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869B1 - 프로펠러 조립체의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프로펠러 조립체의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869B1
KR940005869B1 KR1019850003552A KR850003552A KR940005869B1 KR 940005869 B1 KR940005869 B1 KR 940005869B1 KR 1019850003552 A KR1019850003552 A KR 1019850003552A KR 850003552 A KR850003552 A KR 850003552A KR 940005869 B1 KR940005869 B1 KR 940005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ropeller assembly
outer structure
opening
pro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319A (ko
Inventor
하그룬트 키엘
Original Assignee
카메와 아베
닐스 올로프 폴리보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메와 아베, 닐스 올로프 폴리보그 filed Critical 카메와 아베
Publication of KR85000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0Mounting of propulsion plant or unit, e.g. for anti-vibr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5/00Dismantling or scrapp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25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movably mounted with respect to hull, e.g. adjustable in direction, e.g. podded azimuthing thrusters
    • B63H2005/1254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 B63H2005/1256Podded azimuthing thrusters, i.e. podded thruster units arranged inboard for rotation about vertical axis with mechanical power transmission to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4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non-rotating ducts or rings, e.g. adjustable for steering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arth Drilling (AREA)
  • Revetment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펠러 조립체의 착탈구조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 및 부분적으로 절개한 측단면도로서, 제 1 도는 배의 외측구조물에 취부된 프로펠러조립체를 도시하며, 제 2 도는 배의 외측구조물로부터 분리되는 어느정도 하강된 프로펠러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 3 도 및 제 4 도는 제 1 도 및 제 2 도의 측면도에 상당하는 측면도로서,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5 도는 수면과, 배의 프로펠러조립체의 취부용 개구의 바로 아래의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프로펠러조립체의 이동을 도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제 6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부분적인 측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된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 구조물 2 : 프로펠러조립체
7 : 취부용개구 9 : 취부용플랜지
12 : 착탈용라인 13 : 라인용개구
14 : 실린더 16,37 : 라인부착구
18 : 밀폐수단 20 : 관상밀폐슬리브
22 : 밀폐슬리브 26 : 리프팅라인
32 : 나사봉 34 : 나사
35 : 피스톤-실린더장치 44 : 안내물체
본 발명은 배의 외측구조물의 저부분에 위치한 개구에 프로펠러조립체를 취부하고, 또, 이 조립체를 상기 개구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개구부는 배가 떠있는 수면의 아래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는 주로 추진기로서 일반적으로 불리우는 종류의 프로펠러조립체를 취부 및 제거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러한 형식의 프로펠러조립체는 통상 기어하우징내에 저어널된 프로펠러샤프트상에 취부되어 있는 프로펠러를 구비하며, 기어하우징은 베벨기어장치를 수납하고, 이 베벨기어장치를 거쳐서 프로펠러샤프트는 관상지주를 통해 연장하는 구동샤프트에 연결되고, 지주의 타단은 배의 외측구조물 또는 선체의 저부분에 위치되는 개구부내에 취부되도록 의도되고, 구동샤프트가 선체내에 위치한 프로펠러 구동기구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배의 저부에 있는 개구의 주위에 프로펠러조립체를 취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주는 그의 상단 또는 상기 상단의 부근에, 상기 외측구조물에 있는 개구를 둘러싸는 취부링크에 견고하게 볼트체결되는 것이 가능한 취부플랜지를 위치시키고 있다. 이 지주는 종종 지주, 기어하우징 및 프로펠러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전체가 구동샤프트의 축선과 일치하는 축선의 주위를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취부플랜지에 취부되고, 또 지주는 선체내에 배치된 기구에 연결되어 이 회동운동을 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프로펠러조립에 의해 발생된 프로펠러력이 어떠한 원하는 방향으로도 설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프로펠러조립체는 통상 회전식 추진기라고 불리운다.
상술한 종류의 프로펠러조립체는 해양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가지 형식의 플랫폼을 움직이게 하기도 하고 조종, 예를들면 위치를 유지시키게 하기 위해 점점더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프로펠러조립체는 예를들면 잠수용장비를 구비한 배, 크레인을 탑재한배, 케이블을 부설하는 배와같은 그러한 여러형식의 특수용도의 배에 있어서도 사용되고, 또 예를들면 플로우팅 도크, 거룻배등을 움직이고 또 조종하기 위해서도 사용될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배"라고 하는 용어는 물에서 뜨고, 그곳에서 이동시킬수가 있고, 또 상술한 종류의 프로펠러 조립체를 이용할수가 있는 물에 뜨는 모든 구조물 및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배를 도크에 넣을 필요가 없이 작업, 수리 및 교환의 목적을 위해 그와같은 프로펠러조립체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 결과, 수면 아래의 배의 저부에 있는 하부 개구에 의해 프로펠러조립체를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이 배의 범위내에서부터 행해지는 것이 가능한 장치가 제안되고 또 설계되어 있지만, 프로펠러조립체의 큰 치수 및 그의 중량때문에, 이러한 장치는 상당한 공간을 가지며, 고가이고, 또 비실용적이다. 그 결과, 그와같은 프로펠러조립체를 당해 배의 외측에서 착탈하는 것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즉 이 조립체를 배의 내부로부터의 구동 및 회전기구에서 해제하고 또 이 조립체를 상술한 개구의 주위의 취부부분으로부터 제거한 다음에 배의 선체의 외측에서 수면으로 까지 이 조립체를 들어올리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 조립체를 배의 외측구조물의 외측에서 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의 저부에 있는 취부개구에 까지 이동시키고, 그곳에서 외측구조물에 고정되어 상기 배의 내부의 구동 및 회전기구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배위에 위치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적인 배위에 위치된 동력리프팅장치에 연결되고, 또 프로펠러조립체를 취부하는 개구의 부근에서 배의 내측을 통해 그의 외측구조물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하는 관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라인을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라인의 단부는 외측구조물의 저부의 수중에 위치된 프로펠러조립체의 일부에 연결되고, 또 이 조립체를 배 내부의 구동 및 회전기구로부터 떼어내고 또 외측구조물로부터 떼 내어진후에, 이 조립체는 라인 및 상술한 리프팅장치에 의해 이 배 또는 보조적인 배위의 리프팅장치에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라인의 도움으로, 이 조립체가 상기 선체의 일방측의 수면에 까지 배의 선체를 피하도록하여 끌어올려지는 것이 가능한 정도의 거리만큼, 취부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강하되는 것이 가능하다. 취부개구의 측면에 위치한 관을 통해 연장하는 라인이 프로펠러조립체에 고정될 수가 있고, 또 이 조립체를 끌어올려서 배의외판에 있는 취부개구내에 이 조립체를 위치설정시키기 위해 사용될수가 있는 그러한 위치에 까지, 우선 프로펠러조립체를 배의 선체의 외측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라인의 도움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이 프로펠러조립체는 역의 순서로 취부개구에 취부된다. 수위보다 아래에서 배의 외측에서 프로펠러조립체를 착탈하기 위한 이러한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는, 이 조립체에 대하여 라인을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키거나 하기위해 잠수부를 동원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해양 플랫폼은 종종 연중 대부분에 걸쳐서 작업요원이 수중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없게 만드는 기후조건하의 해상에 설치되며, 이 때문에 기후조건이 극히 나쁘거나 그와같이 될 것 같은 기간이 극히 길어질수가 있으므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부의 도움을 필요로하지 않고, 프로펠러조립체를 배의 외측에서 배의 외측구조물의 저부분에 위치된 개구에 취부할 수가 있고 또 상기 외측구조물의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프로펠러조립체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펠러조립체의 설치 및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술된 바와같이 구성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예를들면, 해양플랫폼의 일부를 형성하는 거룻배와 같은 배의 외측구조물(1)의 일부를 도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측구조물(1)에는 소위 회전식추진기인 프로펠러조립체가 취부되어 있다. 부호"2"로 표시된 상기 프로펠러조립체는 통상적으로 프로펠러(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이 프로펠러는 고정된 프로펠러보호판(3)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기어하우징(4)에 저어널된 수평의 프로펠러샤프트에 장착되어 있다. 기어하우징(4)에는 베벨기어장치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 기어장치에 의해 프로펠러샤프트는 관상지주(5)를 통해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구동샤프트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관상지주(5)의 하단은 관상지주(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기어하우징에 연결되어 있고, 관상지주(5)의 상단은 관상지주(5), 기어하우징(4), 프로펠러보호판(3) 그리고 프로펠러등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를 구동축과 일치하는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로펠러조립체의 상부(6)에 저어널되어 있다.
프로펠러조립체(2)는 그 상부(6)가 외측구조물(1)의 내부에 위치한 취부공간(8)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외측구조물(1)의 취부용개구(7) (제 2 도 참조)에 장착되어 있다. 프로펠러조립체(2)는 그 상부(6)의 하단에 배치된 취부용플랜지(9)에 의해 상기한 위치에 유지되게 되는데, 상기 취부용 플랜지는 도시되지 않은 볼트에 의해 외측구조물(1)에 상기 취부용개구(7)를 에워쌀수 있게 설치된 취부링의 외면에 밀폐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상부(6)에 회전가능하게 저어널된 지주(5)는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지주(5) 및 이 지주(5)와 함께 기어하우징(4)과 프로펠러도 수직의 회전축선의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배내에 배치된 도식적으로 도시된 회전기구(10)에 연결된다. 지주(5)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구동샤프트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상부 구동샤프트(11)에 결합되어 있고, 이 상부 구동샤프트(11)는 배내에 설치된 프로펠러구동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프로펠러조립체 및 이 조립체를 외측구조물(1)에 취부시키기 위한 요소들, 그리고 상기 조립체를 회전기구 및 구동기구에 결합시키기 위한 요소들은, 예를들면 스웨덴 특허출원 제8201415-0호에 기재된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특허출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이와같은 설계에 따르면, 취부용플랜지(9)를 외측구조물(1)에 볼트연결시키고 또한 지주(5)를 회전기구(10)에, 그리고 구동샤프트를 구동기구에 각각 결합시키는데 필요한 작업들은 배내에서 완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프로펠러조립체, 그 프로펠러조립체를 외측구조물(1)에 취부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프로펠러조립체를 상술한 기구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 및 설계될 수도 있다.
외측구조물(1)로부터 취부용플랜지(9)를 헐겁게 풀어낸후 프로펠러조립체(2)를 구동기구 및 회전기구로부터 분리해내게 되면, 상기 조립체를 취부공간(8) 및 취부용개구(7)로부터 하강시킬수 있고, 그에따라 배의 외측구조물의 외부로 수중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수면까지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의 외측구조물에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프로펠러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같은 조립체의 설치 및 분리는 잠수부의 도움이 없이도 가능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수의 착탈용 라인(12) (제 2 도 참조)를 사용하고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개의 라인(12)이 사용되고 있다. 외측구조물(1)에는 상기 라인(12)을 각각 통과시킬수 있는 라인용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개구(13)의 부근에서 외측구조물(1)의 내면에는 원통형 밀폐실 즉, 실린더(14)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 실린더(14)의 하단은 개구(13)의 주위에서 외측구조물(1)의 내면에 압력 밀봉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14)의 상단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캡(15)으로 밀폐되어 있다. 프로펠러조립체에는 각각의 라인(12)용의 라인부착구(16)가 취부되어 있는데 이 부착구(16)는 프로펠러조립체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위치에 취부될때 실린더(14)내에서 외측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각각의 라인용개구(13)내로 돌출할 수 있도록 취부용플랜지(9)상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부착구(16)는 취부용플랜지(9)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케트 암(17)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라인부착구(16)에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장착위치에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방식으로 외측구조물의 라인용개구(13)를 폐쇄 및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수단(18)이 제공되어 있다.
프로펠러조립체를 외측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먼저 캡(15)을 실린더(14)의 각 상단으로부터 제거하고, 그뒤에 착탈용라인(12)의 하단을 실린더(14)를 통해 하강시켜 실린더(14)의 벽에 형성된 폐쇄가능한 개구(19)를 통해 라인부착구(16)에 고착시킨다. 그 후에 착탈용라인(12)에 이미 설치되어 있던 관상밀폐슬리브(20)를 실린더(14)내로 하강시켜 실린더(14)내에 고정시킨다. 이에따라 관상 밀폐 슬리브(20)는 실린더(14)를 밀폐시키게 되는데 상기 관상밀폐슬리브(20)에는 라인(12)용 통로가 제공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밀폐슬리브(20)에 형성된 채널 또는 통로(21)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통로의 직경은 라인(12)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게되어 있다. 라인(12)에는 그를 따라 균일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밀폐슬리브(22)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밀폐슬리브(22)는 통로(2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어 통로(21)내에서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라인(12)에 설치된 밀폐슬리브(22)간의 간격은 통로(21)의 길이보다 짧게되어 있어 라인(12)이 관상밀폐슬리브(20)의 통로(21)와 외측구조물(1)의 라인용개구(13)를 통해 외부로 이동하게 될때 배의 내부가 외부와 직접 연통되지 않게 된다. 라인(12)은 배에 설치된 적당한 리프팅장치에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는 도면에 부호"23"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으로서 일례로 원치(winch)등과 같은 형태를 갖는, 또는 라인(12)을 파지하여 그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작용하는 왕복이동 가능한 파지장치를 구비한 잭의 형태를 갖는 것이다. 상기 파지장치는 라인자체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하도록 라인(12)에 설치된 밀폐슬리브(22)를 결합지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작업공정이 완료되면, 프로펠러조립체(2)전체는 착탈용라인(12)에 의해 취부용개구(7) 및 취부공간(8)으로부터 하강할 수 있게 된다. 제 2 도는 프로펠러조립체(2)가 외측 구조물(1)아래로 약간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같이 프로펠러 조립체가 하강하게 됨에 따라 실린더(14)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적합하게 압축 공기가 주입됨으로써, 실린더 내로 물의 유입이 방지되게 된다.
외측구조물(1)로부터 충분히 하방으로 떨어진 위치, 예를들면 제 5 도에 있어서 "A"로 표시된 위치까지 하강된후, 프로펠러조립체는 배의외측에서 수중을 통해 수면에 까지 들어올려지게되며, 이배는 해양플랫폼으로서 제 5 도에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의 거룻배(24) 및 관련 지지각부(25)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프로펠러조립체는 리프팅라인(26)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되는데, 상기 리프팅라인(26)의 하단은 프로펠러조립체(2)의 취부용플랜지(9)에 설치된 라인부착구(27)에 고착되어 있고, 리프팅라인(26)의 상단은 실제의 배 또는 보조용배에 설치된 적당한 리프팅장치에 고착되어 있다.
제 5 도에는 상술한 바와같은 리프팅작업중에 있어서의 조립체(2)의 다양한 위치 "B", "C"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착탈용라인(12)은 프로펠러조립체(2)가 수면까지 이동하는 전과정 동안 상기 프로펠러조립체(2)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 착탈용라인(12) 및 리프팅라인(26)은 조립체가 배 또는 보조용배의 갑판까지 상승하게 되면 상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며, 다시 이들라인(12, 26)에는 다른 조립체를 연결하여 상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취부용개구(7) 및 취부공간(8)의 위치까지 수중으로 하강시킨다. 프로펠러조립체를 즉시 설치할 필요가 없다면, 리프팅라인(26)과 착탈용라인(12)은 외측구조물(1)의 취부용개구(7) 주위에 덮개판을 설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덮개판에도 상술한 것과 유사한 라인부착구가 제공되어 그것에 의해 외측구조물의 라인용개구(13)도 폐쇄시킬 수가 있다.
제 5 도에는 조립체의 프로펠러보호판(3)에 설치된 라인부착구(29)에 연결된 또 다른 라인(28)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라인은 조립체(2)가 뒤틀려져 그 결과 착탈용라인들이 서로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하는 안정화용 라인이다. 이것은 프로펠러조립체를 취부할때 즉, 상기 조립체를 수면으로부터 외측구조물(1)의 취부용개구(7)내의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시킬때만 필요하고, 따라서 안정화용라인(28)은 예를들면, 수면보다 높은 곳에서 프로펠러조립체(2)에 설치된 라인부착부(29)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용라인(28)은 예를들면 원격제어에 의해 해제될 수 있는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또는 라인부착구(29)를 통해 이 라인을 자유롭게 통과시킴으로써, 수면의 상방에서 프로펠러조립체(2)상의 라인부착구(29)에 취부될 수가 있고, 이 때문에 이 안정화용라인(28)은 잠수부를 이용할 필요가 없이 제 5 도에 "A"로 표시된 위치에서 프로펠러조립체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통상, 조립체를 수면으로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안정화용라인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상기의 경우에는 라인이 서로 꼬이게 되는 것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소정형태의 배에 있어서는 외측구조물의 외측에 위치된 리프팅라인(26)은 조립체(2)에 영구히 부착시켜 두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수도 있는데,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리프팅라인(26)은 외측구조물(1)의 외측표면상에 위치된 트랙(30) (제 5 도 참조)을 따라 이동가능한 자기추진식 이송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은 수면으로부터 취부된 프로펠러조립체(2)까지 (제 1 도와 같이) 리프팅라인(26)의 단부를 이송시키도록 작용하게 되며, 이 경우 리프팅라인(26)의 단부에 부착된 아이(eye)는 포크형태의 라인부착구(27)를 통과하게 된다. 라인부착구(27)는 외측구조물(1)의 바로아래에 위치하도록 취부용플랜지(9)상에 위치하게 한다. 또한, 외츠구조물(1)에는 아이의 장착에 이어 로킹볼트(31)를 라인부착구(27)에 결합시키도록 외측구조물의 내부에 조정가능한 공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구는 나사로드(32)의 형태를 가진 것으로서, 외측구조물(1)의 구멍 및 그 외측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밀폐슬리브(33)에 밀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나사로드(32)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나사(34)에 의해 라인부착구(27)의 로킹볼트(31)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로킹볼트(31)는 나사로드(32)에 의해 라인부착구(27)상의 소정위치에 위치결정될 수 있고 또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되어 리프팅라인(26)이 프로펠러조립체(2)에 대해 연결 및 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행하기 위해 잠수부는 필요하지 않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할때 실린더(14)내에 장착되어 착탈용라인(12)을 밀폐상태로 애워싸고 있는 관상밀폐슬리브(20)가 상당히 길계 구성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 내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는 점에서 구성이 다르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길이가 길고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관상 밀폐슬리브(20)는 외측구조물(1)의 내측에 배치된 일련의 유압피스톤-실린더장치(35)에 의해 외측구조물(1)의 라인용개구(13)를 통해 밀고 당길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로펠러조립체(2)가 외측구조물(1)에 접근하도록 움직이고 있는 동안, 관상밀폐슬리브(20)가 프로펠러조립체(2)를 안내 및 안정화시키는 견고한 안내로드로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는 제 4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펠러조립체를 착탈할때, 프로펠러조립체가 외측구조물 또는 취부용개구(7)의 가장자리 단부에 충돌하여, 프로펠러조립체 또는 외측구조물, 취부용개구(7)의 어느것인가에 손상을 생기게 하도록 요동될 위험성이 거의 전부를 제거한다.
다욱이, 프로펠러조립체를 취부용개구(7)에 설치할때, 이 프로펠러조립체는 취부용개구(7)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로 그리고 보다 신뢰성 높게 위치설정이 될수가 있다.
관상밀폐슬리브(20)에 연결된 유압피스톤-실린더장치(35)는, 착탈용라인(12)상의 밀폐슬리브(22)와 유압피스톤-실린더장치(35)와의 사이에 일시적으로 역압장치(36)를 설치함으로써, 외측구조물(1)로 프로펠러조립체(2)를 이동시키는 중에 이 프로펠러조립체(2)를 변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안내로드로서 작용하는 관상밀폐슬리브(20)를 안내시키는데에는 도시된 바와같은 실린더(14)외의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6 도 및 제 7 도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할때 착탈용라인(12)용의 라인부착구의 형상이 다르게 되어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은 제 6 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제 7 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펠러조립체의 취부용플랜지(9)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브라케트암(17)에 설치된 각각의 라인부착구(37)는 외측구조물(1)의 각각의 라인용개구(13)의 중앙에서 브라케트암(17)에 견고하게 장착된 연결슬리브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라인부착구(3)의 주위에는 프로펠러조립체가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된 위치에 장착될때 라인용개구(13)주위를 밀폐시키게 되는 밀폐링(38)이 배치되어 있다.
라인부착구(37)의 내부에는 착탈용라인(12)의 하단에 부착된 라인헤드(40)를 수용하는 보어(39)가 형성되어 있다. 라인헤드(40)는 착탈용 라인(12)과 함께 컵형 로킹부재(1)에 의해 라인부착구(37)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라인용개구(42)가 형성되어 있다. 라인(12)의 하단주위에는 원통형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추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부재(44)가 배치되어 있는데, 최하측부재(44)의 하측원통부에는 외측에 나사가 형성된 링(45)이 형성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최하측부재(44)는 컵형로킹부재(41)에 형성된 대응한 내측나사(46)에 나사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 6 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같이 착탈용라인(12)은 절첩식으로 서로 상대 이동가능한 두개의 하측 및 상측관부(47a, 47b)에 의해 배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데, 하측 및 상측관부(47a, 47b)는 배의 외측구조물(1)과 그 상부갑판(48) (예를들면, 플랫폼의 거룻배의 상측부)사이에 라인용 액체밀폐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하측관부(47a)의 하단은 외측구조물(1)의 내부에 액체밀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반면에 상측관부(47b)의 상단은 갑판(48)에 액체밀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측관부(47b)의 상단에는 라인(12)의 밀폐용관통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프로펠러조립체가 소정위치에 장착되고 취부용플랜지(9)가 외측구조물(1)에 부착된 상태에서 프로펠러조립체로부터 라인을 분리해 내어야 한다고 가정할때, 다음과 같은 순서의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즉, 먼저 하측관부(47a)를 외측구조물(1)로부터 분리시킨뒤 상측관부(47b)를 따라 축선방향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라인(12)의 주위에 위치하는 안내물체(44)에 접근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안내물체(44)는 로킹부재(41)로부터 풀려 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안내물체(44)를 통과시키게 하고 라인(12)을 수용하게 되는 중앙보어의 직경은 안내물체(44)를 라인(12)을 따라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안내물체(44)를 로킹부재(41)로부터 풀어내게 되면 볼트(43)에 대한 출입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라인부착구(37)로부터 로킹부재(41)를 제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라인(12)의 라인헤드(40)를 라인부착구(37)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 라인을 라인부착구(37)로부터 그리고 프로펠러조립체로 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그 뒤에 라인헤드(40)는 라인(12) 및 로킹부재(41)로부터 안내물체(44)와 함께 분리된다. 그후에 하측관부(47a)를 축선방향으로 하향 이동시켜 그의 하단을 외측구조물(1)에 부착시킴으로써, 라인(12)을 수용하기 위한 액체밀폐통로를 재구성시키도록 한다. 만일 이때 배가 잠시동안 갑판(48)을 수면위에 위치시키도록 위치가 조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라인(12)은 모두 하측 및 상측관부(47a, 47b)에 의해 형성된 통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그뒤에 라인(12)을 수용하는 밀폐용관통부(49)를 제거하고, 그 대신에 덮개 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통로의 상단을 밀폐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배가 그 갑판(48)을 수면아래에 위치시키게 하는 위치로 위치조정되는 경우라도 관부(47a, 47b)에 의해 형성된 라인통로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프로펠러조립체의 라인부착구(37)에 라인(12)의 하단을 연결시켜 라인(12)을 고정시키는 작업은 상술한 바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라인(12)의 하단에 안내물체(44)를 설치한 이유는 프로펠러조립체가 착탈 작업중에 외측구조물(1)로부터 하강하거나 또는 그에 결합하도록 상승하는 경우 외측구조물(1)의 라인용개구(13)내에서 라인(12)을 안내하기 위해서이다.
지금까지 배의 외측구조물에 소위 프로펠러조립체를 설치하고 그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외측구조물에 소위 프로펠러조립체를 설치하고 그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예로들어 본 발명을 설멍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외의 다른 종류의 프로펠러조립체를 설치 및 분리하는데에도 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는 변경 및 다른 실시예가 주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특징은 라인을 착탈하기 위한 라인 부착구가, 소정위치에 장착하고 있는 선체내부로부터 외측구조물의 라인용개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조립체의 취부용플랜지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는 것으로서, 이것에 의해 잠수부가 없이도 배의 선체내부로부터 라인부착구에 연결 및 그 라인부착구로부터 분리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4)

  1. 배의 외측구조물(1)의 저부분에서 외측구조물(1)의 외측 및 배가 떠 있는 수면아래에 위치한 취부용개구(7)에 프로펠러조립체(2)를 취부하고, 또 이 취부용개구(7)로부터 프로펠러조립체(2)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프로펠러조립체(2)에는 외측구조물(1)의 취부용개구(7)의 주위에 압력밀봉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취부용플랜지(9)가 제공되고, 또 상기 구조는 배의 내부에 위치한 리프팅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착탈용라인(12), 상기 취부용개구(7)에 인접하게 외측구조물(1)에 배치된 다수의 라인용개구(13) 및 상기 라인(12)의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프로펠러조립체(2)상에 배치된 라인부착구(16, 37)를 포함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프로펠러조립체(2)의 취부위치에서 상기 라인부착구(16, 37)가 라인용개구(13)내에 위치하여 외측구조물(1)의 내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라인부착구(16, 37)가 프로펠러조립체(2)의 취부용플랜지(9)상에 배치되며, 상기 라인부착구(16)는 상기 착탈용라인(12)이 외측구조물(1)의 내부에서 라인부착구(16, 37)로부터 밀폐가능하게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프로펠러조립체(2)의 상기 취부위치에서 상기 라인용개구(13)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외측구조물(1)의 내부에서 각각의 라인용개구(13)의 부근에는 상기 라인용개구(13)를 애워싸고 있는 라인(12)용 밀폐통로가 형성된 밀폐실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에는 라인(12)을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라인부착구(16)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밀폐가능한 개구(1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은 일단이 라인용개구(13)의 주위에서 외측구조물(1)의 내측표면에 밀폐상티로 연결되고, 타단은 캡(15)으로 폐쇄가능하게 되어 있는 실린더(14)와, 캡(15)의 제거후 실린더(14)내에 밀폐상태로 위치될 수 있고 라인(12)용의 밀폐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관상밀폐슬리브(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라인(12)을 애워싸고 있는 관상밀폐슬리브(20)는 프로펠러조립체(2)를 착탈할때 외측구조물(1)의 부근에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이동을 안내하고 안정화시키기 이해 라인용개구(13)의 내, 외측을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7. 제 7 항에 있어서, 관상밀폐슬리브(20)는 외측구조물(1)의 내측에 위치한 유압피스톤-실린더장치(35)에 의해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8. 제 3 항에 있어서, 라인용의 밀폐통로는 라인(12)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라인(12)용의 긴 통로(21)와 라인(12)상에서 균등한 간격으로 위치되고 또 상기 통로와 같은 직경을 가지는 밀폐슬리브(22)를 포함하며, 인접한 슬리브(22)들사이의 거리는 통로(21)의 길이보다 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배에 설치된 라인리프팅 장치는 라인(12)을 따라 균등하게 위치결정된 파지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왕복이동가능한 파지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10. 제 9 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밀폐슬리브(22)는 리프팅장치의 파지수단과, 상호작용하는 파지부재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실은 절첩식으로 서로 상대이동이 가능한 두개의 관부(47a, 47b)로 구성되어 있고, 그의 일단은 라인용개구(13)의 주위에서 외측구조물(1)의 내측에 대해 액체 밀봉상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라인(12)용의 밀폐용관통부(4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12. 제 3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라인부착구(37)가 가장 근접하는 라인(12)의 일부분에 설치 및 분리하는 작업중 라인용개구(13)를 통해 라인을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안내물체(44)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13.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펠러조립체(2)의 취부용플랜지(9)상에 위치되고 또 외측구조물(1)의 외측상에 위치되는 라인부착구(27)에 연결되는 리프팅라인(26)을 포함하며, 이 라인부착구(27)는 프로펠러조립체(2)가 소정위치에 취부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구조물의 부근에 위치되도록 취부용플랜지(9)상에 배치되며, 나사부재(32, 34)가 그의 라인부착구(27)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또 외측구조물(1)을 통해 연장하며, 상기 리프팅라인(26)을 상기 라인부착구(27)에 연결하고 또 그곳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외측구조물(1)의 내측으로부터 조작될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1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32, 34)와 수면과의 사이에서 외측구조물(1)의 외측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통로(21)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또 프로펠러조립체(2)가 소정위치에 취부되었을 때 수면으로부터 상기 라인부착구(27)까지 하방으로 상기 리프팅라인(26)의 일단을 이동시키는 사용할 수 있는 이송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조립체의 착탈구조.
KR1019850003552A 1984-05-23 1985-05-23 프로펠러 조립체의 착탈구조 KR9400058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402793-7 1984-05-23
SE8402793A SE8402793L (sv) 1984-05-23 1984-05-23 Anordning fo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ett propelleraggregat i en oppning i en botten av ett flytety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319A KR850008319A (ko) 1985-12-16
KR940005869B1 true KR940005869B1 (ko) 1994-06-24

Family

ID=2035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552A KR940005869B1 (ko) 1984-05-23 1985-05-23 프로펠러 조립체의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696650A (ko)
EP (1) EP0167503B1 (ko)
JP (1) JPH0733154B2 (ko)
KR (1) KR940005869B1 (ko)
CA (1) CA1237951A (ko)
DE (1) DE3564239D1 (ko)
ES (1) ES8607152A1 (ko)
FI (1) FI852053L (ko)
NO (1) NO160251C (ko)
SE (1) SE8402793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5097A (ja) * 1987-06-05 1988-12-1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推進用スラスタの着脱方法
FI110252B (fi) * 1997-07-04 2002-12-31 Abb Oy Propulsioyksikkö
KR100558884B1 (ko) * 1998-06-30 2006-06-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러스터의 축정렬 장치
FR2826629B1 (fr) * 2001-06-27 2003-08-15 Alstom Dispositif pour la mise en place et/ou la depose d'un pod de propulsion, orientable, d'un navire
SE527012C2 (sv) * 2004-04-19 2005-12-06 Rolls Royce Ab Metod respektive hjälpmedel för demontage/montage av tunneltruster
SE533107C2 (sv) 2008-04-03 2010-06-29 Rolls Royce Ab Metod och arrangemang för fastsättning och/eller demontage/montage av en tunneltruster
SG179088A1 (en) 2009-09-14 2012-04-27 Itrec Bv A vessel with a retractable thruster assembly
LT2585365T (lt) 2010-06-24 2019-03-12 Rolls-Royce Aktiebolag Būdas nuimti mazgo atliekančio varomąją ir valdymo funkcijas korpusą nuo lizdo esančio jūriniame laive ar instaliuoti anksčiau minėto mazgo atliekančio varomąją ir valdymo funkcijas korpusą į anksčiauminėtą lizdą
CN102464088B (zh) * 2010-11-12 2014-02-19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将推进器安装到钻井平台的底部的方法
SE539068C2 (en) 2012-12-14 2017-04-04 Rolls-Royce Oy Ab Method for disassembling and / or assembling an underwater section of a retractable thruster unit
ITMI20130693A1 (it) * 2013-04-26 2014-10-27 Fincantieri Cantieri Navali It Metodo per la manutenzione di un propulsore retrattile
EP3072807B1 (en) * 2015-03-25 2020-07-08 ABB Schweiz AG Propulsion unit
US10018275B2 (en) 2015-06-09 2018-07-10 Wärtsilä Netherlands B.V. Sealing arrangement for an underwater mountable thruster of a marine vessel
CN104875846B (zh) * 2015-06-18 2017-04-19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翻转式检修平台
CN107758586B (zh) * 2016-08-17 2021-03-19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海洋平台推进器的海上安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2366A (en) * 1932-01-06 1933-06-06 William A Hausenfluck Mechanism for dropping and weighing boat anchors
US2652018A (en) * 1952-06-12 1953-09-15 Frederick J Griffith Chain pipe cover and seal
SU471238A1 (ru) * 1972-12-26 1975-05-2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3783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ыти корного клюза
SE383622B (sv) * 1975-06-06 1976-03-22 Karlstad Mekaniska Ab Anordning fo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ett propelleraggregat
DE3024756A1 (de) * 1980-06-30 1982-01-21 Pleuger Unterwasserpumpen Gmbh, 2000 Hamburg Einrichtung zum unterwassereinbau und -ausbau einer schwenkpropellereinheit fuer schwimmkoerper
SE435706B (sv) * 1983-03-04 1984-10-15 Goetaverken Arendal Ab Anordning for montering av thrusterpropellr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3154B2 (ja) 1995-04-12
CA1237951A (en) 1988-06-14
FI852053L (fi) 1985-11-24
NO160251C (no) 1989-04-05
SE8402793D0 (sv) 1984-05-23
ES8607152A1 (es) 1986-06-01
NO852036L (no) 1985-11-25
JPS6157489A (ja) 1986-03-24
EP0167503A1 (en) 1986-01-08
NO160251B (no) 1988-12-19
DE3564239D1 (en) 1988-09-15
FI852053A0 (fi) 1985-05-22
ES543372A0 (es) 1986-06-01
EP0167503B1 (en) 1988-08-10
KR850008319A (ko) 1985-12-16
US4696650A (en) 1987-09-29
SE8402793L (sv) 198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869B1 (ko) 프로펠러 조립체의 착탈구조
US4606727A (en) Anchoring arrangement for a tanker, including a fluid transfer system
RU2167781C2 (ru) Буй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загрузке или выгрузке тек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1950416B1 (ko) 리트랙터블 스러스터 유닛의 수중 섹션의 분해 및/또는 조립을 위한 방법
US6375524B1 (en) Vessel comprising a retractable thruster
US4036163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submerged propeller unit for a floating body
US7614927B2 (en) Device for loading and/or unloading flowable media
BRPI0620883A2 (pt) sistema de amarração desconectável para navio, estrutura de torre, elemento de bóia, navio e método para conectar navio a elemento de bóia
NO151866B (no) Undervannsanlegg
KR20150016452A (ko) 승강수단을 갖는 추진기의 유지보수 장치
CA1048752A (en) Device for mounting and dismantling of a submerged propeller unit
KR101779735B1 (ko) 해양 선박의 수중 장착가능한 스러스터용의 밀봉 장치
US4586907A (en) Means for mounting a thruster propeller unit
KR102396228B1 (ko) 해양 선박을 위한 선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스러스터 및 해양 선박
US4066034A (en) Apparatus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a submerged propeller unit for a floating body
EP2909082B1 (en) An thruster assembly in a marine vessel
US4786209A (en) Method for maintenance of valves included in a subsea production system for oil and gas
GB2192592A (en) A floating or semi-submerged plant connected to a riser system
SU175456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их объектов
SE455406B (sv) Anordning vid vetsketett utrymme vid flytande produktionsanleggning for raolja och/eller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1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