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464B1 - 기구판의 로크 구조 - Google Patents
기구판의 로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23464B1 KR100523464B1 KR1019980022247A KR19980022247A KR100523464B1 KR 100523464 B1 KR100523464 B1 KR 100523464B1 KR 1019980022247 A KR1019980022247 A KR 1019980022247A KR 19980022247 A KR19980022247 A KR 19980022247A KR 100523464 B1 KR100523464 B1 KR 1005234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 opening
- locking means
- front frame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2—Pachink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틀의 뒷쪽에 장착되는 기구판을 상기 앞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구판의 로크 구조는, 앞틀의 뒷쪽에 장착되는 기구판을 상기 앞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구조로서, 기구판에 설치한 로크 받침편과, 앞틀 측에 축착(軸着)되어, 상기 로크 받침편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할 수 있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크 받침편은, 언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형상에 여유 공간을 첨가한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다. 한편, 로크수단은, 회전 조작용의 손잡이부와, 로크 받침편에 결합되어 클램프하는 로크편과,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회전 몸통부로 구성되고, 게다가, 그 회전 몸통부에, 로크수단이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압접(壓接)하여 로크하는 형상의 캠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앞틀의 뒷쪽에 장착되는 기구판을 상기 앞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lock)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친코기(P)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틀을 짠 목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외틀(1)과, 그 외틀(1)의 앞면에 개폐가능하게 나사로 부착한 앞틀(2)과, 앞틀(2)의 뒷쪽에 장착한 기구판(3)으로 대략 구성된다. 상기 기구판(3)은, 구슬탱크(4), 경품구(景品球) 배출장치(5), 입상구 처리장치(6) 등의 부품을 세트화한 것이고, 4개의 로크부재(7, 7…)에 의해 앞틀(2)과 일체인 부착틀(2a)에 고정된다. 또한, 기구판(3)은, 상기 부착틀(2a)(앞틀(2))에 대하여, 도 10의 우측 변에 부착한 힌지 금속부착물(8)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 상기 로크부재(7, 7…)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힌지 금속부착물(8)을 중심으로 하여 도어 형태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기구판(3)의 개폐는, 입상 경로의 도중에서 막힌 파친코 구슬을 제거하거나, 또는 유기판을 교체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실행된다.
기구판(3)은, 자체의 중량에 구슬탱크(4)에 있는 파친코 구슬의 중량이 추가되어 상당히 무겁다. 게다가, 무거운 구슬탱크(4)가 상기 힌지 금속부착물(8)과 반대인 자유단 측에 있기 때문에, 로크부재(7, 7…)를 해제하여 기구판(3)을 열면 자연히 자유단 측이 내려간다. 이와 같이 자유단 측이 내려간 이를테면 경사진 상태에서 기구판(3)을 닫을 경우, 로크부재(7, 7…)의 위치가 잘못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로크부재(7, 7…)가 부착틀(2a)에 돌출설치한 후크 금속부착물(도시 생략)에 결합되는 타입일 경우, 그 후크 금속부착물이 로크부재(7, 7…)로부터 벗어난 곳에 닿아서 기구판(3)을 파손시킬 위험성이 있다. 또한, 그와 같은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기구판(3)의 자유단 측을 손으로 떠받쳐서 내려간 로크부재(7, 7…)의 위치를 보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구판(3)을 개폐하는 작업의 능률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고, 앞틀의 뒷쪽에 장착되는 기구판을 상기 앞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구조로서, 기구판에 설치한 로크 받침편과, 앞틀 측에 축착(軸着)되어, 상기 로크 받침편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할 수 있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크 받침편은, 언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형상에 여유 공간을 첨가한 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한편, 로크수단은, 회전 조작용의 손잡이부와, 로크 받침편에 결합되어 클램프(clamp)하는 로크편과,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회전 몸통부로 구성되며, 그 회전 몸통부에, 로크수단이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압접(壓接)하는 형상의 캠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기구판의 로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크 구조는, 언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과 로크 받침편의 개구부 사이에 여유 공간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열린 기구판의 자유단 측이 내려가 있어도 그것이 여유 공간의 범위 내일 경우, 그대로 무조작으로 기구판을 닫아도 로크수단이 안전하게 개구부로 들어간다. 그리고, 기구판을 닫고 나서 로크수단을 로크 위치로 회동시킬 경우, 회전 몸통부의 캠 수단이 로크 받침편의 개구부 내주면에 압접하여 로크수단을 로크 위치에 정지시키고, 동시에 회전 몸통부의 윤곽으로 안내되어 내려간 기구판이 정상적인 위치(높이)로 되돌아간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로크수단이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 도 3은 로크수단이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4는 로크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부착틀, 유기판, 기구판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대하여, 상기 도 10과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품에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구판(3)에는 도 10의 로크부재(7, 7…)와 동일한 장소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로크 받침편(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로크 받침편(9)에는 변형육각형의 구멍 형태인 개구부(9a)와, 후술하는 로크수단(10)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톱퍼(9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9a)는 뒷쪽을 리브(rib)(9c)로 둘러싸는 것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한편, 앞틀(2) 측의 부착틀(2a)에는, 상기 로크 받침편(9)과 짝을 이루는 로크수단(10)이 부착되어 있다. 로크수단(10)은, 로크 받침편(9)의 개구부(9a)와 서로 유사한 형태인 변형육각형으로 여유 공간(S)만큼만 작게 한 판 형상의 로크편(10a)과, 그 로크편(10a)의 바깥쪽으로 돌출설치한 회전 조작용의 손잡이부(10b)와, 로크편(10a)의 뒷쪽에 돌출설치한 회전 몸통부(10c)와, 회전 몸통부(10c)의 중심을 지나서 로크편(10a)을 관통하는 축구멍(10d)으로 구성되고, 그 축구멍(10d)에 중심나사(11)를 통과시키고, 그 중심나사(11)를 부착틀(2a)의 축받이통(2b)에 나사결합하여 앞틀(2)에 회동가능한 상태로 부착된다. 상기 회전 몸통부(10c)는, 로크 받침편(9)의 개구부(9a)에 대향하는 것이고, 개구부(9a)의 상하 내주면에 내접(內接)하는 원호(圓弧) 형상의 캠 수단(10e)을 로크편(10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로크수단(10)과 개구부(9a)의 관계는, 언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10)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로크 받침편(9)의 개구부(9a)가, 상기 로크수단(10)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형상에 여유 공간(S)을 첨가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 된다.
다음으로, 기구판(3)을 개폐하는 조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구판(3)을 로크하기 전의 로크수단(10)은, 도 1과 같이 전체가 가로방향으로 넘어진 자세로 되어 있으며, 이것이 언로크 위치이다. 또한, 로크수단(10)과 앞틀(2)(부착틀(2a)) 사이에, 로크수단(10)을 언로크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동작 멈춤 수단을 설치해 두는 것이 좋다. 그러한 동작 멈춤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틀(2a)의 축받이통(2b)의 외주면에 돌기(2c) 를 돌출설치하여 그곳에 반구(半球) 형상의 오목부(2d)를 형성한다. 한편, 로크수단(10)의 회전 몸통부(10c)에 상기 오목부(2d)에 끼워 맞추는 반구(半球) 형상의 볼록부(10f)를 돌출설치하고, 언로크 위치에서 오목부(2d)와 볼록부(10f)가 맞물리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로크수단(10)이 언로크 위치에서 안정되기 때문에, 기구판(3)의 개폐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로크수단(10)을 로크 위치로 향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킬 경우, 볼록부(10f)가 오목부(2d)로부터 벗어나 동작 멈춤 수단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로크수단(10)이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기구판(3)을 닫을 경우, 로크수단(10)이 로크 받침편(9)의 개구부(9a)를 빠져나간다. 이때 기구판(3)은, 자체의 중량과 구슬탱크(4)의 파친코 구슬의 중량에 의해 자유단 측이 내려가서, 개구부(9a)가 정규 위치보다 낮아지게 되나, 언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10)과 개구부(9a) 사이에 여유 공간(S)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무조작으로 기구판(3)을 닫아도 로크수단(10)이 개구부(9a)의 엣지에 닿지 않는다.
다음으로, 로크수단(10)의 손잡이부(10b)를 잡고, 도 3과 같이 로크편(10a)의 측면이 로크 받침편(9)의 스톱퍼(9b)에 닿을 때까지 돌린다. 그리하면, 회전 몸통부(10c)의 캠 수단(10e)이 개구부(9a)의 상하 내주면에 압접하고, 마찰저항의 작용에 의해 로크수단(10)이 헐거워지지 않는다. 그리고, 캠 수단(10e)이 개구부(9a)에 압접하는 단계에서 회전 몸통부(10c)의 윤곽으로 안내되어 기구판(3)이 상승하고, 정상적인 세트 위치(높이)로 되돌아간다. 또한, 로크수단(10)이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크편(10a)이 로크 받침편(9)의 위에 결합되어 클램프하기 때문에, 기구판(3)이 닫힌 상태에서 확실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기구판(3)을 열 경우는, 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10)을 회동시켜 도 1의 언로크 위치로 넘어뜨리고, 그대로 앞으로 잡아당기면 된다. 그리하면, 로크수단(10)이 로크 받침편(9)의 개구부(9a)를 통과한다. 또한, 유기판(12)에는 도 5와 같이 로크수단(10)이 빠져나가는 가로방향의 U자형 노치부(notch部)(12a)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수단(10)을 언로크 위치로 한 상태에서 부착틀(2a)로부터 떼어내거나 부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물론,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받침편(9)의 개구부(9a)를 완전한 구멍 형태로 했으나, 도 6(a) 및 도 6(b)와 같이 개구부(9a)의 형태를 가로 U자형의 노치(notch)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개구부(9a)의 호상(弧狀) 부분(R)의 직경에 대하여 회전 몸통부(10c)의 캠 수단(10e)의 직경을 약간 크게 설정해 둘 경우, 로크수단(10)을 로크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캠 수단(10e)이 개구부(9a)의 내주면에 강하게 압접한다. 또한, 회전 몸통부(10c)의 캠 수단(10e)의 직경은, 개구부(9a)의 상기 직경과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도 기구판(3)의 중량에 의해 개구부(9a)의 내주면과 캠 수단(10e)이 압접하고, 헐거워짐 방지에 필요한 마찰저항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개구부(9a)를 가로 U자형으로 한 구성에 있어서, 도 6(a)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부분(T)의 폭을 호상 부분(R)의 직경보다 좁게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개구부(9a)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U자형의 2분의 1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기구판(3)의 중량에 의해 개구부(9a)의 내주면과 캠 수단(10e)이 압접하고, 헐거워짐 방지에 필요한 마찰저항이 얻어진다. 그리고, 부착틀(2a)에 고정편(2e)을 돌출설치하고, 로크 위치로 회동시킨 캠 수단(10e)과 고정편(2e)에 의해 로크 받침편(9)을 끼우도록 할 경우, 캠 수단(10e)에 더욱 강력한 마찰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크수단(10)과 개구부(9a)의 여유 공간(S)을 개구부(9a)와 동일한 면 내에 형성했으나,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와 같이 여유 공간(S)을 개구부(9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8 및 도 9의 로크수단(10)의 회전 몸통부(10c)는, 개구부(9a)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원형의 캠 수단(10e)을 배치하고, 그 캠 수단(10e)의 전방(前方)에 원추대 형상의 유도 테이퍼부(10g)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캠 수단(10e)의 직경에 대하여 개구부(9a)의 호상 부분(R)을 동일한 직경 또는 그보다 약간 작은 직경으로 설정한다. 이 경우의 여유 공간(S)은, 유도 테이퍼부(10g)의 정점부와 바닥부의 직경 차이이고, 기구판(3)을 닫을 때에 개구부(9a)와 로크수단(10)의 위치가 잘못되었다 해도, 개구부(9a)가 유도 테이퍼부(10g)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캠 수단(10e)에 들어맞는다. 캠 수단(10e)의 직경이 개구부(9a)의 호상 부분(R)의 직경보다 클 경우는, 로크 받침편(9)을 강하게 밀어 넣어서 개구부(9a)를 캠 수단(10e)에 끼워 넣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로크수단(10)을 부착틀(2a)에 부착하기 위해서 금속제 중심나사(11)를 사용했으나, 예를 들어, 로크수단(10)으로부터 합성수지제 축을 일체로 돌출설치하고, 그것을 축받이통(2b)에 끼워 맞추거나, 또는 부착틀(2a)로부터 합성수지제 축을 일체로 돌출설치하고, 그것을 로크수단(10)에 끼워 맞추도록 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부품 수의 감소와, 구성 부품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통일하는 것에 의한 리사이클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언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과 로크 받침편의 개구부에 여유 공간을 마련하도록 했기 때문에, 열린 기구판의 자유단 측이 내려가 있어도, 그 변위가 여유 공간의 범위 내일 경우, 로크수단과 로크 받침편을 안전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기구판을 닫고 나서 로크수단을 로크 위치로 회동시킬 경우, 회전 몸통부의 캠 수단이 로크 받침편의 개구부의 내주면에 압접하여 로크수단을 로크 위치에 확실하게 정지시키기 때문에, 로크수단이 자연히 헐거워져서 기구판의 고정이 불충분해진다는 등의 우려가 없다. 게다가, 로크수단을 로크 위치로 회동시킬 경우, 회전 몸통부의 윤곽으로 안내되어 내려간 기구판이 세트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기구판의 개폐 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로크 수단이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X-X선 단면도.
도 3은 로크 수단이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4는 로크 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부착틀, 유기판, 기구판의 분해사시도.
도 6의 (a)는 로크 수단이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b)는 로크 수단이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7의 (a)는 로크 수단이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b)는 로크 수단이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8은 로크 수단이 언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정면도.
도 9는 로크 수단의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파친코기를 나타내는 이면도(裏面圖).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앞틀 3: 기구판
9: 로크 받침편 9a: 개구부
10: 로크수단 10a: 로크편
10b: 손잡이부 10c: 회전 몸통부
10e: 캠 수단
Claims (1)
- 앞틀의 뒷쪽에 장착되는 기구판을 상기 앞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로크 구조로서,기구판에 설치한 로크 받침편과,앞틀 측에 축착(軸着)되어, 상기 로크 받침편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언로크 위치로 회동할 수 있는 로크수단으로 구성되고,상기 로크 받침편은, 언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수단을 통과시키는데 필요한 기본 형상에 여유 공간을 첨가한 형상의 개구부를 갖고,한편, 로크수단은, 회전 조작용의 손잡이부와, 로크 받침편에 결합되어 클램프하는 로크편과,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회전 몸통부로 구성되고, 게다가, 그 회전 몸통부에, 로크수단이 로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 압접(壓接)하는 형상의 캠 수단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판의 로크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22247A KR100523464B1 (ko) | 1998-06-15 | 1998-06-15 | 기구판의 로크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22247A KR100523464B1 (ko) | 1998-06-15 | 1998-06-15 | 기구판의 로크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812A KR20000001812A (ko) | 2000-01-15 |
KR100523464B1 true KR100523464B1 (ko) | 2006-05-25 |
Family
ID=1953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22247A KR100523464B1 (ko) | 1998-06-15 | 1998-06-15 | 기구판의 로크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2346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115A (ja) * | 1992-07-06 | 1994-02-01 | Adachi Raito Kogyosho Kk | パチンコ機の機構板 |
JPH09276507A (ja) * | 1996-04-11 | 1997-10-28 | Sansei:Kk | パチンコ機 |
JPH1099506A (ja) * | 1996-09-26 | 1998-04-21 | Mashiro Denshi:Kk | パチンコ機 |
JPH11253633A (ja) * | 1998-03-09 | 1999-09-21 | Sanyo Bussan Kk | 機構板のロック構造 |
-
1998
- 1998-06-15 KR KR1019980022247A patent/KR1005234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3115A (ja) * | 1992-07-06 | 1994-02-01 | Adachi Raito Kogyosho Kk | パチンコ機の機構板 |
JPH09276507A (ja) * | 1996-04-11 | 1997-10-28 | Sansei:Kk | パチンコ機 |
JPH1099506A (ja) * | 1996-09-26 | 1998-04-21 | Mashiro Denshi:Kk | パチンコ機 |
JPH11253633A (ja) * | 1998-03-09 | 1999-09-21 | Sanyo Bussan Kk | 機構板のロック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1812A (ko) | 2000-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42941A (en) | Padlock | |
US4441344A (en) | Attachment means provided with a lock | |
KR940007999B1 (ko) | 헬멧에 있어서의 안전판의 부착구조 | |
US4813250A (en) | Lock device with concealed mounting screws | |
JPH03100283A (ja) | 自動販売機用錠前 | |
US3930391A (en) | Lock cylinder cover with key engagement release | |
US20220268544A1 (en) | Safety device arrangement for firearm with magazine well | |
KR960005336B1 (ko) |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 |
KR100523464B1 (ko) | 기구판의 로크 구조 | |
EP0241245B2 (en) | A handle | |
US6732555B1 (en) | Lock for a meter box lid | |
US6709030B2 (en) | Water-resistant slam-latch | |
JP3911831B2 (ja) | 機構板のロック構造 | |
JP2727305B2 (ja) | スナッチロック装置 | |
JP4336201B2 (ja) | サーフボードロック | |
KR0159836B1 (ko) | 경화회수기 | |
GB2167116A (en) | Latch operating device | |
EP0499740A2 (en) | A locking device | |
JPH08232528A (ja) | スライド扉用ラッチ装置 | |
JP7199983B2 (ja) | ワンタッチ取付ハンドル | |
JP2807180B2 (ja) | パチンコ機の前枠ヒンジ構造 | |
KR0130500Y1 (ko) | 슬라이드 문짝용 래치장치 | |
JP2524649Y2 (ja) | 押し回し式ガスコック | |
GB2258003A (en) | Locking handle | |
JP3037579U (ja) |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