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676B1 - 왕복 권취스핀들을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왕복 권취스핀들을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676B1
KR940003676B1 KR1019850006650A KR850006650A KR940003676B1 KR 940003676 B1 KR940003676 B1 KR 940003676B1 KR 1019850006650 A KR1019850006650 A KR 1019850006650A KR 850006650 A KR850006650 A KR 850006650A KR 940003676 B1 KR940003676 B1 KR 940003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cassette
winding
tape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806A (ko
Inventor
우들리 조오지 엠
Original Assignee
오타리 매뉴팩츄어링 코포레이션
윌리암 에취.앤더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타리 매뉴팩츄어링 코포레이션, 윌리암 에취.앤더슨 filed Critical 오타리 매뉴팩츄어링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6000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1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magazines or cassettes, e.g. initial loading into contain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복 권취스핀들을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권취장치가 결합되어 있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귄취스핀들과 구동모우터 조립체를 보인 부분단면표시의 측면도.
제3도는 상기 권취스핀들과 구동모우터 조립체의 저면도.
제4도는 왕복동 스핀들과 이 스핀들의 작동구조가 카세트와 결합상태에 있음을 가상선으로 보인 제2도와 제3도의 측면도.
제5도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권취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 권취장치 501 : 축
502 : 서보모우터 503 : 출력축
505 : 하우징 510 : 중공형슬리이브
512 : 핀 513 : 요크
514 : 요구 515 : 피스턴롯드
516 : 압축공기작동기
본 발명은 테이프를 연결하고 권취하기 위한 자동카세트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취장치내에 포함된 왕복동하는 새로운 스핀들장치를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빈 카세트에 자기테이프를 일시에 자동적으로 로딩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된 바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장치는 미국특허 제3,997,123호 (James L.King)에서 찾아볼 수 있는바, 이 특허에 있어서는 빈 카세트를 공급저장하기 위한 매거진이 제공되며 각 카세트는 한쌍의 회전가능한 후브 또는 스풀을 가지고 이들 사이에 리이더 테이프(leader tape)가 연결된다. 매거진은 카세트를 하나씩 로딩위치에 공급하며 이 위치에서 카세트가 고정되는 동안 장치는 카세트로부터 라이더를 인출하고 카세트가 리이더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기 위한 연결블럭조립체상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한다. 일측 리이더부분은 자기테이프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선택된 길이의 자기테이프가 권취장치에 의하여 카세트내에서 권취된다. 절단장치는 카세트내에 권취된 테이프의 후단부를 제공하도록 마그네틱 테이프를 절단한다. 이 후단부는 카세트의 다른 리이더부분에 접착연결되고 카세트내에 권취된다.
로딩위치로부터 테이프가 권취되어 로딩된 카세트의 방출과 매거진으로부터 로딩위치로의 다른 카세트공급은 카세트에 테이프를 권취하는 로딩단계와 로딩된 카세트를 방출하는 단계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의 한 연속작동싸이클로 완성된다.
미국특허 제3,997,123호에 기술된 장치는 카세트 스풀 또는 후브의 내부톱니와 맞물리게된 권취스핀들에 고정적을 연결된 압축공기작동 에러 터어빈을 갖는다. 상기 특허에 따른 스핀들의 구동은 에어 터어빈을 대신하여 전기모우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실제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자동카세트 로딩장치는 이들의 권취스핀들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전기모우터를 사용하고 있다. 권취스핀들 모우터의 사용수명은 그 일정한 시동과 정지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또한 로딩위치에서 카세트에 권취스핀들이 결합되게 하거나 분리되게 하는 모우터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의 산업분야에서 경쟁적인 특성은 카세트로딩장치의 제조사업에 있어서 조직의 생존이 보수 및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최소가 되는 반면에 카세트 로딩싸이클이 비교적 빠르게 유지는 것이 요구된다.
대형의 권치모우터를 사용하는 것은 그 부가적인 중량이 대형지지구조물을 필요로 하고 모우터를 카세트 로딩 위치에 왕복시키는데 큰힘이 필요하므로 만족스러운 해결책은 아니다. 또한 대형모우터의 부가적인 부피 때문에 모우터가 왕복동하는 속도가 제한될 것이다. 또한 대형모우터의 플라이휠 효과를 극복하는데 요구되는 제동 문제가 있고 모우터의 왕복에 의하여 축단부가 유동마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공지의 권취장치와 같은 전기모우터 권취장치가 제공되며, 이는 중공형 축을 구동시키는 고정 착설된 전기모우터와 결합되고, 중공형 축은 자동카세트 로딩장치의 로딩위치에 배치된 카세트의 후보 또는 스풀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압축공기제어형 권취스핀들을 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사용수명은 길고 비가동시간은 짧은 권취장치를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카세트로딩장치로 구성된 요소와 조합되었을때에 장치의 성능이 개선된 왕복동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카세트스풀 또는 후브와 고속의 전기권취모우터로 구동되는 권취스핀들 사이의 클러치작용과 구동작용을 위한 독특한 구동장치를 제공하여 권취모우터가 왕복동하는 종래장치 보다 권취모우터의 사용수명이 증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현재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재료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자동카세트 로딩장치를 위한 권취스핀들과 구동모우터 조립체로 구성되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그 일부가 본 발명에 인용된 것으로, 1976년 12월 14일자 미국특허 제3,997,123호 (James L.King)에 기술된 형태의 자동카세트 로딩장치를 보인 것이다. 제1도에서는 부호(501)을 제외하고는 상기 언급된 특허에 사용한 것이다.
제1도의 자동카세트 로딩장치는 빈 카세트저장 매거진(8)을 위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판체(6)로 폐쇄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저면판(4)을 갖는 하우징(2)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인 빈 카세트 (C-제로형)가 매거진(8)에 실리며, 이 매거진은 가상선으로 보인 선택된 로딩위치로 빈 카세트(38)을 하나씩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6)에는 연결블럭조립체(10) 연결테이프 접착제 도포기(12)와 리이더발취장치(14)가 착설되어 있다. 연결블럭조립체(10)와 연결테이프접착제 도포기(12)는 리이더발취장치(14)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경사진 각도로 착설되어 있다. 전면판(4)으로는 테이프공급릴 회전축(16)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에 자기테이프(22)의 공급릴(20)을 분리가능하게 지지하고 구동시키기 위한 후브조립체(18)와, 카운터휠(26)이 착설된 회전축(24)이 착설되어 있다. 카운터휠(26)의 회전수를 계산하여 사전에 결정된 분량의 자기테이프(22)가 카세트(38)에 권취되었을때에 출력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도시하지 않았음)이 전면판(4)의 후측에 착설되어 있다. 축(16)은 전면판(4)의 후측에 착설된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구동된다.
매거진(8)에 의하여 공급되는 C-제로형 카세트(38)는 클립(155)에 의하여 선택된 로딩위치에 고정되고, 이때에 리이더발취장치(14)가 카세트로부터 리이더를 당기어 연결블럭조립체(10)상에 놓이도록 하며, 여기에서 리이더는 제1 및 제2리이더부분으로 절단된다. 리이더의 단부에 연결된 테이프(22)는 축(16)으로 구동되는 후브조립체(18)의 공급릴(20)으로부터 공급되고 축(24)의 카운터휠(26)을 지나 연결블럭조립체(10)로 안내된다. 연결테이프 접착제 도포기(12)는 공급릴(85)로부터 연결접착제함유 테이프(84)를 연결블럭조립체(10)에 공급한다. 여기에서 테이프(84)가 절단되어 공급테이프(22)의 선단부에 두 리이더부분의 하나를 연결토록 도포된다.
또한 본 발명장치는 판체(6)의 후측에 위치하여 착설되고 판체(6)에서 통공(4999) (제1도)과 결합하는 권취스핀들(501)로 구성된 권취장치(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장치(500)는 미국특허 제3,997,123호에 기술된 권취장치를 대체한 것이다. 권취장치(500)는 로딩위치에 배치된 카세트(38)의 후브 또는 스풀과 결합 및 분리되게 축(50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권취스핀들(501)이 카세트후브와 결합되고 권취장치가 결합될때에 권취스핀들은 결합된 카세트 홀을 회전구동시켜서 연결된 공급테이프(22)가 카세트 카세트 후브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선택된 길이의 공급테이프가 카세트내에 권취된후에 권취과정이 중지된다. 공급테이프가 절단된 후에 공급테이프의 후단부는 테이프(22)의 선단부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테이프접착제도포기의 작동으로 다른 리이더부분에 연결된다. 제2도-제5도에서 보인 권취장치(500)는 공급테이프의 연결된 선단부와 다른 리이터부분을 카세트에 권취하도록 작동된다. 이후 스핀들(501)은 로딩된 카세트(28)로부터 분리되고 이들 로딩위치로부터 방출되고 매거진(8)으로부터의 다른 카세트로 대체된다.
상기 언급된 장치의 실질적이고 주기적인 작동은 자동카세트로딩장치를 구성하는 여러구성과 함께 상기 인용된 특허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권취장치(500)를 제외한 이들 장치는 미국특허 제3,997,123호에 기술된 것과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된 개선부분을 중점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미국특허 제3,997,123호에 기술된 공기터어빈과 전기모우터의 설명을 생략한 권취장치(500)의 다음 설명은 다른 장치와 조합하여 경쟁력있고 경제적이며 신뢰가능한 카세트로딩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2도-제5도는 고속출력축(503)을 갖는 D.C서보모우터(502) (예를들어 올림퍼스 세이키사의 PANOLY모델 OMS-512)를 보인 것이다. 모우터(502)는 소형스크류(506)과 같은 통상적인 수단으로 스핀들의 플랜지(504)과 모우터지지하우징(505)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하우징(505)은 출력축(503)의 축방향 연장부와 동축상인 통공을 가지며 제2도와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 통공에는 한쌍의 로울러 또는 볼베어링(507)이 삽착되어 있다. 절결부(508)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요크의 왕복운동을 허용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중공형의 모우터축 연장슬리이브(510)가 고정스크류(509)에 의하여 모우터축(503)에 고정되고 이 모우터축연장슬리이브(510)는 권취스핀들(501)의 왕복운동시 이를 회전시키고 지지한다.
카세트의 통상적인 내치형 후브 또는 수풀에 결합되는 권취스핀들 또는 출력축의 단부는 미국특허 제3,997,123호에 인용된 스핀들(192)에 대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공지된 형태이다. 제2도 및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중공형 슬라이브(510)는 권취스핀들(501)의 일측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핀(512)이 활동(滑動)할 수 있는 슬로트(511)가 전기모우터(502)로부터 원격한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다. 핀(512)은 슬로트(511)에 결합되어 스핀들(501)가 중공형 슬리이브(510)에 대하여 활동가능하게 결합되게 한다. 따라서, 전기모우터(502)는 모우터축(503)에 대하여 중공형 슬리이브(510)를 착설하고 슬로트(511)에 핀(512)을 활동 가능 결합하므로서 그 회전력이 권취스핀들(501)에 전달될 수 있다.
권취스핀들(501)의 축방향 왕복운동은 스핀들(501)의 요구(514)에 결합되도록 일측단부가 분기된 요크(513)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요크(513)의 타측단부는 통상의 압축공기작동기(516)의 작동부재로 구성되고 이 작동기의 작동시에 진퇴가능한 피스턴 롯드(515)가 삽입되는 통공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턴롯드(515)는 한쌍의 너트(517)로 권취스핀들(501)의 왕복운동을 위한 적당한 위치에서 요크(513)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나착된다. 압축 공기작동기(516)는 하우징(505)에 소형스크류(518)로 착설된다. 이 작동기(516)는 단동 또는 복동형태일 수 있다. 제2도-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작동기(516)는 단동형태의 것이며 공기 주입을 위하여 일측단부에 단일 주입구(521)를 갖는다. 이 작동기는 복동형태의 압축공기작동기로 대체될 수 있다.
제2도-제5도에서 보인 권취장치는 지지하우징(505)을 고정판체(6)에 착설하여 권취스핀들(501)이 이판체(6)의 통공(499)과 정렬되게 하므로서 전면판(4)의 후측에 착설된다. 권취장치(500)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판체(6)를 통하여 연장되는 소형스크류(도시하지 않았음)를 삽입하기 위하여 하우징(505)의 단부면에 천설한 고정공(519)을 형성하여 스크류로 고정하는 것과 같이 공지의 방식으로 착설될 수 있다. 권취장치는 피스턴롯드(514)가 그 휘퇴위치에 있을때에 카세트(38)의 후브 또는 스풀에 스핀들(501)이 결합될 수 있는 요크위 최소이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스핀들(6)의 작동단부와 판체(6)의 전면이 실제로 동일편 면상에 놓일 수 있도록 위치가 선정되는 것이 좋다. 제4도는 실선으로 요크(513) 및 스핀들(501)과 함께 작동기(516)의 피스턴롯드(515)가 후퇴된 위치에 있음을 보인 것으로, 권취스핀들과 카세트(38)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보인것이다. 가상선으로 보인 것은 피스턴롯드(515), 요크(513) 및 권취스핀들(501)이 전진된 위치에 있음을 보인 것으로 이 위치에서는 스핀들이 로딩위치에 있는 카세트(38)의 후브 또는 스풀과 결합된다.
자동카세트로딩장치를 구성하는 장치와 결합하여 권취장치(500)의 작동은 작동기(516)가 미국특허 제3,997,123호의 작동기(204)를 대신하여 사용되므로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작동기(516)와 서보모우터(502)의 효과적인 작동을 위한 압축공기와 전기적인 타이밍 및 스위칭연결 구성이 카세트로딩장치의 제조에 관련된 통상적인 전기 및 기계적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취장치에 있어서는 미국특허 제3,997,123호에 기술된 공기터어빈 또는 권취 구동장치에서 필요하였던 제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은 권취스핀들의 축방향 왕복운동이 스핀들의 비교적 낮은 관성에 의하여 고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반대로 미국특허 제3,997,123호에 있어서는 권취스핀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체 터어빈 또는 전기모우터가 스핀들을 로딩위치의 카세트 후브에 결합토록 왕복운동하는데 높은 관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권취스핀들만을 왕복운동시키는데에는 적은 힘만이 요구된다. 다른 잇점은 권취스핀들의 왕복운동이 전체 권취장치의 왕복운동시에 일어나는 기계적인 충격이 모우터에 가하여지지 않고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국특허 제3,997,123호의 조합을 구성하는 다른장치와 조합되었을때에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사용 수명이 길어 경제적인 자동카세트로딩장치를 제공하는 새로운 테이프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믿는다.
비록 본 발명이 특별한 실시형태를 인용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들어, 권취장치의 왕복 운도이 압축공기작동기(515) 대신에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슬리이브(510)와 스핀들(501)은 일측부재에 형성된 하나이상의 축방향 요구에 타측부재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축방향 리브가 활동가능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브와 스핀들 사이를 축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므로서 슬로트(511)와 핀(512)을 대신하여 수정될 수 있다. 서보모우터(502)는 d.c.모우터, a.c.모우터 또는 공기터어빈으로 대체될 수 있다. 아울러 자동카세트로딩장치의 여러 장치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개선될 수 있다.

Claims (18)

  1. 두 스풀을 가지며 이들 사이에 리이더를 갖는 빈 카세트에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로딩하기 위한 자동카세트 로딩장치로서, 이 장치가 빈 카세트를 공급하기 위한 매거진, 빈 카세트를 선택된 로딩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로딩위치에서 빈 카세트로부터 리이더를 발취하고 발취된 리이더를 연결블럭조립체상에 놓이도록 하는 수단과, 연속하여 리이더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고 일측리이더 부분을 공급되는 테이프의 선단부에 연결하며 카세트내에 선택된 길이의 테이프를 권취하고 테이프를 절단하며 이 테이프의 후단부에 다른 리이더 부분을 연결하고 테이프의 후단부와 다른 리이더부분을 카세트내로 권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에 있어서, 테이프권취장치가 회전출력측을 갖는 고정적으로 착설된 전기모우터, 일측단부가 카세트의 스풀에 결합되는 권취스핀들, 상기 권취스핀들의 왕복운동중 권취스핀들에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로딩위치에서 카세트의 스풀과 결합되도록 스핀들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권취스핀들을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일측단부가 회전축의 연장부를 형성하도록 회전축에 고정된 둥공형 슬리이브와, 상기 스핀들이 왕복운동하는 동안 상기 스핀들에 상기 슬리이브의 회전을 전당하도록 결합된 상기 스핀들과 슬리이브상의 수단으로 구성되는 바의 장치.
  3.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우터를 지지하는 고정지지체와 상기 스핀들의 회전과 왕복운동을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바의 장치.
  4. 청구범위 2항에 잇어서, 상기 스핀들을 왕복운동 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이 그 회전운동에 간섭함이 없이 상기 스핀들에 축방향의 왕복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스핀들에 결합된 요크로 구성된 바의 장치
  5. 청구범위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착설되고 그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기 요크에 고정된 작동부재를 갖는 수단을 포함하므로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한 일측방향으로의 상기 요크의 운동이 스핀들의 일측단부가 로딩위치에서 카세트의 스풀에 결합되는 제1위치로 이동되게 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한 반대방향으로의 상기 요크의 운동이 스핀들의 일측단부가 상기 스풀로부터 분리된 제2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바의 장치.
  6.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가 압축공기 작동형인 바의 장치.
  7. 청구범위 6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가 D.C.서보모우터인바의 장치.
  8. 두 스풀을 가지며 이들 사이에 리이더를 갖는 빈 카세트에 테이프를 자동적으로 로딩하기 위한 자동 카세트 로딩장치로서, 이 장치가 빈 카세트를 공급하기 위한 매거진, 빈 카세트를 공급받아 선택된 로딩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로딩위치에서 빈 카세트로부터 리이더를 발취하고 발취된 리이더를 연결블럭조립체 상에 놓이도록 하는 수단과, 연속하여 리이더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고 일측 리이더부분을 공급되는 테이프의 선단부에 연결하며 카세트내에 선택된 길이의 테이프를 권취하고 테이프를 절단하여 이 테이프의 후단부에 다른 리이더 부분을 연결하고 테이프의 후단부와 다른 리이더부분을 카세트내로 권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에 있어서, 테이프권취장치가 회전출력축을 갖는 전기모우터, 일측단부가 카세트의 스풀에 결합되는 권취스핀들, 상기 스핀들이 상기 출력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동안 상기 출력축의 회전을 상기 스핀들에 전달하도록 배설된 상기 출력축과 상기 스핀들 사이를 신축연결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스핀들의 회전에 간섭하지 않고 스핀들을 제1방향 또는 제2의 대향측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케 하기 위한 선택적인 작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카세트로딩장치.
  9. 청구범위 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모우터를 위한 고정지지체와 상기 스핀들의 회전 및 왕복운동을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바의 장치.
  10. 청구범위 9항에 있어서, 회전운동에 간섭함이 없이 상기 스핀들에 축방향의 왕복운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스핀들에 결합된 요크와, 상기 작동부재와 동시에 상기 요크의 왕복운동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요크에 고정된 왕복운동부재를 갖는 상기 지지수단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착설된 압축공기 수단을 갖는 바의 장치.
  11. 청구범위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연결을 위한 수단이 출력축에 착설되고 축방향의 슬로트가 형성되어 이에 상기 출력축에 의한 스핀들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스핀들상에 있는 핀이 결합되는 중공형 슬리이브로 구성되는 바의 장치.
  12.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일측단부가 양분되어 상기 스핀들의 주연요구에 결합되는 바의 장치.
  13. 청구범위 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수단이 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수단이 피스턴롯드로 구성되는 바의 장치.
  14. 자동카세트 테이프로딩장치를 위한 권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가 회전축을 갖는 전기모우터, 일측단부가 카세트에 결합되는 권취스핀들, 전기모우터를 위한 고정지지체와 상기 스핀들의 회전 및 축방향 왕복운동을 위한 지지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정될 수 있게된 지지수단, 상기 출력축에 대하여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 왕복운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스핀들이 상기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배설된 상기 출력축과 스핀들 사이의 신축연결을 위한 수단과, 회전에 간섭함이 없이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 왕복운동을 위하여 상기 지지수단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착설된 선택적인 작동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장치.
  15. 청구범위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가 서보모우터인 바의 권취장치.
  16.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신축연결을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출력축에 착설되고 상기 스핀들을 활동 가능하게 둘러싸고 있는 슬리이브, 이 슬리이브에 형성된 슬로트와, 슬리이브에 의하여 상기 스핀들이 회전될 수 있도록 스핀들을 슬리이브에 결합하기 위하여 슬로트에 연장되는 상기 스핀들상의 방사상돌출부로 구성되는 바의 권취장치.
  17. 청구범위 1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이 상기 지지수단에 착설되고 상기 스핀들에 연결되는 피스턴 롯드를 갖는 바의 권취장치.
  18. 청구범위 17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턴 롯드가 상기 스핀들의 요구로 양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피스턴롯드의 왕복운동에 따라서 상기 중공형 슬리이브내에서 상기 스핀들이 왕복운동 되게 하는 요크로 상기 스핀들에 결합된 바의 권취장치.
KR1019850006650A 1984-09-24 1985-09-11 왕복 권취스핀들을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 KR9400036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3,292 1984-09-24
US06/653,292 US4602748A (en) 1984-09-24 1984-09-24 Automatic cassette loading machine with a reciprocating takeup spi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806A KR860002806A (ko) 1986-04-30
KR940003676B1 true KR940003676B1 (ko) 1994-04-25

Family

ID=2462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650A KR940003676B1 (ko) 1984-09-24 1985-09-11 왕복 권취스핀들을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02748A (ko)
JP (1) JPS6194286A (ko)
KR (1) KR940003676B1 (ko)
DE (1) DE3533027A1 (ko)
GB (1) GB2164632B (ko)
IT (1) IT11820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2663B (it) * 1987-03-10 1989-02-09 Luciano Perego Apparecchiatura e procedimento per l'avvolgimento di nastri in cassette,particolarmente per nastri magnetici
IT1227822B (it) * 1988-12-29 1991-05-07 Tapematic Spa Impianto e sistema per caricare nastro su cassette a flusso ininterrotto e con alimentazione e scarico in continuo
JPH0648593B2 (ja) * 1990-06-14 1994-06-22 オタリ株式会社 磁気テープ巻き込み装置および磁気テープ巻き込み方法
JPH05182408A (ja) * 1991-12-27 1993-07-23 Otari Kk 巻き取り装置及び巻き取り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7154A (en) * 1969-07-31 1972-01-25 Francis B Northup Winding machine
US3712553A (en) * 1971-03-19 1973-01-23 Kahle Eng Co Film scroll winding machine
US3902515A (en) * 1973-05-03 1975-09-02 Dart Ind Inc Pressure relief arrangement for a high pressure system
US3997123A (en) * 1974-12-23 1976-12-14 King Instrument Corporation Automatic cassette loading machine
JPS51115811A (en) * 1975-04-04 1976-10-12 Tdk Corp Automatic magnetic tape winding device
US4061286A (en) * 1976-06-14 1977-12-06 King Instrument Corporation Automatic cassette loader
DE2834598A1 (de) * 1977-08-08 1979-02-22 Decca Ltd Automatische wickelmaschine fuer band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64632B (en) 1987-07-15
JPS6194286A (ja) 1986-05-13
KR860002806A (ko) 1986-04-30
GB2164632A (en) 1986-03-26
IT1182075B (it) 1987-09-30
IT8548578A0 (it) 1985-09-20
GB8522018D0 (en) 1985-10-09
US4602748A (en) 1986-07-29
DE3533027A1 (de) 1986-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48748B2 (ja) フイルム包装方法
KR940003676B1 (ko) 왕복 권취스핀들을 갖는 자동카세트 로딩장치
GB1446743A (en) Splicing head assembly
KR940001246B1 (ko) 테이프 카트리지 로딩/비로딩 장치
FI76285B (fi) Foerbaettrat matade faergbandsfodral.
JPS5923238Y2 (ja) 操作切換装置
US4133498A (en) Drive device for a tape recorder
JPS5816256B2 (ja) テ−プカセツトノ テ−プマキソウチ
JPH0834023B2 (ja) 磁気テープ駆動装置
KR960009886B1 (ko) 자기테이프 감는 장치 및 방법
US2982488A (en) Magnetic wire recording
JP2001358029A (ja) 巻線機
JPS62181412A (ja) 巻線装置
JP4079290B2 (ja) ビーム軸把持装置
JPH09188475A (ja) 釣糸巻取装置
JPH0538510Y2 (ko)
JP2563005Y2 (ja) フイルム等の巻取装置
KR870000442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S6235161Y2 (ko)
JPH0422310B2 (ko)
JPS583804Y2 (ja) コンデンサ素子等の巻取り装置
KR0125453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테이프 로딩기구
JPH04168646A (ja)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JPH1040947A (ja) バッテリー素子巻取機
JPH05210895A (ja) イマージェンシーイジェク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