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4006B1 - 테이프 유도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유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4006B1
KR940004006B1 KR1019910006255A KR910006255A KR940004006B1 KR 940004006 B1 KR940004006 B1 KR 940004006B1 KR 1019910006255 A KR1019910006255 A KR 1019910006255A KR 910006255 A KR910006255 A KR 910006255A KR 940004006 B1 KR940004006 B1 KR 94000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induction
vibration
guide
indu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791A (ko
Inventor
에쯔로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2/00Winding, tensioning, or guiding
    • Y10S242/907Vibration creation or dampening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유도 장치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유도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상기 테이프 유도 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테이프 유도 장치가 어떻게 베이스상에 장착되는가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라인 Ⅳ-Ⅵ를 따라 화살표 방행으로 자른, 제2도의 유도 부재에 발생된 정재파(standing wave)의 도표.
제5도는 유도 부재의 단면에서 발생된 정재파의 함수도.
제6도는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를 가진 제2도의 라인 Ⅳ-Ⅵ를 따라 자른 함수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제7도는 테이프 유도 장치의 단면도이고, 제8도는 제7도의 평면도.
제9도는 테이프 유도 장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테이프 유도 장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전통 예시의 단면도.
제12도는 다른 전통 예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유도 장치 2 : 유도 부재
3 : 초음파 진동기(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
4 : 지지부재
7 : 지지 샤프트 8 : 장착 부재
9, 10 : 상, 하부 플랜지 15 : 장착 나사
16 : 경사 조절핀 17, 22 : 회전 방지핀
30 : 원형 일치 리세스
31 : 직사각형 제륜 돌기
35 : 코일 스프링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나 혹은 유사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테이프 유도 장치, 구체적으로는 초음파 진동이 테이프와의 접촉시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서 1989년 일본국 특허출원 제53287호에 출원된 예를 포함하는 종래의 테이프 유도 장치가 알려져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공재된 테이프 유도 장치(1)는 장착 부재(8), 그곳에 고정된 한쌍의 지지 샤프트(7), 그의 측면부 안으로 고정된 지지 샤프트의 선단부에 의해 보유되며 둘레에 감겨진 테이프를 예정된 각으로 유도시키기 위한 유도 부재(2) 및 한 단부는 유도 부재(2)에 또다른 단부는 장착 부재(8)에 접합되며 초음파 진동기로 작용하는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 부재(2)는 테이프 및 유도 부재(2) 접촉면상의 분자 상호간의 인력 및 원자 상호간의 인력으로부터 파생된 접합과 그러한 접촉면상의 불규칙성의 추진 및 미가공으로 인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로부터의 파를 지속시키므로서 진동되며, 따라서 마찰력은 감소된다.
제10도는 본 출원인에 의하여 1989년 일본국 특허출원 제58449호에 출원된 또다른 종래의 테이프 유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12도에서의 테이프 유도 장치는, 리세스(2a)가 유도 부재(2)의 일부에 형성되며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양단부는 리세스(2a)에 단단히 고정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종래의 예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제11도에서의 전자의 종래예에 있어서, 지지 샤프트(7) 및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열 팽창계수는 서로 다르며, 그 결과 유도 부재(2)에 대한 위치상의 정밀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한 단부는 언급된 바와 같이 유도 부재에 단단히 부착되므로, 상기 정재파 주파수 특성은 장착 부재(8) 및 지지 샤프트(7)의 진동에 의해 혼란되어지도록 유해한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공진제어가 어렵게 되며 진동 효율이 감소한다.
부가적으로 유도 부재(2)에서 일어난 정재파는 장착 부재(8) 및 지지 샤프트 (7)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영향을 받은 부분적인 정재파는 테이프에 대한 마찰의 완전한 감소에 도달하는데 실패하도록 방해를 받는다. 상기 언급한 것이외에, 유도 부재의 마찰은 테이프 운동의 명백한 불안정화를 야기하는 부분적 불균형을 발생시킨다.
반면에 리세스(2a)가 유도 부재(2)의 일부에 형성되는 제12도의 후자의 종래예에 있어서,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양단부는 리세스(2a)에 단단히 부착되며 그 결과 다른 부재에 대한 진동의 유해한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도 부재(2)는 특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유도 부재(2)의 공진 특성을 얻어내기가 매우 어렵고 상기 정재파의 파형은 상술한 종래의 예와 비슷하게 혼란되어져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부가적으로, 구성 요소에 관한 고정밀도의 요구와 리세스(2a)를 절단하는 등의 공정을 갖는 조립의 결과 높은 생산비를 요구하게 되는 또다른 문제점을 발생한다.
또한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열 팽창은 작동되는 동안 일어나는 열에 의해 일어나며 따라서 리세스(2a)에 부착된 면은 유도 부재(2)를 연속 뒤틀기 위해 가압되며, 따라서 마찰의 완전 감소에 실패하여 상기 테이프 운동에 해로운 형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용이한 우도 부재의 공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도 부재에서 일어나는 정재파가 어떠한 불필요한 진동 요소도 포함되지 않는 단순하고 정연한 파형을 갖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높은 Q인자를 갖는 유도 부재 공진을 포함하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큰 진폭의 정재파가 유도 부재에서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진동기로 작용하는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의 열 팽창이 다른 구성 요소들상에서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부터 극복될 수 있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도 부재 및 테이크 사이의 마찰이 어떠한 종래의 장치와 비교할때 크게 감소하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유도 부재에서 일어나는 정재파가 유도 부재를 위한 지지 기구에 의해 해로운 영향을 받지 않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테이프 운동에 있어서 높은 안정성을 지속할 수 있는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쉽게 조립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테이프 유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언급된 목적에 도달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테이프 유도 장치는 테이프를 유도하기 위한 파이프형 유도 부재, 정재파에 의해 유도 부재를 진동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기 및 상기 유도 부재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진동기의 한 단부는 자유롭게 되는 반면 다른 한 단부는 유도 부재의 원주면상의 진동 루프에 단단히 고착되며, 상기 유도 부재의 진동 파절은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보유되고 그로인해 정재파 진동의 특성을 안정화시킨다.
본 발명에 대한 장점 및 특성은 실증적 첨부 도면에서 주어질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이하에서 제1도 내지 제6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3도에 있어서, 테이프 유도 장치(1)는 테이프를 유도시키기 위한 유도 부재(2)와 정재파에 의해 유도 부재(2)를 진동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기(3) 및 상기 유도 부재(2)를 보유하기 위한 지지 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 부재(2)는 금속 혹은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파이프안에서 형성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부재(2)의 원주면상에서 상기의 초음파 진동기로 작용하는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한 단부면을 접합제를 사용하여 정재파에 의해 진동된 유도 부재(2)의 루프(R)와 대응하는 부위에 단단히 부착된다. 반면에 상기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다른 단부는 자유롭게 된다. 상기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는, 만약 구동 시스텝에서의 진동 루프일 경우, 유도 부재(2)의 어떤 부위에 부착될 것이다. 그러나 최대 진동 효율은 사기 루프(P)의 중앙에 부착되므로서 성취된다.
상기 접합제는 작동하는 동안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에서 발생된 열에 대향하는 충분한 열 저항을 포함하는 적합한 성질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고온으로 가열될 때 연질화 및 성능 저하의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접합제는 유도 부재(2)에 진동을 전달시키는데 있어서 효율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높은 경도를 가지며 얇은 층을 형성시키기에 적합하다.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한 단부면(접합 가능면)은 유도 부재(2)의 원주면과 대응하는 굴곡을 갖는 형상을 가지며, 커트 코너(5a)는 유도 부재(2)와의 접촉을 피하도록 접속 가능면(5)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어떠한 과다 폭의 접속 가능면(5)은 유도 부재(2)의 균일한 형상을 약화시키고 그의 주파수 특성상에 유해한 영향을 주므로, 상기 커트 코너(5a)는 접속 가능면(5)을 극소화시키고 또한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높은 출력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리드 와이어(6)는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양면상에 있는 2개의 단자에 연결되는 한편 도시되지 않는 교류원에 연결된다.
상기의 지지 부재(4)는 유도 부재(2)안으로 삽입된 지지 샤프트(7)와 상기 지지 샤프트(7)를 보유하기 위한 상, 하부 플랜지(9,10)를 갖는 장착 부재(8)와 유도 부재(2)의 양단부를 갖는다.
지지 샤프트(7)는 실린더형 단부가 되도록 형성되어져 있으며 유도 부재(2)로 삽입된다. 지지 샤프트(7)의 양단부는 단계진 부분을 통해 직경이 점점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져 있으며 제각기 장착 부재(8)의 상,하부 플랜지(9,10)내에 형성된 샤프트 일치 개구부(9a,10a)내에 끼워진다. 와셔(11)는 각 상, 하부 플랜지(9,10)와 유도 부재(2)의 단부면 사잉에 끼워진다. 그리고 4개의 지지 돌기(11a)는 유도 부재(2)의 마주보고 있는 와셔(11)의 한 표면에 있는 진동 파절과 일치하는 원주형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돌기(11)는 정재파에 의해 진동될 때 유도 부재(2)의 양단부면에 발생된 진동 파절(Q)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와셔(11)는 지지돌기(11a)를 가진 상기 구조 대신에 평판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이런 변경은 유도 부재 (2)의 단부면과 와셔(11)의 접촉력에 의해 유도될 수 있는 정재파의 무질서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양단부와 인접한 지지 샤프트(7)의 부분적인 주위면에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 부재(2)가 정재파에 의해 진동될 때 발생되는 진동 파절과 일치하는 위치에 지지 융기부(7b)가 원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도 부재(2)의 진동 파절(R)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융기부(7b)에 의해 지지된다.
장착 부재(8)는 금속 재료와 같은 것으로 구성되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직사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소자 수용부(8a)는 여기에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착 부재(8)의 한 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하부 플랜지(9)는 장착 부재(8)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반면 플라스틱 재료의 상부 플랜지(10)는 여기의 상단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한쌍의 유도핀(12)은 장착 부재(8)의 상단부면에서 솟아나게 삽입되어 있으며, 장착 나사 구멍(13)과 경사 조절 구멍(14)은 이런 유도핀(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한쌍의 유도핀(12)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홈(10b)은 상술한 일치 개구부(10a)의 중심점을 통할 수 있을 정도로 상부 플랜지(10)의 바닥면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홈(10b)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나사 삽입 구멍(10c)은 나사(15)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유도 홈(10b)내에 형성되고, 경사 조절 구멍(10d)은 유도 홈(10b)에 직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상부 플랜지(10)는 장착 부재(8)의 상부면에 대해서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술한 구멍(10c)을 통해 나사구멍(13)으로 삽입되는 나사(15)에 의해 여기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한쌍의 유도핀(12)은 유도 홈(10b)내에 고정되므로 상부 플랜지(10)는 유도 홈(10b)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유도 부재(12)의 경사는 장착 나사(15)를 먼저 풀고, 그 다음 한쌍의 유도핀 (12)을 따라서 유도 홈(10b)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플랜지(10)를 미끄러지게 하고, 계속해서 구멍(10d)을 경유해서 경사 조정 구멍(14)에 경사 조정핀(16)을 고정시키고, 다시 장착 나사(15)를 죄어서 장착 부재(18)에서 다소 조정가능하다.
하부스텝(8b)은 상술한 소자 수용부(8a)의 두 측면에 형성되고 회전 방지판 (17)은 나사에 의해 스텝(8b)에 고정된다. 이런 판(17)은 유도 부재(2)와 함께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착 구멍(19)은 여기에 베이스 (18)를 부착하기 위해 장착 부재(8)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핀 삽입 구멍(20)은 역시 여기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유도 장치(1)는 베이스(18)를 통해 베이스 부착 구멍(19)에 삽입된 유도 장착 나사(21)에 의해 베이스(18)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18)에 삽입된 회전 방지핀은 테이프 유도 장치(1)의 회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핀 삽입 구멍(20)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기능은 제1도 및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아래에 설명되어질 것이다.
제4도는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에 교류 전압을 가함으로써 유도 부재(2)내에 발생된 정재파 진동이 제2도의 2점 쇄선으로 도시된 원 주위 방향으로 전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5도는 유도 부재(2)의 단부면에 있는 진동을 설명하는 함수도이다. 그리고 제6도는 무시된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를 가지고 제2도의 Ⅵ-Ⅵ선을 따라 생긴 유도 부재(2)의 진동을 설명하는 함수도이다.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 부재(2)내에 발생된 정재파는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가 결합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어떤 영역에서든지 요구하지 않는 진동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단순하고 질서 정연한 파형을 가진다.
이것은 단순화된 파이프 형태인 유도 부재(2)를 포함하는 개선된 구조체를 가져오고, 자유스러운 한쪽 단부를 갖춘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는 유도 부재(2)의 원주 표면에 부착되고, 유도 부재의 진동 파절(R)은 지지 부재(4)로 유지되므로, 몇몇 외부 부재,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열 팽창 또는 복잡한 형상에 기인하는 공진 주파수상에 여기되는 나쁜 효과를 제거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용이하게 유도 부재(2)의 공진 특성을 유동 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유도 부재(2)내 정재파(standing wave)는 불필요한 진동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안정된 초음파진동인 고른 파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테이프의 접촉 표면 및 유도 부재(2) 사이 3~30옹스트롬의 간격으로 공기 분자의 펌프 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테이프 및 유도 부재(2) 사이의 분자 흡인력에 의한 응집력 및 접촉 표면상의 불규칙성의 추진 및 미가공으로부터 발생되는 마찰력이 충분히 감소된다. 그러므로, 마찰력의 균일한 감소는 테이프의 동작을 안정하게 한다.
또한, 그것의 구성 부품에 매우 정확성이 요구되는 유도 부재(2)는 단순화된 구조 때문에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유도 부재(2)가 지지 샤프트(7)로 유지되는 장치로 인해 대형 기계 강도를 얻는 장점이 발생된다. 더불어,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의 작동중에 발생된 열은 우도 부재(2)로부터 지지 샤프트(7)를 통해 직접 복사되므로 효율적인 열 복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이 실시예는 베이스(18)에 끼워진 샤프트에 부착된 형식을 나타내고, 이 구성은 지지 부재(4)의 구조를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지지 부재(4)에는 원통형 지지 샤프트(7)에 끼워진 축 부재(27)가 구성되어있다. 샤프트 부재(27)는 베이스(18)에 직립하게 끼워지고 장착 부재의 전체를 유지한다. 샤프트 부재(27)는 베이스(18)와 하부 플랜지(9) 사이 접층된코일 스프링(35)으로 장착 부재를 상부로 미는 방식으로 하부 플랜지(9) 및 상부 플랜지(10)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나사부는 상부 플랜지(10)에 인접한란 측면상에서 샤프트 부재(27)에 형성되고 너트부재(23)가 상기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므로,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상부로 밀리어지는 장착 부재(8)를 위치 제어한다. 결국, 유도 부재 (2)의 높이는 너트 부재(23)로 조정된다. 장착 부재(8)는 적충된 피에조 전기 소자(3)가 부착되는 유도 부재(2)의 측면상에 위치 결정된다. 장착 부재(8)의 상, 하부 단부는 각기 상, 하부 플랜지로 유지되고, 장착 부재(8)의 정상 표면은 나사(15)에 의해 상부 플랜지(10)에 견고히 고정된다. 반면에, 바닥 표면은 하부 플랜지(9)내에 삽입된 핀(24)으로 고정된다.
핀 삽입 구멍(20)은 베이스(18)에 형성되고, 하부 `플랜지(9)의 하부 표면에 삽입된 회전 방지핀(22)은 구멍(20)속에 삽입된다. 이 구멍은 지지 샤프트(7)의 반경 방향으로 틈새를 구성하므로 높이의 조정이 용이하다.
장착 부재(8)내 소자 수용부(8a)는 제거되지 않는 하부 스텝(8b)에 남아 있는 직사각형 리세스를 형성하므로써 제공되고, 스토퍼 일치 구멍(8c)은 두 하부 스텝(8b)에 형성된다. 고무로 구성된 디스크형 스토퍼(25)의 제륜 돌기(25a)는 이 스토퍼 일치 구멍(8c)에 고정되고,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양측면은 유도 부재(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25)로 고정된다.
다른 구성 부품은 상술된 제1실시예의 구성 부품과 거의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하기에 생략한다.
제2실시예의 기능은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제7도 및 제8도에서,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로 이루어진 효과와 거의 동일한 효과가 이루어지고, 유도 부재(2)의 높이는 높이 조정 나사를 돌려서 코일 스프링(35)의 회복력에 대항하여 조정된다.
제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하기에 기술된다.
유도 부재(2)가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로부터 발생되는 정재파에 의해 진동되면, 유도 부재(2)의 단부에서 유도되는 진동 파절(Q)은 전술된 지지 샤프트(7)를 사용하는 대신에 상, 하부 플랜지(9,10)에 의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공급된다는 사실 이외에도 제3실시예는 상술된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별하게는, 하부 플랜지(9)가 장착 부재(8)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핀(26)은 장착 부재(8)의 상부 단부면상에 직립으로 고정되고, 나사 구멍(27)이 그 안에 형성된다. 반면에, 금속성의 상부 플랜지가, 장착 부재(8)의 상부 단부면에 대항하여 맞닿도록 형성된다. 핀 끼움 구멍(28)과 나사 삽입 구멍(29)은 상부 플랜지(10)에 형성되고, 핀(26)은 끼움 구멍(28)내로 끼워지며 반면에 장착 나사(15)는 나사 구멍(27)내로 삽입 구멍(29)을 통하여 삽입되어, 장착 부재(8)에 견고하게 상부 플랜지(10)를 고정시킨다.
원형 일치 리세스(30)는 유도 부재(2)에 대향하는 측부상에 상, 하부 플랜지 (9,10)내에 형성된다. 반면에 직사각형 제륜 돌기(31)는, 유도 부재(2)가 정재파에 의해 진동될 때 발생되는 유도 부재(2)의 진동 파절(Q)(본 실시예에서 4)과 부합하는 위치에서 유도 부재(2)의 양쪽 단부면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제4위치에 상기 파절은 제4도에 도시된 단부면상에서 발생되는 제4파절(Q)에 부합한다.)
일치 리세스(30)의 깊이보다 약간 더 긴 형태로 된 제4제륜 돌기(31)는 일치 리세스(30)의 주변 벽(30a)과 그 측면 부분에서 접촉 유지되어 원주 주위 회전 위치 변환을 방지하고 반면에, 상기 제4돌기(31)의 상,하 단부는 적합한 틈이 그 사이에서 지켜지는 상태로 일치 리세스(30)의 노면(10b)과 접촉 유지된다.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는 제1실시예에 이용된 것과 대체로 동일한 구조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유도 부재(2)는 원주 주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용 회전 방지 부재를 제공할 필요성이 없다.
상기 제2실시예는, 유도 부재(2)의 단부면상에 발생되는 진동 파절의 위치에서 전술된 지지 샤프트(7)를 사용하지 않고 제륜 돌기(31)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제1실시예에 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고, 상기 돌기(31)는 구조체가 필요한 부품수와 조립 단계의 공정 모두가 감소되는 보다 간단할 수 있고 또한 생산가가 절감하도록 상, 하부 플랜지(9,10)로 유지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면 제10도를 참고로 하여 기술한다.
본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 핀(32)(본 실시예에서는 두개)이 유도 부재(2)의 단부면상에 진동 파절(Q)의 위치에서 고정되고, 핀(32)을 수용하는 일체 (33)은 상, 하부 플랜지(9,10)내에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제3실시예와 구조가 동일하다. 일체 핀(32)은 구멍 (33)보다 더 큰 형태로서 상,하부 플랜지 (9,10)가 유도 부재(2)의 진동 루프(P)와의 접촉으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되며, 따라서 임의의 다른 부재의 해로운 영향으로부터 유도 부재(2)를 보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핀(32)은 유도 부재(2)를 지지하도록 대응 구멍(33)내로 끼워지고, 따라서 상기 지지 구조가 확실성을 가지고 적층된 피에조 전기 소자(3)의 회전 위치 변환을 방지하는 능력을 갖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도 부재는 단순한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다른 단부에 자유롭게 유지된 초음파 진동기는 유도 부재의 주변 면상에 있는 진동 루프에 단단히 부착되며, 반면 유도 부재의 진동 파절은 지지 부재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므로 유도 부재의 주파수 특성은 단순화할 수 있고, 다른 부재의 부수 진동과 초음파 진동기의 열적 팽창에서 나온 해로운 결과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써 초음파 진동기에서 공진 주파수의 용이한 제어를 실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구동력에 대한 유도 부재의 진동 효율은 질서 정연한 파형의 정재파에 의한 진동이 테이프와 접촉한 유도 부재의 전체면을 걸쳐 균일하게 발생되는 다른 이점으로 강화될 수 있다. 결국, 유도 부재와 테이프 사이의 마찰은 테이프의 운동을 확실히 안정화시키도록 좀더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정재파 진동을 유도 부재에 발생시키므로서 테이프 및 유도 부재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어 예정 상태로 이동 테이프를 유도하기 위한 테이프 유도 장치에 있어서, 이동 테이프를 예정 상태로 유도하고 반면에, 원주면과 미끄럼 접촉으로 테이프를 보유하도록 작용하며 파이프내에 형성된 유도 수단과; 유도 수단에서 정재파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한 단부에 자유롭게 유지되며 반면에, 다른 단부에서 유도 수단 원주면상의 진동 루프에 고정 부착된 진동 수단 및; 정재파 진동의 파절을 유도 수단내에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테이프 유도장치.
KR1019910006255A 1990-04-19 1991-04-19 테이프 유도 장치 KR940004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03627A JP2794894B2 (ja) 1990-04-19 1990-04-19 テープガイド装置
JP103627 1990-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791A KR920005791A (ko) 1992-04-03
KR940004006B1 true KR940004006B1 (ko) 1994-05-10

Family

ID=1435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6255A KR940004006B1 (ko) 1990-04-19 1991-04-19 테이프 유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95618A (ko)
EP (1) EP0453306B1 (ko)
JP (1) JP2794894B2 (ko)
KR (1) KR940004006B1 (ko)
CA (1) CA2040799C (ko)
DE (1) DE6911150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858A (ja) * 1991-04-10 1992-11-04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JPH05205359A (ja) * 1992-01-27 1993-08-13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GB9302345D0 (en) * 1993-02-06 1993-03-24 Penny & Giles Data Syst Ltd Guide device
US5730349A (en) * 1994-10-04 1998-03-24 Canon Kabushiki Kaisha Tape guide mechanism having vibration mechanism
JP2736023B2 (ja) * 1994-12-27 1998-04-02 ユニデン株式会社 バイブレータ取付構造、バイブレータ取付用保持具、および、バイブレータ取付方法
KR0174975B1 (ko) * 1995-11-28 1999-04-15 배순훈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장치
TW495735B (en) 1999-07-28 2002-07-21 Yamaha Corp Audio controller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syste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7828A (en) * 1959-08-17 1962-06-05 Harold J Michael Bearing and method of bearing manufacture
US3084003A (en) * 1961-04-07 1963-04-02 Thompson Ramo Wooldridge Inc Press fitted sleeves
US3129484A (en) * 1962-05-15 1964-04-21 Appalachian Electronic Instr Seam jumper control for cloth shears
FR1597260A (ko) * 1968-12-27 1970-06-22
JPS5068503A (ko) * 1973-10-23 1975-06-07
SU1094067A1 (ru) * 1983-05-18 1984-05-23 Институт Физики Ан Литсср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правлени движени магнитной ленты
US4790672A (en) * 1986-12-19 1988-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ssed sleeve bearing
EP0292008B1 (en) * 1987-05-22 1995-03-29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and system for driving magnetic tape
US4850719A (en) * 1988-09-12 1989-07-25 The Torrington Company Bearing with adjustable stiffness
JP2712501B2 (ja) * 1989-03-06 1998-02-16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ガイ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1505T2 (de) 1995-12-21
US5295618A (en) 1994-03-22
DE69111505D1 (de) 1995-08-31
KR920005791A (ko) 1992-04-03
JPH043353A (ja) 1992-01-08
EP0453306B1 (en) 1995-07-26
JP2794894B2 (ja) 1998-09-10
CA2040799C (en) 2000-06-20
CA2040799A1 (en) 1991-10-20
EP0453306A1 (en) 199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8490B2 (ja) 電機子が超音波振動によって駆動される回転又は線形電動機
KR940004006B1 (ko) 테이프 유도 장치
US5933406A (en) Linear guide device
US5886455A (en) Vibration driven motor
JPH0886733A (ja) 粘度検出装置
JPH04281248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KR100262785B1 (ko) 테이프 가이드 장치
JP3141248B2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H0515693U (ja) 超音波モータ
JPH05136614A (ja) 誘電体共振器装置
JPH0540997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2757429B2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H0540993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2500692Y2 (ja) 超音波モ―タ
JP2779415B2 (ja) 超音波モータ
JPH03190575A (ja) 超音波モータ
JPH0540995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S63121477A (ja) 超音波モ−タの固定法
JP2779416B2 (ja) 超音波モータ
JP2566010B2 (ja) 超音波モータ
JP2724729B2 (ja) 超音波モータ
JPH04145879A (ja) 超音波モータ
JPH05144131A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H07178370A (ja) 振動子及び振動アクチュエータ
JPH07161152A (ja) ガイドシャフト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