부싱을 이용한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9980024176U (ko) 자동차의 멀티 링크 서스펜션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KR100422550B1 (ko) 차량용 속업소버의 상부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