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762B1 - 반도체레이저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레이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762B1
KR940005762B1 KR1019910010150A KR910010150A KR940005762B1 KR 940005762 B1 KR940005762 B1 KR 940005762B1 KR 1019910010150 A KR1019910010150 A KR 1019910010150A KR 910010150 A KR910010150 A KR 910010150A KR 940005762 B1 KR940005762 B1 KR 94000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refractive index
semiconductor laser
film
las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787A (ko
Inventor
하지메 스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2000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8Coatings ; Treatment of the laser facets, e.g. etching, passivation layers or reflec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8Coatings ; Treatment of the laser facets, e.g. etching, passivation layers or reflecting layers
    • H01S5/0281Coatings made of semiconductor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레이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레이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반도체레이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공진기 24A, 24B : 공진기의 단면
30 : 반사율제어용 막 32 : 제1박막
34 : 제2박막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레이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진기(共振器)의 단면에 반사율제어용 막을 갖추어 공진되는 레이저광의 고출력화를 도모할 수 있는 반도체레이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제2도는 종래의 반도체레이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동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형 기판(10)상에는 n-형 클래드층(clad 層 ; 12)과 활성층(14), P-형 클래드층(16), 캡층(cap 層 ; 18) 및 P-형 저항전극(20)이 순차로 형성되어 있고, 또 n-형 기판(10)의 이면에는 n-형 저항전극(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2개의 단면(24A, 24B)에 의해 공진기(2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면(24A, 24B)중 한쪽, 도면에서는 단면(24B)측에 반사율제어용 막(25)이 설치되어 발진되는 레이저광의 출력을 높이게 된다. 반사율제어용 막(25)은 굴절율이 다른 2종류의 박막(26, 28)을 번갈아 2층이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고반사막화(高反射膜化)함에 의해 더욱 더 레이저광의 출력을 높히게 된다.
반사율제어용 막(25)을 구성하는 박막중 단면(24B)에 접하는 박막(26)은 굴절율(n)이 적은 박막재료로 구성되는데, 예컨대 SiO2(n1.5와 Al2O3(n1.7) 및 Si3N4(n1.8)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또, 박막(28)은 굴절율이 큰 박막재료로 구성되는데, 예컨대 비결정(amorphous) Si(n≥3.2)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SiO2를 박막(26)에 사용한 경우에는, 박막(28)에 Al2O3나 Si3N4를 사용한 예컨대 4층이상의 다층인 반사율제어용 막을 구성하여 고반사막화한 예도 있다.
상술한 박막재료의 공진기의 단면(24B)상에서 형성방법으로는, 진공증착법(SiO3)과, 스퍼터법(Al2O3, Si3N4, 비결정 Si)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반도체레이저장치를 사용한 일반적인 시스템에서는, 일정한 광출력을 얻기 위해 광취출면(光取出面)과 반대측에 모니터용 수광소자를 설치하고, 이 수광소자에 의해 APC(Auto Power Control) 구동을 행하게 된다. 예컨대, 제2도에 나타낸 반도체장치라면 광취출면은 단면(24A)측이고, 또 한쪽의 단면(24B)측에 모니터용 수광소자가 설치되게 된다. 즉, 반사율제어용 막측에 모니터용 수광소자가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반사율제어용 막의 반사율이 높아짐에 따라 모니터용 수광소자에 의해 방사되는 광출력은 감소하게 된다. 이 때문에, 모니터용 수광소자를 반사율제어용 막에 보다 근접시키지 않으면 않되게 된다. 예컨대, 반사율이 80%정도를 유지하는 반도체레이저장치에 모니터용 수광소자로서 통상의 InGaAs계 PIN 포토다이오드를 설치한 경우, 0.05[mA]이상의 모니터전류를 얻기 위해서는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단면(28)과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용 수광소자의 수광면의 거리가 1[mm]미만이 되도록 설계하지 않으면 않되게 된다. 이것은 광학설계상 큰 제약이 된다.
예컨대, 제2도에 나타낸 반도체레이저장치에서 반사율제어용 막을 구성하는 박막중 한개에 비결정 Si를 사용한 경우, 2층구조막이었다고 하더라도 반사율은 80%를 넘게 되므로 광학설계상 상기와 같은 제약을 받게 된다.
또, 비결정 Si는 진공증착법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스퍼터법보다 쓰루풋(throughput)이 좋은 진공증착법으로 비결정 Si를 형성하게 되면 증착속도나 굴절율의 제어가 곤란하게 되고,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도 불안정한 막으로 된다. 이때문에, 신뢰성면에서 떨어지는 반도체레이저장치가 제조되게 된다.
따라서, 비결정 Si를 진공증착법으로 형성하는 것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또, Al2O3나 Si3N4도 마찬가지로 진공증착법으로의 형성이 곤란하게 되고, 또 굴절율도 1.7~1.8로 작기 때문에 4층정도이상으로 적층시키지 않으면 반사율향상의 효과가 적어지게 된다. 형성되는 박막의 총수는 막의 균일성과 막간응력(膜間應力), 원료대 제품비 및 공정시간 등을 고려하면 극히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참고문헌 ; 특개소 64-33987, 특개평 1-18489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반사율제어용 막을 공진기의 단면에 갖추고 있는 반도체레이저장치에서는, 반사율제어용 막을 구성하는 박막에 굴절율이 큰 비결정 Si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반사율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어 광학설계상의 제약을 제기하게 된다. 또, Al2O3나 Si3N4를 사용하게 되면 이들 재료의 굴절율이 작기 때문에 반사율이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어 소망하는 반사율로 하는데는 다층으로 적층시킬 필요가 있게 된다. 더구나, 이들 비결정 Si와 Al2O3및 Si3N4는 쓰루풋이 양호한 진공증착법에 의한 형성이 곤란하여 이들의 형성에서 진공증착법을 선택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반사율제어용 막을 공진기의 단면에 갖추고 있는 반도체레이저장치에 있어서 반사율제어용 막을 구성하는 박막으로서 그 굴절율이 적당함과 더불어 스퍼터법 및 진공증착법에 의한 형성이 쌍방으로도 용이하면서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도 안정된 박막을 사용하여 고출력의 레이저광을 발진시킬 수 있고, 더욱이 고신뢰성이면서 광학설계상의 제약도 적은 반도체레이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레이저장치는, 반사율제어용 막을 공진기의 단면에 갖추고 있는 반도체레이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사율제어용 막이 적어도 제1박막과 제2박막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박막의 막두께는 상기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발진파장을 λ라고 하고 상기 제1박막의 굴절율을 n1이라고 할 때에(λ/4n1)로 설정되고, 또 n1≤1.8이며, 상기 제2박막의 막두께는 상기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발진파장을 λ라고 하고 상기 제2박막의 굴절율을 n2라고 할때에(λ/4n2)로 설정되고, 또 1.9≤n2≤2.6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2박막은 산화지르코늄과 산화세슘 및 황화아연중 어떤 한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와 같은 반도체레이저장치에 의하면, 특히 제2박막의 굴절율 n2이(1.9≤n2≤2.6)의 범위에 있고, 이와 같은 굴절율을 갖는 제2박막과, 굴절율 n1이(1.8≥n1)의 범위에 있는 제1박막을 적층시켜 반사율제어용 막을 얻게 된다. 그에 따라, 반사율제어용 막의 반사율이 광학설계상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적당한 것으로 되게 된다.
상기 굴절율의 범위를 실현할 수 있는 박막으로는
산화지르코늄 : 굴절율 약 2.0
산화세슘 : 굴절율 약 2.2~2.5
황화아연 : 굴절율 약 2.2~2.3
이 있다.
이들 박막은 어떤 것이나 진공증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증착속도나 굴절율의 제어성이 좋고, 더욱이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안정된 막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반도체레이저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동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n-형 기판(10)상에는 n-형 클래드층(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n-형 클래드층(12)상에는 활성층(14)이 형성되어 있다. 활성층(14)상에는 P-형 클래드층(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P-형 클래드층(16)상에는 캡층(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캡층(18)상에는 P-형 저항전극(20)이 형성되어 있고, 또 n-형 기판(10)의 이면에는 n-형 저항전극(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추어 레이저를 발광시키는 공진기(24)가 구성되게 된다. 공진기의 단면(24A, 24B)의 한쪽, 즉 도면에서는 단면(24B)측에 반사율제어용 막(30)이 설치되어 발진되는 레이저광의 출력을 높이게 된다. 반사율제어용 막(30)은 굴절율이 다른 2종류의 제1박막(32) 및 제2박막(34)에 의해 구성되는데, 공진기의 단면(24B)에 접하는 제1박막(32)에는 굴절율(n)이 작은 박막을 사용하고, 제2박막(34)에는 굴절율(n)이 큰 박막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반사율제어용 막(30)자체의 반사율(R)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표현되게 된다.
R = | (n0n2 2-n1 2)/(n0n2 2+n1 2) |2……………………………………………(1)
상기 식(1)은 대기중에서 적용된다. 식(1)에서 n0는 활성층(14)의 굴절율을 나타내고, n1은 제1박막(32)의 굴절율을 나타내며, n2는 제2박막(34)의 굴절을 나타낸다.
예컨대, 제1박막(32)을 SiO2로 구성한 경우에는 n1이 약 1.5이고, 활성층(14)을 InP계나 GaAs계로 구성한 경우에는 n0이 약 3.2정도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반사율(R)로서 최적인 40%~70%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식(1)에 의해 제2박막(34)의 굴절율(n2)이 1.9≤n2≤2.6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박막(32)에 SiO2(굴절율 n1.5)를 사용하고, 또 제2박막(34)에는 산화지르코늄(이하, ZrO2라고 칭함 ; 굴절율 n2.0)을 사용한다.
또, 이들 박막은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발진파장을 λ라고 할때에 각각 λ/4n가 되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발진파장(λ)을 1.3[μm]이라고 가정하면 제1박막(32 ; SiO2)의 막두께는 2170[Å]으로 설정되게 되고, 제2박막(34 ; ZrO2)의 막두께는 1630[Å]으로 설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박막(32)에 SiO2를 사용하고, 제2박막(34)에 ZrO2를 사용함으로써 반사율제어용막(30) 자체의 반사율에 약 55%가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단면(28)과 도시되지 않은 모니터용 수광소자의 수광면의 거리가 1.5[mm]정도이어도 0.1[mA]이상의 모니터전류가 확보되게 된다.
또, 본 제조방법으로서는 반도체기판상에 레이저를 발진시킬수 있도록 각종의 반도체층, 예커대 상기 클래드층과 활성층 및 캡층 등을 순차로 적층형성한 후에 기판의 표면위쪽 및 이면에 전극을 형성하게 된다. 전극형성후, 레이저바(laser bar) 또는 칩형상으로 쪼갬으로써 공진기를 얻게 된다. 계속해서, 공진기의 한쪽의 단면에 공기증착법, 예컨대 전자빔진공증착법법을 이용하여 SiO2로 이루어진 제1박막(32)을 형성하고나서, 제1박막(32)상에 예컨대 전자빔진공증착법을 이용하여 ZrO2로 이루어진 제2박막(34)을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레이저장치가 제조되게 된다.
또한 ZrO2는 진공증착법, 예컨대 전자빔진공증착법이나 스퍼터법중 어떤 것으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어떤 방법으로도 증착속도와 굴절율의 제어성이 양호하게 된다.
더구나, ZrO2는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도 극히 안정된 재료인데, 이 점을 증명할 예로서는 대기중에서 430[℃], 5분간의 가열을 행해도 굴절율에는 전혀 변화가 발견되지 않는다고 하는 실험결과가 얻어져 있다. 또, 불화암모늄(NH4F)내에서의 에칭속도에 있어서도 SiO2나 Si3N4와 비교하여 약 1/3~1/5이라고 하는 실험결과도 얻어져 있다.
또한, 제1박막(32)으로서 SiO2를 사용한 이유는, SiO2가 진공증착법이나 스퍼터법중 어떤 방법으로도 증착속도와 굴절율의 제어성을 양호하게 하여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제1박막(32)에 SiO2를 사용함으로써, 제1박막(32)과 더불어 제2박막(34)의 형성을 진공증착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스퍼터법으로 형성하거나 하는 어떤 형성방법도 선택가능하게 되어 제조상의 자유도를 높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반도체레이저장치에 의하면, 광학설계상 및 제조상의 쌍방에 있어서 자유도가 높고, 또 반사율제어용 막은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도 극히 안정된 박막에 의해 구성되게 된다. 그에 따라, 고신뢰성이고 범용성(汎用性)이 풍부한 반도체레이저장치가 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박막(32)으로서 SiO2를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Si3N4등과 같은 굴절율이 1.8이하인 재료이어도 좋다. 또한, 제2박막(34)도 ZrO2에 한정되지 않고 굴절율이 1.9≤n2≤2.6의 범위에 있고, 바람직하게는 진공증착법이나 스퍼터법중 어떤 방법으로도 증착속도와 굴절율의 제어성이 좋게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이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도 안정된 재료이면 좋다.
이들에 의한 굴절율 및 형성방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재료로서는, ZrO2이외에 예컨대 산화세슘(CeO2; 굴절율 n≤2.2~2.5)과 황화아연(ZnS ; 굴절율n≤2.2~2.3)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를 박막(34)으로서 사용하여도 반사율제어용 막(30)자체의 반사율을 40~70%정도의 적합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ZrO2와 CeO2및 ZnS 등이 유지하는 굴절율의 범위가 1.9≤n2≤2.6이면, 반사율제어용 막(30)을 제1박막(32)과 제2박막(34)의 2층구조만으로 반사율 40~70%가 실현되게 된다. 그에 따라, 형성되는 박막의 총수를 적게 할수 있고, 막의 균일성의 향상과 막간응력의 저감, 원료대 제품비의 향상 및 공정시간의 단축 등도 더불어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율제어용 막을 공진기의 단면에 갖추고 있는 반도체레이저장치에 있어서 반사율제어용 막을 구성하는 박막으로서 그 굴절율이 적당함과 더불어 스퍼터법이나 진공증착법에 의한 형성이 쌍방으로도 용이하면서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도 안정된 박막을 사용하여 고출력의 레이저광을 발진시킬수 있고, 더욱이 고신뢰성이면서 광학설계의 제약도 적은 반도체레이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반사율제어용막(30)을 공진기의 단면(24B)에 갖추고 있는 반도체레이저장치(24)에 있어서, 상기 반사율제어용 막(30)에 적어도 제1박막(32)과 제2박막(34)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박막(32)의 막두께는 상기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발진파장을 λ라고 하고 상기 제1박막(32)의 굴절율을 n1이라고 할 때, λ/4n1(여기서 n1≤1.8)로 설정되며, 상기 제2박막(34)의 막두께는 상기 반도체레이저장치의 발진파장을 λ라고 하고 상기 제2박막(34)의 굴절율을 n2라고 할때, λ/4n2(여기서 1.9≤n2≤2.6)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레이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박막(34)은 산화지르코늄, 산화세슘 또는 황화아연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레이저장치.
KR1019910010150A 1990-06-19 1991-06-19 반도체레이저장치 KR9400057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60929 1990-06-19
JP02-160929 1990-06-19
JP2160929A JP2941364B2 (ja) 1990-06-19 1990-06-19 半導体レー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787A KR920001787A (ko) 1992-01-30
KR940005762B1 true KR940005762B1 (ko) 1994-06-23

Family

ID=1572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150A KR940005762B1 (ko) 1990-06-19 1991-06-19 반도체레이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44635A (ko)
JP (1) JP2941364B2 (ko)
KR (1) KR940005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1073B2 (ja) * 1992-09-28 2003-02-24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5440575A (en) * 1994-04-06 1995-08-08 At&T Corp. Article comprising a semiconductor laser with stble facet coating
US5802091A (en) * 1996-11-27 1998-09-01 Lucent Technologies Inc. Tantalum-aluminum oxide coatings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590920B1 (en) 1998-10-08 2003-07-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Semiconductor lasers having single crystal mirror layers grown directly on facet
KR100767698B1 (ko) * 2001-03-30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다이오드
EP1249905A1 (fr) * 2001-04-10 2002-10-16 Alpes Lasers SA Laser semi-conducteur muni d'un miroir
KR100453962B1 (ko) * 2001-12-10 2004-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의 벽개면에 윈도우층을형성하는 방법
JP2004140323A (ja) * 2002-08-20 2004-05-13 Sharp Corp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IES20030516A2 (en) * 2003-07-11 2004-10-06 Eblana Photonics Ltd Semiconductor laser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6008269A1 (en) * 2004-07-23 2006-01-26 Eblana Photonics Ltd. Single mode laser
EP2243762B1 (en) 2008-02-21 2017-07-19 Mitsui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tion of 2-propanol
CN113161459A (zh) * 2021-02-25 2021-07-23 华灿光电(浙江)有限公司 图形化衬底、发光二极管外延片及其制备方法
JP2023032403A (ja) 2021-08-27 2023-03-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スプールを制動する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2023032404A (ja) 2021-08-27 2023-03-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スプールを制動する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2023032405A (ja) 2021-08-27 2023-03-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スプールを制動する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5186A (en) * 1976-10-05 1978-04-22 Sharp Corp Semiconductor laser
JPS56100488A (en) * 1980-01-14 1981-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emiconductor laser device
JPS58111386A (ja) * 1981-12-25 1983-07-02 Hitachi Ltd 半導体レ−ザ装置の製造方法
US4751708A (en) * 1982-03-29 1988-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injection lasers
JPS62296490A (ja) * 1986-06-17 1987-12-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レ−ザ装置
JPS64785A (en) * 1986-07-29 1989-01-05 Ricoh Co Ltd Manufacture of mask semiconductor laser
JPS63128690A (ja) * 1986-11-18 1988-06-01 Fuji Electric Co Ltd 半導体レ−ザ素子
JPH01184893A (ja) * 1988-01-13 1989-07-24 Canon Inc 半導体レーザー
JPH0642582B2 (ja) * 1988-06-27 1994-06-01 シャープ株式会社 誘電体多層被覆膜
NL8801667A (nl) * 1988-07-01 1990-02-01 Philips Nv Fi - coating voor dfb/dbr laserdiodes.
JP2526277B2 (ja) * 1988-10-24 1996-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レ―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51581A (ja) 1992-02-20
KR920001787A (ko) 1992-01-30
JP2941364B2 (ja) 1999-08-25
US5144635A (en) 199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762B1 (ko) 반도체레이저장치
EP0549167A2 (en) Optical devices with electron-beam evaporated multilayer mirror
US7907651B2 (en) Laser diode
EP0118746A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US7039085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US6636542B1 (en) Surface emitting semiconductor laser, surface emitting semiconductor laser ar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rface emitting semiconductor laser
JPH08191171A (ja) 窒化物半導体レーザ素子
JPH0468798B2 (ko)
JP2855729B2 (ja) 面発光レーザ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27169A (ja) 半導体レーザ素子
US7801198B2 (en) Surface emitting laser elemen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754956B1 (ko) 반도체 레이저장치 및 레이저시스템
JPH0745910A (ja) 半導体レーザー
JP3800852B2 (ja) 面発光型半導体レーザ及びその製造方法
JP2595779B2 (ja) 面発光レーザ及びその製造方法
US6643306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in which compressive strain active layer is sandwiched between tensile strain optical waveguide layers and average strain is limited
JP3290646B2 (ja) 半導体レーザ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20040190575A1 (en) Lasers and methods of making them
JP2002305348A (ja) 半導体レーザ素子
JP3470282B2 (ja) 面発光半導体レーザとその製造方法
JP2913947B2 (ja) 量子井戸型半導体レーザ
JP2001230492A (ja) 半導体発光装置
JPH11150294A (ja) 半導体発光素子
JPS61168286A (ja) 半導体レ−ザ
JPS63211784A (ja) 量子井戸型半導体レ−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