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8178A -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 Google Patents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8178A
KR940008178A KR1019920017903A KR920017903A KR940008178A KR 940008178 A KR940008178 A KR 940008178A KR 1019920017903 A KR1019920017903 A KR 1019920017903A KR 920017903 A KR920017903 A KR 920017903A KR 940008178 A KR940008178 A KR 94000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nductive
insulating film
semiconductor laser
lase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4237B1 (ko
Inventor
서주옥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2001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237B1/ko
Publication of KR94000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에 관한 것으로 선택적 에피택시방법으로 고효율 미 낮은 문턱전류를 갖는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은 기판위에 DH(Double Heterostuctures)를 증착하고 선택적 에칭으로 메시구조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선택적 에칭에 필요한 용액선택이 어렵고 선택 에칭식 DH구조시 표면이 산화되어 문턱전류가 증가되고 소자특성이 저하되었다.
반면, 본 발명은 기판위에 DH구조를 선택적 성장방법으로 메시구조를 형성하고 ,DH구조 맨위에 산화방지층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고효율 및 낮음 문턱전류를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조할 수 있고 메사형태를 구성하는 구성물질 및 구조에 제한을 받지 않아 다양한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의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구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공정단면도.

Claims (4)

  1. 기판(1)위에 제1 절연막(8)을 형성하여 중앙부위를 제거하는 제1 공정과, 상기 제1 절연막(8)이 제거된 중앙부위 버퍼층(2), 제1 도전형 클래드층(3), 활성층(5), 제2 도전형클래드층(5), 제2도전형산화방지층(6)을 차례로 성장시키는 제2 공정과, 상기 제1 절연막(8)을 모두 제거하고 상기 제1 도전형 클래드층(3)과 같은 동일물질층과 제2 도전형 캡층(9)을 차례로 형성하는 제3 공정과, 전면에 제2 절연막(10)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도전형 산화방지층(6) 상측부위의 제2 절연막(10)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제4 공정과, 제2 절연막(10)이 제지된 부위에 제2 도전형 산화방지층(6)까지 아연도피층(11)을 형성하는 제 5공정과, 제2 절연막(10)과 아연도핑층(11)에 걸쳐 전면에 제2 도전형전극(12)을 형성하고 기판(1)하부에 제1 도전형 전극을 형성하는 제 6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절연막(8)은 실리콘빌화막으로하고 제2 절연막(10)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 공정은 MOCVD법으로 버퍼층(2), 제1 도전형클래드층(3), 활성층(5), 제2 도전형클래드층(5), 제2 도전형산화방지층(6)을 각각 0.05㎛, 1.2㎛ 0.08㎛, 0.8㎛, 0.01㎛두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공정은 MOCVD법으로 제1 도전형 클래드층(3)과 동일물질층과 제2 도전형 캡층(9)을 각각 2㎛, 0.1㎛두께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17903A 1992-09-30 1992-09-30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KR100244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903A KR100244237B1 (ko) 1992-09-30 1992-09-30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7903A KR100244237B1 (ko) 1992-09-30 1992-09-30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178A true KR940008178A (ko) 1994-04-29
KR100244237B1 KR100244237B1 (ko) 2000-02-01

Family

ID=19340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903A KR100244237B1 (ko) 1992-09-30 1992-09-30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565B1 (ko) * 2004-10-30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685B1 (ko) 2003-07-18 2010-1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565B1 (ko) * 2004-10-30 2006-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4237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8178A (ko) 매립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CA1294717C (en) Zero bird-beak oxide isolation scheme for integrated circuits
KR950012833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US4686001A (en) Method for forming contact layer o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930015222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940008174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950012902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437181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930024238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940016970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KR96000930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aser diode with multi lasing area
KR960009301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KR930015218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KR970004193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940001500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KR950012652A (ko) 선택적 매몰 릿지형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950012912A (ko) 레이저 다이오드와 그 제조방법
KR940004900A (ko) 반도체 레이저 제조방법
KR930020786A (ko) 레이저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970068056A (ko) 레이저 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940003129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제조방법
KR930009180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제조방법
KR950012859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49757A (zh) 制作半导体台面侧向电流限制结构的技术
KR940001501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