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382B1 -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382B1
KR920009382B1 KR1019900003565A KR900003565A KR920009382B1 KR 920009382 B1 KR920009382 B1 KR 920009382B1 KR 1019900003565 A KR1019900003565 A KR 1019900003565A KR 900003565 A KR900003565 A KR 900003565A KR 920009382 B1 KR920009382 B1 KR 920009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ignal
main body
modulation degre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483A (ko
Inventor
유지 우메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본체장치 통화종료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챠트.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내어진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감쇠회로의 한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
제5도는 통과종료 조작시에 있어서 본체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6도는 통화종료 조작시의 무선전화기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7도는 보류 조작시의 본체 장치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8도는 보류 조작시의 무선전화기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장치 2 : 무선장치
3 : 유전전화회선 5 : 하이브리드 회로
7 : 송신기 10 : 수신기
12 : 신써사이저 13 : 수신전계검출회로
14 : 식별 신호검출회로 15 : 보류회로
본 발명은 유선 전화회선과 접속된 본체장치와, 이 본체장치와 무선회선을 통해 접속된 무선전화기를 구비하고, 이 본체장치와 무선전화기와의 사이에 있는 복수의 무선 채널중 비어있는 무선 채널을 검출하여 음성 및 제어신호등을 송수신하는 멀티엑세스방식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보류 조작시나 통화 종료조작시 등에 있어서 유전전화회선으로 누설되는 제어신호 레벨이 작아지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이러한 종료의 무선전화장치의 종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본체장치(1)는 무선전화기(2)와 무선전화회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유선전화회선(3)과 접속되어 있다.
유선전화회선(3)으로부터 보내져온 신호는 라인 스위치(4), 하이브리드 회로 (5) 및 송신음성 스위치(6)를 통해 송신기(7)의 변조 입력으로서 입력된다.
송신기(7)에서 변조된 전파는 송신 안테나(8)에 의해 무선전화기(2)로 송신된다.
한편 무선전화기(2)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수신 안테나(9)로 수신되고 수신기 (10)에서 복조된다.
복조된 신호는 음성스위치(11), 하이드리브회로(5) 및 라인스위치(4)를 통해 유선전화회선(3)으로 송출된다.
신써사이저(12)는 무선채널(통화채널 및 제어채널)에 대응한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송신기(7) 및 수신기(10)로 출력한다.
수신기(10)의 복조출력중 하나는 전게강도를 판정하기 위해 수신 전개검출회로 (13)에 입력된다.
이 회로(13)는 캐리어 스켈치회로 또는 노이즈 스켈치회로등을 사용해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로부터의 또하나의 복조출력은 수신복조파에 포함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출력되고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를 조합함에 따라 정해진 식별신호 (ID코드)를 대조하는 식별신호검출회로(14)에 입력된다.
이들 수신전계 검출회로(13), 식별신호검출회로(14)의 출력 및 데이타 신호의 복조출력은 제어회로(16)에 입력되고 접속제어에 사용된다.
제어회로(16)는 신써사이저(12)를 제어함으로써 무선채널을 변경함을 제어하거나 송신기(7)에 송신 데이터 신호를 변조 입력으로서 송출시키는 등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보류회로(15)는 무선전화기(2)에서 보류조작(키패드(29)의 보류버튼(29a)을 조작하는 것)이 행해질때 유전전화회선(3)으로 음악소리를 송출시키는 회로이다.
한편 무선전화기(2)에서도 마찬가지로, 수신 안테나(18), 수신기(19)가 설치되어 있으며 수신기(19)의 복조출력을 수화기(20)로 출력된다.
또한 송화기(21)로 부터 입력되어진 음성은 송신기(22)의 변조입력이 되고 송신안테나(23)에 의해 송신되어진다.
신써사이저(34), 수신전계 검출회로(24) 및 식별회로 검출회로(25)는 본체장치(1) 내부에 있는것과 동등하며, 제어회로(27)는 무선전화기(2)를 제어한다.
훅스위치(28)는 호출신호발신(이하 "발호"(發呼)라고함)시와 통화종료시에 조작된 것이며 그 출력신호는 제어회로(27)에 입력된다.
다이얼 키패드(29)는 다이얼 조작이나 회전보류 조작을 행하는 것이며 그 출력신호는 제어회로(27)에 입력된다.
스피커(30)는 호출신호 도착(이하 "착호"(着呼)라고 함)시 호출음을 발생시키는 음성 발생기이다.
이들의 전원계에 대해 말하면 본체장치(1)에 있어서는 AC 100V로 AC플라그 (31)를 접속하고 정류 안정화회로(32)의 출력을 각 회로에서 사용한다.
또한 무선전화기(2)에 있어서는 충전시킬 수 있는 전지(33)의 출력을 무선전화기(2)의 전원으로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의 착신시의 제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장치(10)는 대기시에 유선전화 회로(3)으로부터 온호출신호를 검출하면 신써사이저(12)의 발진주파수를 채널 주파수로서 설정하고 송신기(7)를 온시키고 착신신호를 송신한다.
그때 착신신호중에는 통화채널(S-CH)을 지정하는 통화채널 지정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무선전화기(2)는 대기시에 일정시간 동안 신써사이저(34)를 온시키고 그 발진주파수를 제어채널 주파수로서 설정함과 동시에 수신기(19)를 온시킨다.
그때 착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송신기(22)를 온시키고 자기에 할당된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착신 응답신호를 송출시키고 나서 본체장치(1)로부터 지정을 받은 통화채널(S-CH)로 변경한다.
본체장치(1)는 무선전화기(2)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전개 검출회로(13)로 검출하면 착신신호의 송출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착신 응답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ID코드가 일치되면 착신신호로 지정된 S-CH로 변경된다.
여기서 ID코드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 다른 조합의 무선전화기가 응답한 것이므로 유선전화회선(3)으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정지됨을 기다린 후 대기상태로 되도록 되어있다.
S-CH로 변경한 후 본체 장치(1)는 벨작동신호를 송출한다.
무선전화기(2)는 이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음성발생장치(30)로부터 호출음을 송출시킨다.
그리하여 통화자가 이에 대답하여 훅스위치(28)를 온조작에 의해 오프훅하면 무선전화기(2)는 호프훅신호를 송출하고 통화상태가 된다.
한편 본체장치(1)는 호프훅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벨작동신호의 송출을 정지시키고 라인 스위치(4)를 폐쇄시켜서 유선전화선(3)과의 통화루프를 형성함으로써 통화상태가 된다.
한편 무선전화기(2)로부터 발신하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유선전화회선(3)에 대해 발호하기 위해 훅스위치(28)를 온하면 제어회로 (27)는 스위치(28)가 온됨에 따라 발호동작으로 옮겨가야 한다고 판정하여 신써사이저(34)의 발진주파수를 제어채널로 로크하면서 수신기(19)를 온시킴으로써 제어채널(C-CH)에서 전파를 수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채널에 있어서 수신전파의 수신전계 검출회로(24)의 검출신호에 따라 검출하여 일정한 값보다 수신 전계강도가 낮을때에는 제어채널이 비어있다고 판정하여 송신기(22)를 온시킴으로서 자기에 할당된 ID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발호신호를 발신시킨다.
한편 본체장치(1)는 제어채널의 수신전파의 수신여부를 감시하고 있는데, 무선전화기(2)로부터의 발호신호를 수신하면 그 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ID코드와, 무선전화기(2)와의 조합에 할당되어 있는 ID코드의 일치여부를 판정하고 일치된 경우에는 송신기(7)를 온시킴으로서 무선전화기(2)에 대해 발호 응답신호 (ID코드, S-CH을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시킨다.
무선전화기(2)는 제어채널에 있어서 본체장치(1)로부터의 발호응답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ID코드와 자기 ID코드의 일치여부를 검출하고 일치된 경우에는 신써사이저(34)의 발진 주파수를 본체장치(1)에 의해 지정된 통화채널 주파수로 변경한다.
한편 본체장치(1)에서도 발호응답신호를 송신한 후 신써사이저(12)의 발진주파수가 통화하기 위해 지정된 통화채널의 주파수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본체장치(1)와 무선전화기(2), 본체장치(1)가 지정된 통화채널로 접속되게 되며 그후의 다이얼키패드(29)를 이용한 다이얼 조작에 의해 유선전화선(3)과 접속된 전화기를 호출하고 통화상태로 할 수 있다.
그후 통화가 종료되고나서 훅스위치(28)가 온훅되면 제어회로(27)는 유선전화회선(3)과의 접속상태를 절단하기 위해 절단지시용 통화종료신호를 송신기(22)에 입력하여 이 통화 종료신호를 송신안테나(23)로부터 송신시킨다.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6)는 수신기(10)를 통해 통화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우선 음성스위치(11)를 오프함으로써 수신기(10)와 하이브리드 회로(5)와의 음성경로를 절단하고, 다음에 통화종료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ID코드가 미리 할당된 ID코드와 일치되고 제어명령이 통화종료 명령인 경우 라인 스위치(4)를 오프함으로써 유선전화회선(3)과의 접속상태를 절단한다.
즉 무선전화기(2)로부터 송신되는 통화종료신호는 제2a도에 나타낸 것처럼 비트 동기신호(41), 프레임 동기신호(42), ID코드신호(43), 통화종료 명령신호(44)에 의해 소정비트의 길이로 구성된 데이터신호이다.
그리고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6)는, 비트 동기신호(41)에 계속해서 프레임 동기신호(42)가 검출된 시점에서 제2b도와 같이 음성스위치(11)를 오프하며, 그리고나서 ID코드신호(43)가 지가에 할당된 ID코드와 일치되고 제어명령이 통화종료 명령신호(44)인 경우에는 제2c도에 나타낸 것처럼 라인 스위치(4)를 오프한다.
그후 본체장치(1)는 통화종료 응답신호를 무선전화기(2)로 송신함으로써 무선전화기(2)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
그런데 제2도의 타임챠트에서 볼수 있듯이 통화종료함에 있어서 본체장치(1)의 제어회로(16)는 프레임 동기신호(42)가 검출된 시점에서 음성스위치(11)를 오프시키기 때문에, 비트동기신호(41)가 송출되고 나사이 스위치(11)가 오프될때까지 시간 t에 있어서는 비트동기신호(41)나 프레임 동기신호(42)가 제2d도에 나타낸 것처럼 유선전화회선(3)에 송출되게 된다.
즉 통화음성과 관계가 없는 제어신호가 유선전화회선(3)에 누설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비트 동기신호(41)등의 신호레벨이 작으면 큰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종래부터 무선 전화기(2)가 서비스 영역의 가장자리에 있더라도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화신호등의 제어신호의 변조정도를 높힘으로써 충분한 S/N비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유선 전화회전(3)에 누설되어지는 제어신호 레벨이 상당히 크게된다.
그러므로 유선전화 회전측 통화상대자에게 이 소리가 불쾌한 잡음으로서 들리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통화종료시 뿐만 아니라 보류조작에 따라 수신 음성스위치(11)를 오프하고 나서 보류상태가 됨을 나타낸 음악소리를 송출할때까지에 있어서도 같은 형상이 나타나 통화상대자에게 불쾌감을 주게된다.
특히 보통조작시는 통화 상대자가 통화상태대로 송수화기를 귀에 대고 있기 때문에 그 영향이 더 크다.
본 발명은 유선전화 회선측에 누설되는 제어신호 레벨을 작게함으로서 통화상대자에 불쾌감을 주지않도록한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선전화 회전측에 누설되는 제어신호 레벨을 작게함과 동시에 통화종료 조작, 혹은 보류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 무선회선을 통해 송신되는 변조정도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정도의 가변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종료 조작 또는 보류조작이 행해질때에는 통화종료 또는 보류등을 위한 제어신호의 변조정도가 작게되도록 제어된다.
이에 따라 유전전화 회선측에 누설되는 제어신호 레벨이 작아지므로 직접적으로 상대자에 대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통화종료조작 또는 보류조작이 행해질때에는 통화 또는 보류등을 위한 제어신호의 변조정도를 작게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그때 제어신호가 본체장치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신호의 변조정도를 원상태로 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유선 전화회선측에 누설되는 제어신호레벨을 작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종료조작, 혹은 보류조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제어회로(27)와 송신기(22)외의 사이에 가변감쇠회로(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변감쇠회로(50)는, 제어회로(27)로부터 송신기(22)로 송출되는 통화신호, 보류신호등의 제어신호의 레벨을 가변제어함으로써 무선전화기(2)로부터 본체장치 (1)로 송출되는 제어신호의 변조 정도를 가변 제어한다.
기타의 구성은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다.
한편 설명의 편의상 제1도에 나타낸 구성과 같은 기능을 가진 부분에 대해서는 제1도와 동일한 기호를 붙인다.
가변 감쇄회로(50)의 한 구성예가 제4도에 나타내어져 있다. 제4도에 있어서 가변감쇄 회로(50)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감쇠 장치(51)(52)와, 입력축 감쇠장치(52)의 양단부를 제어부(27)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단락(쇼트)시키는 스위치(53)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플로우 챠트를 통해 통화종료 조작된 경우의 본체장치(1) 및 무선전화기(2)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5도를 참조하여 본체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장치(1)는 통화상태시(스텝 (61)에 무선전화기(2)로부터의 제2a도에 나타낸 신호포맷의 통화종료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동기신호를 조건으로 음성스위치(11)를 오프한다(스텝 62,63).
다음에 ID코드가 자국(自局)에 할당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되어 있는지, 그리고 제어명령이 통화종료 명령인지 어떤지를 판정하고(스텝 64), ID코드가 자국에 할당되어 있는 것과 일치됨과 동시에 제어명령이 통화종료 명령이라면 라인 스위치(4)를 오프함과 동시에 무선전화기(2)로 통화종료 응답신호를 송신한다(스텝 65,66).
그리고 ID코드가 자국 ID코드와 일치되지 않는 때 또는 제어명령이 통화종료 명령이 아닌때는 수신음성 스위치(11)를 온함으로써 유선전화회선(3)과의 접속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67).
다음에 제6도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27)는 통화상태에 있을때(스텝 70), 훅스위치(28)가 온훅 조작되면(스텝 71), 통화종료 신호를 가변감쇠 회로(50)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가변감쇠회로(50)의 스위치(53)를 오프하도록 제어한다(스텝 72).
이에따라 제어회로(27)로부터 출력된 통화종료신호는 이 가변감쇠회로(50)를 통해 평상시보다 큰 감쇠정도로 감쇠되고 송신기(22)의 변조입력에 가해진다.
이에따라 통화종료 신호가 평상시보다 작은 변조정도로 변조되고 본체장치(2)로 송신된다.
그후 통화종료 응답신호의 도착을 감시하기 위한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스타트시킨다(스텝 73).
그리고 이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기전에 본체 장치(1)로부터 통화종료 응답신호가 도착되면(스텝 74), 제어회로(27)는 무선전화기(2)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75).
그러나 타임아웃이 되기전에 통화종료 응답신호가 도착되지 않으면 통화종료 신호송출을 일단 정지시킴과 동시에 가변감쇠회로(50) 내부의 스위치(53)를 온시킨다(스텝 76-77).
그리고 다시 통화종료 응답신호가 도착됨을 감시하기 위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스텝 78), 그 타이머 시간내에 통화종료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무선전화기(2)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79,80).
그러나 타임아웃이 되어도 통화 종료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무선전화기 (2)를 강제적으로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81,82).
요약해서 말하면 무선전화기(2) 통화종료를 행함에 있어서는 먼저 평상시보다 작은 제1의 변조정도로 변조된 첫번째의 통화종료 신호를 송신한다.
만약 제1의 변조정도의 통화종료 신호가 본체장치(1)에서 수신되고 통화종료 응답신호가 보내져 오면 두번째의 통화종료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무선전화기(2)와 본체장치(1)가 떨어져 있는 등의 이유로, 제1의 변조정도의 통화종료 신호가 본체장치에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확실하게 통화종료를 행하기 위해 변조정도를 제1의 변조정도보다 큰, 평상시의 제2의 변조정도로 변조된 통화종료 신호를 송신하고 그 응답신호가 보내져온 시점에서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첫번째의 통화종료신호에 따라 통화종료가 될 경우는 그 변조정도가 평상시의 변조정도보다 작게 되어 있으므로 유선전화회선(3)에 누설되는 통화종료 신호레벨이 작아서 통화상대자에 줄 불쾌감을 없앨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화종료 신호의 가변정도를 첫번째와 두번째에서 가변시킴으로써 유선전화회선(3)에 누설되는 제어신호 레벨을 작게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종료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장치(1)로부터의 수신 전계강도가 미리 판명되도록 하면 그 수신정계 강도가 낮을때만 통화종료 신호의 변조정도를 높힘으로써 통화종료 신호의 송출횟수를 한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통화종료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가 아니어도 보류신호를 송신할 경우에도 똑같이 적용함으로써 보류용 음악소리가 송출될때까지의 사이에 유선전화 회선(3)에 누설되는 제어신호레벨을 작게 하여 통화상대에 줄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보류조작된 경우의 본체장치(1) 및 무선전화기(2) 동작을 플로우 챠트로 나타낸다.
제7도를 참조하여 본체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장치(1)는 통화상태시(스텝 91)에 무선전화기(2)로부터의 보류신호가 수신되면 그 신호중에 포함되어 있는 프레임 동기신호를 검출한 조건으로 음성스위치 (11)를 오프한다(스텝 92,93).
여기서 보류신호는 제2a도에 나타낸 신호 포맷과 동일한 신호포맷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ID코드가 자국에 할당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되어 있는지, 그리고 제어명령이 보류 명령인지 어떤지를 판정하고 (스텝94), ID코드가 자국에 할당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됨과 동시에 제어명령이 모류명령이라면 보류회로(15)를 기동시켜 유선전화회선(3)에 보류용 (음악소리)을 송출함과 동시에 무선전화기(2)로 보류 응답신호를 송신한다(스텝 95,96).
그러나 ID코드가 자국 ID코드와 일치되지 않는때 또는 제어 명령이 보류명령이 아닌때는 수신음성스위치(11)를 온함으로써 유선전화회선(3)과의 접속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97).
다음에 제8도의 플로우 챠트에 있어서,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27)를 통화상태에 있을때 (스텝 100), 기패드(29)로 훅스위치(28)가 보류조작(보류버튼(29a)의 조작)되면 (스텝 101), 보류신호를 가변 감쇠회로(50)로 출력시킴과 동시에 가변감쇠회로(50)의 스위치(53)를 오프하도록 제어한다(스텝 102).
이에따라 제어회로(27)로부터 출력된 보류신호는 이 가변감쇠회로(50)를 통해 평상시보다 큰 감쇠정도로 감쇠되고 송신기(22)의 변조입력에 가해진다.
이에 따라 보류신호가 평상시보다 작은 변조정도로 변조되고 본체장치(2)로 송신된다.
그후 보류 응답신호의 도착을 감시하기 위한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스타트시킨다(스텝 103).
그리고 이 타이머가 타임아웃이 되기전에 본체 장치(1)로부터 보류 응답신호가 도착되면(스텝 104), 제어회로(27)는 무선전화기(2)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105).
그러나 타임아웃이 되기전에 보류응답신호가 도착되지 않으면 보류신호 송출을 일단 정지시킴과 동시에 가변감쇠회로(50) 내부의 스위치(52)를 온시킨다(스텝 106-107).
그리고 다시 보류응답신호가 도착됨을 감시하기 위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스텝 108), 그 타이머 시간내에 보류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무선전화기(2)를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109,110).
그리고 타임아웃이 되어도 보류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보류가 되지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통화상태로 한다(스텝 111,112).
이와 같이 보류신호의 변조정도를 첫번째와 두번째에서 가변시킴으로써 유선전화회선(3)에 누설되는 제어신호 레벨을 작게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보류를 확실하게 행할수 있다.

Claims (17)

  1. 유선회선에 접속된 본체장치와, 상기 본체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무선전화기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로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시키는 제어신호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로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신시키는 음성신호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유선회선으로 송신시키는 음성 스위치장치와, 상기 제어신호 송신장치로 송신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음성스위치장치를 오프시키는 지시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변조정도를 작게 변화시키는 변조정도 가변 제어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정도 가변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신호가 통화종료를 지시하는 통화종료 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변조정도를 작게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정도가 가변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유선회선의 보류를 지시하는 보류신호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변조정도를 작게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정도 가변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입력될 변조신호 레벨을 감쇠시키는 가변 감쇠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감쇠회로는 제1의 감쇠회로와, 상기 제1의 감쇠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제2의 감쇠회로와, 상기 제1의 감쇠회로를 단락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를 오프함으로써 상기 변조신호 레벨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장치.
  6. 유선회선에 접속된 본체장치와, 상기 본체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무선전화기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로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제어신호를 송신시키는 제어신호 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로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음성신호를 송신시키는 음성신호송신장치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유선회선으로 송출시키는 음성 스위치장치와, 상기 제어신호 송신장치로 송신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음성스위치장치를 오프시키는 지시인 경우 상기 제어신호의 변조정도를 작게 변화시키는 변조정도 가변제어장치와, 상기 변조정도 가변제어장치에 의해 변조정도가 작게 변화된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 장치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 제어신호를 크게하여 다시 송출하는 재송출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스위치장치의 오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는 통화종료를 지시하는 통화종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스위치장치의 오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는 유선회선의 보류를 지시하는 보류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정도 가변제어장치는 상기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입력되는 변조신호 레벨의 감쇠정도를 제어하는 가변 감쇠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감쇠회로는 제1의 감쇠회로와, 상기 제1의 감쇠회로에 직렬로 접속된 제2의 감쇠회로와, 상기 제1의 감쇠회로를 단락시키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함으로써 상기 변조신호 레벨의 감쇠정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1. 유선회선에 접속된 본체장치와, 상기 본체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무선전화기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로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제1의 변조정도로 송신하는 제1의 제어신호 송신장치와, 상기 제1의 제어신호 송신장치에 의해 송신된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 장치에서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의 변조정도 보다 큰 제2의 변조정도로 송신하는 제2의 제어신호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유선회선으로 송출하는 음성스위치장치의 오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통화종료를 지시하는 통화종료 신호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유선회선의 보류를 지지하는 보류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5. 유선회선에 접속된 본체장치와, 상기 본체장치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무선전화기와,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로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유선회선으로 송출하는 음성스위치장치의 오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신호 송신장치로 구성된 무선전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제1의 변조정도로 상기 무선전화기로부터 상기 본체장치로 송신하는 스템과, 상기 제1의 변조정도로 송신된 제어신호가 상기 본체장치에서 수신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의 변조정도 보다 큰 제2의 변조정도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스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스위치장치의 오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는 통화종료를 지시하는 통화종료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스위치장치의 오프를 지시하는 제어신호는 유선회선의 보류를 지시하는 보류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9900003565A 1989-03-15 1990-03-15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20009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2619 1989-03-15
JP01-062619 1989-03-15
JP1062619A JPH02241235A (ja) 1989-03-15 1989-03-15 無線電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483A KR900015483A (ko) 1990-10-27
KR920009382B1 true KR920009382B1 (ko) 1992-10-15

Family

ID=1320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565A KR920009382B1 (ko) 1989-03-15 1990-03-15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46081A (ko)
JP (1) JPH02241235A (ko)
KR (1) KR920009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930A (ja) * 1992-08-10 1994-03-04 Uniden Corp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誤動作防止方法
JP3195704B2 (ja) * 1993-12-14 2001-08-06 ユニデン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7283743A (ja) * 1994-04-12 1995-10-27 Fujitsu Ltd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送信装置
US6285296B1 (en) * 1994-11-10 2001-09-04 Audiovox Corporation Differential range remote control
US6321080B1 (en) * 1999-03-15 2001-11-20 Lucent Technologies, Inc. Conference telephone utilizing base and handset transducers
JP5004698B2 (ja) * 2007-07-02 2012-08-22 ユニデン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JP6328975B2 (ja) * 2014-03-28 2018-05-2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無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0570A (en) * 1977-09-09 1979-02-14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Radio transmission systems
JPS6110327Y2 (ko) * 1980-01-10 1986-04-03
US4629829A (en) * 1984-12-14 1986-12-16 Motorola, Inc. Full duplex speakerphone for radio and landline telephones
DE3650533T2 (de) * 1985-02-14 1996-10-31 Nippon Electric Co Funkübertragungssystem mit Einrichtung zur Verhinderung des Abhörens eines zwischen einer Feststation und einer mobilen Station übertragenen Funkübertragungssignals
JPS6261431A (ja) * 1985-09-12 1987-03-18 Kokusai Denshin Denwa Co Ltd <Kdd> 送信電力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483A (ko) 1990-10-27
JPH02241235A (ja) 1990-09-25
US5046081A (en) 199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0986A (en) Dual mod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electively designating analog or digital mode
US6272359B1 (en)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multiple units
JP3563401B2 (ja) デュアル・システム・セルラ・コードレス無線電話の装置および方法
JPH10304030A (ja) 携帯電話装置
US6026084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910006612B1 (ko) 무선통신방식
KR910005651B1 (ko) 무성통신장치
IL44474A (en) Battery saving system for duplex radio system
KR920009382B1 (ko) 무선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2252329A (ja) 無線電話装置
JPS6329458B2 (ko)
KR960011365A (ko) 의사 간섭을 억제할수 있는 전화기 및 무선 전화기
US5136629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ntrol method for shortening call response time
KR940000850B1 (ko) 무선 전화 장치
JP2665132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アクセス方式の無線電話装置
JPS6243230A (ja) コ−ドレス電話器
JPH0332122A (ja) 移動無線通信端末の送信出力制御方式
JP2737860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892388B2 (ja) 無線電話装置
JPH0147057B2 (ko)
JPH09321843A (ja) 携帯電話機着信信号報知装置
JPH04236597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2233043A (ja) 無線電話装置の制御方法
KR940005519B1 (ko) 무선전화기의 수동 채널 변경시 국선 상태 처리 방법
JPH01160123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