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6360B1 - 유압 베어링 작동기 - Google Patents

유압 베어링 작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6360B1
KR960006360B1 KR1019880015809A KR880015809A KR960006360B1 KR 960006360 B1 KR960006360 B1 KR 960006360B1 KR 1019880015809 A KR1019880015809 A KR 1019880015809A KR 880015809 A KR880015809 A KR 880015809A KR 960006360 B1 KR960006360 B1 KR 960006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roller
reciprocating
axially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463A (ko
Inventor
피터 웨이어 폴
Original Assignee
피터 웨이어 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웨이어 폴 filed Critical 피터 웨이어 폴
Publication of KR89000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15B15/06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 F15B15/068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for mechanically converting rectilinear movement into non- rectilinear movement the motor being of the helica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B66C23/86Slewing gear hydraul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47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rollers
    • F16H25/2266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rollers arranged substantially in parallel to the screw shaft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 Y10T74/18728Backla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98Spiral
    • Y10T74/19702Screw and nut
    • Y10T74/19744Rolling element engaging thread
    • Y10T74/19781Non-recirculating rolling elements
    • Y10T74/19791Cylindrical or quasi-cylindrical roller element [e.g., inclined roller, etc.]
    • Y10T74/19795Parallel to 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 Y10T74/19893Sectional
    • Y10T74/19898Backlash take-up
    • Y10T74/19902Screw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압 베어링 작동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유압식 회전 스폴라인 작동기의 단면 사시도.
제 2 도는 축 플랜지에 장착된 플랫폼이 도시된 역 회전 제거 수단을 갖는 토크 전달 로울러를 사용하는 제 1 도의 작동기의 다른 종단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선 3-3 선을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 4 도는 역 회전을 일으키는 늘어짐을 제거하는 제 2 도의 한 개의 로울러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제 5 도는 부움의 부착된 플랫폼을 회전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작동기를 사용하는 트럭에 버킷 리프트의 축소된 측면도.
제 6 도는 바퀴 조립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작동기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조향 조립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 작동기 12 : 몸체
14 : 측벽 16 : 제1몸체 단부
18 : 제2몸체 단부 36 : 나사구멍
56,58 : 유체 밀착 격실 66 :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
68 : 몸체홈 72 : 원주 방향 스페이스
(관련기술의 참조)
본 발명은 1987년 l월 20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 006,007호로써 지금은 미국 특허 제 4,838,103호로서 허여된 특허와, 1986년 11월 14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 931,223호로써 지금은 미국 특허 제 4,846,007호 허여된 특허와, l986년 7월 3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 881,904호로써 지금은 미국 특허 제 4,741,250호로써 허여된 특허의 일부 연속 출원이고, 상기 특허는 1984년 10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 662,256호로서 지금은 미국특허 제 4,667,528호로서 허여된 특허와, l985년 1월 17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 692,293호로써 지금은 미국특허 제 4,683,767호로써 허여된 특허 및 1985년 12월 2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 803,954호로서 지금은 미국특허 제 4,691,582호로서 허여된 특허의 일부 연속 출원이고 ; l984년 1월 30일 출원된 출원번호 제 575,228호로써 지금은 미국 특허 제 4,590,816호로써 허여된 특허의 일부 연속 출원이다.
(기술의 배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작동기 및 다른 유압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스톤의 축방향 운동이 몸체와 출력 부재 사이에서 회전 또는 선형 운동을 유발하는 형태의 유압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회전 헬리컬 스플라인 작동기는 단순한 선형 피스톤 및 실린더 구동 장치로부터 높은 출력의 잇점을 얻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작동기는 구동 출력을 제공하는 축의 단부와 함께 몸체내에서 동축으로 연장되는 연장 회전 출력 축을 갖는 실린더형 몸체를 사용한다. 연장된 환형 피스톤 슬리이브는 몸체와 축 사이에 설치되어, 여기에서 축을 동축으로 수용한다. 상기 피스톤 슬리이브는 몸체 내부 및 출력 축 외부 위에서대응하는 스플라인과 작동하기 위해 스플라인 슬리이브부를 갖는다. 상기 피스톤 슬리이브는 몸체내에 상호적으로 장착되었으며, 하나 또는 다른 대향 측면에 유압을 제공하기 위한 헤드가 구비되어, 피스톤 슬리이브의 축방향 운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피스톤 슬리이브가 몸체 내에서 축방향으로 선형 왕복 운동을 할 때, 슬리이브부의 외부 스플라인은 슬리이브부의 회전을 발생시키도록 몸체의 스플라인과 협동한다. 이에 따라 슬리이브부의 선형 및 회전 운동이 슬리이브부의 내부 스플라인을 통해 축의 스플라인으로 전달되어 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베어링은 몸체에 대해 축의 하나 또는 양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이러한 장치는 비교적 높은 토크 출력을 발생시키나, 높은 모멘트 하중과 큰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 작동기의 능력은 제한되어 있다. 보통 작동기는 축과 단부 플랜지, 또는 몸체의 단부 캠 사이의 베어링, 몸체 측면에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위치된 베어링을 가진 슬랜더 축(slender shaft)을 갖는다. 작동기 몸체를 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플랫폼 외부의 먼곳에 닿은 부움을 갖는 크레인, 버킷 리프트 또는 다른 기구를 운반하는 대형 플랫폼과 같은, 과하중을 운반하는 플랫폼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작동기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는 미국 특허 제 4,508,016호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작동기 몸체는 플랫폼을 운반하는 자동차 또는 다른 구조물의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기 축은 이것의 회전을 일으키기 위해 플랫폼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특허에 있어서, 플랫폼 무게는 축보다 작동기 몸체에 의해 지지되지만, 여러 상황에 있어서 플랫폼을 직접 지지하는 작동기 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래의 작동기는 축이 플랫폼올 중앙으로 지지할 때 발생된 높은 모멘트를 용이하게 처리하도록 구조되지가 않았다. 이 장치에 있어서 플랫폼에 의해 운반된 장치의 부품이 연장되었을 때, 모멘트는 상당히 증가하여, 종래의 작동기 축과 축 베어링 구성으로는 취급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플랫폼, 크레인 또는 여기에 장착된 다른 기구의 무게에 기인한 축방항 드러스트 하중과 작업 하중은 종래의 축 베어링 구성에 있어서는 더욱 크다. 작동기의 다른 수직 방향은 바퀴 조립체 위의 자체무게를 지지하고 차체의 바퀴 조립체의 회전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는 높은 모멘트 및 큰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을 작동기 축이 받게 된다.
종래의 작동기의 구성에 있어, 종래 기술의 회전 작동기의 긴 길이는 플랫폼을 회전시키도록 작동기를 사용할 때 제한이 주어지며, 일정한 크기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짧은 패키지를 요구하는 상황에서는 제한이 주어진다.
또다른 문제점은 피스톤 슬리이브가 유압의 제공에 따라 한 축방향에서 다른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작동기의 토크 전달 부재내에서 역 회전이 발생되는 것이다. 정확한 가공은 이러한 역 회전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공정은 제조 경비를 증가시킨다. 비록 정확한 가공이라 하였으나, 종래의 가공 기술로는 역 회전의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늘어짐을 전체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 더욱이, 정확한 공차를 얻기 위해 서로가 밀착하여 고정되는 작동기 부품을 생산하여 늘어짐을 감소시키는 것은 작동기 조립체에 있어 더욱 곤란하다. 반면에, 정확한 가공은 초기에 늘어짐을 감소시키나, 스플라인부는 사용중에 마모되던지 또는 초기의 공차를 손실하는 경우가 생기며, 작동기를 분해하지 않고 늘어짐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은 없다. 역 회전은 작동기가 크레인 또는 버킷 리프트 플랫폼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작동기에서의 역 회전이 연장된 부품의 끝 부분에서 증가되는 경항이 있기 때문에 피스톤 슬리이브가 한 축방향에서 다른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부움의 안정성과 작동자의 안전 제어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증가된 모멘트와 축방향 하중을 취급할 수 있는 유압식 베어링 작동기 및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장치는 전체 길이가 축소되었고,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역 회전을 발생시키는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토크 전달부를 정확하게 가공할 필요성도 없다. 본 작동기는 조립하기가 용이하며 작동기가 조립된 후에 역회전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늘어짐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었다. 늘어짐의 제거는 몸체로부터 토크 전달부의 분해가 필요치 않는 단순한 방식으로 성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 및 다른 관련될 잇점을 제공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사용중에 일반적으로 수직 축방향인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연장된 실린더형 몸체를 구비하는 유압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제1몸체 단부로부터 제2몸체 단부를 향해 몸체내에서 동축으로 연장되는 실린더형 구동 축부를 갖는 구동 부재와 제1몸체 단부를 향해 구동 축부의 단부에 부착된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구동 축과 플랜지부는 이를 사이에 연결 조인트가 없이 일체식 유닛으로 형성되었다. 이 플랜지부는 구동 축부로부터 몸체의 내부 표면을 넘어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하였으며 사용중에 일반적으로 수평면을 통해 몸체에 대해서 회전을 한다.
하중 운반 베어링 수단은 구동 부재와 몸체 사이에 회전 운동을 주기 위해 제1몸체 단부에서 플래지부와 몸체 사이에 설치되었다. 이 베어링 수단은 제1 및 제2볼 레이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볼을 갖는 제1몸체 단부를 향해 플랜지부에 형성된 제1 레이스와 몸체내에 형성된 제2 볼 레이스를 포함한다. 이 베어링 수단은 플랜지부에 가해진 축 방향 드러스트 및 방사상 하중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볼 레이스는 사용할 때에 수평면에 대해 접촉각이 약 30 내지 60도인 중앙볼 접촉각을 갖는다. 또한 본 장치는 몸체내에 설치된 선형 대 회전 전달 수단을 포함하여, 구동 부재와 몸체 사이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력 실시중에 작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몸체는 제1 또는 제2 몸체 단부중 하나를 향해 내부 표면의 단부 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으며, 제2 볼 레이스는 내부 몸체 표면위에 형성된 몸체 홈의 방사상 외부에 형성되었다. 또한 구동 축부는 구동 부재와 몸체 사이에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해 선형 대 회전 전달 수단과 작용하고 약 10 내지 35도 각도의 헬리칼 각도를 갖는 몸체 홈과 축 홈을 갖는 외부 표면 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과 연관하여, 몸체는 홈이 형성된 단부의 축방향으로 외부를 향한 포트 사이의 몸체와 고정된 시일내에서 가압된 유체를 도입하기 위하여 한쌍의 축방향으로 이격 분리된 유체 포트를 갖는다. 그리고 선형 대 회전 전달 수단은 피스톤의 각 측면에 대한 한쌍의 유체 밀착 격실을 형성하도록 몸체내에서 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할 때 고정된 시일이 미끄럼 가능하게 연결된 매끄러운 표면부를 갖는 왕복 피스톤을 포함한다. 각 격실은 상이한 하나의 포트와 유체를 통하게 한다. 홈이 형성된 단부로부터 떨어진 제1 또는 제2 몸체 단부중 다른 하나를 향한 고정 시일의 외부를 향해 위치한 하나의 포트는 피스톤의 운동을 제한하는 단부의 축방향 내부에 위치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과 연관하여, 몸체 또는 구동부재의 하나는 몸체내에 위치된 표면부위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헬리컬 홈들을 갖는다. 또한 장치는 제한된 범위내에서 서로에 대해 독립하여 조정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로울러 디스크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로울러를 포함한다. 각 로울러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 리지부(ridge)를 갖는다. 또한 장치는 몸체내에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이 왕복 운동 부재는 왕복 운동 부재와 몸체의 하나 또는 홈이 형성된 표면부를 갖는 구동 부재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홈이 형성된 표면부와 결합되어 위치된 로울러 내에서 로울러와 함께 장치가 동작중에 왕복 운동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그리고 원형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로울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킨다. 로울러 디스크의 각 리지는 홈이 형성된 표면부에 대응하는 하나의 혤리컬 홈에서 회전 운동을 위해 위치하였다.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은 왕복 운동 부재를 왕복 운동 및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장착되었다.
또한 상기 장치는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듯이 피스톤이 한 축방향에서 다른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왕복운동 부재와 홈이 형성된 표면부 사이에서의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으로 한 로울러에 대한 다른 로울러의 로울러 디스크 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선택적이고 조정 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내에서 움직이게 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은 피스톤이 한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홈이 형성된 표면부와 맞물린 로울링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유지시키고, 피스톤이 다른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에 홈이 형성된 표면부와 맞물린 로울링내에서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왕복 운동 부재는 홈이 형성된 표면부에 인접된 위치로 연장하는 스핀들을 포함한다. 이 스핀들은 장치가 동력 작동중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는 로울러를 갖는다. 스핀들은 동력 작동중에 왕복 운동 부재에 의해서 저지된다. 로울러를 구비하는 2개의 로울러 스핀들 위에서 축방향으로 이격 분리되었다. 하나 이상의 로울러 디스크는, 조정 수단의 작동에 의해서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조정 스페이스를 통해 다른 로울러 디스크에 대해서 로울러 디스크의 축방향 운동을 위하여 조정 스페이스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 수단은 그들 사이에 위치된 로울러와 함께 왕복 운동 부재로부터 떨어져 이격된 스핀들 위에 설치된 조정부재를 포함한다. 이 조정 부재는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에 의해 제한된 범위내에서 다른 로울러 디스크에 대해, 하나 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이동시키도록 로울러디스크 위에 축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다. 이 스핀들은 조정 부재의 축방향 운동에 대해 선택적으로 그리고 조정 가능하게 회전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 장치는 2개 이상의 로울러 디스크를 갖는 각각의 복수의 로울러를 포함하며, 조정 수단은 환형 스핀들 지지판이다. 이 지지판은 한 스핀들의 자유 단부를 수용하도록 원형으로 분산된 복수개의 스핀들 개구를 갖고 켄틸레버틴 스핀들 위의 측면력에 대한 지지를 부여한다. 스핀들의 제2단부는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회전을 위한 왕복 운동 부재내의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었다. 이 스핀들은 스핀들 헤드부에 의해 로울러의 방향에서 축방향 운동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잇점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가장 양호한 상태)
본 발명은 유압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l도에 도시된 회전 작동기(l0)이다. 이 작동기(10)는 실린더형 측벽(14)과 제1몸체 단부, 제2몸체 단부(16,18)를 갖는 연장된 하우징 또는 몸체(12)를 포함한다.
중앙의 중공부(19)를 갖는 구동부재인 회전 출력축(20)은 모체(12)내에서 동축으로 위치하여 몸체에 대한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상기 축(20)은 몸체 양 단부를 넘어 축의 양 단부를 돌출시키지 않는 축소된 설계를 제공토록 몸체내에서 거의 같게 연장된다.
축(20)은 몸체(12)의 전체 길이만큼 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구동축부(21)와 방사상으로 외부로 돌출된 환형 플랜지부(22)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부(21)와 플랜지부(22)는 가공된 스톡(machined stock)과 같이 일체로서 형성되었다. 플랜지부(22)는 제1몸체 단부(16)에 위치하였고, 몸체(12)에 대해 회전하는 외부 장치(도시 없음)가 부착된 장착 표면 외부로 판을 제공하기 위해 제1몸체 단부(16)을 약간 넘어서 돌출하였다. 축 플랜지부(22)는 부착 수단인 복수의 장착 볼트(40)에 의해 제2도에 도시된 플랫폼(38)과 같은 외부 장치에 연결하기 위하여 축(20)의 중앙 회전축에서 떨어져 외부를 향해 환형으로 이격된 나사 구멍(36)을 갖는다, 본 발명은 외부 장치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키는 축과 함께, 실시될 수도 있고, 또는 축을 고정적으로 유지하고 몸체(12)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이 제공될 수도 있다.
구동축부(2l)는 제2몸체 단부(18)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부착된 환형 너트(24)를 갖는다. 축 너트(24)는 구동축부(21)의 나사 결합된 주위부(28)에 나사 결합 가능하게 부착된 나사 결합된 내부를 갖는다. 축 너트(24)는 세트 나사(30)로 결합된다.
제2몸체 단부(18)에 있어서, 몸체(12)는 제5도에 도시된 버킷 리프트 트럭(41b)의 지지프레임(41a) 또는 제6도에 도시되었듯이 자동차 바퀴 조립체(45b)를 회전시키기 위해 차체 몸체 프레임(43a)과 같은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몸체의 부착을 위하여 원형으로 분리된 복수의 매끄러운 구명(34)을 갖는 방사상으로 외부를 향해 돌출된 부착 플랜지부(32)를 갖는다.
선형대 회전 전달 수단인 환형 피스톤 슬이이브(42)는 축(20)에 대해서 동축인 몸체(12)내에서 동축으로 그리고 왕복 운동하게 장착되었다. 상기 피스톤 슬리이브(42)는 제2몸체 단부(18)를 향해 위치된 피스톤(44)를 갖고, 왕복 운동부재인 실린더형 슬리이브(46)는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제1몸체 단부(16)을 향해 그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피스톤(44)은, 피스톤과 축(20)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매끈한 벽부(50)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한쌍의 종래 내부 시일(48)을 운반한다. 몸체 측벽(14)은 몸체 측벽과 피스톤(44)의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매끈한 벽부(54) 사이에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측벽의 중심부를 따라 위치한 한쌍의 고정시일(52)을 갖는다. 헤드부(44)와 고정시일(52)과 내부 시일(48)은 제1몸체 단부(16) 및 제2몸체 단부(18)를 향한 헤드부의각 측면에 유체 밀착 격실(56,58)를 형성한다. 축(20)의 매끈한 벽부(50)와 슬리이브부(46)의 매끈한 벽부(54)는 몸체(12)내에서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전체 단부 대 단부로의 왕복 행정 운동을 수용하도록 충분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몸체(12) 내부의 피스톤 슬라이브(42)의 왕복운동은, 압력하의 수력 오일 또는 공기가 몸체 측벽의 고정시일(52)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에 각기 인접한 몸체 측벽(14)내에 위치한 하나 또는 다른 포트(60,62)를 통해 들어갈 때 일어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유체는 작동기(10)에 사용하기 적당한 수력 오일, 공기 또는 적당한 유체를 일컫는다. 각 포트(60,62)는 유체 밀착 격실(56,58)과 각각 통한다. 종래의 시일(64)은 제1 몸체 단부(16)을 향한 축 플랜지부(22)와 몸체(l2)사이, 그리고 축(20)이 회전할 때 격실(56,58)로부터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제1몸체 단부(18)을 향한 축 너트(24)와 몸체(12) 사이에 설치되었다.
격실(56)에 대한 유압의 제공은 제2몸체 단부(18)를 향해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축방향 운동을 일으킨다. 격실(58)에 대한 유압의 제공은 제1몸체 단부(16)를 향해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축방향 운동을 일으킨다. 작동기(10)는 공지된 방식으로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선형 운동을 축의 회전 운동으로 몸체(12)와 축(20) 사이에 회전 운동을 제공한다.
고정 시일(52)과 제1몸체 단부(16) 사이에서는 연장되는 몸체측벽(14)의 홈이 형성된 몸체부(66)는 내부 혤리컬 나사 또는 몸체 홈(68)이 새겨져 있다. 축 플랜지부(22)를 향한 축의 매끈한 벽부(50) 사이에서 연장되는 축의 홈이 형성된 축부(70)는 외부 헬리컬 나사 또는 구동축 홈(74)이 새겨져 있다. 홈이 형성된 축부(70)는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와 일반적으로 대향하여 위치하였으며, 이들 사이에 원주 방항 스페이스(72)를 이루도록 이로부터 방사상으로 내부를 향해 이결 분리되어 있다.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슬리이브부(46)는 몸체(12)의 내부 헬리컬 몸체 홈(68)이 맞물리는 외부 접촉 표면부내의 외부 헬리컬 나사 또는 스플라인(76)이 형성되어 있고, 축(20)의 외부 헬리컬 스플라인(74)이 맞물리는 내부 접촉 표면부내의 외부 헬리컬 나사 또는 스플라인(78)이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맞물림 스플라인(68,76)과 한쌍의 맞물림 스플라인(74,78)의 협력은 피스톤 슬리이브(42)가 왕복 운동을 할때 축(20)의 회전을 야기시키는 선형 대 회전 전환수단을 구비한다. 2쌍의 맞물림 스플라인을 위한 피치와 리드는 작동기의 바람직한 출력 특징을 얻는 것과는 상이할 수도 있다. 또다른 선형 대 회전 전환 수단은,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는 제2도에 도시된 로울러와 스핀들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제1몸체 단부(16)를 향한 축 플랜지부(22)와 몸체 측별(14)은 볼 리세스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볼로 일체로 형성된 대비 및 대응하는 환형 볼 레이스(80)를 갖는다. 축 플랜지부(22)내의 볼 레이스(80)는 이로부터 하향으로 접촉하는 하부 모서리부(84)내에 형성되었으며, 몸체 측벽(14)내의 볼 레이스(80)는 몸체 측벽으로 집중된 상향으로 접촉하는 견부(86)내에 형성되었다. 2개의 볼 레이스(80)의 중앙 볼 접촉점은 이들간의 볼(82)에 대해 서로 반대로 대향하고 있다. 동일한 축 플랜지 장치를 갖는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가상선(92)에 의해 도시되었고 각 볼 레이스(80)의 중알 볼 접촉점 사이의 직선에 의해 성립된 볼 접촉각 "A''는 가상선(94)으로 도시되었듯이 수평으로부터 30 내지 60도이다. 볼 접촉각에 있어서, 볼 레이스(80)와 볼(82)은 단일 베어링의 양 래디알 및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에 대하여 축(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도와준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기(10)는 거의 수직으로 경사진 세로형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볼 레이스(80)와 볼(82)은 축(20)에 가해진 전체 수직 드러스트 하중을 취급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의 작동기(10)가, 제5도에 버킷 리프트가 장착된 트럭이 도시되어 있듯이, 축 플랜지부(24)로 상향을 향할때 커다란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은 아래를 향하게 된다.
중앙의 연장 축부(21)를 넘어 상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축 플랜지부(22)의 사용에 의해, 이로부터 외부 모서리부에서 플랜지부의 볼 레이스(80)로, 축(20)은 여기게 장착된 커다란 플랫폼을 회전시키기 위해, 즉 제2도에 도시된 플랫폼(38)와 같은 플랫폼을 회전시킬때, 특히, 하중 운반 부움(41c)(제5도 참조)이 플랫폼을 넘어 외부로 연장된다면 축에 가해진 수직 모멘트에 대하여 더욱 큰 지지를 갖게 된다. 축 플랜지부(22)의 사용으로, 축 플랜지부의 나사 부착 구멍(36)에 의해 제공된 축(20)에 대한 플랫폼(38)의 부착점은 축부(20)의 중앙 회전축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이격 분리될 수도 있다. 이 부착 구멍(36)은 소직경 축을 사용하는 종래 기술의 플랫폼 작동기의 가능성 보다 대직경인 축 회전축을 방사상으로 더욱 양호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더욱 안전하고 강한 부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축 플랜지부(22)와 중앙의 구동축부(21)가 일체식 유닛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축에 제공된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은 나사 조인트가 사용된 경우와 같이 어느 조인트를 통해 통과하지 않고 볼 리세스(80)과 볼(82)을 통해 몸체(12)에 직접 전달된다. 이러한 형태의 나사 조인트는 제2몸체 단부(18)에서 중앙의 구동축부(21)에 축 너트(24)를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중앙의 연장 축부(21)와 축 플랜지부(22)를 위한 완전한 구조물의 사용에 의해 최대 하중 취급 능력은, 2개로 분리된 부분을 사용하여 구성되면 조인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실패의 경우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큰 모멘트 및 커다란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을 취급하는 능력은 플랫폼에 지지된 부움이 축에 가해진 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플랫폼을 넘어 멀리에 도달할 때와 같은, 대직경의 플랫폼을 회전시키는데 제한 요소를 가졌었다, 미국 특허 제4,508,016호에는, 크레인 플랫폼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작동기를 사용하도록 시도한 적이 있는데, 구동 축은, 작동기 축, 피스톤 슬리이브, 그리고 몸체 사이의 결합을 발섕시키는 플랫폼 하중에 의해 기인된 축내의 휨 하중 없이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데는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특허의 플랫폼은 이들 사이에 설치된 베어링과 함깨 몸체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며, 반면에 축은 축에 전달된 휨 하중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랫폼에 고정적을 연결되었다. 비록 이러한 접근이 어떤 상황에서는 만족스러울지 모르나,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이 회전 작동기인 작동기 몸체에 의해 지지된 축으로 플랫폼을 직접 지지하는 축을 가져야만 바람직하다.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에 대항하는 작동기(10)를 위한 강한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몸체 측벽(14)의 원형 볼 레이스(80)는 몸체 측벽안으 내부 헬리컬 스플라인의 깊게 파인 직경보다 큰 축 회전축으로부터 측정된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축(20)위의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은 볼 레이스(80)와 볼(82)을 통하여 몸체 스프라인의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된 몸체 측벽의 고형 벽부를 통해 몸체 측벽 볼 레이스(80)로 전달된다. 몸체 측벽과 이것의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 운반 능력은 여기의 몸체 혼(68)의 절단에 의해 약화된다. 따라서 하중이 몸체 홈(68)에 의해 하부가 절단된 몸체 측벽의 부분에 내부를 향해 위치한 곳에 가해지지 않아 작은 전단 강도를 갖는다. 축 플랜지부(22)의 충분한 방사상 연장을 허락하기 위하여, 제1몸체 단부(16)의 몸체 측벽(14)은 몸체 스플라인(68)이 형성된 몸체 측벽의 내부로 접촉하는 인접된 표면부(66)보다 큰 직경으로 리세스된 내부 측벽부(91)를 갖는다.
내부 헬리컬 몸체의 깊게 파인 스플라인(68)의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몸체 측벽 볼 레이스를 위치시킴으로써, 볼 레이스가 몸체 스플라인(68)의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위치하고, 피스톤 슬리이브(46)가 몸체내로 삽입될때 피스톤 슬리이브 외부 스플라인(96)을 벗어나기 때문에 조립시에 몸체(12)안으로의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삽입이 용이하다. 상술하였듯이, 피스톤 슬리이브 스플라인(76)은 몸체 스플라인(68)과 상호 결합되어야만 된다.
또한 제2몸체 단부(l8)를 향한 축 너트(24)와 몸체 측벽(14)은 볼 레이스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볼로 일체 형성된 대응 원형 볼 레이스(88)를 갖는다. 반면에, 동일한 일반적인 구조는 축 플랜지부(22)와 몸체 측벽 견부(86)내에서 볼 레이스(80)와 함께 사용되고, 하부의 한쌍의 볼 레이스(88)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되었듯이, 플랫폼을 지지할때 나오는 제l차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인 하양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에 대하여 지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축 너트(24)와 레이스(88)는 제2몸체 단부(18)를 향한 새프트 단부의 방사상 움직임을 방지하여 축(20)에 가해진 모멘트를 취급하도록 해준다.
비교적 큰 직경의 중앙 연장부(21)와 함께 구동부재(20)을 사용함에 의해 종래의 대부분의 작동기의 솔리드 코어 구동축은 본래 증가된 작동기(10)의 하중 운반 능력 뿐만 아니라 축내에 중아의 중공부(l9)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중공의 중앙의 중공부(19)는 플랫폼에 의해 운반된 크레인 또는 다른 장치사이의 수력관과 전기적 와이어를 통과하도록 편리하게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작동기의 회전축을 따라 작동기 플랫폼과 크레인, 아래의 프레임을 지지한다. 이것은 플랫폼을 회전시키기 위해 솔리드 코어 축을 갖는 회전 작동기를 사용할때 제어관 및 와이어를 취급하는 문제점을 제거한다.
상술하였듯이, 피스톤 슬리이브(42)의 헤드부(44)와 몸체 측벽(14)사이에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고정 시일(52)은 고정적이다. 시일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고정 시일(52)은 고정적이다. 이로써, 유체포트(50,62)는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44)을 방해하지 않고 위치내에 포트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는 시일(52) 양 측면에 즉시 위치시킬 수 있다. 포트의 배치는 항상 문제였으며, 더욱 문제점은 포트(60,62) 사이의 고정 시일(52)의 사용은 작동기 몸체(12)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몸체 길이의 감소는 포트(62)를 가요성으로 위치시켜 얻어지며,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제2몸체 단부(18)를 향한 피스톤(44)의 이동 단부 한계의 축방향으로 외부를 향해 몸체 측벽(14)내에 위치되어야만 되었다. 이처럼 위치되지 않으면, 시일은 과거에는 헤드부에 의해 운반되어, 헤드부는 단일 행정시에 헤드부의 양 측면(그리고 양유체 챔버)에 바람직 하지 않은 유체가 가해져 행정 과정시에 포트를 넘어 통과하게 된다. 물론, 포트에 의해 커트되고 접촉되지 않도록 시일을 운반하는 헤드부의 이동 단계 한계를 넘어 축방향으로 포트를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몸체 측벽은 포트의 배치를 수용하기 위해 길게 하였으며, 포트는 몸체 단부벽내에 위치하였다. 몸체 단부벽에서의 포트의 배치는, 이것이 몸체 단부벽을 갖지 않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된 일반적 설계의 작동기로는 불가능하다. 더우기, 제2몸체 단부에서 개방된 몸체단부는 축(20)과 함께 회전하는 축 너트(24)에 의해 밀폐된다.
회전 작동기는 본래부터 높은 토크 출력을 갖는데 반해 작동기 축과 동축으로 장착된 플랫폼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수직 방위로 사용될때, 버킷 리프트 또는 대형 크레인을 운반하는 플랫폼은 충분한 지지 베어링이 사용된다면, 이를 회전시키기 위해 많은 토크를 요구하지 않는다. 더우기, 임계변수는 작동기를 운반하는 축방향 드러스트와 모멘트가 된다. 이와같이, 종래 기술의 작동기보다 작은 헬리컬 각도를 갖는 본 발명의 작동기(10)에서 사용할 수가 있다. 약 10 내지 30도의 헬리컬 각도를 갖는 작동기(10)는 보통 각도가 약 45 내지 60도로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작동기와 비교할때, 선형 대회전 전환 수단의 스플라인용으로 사용된다. 약 10 내지 30도 정도의 헬리컬 각도 또는 나사와, 중앙의 구동축부(21)의 축용인 확장된 직경을 사용하여, 바람직한 피스톤 슬리이브 변환 및 회전 출력을 얻기 위해, 충분한 스플라인 길이를 수용하도록 구동부재(20)와 몸체(12)의 축방향 길이가 충분히 짧아야 한다. 더욱 짧은 몸체는 상술하였듯이, 고정 시일(52)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전체 작동기의 길이는 장치를 회전시키는 플랫폼에 적합하게 크기를 더욱 작게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약 10 내지 30도의 헬릭스 각도를 사용하면, 나사 절단 방법이 바퀴 커터(밀림 공정)를 사용하여 스플라인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작동기(10)를 제조하는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비교적 긴 작동기 몸체에서의 45 내지 60도의 스플라인 헬릭스 각도를 절단할때, 이것은 비싼 기어 절단기를 사용하여 더욱 비용이 많이드는 기어 형성 공정과 비교된다.
10 내지 35도의 헬릭스 각도가 저 효율인데 반하여, 이는 작동기(10)가 유체 동력되지 않을 때, 저 효율인 선형대 회전 전환이 몸체(12)와 축(20) 사이에서의 운동에 대해 자기 잠금 장치를 창출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작동기(10)에 있어 또다른 잇점을 부여한다. 포트(60,62)에 대한 유체 동력을 매우 신속하게 그치게 하는 플랫폼의 회전 운동은 작동자에 의해 또는, 전체 피스톤 슬리이브 운동의 실현에 의해 종결된다. 유사하게, 작동기(10)는 축과 몸체 사이에 회전 운동을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는, 플랫폼에 제공된 외부 힘에 반응하지 않는다. 이러한 위치 지지 특징은 부가적인 제동 기구를 필요치 않고 성취할 수 있다.
이것은 회전 플랫폼(38)의 운동량은 심지어 작동자가 포트에 대한 유체 흐름 구동을 종결하고 난후에도, 축, 플랫폼을 더욱 회전시키려는 경향때문이며, 작동기의 저 효율 스플라인은 더욱 움직이려는 축을 저지하게 된다. 유사하게, 피스톤 슬리이브(42)가 제1 또는 제2몸체 단부를 향한 운동 제한 단부에 이르렀을 때, 축은 플랫폼 운동량의 결과에 의해 몸체(12)에 대해서 더욱 움직이려는 것을 저지시킨다. 이 결과는 분리된 제동 기구보다 양호하다. 외부 회전력이 플랫폼(38)에 가해지면, 작동기 축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 위치에서 유사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분리된 제동 기구를 참가하는 것보다 양호하다.
위치 유지 특정은, 제 6 도에 도시되었듯이, 작동기가 바퀴 조립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차체 조향 장치로써 사용될때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사용시에, 작동기(10)는 크레인 플랫폼, 그리고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바퀴 조립체의 플랫폼에 부착되기 위하여 하향으로 면한 축 플랜지부(22)와 함께 사용될 때에 전환된다. 이경우 발생된 커다란 축방향 드러스트 하중은 상부를 향하게 된다. 만약, 바퀴 조립체가 조향 작동기의 축을 회전시키는 투사각에서 커브할때, 작동기의 위치 유지 특징은 회전으로부터 사고를 방지하고, 바퀴 조립체를 적당하게 굴곡시키도록 유지시킨다. 모든 상태에서, 이러한 특징은 쇼크 하중으로 인해 작동기 몸체 부착되어, 선형 대 회전 전환 수단을 통해 지지 프래임으로 거꾸로 통과하는 지지 프레임을 역시 절연시킬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일한 구조물은 스플라인을 제외하면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사용되었으며,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슬리이브부(46)는 축(20)과 몸체 측벽(14) 사이의 원형 공간내에 설치된 복수의 자유 회전 로울러(98)를 지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l몸체 단부916)를 향한 몸체 측벽(14)의 내부로 인접한 표면부(66)는 여기에 절단된 복수개의 헬리컬 홈(102)을 갖는다. 헬리컬 몸체 홈 및 축 홈(100,102)은 몸체 측벽(14)과 샤프트(20) 주변에서 각각 연장한다.
이 헬리컬 몸체 홈(100)은 대향 핸드 또는 헬리컬 축 홈으로부터 회전방향 핸드를 갖으나 헬리컬 축 홈과 동일한 축방향 피치를 갖지는 않는다. 복수의 헬리컬 몸체홈과 축 홈(100,102)을 구비하는 홈의 수요는 설계로 인해 변화될 수는 있으나, 상호 연관되어 사용되는 수효를 갖는 것이 좋다.
로울러(98)는 홈이 형성된 몸체부(66)와 홈이 형성된 축부(70) 사이의 원형 스페이스(72)에서 원형으로 약간 기울어져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힘을 전달한다. 이 로울러(98)는 이들 사이에 원형 리지와 함께 복수의 원형 홈을 갖는 외부 접촉 표면을 갖는다. 원형 홈과 각 로울러(98)의 리지는 평행하여 이격 분리된 방사상면에서의 로울러 주변에서 연장된다. 로울러의 원형 리지는 헬리컬 몸체홈 및 축 홈(100,120)과 동일한 축방향 피치를 갖는다. 홈이 형성된 몸체부(66)는 제1피치 직경(PD1)를 갖고 홈이 형성된 축부(70)는 제2피치 직경(PD2)를 갖는다. 로울러(98)는 홈이 형성된 몸체부(66)의 제1피치 직경(PD1)과 홈이 형성된 축부(70)는 제2피치 직경(PD2)에 기초한 피치 직경(PD3)를 갖아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된다.
PD3=
여기에서, "피치 직경"은 홈의 반 깊이 위치에서 측정된 홈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이다.
피스톤 슬리이브가 복수의 실린더형 축 스핀들(104)에 의해 작동기(10)의 유체 동력된 작동시에 몸체(12)내에서 왕복 운동할때, 로울러는 피스톤 슬리이브에 대해 축방향 그리고 원형 위치내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된다. 각 스핀들(104)은 동축으로 연장하여, 피스톤 슬리이브(42)내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108)중 하나에 설치되어 일체로 형성된 지지 아암부(106)를 갖는다. 이 구멍(108)은 피스톤 슬리이브(42)주위에서 원형으로 이격 분리되어 슬리이브부(46)와 피스톤(44)를 통행 완전히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아암부(106)는, 피스톤 제2몸체 단부(18)를 향한 운동 단부에 완전히 도달하였을 때, 충격으로 노출된 지지 아암 헤드를 유식시키기 위해 피스톤(44)내에 형성된 원형 홈에 수용된 헤드(110)를 갖는다. 원형링 시일(112)은 격실(56,58)사이의 유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아암 헤드(110)에 제공되었다. 육각형 리세스(119)는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스핀들(104)의 회전용으로 형성된 공구를 수용하도록 지지 아암 헤드(1l0)에 제공되었다. 제3도에 도시되었듯이, 납짝 머리 나사(113)는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조정된 유체동력 실시중에 회전에 대한 스핀들을 잠그기 위해 각 인접한 한쌍의 스핀들(104)의 지지 아암 헤드(110)의 사각 모서리부와 결합하는 나사(113) 헤드 위치에 각 인접한 한쌍의 구멍(108)사이에 위치된 나사 구멍(115)에 나사로 수용된다.
제1몸체 단부에서, 스핀들(104)은 몸체 측벽(14)과 축(20)사이의 환형 스페이스 안으로 돌출하여, 몸체(12)와 평행하게 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축상의 스핀들 주위에서 회전을 위하여 스핀들에 대해서 축방향 운동에 대해 구속된 로울러(98)를 수용한다. 또다른 구조에 있어서, 스핀들은 기울은 모서리에서 호울러를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스핀들(104)은 몸체(12), 축(20) 및 피스톤 슬리이브(42)간의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헬리컬 몸체 홈(100)과 헬리컬 축 홈(102)이 서로 작용하여 결합되어 각 로울러와 함께 축(20) 주변의 원주 방향 스페이스(72)내에서 원형으로 분산되어 이격 분리된 위치에 로울러(98)를 유지시킨다. 로울러(98)의 각 리지는 헬리컬 몸체 홈(100)과 헬리컬 축 홈(102)의 각 대응홈의 로울 이동을 위하여 위치되었다. 각 로울러의 대응 리지는 일반적으로 동일하에 축방향으로 위치되거나, 서로 축방향으로 오프셋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각 스핀들(104)은 스핀들에 대한 축방향 운동에 대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한 하나의 로울러를 갖는다. 각 로울러는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슬리이브부(46)의 단부를 넘어 외부로 돌출하는 하나의 스핀들(104)의 매끈한 표면 단부(114)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하여 자기 윤활 코팅된, 세로방향으로 동축으로 연장하는 로울러 구멍을 갖는다. 스핀들 단부(114)는 자기 윤활 코팅되었으며, 로울러는 환형 스핀들 지지판(116)에 의해 스핀들(104) 위에서 유지된다. 이 지지판(116)은 하나의 스핀들의 나사 형성된 자유 단부(118)를 나사식으로 각기 수용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원형으로 이격 분리된 나사 형성된 구멍(117)을 갖는다. 이 지지판(116)은 캔틸레버 지지된 스핀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커다란 하중하에서의 실패 문제점을 감소시켜 아래에 기술되었듯이, 역 회전을 제거시키기 위해 조절에 도움을 준다.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로울러(98)는 병렬로 스핀들 단부(114)위에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2개의 환형 로울러 디스크(120)를 구비한다. 이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로울러(98)를 형성하도록 서로 작동한다. 축방향으로 로울러 디스크(120)는, 2개의 로울러 리지중 하나를 구비하는 로울러의 돌출한 리지부(123)의 각 측면의 하나로 연장되는 한쌍의 환형 연장부(22)를 포함한다. 로을러(98)를 형성하는 2개의 로울러 디스크(l20)의 인접 및 대응하는 연장부(122)는 로울러를 위한 바람직한 피치를 제공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로울러 디스크의 리지부(123)를 유지한다. 사용된 연장부(122)의 축방향 길이의 증가에 의해, 로울러 피치는 최적의 홈 접촉을 위해 설계될 수 있는 로울러 리지부(123)의 크기와 형태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선형 왕복 운동은 제1도의 스플라인에 있어 상술하였듯이, 로울러의 힘 전달 능력을 통해 피스톤 슬리이브(42)와 축(20)을 회전시킨다. 유체 밀착 격실(56,58)로 유체 압력의 적용을 통해, 토크는 헬리컬 몸체 홈(100)과 작용하여 피스톤 슬리이브(42)로 로울러(98)에 의해 전달된다. 헤드부(44) 위의 유체 압력에 의해 발생된 축방향 힘은 헬리컬 몸체 홈(100)을 따라 로울러(98)를 구르게 하여 피스톤 슬리이브(42)로 토크를 전달한다. 전달된 토크는 이것이 축방향으로 움직이듯이 피스톤 슬리이브(42)를 회전시킨다. 이결과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선형 및 회전운동은 헬리컬 축 홈(l02)을 갖는 로울러의 작동을 통해 축(20)으로 축방향 회전력을 전달한다. 전달된 힘은, 축의 축방향 힘이 볼 레이스(80,88) 그리고 여기에 위치된 볼(82,90)을 구비하는 베어링에 의해 제지됨에 따라 몸체(12)에 대해서 축(20)을 회전시킨다. 유체압력에 의해 발생된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축방향 운동은 몸체(12)와 축(20) 사이의 회전력으로 전환된다. 이결과 로울러(98), 몸체(12) 및 축(20)은 몸체 양 단부에서 보았을 때 차동 기어 배열의 움직임과 같다.
제2도에 있어서, 작동기(10)는 동력 전달부에서의 역 회전을 제거하는 수단과, 피스톤 슬리이브(42)와 로울러(98)의 축방향 예비 하중 수단이 제공되었다. 역 회전은 작동기의 동력 전달부 사이의 늘어짐 또는 자유 운동에 기인한다. 이 늘어짐은 피스톤 슬리이브(42)의 왕복 운동을 통해 몸체와 축간에 힘을 전달하는 로울러(98)와, 몸체(12)와 축(20)의 홈의 크기에 기인된다. 이 역 회전은 왕복 운동올 할때 몸체내에서 한축방향에서 다른 축방향으로 피스톤 슬리이브(42)가 움직일때 발생된다.
상술하였듯이, 각 스핀들(104)은 여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98)를 갖는다. 각 로울러는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가 구비되었다. 역 회전을 제거하고 예비 하중을 제공하기 위해 로울러 디스크(120)는, 스핀들 단부(114)위에 설치되고 제 위치에서 축(20)과 피스톤 슬리이브(42)를 갖는 몸체(12)내에 위치된 로울러를 구비하는 2개의 로울러 디스크의 연장부(122)사이의 조정 스페이스(124)를 얻기 위한 크기이다. 다음에 설명하였듯이, 이 조정 스페이스(124)는 제4도에서 "B"와 "C"로 표시된 헬리컬 몸체 홈(100)의 하나의 리지부와 혤리컬 축 홈(102)의 하나의 리지부인,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의 리지부(123) 사이에서 견고하게 결합토록 서로를 향한 로울러 디스크(120)의 충분한 축방향 운동을 허락한다.
로울러(98)의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작동기(10)의 유체 동력 작동전에 제거된 축 너트(24)의 스핀들의 스핀들 지지 아암 헤드(110)를 위한 육각형 리세스(114)안으로 삽입된 육각형 헤드 공구를 사용하여, 2개의 로울러 디스크를 운반하는 스핀들(104)를 적당히 회전시켜 서로를 향해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하게 움직인다. 지지 아암 헤드(110)를 적당히 회전시킴에 의해, 지지판(116)은 제2몸체 단부를 향해 인발되고, 로울러(98)의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서로 움직여 대응하는 헬리컬 몸체 및 축 홈(100,102)의 리지부("B"와 "C") 사이를 고정시킨다. 역 회전 제거의 몇몇 형태와는 상이하게, 이것은 피스톤 슬리이브(42)가 제1몸체 단부(15)를 향해 축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제2몸체 단부(18)를 향해서, 몸체 및 축 홈(100,102)의 리지부("B""C")와 견고하게 로울 결합된 각 로울러(98)의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중 하나를 떠난다. 따라서, 피스톤 슬리이브의 로울러 세트의 각 로울러(98)는 피스톤 슬리이브의 축방향 운동방향에 관계없이 하중의 일부를 운반한다. 이것은 전체 로울러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곳의 늘어짐을 제거하기 위해 한 로울러에대해 로울러의 다른 하나를 축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움직이게 한다. 이리하여, 유체 동력 작동하에서, 피스톤 슬리이브가 하나의 축방향으로 움직일때 몸체 및 축 홈의 리지드부와 구동 접속하는 로울러 전체 수효의 2분의 1이 떠나고, 피스톤 슬리이브가 반대 축방향으로 움직일때 구동 접속되는 로울러의 다른 2분의l이 떠난다. 오직 로울러의 2분의 1만이, 어떤 시점에서 구동적으로 접속함에 따라, 작동기의 하중 운반 능력은 모든 로울러가 항시 구동 접속되어 있는 것보다 가능성이 작다.
로울러에 대한 예비 하중과, 늘어짐을 조정하기 위한 스핀들(104)의 회전은 환형 지지판(116)에 동일한영향을 일으키기 때문에, 다른 로울러위에서의 역 회전 제거 조정은, 다른 스핀들을 조정하기 전에 하나의 스핀들의 역 회전을 완전히 조절하도록 시도하는 것보다 역 회전을 부분적으로 그리고 단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모든 스핀들의 점진적인 회전에 의해서 얻어져야 한다,
로울러(98)와 헬리컬 홈(100)사이, 그리고 로울러와 축 홈(102)사이의 모든 늘어짐이 제거되고 나면, 로울러 디스크(l20)의 축방향 조정은 로울러와 헬리컬 몸체 그리고 축 홈 사이에 축방향 예비 하중력을 제공하게 된다. 잠금나사(113)는 더 이상의 회전을 막도록 스핀들(104)을 밀착하게 잠그고, 축 너트(24)는 유압식 작동을 위하여 작동기(10)를 준비시키기 위해 축(20)위에 위치될 수 있다. 작동기(10)를 사용하면 홈 또는 로울러가 안치된 곳에 마모가 생기게 되고, 다른 여러 이유로 늘어짐이 발생된다. 이 늘어짐은 축 너트(24)가 제거되고 난후 스핀들을 축방향으로 조정하여 상술한 방식에 의해 제거되게 된다. 작동기의 분해는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홈은 표준 공차를 갖는 종래의 기계기술을 사용하여 가공할 수 있으며, 역 회전 문제를 일으키는 늘어짐은 작동기의 유체 동력 작동전에 조정에 의해 제거되게 된다. 더우기, 홈은 작동기의 용이한 조립을 허용하기 위해 일정한 크기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에 의해 발생된 늘어짐은 조정에의해 제거된다. 상술한 역 회전 제거는 로울러(98)와 헬리컬 몸체 홈(100) 그리고, 로울러와 헬리컬 축 홈(102)사이의 일반적으로 동일한 양의 늘어짐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을 특별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올 목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잉역 및 정신을 떠나지 않고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정구범위를 보호하여 한다.

Claims (34)

  1. 사용시에 수직축 방향에 있는 제1 및 제2몸체 단부(16 및 18)와, 외부 표면과, 상기 제1 및 제2몸체단부(16 및 18)중 하나를 향해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몸체 홈(68)과, 실린더형몸채(12)내로 가압된 유체를 도입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공간 분리된 제1 및 제유체 포트(60 및 62)와, 상기 제1 및 제2몸체 단부(16 및 18)의 다른 하나를 향하여 상기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포트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된 고정 시일(52)을 구비하고, 상기 제1유체포트(60)는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를 향하여 축방향으로 있는 고정 시일(52)의 측의 부분이고 상기 제2유체포트(62)는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로 축방향으로 이격된 고정 시일측의 부분인 연장된 실린더형 모체(12)와;상기제1 및 제2몸체 단부(16 및 18) 사이에서 몸체(12)내에 동축으로 연장되는 실린더형 구동축부(21)인 중공부(19)와, 플랫폼(3) 앞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몸체 단부(16)를 향하여 구동 축부(21)의 단부에 부착되고 사용시에 수평면을 통하여 수직축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몸체 단부(16)에서 환형 플랜지부(22)와 몸체(12)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제1볼 레이스(80)와 제1 및 제2볼 레이스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볼(82)을 가지고 제1몸체 단부(1)를 향하여 몸체(12)내에 형성된 제2볼 레이스(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볼 레이스는 사용시에 수평면(92)에 대하여 30 내지 60도의 중앙 볼 접촉각(A)을 가지며, 상기 제2볼 레이스는 제1몸체 단부(16)위에 형성된 몸체 홈(68)의 방사형 외향으로 있으며 몸체의 외부면의 방사형 내향으로 있는 상기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 위에 형성되고, 플랫폼(38)에 의해 플랜지부(22)에가해진 축방향 드러스트 및 래디알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크레인(41c) 래디알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크레인(41c) 또는 크레인 위의 다른 장치 및 그 하중을 운반하는 하중 운반 베어링 수단(80,82)과; 상기 제1단부(16)의 방향에서 구동부재(20)에 적용되는 축방향 드러스트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재(20,24)와 몸체(12)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 수단(88,90) 및; 상기 몸체(12)내에 설치되어 구동부재(20)와 몸체(12) 사이에서 상대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포트(60 및62)를 통하여 몸체내에 도입되는 유압에 반응하여 작동 가능하며, 상기 몸체홈(68)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46,76)을 가진 왕복 운동 피스톤(44)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이 피스톤의 각 축부에 한쌍의 유체 밀착 격실(56 및 58)을 형성하기 위하여 몸체(12)내에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기 고정 시일(52)을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는 매끈한 표면부(54)를 가지며, 상기 각 격실(56 및 58)은 포트(60 및 62)중의 서로 다른 하나와 유체 소통되며, 상가 피스톤(44)은 제2포트(62)와 제1 및 제2몸체 단부(16 또는 18) 사이에 위치된 제1또는제2몸체 단부(16 또는 18)의 다른 하나를 향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를 구비하는 선형 대회전 전달수단(linear-to rotary transmission means; 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또는 다른 장치 플랫폼용 유압식 회전 작동 지지체.
  2. 제l 및 제2몸체 단부(16 및 18)를 가진 구동부재를 구비하는 연장된 실린더형 몸체(12)와; 상기 제1몸체 단부(16)로부터 상기 제2몸체 단부(18)를 향해 상기 몸체(12)내에서 동축으로 연장되는 실린더형 구동축부와, 상기 제1몸체 단부(16)를 향하여 상기 구동 축부(21)의 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구동 축부(21)로부터 상기 몸체(10)의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까지 그리고 그위까지 방사형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구동 축부(21)에 교차되는 평면(92)을 통하여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플랜지부(2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축부(21)와 플랜지부(22)는 연결 조인트없이 일체식 유닛으로 형성되는 구동부재(20)와; 상기 구동 부재(20)와
    상기 몸체(12) 사이에 상대 회전운동올 주기 위해 상기 제1몸체 단부(16)에서 상기 플랜지부(22)와 상기 몸체(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22)에 형성된 제1볼 레이스(80)와 상기 제1몸체 단부(16)를 향한 상기 몸체(12)에 형성된 제2볼 레이스(8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볼 레이스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볼(82)로써 상기 플랜지부(22)에 가해진 축방향 드러스트 및 래디알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하중 운반 베어링 수단(80,82)과; 상기 제1단부(16)의 방향에서 구동부재(20)에 가해지는 축방향 드러스트에 대하여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부재(20,24)와 몸체(12) 사이에 배치된 베어링 수단(88,90) 및; 상기 몸체(12)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부재(20)와 상기 몸체(12) 사이에 상대 회전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력 작동중에 작동 가능한 선형 대 회전 전달 수단(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몸체(12)는 상기 제1 및 제2몸체 단부(16 또는 18)의 하나를 향해 상기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몸체 홈(68)을 가지며, 상기 제2볼 레이스(80)는 상기내부 몸체 표면(16) 위에 형성된 상기 몸체 홈(68)의 방사형 외향으로 있는 상기 몸체(12)의 견부(8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몸체(12)는 가압된 유체를 상기 몸체(12)내로 도입하기 위하여 축방향으로 공간 분리된 한쌍의 유체 포트(60 및 62)와, 상기 제1 또는 제2몸체 단부(16 또는 18)의 다른 하나를 향해 상기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포트(60 및 62) 사이에 위치된 고정 시일(52)을 부가 포함하고, 상기 제1포트(60)는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를 향하여 축방향있는 고정 시일(52)의 측부이고 상기 제2포트(62)는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 및 68)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고정 시일(52)의 측부이며, 상기 회전 대 선형 전달 수단(42)은 피스톤의 각 측면에 한쌍의 유체 밀착 격실(56 및 58)을형성하기 위해 상기 몸체(12)내에서 상기피스톤이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기 고정 시일(52)을 미끄럼가능하게 결합하는 매끈한 표면부(54)를 가지는 왕복운동 피스톤(섞)을 포함하고, 상기 각 격실(56 및 58)은 포트(60 및 62)의 서로 다른 하나와 유체 소통되며, 상기 피스톤(44)은 제2포트(62)와 제1 및 제2몸체 단부(16 또는 18)의 다른 하나를 향한 이동을 제한하는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볼 레이스(80)는 사용시에 상기 수평면(92)에 대해서 30도 내지 60도의 중앙 볼접촉 각도(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대 회전 전달 수단(42)은 상기 몸체(52)의 홈이 형성된 단부(66)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몸체 홈(68)과, 상기 구동 축부(21)의 홈이 형성된 축부(70)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동축 홈(74)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 홈(68) 및 구동축 홈(74)은 10도 내지35도의 나선 각도를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7. 제1 및 제2몸체 단부(l6 및 18)를 가지며, 상기 제1몸체 단부(16)를 향하여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몸체 홈(68)을 갖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내에 가압된 유체를 도입하기위하여 제2포트(62)가 제2몸체 단부(18)를 향하여 몸체(10)의 측벽(14)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공간 분리된 제1 및 제2 유체 포트(60 및 62)와; 상기 몸체(12)내의 몸체 측벽(14)과, 제2몸체 단부(18)를 향하여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포트(60 및 62)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상기몸체(12)에 대하여 고정된 시일(52)과; 상기 몸체(12)에 대한 운동으로 지지되고 플랫폼(38)에 연결가능하며, 홈이 형성된 축부(70)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74)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몸체 홈(68) 또는 구동축 홈(74)은 핼리컬 기어인 축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부재(20)와; 상기 몸체(l2)내에 왕복 운동식으로 장착되었고, 동력 작동중에 상기 몸체(12)와 왕복 운동 부재(46)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홈(68)과 결합된 수단(46,76)과, 상기 구동 부재(20)와 상기 몸채(12) 사이에 상대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력 작동중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46)와 상기 구동 부재(20) 사이이 힘을 전달하도록 상기 구동축 홈(74)과 연결되는 수단(46,78)을 포함하는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부재(46) 및;왕복 운동을 위하여 장착되어 상기 왕복 운동 부재(46)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었고, 피스톤(섞)이 피스톤의 각 측부에 한쌍의 유체 밀착격실(56 및 58)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및 제1몸체 단부(16 및 l8)를 향하여 이동 한계 단부 사이의 상기몸체(12)내에서 교대로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때 상기 고정 시일(52)을 미끄럼 가능하고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매끈한 표면부(54)와, 상기 제2포트(62)와 제2몸체 단부(18) 사이에 위치된 제2몸체 단부(18)를 향하여 있는 이동 한계 단부를 가지며, 상기 각 격실(56 및 58)은 포트(60 및 62)의 서로다른 하나와 유체 소통되는 피스톤(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창치.
  8.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대한 운동용으로 지지되고 플랫폼(38)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몸체(12)의 하나 또는 구동부재(20)는 몸체(12)내에 위치된 표면부 위에 형성된 2개 이상의 헬리컬 홈(100 또는 l02)을 구비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부재(20)와; 제한된 범위내에서 서로에 대해 축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원형 리지부(123)를 각각 가진 2개 이상의 로울러 디스크(12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로울러(98)와; 상기 몸체(12)내에 왕복 운동식으로 장착되고, 선형대회전 전달 수단(42)과 상기홈이 형성된 표면부를 갖는 몸체(12)의 하나 또는 상기 구동 부재(200 사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홈이 형성된 표면부(66 또는 70)와 결합되어 로울링으로 설치된 상기 로울러(98)를 갖는 회전 작동기(10)의동력 작동중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대해 축방향과 원주 위치로 위치 고정되어 상기 로울러(98)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로울러 디스크(120)의 각 리지부(123)가 상기 홈이 형성된 표면부의 상기 헬리컬 홈(100 또는 102)의 하나에서 이동 로울링을 위하여 위치되어 있는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부재와,상기 왕복 운동 부재와 상기 몸체(12)의 다른 하나 또는 상기 구동 부재(120) 사이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한수단(98)과, 왕복 운동을 위하여 장착되었고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피스톤(44)과, 상기 피스톤(44)이 왕복 운동으로써 한 축방향에서 다른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왕복 운동부재와 상기 홈이 형성된 표면부 사이의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하여 충분한 양에 의해 한 로울러(98)에 대한 다른 로울러의 로울러 디스크(120) 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선택적이고 조절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내에서 움직이게 하고 반면에, 상기 피스톤이 한 축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홈이 형성된 표면부와 로울링 결합된 상기 로울러 디스크(120)의 하나 이상 또는 다른 것을 유지시키고 상기 피스톤이 다른축방향으로 움직일때 상기 홈이 힝성된 표면부와 로울링 결합된 상기 로울러 디스크(12)의 다른 것을 유지시키는 조정 수단(104,1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부재는 상기 홈이 형성된 표면부에 인접한 위치로 연장하는 스핀들(104)을 포함하고, 상기 스핀들(104)은 회전 작동기(10)의 동력 작동중에 상기 스핀들에 대한 축방향 운동에 대해 지지되고 동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기 로울러(98)를 가지며 회전 작동기(l0)의 작동중에 상기 왕복 운동부재에 대한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왕복 운동부재에 의해서 유지되며, 상기 로울러(98)를 포함하는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적어도 상기 제한된 범위만큼 큰 조정 스페이스(124)에 의해 상기 스핀들(l04) 위에서 축방향으로 공간 분리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울러 디스크(l20)는 상기 조정수단(1O4,106)의 작동에 의해서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조정 스페이스를 통해 상기 로울러 디스크의 다른 것에 대해 상기 이동 가능한 로울러 디스크의 축방향 운동용의 상기 조정을 스페이스(124)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04) 위에 지지된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상기 스핀들(104)이 대응하는 크기의 부분(1l4)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동축의 로울러 구멍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부(114)위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104,106)은 이들 사이에 위치된 상기 로울러(98)를 갖는 상기 왕복운동 부재에서 공간적으로 밀떨진 상기 스핀들(104) 위에 설치된 조정 부재(116)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부재(116)는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에 의해 제한된 범위내에서 로울러 디스크의 다른 것에 대해서 로울러 디스크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를 움적이도록 상기 로울러 디스크(120)위에 축방향 힘을 가하기 위해 상기 스핀들(104)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스핀들(104) 위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스핀들(104)은 상기 조정 부재(116)를 축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고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로울러(98)는 상기 헬리컬 홈(100 또는 102)의 하나에서 로울링이동을 위하여 위치된 각 리지부(123)를 갖는 2개 이상의 로울러 디스크(120)를 구비한 복수의 로울러(98)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 운동 부재는 원형으로 분포되고 상기 홈이 형성된 표면부에 인접된 원주 방향 스페이스(72)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핀들(104)을 포함하고, 상기 각 스핀들(104)은 유압 장치(10)의 작동중에 상기 스핀들에 대한 축방향 운동에 대해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하나 이상의 상기 로울러(98)를 갖고 유압 장치(10)의 작동중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대한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각 로울러(98)를 구비하는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적어도 제한 범위만큼 큰 조정 스페이스(124)에 의해 상기 스핀들 위에서 제한되어 축방향으로 공간 분리되며,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정 수단(104,106)의 작동에 의해서 역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조정 스페이스를 통해 상기 2개의 다른 로울러 디스크에 대해 상기 이동 가능한 로울러 디스크의 선택적인 축방향 운동을 위하여 상기 조정 스페이스(124)를 통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핀들 위에 지지된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상기 하나의 스핀들의 대응하는 크기인 부분(114)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동축의 로울러 구멍을 각각 가지며, 상기 스핀들부(114) 위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l04,106)은 역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에 의해 다른 로울러에 대해 상기 각 로울러의 상기 로울러 디스크의 하나 또는 다른 것을 제한된 범위내에서 움직이기 위해 상기 로울러(98)의 로울러 디스크(120) 위에 축방향 힘을 가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위치된 상기 로울러(98)를 갖는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서 떨어진 상기 스페이스(104) 위에 배치된 결합 수단(116)을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104,116)은 상기 스핀들(1어)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축방향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하고, 상기 스핀들(104)은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l04,116)은 상기 로울러 디스크(120)의 스핀들(104) 위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조정 부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핀들(104)은 상기 홈이 형성된 표면부에 인접된 원주 방향 스페이스(72)안으로 연장되어 원형으로 분포된 부착되지 않은 제1자유단부(114)와, 컨틸레버 방식인 상기 제1단부(114)를 지지하여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과 원주 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부착된 제2단부(106)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자유 단부(114)는 회전 작동기(10)의 작동중에 상기 스핀들(104)에 대한 축방향 움직임에 대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하나 이상의 로울러(98)를 구비하며, 상기 왕복운동 부재는 회전 작동기(10)의 작동중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대해 고정된 축방향과 원주 방향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상기 로울러(98)와 상기 스핀들의 제1자유단부(114)를 유지시키며, 상기 스핀들 위의 로울러(98)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 정렬된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104,l06)은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스핀들 개구(117)를 갖는 스핀들 지지판(116)을 포함하여, 상기 각 스핀들 개구(117)는 하나의 상기 스핀들 제1자유단부(114)를 수용하여 상기 스핀들(104) 위의 측면력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기 조정부재(l16)는 유압 장치(10)의 작동중에 이동을 위하여 상기 스핀들(104)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외전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조정부재(116)는 상기 구동 부재(20)가 연장하여 통과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 환형이고, 상기 스핀들 개구(117)는 상기 판 중앙 개구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부재는 충분히 연장되고 원주방향으로 공간 분리된 복수의 구멍(108)을 갖으며,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는 상기 구멍(108)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는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왕복운동 부재내의 상기 구멍(108)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정 수단(104,106)은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의 회전에 반응하여 역회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회전 장치.
  22. 내부를 향해 방사형으로 접촉되는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 위에 형성된 복수의 헬리컬 홈(100)을 갖는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대한 움직임을 위하여 지지되고 플랫폼(38)에 연결 가능하며 상기 몸체(l2)내에 배치된 방사형으로 외부를 향해 접촉되는 홈이 형성된 축부(70)위에 형성된 복수의 헬리컬 홈(102)을 가지며, 상기 홈이 형성된 몸체 단부(66)와 홈이 형성된 구동부재 홈(102)은 이들 사이에 원주 방향스페이스(72)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재 헬리컬홈(102)은 몸체 헬리컬 홈(100)의 핸드 턴(hand turn) 대향된 핸드턴과 몸체 헬리컬 홈과 동일한 축방향 피치를 가지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동부재(20)와; 상기 원주 방향 스페이스(72)에 배치되고 제한된 범위내에서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이동하는 2개 이상의 로울러 디스크(70)를 포함하며, 상기 각 로울러 디스크는 하나 이상의 원주 방향 리지부(123)를 구비하며, 상기 각 로울러(98)의 로울러 디스크 리지부(l23)는 상기 몸체와 헬리컬 홈(l00 및 l02)의 축방향 피치에 대응되는 축방향 피치를 가지는 복수의 로울러(98)와, 회전 작동기(10)의 작동시에 왕복부재(42,46)에 대하여 축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로울러(9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몸체(l2)내에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몸체(12), 구동부재(20) 및 왕복 운동 부재(42,46)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홈이 형성된 몸체 표면부(66)와 홈이 형성된 구동부재 표면부(70) 둘다와 로울링 결합으로 안착된 로울러 디스크 리지부(123)를 구비하는 각각의 로울러로써 원주 방향 스페이스(72)의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위치로 상기 로울러(98)를 부가로 유지하며, 상기 로울러(98)의 로울러 디스크 리지부(123)는 몸체와 구동부재의 헬리컬 홈(100 및 l02)에서 로울링 이동용으로 위치되는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부재(42,46)및; 왕복 운동을 위하여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장착된 하나 이상의 피스톤(42,44)과, 상기 피스톤(42,44)이 한 축방향에서 다른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듯이 움직일때 상기 왕복운동부재(42,46)와 상기 홈이 형성된 몸체 및 구동부재의 표면부(66 및 70) 사이의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에 의해 한 로울러에 대한 다음 로울러의 로울러 디스크(120) 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선택적이고 조정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내에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조정 수단(104,10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고 상기 원주 방향 스페이스(72)내로 연장되는 복수의 스핀들(104)을 포함하고, 상기 각 스핀들(104)은 유압 장치(10)의 작동중에 상기스핀들에 대한 축방향 운동에 대해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하나 이상의 상기 로울러(98)를 갖고, 회전 작동기(10)의 작동중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대한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각 로울러(98)를 포함하는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제한 범위만콤 큰 조정 스페이스(124)에 의해 상기 스핀들(104) 위에서 제한되어 축방향으로 공간 분리되었고,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정 수단(l04,106)의 작동에 의해서 역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조정 스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2개의 다른 로울러 티스크에 대해 상기 이동 가능한 로울러 디스크(120)를 선택적인 축방향으로 운동을 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정 스페이스(124)를 통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핀들(104) 위에 지지된 상기 2개의 로울러 디스크(120)는 상기 하나의 스핀들의 대응하는 크기인 부분(114)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동축의 로울러 구멍을 각각 가지며, 다른 로울러 디스크에 독립하여 상기 스핀들부 위에서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104,l06)은 역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에 의해 한 로울러에대한 상기 각 로울러의 로울러 디스크 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로울러의 로울러 디스크(120) 위에 축방향 힘을 가하도록, 이들 사이에 위치된 상기 로울러(98)로써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에서 떨어진 상기 스핀들(104)위에 배치된 결합 수단(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116)은 상기 스핀들(104)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축방향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작동되고, 상기 스핀들(104)은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116)은 상기 로울러 디스크(120)의 축방향 힘을 가하기 위해 상가스핀들의 회전에 반응하여 상기 스핀들(104) 위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결합부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핀들(l04)은 상기 홈이 형성된 표면부에 인접한 원주 방향 스페이스(72)안으로 연장되여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부착되지 않은 제1자유단부(114)와,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제1단부(ll4)를 지지하여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과 원형방향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에 부착된 제2단부(106)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제1자유단부(114)는 유압 장치(10)의 작동중에 상기 스핀들(104)에 대한 축방향 움직임에 대해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하나 이상의 로울러(98)를 가지며,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는 유압장치(10)의 작동중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에 대해 고정된 축방향과 원주방향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 상기 로울러(98)와 상기 스핀들의 제1자유단부(114)를 유지시키며, 상기스핀들(104) 위의 로울러(98)는 원형으로 분포 정렬된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104,106)은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스핀들 개구(117)를 갖는 스핀들 지지판(116)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핀들 개구(117)는 하나의 상기 스핀들 제1자유단부(1l4)를 수용하여 상기 스핀들(104) 위의 측면력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판(116)은 회전 작동기(10)의 작동중에 이동을 위하여 상기 스핀들(1O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 지지판(116)은 상기 구동 부재920)가 연장하여 통과하는 중앙 개구를 갖는 환형이고, 상기 스핀들 개구(117)는 상기 판 중앙 개구애 대해 원주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는 충분히 연장된 원주 방향으로 공간 분리된 복수의 구멍(108)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는 상기 구멍(l08)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는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왕복 운동 부재내의 상기 구멍(108)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정 수단(104,l06)은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의 회전에 반용하여 역 회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제i단부(114)는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의 제l축방향 단부에 위치되어 나사 형성된 단부(118)를 가지며,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는 상기 왕복 운동 부재의 제2축방향단부 위에 위치된 스핀들 헤드부(110)를 가지며 상기 구멍(108)을 통해 완전히 연장되며, 상기 스핀들 해드부(110)는 상기 스핀들(1O4)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지만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에 대하여 상기 로울러(98)를 향한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며, 상기 조정 수단(104,106)은 상기 스핀들의 나사 형성된 단부(l08)에 대응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나사 스핀들 수용 개구(117)를 갖는 스핀들 지지판(1l6)을 포함하고, 상기 각 스핀들 수용 개구(117)는 상기 스핀들 제1자유단부(114)의 하나의 나사 형성된 단부(118)를 나사식으로 수용하고 상기 스핀들(104) 위의 측면력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판(116)은 유압 장치(10)의 작동중에 이들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하여 상기 스핀들(104)에 부착되며, 상기 스핀들(104)의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회전은 상기 스핀들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기 스핀들 지지판(116)을 움직이게 하고 역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에 의해 각 로울러(98)의 로울러 디스크 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움직이기 위해 상기 스핀들 로울러 디스크(120)에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내에서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는 원주 방향으로 공간 분리된 복수의 구멍(108)을 가지며, 상기 스핀들 제2단부(l06)는 상기 왕복 운동 부재의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스핀들의 제1단부(114)는 나사 형성된 단부(l18)를 가지며, 상기 조정 수단(104,106)은 상기 나사 형성된 단부(118)에 대응하는 원주 방향으로 분포된 복수의 나사 스핀들 수용 개구(117)를 갖는 독립적이고 축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스핀들 지지판(116)을 포함하며, 상기 각 스핀들 수용 개구(117)는 상기 스핀들 제1자유단부(114)의 하나의 나사 형성된 단부(118)를 나사식으로 수용하여 상기 스핀들 위의 측면력에 대해 지지력을 제공하며, 상기 지지판(116)은 회전 작동기(10)의 작동중에 이들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하여 상기 스핀들(l04)에 부착되고, 상기 스핀들(1O4)의 선택적으로 조정 가능한 회전은 상기 스핀들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기 스핀들 지지판을 움직이게 하고 역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충분한 양에 의해 각 로울러(98)의 다른 로울러 디스크(120)또는 다른 로울러 디스크를 움직이기 위해 상기 스핀들 로울러 디스크위에 축방향으로 제한된 범위내에서가하며, 역 회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왕복운동부재의 구멍(108)에서 상기 스핀들의 제2단부(106)의 선택적으로 조정가능한 회전을 허락하고 반면에 상기 왕복 운동 부재(42,46)에 대한 상기 로울러(98)를 향한 상기 스핀들(104)의 축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수단(119)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장치.
KR1019880015809A 1987-11-30 1988-11-30 유압 베어링 작동기 KR9600063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837 1987-11-30
US07/126,837 US4881419A (en) 1984-01-30 1987-11-30 Fluid-power bearing actu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463A KR890008463A (ko) 1989-07-10
KR960006360B1 true KR960006360B1 (ko) 1996-05-15

Family

ID=2242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809A KR960006360B1 (ko) 1987-11-30 1988-11-30 유압 베어링 작동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881419A (ko)
EP (1) EP0318805A1 (ko)
JP (1) JP2710968B2 (ko)
KR (1) KR960006360B1 (ko)
AU (1) AU608664B2 (ko)
BR (1) BR8806271A (ko)
CA (1) CA1292660C (ko)
ZA (1) ZA8889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6161A (en) * 1987-11-30 1990-03-06 Weyer Paul P Tiltable bucket assembly
US5267504A (en) * 1990-04-06 1993-12-07 Weyer Paul P Rotary actuator with annular fluid coupling rotatably mounted to shaft
US5020417A (en) * 1990-08-15 1991-06-04 Weyer Paul P Rotary servo actuator with internal valve
US5178029A (en) * 1991-09-10 1993-01-12 Dana Corporation Ball screw seal
JP2569352Y2 (ja) * 1991-09-11 1998-04-22 エスエムシー株式会社 揺動アクチュエータ
US5253726A (en) * 1992-05-15 1993-10-19 Weyer Paul P Steering assembly for utility vehicles
US5309816A (en) * 1993-04-27 1994-05-10 Weyer Paul P Rotary actuator with external bearings
US5671652A (en) * 1996-08-20 1997-09-30 1994 Weyer Family Limited Partnership Rotary actuator
DE19815314C2 (de) * 1998-04-06 2000-03-23 Daimler Chrysler Ag Hydraulisch betätigter Drehsteller
US6370801B1 (en) * 1999-11-23 2002-04-16 1994 Weyer Family Limited Partnership Hydraulic collection tool
US6585227B2 (en) 2001-07-26 2003-07-01 Cooper Cameron Corporation Roller screw actuator for subsea choke or module
US7210720B2 (en) * 2002-06-28 2007-05-01 1994 Weyer Family Limited Partnership Timed rotation tool assembly and actuator
JP4636813B2 (ja) * 2004-05-10 2011-02-2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直動変換機構
US8011264B2 (en) * 2004-05-10 2011-09-06 Hitachi, Ltd. Mechanism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into linear motion
US8544562B2 (en) * 2009-11-25 2013-10-01 1994 Weyer Family Limited Partnership Tiltable tool assembly
PL2608916T3 (pl) 2011-06-24 2018-07-31 Jarraff Industries, Inc. Mobilny aparat do przycinania drzew
WO2013054513A1 (ja) * 2011-10-12 2013-04-18 日本精工株式会社 ボールねじの製造方法、ボールねじ
EP3808168A1 (en) * 2013-09-30 2021-04-21 Jarraff Industries, Inc. Rotary actuator with pass-through fluid circuit
KR101585518B1 (ko) * 2015-03-04 2016-02-02 (주)에스제이에이치 로터리 액추에이터
US9975740B2 (en) * 2015-06-11 2018-05-22 Arthur McVaugh Lift device
KR20240061138A (ko) * 2022-10-31 2024-05-08 (주)에스에이치팩 로터리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06747A (ko) *
US717987A (en) * 1902-01-06 1903-01-06 Frederick W Gurney Ball-bearing.
US2067357A (en) * 1935-05-16 1937-01-12 Ingersoll Rand Co Feeding device
US2131151A (en) * 1938-06-03 1938-09-27 Herbert F Smith Grinding machine
US2488256A (en) * 1944-03-07 1949-11-15 Electrolux Corp Ball bearing jack screw
US2482082A (en) * 1944-06-07 1949-09-13 Electrolux Corp Screw jack
US2525326A (en) * 1947-06-04 1950-10-10 Sundstrand Machine Tool Co Antifriction transmission
US2571789A (en) * 1949-06-09 1951-10-16 Bendix Aviat Corp Electrical apparatus
US2791128A (en) * 1954-04-01 1957-05-07 Gen Motors Corp Rotary actuator
US2959064A (en) * 1958-04-11 1960-11-08 Gen Motors Corp Rotary actuator
US2945387A (en) * 1959-02-19 1960-07-19 Gen Motors Corp Rotary actuator
GB890440A (en) * 1959-05-01 1962-02-28 John Cecil Ridley Fluid-pressure-operated actuator
US3020775A (en) * 1960-05-12 1962-02-13 United Shoe Machinery Corp Antibacklash devices
CH386809A (de) * 1960-07-20 1965-01-15 Oerlikon Buehrle Ag Vorrichtung zur Spielregulierung an ausziehbarer Werkzeugmaschinenspindel
DK97565C (da) * 1961-12-13 1963-12-16 Byggeriets Maskinstationer As Drejemekanisme til svingkraner.
US3128634A (en) * 1962-02-21 1964-04-14 Bendix Corp Screw actuator
US3187592A (en) * 1962-03-14 1965-06-08 Gen Motors Corp Rotary actuator
US3165007A (en) * 1962-07-11 1965-01-12 Elway P Gray Feed mechanism
US3255806A (en) * 1963-10-03 1966-06-14 Flo Tork Inc Fluid actuated structure
US3191780A (en) * 1963-08-30 1965-06-29 Baker Equipment Eng Co Boom rotating mechanism
US3295385A (en) * 1964-12-16 1967-01-03 Boeing Co Automatic anti-friction dual ratio motion converter
US3333483A (en) * 1965-03-19 1967-08-01 Gen Motors Corp Torque-splitting mechanism
US3339463A (en) * 1966-08-01 1967-09-05 Walter C Updegrave Rotary fluid motor with axial thrust balancing means
FR1496924A (fr) * 1966-10-18 1967-10-06 Ingersoll Rand Co Appareil de levage compensateur
US3406584A (en) * 1967-08-21 1968-10-22 Roantree Electro Mech Corp Differential roller nut
FR1540855A (fr) * 1967-10-16 1968-09-27 Réducteur de vitesse à transformation directe d'un mouvement rotatif en mouvement rectiligne
US3508452A (en) * 1968-04-11 1970-04-28 Roantree Electro Mech Corp Gearing mechanism
FR1577533A (ko) * 1968-06-27 1969-08-08
FR1577532A (ko) * 1968-06-27 1969-08-08
CH508148A (de) * 1968-08-13 1971-05-31 Nirona Werke Kg Führungsvorrichtung
US3554457A (en) * 1969-05-26 1971-01-12 Erwin Kampf Machinenfabrik Winding shaft with plural bobbin carrying rings
US3638507A (en) * 1970-02-26 1972-02-01 Harry Orner Preloaded ball-bearing screw and nut mechanism
HU167568B (ko) * 1970-10-09 1975-11-28
US3670583A (en) * 1970-10-19 1972-06-20 Overton Gear And Tool Corp Long span screw and nut drives
US3847033A (en) * 1972-07-13 1974-11-12 Csepeli Szerszamgepgyar Method and construction for increasing the service life of rolling screw mechanism with double-nut prestress
US3861226A (en) * 1972-07-17 1975-01-21 Richard B Stanley Linear actuator
DE2260300A1 (de) * 1972-12-06 1974-06-27 Barutta Hans Georg Hydraulikzylinder
US3965761A (en) * 1974-03-21 1976-06-29 Stanley Richard B Linear actuator
US4033194A (en) * 1975-06-12 1977-07-05 Stanley Richard B Synchronized linear actuator
US4036074A (en) * 1975-10-01 1977-07-19 Bodnar Ernest R Anti-backlash gear system
US4050319A (en) * 1976-01-16 1977-09-27 Stanley Richard B Linear actuator
US4022076A (en) * 1976-02-17 1977-05-10 Norco, Inc. Anti-backlash automatically reversing nut for a diamond thread screw
US4276003A (en) * 1977-03-04 1981-06-30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Reciprocating piston pump system with screw drive
DE2803459A1 (de) * 1978-01-27 1979-08-02 Guenter Koglin Schneckengetriebe mit waelzkoerpern
DE2807952A1 (de) * 1978-02-24 1979-08-30 Peter Ing Grad Langos Rollen-umlauf-spindelsystem
US4313367A (en) * 1979-11-13 1982-02-02 Weyer Paul P Rotary actuator
US4409888A (en) * 1980-05-02 1983-10-18 Weyer Paul P Combined linear and rotary actuator and floating ring gear
US4369011A (en) * 1980-07-31 1983-01-18 Warner Electric Brake & Clutch Company Preloaded ball screw assembly
FR2499179A1 (fr) * 1981-01-30 1982-08-06 Skf Cie Applic Mecanique Palier a roulement a contact oblique a deux rangees d'elements roulants et procede de montage
DE3144306A1 (de) * 1981-11-07 1983-05-19 Bollmann Hydraulik GmbH, 6082 Mörfelden-Walldorf Spindeltrieb
US4493614A (en) * 1982-10-08 1985-01-15 Lifecare Services, Inc. Pump for a portable ventilator
US4603616A (en) * 1983-05-25 1986-08-05 Zaytran Inc. Rotary actuator
US4508016A (en) * 1983-09-09 1985-04-02 Weyer Paul P Rotary actuated support
US4838103A (en) * 1986-07-03 1989-06-13 Weyer Paul P Fluid-power device with rollers
US4741250A (en) * 1984-01-30 1988-05-03 Weyer Paul P Fluid-power device using rollers
US4667528A (en) * 1984-01-30 1987-05-26 Weyer Paul P Flanged rotary actuator
US4691582A (en) * 1984-01-30 1987-09-08 Weyer Paul P Thin profile rotary actuator with backlash elimination
US4590816A (en) * 1984-01-30 1986-05-27 Weyer Paul P Ball screw actuator
US4683767A (en) * 1984-01-30 1987-08-04 Weyer Paul P Rotary actuator with backlash elmination
US4576057A (en) * 1984-06-13 1986-03-18 Illinois Tool Works Inc. Anti-friction nut/screw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18805A1 (en) 1989-06-07
JP2710968B2 (ja) 1998-02-10
US4881419A (en) 1989-11-21
JPH01193402A (ja) 1989-08-03
AU2571888A (en) 1989-06-01
BR8806271A (pt) 1989-08-15
CA1292660C (en) 1991-12-03
KR890008463A (ko) 1989-07-10
ZA888973B (en) 1989-08-30
AU608664B2 (en) 199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6360B1 (ko) 유압 베어링 작동기
CA1070357A (en) Rotational grapple
JP2614922B2 (ja) 傾斜可能なバケット組立体
KR0144542B1 (ko) 웜기어를 가지는 기계 및 시설 부분의 회전추진장치
FI74788C (fi) Lineaerdrivanordning, foersedd med tvao motorer.
CA1044045A (en) Linear actuator
EP0202206A1 (en) Robot
CA2212708C (en) Rotary actuator
US5090295A (en) Radial piston engine
US6474214B2 (en) Three-position stop type swing actuator
US8936438B2 (en) Rotor blade pitch adjusting device and turbomachine containing the same
US4411440A (en) Swinging chuck for turning machines
EP0252423B1 (en) Fluid-power device with roller
EP0190400A1 (en) Rotary actuator with backlash elimination
US6095500A (en) Winch device
US5027667A (en) Spring actuator with rollers
US4945778A (en) Fluid-power device with rollers
US5148885A (en) Steerable utility vehicle
EP0697061B1 (en) Rotary actuator with external bearings
JPS6362957A (ja) リニア駆動ユニット
US20060090580A1 (en) Device for driving an output mechanism
FI64841B (fi) Hydraulisk motor
US5253726A (en) Steering assembly for utility vehicles
KR20190124496A (ko) 회전 나사를 이용한 피스톤 전후진 왕복 운동 장치
SU1540946A1 (ru) Шпиндельный уз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