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7999B1 -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7999B1
KR940007999B1 KR1019910009770A KR910009770A KR940007999B1 KR 940007999 B1 KR940007999 B1 KR 940007999B1 KR 1019910009770 A KR1019910009770 A KR 1019910009770A KR 910009770 A KR910009770 A KR 910009770A KR 940007999 B1 KR940007999 B1 KR 94000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late
safety
attachment
support shaft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264A (ko
Inventor
미치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미치오 아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치오 아라이 filed Critical 미치오 아라이
Publication of KR920000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제 1 도는 헬멧본체에 안전판이 부착된 상태의 측면도.
제 2 도는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안전판의 부착부와 기판, 및 안전판 누름덮개 부분을 표시하는 확대사시도.
제 4 도 내지 제 7 도는 안전판의 부착순서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
제 8 도 내지 제11도는 안전판을 기판으로 떼어내는 순서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
제12도는 안전판의 부착상태에 있어서의 종단 측면도.
제13도 내지 제21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제13도 내지 제17도는 안전판의 부착순서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
제18도 내지 제21도는 안전판을 기판에서 떼어내는 순서를 표시하는 일부 절결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헬멧본체 2, 33 : 기판
3, 29 : 안전판 3', 29' : 부착부
4, 41 : 안전판 누름덮개 6, 34 : 지지축
7, 35 : 탄성계합편 8, 36 : 돌조
16, 30 : 부착구멍 18, 32 : 정지부
28, 45 : 개구
본 발명은 오오토바이, 자동차 등에 승차할 때 사용되는 전면형(full-face-type), 제트형(jet type)의 안전헬멧(helmet)에 장비되는 안전판(shield)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면형, 제트형의 안전헬멧에 대한 종래의 안전판 부착구조는, 헬멧본체에 대하여 열림정도 조절장치 및, 안전판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안전판의 좌우측부와 열림정도 조절(래칫기구)부품이 안전판에 부착덮개를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술한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예컨대 탈착작업중 안전판의 개폐(회동)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등 안전판의 부착부분을 분해했을 경우, 고정나사를 풀어서 안전판 부착덮개를 헬멧본체에서 떼어내면 안전판의 회동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어하기 위한 개폐를 실시할 때 각종 부품이 튀어나오거나, 부품이 분실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고정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헬멧본체에 대하여 안전판을 걸림유지할 수 있는 부착구조를 특개소 63-309612호로서 제안하고 있다. 그 구성은, 헬멧본체의 좌우측면에, 안전판의 회동중심으로 되는 지지축 및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정지기구를 구비한 기판을 설치하고, 또한 그 기판에는 안전판 누름덮개를 피착함과 아울러, 그 안전판 누름덮개는 안전판을 소정의 위치(전개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만 기판과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안전판 누름덮개나 나사로 고정된 형, 및 기판에 대하여 요철부재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걸림되는 형의 어느 것이라도, 안전판을 부착하거나 떼어낼 때에는 반드시 안전판 누름덮개를 떼어 내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안전판의 부착이나 떼어내기(교환)에 수고를 요함과 아울러, 그 안전판 누름덮개가 고정나사로 고정된 형의 경우는 고정나사를 분실한다고 하는 문제를 보유하며, 요철부재의 걸림에 있어서는 빈번한 조작에 의하여 그 부재가 파손한다고 한 것도 생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이 보유하는 문제점에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안전판 누름덮개를 헬멧본체 또는 기판에 대하여 걸림된 그대로 안전판을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는 안전판 부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한 기술적 장치는, 소정위치에 있어서 안전판에 통상의 안전판 개폐동작과는 다른 동작에 의한 특징의 힘을 가했을 때, 헬멧본체의 외표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의 힘이 그 안전판에 발생하도록, 헬멧본체의 좌우측면에 고착된 기판상에 돌출배치한 지지축의 해당부위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또한 안전판 누름덮개는 그 상하부를 기판 또는 헬멧본체에 고정시켜 안전판에 상술한 바와 같은 힘이 작용했을 때, 그 안전판 누름덮개의 중앙부분이 바깥쪽으로 넓혀져, 지지축 정점과의 사이에 안전판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 자재하게 함과 아울러, 헬멧본체 외표면과 안전판 누름덮개의 전방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안전판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부착부를 넣고 빼내는 개구를 설치하고, 한편, 안전판의 부착부에는 지지축에 대하여 끼우거나 뽑는 부착구멍을 설치하고, 그 안전판에 통상의 사용상태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특별한 동작을 가해줌으로서 안전판 누름덮개를 바깥쪽으로 넓혀, 지지축 정점과 안전판 누름덮개 내면과의 사이에 안전판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고, 그 간극을 통하여 안전판의 부착부를 기판에 대하여 착탈자재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안전판이 장비되는 헬멧본체의 형태로서는 전면형, 제트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은 것이다.
또, 안전판을 지지하는 기판은 합성수지재, 금속재의 어느 것에 의해 성형해도 좋고, 합성수지재에 의하여 성형된 경우는 안전판의 회동이 되는 지지축뿐만 아니라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정지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좋고 안전판의 회동을 일정한 간격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안전판의 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정지기구에 일체적으로 조립 형성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 기판에 형성되는 지지축과 감합하는 안전판쪽의 부착구멍은, 주연의 일부가 잘려진 C형, 혹은 완전히 폐쇄된 원형구멍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지지축에 형성하는 경사면은 안전판의 부착부의 끼워넣는 방향 및 인출방향에 대응시켜서 형성한다.
또, 안전판의 넣고 빼는 소정위치는, 개구상한위치, 혹은 개폐범위내의 도중위치 등이다.
상기한 장치에 의하면, 헬멧본체의 좌우측면에 고착된 기판에 안전판 누름덮개가 상하부에서 피착되어 헬멧본체의 바깥표면과 안전판 누름덮개의 앞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안전판을 넣고 빼낼 수 있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개구에서 안전판의 부착부를 꽂아놓으면 기판상의 지지축, 정지구 부재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하여 안전판 누름덮개 안으로 안내되고, 안전판 누름덮개는 안전판의 부착부에 의하여 기판표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올려져서, 안전판의 부착부에 있어서의 부착구멍은 지지축에, 정지부는 정지부 부재에 각각 끼워걸림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는 안전판 누름덮개의 탄성이 작용하여 부착완료상태로 유지되고, 안전판의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보통의 개폐운동의 범위내에서는 지지축과 부착구멍, 정지부 부재와 정지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안전판이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 부착된 안전판을 떼어낼 때는 안전판을 열림상한위치까지 회동하고, 그 위치에서 안전판에 보통의 사용상태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동작, 즉 안전판의 부착부를 헬멧본체의 바깥표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열림상한위치를 넘는 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정지부가 떨어지고, 그 다음 안전판을 개구방향으로 뽑아내면 경사면에 따라서 안내되며, 기판의 지지축에서 부착구멍이 떨어져서, 안전판의 부착부는 기판에서 완전히 떨어진 상태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12도는 부착구멍의 형태가 C형인 실시예를 표시하고, 도면중에서 부호 1은 헬멧본체, 2는 헬멧본체(1)의 좌우외측에 고착된 기판, 3은 안전판, 4는 안전판 누름덮개이다.
헬멧본체(1)는 일반적으로 주지되어 있는 전면형의 형상인 것으로서, 그 헬멧본체(1)의 좌우외측면에 안전판(3)의 지지를 행하는 기판(2)이 고정나사(5), (5')로 고착되어 있다.
기판(2)은 안전판(3)의 회동중심으로 되는 지지축(6)과, 안전판(3)의 회동범위를 규제함과 동시에 그 회동을 일정한 간격으로 제어하는 탄성계합편(7) 및 안전판(3)의 아래쪽 둘레에 돌설된 정지부(18)가 맞닿아 걸어맞추는 활모양인 돌조(8)를 수지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구비해 있고, 지지축(5)의 아랫쪽에 탄성계합편(7), 더욱더 아랫쪽에 활모양인 돌조(8)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축(6)은 정면이 원형으로 돌설하여 그 중앙에 고정나사(5)가 삽통되는 통공이 뚫려짐과 아울러, 그 통공의 상측에는 고정나사(5)의 머리부가 끼워맞추는 오목한 곳에 계단이 형성되고, 축부의 상부는 직선적으로 잘려져서, 그 직선면쪽으로 걸어두는 오목한 곳(9)이 절결되어 있고, 그 걸어두는 오목한 곳(9)에 안전판 누름덮개(4)의 걸어맞추는 돌출부(21)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탄성계합편(7)은 원형링의 일부를 잘라 정면이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폐쇄된 외주면의 일부가 기판(2)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개방된 양측단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향해서 갈고리부(7')가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한 탄성계합편(7)에는 폐쇄된 쪽에서 개방쪽 및 폐쇄부에서 바깥쪽으로 향해서 안내돌조(10), (10')가 돌출설치되고, 그들 안내돌조(10), (10')의 긴쪽방향에 따른 측부는 기판(2) 표면에 향해서 경사된 경사면(11), (11')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안전판(3)의 꽂아넣기 및 뽑아내기가 순조롭게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활모양인 돌조(8)는 기판(2)의 아래쪽둘레에 따라서 지지축(6)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조로 형성되며, 그 긴쪽방향의 도중에는 안전판(3)의 정지부(18)가 맞붙이는 단차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단차부(12)의 위치는 안전판(3)의 폐동하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또, 기판(2)에 있어서의 활모양인 돌조(8)에서 아래쪽 위치에는 고정나사(5')용의 통공을 뚫려진 말굽형상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말굽형상부(13)의 후방측부에는 안전판 누름덮개(4)에 설치된 잠금편(22)이 끼우거나 뽑아내는 걸림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안전판(3)은 헬멧본체(1)의 앞면에 개설된 창구멍(15)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 혹은 유색 투명한 합성수지판을 사용하여 헬멧본체(1)의 만곡형상에 맞도록 성형되며, 그 안전판(3)의 좌우양측부에는 지지축(6)에 끼워맞추는 부착구멍(16)과, 탄성계합편(7)이 끼워져 안전판(3)의 회동범위를 결정하는 활모양인 안내구멍(17) 및 바깥둘레에 정지부(18)를 설치한 부착부(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부착구멍(16)은 지지축(6)의 외경보다 약간 대경인 원형구멍의 가장자리 일부를 잘라 대략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활모양인 안내구멍(17)은 안전판(3)의 회동범위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지지축(6)에 끼워맞추는 부착구멍(16)을 중심으로 활모양으로 형성되고, 안전판(3)을 폐쇄했을 때 탄성계합편(7)과 걸어맞추어지는 한쪽부에는 탄성계합편(7)의 갈고리부(7')가 끼워 맞춤하는 끼워맞춤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 활모양인 안내구멍(17)의 구멍폭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탄성계합편(7)의 외경보다 약간 폭은 좁게하고, 그 구멍가장자리에 도중에 움푹패인 곳(20)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안전판(3)이 회동되어서 활모양인 안내구멍(17) 도중의 움푹패인 곳(20)이 탄성계합편(7)의 위치에 위치함과 안쪽으로 압출되어 있는 탄성계합편(7)이 무부하시의 형상으로 확개하여 움푹패인 곳(20)으로 끼워지며, 안전판(3)은 소정의 개동위치에 걸림유지된다.
안전판(3)의 부착부(3')를 씌우는 안전판 누름덮개(4)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부착부(3')와 대향하는 안쪽면 상부에는 걸어맞추는 돌출부(21)가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내측면 하부에는 잠금편(22)이 외측보다 조작 자재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걸어맞추는 돌출부(21)는 기판(2)의 지지축에 있어서의 상측에 절결된 걸어두는 오목한 곳(9)에 끼워맞춤하는 것으로서, 덮개 본체의 뒷쪽에 「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잠금편(22)은 직4각형모양의 평판으로 하여 걸림구멍(14)으로 끼우거나 뽑는 상면은 경사면에 절결형성되고, 타측(후부)에는 그 잠금편(22)을 항상 걸림구멍(14)으로 끼우는 방향으로 탄발부새하는 스프링 작용편(22)을 항상 걸림구멍(14)으로 끼우는 방향으로 탄발부새하는 스프링 작용편(23)이 화살표 모양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렇게한 잠금편(22)이 안전판 누름덮개(4)의 이면에 형성한 안내편(24)내로 끼워맞춤됨과 아울러, 스프링 작용편(23)은 후방에 이르기에 따라 폭이 좁게 되도록 형성된 안내편(24)내에 끼워맞춤되고, 스프링 작용편(23)이 안내편(24)내로 폭이 좁은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하여, 그 스프링 작용편(23)이 안쪽으로 압압 되어서 탄발력이 축적되며, 후방으로의 이동력이 해제되면 잠금(22)은 축적된 탄발력으로 걸림구멍(14)에 끼워맞추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자동적으로 걸어맞추어진다. 또, 상기한 잠금편(22)에는 안전판 누름덮개(4)의 바깥족으로 위치시켜서 조작판(25)을 고착시켜, 잠금편(22)을 걸림구멍(14)에서 떼어내는 조작을 안전판 누름덮개(25)을 고착시켜, 잠금편(22)을 걸림구멍(14)에서 떼어내는 조작을 안전판 누름덮개(4)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더욱더, 상술한 안전판 누름덮개(4)의 내측면의 점소에 안전판(3)의 부착부(3')를 기판(2)쪽으로 억누르는 돌기(26), (26')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중에서, 부호 27은 안전판(3)의 부착부(3')를 삽입할 때에, 소정위치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돌기로서, 기판(2)의 외표면으로 돌설된 활모양인 돌조(8)의 전방 바깥쪽에 위치하여, 안전판 누름덮개(4)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안전판의 부착구조에 있어서 안전판의 붙이거나 떼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헬멧본체(1)에 고착한 좌우의 기판(2)에 안전판 누름덮개(4)를 걸어두는 오목한 곳(9)과 걸어맞추는 돌출부(21) 및 걸림구멍(14)과 잠금편(22)의 끼워맞춤에 의한 상하 2개소에서 고정시켜, 헬멧본체(1)의 외표면과 안전판 누름덮개(4)의 앞쪽 가장자리 등에서 개구(28)를 구획형성한다. 그리고 상기한 개구부(28)에서 안전판(3)의 부착부(3')를 꽂아넘어가면, 그 부착부(3')는 안전판 누름덮개(4)의 내측면에 돌설된 안내돌기(27)에 의하여 활모양인 돌조(8)의 안쪽으로 안내된다. 이 동작은, 부착부(3')의 상부, 즉 부착구멍(16)의 구멍가장자리부가 지지축(6)의 바깥둘레면에 맞붙이게 되므로 부착부(3')는 안내돌기(27)와 맞닿는 방향으로 유도된다.(제 4 도 참조)
더욱더, 안전판(3)의 부착부(3')를 꽂아넣어가면, 부착구멍(16)의 구멍가장자리부는 지지축(6)위에, 원호형상 안내구멍(17)은 탄성계합편(7)위로 올라앉아서, 부착부(3')의 꽂아넣는데 따라 안전판 누름덮개(4)는 그 덮개(4)의 내측면에 돌설되어 있는 돌기(26), (26')의 작업도 도와 Z방향으로 밀어올려져서, 부착부(3')는 깊숙한 곳으로 침입한다.(제 5 도 참조)
그리고, 부착부(3')가 기판(2)과 안전판 누름덮개(4)와의 사이를 깊숙하게 침입하고, 부착구멍(16)이 지지축(6)으로, 원호형상 안내구멍(17)의 뒷쪽부분이 탄성계합편(7)으로, 정지부(18)가 활모양인 돌조(8)의 앞쪽시단부에 위치했을 때, 안전판 누름덮개(4)의 탄발력으로 기판(2)에 감합세트되며, "찰칵"하는 작동완료를 나타내는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제 6 도 참조)
이상의 조작에 의해 안전판(3)의 부착부(3')의 부착이 완료되고, 안전판(3)은 지지축(6)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고, 헬멧본체(1)의 창구멍(15)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안전판의 상하운동에서는 지지축(6)과 부착구멍(16), 탄성계합편(7)과 원호형상 안내구멍(17) 및 정지부(18)와 활모양인 돌조(8)와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안전판(3)의 부착부(3')가 기판(2)에서 떨어지는 일은 없다. (제 7 도 참조)
다음에, 헬멧본체(1)에 부착된 안전판(3)을 떼어내는 경우는, 우선 안전판을 개동의 상한위치까지 회동한다. (제 8 도 참조)
그런다음, 안전판(3)의 부착부(3')를 기판(2) 바깥표면에서 멀어지는 방향(Z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안전판(3)이 상한 위치를 넘어가는 방향으로 동작시켜서 정지부(18)를 활모양인 돌조(8)에서 떼어낸다. (제 9 도 참조)
정지부(18)가 활모양인 돌조(8)에서 떨어져나가면, 안전판(3)을 화살표 방향으로 뽑아내면 부착구멍(16)의 구멍가장자리는 지지축(6)에서 떨어져서 윗면에 올라앉아, 원호형상 안내구멍(17)의 뒷쪽구멍 가장자리는 안내돌조(10)의 경사면(11)에 안내되어서 탄성계합편(7)의 윗면에 올라앉는다. (제10도 참조)
이상과 같은 상태로 된후, 안전판(3)을 개구(28)쪽으로 뽑아내면 부착부(3')는 기판(2)과 안전판 누름덮개(4)와의 사이에서 완전히 뽑아지게 된다. (제11도 참조)
제13도 내지 제21도는 안전판의 부착부에 있어서의 부착구멍이 완전히 폐쇄된 구멍이고, 또한 안전판 누름덮개의 상측의 고정위치가 지지축에서 떨어진 위치로 한 다른 실시예이다.
즉, 안전판(29)의 부착부(29')에 있어서의 부착구멍(30)은 원형의 구멍으로 하고, 주위에 잘려짐은 전혀 없으며, 원호형상 안내공(31) 및 정지부(32)는 앞에서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 구성으로 한다.
한편, 헬멧본체(1)에 고정되는 기판(33)에는 지지축(34)과 탄성계합편(35)이 앞에서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설치되며, 그 외측에 윗쪽과 앞쪽을 제외하고 돌조(36)가 설치되어 있고, 그 돌조(36)에 있어서의 하측은 앞에서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도중에 정지부(32)가 맞붙이는 단차부(3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돌조(36)의 상부측면에는 걸어두는 오목한 곳(38)이 형성되고, 후술하는 안전판 누름덮개(41)의 걸어맞추는 돌출부(42)가 끼워 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안전판 누름덮개의 하부를 고정하는 장치는 앞에서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판(33)의 하부에 설치한 말굽형상부(39)에 절결한 걸림구멍(40)과, 안전판 누름덮개(41)에 부착한 잠금편(43)의 걸어맞춤에 의해 행하여진다.
더욱더, 안전판 누름덮개(41)의 상부 내측면에는 전술한 돌조(36)의 상측측단과 합치시켜서 안내돌기(44)가 돌설되고, 안전판(29)의 부착부(29')를 꽂아넣을 때의 안내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기판(33)상의 돌조(36)의 양측단사이가 안전판 누름덮개(41)로 형성되는 개구(45)로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안전판(29) 부착부(29')를 세트할 때는, 개구(45)에서 안전판 누름덮개(41)의 내측으로 부착부(29')를 삽입하고, 또한 그 안전판 누름덮개(41)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내돌기(44)에 따라 삽입한다. (제13도 및 제14도 참조) 그리고, 더욱 삽입을 계속하면, 부착부(29')는 기판(33)의 위의 지지축(34), 탄성계합편(35)의 윗면에 올라앉아, 안전판 누름덮개(41)의 내측면에 돌설된 돌기를 개재하여 그 덮개의 중앙부분을 Z방향으로 밀어올려서 부착부(29')는 깊숙하게 침입해간다. (제15도 참조)
그리고, 부착구멍(30)이 지지축(34)으로, 원호형상 안내구멍(31)의 뒷쪽부분이 탄성계합편(35)으로, 정지부(32)가 돌조(36)의 하측 시단부에 위치했을 때, 안전판 누름덮개(41)의 탄발력으로 각각 끼워맞춤이 완료되어, "찰칵"하는 부착완료를 나타내는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제16도 참조)
이상의 조작에 의하여, 안전판(29)의 부착부(29')의 부착이 완료되고, 안전판(29)은 지지축(34)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며, 헬멧본체(1)의 창구멍(15)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안전판의 상하운동에서는 지지축(34)과 부착구멍(30), 탄성계합편(35)과 원호형상 안내구멍(31) 및 정지부(32)와 돌주(36)와의 걸이맞춤에 의하여 안전판(29)의 부착부(29')가 기판(33)에서 떨어지는 일은 없다. (제17도 참조)
또, 부착완료된 안전판(29)을 벗겨낼 때는 앞에서 표시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전판(29)을 상한위치까지 회동한후, 부착부(29')를 기판(33)의 바깥표면에서 떨어지는 방향(Z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안전판(29)을 상한위치를 넘어가는 방향으로 동작시키고, 또한 개구(45)에서 뽑아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서 부착부(29')는 기판(33)에서 벗겨져서 완전히 뽑아지게 된다. (제18도 내지 제21도 참조)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축(34)의 윗쪽둘레 가장자리와 아래쪽둘레 가장자리에 경사면(46), (46')을 형성하고, 안전판(29)의 부착부(29')의 꽂아넣기 및 뽑는 동작이 순조롭게 실시하도록 되어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안전판의 부착 및 떼어내기는 안전판 누름덮개를 헬멧본체에 고착된 기판에 걸림된 상태에서 실시할 수 있고, 그 조작은 대단히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안전판 부착구조는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것이므로, 안전판 누름덮개를 헬멧본체 또는 헬멧본체에 고정된 기판으로 고착된 대로의 상태에서 안전판의 부착부의 부착 및 떼어냄을 실시할 수 있다.
게다가, 부착완료된 안전판을 떼어낼 때에는 그 안전판에 보통의 사용상태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동작을 개구 상한위치에서 가해서 초기에 떼어내게함으로, 사용상태에서 안전판이 떨어진다는 우려는 전혀없다.
또, 안전판의 부착(세트)은, 부착부를 기판과 안전판 누름덮개 사이에 개구에서 꽂아넣는 것만으로 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에 풍부하고 대단히 편리하다. 더욱더, 안전판 누름덮개를 붙이거나 땔 필요가 없으므로, 고정나사의 분실이나, 요철의 걸림부재의 절손을 초래할 우려도 없고, 대단히 유익하다.

Claims (1)

  1. 헬멧본체(1)의 좌우측면에, 안전판(3), (29)에 회동중심이 되는 지지축(6)을 구비한 기판(2), (33)이 설치되고, 그 지지축(6), (34)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의하여 개폐하는 안전판(3), (29)을, 지지축(6), (34)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설치한 탄성을 보유하는 안전판(3), (29)를, 지지축(6), (34)의 축방향 바깥쪽으로 설치한 탄성을 보유하는 안전판 누름덮개(4), (41)로 탈락방지를 꾀하는 안전판 부착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안전판에 통상의 안전판 개폐동작과는 다른 동작에 의한 특정의 힘을 가했을 때, 헬멧본체의 외표면으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의 힘이 그 안전판에 발생하도록, 상기한 기판상에 돌출배치한 지지축의 해당부위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또한 안전판 누름덮개(4)(41)는 그 상하부를 기판(2), (33) 또는 헬멧본체(1) 고정시켜 안전판(3), (29)에 상술한 바와 같이 힘이 작용했을 때, 그 안전판 누름덮개(4), (41)의 중앙부분이 바깥쪽으로 넓혀지게 되어, 지지축(6), (34) 정점과의 사이에 안전판(3), (29)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자재하게함과 아울러, 헬멧본체 바깥표면과 안전판 누름덮개(4), (41)의 전방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안전판의 좌우양측으로 형성된 부착부(3'), (29')를 꽂고 빼낼 수 있는 개구(28), (45)를 설치하고, 한편 안전판(3), (29)의 부착부(3'), (29)에는 지지축에 대하여 끼우거나 뽑아내는 부착구멍(16), (30) 및 정지기구에 대하여 걸거나 벗기는 정지부(18), (32)를 설치하고, 그 정지부(18), (32)가 개구 상한위치에 맞붙인 단계에서 상기한 안전판(3), (29)에 보통의 사용상태에서는 발생할 수 없는 동작을 가함에 의하여 안전판 누름덮개(4), (41)를 바깥쪽으로 넓혀, 지지축(6), (34) 정점과 안전판 누름덮개(4), (41) 내면과의 사이에 안전판(3), (29)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형성하고, 그 간극을 통하여 안전판의 부착부(3'), (29')를 기판(2), (33)에 대하여 착탈자재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부착구조.
KR1019910009770A 1990-06-14 1991-06-13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KR940007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56061 1990-06-14
JP2-156061 1990-06-14
JP2156061A JPH0689483B2 (ja) 1990-06-14 1990-06-14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264A KR920000264A (ko) 1992-01-29
KR940007999B1 true KR940007999B1 (ko) 1994-08-31

Family

ID=1561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770A KR940007999B1 (ko) 1990-06-14 1991-06-13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82816A (ko)
EP (1) EP0461533B1 (ko)
JP (1) JPH0689483B2 (ko)
KR (1) KR940007999B1 (ko)
DE (1) DE6910768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2004A (ja) * 1992-03-23 1993-10-19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取付構造
IT1271848B (it) * 1994-02-03 1997-06-09 Franco Malenotti Casco per motociclisti, con sistema perfezionato a incastro della visiera, sistema di bloccaggio di sicurezza della visiera, sistema perfezionato di ventilazione interna, e protezione interna estraibile e lavabile
GB9509041D0 (en) * 1995-05-04 1995-06-28 Barry Nicola Crash helmet with detachable visor
USD417756S (en) * 1997-12-03 1999-12-14 Med-Eng Systems Inc. Helmet visor
CA2241747C (en) * 1998-08-14 2007-01-23 Med-Eng Systems Inc. Neck and head protection system
US6301721B1 (en) * 1999-03-12 2001-10-16 Michio Arai Shield fixing structure in helmet
KR100554305B1 (ko) * 1999-03-16 2006-02-24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부착구조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JP4215797B2 (ja) * 2006-12-14 2009-01-28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ロック機構
JP4795225B2 (ja) * 2006-12-28 2011-10-19 東光株式会社 誘電体導波管スロットアンテナ
US8161576B2 (en) * 2007-02-01 2012-04-24 Sellstrom Manufacturing Company Protective headgear assembly
US7895678B2 (en) * 2007-08-06 2011-03-01 Bell Sports, Inc. Helmet with improved shield mount and precision shield control
US20090044316A1 (en) * 2007-08-14 2009-02-19 Wilson Sporting Goods Co. Sports helmet with removable facemask
ES2359620T3 (es) * 2007-09-18 2011-05-25 Opticos S.R.L. Casco de seguridad con visor interior suplementario.
JP5534663B2 (ja) * 2008-10-14 2014-07-02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この開閉装置を備えたヘルメット
US9125447B2 (en) 2010-09-20 2015-09-08 Revision Military S.A.R.L. Helmet attachment mechanism for visor
CN103120435B (zh) * 2011-11-18 2015-12-02 上海和汇安全用品有限公司 全盔半盔可转换的防护头盔
ITVR20120023A1 (it) * 2012-02-20 2013-08-21 Agv Spa Assieme comprendente uno schermo di protezione per un casco.
US10154704B1 (en) * 2015-04-17 2018-12-18 Desmark Industries, Inc. Helmet slide assembly
ES2716000B2 (es) * 2017-12-01 2020-06-08 Tomas Manuf Casco protector para motoristas con visera de protección solar
JP7168480B2 (ja) * 2019-02-08 2022-11-09 株式会社Shoei バイザーのロック機構及びヘルメット
CN211323217U (zh) * 2019-12-25 2020-08-25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摩托车头盔镜片安装结构
US10973267B1 (en) * 2020-04-16 2021-04-13 Reciprotect Llc Personal protective and monito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38005A1 (fr) * 1976-01-19 1977-08-12 Karsenti Christian Ensemble visiere-monture pour casque de motocycliste
BE1000476A6 (fr) * 1987-04-17 1988-12-20 Menten Jean Francois Casque de protection a ecran integre mobile.
JPH0660444B2 (ja) * 1987-06-09 1994-08-10 理夫 新井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JPS63309612A (ja) * 1987-06-09 1988-12-16 新井 理夫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ルドの取付構造
JPH0165822U (ko) * 1987-10-20 1989-04-27
JPH0643642B2 (ja) * 1990-05-23 1994-06-08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7689T2 (de) 1995-08-24
EP0461533A1 (en) 1991-12-18
KR920000264A (ko) 1992-01-29
EP0461533B1 (en) 1995-03-01
US5182816A (en) 1993-02-02
JPH0450307A (ja) 1992-02-19
JPH0689483B2 (ja) 1994-11-09
DE69107689D1 (de) 199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999B1 (ko)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KR920004855B1 (ko) 헬멧에 있어서의 방풍체의 부착구조
KR920004856B1 (ko) 헬멧에 있어서의 방풍체의 부착구조
SU1687034A3 (ru) Мебельна петл
JP2004100140A (ja) ヘルメットのキャップにバイザ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US5177817A (en) Shield mounting structure in helmet
US4920585A (en) Shield mounting assembly for a safety helmet
KR100733859B1 (ko)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 부착구조
KR930000361B1 (ko) 헬멧의 보호판 부착구조
JP2610794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JP2702397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装置
JPH1077520A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3385610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2810657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装置
JPH0461084B2 (ko)
JPH04185704A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3811163B2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構造
JP2591917B2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におけるマウスシャッタ装置の取付構造
JP2793170B2 (ja) ヘルメット用シールドの構造
KR100523464B1 (ko) 기구판의 로크 구조
JPH05295608A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699846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JPH04119106A (ja) ヘルメツト
JPH07283551A (ja) 電子機器の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