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768B1 - 스퍼구알린(Spergualin)관련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퍼구알린(Spergualin)관련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768B1
KR940006768B1 KR1019870003206A KR870003206A KR940006768B1 KR 940006768 B1 KR940006768 B1 KR 940006768B1 KR 1019870003206 A KR1019870003206 A KR 1019870003206A KR 870003206 A KR870003206 A KR 870003206A KR 940006768 B1 KR940006768 B1 KR 94000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rotected
compound
formula
butano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989A (ko
Inventor
하마오 우메자와
도미오 다께우찌
데쓰시 사이노
마사오 요시다
가쓰도시 다까하시
데루야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자이단호오진 비세이부쓰 가가꾸 겡뀨우가이
이찌가와 도꾸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단호오진 비세이부쓰 가가꾸 겡뀨우가이, 이찌가와 도꾸지 filed Critical 자이단호오진 비세이부쓰 가가꾸 겡뀨우가이
Publication of KR87000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9/00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9/04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 C07C279/14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9/00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9/18Derivatives of guanidine, i.e. compounds containing the group, the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guanidin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퍼구알린(Spergualin)관련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퍼구알린은 본원 발명자들 중의 한 사람인 우메자와 등이 발견한 항생 물질이다(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4,416,899호). 스퍼구알린이 발견된 이래 수많은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이 우메자와 등에 의해 합성되었다(참조 : 미합중국 특허 제4,529,549호 및 동 제4,556,735호 등).
본 발명자들은 꾸준한 연구를 계속하여 새로운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1
위의 일반식에서, X는 -(CH2)3-5-또는
Figure kpo00002
; R은 -H 또는 -CH2OH ; R1은 -H,
Figure kpo00003
또는
Figure kpo00004
; R2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카르복실 그룹으로 부터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를 나타내는데, R1이 수소이외의 그룹일 경우에 R2는 R1과 같다.
본 발명의 이들 화합물 또는 그 염은 저독성의 면역 조절 작용을 보유하는 의약으로서 기대되는 것이다.
종래의 면역 조절제는 통상 큰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부작용과 독성이 경감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의 개발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성이 경감된 면역 조절제(면역 억제제 또는 면역 자극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면역억제제는, 예컨대 기관이식을 할 때 요구되는 면역 억제에 효과적이며, 또한 자기면역질환의 치료제로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한편, 면역 자극제는 면역성 약화로 일어나는 질병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식(I)의 R2로서, 수소원자와 하기 아미노산이나 펩타이드로부터 카르복실 그룹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하여 수득되는 잔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들 아미노산 잔기의 입체화학적 입체배치는 글리신, β-알라닌 및 γ-아미노부티르산을 제외하고는 L형, D형 또는 DL형이다.
(1) 아미노산
알라닌, 아르기닌, 오르니틴,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진, 시스테인, 시스틴, 글루탐산, 글루타민, 피로글루탐산, 글리신, 히스티딘, 리신,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 이소류우신, 류우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페닐치환 페닐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호모세린, 티로신, 발린, 페닐글리신, p-하이드록시페닐글리신, 4-하이드록시메틸-3-하이드록시페닐글리신, β-알라닌, γ-아미노부티르산, 3-아미노-2-하이드록시 -4-페닐부티르산.
(2) 펩타이드
펩타이드로는 위에 나온 2개 내지 3개의 동일 또는 상이한 상기 아미노산이 축합한 디-또는 트립펩타이드가 적합하다. 이들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알라닐알라닌, 류우실류우신, 발릴발린, 페닐알라닐페닐알라닌, 티로실 티로신, 페닐글리실페닐글리신, 글리실글리신, 이소류우실류우신, 류우실페닐알라닌, 페닐알라닐류우신, 류우실페닐글리신, 페닐글리실류우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페닐글리실페닐글리실페닐글리신, 페닐알라닐페닐알라닐페닐알라닌, 류우실류우실류우신.
바람직한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는 예컨데 페닐글리신, 페닐알라닌, 류우신, 아스파르트산, 트립토판 및 알라닌이며, 또 이들 아미노산 2개 내지 3개가 축합하여 형성된 펩타이드이다.
R2를 대표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하기 일반식의 그룹
Figure kpo00005
위 식에서, n은 0 또는 1이고 ; X1은 -H 또는 -OH이며 ; X2는 -H 또는 -CH2OH이다.
(2) 하기 일반식의 그룹
Figure kpo00006
위 식에서, m은 0 또는 1 내지 4의 정수이고 ; X3은 -H, -COOH, -OH, -NH2또는 -CONH2이고 ; X4는 -H 또는 -NH2이며, X3과 X4중 적어도 하나는 -NH2이다.
(3) 일반식 H-(A)y-의 그룹
위 식에서, y는 1 또는 2의 정수이고 ; A는
Figure kpo00007
또는
Figure kpo00008
이고 ; y가 2이면 두개의 A는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한다.
(4)식
Figure kpo00009
의 그룹 일반식(I)의 화합물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 염의 대표적인 것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식(I)에서, X가
Figure kpo00010
이고, R이 -CH2OH이고, R1이 -H이거나(L 또는 D)
Figure kpo00011
이고, R2가 (L 또는 D)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인 화합물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 염이다.
일반식(I)의 신규의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은 산과 결합하여 염을 형성한다. 산은 무기산 도는 유기산으로 독성이 없는 것이면 좋다. 무기산으로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이 좋다. 유기산으로는 특히 제한은 없으나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산, 타르타르산, 글루타르산, 시트르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프로판술폰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을 다음 표 1에 예시한다. 본원 명세서 기재에 있어 약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TAD : 트리아자데칸
GP : 구아니디노페닐
GHep : 구아니디노헵타노일
For : 4 - 히드록시메틸-3-하이드록시페닐글리실
아미노산 잔기
Ala : 알라닐
Leu : 류우실
Phe : 페닐알라닐
Asp : 아스파르틸
Asn : 아스파라지닐
Lys : 리실
PhG : 페닐글리실
Pro : 프롤릴
Tyr : 티로실
Ser : 세릴
β-Ala : β-알라닐
AHPA : 3-아미노-2-하이드록시-4-페닐부티릴
Gly : 글리실
Glu : 글루타밀
γ-ABA : γ-아미노부티릴
보호기
Z :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Boc : t-부틸옥시카르보닐 그룹
pMZ :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Aoc : t-아밀옥시카르보닐 그룹
보호기를 함유하는 아미노산 잔기
Asp(OBzl) : β-벤질아스파르틸
Asp(OBut) : β-t-부틸아스파르틸
Ser(Bzl) : O-벤질세릴
Ser(But) : O-t-부틸세릴
Z-Lys : ε-벤질옥시카르보닐리실
Tyr(But) : O-t-부틸티로실
[표 1]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표 1에 열거한 화합물 중 바람직한 것은, 화합물 1, 2, 4 내지 8, 13 및 14이다. 더 바람직한 것은 화합물 1, 2, 5, 13 및 14이다.
일반식(I)의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II)의 화합물의 보호 그룹을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19
위의 일반식에서, X는 -(CH2)3-5- 또는
Figure kpo00020
; R3은 -H 또는 -CH2-O-Y(Y는 -H 또는 -OH 보호기) ; R4는 -H, 아미노기가 보호된 페닐글리실 그룹 또는 아미노기가 보호된 류우실그룹 ; R5는 보호된 아미노기를 갖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로부터 카르복실 그룹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잔기의 측쇄는 보호될 수 있음)인데, R4가 아미노기를 보호시킨 페닐글리실 그룹 또는 아미노기를 보호시킨 류우실 그룹일 경우, R5는 아미노기가 보호된 페닐글리실 그룹 또는 류우실 그룹이다.
보호기의 제거는 환원, 산분해, 가수분해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보호기의 제거반응은 통상 불활성 용매중에서 -60℃ 내지 용매의 비점 사이의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약 -50℃ 내지 약 100℃에서 실시한다.
불활성 용매로는 물과 친수성 유기용매, 즉 저급 알코올(예 : 메탄올, 에탄올), 케톤(예 :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아미드(예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환형 에테르(예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저급 지방산(예 :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액체 암모니아, 플루오르화 수소산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보호기 제거반응이 끝난 후, 반응 혼합물을 아래와 같은 정제 처리를 거쳐 일반식(I)의 스퍼구알린 관련화합물을 분리한다. 예를들자면, 팔라듐 블랙을 사용하여 촉매 환원 반응시켜 보호기를 제거하는 경우는,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잔류물을
Figure kpo00021
(Na+) 및
Figure kpo00022
LH-20을 사용하는 공지의 정제방법[T.Takeuchi et al., J.Antibiotics, 34, 1619(1981)]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한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사용하여 보호기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상기 정제방법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한다.
상기 정제과정에서 일반식(I)의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은 염산염으로 수득된다. 이 염산염은 하기 방법에 따라 다른 염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염산염을 물에 용해한 용액을 강염기성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목적 화합물 함유 분획물을 모은다. 이 분획물에 소정의 산, 산함유 수용액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예 :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데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중에 용해된 산용액을 가하여 중화시킨 후 중화된 혼합액을 감압하에 증발 건고시키고, 유기용매를 함유할 경우 진공 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동결 건조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염산염을 수산화은이나 산화은 수용액과 혼합하여 염산염 중의 염화수소를 중화시키고 혼합액을 여과하여 불용성 염화은을 제거한 후 여액을 소요의 산과 혼합하여 염을 생성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동결 건조시킨다.
위에서 수득한 염산염 이외의 염은 처리조건에 따라 수화물 형태의 화합물일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일반식(II)의 보호된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있다.
(a) 일반식(II)의 화합물의 제조
[일반식(II)에서, R4는 수소원자이고, R5는 보호된 아미노기를 가진 아미노산으로 부터 카르복실 그룹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잔기의 측쇄는 보호될 수 있음)]
일반식(III)의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을 일반식(IV)의 N-보호된-α- 또는 ω-아미노산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축합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위의 일반식에서, X 및 R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5는 보호된 아미노기를 가진 아미노산으로 부터 카르복실 그룹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잔기의 측쇄는 보호될 수 있음)이다. 상기 일반식(Ⅲ)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다(참조 :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42356/1984호 및 동 제185758/l985호).
(b) 일반식(II)의 화합물의 제조
[일반식(II)에서, R4는 수소원자이고, R5는 보호된 아미노기를 가진 펩타이드로부터 카르복실 그룹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잔기의 측쇄는 보호될 수 있음)]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첫번째의 N-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축합 반응시키고 N-보호기를 제거한 후, 생성 화합물을 두번째의 N-보호된 아미노산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축합 반응시키고 N-보호기를 제거하여, R5가 보호된 아미노기를 가진 펩타이드로부터 카르복실 그룹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인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추가로 세번째의 N-보호된 아미노산과 축합 반응시키고 N-보호기를 제거하면, R5가 N-보호된 트리펩타이드로부터 카르복실 그룹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인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c) 일반식(II)의 화합물의 제조
[일반식(II)에서, R4및 R5는 N-보호된 페닐글리실 그룹 또는 N-보호된 류우실 그룹]
일반식(V)의 화합물을 일반식(VI)의 화합물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축합 반응시켜 일반식(V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25
위의 일반식에서, R4와 R5는 N-보호된 페닐글리실 그룹 또는 N-보호된 류우실 그룹이고, P2는 보호기이다. R3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위의 반응에 이어서 보호기 P2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생성 화합물을 일반식(Ⅷ)의 ω-구아니디노산 유도체 또는 그 반응성 유도체와 축합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26
위의 식에서, X는 앞서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일반식(V)의 화합물은 다음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X)의 N-보호된 스퍼미딘(spermidine) 1몰을, 일반식(IV)의 N-보호된 아미노산 및 1,3-티아졸리딘-2-티온과 축합 반응시켜 수득되는 반응성 유도체 1몰과 축합 반응시키고, 축합 반응 생성물을 일반식(X)의 N-보호된 아미노산과 반응시킨 후 보호기 P1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일반식(V)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P1-NH-(CH2)4-NH-(CH2)3NH2(IX)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8
위의 일반식에서, P1
Figure kpo00029
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Figure kpo00030
는 보호된 아미노기를 가진 아미노산으로부터 -OH를 제거한 잔기(아미노산의 측쇄는 보호될 수 있다)이다.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가 동일한 경우, 일반식(V)의 화합물은 일반식(IX)의 N-보호된 스퍼미딘 1몰과 일반식(IV) 또는 (X)의 보호된 아미노산이나 그 반응성 유도체 2몰 이상을 반응시킨 후 반응 생성물로 부터 보호기P1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IX)의 N-보호된 스퍼미딘은, 일반식(XI)의 화합물을 아크릴로 니트릴과 반응시킨 후 니트릴 그룹을 환원시켜 제조할 수 있다.
P1-NH(CH2)4NH2(XI)
위 식에서, P1은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a),(b) 및 (c)의 축합 반응은 펩타이드 결합형성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한다. 이 방법은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1-에틸-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등을 사용하는 카르보디이미드 방법, 하이드라지드 등을 사용하는 아지드 방법, 에틸 클로로카르보네이트, 이소부틸 클로로카르보네이트 등을 사용하는 혼합 산 무수물 방법, 시아노메틸 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 에스테르, 티오페닐 에스테르, 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하는 활성 에스테르 방법, 아세트옥심, 사이클로헥산옥심 등을 사용하는 o-아실 하이드록실아민 유도체 방법, 카르보닐디이미다졸 등을 사용하는 N-아실 화합물 방법, 1,3-티아졸리딘-2-티온을 사용하는 카르복실산 활성화 방법 등을 포함한다.
축합 반응에 사용되는 용매는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에 통상 사용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로는, 예컨데 에테르(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스테르(에틸 아세테이트 등), 케톤(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염화 메틸렌, 클로로포름 등). 아미드(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니트릴(아세토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아미노기의 보호기는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치환된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예 :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t-부틸옥시카르보닐 그룹, t-아밀옥시카르보닐 그룹, 포르밀 그룹, 트리틸 그룹, o-니트로페닐술포닐 그룹 등이 있다.
아미노산의 측쇄 보호기로는 다음과 같은 기를 들 수 있다. 카르복실 그룹의 보호기는 저급 알킬 그룹, t-부틸 그룹, 벤질 그룹 및 치환된 벤질 그룹 등이고 ; 하이드록실 그룹의 보호기는 t-부틸 그룹, 벤질그룹이고 ; 메르캅토 그룹의 보호기는 벤질 그룹 및 p-메톡시벤질 그룹이고 ; 이미다졸 그룹의 보호기는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벤질 그룹 및 토실 그룹이고 ; 구아니디노 그룹의 보호기는 니트르 그룹, t-부틸옥시카르보닐 그룹이다. 그러나, 아미노산의 측쇄 보호기는 상기한 것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일반식(II)의 화합물을 표 2에 열거하여 예시한다. 아미노산 잔기의 입체 화학적 배치는 L형, D형 또는 LD형이다.
아미노산 잔기
Ala : 알라닐
Leu : 류우실
Phe : 페닐알라닐
Asp : 아스파르틸
Asn : 아스파라지닐
Lys : 리실
PhG : 페닐글리실
Pro : 프롤릴
Tyr : 티로실
Ser : 세릴
β-Ala : β-알라닐
AHPA : 3-아미노-2 -하이드록시-4-페닐부티릴
Gly : 글리실
Clu : 글루타밀
γ-ABA : γ-아미노부티릴
보호기
Z :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Boc : t-부틸옥시카르보닐 그룹
pMZ :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Aoc : t-아밀옥시카르보닐 그룹
보호기를 함유하는 아미노산 잔기
Asp(OBzl) : β-벤질아스파르틸
Asp(OBut) : β-t-부틸아스파르틸
Ser(Bzl) : O-벤질세릴
Ser(But) : O-t-부틸세릴
Z-Lys : ε-벤질옥시카르보닐리실
Tyr(But) : O-t-부틸티로실
[표 2]
일반식(II)의 화합물에 대한 대표적인 예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본 발명의 화합물을 약품으로 사용함에는 필요에 따라 부형제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소정의 제제로 조제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주사제로 조제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을 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중량% 함유시키는것이 좋다. 경구투여는 정제, 캡슐, 산제, 과립제, 액제, 건조시럽 등을 사용한다. 캡슐, 과립제 및 분제는 통상 5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5 내지 100중량%의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투여량은 환자의 년령과 체중, 질환조건, 치료목적 등에 따라 결정하는데, 통상 비경구투여는 l 내지 100mg/kg/일이고, 경구투여는 5 내지 500mg/kg/일이다.
본 발명의 독성 및 생리활성을 다음의 실험에 따라 설명한다.
1.실험방법
(a) 독성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여러 농도로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켰다. 각 농도의 용액을 CDF1-SLC계 암컷 마우스(1군 : 2 내지 3마리)에 체중 10g당 0.lml의 양으로 복강내에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용액의 최고농도는 400mg/10ml/kg이었는데, 이 최고농도의 용액으로부터 시작하여 공비(公比) 2로 하여 저농도의 용액을 수시로 제조하였다. 한마리 이상의 마우스를 치사하게 하는 본 발명의 최저농도 용액의 투여량을 급성독성의 투여량으로 하였다.
(b) 항체 형성 억제 작용
CDF1-SLC켸 암켯 마우스의 실험군과 대조군(각 군 : 5마리)에 양(羊)의 적혈구(SRBC) 1×108/0.2ml를 정맥내 감작(感作)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여러 농도로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키고, 각 농도의 용액을 감작한 다음날 부터 3일간 매일 1회 실험군 하나에 0.lml/10g(체중)/일의 양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생리 식염수 용액을 투여하였다.
감작 후 4일째 되는 날에 마우스를 전부 도살하여 각 마우스의 비장세포내의 항-SRBC 플라크 형성세포(plaque-forming cel1 ; PFC)수를 측정하여, 이 수로 부터 비장세포 106당 PFC수를 계산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는 대조군의 PFC수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PFC수의 억제율(%)로 나타내었다.
억제율(%) =[1-(실험군의 PFC수)/(대조군의 PFC수)]×100
(c) 마우스 백혈병 세포 L1210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연명효과(延命效果) 및 그 독성
마우스 백혈병 세포 L1210을 CDF1-SLC계 암컷 마우스의 실험군과 대조군(각 군 : 4마리)에 한 마리당1×105/0.2ml의 양으로 복강내에 이식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여러 농도로 생리 식염수에 용해시키고, 각 농도의 용액을 이식 다음날 부터 실험군 하나에 계속하여 9일간 매일 1회 체중 10g당 0.1ml[0.1ml/10g(체중)/1일]씩을 투여하였다. 대조군에는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있다.
실힘군과 대조군의 모든 쥐를 L1210을 이식한 다음날 부터 관찰하여 생존일 수를 확인한 다음 실험군의 평균생존일 수 (T)와 대조군의 평균 생존일 수(C)를 계산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연명율을 (T/C)×100으로 나타내었다. (T/C)×100이 125이상일 때 효과적인 것으로 인정된다.
2. 실험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했을 때 급성치사를 일으키케 하는 투여량을 표 3에, 본 발명의 화합물중 대표적인 화합물의 항체 형성 억제 작용을 표 4에, 그리고 본 발명의 대표적 화합물의 항종양 작용을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4 및 5에는 대조 화합물도 포함되어 있다. 이 화합물은 일반식(I)에서 X가
Figure kpo00037
, R이-CH2OH이고, R1및 R2가 모두 -H인 화합물이다.
[표 3]
마우스의 급성치사를 일으키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
Figure kpo00038
[표 4]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체 형성 억제 효과
Figure kpo00039
* -(마이너스)는 항체 형성의 증가를 나타낸다.
[표 5]
마우스 백혈병 L1210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연명효과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위의 실험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급성치사를 일으키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크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높다. 더우기, 본 발명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면역 억제제 및 항종양제 등과 같은 의약으로서 효력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에서 일반식(I)의 R2가 중성 아미노산이거나 또는 중성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팹타이드인 화합물은 독성이 낮은 반면 우수한 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에서, 박층 크로마토그라피(thinlayer chromatography : TLC)의 Rf치는 실리카겔 60F254플레이트(두께 : 0.25㎜ ; Merck사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료를 후술하는 전개용매로 약 8cm정도 전개하고, 출발점으로부터 목적 화합물(본 발명의 화합물)의 반점(spot) 중심까지의 거리로 나눈 값이 Rf이다. 검출은 자외선 흡광법으로 실시하거나, 닌히드린 및 사까구찌(坂口)시약으로 발색하여 시행하였다.
[실시예 1]
10-{N-[4-[4-CP)부타노일]-L-Ser-1-L-PhG-1,5,10-TAD 트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화합물 번호 1]
0.76g(0.98mmol)의 백색결정인 10-{N-[4-(4-GP)부타노일]-L-Ser}-1-(Z-L-PhG)- 1,5,10-TAD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30ml의 메탄올에 녹인 다음, 여기에 0.15g의 팔라듐흑(palladium black)을 가한 후, 이 혼합물을 실온 및 상압에서 5시간 접촉 환원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나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0.7g의 기름물질을 수득하였다(수율은 정량적이다).
위의 기름물질을 6ml의 증류수에 녹이어 105ml의
Figure kpo00043
C-25(Na+)을 충전한 칼럼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처리하였다. 이어서, 증류수 500ml과 1.0M 염화 나트륨 수용액 500ml 사이의 기울기 용출방법(gradient elution method)에 따라 용출하여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물을 모아 이들 분획물을 감압하에 증발 건고시켰다. 잔류물에 메탄올을 가한 후 용액을 여과하여 염화 나트륨을 제거하였다. 생성된 기름물질을 다음과 같이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소량의 잔류 염화 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하여 기름물질을 4ml의 메탄올에 녹이어 70ml의
Figure kpo00044
LH-20이 충전된 칼럼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처리하였다. 메탄올로 용출하고 목적 화합물을 함유한 분획물을 모아 이들 분획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소량의 잔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생성된 기름물질을 4ml의 증류수에 녹이어 70ml의 HP-
Figure kpo00045
(일본국 三菱代成 제품)가 충전된 칼럼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처리하였다. 증류수로 용출하여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물을 모아 이들 분획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생성된 기름물질을 5ml의 증류수에 녹인 후 용액을 여과하여 불용물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0.37g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율 : 55.63%
NMR(D2O, external TMS)
δ=1.6-4.0(m,21H), 4.1-4.5(d,2H,J=5Hz), 4.6-4.9(t,H,J=5Hz), 5.63(s, H), 7.5-8.1(m,4H), 8.05(s,5H)
IR(KBr)
ν(cm-1)=3325, 2950, 1650, 1510, 1250
TLC(클로로포름 : 메탄올 : 17% 암모니아 수용액=6 : 4 : 1 v/v)
Rf=0.15
Figure kpo00046
+15.3(C=1.03, H2O)
실시예 2 내지 24에서, 일반식(I)의 기타 화합물들을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일반식(II)의 기타 화합물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4에서, 일반식(II)의 화합물인 1-아미노산의 아미노 보호기가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이 아니고 t-부틸옥시카르보닐 그룹,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 또는 t-아밀옥시카르보닐 그룹이고, 카르복실 그룹 또는 하이드록실 그룹의 보호기가 t-부틸 그룹인 경우에 보호기를 제거하려면, 접촉 환원방법 대신에 (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또는 일반식(II)의 화합물이 벤질옥시카르보닐 그룹과 t-부틸 그룹을 모두 함유할 때는 (b) 먼저 접촉 환원 반응시킨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한 후,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실시하여 각 목적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24의 결과를 요약하여 표 6에 나타낸다.
[표 6]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9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참고 실시예1]
10-{N-[4-(4-GP)부타노일]-L-Ser}-1-(Boc-L-Leu)-1,5,10-TAD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1) 3-(N-Boc-L-Leu)-1,3-티아졸리딘-2-티온
10g(43.23mmol)의 N-Boc-L류우신을 100ml의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키고 5.15g(43.23mmol)의 티아졸리딘-2-티온을 가한 다음 얼음냉각하에 8.92g(43.23mmol)의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를 추가한다. 혼합물을 얼음냉각하에 6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석출된 N,N'-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를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담황색 결정을 수득한다. 이 결정을 40ml의 메탄올에 현탁시킨 다음 현탁액을 여과하여 목적 화합물 5.38g을 수득한다.
수율 : 41.32%
IR(KBr)
ν(cm-1)=3380, 2930, 1675, 1510, 1335, 1250, 1160, 1040, 845, 755
(2) 10-{N-[4-(4-GP)부타노일]-L-Ser}-1-(Boc-L-Leu)-1,5,10-TAD 디하이드로클로라이
300mg(0.55mmol)의 백색결정인 10-{N-[4-(4-GP)부타노일]-L-Ser}-1,5,10-TAD 트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5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킨 다음, 얼음냉각하에 6l.2mg (0.61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가한다. 혼합물을 얼음냉각시키면서 1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에 위 (1)에서 수득한 201mg(0.61mmol)의 담황색 결정인 3-(N-Boc-L-Leu)-l,3-티아졸리딘-2-티온을 가한다.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한 후, 기름상태의 잔류물을 30ml의 아세톤에 현탁시킨다. 상청액을 경사 분리하여 제거하고 같은 과정을 2회 반복한다. 잔류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390mg의 목적 화합물을 백색 결정으로 수득한다.
수율 : 98.2%
IR(KBr)
ν(cm-1) =3280, 2950, 1640, 1510, 1365, 1250, 1165, 1045
TLC(클로로포름 : 메탄을 : 17% 암모니아 수용액=6 : 4 : 1 v/v)
Rf=0.39
참고 실시예 2 내지 4에서, 실시예 14이외의 실시예 중의 일반식(II)의 화합물들을 각종 보호된 아미노산으로 부터 참고 실시예 1의 방법과 마찬가지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참고 실시예 2]
10-{N-[4-(4-GP)부타노일]-L-Ser}-1-(Boc-L-Leu-L-Leu)-1,5,10-TAD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0.84g(1.28mmo1)의 백색결정인 10-{N-[4-(4-GP)부타노일]-L-Ser}-1-L-Leu-1,5,10-TAD 트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실시예 2에서 수득한 것)를 상기 참고 실시예 1(2)와 동일하게 처리하여 실시예 13의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참고 실시예 3]
10-{N-[4-(4-GP)부타노일]-O-벤질-L-Ser}-1,5-디-(N-Boc-L-PhG)-1,5,10-TAD 의제조
(1) 10-Boc-1,5,10-TAD
18.9g(100mmol)의 모노-N-Boc-1,4-부탄디아민[참조 :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192347/1982호]을 150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5.57g(105mmol)의 아크릴로니트릴을 얼음냉각하에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23.4g의 기름물질을 수득한다.
기름물질 23.4g을 260ml의 암모니아 포화 에탄올 용액에 용해시킨 다음 20g의 라니 니켈을 가하여 60기압, 실온에서 5시간 수소 첨가 반응시킨다. 반응이 끝나면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23.7g을 기름물질로 수득한다.
수율 : 96.7%
NMR(D2O, external TMS)
δ=1.6-2.5(m,6H), 1.9(s,9H), 2.7-3.3(m,6H), 3.4-3.8(m,2H)
(2) 10-Boc-1,5-디-(N-Z-L-PhG)-1,5,10-TAD
2.85gr(11.6mmol)의 기름상태인 10-Boc-1,5-10-TAD(위 (1)에서 수득한 것) 및 6.63g(23.2mmol)의 N-Z-L-페닐글리신을 50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다음, 5.3g(27.84mmol)의 1-에틸-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얼음냉각하에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기름상태의 물질을 수득한다. 기름상태 물질을 2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5%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차례로 씻는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처리한 후 감압하에 농축하여 기름상태 물질 10.5g을 수득한다.
이 기름상태 물질을 실리카겔 60(Merck사제)을 사용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처리하여 클로로포름으로 전개시키고, 클로로포름-메탄올(20 : 1) 혼합액으로 용출하여 기름상태 물질 4.9g을 수득한다.
수율 : 54.44%
NMR(CDCl3)
δ= 0.9-1.9(m,6H), 1.47(s,9H), 2.7-3.8(m,8H), 4.5-5.0(b,H), 5.2-6.0(m,2H), 5.23 (s,4H), 6.1-6.6(b,2H), 6.9-8.0(b,H) 7.5(s,10H), 7.53(s,10H)
TLC(클로로포름 : 메탄올=10 : 1 v/v)
Rf=0.49
(3) 1,5-디-(N-Z-L-PhG)-1,5,10-TAD
4.9g(6.28mmol)의 10-Boc-1,5-디(N-Z-L-PhG) -1,5,10-TAD(위 (2)에서 수득한 것)를 얼음냉각하에 20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용해시킨 다음 이 용액을 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길므상태 물질을 얻는다. 이 기름상태 물질을 15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이고, 이 용액을 5%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차례로 씻는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처리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기름상태의 목적 화합물 4.4g을 수득한다.
수율 : 정량적
IR(KBr)
ν(crn-1) =3290, 3030, 2920, 1700, 1635, 1490, 1445, 1325, 1230, 1145, 1035
TLC(클로로포름 : 메탄올=1 : 1 v/v)
Rf=0.12
(4) 10-(N-Boc-O-벤질-L-Ser)-1,5-디-(N-Z-L-PhG)-1,5,10-TAD
3.2g(4.7mmol)의 1.5-디-(N-Z-L-PhG)-1,5,10-TAD(위 (3)에서 수득한 것)를 40ml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다음 0.8g(7.9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얼음냉각하에 가하고, 2.39g(6.09mmol)의 N-Boc-O-벤질-L-세린 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를 추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잔류물을 2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다. 이 용액을 5% 인산, 5% 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차례로 씻는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하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4.2g을 담황색 기름 상태 물질로 수득한다.
수율 : 93.3%
IR(KBr)
ν(cm-1) =3305, 2930, 1705, 1650, 1495, 1450, 1300, 1235, 1160, 1040
TLC(클로로포름 : 메탄올=20 : 1 v/v)
Rf=0.43
(5) 10-(O-벤질-L-Ser) -1,5-디 -(N-Z-L-PhG) -1,5,10-TAD
4.2g(4.38mmol)의 10-(N-Boc-O-벤질-L-Ser)-1,5-디-(N-Z-L-PhG)-1,5,10-TAD(위(4)에서 수득한 것)를 20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에 얼음냉각하에 녹인 다음 용액을 2시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기름상태 물질을 수득한다. 이 물질을 15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이어 5%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염화나트륨 포화 수용액으로 차례로 씻는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처리하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가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3.7g을 기름상태 물질로 수득한다.
수율 : 정량적
IR(KBr)
ν(cm-1)=3305, 2930, 1710, 1640, 1520, 1495, 1450, 1325, 1235, 1075, 1040
TLC(클로로포름 : 에탄올=10 : 1 v/v)
Rf = 0.13
(6) 10-{N-[4-(4-GP)부타노일]-O-벤질-L-Ser}-1,5-디-(N-Z-L-PhG)-1,5,10-TAD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2g(5.42mmol)의 갈색결정인 4-(4-GP) 부티르산을 7ml의 얼음냉각한 염화 티오닐에 4 내지 5회에 걸쳐 조금씩 가한 다음 이 혼합물을 15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발 건고시킨다.
3.8g(4.38mmol)의 10-(O-벤질-L-Ser)-1,5-(N-Z-L-PhG)-1,5,10-TAD(위 (5)에서 수득한것)를 3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킨 다음, 0.65g(8.21mmol)의 피리딘을 얼음냉각하에 가한다. 위에서 제조한 4-(4-GP)-부티릭 클로라이드 염산염을 7ml의 디메틸포름 아미드에 용해시킨다. 혼합물을 얼음냉각하에 3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기름상태 잔류물질을 수득한다. 잔류물을 3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 및 90ml의 에탄올의 혼합액에 녹이어 5% 인산, 5% 탄산나트륨 수용액, 그리고 염화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차례로 씻는다. 씻는 동안 소량의 기름상태 물질이 침전하는데 에탄올을 가하여 이 침전을 용해시킨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처리하고 여과하여 건조제를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 4.8g을 담황색 기름상태 물질로 수득한다.
수율 : 정량적
IR(KBr)
ν(cm-1) =3310, 2930, 1645, 1515, 1450, 1235, 1045
TLC(클로로포름 : 메탄올 : 17% 암모니아수=6 : 1.5 : 0.25 v/v)
Rf=0.28
[참고 실시예 4]
10-{N-[4-(4-GP)부타노일]-L-Ser}-1-(Z-L-PhG)-1,5,10-TAD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제조
(1) 3-(N-Z-L-PhG)-1,3-티아졸리딘-2-티온
5.7g(20mmol)의 N-Z-L-페닐글리신을 50ml의 염화 메틸렌에 용해시키고, 2.38g(20mmol)의 1,3-티아졸리딘-2-티온을 가하고, 이어서 얼음냉각하에 4.13g(20mmol)의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를 추구한다. 혼합물을 얼음냉각하에 6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N,N'-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를 제거한다.
여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담황색 기름상태 물질 12.0g을 수득한다. 이 물질을 실리카겔60
Figure kpo00054
(Merck 회사제품)이 충전된 칼럼에서 칼럼 크로마토그라피 처리한다. n-헥산-클로로포름-에틸 아세테이트(6 : 3 : 1-2v/v)의 혼합용매로 전개시킴으로써 목적 화합물 4.0g을 담황색 기름상태 물질로 수득한다.
수율 : 51.28%
IR(KBr)
ν(cm-1) =3390, 1690, 1585, 1500, 1455, 1335, 1275, 1225, 1170, 1055
TLC(n-헥산 : 클로로포름 : 에틸 아세테이트=6 : 3 : 2 v/v)
Rf = 0.28
(2) 10-{N-[4-(4-GP)부타노일]-L-Ser}-1-(Z-L-PhG)-1,5,10-TAD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0.55g(1mmol)의 백색결정인 10-{N-[4-(4-GP)부타노일-L-Ser-1,5,10-TAD 트리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6ml의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얼음냉각하에 0.106g(1.05mmol)의 트리에틸아민을 가한 다음 혼합물을 얼음냉각하에 10분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에 0.41g(1.05mmol)의 담황색 기름상태 물질인 3-N-Z-L-PhG)-1,3-티아졸리딘-2-티온(위 (1)에서 수득한 것)을 가한 다음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반응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농축한 다음 기름모양의 잔류물을 30ml의 아세톤에 현탁시킨다. 상청액을 경사 분리하여 제거하는데 위의 분리과정을 2회 반복한다. 잔류물을 감압하에 건조시켜 목적 화합물 0.83g을 백색결정으로 수득한다.
수율 : 정량적
IR(KBr)
ν(crn-1) = 3270, 1620, 1510, 1235, 1040
TLC(클로로포름 : 메탄올 : 17% 암모니아 수용액=6 : 4 : 1 v/v)
Rf = 0.51
일반식(II)의 기타 화합물들을 각종 보호된 아미노산으로 부터 참고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참고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생성물이 담황색 결정인 경우에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정제과정이 필요없다. 결정을 메탄올에 현탁시키고 여과 회수함으로써 고순도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Claims (11)

  1. 일반식(II)의 보호기 함유 화합물로 부터 보호기를 제거하여 일반식(I)의 스퍼구알린 관련 화합물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55
    위의 일반식에서, X는 -(CH2)3-5- 또는
    Figure kpo00056
    이고, R은 -H 또는 -CH2OH이고, R1은 -H,
    Figure kpo00057
    이고, R2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로 부터 카르복실 그룹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이며, R1이 -H이외의 그룹일 경우에 R2는 R1과 같고, R3는 -H 또는 -CH2-O-Y인데, Y는 -H이거나 -OH의 보호기이고, R4는 -H, 아미노기가 보호된 페닐글리실 그룹 또는 아미노기가 보호된 류우실 그룹이고, R5는 보호된 아미노기를 가진 펩타이드 또는 아미노산으로 부터 카르복실 그룹 중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제거한 잔기(잔기의 측쇄는 보호될 수 있음)인데, R4가 아미노기 보호된 류우실 그룹 또는 페닐글리실 그룹일 경우 R5는 아미노기 보호된 류우실 그룹 또는 페닐글리실 그룹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l)의 R2
    (1)
    Figure kpo00058
    또는 (2)
    Figure kpo00059
    또는 (3) H-(A)y-또는 (4)
    Figure kpo00060
    이고 일반식(II)의 R5가 아미노기 보호된 R2에 상응하는 그룹인 방법.
    위의 일반식의 기에서, n은 0 또는 1 ; X1은 -H 또는 -OH ; X2는 -H 또는 -CH2OH ; m은 0 또는 1 내지 4의 정수 ; X3은 -H, -COOH, -OH, -NH2또는 -CONH2; X4는 -H 또는 -NH2; X3과 X4중 적어도 하나는 -NH2; y는 1 또는 2의 정수 ; A는 -NH-CH-CO 또는
    Figure kpo00061
    ; 그리고, CH2CH(CH3)2y가 2인 경우 2개의 A는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한다.
  3. 제l항에 있어서, 일반식(I) 및 (II)의 X가 (CH2)3- 또는
    Figure kpo00062
    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X가
    Figure kpo00063
    , R이 -CH2OH R1이 -H 또는
    Figure kpo00064
    Figure kpo00065
    R3이 -CH2-O-Y이고 (여기서, Y는 -H이거나 -H의 보호기), R4는 -H, 아미노기 보호된 페닐글리실 그룹이거나, 아미노기 보호된 류우실 그룹, R5는 아미노기 보호된 R2에 상응하는 그룹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R2가 (L 또는 D)
    Figure kpo00066
    또는
    Figure kpo00067
    인 방법.
  6.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L-세릴}-1-N-보호된-L- 또는 D-페닐글리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그 염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L-세릴}-1-L- 또는 D-페닐글리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
  7.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L-세릴}-1-N-보호된-L-류우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그 염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L-세릴}-1-L-류우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
  8.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L-세릴}-1-N-보호된-L-류우실-L류우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그 염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L-세릴}-1-L-류우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
  9.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0-벤질-L-세릴}-1,5-(디-N-보호된-L-페닐글리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그 염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10-{N-[4-(4-구아니디노페닐)부타노일]-L-세릴}-1,5-디-L-페닐글리실-1,5,10-트리아자데칸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보호기 제거반응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60℃ 내지 용매의 비점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보호기 제거반응을 환원, 산분해 또는 가수분해에 의하여 실시하는 방법.
KR1019870003206A 1986-04-04 1987-04-04 스퍼구알린(Spergualin)관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40006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7747 1986-04-04
JP7774786 1986-04-04
JP86-77747 198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989A KR870009989A (ko) 1987-11-30
KR940006768B1 true KR940006768B1 (ko) 1994-07-27

Family

ID=136425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206A KR940006768B1 (ko) 1986-04-04 1987-04-04 스퍼구알린(Spergualin)관련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19870006966A KR940007743B1 (ko) 1986-04-04 1987-07-01 스퍼구알린(Spergualin) 관련 유도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966A KR940007743B1 (ko) 1986-04-04 1987-07-01 스퍼구알린(Spergualin) 관련 유도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956504A (ko)
EP (1) EP0241797B1 (ko)
JP (1) JPH0745460B2 (ko)
KR (2) KR940006768B1 (ko)
CN (1) CN1016341B (ko)
AT (1) ATE64378T1 (ko)
AU (1) AU599092B2 (ko)
CA (1) CA1305827C (ko)
DE (1) DE3770680D1 (ko)
DK (2) DK171487A (ko)
ES (1) ES2039213T3 (ko)
FI (1) FI86546C (ko)
GR (1) GR3002660T3 (ko)
HU (1) HU204069B (ko)
IE (1) IE60077B1 (ko)
PT (1) PT84620B (ko)
ZA (1) ZA8724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424B2 (ja) * 1987-09-30 1995-10-11 財団法人微生物化学研究会 新スパガリン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5770625A (en) * 1988-02-08 1998-06-23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Butyryl-tyrosinyl spermine, analogs thereof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US4990536A (en) * 1989-04-03 1991-02-05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Immunopotentiator and spergualin-related compound therefor
YU48230B (sh) * 1989-05-29 1997-08-22 Takara Shuzo Co.Ltd. Kristalni deoksispergvalin i postupak za njegovo pripremanje
US5086069A (en) * 1990-02-05 1992-02-04 Rorer Pharmaceutical Corporation Anti-thrombotic peptide and pseudopeptide derivatives
DE69104291T2 (de) * 1990-07-20 1995-05-18 Takara Shuzo Co Spergulinähnliche 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WO1992018117A1 (en) * 1991-04-11 1992-10-29 Rhone-Poulenc Rorer International (Holdings), Inc. Anti-thrombotic peptide and pseudopeptide derivatives
WO1994004140A1 (en) * 1992-08-19 1994-03-03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Antiprotozoan drug
FR2698628B1 (fr) * 1992-12-02 1995-02-17 Fournier Ind & Sante Analogues de 15-déoxyspergualin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thérapeutique.
GB9726569D0 (en) * 1997-12-16 1998-02-11 Univ Southampton Neuroprotective agents
US20020142000A1 (en) * 1999-01-15 2002-10-03 Digan Mary Ellen Anti-CD3 immunotoxins and therapeutic uses therefor
KR100604206B1 (ko) * 2005-12-01 2006-07-24 박현미 배선용 단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8957A (en) * 1980-09-08 1982-03-20 Microbial Chem Res Found Novel antibiotic bmg 162-af2, its preparation and carcinostatic agent comprising it as active ingredient
JPS57185254A (en) * 1981-05-11 1982-11-15 Microbial Chem Res Found Novel carcinostatic substances and their preparation
JPS5862152A (ja) * 1981-10-08 1983-04-13 Microbial Chem Res Found N−〔4−(3−アミノプロピル)アミノブチル〕−2−(ω−グアニジノ脂肪酸アミド)−2−ヒドロキシエタンアミドおよびその誘導体ならびにその製造法
JPS5942356A (ja) * 1982-09-02 1984-03-08 Microbial Chem Res Found スパガリン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US4525299A (en) * 1983-05-10 1985-06-25 Zaidan Hojin Biseibutsu Kagaku Kenkyu Kai (-)-15-Deoxysperguali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intermediate of the same
JPS60104099A (ja) * 1983-11-09 1985-06-08 Nippon Kayaku Co Ltd スパガリン関連化合物の新規製造法
JPS60181056A (ja) * 1984-02-29 1985-09-14 Takara Shuzo Co Ltd Ν−〔4−(3−アミノプロピル)アミノブチル〕−2,2−ジヒドロキシエタンアミドの製造法
JPS60185758A (ja) * 1984-03-02 1985-09-21 Microbial Chem Res Found フエニレン基を有するスパガリン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S61165322A (ja) * 1985-01-14 1986-07-26 Microbial Chem Res Found スパガリン類の注射用凍結乾燥製剤
AU587691B2 (en) * 1987-03-30 1989-08-24 Shosuke Okamoto Phenylalanine derivative and proteinase inhib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02792A (da) 1992-08-18
EP0241797A3 (en) 1988-07-20
KR940007743B1 (ko) 1994-08-24
DE3770680D1 (de) 1991-07-18
GR3002660T3 (en) 1993-01-25
DK171487D0 (da) 1987-04-03
ZA872440B (en) 1987-12-30
JPH0745460B2 (ja) 1995-05-17
DK102792D0 (da) 1992-08-18
HUT44577A (en) 1988-03-28
ATE64378T1 (de) 1991-06-15
IE870864L (en) 1987-10-04
CN1016341B (zh) 1992-04-22
CA1305827C (en) 1992-07-28
FI86546B (fi) 1992-05-29
ES2039213T3 (es) 1993-09-16
KR890001965A (ko) 1989-04-06
KR870009989A (ko) 1987-11-30
FI871445A (fi) 1987-10-05
IE60077B1 (en) 1994-06-01
PT84620A (en) 1987-05-01
US4956504A (en) 1990-09-11
AU599092B2 (en) 1990-07-12
JPS6345247A (ja) 1988-02-26
HU204069B (en) 1991-11-28
CN87102538A (zh) 1987-11-18
PT84620B (pt) 1989-11-30
EP0241797A2 (en) 1987-10-21
FI86546C (fi) 1992-09-10
EP0241797B1 (en) 1991-06-12
AU7107587A (en) 1987-10-08
FI871445A0 (fi) 1987-04-02
DK171487A (da) 198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9812B (fi) Menetelmä uusien,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ten peptidijohdannaisten valmistamiseksi
KR100223662B1 (ko) 자동 금전 출납기를 사용하여 송금된 돈을 지급하는 전자 송금 시스템 및 방법
CA2234610C (en) New amino acid derivativ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se compounds
US4927809A (en) Oligopeptidyl nitrile derivatives, agent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KR940006768B1 (ko) 스퍼구알린(Spergualin)관련 유도체의 제조방법
CZ129694A3 (en) Novel peptide derivatives
KR19980702112A (ko) 트롬빈 억제제
HU177515B (en) Process for preparing trh analogues
CA2338524A1 (en) Inhibitors of urokinase and blood vessel formation
CA1318457C (en) Partially retro-inverted tuftsin analogues,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WO2006014429A2 (en) Cidofovir peptide conjugates as prodrugs
JPH0794424B2 (ja) 新スパガリン関連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法
KR0132778B1 (ko) 스페르구알린-관련된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US5137917A (en) Spergualin-related compound and use thereof
JP2654673B2 (ja) ペプチド及び抗痴呆剤
KR100437670B1 (ko) (s)-이성체형태의인돌린설포닐우레아유도체
JPH01246257A (ja) 3―チオ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造法
JPH0253797A (ja) ペプチド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抗痴呆剤
JP3409494B2 (ja) アザペプチド誘導体
JPH07228565A (ja) スパガリン類縁体及びその用途
JPH02273696A (ja) ペプチド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抗痴呆剤
IE48823B1 (en) Novel anti-hypertensive mercaptoacylamino acid derivatives,their preparation and use
JPH04217995A (ja) ペプチド誘導体
JPH0820533A (ja) 細菌性ショック治療剤
JPS62263198A (ja) 細胞保護作用を有する環状ペプチ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