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777B1 - 열매봉입로울 - Google Patents

열매봉입로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777B1
KR940003777B1 KR1019910021389A KR910021389A KR940003777B1 KR 940003777 B1 KR940003777 B1 KR 940003777B1 KR 1019910021389 A KR1019910021389 A KR 1019910021389A KR 910021389 A KR910021389 A KR 910021389A KR 940003777 B1 KR940003777 B1 KR 94000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cam
differential
type
c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465A (ko
Inventor
케이지 미즈타
리쯔오 하시모또
야스요시 타케오까
아끼라 키시다
하르마사 무라모또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카와사끼세이데쯔 가부시기가이샤
토오자끼 시노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103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56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2351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81952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카와사끼세이데쯔 가부시기가이샤, 토오자끼 시노브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7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3Rolls; Drums; Rol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6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 B21B27/08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2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in rolls, calenders or dru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22Heating the cylinders
    • D21F5/024Heating the cylinders using electr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02Drying on cylinders
    • D21F5/022Heating the cylinders
    • D21F5/027Heating the cylinders using a heat-transfer fluid between the heating means and the cylinder she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26B13/183Arrangements for heating, cooling, condensate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6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transport or conveyor rolls for furnaces; roller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5/00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movement
    • F28F5/02Rotary drums or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매봉입로울
제1도-제38도는 본 발명의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의 척의 실시예에 표시하는 그림.
제1도는 요부 절단 전개 단면도.
제2도는 그 반쪽 단면 정면도.
제3도는 척바디의 전체 측 단면도.
제4도는 척바디의 반쪽 정면도.
제5도는 조오홈의 횡 단면도.
제6도-8도는 마스터죠오의 상세도로서,
제6도는 그 측면도.
제7도는 그 평면도.
제8도는 그 배면도.
제9-11도는 탑죠오의 상세도로서,
제9도는 그 측면도.
제10도는 그 평면도.
제11도는 그 정면도.
제12도는 제1종 및 제2종의 죠오구동캠의 측면도.
제13도는 제1종의 죠오구동캠의 정면도.
제14도는 제2종의 죠오구동캠의 정면도.
제15도는 제3종 및 제4종의 죠오구동캠의 측면도.
제16도는 제3종의 죠오구동캠의 정면도.
제17도는 제4종의 죠오구동캠의 정면도.
제18도는 제5종의 죠오구동캠의 측면도.
제19도는 제5종의 죠오구동캠의 정면도.
제20도의 A-A선 절단 전개 단면도.
제22도는 그 수동사면의 전개도.
제23도-제25도는 내륜차동캠의 상세도인데,
제23도는 그 배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B-B선 절단 단면도.
제25도는 그 수동 경사면의 전개도.
제26도-제27도는 차동캠 구동캠의 상세도로서,
제26도는 그 정면도.
제27도는 그 측면도.
제28-제36도는 각종 척의 변환모드를 표시한 것인데,
제28도는 제4점 바깥조임식.
제29도는 4점 속조임식.
제30도는 2점 바깥조임식, 2점 속조임식.
제31도는 1점 위치결정 3점 속조임식.
제32도는 1점 위치결정 1점 속조임 2점 바깥조임식,
제33도는 1점위치결정 1점 바깥조임 2점 속조임식.
제34도는 2점 위치결정 2점 바깥조임식,
제35도는 2점 위치결정 2점 속조임식.
제36도는 2점 위치결정 1점 바깥조임 1점 속조임식의 각 척.
제37도는 죠오구동캠의 변환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8도는 차동캠 구동캠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39도-제46도는 본 발명의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그림.
제39도는 전체 종 단면도.
제40도는 전체 측 단면도.
제41도는 전체 정면도.
제42도는 일방향 위치결정 세방향 차동의 와륜 내륜차동캠의 단면도.
제43도는 제42도의 A-A선 절단 전개 단면도.
제44도는 드라이브 디스크의 정면도.
제45도는 제44도의 B-B선 절단 전개 단면도.
제46도는 두방향 위치결정, 두방향 차동의 외륜 내륜차동캠의 정면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직교하는 두방향의 4개의 죠오를 단일 조작으로 동시에 구동하여 불규칙 형상의 가공물을 4개의 죠오의 균일한 조임힘으로 파지하는 차동 4개 죠오의 척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종래 선반 등에 의한 기계가공인 경우, 사다리 꼴이나 장방형, 그 밖에 소위 변형물이라 일컫는 소재 특히 용단소재, 단조소재, 주조소재 등의 형상 정밀도가 조악한 가공물을 가공할때는 4개의 죠오의 단독척을 사용할 수 밖에 없고 단독척을 사용하여 가공물을 파지하는 경우, 각 죠오를 개별적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중심내기에 고도의 숙련을 필요로 하고 스크로울척이나 세방향조임, 두방향조임 파워척에 비교하여 다대한 시간을 요하고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종래 단독척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었던 불규칙한 형상의 가공물을 숙련을 요하지 않고 단일의 조작으로 세방향조임, 두방향조임 파워척과 거의 변함없는 시간으로 중심내기 파지를 할 수 있고, 생산성의 향상이 달성되는 동력구동식의 두방향 차동 구심식 4개 죠오 연동 파워척을 발명하여 일본국 특허 제1440379호로서 권리 설정 등록을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두방향 차동 구심의 4개 죠오 연동 파워척은 더욱 복잡한 형상의 가공물을 파지하기 위하여, 직교하는 두방향의 4개 죠오로서 2점 바깥조임, 2점 속조임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이 파지형식의 척 본체를 준비하여 이것으로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1점 위치결정, 또 2점 위치결정으로 가공물을 파지하는 경우에는 역시 4개 죠오 단독척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지그를 만들어 부착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본원 출원인은 소위 변형물이라 일컫는 불규칙한 형상의 가공물을 세방향 조임스크로울 척과 같이 손쉽게 선택하여 파지할 수 있는 수동식의 두방향 차동구심식 4개 죠오 연동척의 발명을 완성하여 특허원소 62-4530(특개소 63-174805 편성 원년 12월 5일 공고결정), 동 특원소 62-4531(특개소 63-174806), 동 특원소 62-4532(특개소 63-174807)에 의하여 일본국 특허출원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두방향 차동 구심식 4개 죠오 연동척은 두방향의 4개 죠오를 구심 또는 이심 연동식이기 때문에 변형물의 중심 파지에는 적당하나 변형물을 소정위치로 위치결정하여 파지하기에는 종래의 4개 죠오단독척 또는 지그등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한 동력구동식의 두방향 차동 구심식 4개 죠오 연동파워척을 발전시켜 제1의 형식의 차동4개 죠오척과 전기한 수동식의 두방향 차동구심식 4개 죠오 연동척에 별도의 기능을 부여한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동력구동식의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에 있어서, 4점 속조임 4점 바깥조임에 통상의 파지는 물론 2점 바깥조임, 2점 속조임 등, 1점 위치결정, 2점 위치결정의 파지등 각종의 파지형식을 척본체를 교환함이 없이 더욱 스크로울척과 같은 단일조작으로 행할 수가 있는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을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에의 강성과 내마모성을 강화하고 척의 정밀도 유지내구성의 증진을 도모함과 동시에 대형 강력척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변형물의 위치결정 파지가 숙련을 요함이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변형물 가공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수동식의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의 강성과 내마모성을 강화하고 척의 정밀도 유지, 내구성의 증진을 도모함과 동시에 대형 강력척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은 척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직교하는 두 방향의 죠오홈에 2개씩 대향하여 습동자재로 유지된 4개 죠오와 드로우바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동축선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동 축선둘레의 회동자재의 차동캠 구동캠과 상기한 차동캠 구동캠과 동시에 계합하는 서로 역방향의 수동경사면을 가지고 차동캠 구동캠의 전기한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한쪽의 구동이 구석되었을때 구속된 쪽의 수동경사면에 따라 차동캠 구동캠이 회동하여 이동하는 것으로서 다른쪽이 차동되는 한쌍의 차동캠과 전기한 한쌍의 차동캠 위에 각각에 계합하는 차동캠 수동부와 전기한 각 죠오의 각각에 계합하는 죠오 구동부가 형성되어 척바디에 형성된 죠오구동캠공에 회동자재로 감합된 죠오구동캠공을 가지고 구성되는 차동 4개 죠오척의 전기한 죠오구동캠공을 척바디의 직교하는 두방향의 죠오홈의 각 중심선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죠오구동캠을 바깥조임형, 속조임형, 위치결정형으로 변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종 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은 직교하는 두방향의 죠오구동캠을 전부 바깥조임형 또는 속조임형의 것으로 교환하면 4점 바깥조임식 또는 4점 속조임식, 일방향의 죠오구동캠을 바깥조임형, 직교 다른 방향의 죠오구동캠을 속조임형의 것으로 교환하면 2점 바깥조임, 2점 속조임식 죠오구동캠의 위의 1개를 위치결정형 다른 3개의 죠오구동캠을 바깥조임형 또는 속조임형의 것으로 교환하면 1점 위치결정, 3점 바깥조임식 또는 1점 위치결정, 3점 바깥조임식 또는 1점 위치결정, 3점 속조임식 직교한 두 방향의 죠오구동부에 각 한개씩을 위치결정형 다른 2개의 죠오구동캠을 바깥조임형, 또는 속조임형의 것으로 교환하면 2점 위치결정 또는 2점 바깥조임식 또는 2점 위치결정, 2점 속조임식, 전기한 2점 위치결정식의 위치결정형 이외의 직교하는 두 방향의 죠오구동캠을 서로 반대의 바깥조임형과 속조임형으로 교환하면 1점 위치결정 1점 바깥조임 2점 속조임식, 또는 1점 위치결정 1점 속조임 2점 바깥조임식, 전기한 2점 위치결정식의 위치결정형 이외의 직교하는 두 방향의 죠오구동캠을 서로 반대의 바깥조임형의 속조임형으로 하면 2점 위치결정 1점 바깥조임 1점 속조임식의 차동 4개죠오 파워척에 척본체를 교환함이 없이 손쉽게 변환할 수가 있어 각종 다양한 불규칙 형상의 가공물에 대응하여 적절한 파지를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의 차동캠구동부를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여 각 차동캠의 수동경사면을 복수 설치하는 것으로서 작동캠부의 강성과 내마모성이 강화되어 척의 정밀도유지 내구성의 증진과 동시에 대형, 강력척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의 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은 척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직교한 두 방향의 죠오홈에 4개 죠오가 2개씩 대향되어 습동자재로 유지되어 척본체내에는 내부기어가 각설되어 반원상의 작동캠부가 직경방향으로 대설된 링형의 외륜차동캠과 외부기어가 각설되어 반원상의 작동캠부가 직경방향으로 대설된 원판상의 내륜차동캠과 상기한 외륜, 내륜 양 차동캠의 내부기어와 외부기어에 동시로 맞물리는 유성기어를 축지한 드라이브디스크가 설치되고 전기한 외륜 및 내륜차동캠의 각 작동캠부가 한쪽 직경방향 및 다른 직경방향의 죠오홈에 각각 설치된 수동캠부가 각각 계합된 차동 4개 죠오척의 전기한 외륜 또는 내륜 차동캠의 한쪽 또는 양쪽에 각각 대설된 작동캠부의 한쪽을 반경이 일정한 중립이 원호상으로 형성하고 다른 작동캠부를 둘레방향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반경이 일정한 중립원호상으로 형성한 작동캠부에 계합하는 죠오를 정위치로 유지하고 둘레방향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경사면에 형성한 작동캠에 계합하는 죠오를 구심 또는 이심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은 드라이브 디스크를 외부로부터 한쪽방향으로 회동조작하면 각 죠오가 전부 열고 있는 경우 외륜, 내륜 양 차동캠은 유성기어로 로크된 상태로 유성기어와 동시에 일체로 되어 드라이브 디스크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둘레방향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경사면 형성된 반원상 작동캠에 계합된 죠오는 양 차동캠의 회동에 따라 상승경사면 도는 하강경사면에 안내되어 구심 또는 이심 방향으로 이동하나 반경일정한 중립이원호상으로 형성된 작동캠부에 계합된 죠오는 차동캠의 회동에도 불구하고 움직이지 않고 정위치로 유지한다. 그리고 이동하는 죠오의 가동물에 맞닿아 구심 또는 이심 방향의 이동이 정지되어 그 죠오에 연계하는 차동캠의 회동이 구속되면 유성기어가 자전하면서 공전하여 다른쪽의 차동캠을 차동시켜 그 차동캠에 연계하는 다른 직경방향의 죠오의 이동을 계속시켜 그의 죠오가 가공물에 맞닿아 이동이 정지되면 양 차동캠은 유성기어로 로크된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드라이브 디스크의 구동력을 받쳐 각 죠오에게 균등하게 체결력을 전달한다.
즉,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에서는 가공물은 반경일정한 원호상으로 형성된 외륜 또는 내륜차동캠의 한족 또는 쌍방의 각각 대설된 작동캠부에 한쪽에 계합하는 1개 또는 2개의 죠오로 위치 결정되어 다른 죠오로서 체결됨으로 위치결정 파지가 종래의 세방향 체결스크롤 척이나 선특허출원의 두방향 차동구심식 4개죠오 연동척과 같은 모양으로 손쉽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과 외륜 및 내륜차동캠에 각각 대설된 반원호상에 작동캠부를 "凸"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 단부를 연속시켜 전원호상으로 형성하고, 또 다른 양태로서 전기한 외륜 및 내륜차동캠 위에 각각 대설된 작동캠부를 각 복수식 병열로 형성한 것으로서 작동캠부의 강성과 내마모성이 강화되어 척의 정밀도 유지, 내구성의 증진과 동시에 대형 강력척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체적인 예]
본 발명의 차동 4개 죠오척의 구성을 도면으로 표시하는 적당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38도에 표시된 실시예는 1점 위치결정 3점 바깥조임식의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 파워척을 예시한 것이고, 먼저 제1-5도에 있어서, 척바디 1은 거의 원통상을 하고 중심부에 차동캠공 2가 천설되고 전면에는 그 직교직경선상에 죠오홈 3이 십자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4는 전면에 나착된 전면커버, 5는 후면에 나착된 후면커버, 6은 취부볼트 7의 볼트구멍이다.
직교 두방향의 죠오홈 3에는 한방향 죠오홈 3마다 2개씩 대향된 총 4개의 마스타죠오 8이 습동자재로 유지되어 있다.
마스타죠오 8은 제6-8도에 상세하게 표시하는 바와 같이 양측부에 죠오홈 3의 "凹"계합부 3a에 계합하는 "凸" 계합부 8a 전면에 후술하는 톱죠오 9개를 계지하는 파형홈 8b 및 톱죠오 9를 부착하기 위한 T 너트홈 8c, 후면에 후술하는 131, 132, 133, 134, 135의 5종류로 구성된 죠오구동캠 13의 죠오구동부 13c와 계합하는 횡단방향의 홈형상부 수동부 8에 형성되어 있다. 톱죠오 9는 제9도 내지 제11도에 상세하게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으로 부터 후면으로 관통하는 2개의 취부볼트구멍 9a가 천설되고 후면에는 마스타죠오 8전면의 파형홈 8b와 맞물리는 파형홈 9b가 각설되고, 마스타죠오의 T 너트홈 8c에 T 너트 10(제1도)를 삽입하고 마스타죠오 8전면의 파형홈 8b에 톱죠오 9의 파형홈 9b를 계합하고 부착볼트 11(제1,2도)를 부착 볼트구멍 9a에 삽입하여서 T너트 10에 나착하여 마스타죠오 8에 부착한다. 척바디 1의 직교하는 두방향의 죠오홈 3의 각 중심선상의 동심위치에 4개의 죠오구동캠구멍 12가 형성되어 각 죠요구동캠구멍 12에 제12-제19도에 표시하는 바깥조임형 2종류(제13,16도) 속조임 제2종류(제14,17도) 위치결정형 1종(제19도)의 합계 총 5종류 측상의 죠오구동캠 131, 132, 133, 134, 135가 착설되게끔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제1종 내지 제2종의 죠오구동캠 131, 132는 후술하는 외륜차동캠 15에 구동되는 바깥조임형 및 속조임형이고 축부 13a에 외륜차동캠 15의 구동홈 15C에 계합하는 반경방향의 기어형의 수동부 13b, 단부에 수동부 13c를 밑으로 하여 정면에서 보아 제1종에서는 우편심(제13도), 제2종에서는 좌편심(제14도)인 핀형상의 죠오구동부 13C가 각각 형성되어 제3종 및 제4종의 죠오구동캠 133, 134는 후술하는 내륜차동캠 16에 구동하는 바깥조임형 및 속조임형으로서 축부 13a에 내륜차동캠 16의 구동홈 16C에 계합하는 반경방향의 기어형의 수동부 13b', 단부에 수동부 13b'를 밑으로 하여 정면에서 보아 제3종에서는 좌편심 (제16도), 제4종에서는 우편심(제17도)인 핀형상의 죠오구동부 13C가 각각 형성되어, 제5종의 죠오구동캠 135는 위치결정형으로서, 축부 13a에 차동캠의 수동부가 없다.
단부의 죠오구동부 13C는 마스타죠오 8의 홈형상의 수동부 8d에 계합하여 마스타죠오 8을 정위치로 유지하는 " 凸"형상의 평행 2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죠오구동캠구멍 12는 직교하는 두방향의 죠오홈의 각 중심선상에 있기 때문에 편심인 죠오구동부 13C를 가지는 죠오구동캠 131, 132, 133, 134를 죠오구동캠구멍 12에 빠졌을 때 좌우 어느쪽에 편심인 죠오구동부 13C도 죠오홈 3의 중심선상에 대하여 좌우 대칭위치로 위치하고 따라서 죠오구동부 13C는 마스타죠오 8에 대등한 구동력을 미치게 된다.
척바디 1중심부의 차동캠구멍 2에는 원통형상의 외륜차동캠 15가 회동자재로 유지되고 외륜차동캠 15는 제 20-22도에 상세하게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상부 15a의 일단에 후렌지부 15b가 형성되고, 후렌지부 15b의 외주상단 대향위치에 제1종 및 제2종 죠오구동캠 131, 132의 수동부 13b에 계합하는 1쌍의 구동홈 15c와 원통형상부 15a의 외주상단 대향위치에 축선 C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한쪽방향으로 경사진 장공으로 형성된 1쌍의 수동경사면 15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외륜차동캠 15에는 외륜차동캠 15와 거의 같은 동형의 내륜차동캠 16이 회동자재로 내감되고, 내륜차동캠16은 제23-2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부 16a의 일단에 후렌지부 16b가 형성되어 후렌지부 16b의 외주상단 대향위치에 제3종 및 제4종 죠오구동캠 133, 134의 수동부 13b'에 계합하는 1쌍의 구동홈 16C와 원통형 상부 16a의 외주상단 대향위치에 축선 C에 대하여 전기한 외륜차동캠 15의 수동경사면 15d와 역방향으로 경사지는 장공으로 된 1쌍의 수동경사면 16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의 1점 위치결정, 3점 바깥조임식의 척에서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한 방향의 죠오홈 3의 한족에 죠오구동캠구멍 12(제2도 상방향)에 제1종의 죠오구동캠 13이 다른쪽의 죠오구동캠구멍 12(제2도 하방향)에, 제5종의 죠오구동캠구멍 135가 직교하는 타방향의 죠오홈 3의 양쪽 죠오구동캠구멍12(제2도 좌우)에는 동시에 제3종의 죠오구동캠 133이 삽입되어 전기한 제1종의 죠오구동캠 131의 수동부 13b는 외륜차동캠 15의 구동홈 15C에 제3종의 죠오구동캠 133의 수동부 13b'는 내륜차동캠 16의 구동홈 16C에 각각 계합되어 각각 죠오구동캠 131, 133, 135의 죠오구동부 13C는 각각 마스타죠오 8의 홈형상 수동부 8에 계합되어 있다.
또한 제1종-제5종의 죠오구동캠 131-135의 죠오구동부 13C에는 마모방지용의 컬러 14가 끼워진다. 외륜차동캠 15의 후렌지부 15b의 안쪽과 척바디 1과의 접촉부, 외륜차동캠 15의 후렌지부 15b의 바깥쪽과 내륜차동캠 16의 후렌지부 16b의 안쪽과의 접촉부, 내륜차동캠 16의 후렌지부 16b의 바깥쪽과 후면커버 4의 내면과의 접촉부에는 각각 트러스트 니들 베어링 17, 18, 19가 끼워져 마멸저항을 감소시키고 있다. 도면중 20은 차동캠 구동캠으로서 상세한 것은 제26, 2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드로우바 23을 갑입하는 드로우바구멍 20a가 형성된 환형체의 외주상단 대향위치에 1쌍의 축상의 차동캠 구동부와 2b가 형성되어 차동캠 구동부 2b는 중합된 전기한 외륜차동캠 15, 내륜차동캠 16의 장공으로 이루는 각 수동경사면 15D, 16b를 동시에 관통하여 계합한다. 또한 각 차동캠 구동부 20b에는 양수동경사면 15d와 16d에 각각 접하는 2개의 마모방지의 컬러 21,22가 감입되어 있다. 드로우바 23은 전반부가 전면카버 4중심부내면의 보스 4a에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후부가 후면카버 5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후단에 유압 또는 공압등의 파워실린더(도시는 생략함)에 접속되는 드로우로드 24가 환현상너트 25로 부착되어 있고 전반부에 차동캠구동캠 20이 감입되어 차동캠, 구동캠 20은 드로우바 23 전단부의 후렌지 23a와 드로우바 23에 나입된 환형상너트 26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전후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제39-46도에 표시된 실시예는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인데 먼저 제39-41도에 의하면 이 차동 4개 죠오척의 원통형상의 척바디 30은 바디 후론트 31의 뒤에 바디팩 32가 장착되어 있고, 바디후론트 31의 전면에는 직교 직경선상에 죠오홈 33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죠오홈 33에는 일방향의 죠오홈마다 2개씩 대향된 총 4개의 마스타죠오 34가 습동자재로 유지되어 있다. 각 마스타죠오 34의 전면에는 톱죠오 35가, 양 접합면에 각설된 파상홈, 36,37을 계합시켜 취부볼트 38로 취부되어 있다. 척본체 1내에는 링형상의 외륜차동캠 39와 원판상의 내륜차동캠 40이 동심으로 각각 회동자재로 유지되어 있다.
제42도, 제43도는 외륜차동캠 내륜차동캠을 상세하게 표시하고 외륜차동캠 39는 내부기어 41이 각설되어 전면에 한 쌍의 반원상의 작동캠부 42, 43(도시예에서는 凸형상)가 직경방향으로 대설되어 있고, 내륜차동캠 40은 외부기어 44가 각설되고 전면에 한쌍의 반원상의 작동캠부 45,46(도시예에서는 凸형상)이 직경방향으로 대설되어 있다. 그리고 외륜, 내륜 양차동캠 39,40은 대설된 각 차동캠 42,43과 45,46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위치되어 외륜차동캠 39의 심공 47에 내륜차동캠 40을 감압시켜 외륜차동캠 39의 각 작동캠부 42, 43에는 척바디 30의 직경방향의 마스타죠오 34의 후면에 형성된 각 수동캠부 48(도시예에서는 凹형상)가 각각 계합되고, 내륜차동캠 40의 각 작동캠, 45, 46에는 척바디 30의 다른 직경방향의 마스타죠오 34의 후면에 형성된 각 수동캠부 49(도시예에서는 凹형상)가 각각 계합되어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외륜차동캠 39의 직경방향으로 대설된 1쌍의 작동캠부 42,43은 한쪽의 작동캠부 42가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상승경사면, 다른쪽의 작동캠부 43이 반경이 일정한 중립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내륜차동캠 40의 직경방향에 대설된 한쌍의 작동캠부 45, 46은 동시에 정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상승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또 凸형성의 각 작동캠부 42, 43 및 45, 46의 각 단부는 각각 일체로 연속되어 전원호상으로 형성되어 각 작동캠부 42, 43 및 45, 46이 서로 보강하여 강성이 유지되게끔 되어 있다. 외륜, 내륜 양 차동캠 39,40의 후면에는 이것과 동심으로 드라이브 디스크 50이 회동자재로 유지되고 드라이브로 디스크 50은 44, 45도에 상세하게 표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둘레방향에 등각으로 3개의 유성기어 51이 축설되어 외주에 베벨기어 52가 각설되어 있고, 유성기어 51은 외륜, 내륜 양 차동캠 39, 40의 내부기어 41과 외부기어 44에 동시로 맞물리고, 베벨기어 52는 척 바디 30의 외주부에 장설된 베벨피니언 53과 맞물려 있다. 또한 전기한 유성기어 51은 3개로 한정되지 않고 4개로 하여 체결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작용]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 척은 드로우바 23을 외부의 파워 실린더에 의하여 축선 C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차동캠 구동캠 20도 같이 축선 C방향으로 이동한다. 차동캠 구동캠 20의 차동캠 구동부 20b는 경사가 서로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교차상으로 중합하고 있는 외륜 차동캠 15와 내륜 차동캠 16의 양수동경사면 15d, 16b를 동시에 축선 C방향으로 눌러 진행하는 것으로 양 차동캠 15, 16의 회동이 규제되지 않는 경우, 즉 각 톱조 9가 전부 놀고 있는 경우, 양 차동캠 15, 16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여기서 외륜 차동캠 15가 정면에서 보아 좌회전으로 회동하고, 내륜 차동캠 16이 우회전으로 회동하면 제2도에 있어서 상방의 제1종의 죠오구동캠 131은 좌회전으로 회동하는 외륜 차동캠 15에 구동되어 우회전으로 회동하여 우편심으로 하고 있는 죠오구동부 13c는 마스타죠오 8을 척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다른쪽의 제5종의 죠오구동캠 135는 수동부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회동하지 않고 이에 계합하는 마스타죠오 8을 정위치로 유지하다. 또, 좌우의 제3종의 죠오구동캠 133은 내륜 차동캠 16의 우회전으로 회동되어 다같이 좌회전 회동하고 좌편심하고 있는 죠오구동부 13c는 마스타죠오 8을 척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공물은 정위치로 유지된 마스타죠오 8에 위치 조정된 취부볼트 11에 고정된 톱죠오 9에 소정 위치가 맞닿게 위치결정되어 전기한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는 세방향의 톱죠오 9의 어느것인가의 가공물에 맞닿아 이동이 정지되면 그 톱죠오 9를 구동하는 외륜 또는 내륜 차동캠 15, 16의 회동이 구속된다. 그러면 차동캠 구동캠 20의 차동캠 구동부 20b는 정지된 차동캠 15 또는 16의 수동경사면 15d, 또는 16d에 안내되어 차동캠 20을 회동시키면서 경사면을 습동하고 이에 수반하여 회동이 구속되어 있지 않는 다른쪽의 차동캠 15 또는 16의 수동경사면 15d 또는 16d를 눌러 진행하여 이것을 회동시켜, 이 차동캠 15 또는 16에 연동하는 톱죠오 9를 이동시킨다.
이 톱죠오 9가 가공물에 맞닿으면 이 차동캠 15 또는 16의 회동은 정지되어 차동캠 구동캠 20의 차동캠 구동부 20b는 양 차동캠 15, 16의 수동경사면 15d, 16d에 같이 구동력을 미쳐 셋방향의 톱죠오 9는 척 중심 방향으로 같이 체결력을 가공물에 작용한다. 따라서 가공물은 1점을 위치결정되어 3점을 불규칙한 외형에 대응하여 차동된 톱죠오도 같이 체결되어 이 1점 위치결정, 3점 바깥조임 척 가이드로버 23을 당기는 것으로서 단일 조작이 행하여진다.
제28-36도는 전기한 1점 위치결정 3점 바깥조임식 외에 제1종에서 제5종의 죠오구동캠 131, 132, 133, 134, 135의 바깥측으로서 이룰 수 있는 각종 척의 변환 모드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28도는 직교 방향의 죠오구동캠 4개를 전부 바깥조임형(제1종 131,제3종 133)으로 변환한 일반적인 4점 바깥조임식, 제29도는 직교 두방향의 죠오구동캠 4개를 전부 속조임형(제2종 132,제4종 134)으로 변환한 4점 속조임식, 제30도는 한쪽방향의 죠오구동캠 2개를 바깥조임형(제1종,131), 직교하는 다른 방향의 죠오구동캠 2개를 속조임형(제2종,132)으로 변환한 2점 바깥조임식, 제31도는 한쪽방향 일측의 죠오구동캠 1개를 위치결정형 (제5종 135) 다른 3개의 죠오구동캠을 속조임형 (제2종 132,제3종 133)으로 변환한 1점 위치결정, 3점 속조임식, 제32도는 한쪽방향 일측의 죠오구동캠 1개를 위치결정형 (제5종 135), 이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죠오구동캠 1개를 속조임형(제2종,132), 직교하는 타방향의 양쪽의 죠오구동캠 2개를 바깥조임형(제3종 133)으로 변환한 1점 위치결정, 1점 속조임, 2점 바깥조임식, 제33도는 직교하는 두방향의 각 한쪽의 죠오구동캠 1개를 위치결정형 (제5종 135), 이에 대향하는 다른쪽의 죠오구동캠 1개를 바깥조임형(제1종, 131), 직교한 타방향의 죠오구동캠 2개를 속조임형(제4종 134)으로 변환한 1점 위치결정, 1점 바깥조임, 2점 속조임식, 제34도는 직교 두방향의 각 한쪽의 죠오구동캠 2개를 위치결정형(제5종 135), 이에 대향하는 각 직교한 두방향 다른쪽의 죠오구동캠 2개를 바깥조임형(제1종 131,제3종 133)으로 변환한 2점 위치결정, 2점 바깥조임식, 제35도는 직교하는 두방향의 각 한쪽의 죠오구동캠 2개를 위치결정형(제5종 135), 이에 대향하는 각 직교하는 두방향 다른쪽의 죠오구동캠 2개를 속조임형(제2종 132,제4종 134)으로 변환한 2점 위치결정, 2점 속조임식, 제36도는 직교하는 두방향의 각 한쪽의 죠오구동캠 2개를 위치결정형(제5종 135), 이에 대향하는 직교하는 두방향의 각 다른쪽의 죠오구동캠을 서로 반대로 바깥조임형(제1종 131) 및 속조임형(제4종 134)으로 변환한 2점 위치결정, 1점 바깥조임, 1점 속조임식의 척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한 죠오구동캠을 바깥조임형, 속조임형, 위치결정형으로 변환하는 수단은 바깥조임형, 속조임형, 위치결정형의 죠오구동부를 형성한 각 죠오구동캠을 죠오구동캠 구멍으로 바꾸는 것이다. 제37도는 공통의 축부에 죠오구동부를 바꾸어 바깥조임형, 속조임형, 위치결정의 죠오구동캠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표시하고 있다. 즉 죠오구동캠 13'는 축부 13a'와 죠오구동부 13c'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축부 13a'는 외륜 차동캠 15의 구동홈 15c에 계합하는 수동부 13b를 형성한 것과 내륜 차동캠 16의 구동홈 16c에 계합하는 구동부 13b'를 형성한 것과의 2종류가 있고, 어느것이나 단부중심에 각 공 13d가 형성되어 있다. 죠오구동부 13c'는 전기한 축부 13a'의 각 공 13d에 삽입하는 각 축상삽입부 13e에 편심으로 하여 핀상의 죠오구동부 13c1이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같은 삽입부 13e에 편심하고 있지 않은 중립핀상의 죠오구동부13c2가 일체로 형성된 것 2종류가 있다. 그리고 외륜 차동캠 15의 구동홈 15c에 계합하는 수동부 13b를 가지는 축부 13a'에 죠오구동부 13c1를 수동부 13b를 밑으로 하여 정면에서 보아 우편심시켜 삽입하면 전기한 제1종(바깥조임형)의 죠오구동캠 131으로 되고, 역으로 좌편심시켜 삽입하면 전기한 제2종(속조임형)의 죠오구동부 132로 되어 내륜 차동캠 16의 구동홈 16c에 계합하는 수동부 13b'를 가지는 축부 13a'에 편심하는 죠오구동부 13c1를 수동부 13b'를 밑으로 하여 정면에서 보아 좌편심시켜 삽입하면 전기한 제3종(바깥조임형)의 죠오구동캠 133으로 되고 역으로 우편심시켜 삽입하면 전기한 제4종(속조임형)의 죠오구동캠 134으로 되어 외륜 또는 내륜 차동캠의 구동홈 15c 또는 16c 어느것인가에 계합하는 수동부 13b 또는 13b'를 가지는 축부 13a'에 편심하지 않는 중립의 죠오구동부 132를 삽입하면 전기한 제5종(위치결정형)의 죠오구동캠 135로 된다.
이 죠오구동캠 135는 외륜 또는 내륜 차동캠 15 또는 16으로 구동되어 축부 13a'는 회동하나, 죠오구동부 132는 편심하고 있지 않으므로 중립을 유지한다. 따라서 전기한 전 10종류의 척변환을 죠오구동캠을 바꾸는 방식으로 하면 5종류의 죠오구동캠이 각 2개씩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하여 죠오구동부의 바꾸는 방식에서 축부는 2종류 2개씩, 죠오구동부는 편심형 4개, 중립형 2개의 2종류 6개로 끝낼 수 있다.
제38도는 차동캠 구동캠 20의 차동캠 구동부 20d를 직교하는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2쌍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외륜 차동캠 15 내륜 차동캠 16의 수동경사면 15d, 16d를 갖게 직교하는 두 개의 직경선상에 2쌍씩 설치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차동캠 구동부 20d를 복수쌍으로 증가하는 것으로서 척의 강도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제2종 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을 척 바디 30 외주부의 베벨피니언 53의 각 죠오 54에 미를 삽입하여 회동하고 드라이브 디스크 50을 예를들어 정면에서 보아 기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면 각 톱죠오 35가 가공물에 맞닿지 않고 전부 놀고 있는 경우 외륜, 내륜 양 차동캠 39, 40은 유성기어 51로서 로크된 상태로서 유성기어 51과 동시에 되어 제42도에 화살표로 표시하는 정면에서 보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도시예에서는 외륜차동캠 39의 대향하는 한쌍의 작동캠부 42, 43의 한쪽 42는 정면에서 보다 시계회전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상승경사면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계합하는 마스타죠오 34의 수동캠부 48은 작동캠부 42의 상승경사면을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것으로서 한쪽의 마스타죠오 34는 척 중심방향으로 이동하나 다른쪽의 작동캠부 43은 반경이 일정한 중립이 원호상으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외륜 차동캠 39의 회동에도 불구하고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를 유지한다.
한편 정면에서 보아 시계회전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내륜 차동캠부 40의 대향하는 1쌍의 작동캠부 45, 46이 계합하는 다른 직경방향의 마스타죠오 34의 각 수동캠부 49는 작동캠부 45, 46의 상승경사면을 상대적으로 하강하는 것으로 대향하는 양 마스타죠오 34는 척의 중심방향으로 구심 이동한다. 그리고 톱죠오 35의 어느 하나가 가공물에 맞닿아 이동이 정지되어 그 톱죠오 35에 연계하는 외륜 또는 내륜 차동캠 39, 40의 회동이 구속되면 유성기어 51이 자전하면서 공전하며 다른쪽의 차동캠을 차동시켜 그 차동캠에 연계하는 직경방향의 마스타죠오 34를 이동시켜 그 톱죠오 35가 가공물에 맞닿아 이동이 정지되면 양 차동캠 39, 40은 유성기어 51로서 로크된 상태에서 일체적으로 드라이브 디스크 50의 구동력을 받아 같은 체결력으로 가공물을 한쪽방향의 정위치 세방향 차동바깥조입으로 체결한다. 드라이브 디스크 50을 상술한 바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멍이 뚫린 가공물등을 한쪽방향 위치결정, 세방향 차동으로 바깥조임 할 수가 있다. 제46도는 외륜 차동캠 39의 한쪽의 작동캠 42를 정면에서 보아 시계회전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상승경사면, 다른쪽의 작동캠부 43을 반경이 일정한 중립이 원호상으로 형성하고 내륜 차동캠 40의 한쪽의 작동캠부 45를 반경이 일정한 중립원호상태, 다른쪽의 작동캠부 46을 정면에서 보다 시계회전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상승경사면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이 차동캠에서는 두방향 위치결정, 또는 두방향 위치결정의 척에 있어서, 반경이 일정한 중립이 원호상의 작동캠부를 상승경사면 또는 하강경사면으로 하는 것으로서 십자방향의 죠오의 한쪽이 바깥조임, 다른쪽이 속조임으로 되게 각종 다양한 위치결정 차동척을 구성할 수가 있어, 복잡한 형상의 가공물의 위치결정파지에 대응시킬 수가 있다.
또, 전기한 외륜 및 내륜 차동캠 위에 각각 대설한 작동캠부는 각 복수의 병렬로 설치하고 또 형상도 외륜, 내륜 차동캠 동시에 전기한 실시예와 같이 凸 형상으로 하는 것외에 쌍방 凹 형상 또 어느것인가 한쪽을 凸 형상 다른쪽을 凹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은 임의로 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제1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은 척 바디의 전면에 형성된 직교하는 두방향의 죠오홈에 2개씩 대향되어 습동자재 유지한 4개 죠오와, 드로우바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동 축선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동축선 둘레로 회동자체인 차동캠 구동캠과 상기한 차동캠 구동캠과 동시에 계합하는 서로 반대방향의 수동경사면을 가지고 차동캠 구동캠 위의 전기한 축선방향의 이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한쪽의 구동이 구속되었을 때, 구속된 쪽에 수동경사면에 따라 차동캠과 수동캠이 회동하여 이동하는 것으로서 다른쪽이 차동되는 한쌍의 차동캠과, 전기한 한쌍의 차동캠의 각각에 계합하는 차동캠 수동부와, 전기한 죠오의 각각에 계합하는 죠오구동부가 형성되어, 척 바디에 형성된 죠오구동캠 구멍에 회동자재로 감합된 죠오구동캠을 가지고 구성되는 차동 4개 죠오척의 전기한 죠오구동캠 구멍을 척 바디의 직교한 두방향의 죠오홈의 각 중심선상에 형성함과 동시에 죠오구동캠을 바깥조임형, 속조임형, 위치결정형으로 변환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척 본체를 교환함이 없이 죠오구동캠 또는 그 죠오구동부를 바꾸는 것만으로서, 4점 속조임, 4점 바깥조임은 물론, 2점 바깥조임, 2점 속조임 또는 1점 위치결정, 2점 위치결정파지 등 각종 다양한 형태의 파지를 할 수 있는 차동 4개 죠오의 척으로 변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불규칙한 형상의 가공물을 형상에 따라 가장 적절한 파지방법으로 파지할 수가 있어 또한 이 파지는 종래의 스크롤 척과 같은 단일조작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숙련자가 아니라도 생산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척은 베이스로 되는 척 하나로서 됨으로 설비가 대폭으로 절감되는 등 경제적 효과가 다대하다. 또 차동캠 구동캠의 차동캠 구동부를 복수설치함과 동시에 이에 대응하여 각 차동캠의 수동경사면을 복수설치함으로서 작동캠부의 강성과 내마모성이 강화되어 척의 정밀도가 유지되고 내구성의 증진과 더불어 대형 강력척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2형식의 차동 4개 죠오척은 척 본체의 전면에 형성된 직교하는 두 개의 직경방향의 죠오홈에 4개의 죠오가 2개씩 대향되어 습동자재로 유지되어 척 본체내에서 내부기어가 각설되어 반원호상의 작동캠부가 직경방향으로 대설된 링상의 외륜 차동캠과 외부기어가 각설되어 반원호상의 작동캠부가 직경방향으로 대설된 원판상의 내륜 차동캠과 상기한 외륜, 내륜 양 차동캠의 내부기어와 외부기어가 동시에 맞물리게 하는 유성기어를 축설한 드라이브 디스크가 설치되어 전기한 외륜 및 내륜 차동캠의 각 작동부에 일직경방향 및 다른 직경방향의 죠오에 각각 설치된 수동캠부에 각각 결합된 차동 4개 죠오 척의 전기한 외륜 또는 내륜 차동캠의 한쪽 또는 쌍방에 각각 대설된 작동캠부의 한쪽을 반경이 일정한 중립이 원호상으로 다른 작동캠부를 둘레방향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반경이 일정한 중립이 원호상으로 형성한 작동캠부에 계합하는 죠오를 정위치로 유지하고 둘레방향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경사면에 형성한 작동캠부에 계합하는 죠오를 구심 또는 이심 방향으로 차동시키게 하는 것으로 한쪽방향 위치결정 또는 두방향 위치결정 차동 4개 죠오척이 구성되어 또한 둘레방향으로 반경이 변화하는 작동캠부의 경사면을 상승 또는 하강할 뜻을 경사면으로 선택하는 것으로서 각종 다양한 위치결정 차동차파지가 가능하게 되어 복잡한 형상의 변형가공물의 위치결정파지가 숙련을 요함이 없이 종래 세방향조임 스크롤척이 선출원의 두방향 차동 구심식 4개 죠오 연동척과 같은 단일제작으로 정밀도를 우수하게 행할 수가 있어 생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또 외륜 및 내륜 차동캠의 반원호상의 작동캠부를 凸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각 단부를 연속시켜 전원호상으로 하여 또 각 작동캠부를 복수식 병렬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작동캠부의 강성과 내마모성이 강화되어 척의 정밀도 유지 및 내구성의 증진과 동시에 대형 강력척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로울의 한쪽의 측단부로부터 중심축부분에 대기에 개방가능한 중공부를 형성하고, 동 중공부내의 중심축위에 로드형상의 히이터를 설치하고, 동 히이터와 중공부와의 사이에 저융점금속을 충전하고, 이 중공부의 외주에 형성한 제2의 중간부에 열매를 봉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봉입로울.
  2. 로울의 한쪽의 축단부로부터 중심축 부분에 대기에 개방가능한 중공부를 형성하고, 동 중공부내의 중심축위에 로드형상의 히이터를 설치하고, 열매를 히이터의 단면외주의 일부를 열매가 적시는 하한보다 많이 봉입하고, 또한 로울내의 기상속의 열매중그몰분율이, 로울사용중의 온도 영역에서 8O%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매봉입로울.
  3. 열매를 봉입한 중공의 로울셀의 내면에 나선형상의 홈 또는 핀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열매봉입로울.
KR1019910021389A 1990-11-27 1991-11-27 열매봉입로울 KR940003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103690A JP2695695B2 (ja) 1990-11-27 1990-11-27 ヒータロール
JP90-321036 1990-11-27
JP1990123515U JPH0481952U (ko) 1990-11-27 1990-11-27
JP90-123515 1990-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65A KR920009465A (ko) 1992-06-25
KR940003777B1 true KR940003777B1 (ko) 1994-05-03

Family

ID=2646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389A KR940003777B1 (ko) 1990-11-27 1991-11-27 열매봉입로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11394A (ko)
EP (1) EP0488155B1 (ko)
KR (1) KR940003777B1 (ko)
AU (1) AU634107B2 (ko)
DE (2) DE6911744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4264U1 (de) * 1996-08-17 1997-12-18 Kuesters Eduard Maschf Beheizbare Walze
US6022488A (en) * 1998-09-17 2000-02-08 Radco Industries, Inc. Heat transfer fluid containing 1,1-diphenyl ethane and diphenyl oxide
WO2002006744A1 (en) * 2000-07-13 2002-01-24 Ronflette S.A. A roller kiln
KR100416550B1 (ko) * 2001-10-10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장치
US7261146B2 (en) * 2003-01-17 2007-08-28 Illinois Tool Works Inc Conductive heat-equalizing device
CN1322297C (zh) * 2004-03-29 2007-06-20 张善智 常压高温节能烘干辊筒机组
US20060219390A1 (en) * 2005-03-31 2006-10-05 Xerox Corporation Self-pumping heat-pipe fuser roll
JP5759066B2 (ja) * 2012-04-25 2015-08-05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伝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892A (en) * 1909-06-23 1910-07-12 Gen Electric Electric heater.
US1432864A (en) * 1919-11-11 1922-10-24 Western Electric Co Heating device
US1430222A (en) * 1921-04-29 1922-09-26 Arthur B Evans Means for completing the vaporization and homogenization of mixture delivered by a carburetor
GB382062A (en) * 1931-10-22 1932-10-20 Henry August Plieger Electric heating plate
GB528477A (en) * 1938-05-11 1940-10-30 Micafil Ltd Works For Electric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manufacture of insulating tubes for electro-technical purposes
US2578917A (en) * 1946-06-12 1951-12-18 Griscom Russell Co Tubeflo section
GB619457A (en) * 1946-12-11 1949-03-09 Timson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chines or apparatus for heat treating sheet material
US2739218A (en) * 1953-05-20 1956-03-20 Ohio Brass Co Heating rolls
GB925791A (en) * 1958-12-05 1963-05-08 Kurashiki Rayon Kk Hollow drying roller
US3291204A (en) * 1961-03-16 1966-12-13 Thermel Inc Heat transfer roll
CH474762A (de) * 1967-10-26 1969-06-30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Heizung von Lauftrommeln an Fahrzeugprüfständen
US3619539A (en) * 1970-05-22 1971-11-09 Honeywell Inc Fluid heated roll
GB1417991A (en) * 1972-05-16 1975-12-17 Hunt Moscrop Ltd Apparatus for maintaining a uniform peripheral or surface temperature on a cylinder
US4091264A (en) * 1976-08-13 1978-05-23 Seal Incorporated Heat transfer
GB1588926A (en) * 1976-09-27 1981-04-29 Ricoh Kk Heat fixing apparatus
GB1589374A (en) * 1976-10-20 1981-05-13 Ricoh Kk Heating rollers
JPS53125848A (en) * 1977-04-08 1978-11-02 Ricoh Co Ltd Heat pipe roll
US4158128A (en) * 1977-06-20 1979-06-12 Ivanovsky Nauchno-Issledo-Valetelsky Experimentalnokonstruktorsky Mashinostroitelny Institut Roller for applying uniform load across the width of processed sheet material
US4222988A (en) * 1978-05-05 1980-09-16 Oil Base Germany G.M.B.H. Apparatus for removing hydrocarbons from drill cuttings
DE3139254C1 (de) * 1981-10-02 1983-03-10 A. Monforts GmbH & Co, 4050 Mönchengladbach Walze zum kontinuierlichen thermischen Behandeln und/oder Fuehren einer textilen o.dgl. flexiblen Warenbahn
IT1153980B (it) * 1982-11-05 1987-01-21 Mario Monti Cilindro riscaldato con resistenze elettriche,in bagno d'olio,particolarmente per macchine per la termostampa di tessuti,e per calandre per la stiratura di finissaggio di tessuti e simili
US4577674A (en) * 1983-07-22 1986-03-2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Guide roll
AT386682B (de) * 1984-03-29 1988-09-26 Chemiefaser Lenzing Ag Heizwalze
JPS61147819A (ja) * 1984-12-19 1986-07-05 Kawasaki Steel Corp 連続熱処理炉用ハ−スロ−ル
EP0424527A4 (en) * 1988-11-25 1991-08-21 Vsesojuzny Zaochny Politekhnichesky Institut Mill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17448D1 (de) 1996-04-04
KR920009465A (ko) 1992-06-25
AU634107B2 (en) 1993-02-11
US5611394A (en) 1997-03-18
AU8817891A (en) 1992-05-28
EP0488155A3 (en) 1992-09-02
DE488155T1 (de) 1992-09-24
EP0488155B1 (en) 1996-02-28
EP0488155A2 (en) 1992-06-03
DE69117448T2 (de) 199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3777B1 (ko) 열매봉입로울
KR960006360B1 (ko) 유압 베어링 작동기
US4872362A (en) Driving mechanism and manipulator comprising such a driving mechanism
KR102556195B1 (ko)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용 지그
US10605342B2 (en) Linear actuator with torque limiter mounted to a driven sprocket
KR940003778B1 (ko) 차동 4개 죠오의 척
US4604008A (en) Metal working machine having polygon tool support bar
CN116984907B (zh) 一种数控转台
WO2000025954A1 (fr) Mecanisme a tourillon d'une machine a etirer
CN107671535A (zh) 锁紧装置
CN104723087A (zh) 用于装配紧固件的机械手臂的手腕部结构
KR102556199B1 (ko)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US5143686A (en) Chuck with four differential jaws
JPS6362957A (ja) リニア駆動ユニット
CN108838530A (zh) 一种自动化的激光焊接方法
CN112709787A (zh) 减速器的壳体、减速器以及工业用机器人
JPH028841B2 (ko)
RU2037695C1 (ru) Планетарная передача
CN219190000U (zh) 一种轴工件装配用自动调头机构
JPS63174807A (ja) 二方向差動求心式四爪連動チヤツク
JP2717294B2 (ja) 差動四爪パワーチャック
US4479294A (en) Secondary working apparatus
JPS6246284B2 (ko)
CN220839026U (zh) 一种法兰加工工装
CN219232565U (zh) 一种便于固定的球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