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5519B1 -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5519B1
KR940005519B1 KR1019910018831A KR910018831A KR940005519B1 KR 940005519 B1 KR940005519 B1 KR 940005519B1 KR 1019910018831 A KR1019910018831 A KR 1019910018831A KR 910018831 A KR910018831 A KR 910018831A KR 940005519 B1 KR940005519 B1 KR 94000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ll
channel change
portabl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452A (ko
Inventor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18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5519B1/ko
Publication of KR930009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동작 수순도.
제2도는 종래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동작 수순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동작 수순도.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수동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CA(Multi Channel Access)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무선전화기로 통화도중 혼신이나 잡음등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채널변경을 시도한다. 상기 통화채널 변경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기능버튼(예 : 혼신 제거버튼)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한 휴대장치의 동작수순과 제2도에 도시한 고정장치의 동작수순에 의거하여 채널변경이 이루어졌다. 즉, 제1a도 단계에서 혼신제거 버튼이 눌러지면 이를 감지한 휴대장치 마이컴이 (b)단계에서 고정장치로 채널변경을 위한 커맨드 데이터를 송출하고 제2a도 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채널변경을 위한 커맨드 데이터를 수신한 고정장치 마이컴은 (2b)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로 응답데이터를 송출한후 (2c)단계로 진행하여 통화중이던 국선을 단순히 뮤트(Mute)하거나 홀드(Hold)한다.
이후 (2d)단계에서 혼신이나 잡음이 없는 새로운 채널을 찾아서 (2e)단계에서 성공적으로 데이터 교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고정장치의 마이컴은 (2f)단계에서 국선의 뮤트 혹은 홀드상태를 해제하여 다시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그런데 통화도중 혼신이나 잡음등이 발생하여 새로운 깨끗한 채널로 변경하고자 하는 시도는 현재 통화상태가 극도로 악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채널 변경 시도시 장시간(3초이상)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종래와 같이 통화하던 상태를 단순히 뮤트하거나 홀드하면 통화하던 상대편에게 전화가 끊긴것같은 착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상대방이 전화를 끊을 위험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MCA 방식 무선전화기의 사용도중 수동으로 채널을 변경할 때 통화중이던 상대가 전화를 끊지 않도록 보류음이나 전자식 다이얼음을 송출하는 무선전화기 수동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구성도로서,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30)과, 각종 전화번호나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0)와, 고정 장치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0)와, 고정장치에 장착시 충전되어 휴대장치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부(40)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90)와, 상기 마이컴(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마이크(9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대역신호를 안테나(100)를 통해 전파 송신하는 송신부(80)와, 상기 안테나(100)을 통해 전파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컴(30)의 제어를 받아 복조한 뒤 스피커(50)로 출력하는 수신부(60)와,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채널 데이터를 받아 송수신 채널 설정 주파수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80,60)를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부(70)와, 상기 키입력 상태나 휴대장치의 상태등을 나타내는 표시부(120)로 구성한다.
제4도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구성도로서, 고정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마이컴(35)과, 각종 전화번호나 데이터 및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15)와, 휴대장치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5)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95)와, 상기 마이컴(35)의 제어를 받아 상기 마이크(9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대역신호를 변조하여 안테나(105)를 통해 전파 송신하는 송신부(85)와, 상기 안테나(105)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대역 신호를 상기 마이컴(35)의 제어를 받아 복조 출력하는 수신부(65)와, 상기 마이컴(35)으로부터 채널 데이터를 받아 송수신 채널 설정 주파수에 따라 상기 송수신부(85,65)를 제어하는 송수신 제어부(75)와, 상기 키입력 상태나 고정장치의 상태등을 나타내는 표시부(125)와, 상기 마이컴(35)의 제어를 받아 전자식 다이알 음을 발생하는 전자식 다이알 발생기(132)와, 상기 마이컴(35)의 제어를 받아 보류음악을 발생하는 보류음악 발생기(134)와, 상기 마이컴(35)의 제어를 받아 유선 통로인 전화선(T,R)과 고정장치를 인터페이싱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138)와, 상기 송,수신부(85,65)와 라인인터페이스부(138)와 전자식 다이얼 발생기(132) 혹은 보류 음악발생기(134)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35)의 제어상태에 따라 스피치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네트워크 제어부(136)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136)와 마이컴(35) 및 스피커(55)와 연결되어 상기 마이컴(35)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폰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폰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동작 수순도이다(본 발명에 따른 휴대장치의 동작 수순은 제1도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보류음악 송출기능을 갖는 MCA 무선전화기의 경우, 통화도중 혼신이나 잡음등으로 통화가 어려울 때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하여 일정한 버튼(예 : 혼신제거버튼)을 누르면 휴대장치 마이컴(30)이 제1도의 (5a)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b)단계로 진행하여 채널변경을 위한 커맨드데이터를 고정장치로 송출한다. 제5도의 (5a)단계에서 채널변경을 요구하는 상기의 데이터를 수신한 고정장치 마이컴(35)은 (5b)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로 응답데이터를 송출한후 (5c)단계로 진행하여 국선과의 통화로를 차단하고 대신에 보류음악발생기(134)를 제어하여 보류음악을 국선(통화상대)으로 송출시키는 동작을 취한다. 이후 (5d)단계에서 사용하지 않는 채널로 다시 통화를 형성시키기 위한 새로운 채널선택 및 교신을 실시하여 (5e)단계에서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상기 고정장치의 마이컴(35)은 (5f)단계에서 국선으로 송출하던 보류음악을 멈추고 통화로를 열어서 통화를 재개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한다.
다음으로 보류음악 송출기능이 없고 전자식 다이얼링 가능한 MCA 무선전화기의 경우도 상기 보류음악 송출기능을 갖는 MCA 무선전화기의 경우와 동일한 동작 수순을 거쳐 채널변경을 실시하되 다만 보류음악 대신에 전자식 다이얼을 송출하는 것이 틀리다. 즉, 통화도중 채널변경을 위한 기능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휴대장치의 마이컴(30)은 보류음악 송출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와 동일하게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일정한 커맨드 데이터를 고정장치로 송출한다. 휴대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 고정장치의 마이컴(35)은 통화로(휴대장치와 국선간)를 차단하고 고정장치 세트내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식 다이얼 발생기(132)를 미리 정하여둔 순서에 따라서 제어하여 보류음악과 유사하게 국선으로 송출시킨다. 새로운 사용하지 않는 채널로 통화를 재개하기 위한 교신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장치 마이컴(35)은 상기 전자식 다이얼 발생기(132)를 디스에이블 시켜서 더 이상 전자식 다이얼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휴대장치와 국선간의 통화로를 열어서 통화를 재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도중 채널의 변경이 가능한 MCA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혼신이나 잡음 발생시 채널을 변경하는 얼마간의 시간동안 통화중이던 상대가 보류음을 듣거나 전자식 다이얼음을 듣게 함으로써 통화상대가 통화먹통 상태에서 전화를 끊을 위험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MCA방식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장치에서 채널변경 버튼 입력 감지시 고정장치로 채널 변경 데이터를 송출하면 상기 고정장치에서 이를 수신하고 응답데이터를송출함과 동시에 휴대장치와 국선간의 통화로를 차단하고 전자식 다이얼음을 보류음악과 유사하게 국선으로 송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응답데이터를 수신한 휴대장치와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고정장치가 새로운 채널 선택 및 교신을 실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완료후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전자식 다이알음 송출을 중지하고 상기 휴대장치와 국선간의 통화로를 열어 통화를 재개시키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채널 변경시 국선 처리방법.
  2. 보류음악 발생기를 구비한 MCA방식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장치에서 채널변경 버튼 입력 감지시 고정장치로 채널변경 데이터를 송출하면 상기 고정장치에서 이를 수신하고 응답데이터를 송출함과 동시에 휴대장치와 국선간의 통화를 차단하고 상기 보류음악 발생기를 제어하여 보류음을 국선으로 송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고정장치로부터 응답데이터를 수신한 휴대장치와 상기 제1과정을 수행한 고정장치가 새로운 채널 선택 및 교신을 실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완료후 상기 고정장치가 상기 보류음 송출을 중지하고 상기 휴대장치와 국선간의 통화로를 열어 통화를 재개시키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처리방법.
KR1019910018831A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KR94000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31A KR940005519B1 (ko)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831A KR940005519B1 (ko)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452A KR930009452A (ko) 1993-05-22
KR940005519B1 true KR940005519B1 (ko) 1994-06-20

Family

ID=1932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831A KR940005519B1 (ko) 1991-10-25 1991-10-25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55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452A (ko) 199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2503B2 (ja) 無線電話機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KR910004423B1 (ko) 무선 전화 시스템
KR950007401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WO1992020170A1 (fr) Appareil de radiotelephonie avec eliminateur d'echo
JP2941963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2244856A (ja) 無線電話装置
KR940005519B1 (ko)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KR920009382B1 (ko)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3140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JP3412988B2 (ja)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を備えた音声通信装置
JP3191595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の送受信制御方法
KR100640443B1 (ko) 휴대폰에서 스피커폰 모드시 송/수신 음성신호의 스위칭 제어방법
JP348731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RU2154922C1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зова и ведения радиосвязи
JPH02233043A (ja) 無線電話装置の制御方法
JP2762496B2 (ja) 送受信装置
JP3088379B2 (ja) スピーカホン通話機能を備えた通信端末装置
JPH05227132A (ja) 無線通信装置
JPH09153929A (ja) 音声消去装置
JPH0487444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10257560A (ja) 無線通信装置
JPH02237327A (ja) 無線電話装置
JPH04165742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