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6199B1 -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6199B1
KR102556199B1 KR1020220165433A KR20220165433A KR102556199B1 KR 102556199 B1 KR102556199 B1 KR 102556199B1 KR 1020220165433 A KR1020220165433 A KR 1020220165433A KR 20220165433 A KR20220165433 A KR 20220165433A KR 102556199 B1 KR102556199 B1 KR 102556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arrier
pin gear
planeta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5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오섭
신재솔
유진석
양현대
Original Assignee
남도하이텍 주식회사
양현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도하이텍 주식회사, 양현대 filed Critical 남도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5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6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6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6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47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0Constructively simple tooth shapes, e.g. shaped as pins,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2057/005Mounting preassembled units, i.e. using pre-mounted structures to speed up final mounting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유성롤러의 양측 단부에는 핀기어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핀기어가 원형 즉, 링 형상의 링기어 내부에 형성된 내치기어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유성롤러와 선롤러의 결합을 조립용 지그를 이용해 조립함으로써 유성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이다.

Description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assembling method of pin gear roller screw}
본 발명은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유성롤러의 양측 단부에는 핀기어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핀기어가 원형 즉, 링 형상의 링기어 내부에 형성된 내치기어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유성롤러와 선롤러의 결합을 조립용 지그를 이용해 조립함으로써 유성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롤러스크류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의 일종으로써 모터와 같은 구동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이를 직선운동을 하도록 변환시켜 부하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롤러스크류는 비교적 고부하가 걸리는 물체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며, 프레스에 사용될 경우 금형의 왕복 이송용, 로봇에 사용될 경우 그리퍼에 의한 제품의 파지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 이외에도 차량용 브레이크, 사출기, 공작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롤러스크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311375호에 제안되어 있는 롤러스크류형 리니어 액튜에이터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외부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외경측에 나사산을 갖는 스크류의 둘레를 따라 나사산에 치합되어 자유 회전토록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가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플랜지와 롤러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너트를 통하여 스크류를 중심으로 직선운동하면서 램역활을 수행하는 롤러커버의 내측에 연결되고, 상기 롤러커버의 내측에 스크류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롤러가 위치되며, 상기 롤러는, 복동플랜지와 복동플랜지에 대응되는 단동플랜지로서 스크류의 외경측 둘레에 복수개 연결되고, 상기 복동플랜지의 외측에 복동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의 양단에 타이밍기어가 구비되어 너트에 구비되는 구동기어에 각각 치합토록 설치되는 롤러스크류형 리니어 액튜에이터가 제안되어 있는데, 롤러가 단동플랜지와 복동플랜지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됨에 따라 부품수의 증가에 따른 중량이 증가하고, 제작비용이 상승되며, 특히 단동플랜지 사이에 별도의 복동플랜지가 들어감으로써 롤러와 플랜지 간의 조립이 어렵게 되며, 복동플랜지의 수만큼 복동너트의 수 또한 증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종래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10-2021-0078545호에 제안되어 있는 핀기어 롤러스크류가 있다.
상기 특허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롤러스크류에 있어서, 이동시킬 물체와 결합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수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2)와, 상기 선롤러(2)와 나사로 접촉되어 선롤러(2)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선롤러(2)의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유성롤러(3)와, 상기 유성롤러(3)의 양단에 설치되는 핀기어(4)와, 상기 핀기어(4)와 접촉되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와, 상기 핀기어(4)의 양측에 결합되는 캐리어(6)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핀기어 롤러스크류가 제안되어 있는데, 선롤러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롤러가 배치되는 구조임에 따라 선롤러와 유성롤러 간의 결합위치를 맞추기가 용이하지 않고, 유성롤러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핀기어의 돌기에 캐리어를 먼저 끼워서 선롤러를 유성롤러 사이에 조립할 경우 선롤러와 복수의 유성롤러 사이에 헛도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유성롤러 사이의 간격이 선롤러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서 나사산끼리의 결합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등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작업이 어렵다.
특히, 선롤러와 유성롤러는 동일한 피치의 나사산에 의해 결합이 되지만, 롤러스크류의 특성상 선롤러의 나사와 유성롤러의 나사 사이에 공차가 거의 없는 상태로 제작됨으로써 캐리어에 복수의 유성롤러들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롤러를 회전시켜 정확한 중심에 체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1374호(2013. 9. 2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유성롤러의 양측 단부에는 핀기어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핀기어가 원형 즉, 링 형상의 링기어 내부에 형성된 내치기어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유성롤러와 선롤러의 결합을 조립용 지그를 이용해 조립함으로써 유성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은 하우징에 조립용 지그를 결합하는 지그 결합단계와, 상기 지그에 유성롤러에 고정되어 있는 핀기어의 돌기를 끼워넣어 조립하는 유성롤러 조립단계와, 유성롤러 사이로 선롤러를 넣어서 선롤러를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에 의해 유성롤러와 선롤러를 결합하는 선롤러 결합단계와, 하우징에 끼워져 있는 지그를 빼내는 지그 분리단계와, 지그가 분리된 유성롤러의 핀기어 돌기에 캐리어를 체결하는 캐리어 체결단계와, 캐리어를 하우징에 고정해주는 캐리어 고정단계;로 이루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유성롤러 조립단계와 선롤러 결합단계는 지그 결합단계 이전에 실시할 수 있어서, 제품에 따라 조립방법에 변화를 줌으로써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 고정단계는 하우징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캡을 씌워줌으로써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캐리어의 조립 및 분해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은 이동시킬 물체와 결합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수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2)와, 상기 선롤러(2)와 나사로 접촉되어 선롤러(2)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선롤러(2)의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유성롤러(3)와, 상기 유성롤러(3)의 양단에 설치되는 핀기어(4)와, 상기 핀기어(4)와 접촉되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와, 상기 핀기어(4)의 양측에 결합되는 캐리어(6)로 구성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조립용 지그를 결합하는 지그 결합단계와, 상기 지그에 유성롤러에 고정되어 있는 핀기어의 돌기를 끼워넣어 조립하는 유성롤러 조립단계와, 유성롤러 사이로 선롤러를 넣어서 선롤러를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에 의해 유성롤러와 선롤러를 결합하는 선롤러 결합단계와, 하우징에 끼워져 있는 지그를 빼내는 지그 분리단계와, 지그가 분리된 유성롤러의 핀기어 돌기에 캐리어를 체결하는 캐리어 체결단계와, 캐리어를 하우징에 고정해주는 캐리어 고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은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유성롤러의 양측 단부에는 핀기어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핀기어가 원형 즉, 링 형상의 링기어 내부에 형성된 내치기어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유성롤러와 선롤러의 결합을 조립용 지그를 이용해 조립함으로써 유성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은 하우징에 조립용 지그를 결합하는 지그 결합단계와, 상기 지그에 유성롤러에 고정되어 있는 핀기어의 돌기를 끼워넣어 조립하는 유성롤러 조립단계와, 유성롤러 사이로 선롤러를 넣어서 선롤러를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에 의해 유성롤러와 선롤러를 결합하는 선롤러 결합단계와, 하우징에 끼워져 있는 지그를 빼내는 지그 분리단계와, 지그가 분리된 유성롤러의 핀기어 돌기에 캐리어를 체결하는 캐리어 체결단계와, 캐리어를 하우징에 고정해주는 캐리어 고정단계;로 이루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상기 유성롤러 조립단계와 선롤러 결합단계는 지그 결합단계 이전에 실시할 수 있어서, 제품에 따라 조립방법에 변화를 줌으로써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 고정단계는 하우징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캡을 씌워줌으로써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캐리어의 조립 및 분해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일부분 투시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분리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용 지그의 사시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용 지그의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그 결합단계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성롤러 조립단계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선롤러 결합단계의 설명도
도 9는 지그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일부분 구성도
도 10은 캐리어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일부분 구성도
본 발명은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유성롤러의 양측 단부에는 핀기어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핀기어가 원형 즉, 링 형상의 링기어 내부에 형성된 내치기어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유성롤러와 선롤러의 결합을 조립용 지그를 이용해 조립함으로써 유성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일부분 투시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분리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이동시킬 물체와 결합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수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2)와, 상기 선롤러(2)와 나사로 접촉되어 선롤러(2)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선롤러(2)의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유성롤러(3)와, 상기 유성롤러(3)의 양단에 설치되는 핀기어(4)와, 상기 핀기어(4)와 접촉되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와, 상기 핀기어(4)의 양측에 결합되는 캐리어(6)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모터와 같이 전력이 인가되면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며, 프레스나 공작기계와 같은 기계장치의 이송장치로 사용되거나, 로봇 등의 이송장치 또는 그리퍼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은 이동시킬 물체에 직접 결합하거나 간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도시된 하우징(1)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시킬 물체와의 결합을 위해 양측 또는 일측 단부에 플랜지가 결합되거나 볼트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 내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의 중심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2)가 설치되며, 상기 선롤러(2)의 주위에는 복수의 유성롤러(3)가 설치되며, 선롤러(2)와 유성롤러(3)는 동일한 피치의 나사산(2a, 3a)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서 선롤러(2)의 회전에 따라 유성롤러(3)가 선롤러(2)의 나사산(2a)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상기 유성롤러(3)의 양단에는 핀기어(4)가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핀기어(4)는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링기어(5)와 원통형 핀(4a)과 기어로 접촉되어 회전되고, 상기 핀기어(4)는 캐리어(6)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6a)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서 각각의 유성롤러(3)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핀기어들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링기어(5)에 형성되어 있는 기어를 따라 같은 속도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선롤러(2)가 회전되면 상기 선롤러(2) 주위의 유성롤러(3) 쪽으로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유성롤러(3) 쪽으로 전달된 회전동력은 다시 핀기어(4) 쪽으로 전달되지만, 상기 핀기어(4)는 링기어(5)에 의해 회전에 대한 간섭 즉, 자전을 방해하는 간섭을 받게 됨으로써 결국 링기어(5)를 따라 공전운동을 하게 되어 유성롤러(3)와 핀기어(4)는 선롤러(2)의 나사산(2a)을 따라 선롤러(2)의 축방향 쪽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유성롤러(3)와 핀기어(4)가 선롤러(2)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캐리어(6) 역시 선롤러(2)의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써 상기 캐리어(6)를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해주던 하우징(1) 역시 선롤러(2)의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1)은 캐리어(6)가 선롤러(2)의 축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준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잡아주게 되는데, 도시된 실시예는 하우징(1)의 상부와 하부에 캡(7)을 체결하여 캐리어(6)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캡(7)은 캐리어(6)와 틈이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캐리어(6)의 회전에 대한 간섭을 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캡(7) 대신 오링을 사용하여 캐리어(6)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해줄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지그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해 살펴보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용 지그의 사시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용 지그의 평면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용 지그는 이동시킬 물체와 결합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수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2)와, 상기 선롤러(2)와 나사로 접촉되어 선롤러(2)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선롤러(2)의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유성롤러(3)와, 상기 유성롤러(3)의 양단에 설치되는 핀기어(4)와, 상기 핀기어(4)와 접촉되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와, 상기 핀기어(4)의 양측에 결합되는 캐리어(6)로 구성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지그(10)는 원판형이며, 중심부에는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0a)과 연통되어 복수의 핀홀(10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조립용 지그(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6)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원판형이고, 중심부에는 원형의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0a)과 연통된 상태로 복수의 핀홀(10b)이 조립용 지그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조립용 지그의 조립작업을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하우징(1) 내 즉, 하우징(1)의 양쪽에 조립용 지그(10)를 설치한 다음, 상기 조립용 지그(10)의 관통홀(10a) 쪽으로 유성롤러(3)를 하나씩 넣어서 유성롤러(3)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핀기어(4)의 돌기(4b) 부분을 핀홀(10b)의 가장 안쪽까지 밀어넣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조립용 지그(10)에 모든 유성롤러(3)를 조립시키게 된다.
또한, 조립용 지그(10)의 핀홀(10b)은 관통홀(10a)의 중심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각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롤러(2)에 결합되는 복수의 유성롤러(3)는 동일한 각거리를 가지도록 결합이 되어야만 하우징(1)의 반경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작용하는 힘에 대해 견딜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핀홀(10b)이 동일한 각거리 즉, 인접한 핀홀(10b)과 핀홀(10b) 사이의 각거리가 α1 = α2로서, 동일한 각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유성롤러(3) 사이가 동일한 각거리를 가지도록 결합위치를 안내해주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그 결합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유성롤러 조립단계의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선롤러 결합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9는 지그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일부분 구성도이고, 도 10은 캐리어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일부분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은 이동시킬 물체와 결합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수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2)와, 상기 선롤러(2)와 나사로 접촉되어 선롤러(2)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선롤러(2)의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유성롤러(3)와, 상기 유성롤러(3)의 양단에 설치되는 핀기어(4)와, 상기 핀기어(4)와 접촉되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와, 상기 핀기어(4)의 양측에 결합되는 캐리어(6)로 구성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조립용 지그(10)를 결합하는 지그 결합단계(S 10)와, 상기 조립용 지그(10)에 유성롤러(3)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핀기어(4)의 돌기(4b)를 끼워넣어 조립하는 유성롤러 조립단계(S 20)와, 유성롤러(3) 사이로 선롤러(2)를 넣어서 선롤러(2)를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에 의해 유성롤러(3)와 선롤러(2)를 결합하는 선롤러 결합단계(S 30)와, 하우징(1)에 끼워져 있는 조립용 지그(10)를 빼내는 지그 분리단계(S 40)와, 조립용 지그(10)가 분리된 유성롤러(3)의 핀기어(4)의 돌기(4b)에 캐리어(6)를 체결하는 캐리어 체결단계(S 50)와, 캐리어(6)를 하우징(1)에 고정해주는 캐리어 고정단계(S 60);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지그 결합단계(S 10)는 도 6과 같이 하우징(1)의 양측에 조립용 지그(10)를 결합하는 단계로써, 조립용 지그(10)의 결합위치는 추후 캐리어(6)가 핀기어(4)에 결합되는 위치와 동일하여야 하며, 조립용 지그(10)와 하우징(1)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나 핀과 같은 임시적인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 결합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유성롤러 조립단계(S 20)는 도 7과 같이 조립용 지그(10)에 복수의 유성롤러(3)를 조립하는 단계로서, 조립용 지그(10)의 핀홀(10b)에 유성롤러 핀기어(4)의 돌기(4b)가 완전히 들어가서 핀홀(10b)의 가장 안쪽 면 즉, 반원형의 외부 단면에 밀착되도록 조립하며, 상기 선롤러 결합단계(S 30)는 도 8에 나타나 있듯이 유성롤러(3) 사이에 선롤러(2)를 회전시키면서 유성롤러(3)의 나사산(3a)과 선롤러(2)의 나사산(2a) 간에 서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이며, 선롤러(2) 주위의 모든 유성롤러(3)와 선롤러(2) 사이에 안정적인 나사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지그 분리단계(S 40)는 선롤러 결합단계(S 30)에 의해 선롤러(2)와 유성롤러(3)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 다음 유성롤러(3)의 핀기어(4)에서 조립용 지그(10)를 분리해주는 단계이며, 상기 캐리어 체결단계(S 50)는 지그(10)가 분리된 유성롤러의 핀기어(4)에 캐리어(6)를 체결해주는 단계이다.
상기 캐리어 체결단계(S 50)는 캐리어(6)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6a)에 핀기어(4)의 돌기(4b)가 들어가도록 캐리어(6)를 체결해주게 되고, 이후 캐리어 고정단계(S 60)에 의해 캐리어(6)가 하우징(1)에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 고정단계(S 60)는 하우징(1)의 상부와 하부에 캡(7)을 체결하여 캐리어(6)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캡(7)은 캐리어(6)와 틈이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캐리어(6)의 회전에 대한 간섭을 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하우징(1) 내부에 캐리어(6)가 체결되고 나면 하우징(1)의 상부와 하부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캡(7)을 체결하여 캐리어(6)가 하우징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성롤러 조립단계(S 20)와 선롤러 결합단계(S 30)는 지그 결합단계(S 10) 이전에 실시할 수 있다.
즉, 조립용 지그(10)를 하우징(1)에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2개의 조립용 지그(10)를 이용해 유성롤러(3)를 결합하고, 상기 유성롤러(3) 사이에 선롤러(2)를 조립한 다음, 선롤러(2)와 유성롤러(3)가 조립된 상태의 반제품을 하우징(1)에 넣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9에 나타나 있는 반제품과 같이 조립용 지그(10)를 이용해 유성롤러(3)와 선롤러(2)를 조립한 다음 이 상태로 하우징(1) 내부에 넣고, 도 10과 같이 조립용 지그(10)를 빼내고 캐리어(6)를 조립용 지그(10)가 있던 자리로 체결하는 순서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그 분리단계(S 40)와 캐리어 조립단계(S 50) 사이에는 링기어(5)를 하우징(1)에 조립하는 링기어 조립단계(S 45)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지그(10)를 핀기어(4)에서 분리해준 다음 하우징(1) 내부에 링기어(5)를 끼워서 고정해둠으로써 핀기어(4)의 원통형 핀(4a)과 링기어(5)의 내치기어를 서로 맞추어서 조립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그 결합단계(S 10) 이전에 링기어(5)를 하우징(1)에 미리 조립해둘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은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핀기어 롤러스크류는 모터와 같은 동력발생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의 주위에 복수의 유성롤러를 배치하고, 상기 유성롤러의 양측 단부에는 핀기어를 고정 결합시켜 상기 핀기어가 원형 즉, 링 형상의 링기어 내부에 형성된 내치기어를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유성롤러와 선롤러의 결합을 조립용 지그를 이용해 조립함으로써 유성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조립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은 하우징에 조립용 지그를 결합하는 지그 결합단계와, 상기 지그에 유성롤러에 고정되어 있는 핀기어의 돌기를 끼워넣어 조립하는 유성롤러 조립단계와, 유성롤러 사이로 선롤러를 넣어서 선롤러를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에 의해 유성롤러와 선롤러를 결합하는 선롤러 결합단계와, 하우징에 끼워져 있는 지그를 빼내는 지그 분리단계와, 지그가 분리된 유성롤러의 핀기어 돌기에 캐리어를 체결하는 캐리어 체결단계와, 캐리어를 하우징에 고정해주는 캐리어 고정단계;로 이루지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의 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상기 유성롤러 조립단계와 선롤러 결합단계는 지그 결합단계 이전에 실시할 수 있어서, 제품에 따라 조립방법에 변화를 줌으로써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캐리어 고정단계는 하우징에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캡을 씌워줌으로써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캐리어의 조립 및 분해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하우징 1a. 홈
2. 선롤러 2a. 나사산
3. 유성롤러 3a. 나사산
4. 핀기어 4a. 원통형 핀 4b. 돌기
5. 링기어 6. 캐리어 6a. 관통홀
7. 캡
10; 조립용 지그
10a. 관통홀 10b. 핀홀
α 1, α 1. 유성롤러 사이의 각거리
S 10; 지그 결합단계 S 20; 유성롤러 조립단계
S 30; 선롤러 결합단계 S 40; 지그 분리단계
S 45; 링기어 조립단계 S 50; 캐리어 체결단계
S 60; 캐리어 고정단계 S 70; 링기어 조립단계

Claims (5)

  1. 이동시킬 물체와 결합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수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롤러(2)와, 상기 선롤러(2)와 나사로 접촉되어 선롤러(2)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선롤러(2)의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유성롤러(3)와, 상기 유성롤러(3)의 양단에 설치되는 핀기어(4)와, 상기 핀기어(4)와 접촉되며 하우징(1)에 고정 설치되는 링기어(5)와, 상기 핀기어(4)의 양측에 결합되는 캐리어(6)로 구성된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조립용 지그(10)를 결합하는 지그 결합단계(S 10)와, 상기 조립용 지그(10)에 유성롤러(3)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핀기어(4)의 돌기(4b)를 끼워넣어 조립하는 유성롤러 조립단계(S 20)와, 유성롤러(3) 사이로 선롤러(2)를 넣어서 선롤러(2)를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에 의해 유성롤러(3)와 선롤러(2)를 결합하는 선롤러 결합단계(S 30)와, 하우징(1)에 끼워져 있는 조립용 지그(10)를 빼내는 지그 분리단계(S 40)와, 조립용 지그(10)가 분리된 유성롤러(3)의 핀기어(4)의 돌기(4b)에 캐리어(6)를 체결하는 캐리어 체결단계(S 50)와, 캐리어(6)를 하우징(1)에 고정해주는 캐리어 고정단계(S 60);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용 지그(10)는 원판형이며, 중심부에는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0a)과 연통되어 복수의 핀홀(1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성롤러 조립단계(S 20)는 상기 조립용 지그(10)의 관통홀(10a) 쪽으로 유성롤러(3)를 하나씩 넣어서 유성롤러(3)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핀기어(4)의 돌기(4b) 부분을 핀홀(10b)의 가장 안쪽까지 밀어넣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조립용 지그(10)에 모든 유성롤러(3)를 조립하는 것이 특징인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분리단계(S 40)와 캐리어 조립단계(S 50) 사이에는 링기어(5)를 하우징(1)에 조립하는 링기어 조립단계(S 45)가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고정단계(S 60)는 하우징(1)의 상부와 하부에 캡(7)을 체결하여 캐리어(6)가 외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캡(7)은 캐리어(6)와 틈이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캐리어(6)의 회전에 대한 간섭을 하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이 특징인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KR1020220165433A 2022-12-01 2022-12-01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KR102556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433A KR102556199B1 (ko) 2022-12-01 2022-12-01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5433A KR102556199B1 (ko) 2022-12-01 2022-12-01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6199B1 true KR102556199B1 (ko) 2023-07-19

Family

ID=8742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5433A KR102556199B1 (ko) 2022-12-01 2022-12-01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61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88B1 (ko) * 2023-10-11 2024-04-11 남도하이텍 주식회사 롤러스크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727A (ko) * 2003-04-24 2005-08-30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유성식 차동 나사형 회전-직선운동 변환장치
JP2006057794A (ja) * 2004-08-23 2006-03-02 Nsk Ltd 遊星ローラネジ装置
JP2007100761A (ja) * 2005-09-30 2007-04-19 Nsk Ltd 遊星ローラねじ
KR20080027956A (ko) * 2005-08-23 2008-03-28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유성식 회전 일직선 운동 변환 장치
KR20130052446A (ko) * 2011-11-11 2013-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브레이크용 롤러 스크류
KR101311374B1 (ko) 2012-02-01 2013-09-26 노우철 롤러스크류형 리니어 액튜에이터
KR101401729B1 (ko) * 2013-01-10 2014-06-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 기어가 구비되는 유성기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727A (ko) * 2003-04-24 2005-08-30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유성식 차동 나사형 회전-직선운동 변환장치
JP2006057794A (ja) * 2004-08-23 2006-03-02 Nsk Ltd 遊星ローラネジ装置
KR20080027956A (ko) * 2005-08-23 2008-03-28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유성식 회전 일직선 운동 변환 장치
JP2007100761A (ja) * 2005-09-30 2007-04-19 Nsk Ltd 遊星ローラねじ
KR20130052446A (ko) * 2011-11-11 2013-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전동식 브레이크용 롤러 스크류
KR101311374B1 (ko) 2012-02-01 2013-09-26 노우철 롤러스크류형 리니어 액튜에이터
KR101401729B1 (ko) * 2013-01-10 2014-06-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 기어가 구비되는 유성기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888B1 (ko) * 2023-10-11 2024-04-11 남도하이텍 주식회사 롤러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195B1 (ko)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용 지그
KR102556199B1 (ko) 핀기어 롤러스크류의 조립방법
KR101030276B1 (ko) 산업용 로봇의 선회부 구조
EP3611402B1 (en) Servo cylinder
CN103619530A (zh) 末端执行器和机器人
EP3081833B1 (en) Oil seal cap and eccentric oscillation-type gear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5539619B (zh) 一种含有变位行星架系统的行星传动装置
KR101311374B1 (ko) 롤러스크류형 리니어 액튜에이터
US20190242466A1 (en) Linear Actuator With Torque Limiter Mounted To A Driven Sprocket
US11305389B2 (en) Electric clamping device
US10865862B2 (en) Pulley and ball nut assembly
US20210010565A1 (en) Planetary gearbox and associated robot joint and robot
KR100918619B1 (ko) 롤러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츄에이터
CN106884961B (zh) 轴承减速机
CN105666190A (zh) 一种工件夹持装置
US20220068609A1 (en) Fastening automation apparatus for upper electrode
KR102655888B1 (ko) 롤러스크류
CN115507155A (zh) 双级型行星齿轮机构和轮驱动装置
JP7468827B2 (ja) 波動歯車装置
US11873891B2 (en) Planetary gearbox, assembly method thereof, associated robot joint and robot
CN215509324U (zh) 滚齿工装
RU26107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в поступательное движение
WO2017222414A1 (ru) Способ сборки инвертированного ролико-винтового редуктора
CN117961821B (zh) 一种齿轮间装配用工装
KR20220168713A (ko) 핀기어 롤러스크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