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62B1 - 광 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 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062B1
KR940002062B1 KR1019910017973A KR910017973A KR940002062B1 KR 940002062 B1 KR940002062 B1 KR 940002062B1 KR 1019910017973 A KR1019910017973 A KR 1019910017973A KR 910017973 A KR910017973 A KR 910017973A KR 940002062 B1 KR940002062 B1 KR 940002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gas
gas burner
manufacturing
fib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937A (ko
Inventor
히로시 스가누마
히로아끼 타키모토
히로시 요꼬타
마스미 후꾸마
카즈히꼬 아리모또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크라우찌 노리타카
스미뎅오프고무 가부시기가이샤
미도리카와 아끼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482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9230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351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903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32351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90305A/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크라우찌 노리타카, 스미뎅오프고무 가부시기가이샤, 미도리카와 아끼라 filed Critical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56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formed or shaped by thermal heating means, e.g. splitting, branching and/or combin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2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lateral coupling between contiguous fibre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 G02B6/28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lateral coupling between contiguous fibres to split or combine optical signals formed or shaped by thermal treatment, e.g. coup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 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스버어너의 변형인 가스버어너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가스버어너를 이용해서 얻은 광파이버의 신장된 일체형의 유리부분의 테이퍼부를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제3도의 종래의 가스버어너를 이용해서 얻은 광파이버의 신장된 일체형의 유리부분의 테이퍼부를 도시한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가스버어너의 변형인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9a도 내지 제9c도는 각각 제8도의 가스버어너의 제1 내지 제3변형인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의 가스버어너를 이용해서 얻은 광파이버의 신장된 일체형의 유리부분의 테이퍼부를 도시한 그래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12a도 내지 제12c도는 각각 제11도의 가스버어너의 제1 내지 제3변형인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제11도와 유사한 사시도.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각각 제13도의 가스버어너의 제1 내지 제3변형인 가스버어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광파이버 1a, 2a : 유리부분
1b, 2b : 피복층 3a∼3e, 5a∼5n, 15, 25 : 가스노즐
10, 10', 20, 20', 3, 30', 30", 30'", 40, 40', 40", 40'", 50, 50', 50", 50'" : 가스버어너
30A, 40A, 50A : 편평한 상부면 30B, 40B, 50B : 오목 형상의 편평한 상부면
30C, 40C, 50C : 경사진 상부면 30D, 40D, 50D :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통신, 광측량법등에 사용되는 광파이버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서로 용융결합하여 신장시킨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통신 시스템이나 광데이터 연결망을 구축하는 경우, 광원으로부터 전달된 광신호를 소정비로 분배하는 광방향 커플러는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광방향 커플러의 일례로서는 광파이버커플러가 있다. 통상, 광파이버커플러는, 복수개의 광파이버를 꼬거나 평행하게 배열한 후, 아세틸렌 가스버어너등의 열원을 사용해서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서로 일체형으로 용융결합시킨 다음, 일체형 유리부분을 더욱 가열하여 일정한 장력하에서 테이퍼형상으로 되도록 신장시키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4-21405호 공보에 개시된 공지의 방법에 있어서는, 한쌍의 클램퍼로 고정된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열원으로서 작용하는 가스버어너로 가열하여 상호 용융 결합시켜 신장시키는 경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일의 가스노즐(7)을 가진 가스버어너(6)를 광파이버의 측방향과 평행하게 왕복운동시킨다. 이것은 우수한 특성을 가진 광파이버커플러를 얻기 위하여,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약 5㎜의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가열하여 서로 용융결합시켜 신장시켜야 하기 때문이나, 이러한 공지의 방법에는 다음의 2가지 결점이 있다. 즉,
(1) 가스버어너(6)의 왕복운동은 유리부분의 일단부에서 정지한 후, 유리부분의 타단부쪽으로 기동하므로, 유리부분의 대향단부의 가열기간이 비교적 길어져 유리부분의 대향단부의 가열온도는 유리부분의 나머지 부분보다 높아진다. 따라서, 용융결합공정에 있어서는,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의 결합도가 유리부분의 대향단부에서만 상승하고, 반면, 신장공정에서는, 유리부분의 대향단부만이 충분하게 신장되므로, 신장된 유리부분의 형상은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어, 우수한 특성의 광파이버커플러를 재현성좋게 생산할 수 없다.
(2) 신장공정중에, 유리부분은 일정한 장력하에서 가열되어 신장되나, 장력이 변화하거나, 불꽃의 휘날림에 의해서 가열온도가 변하는 등의 현상이 신장공정중에 발생하면, 이러한 변화의 발생시 가스버어너(6)에 의해 가열되는 유리부분에만 기타나머지 유리부분에 비해서 신장속도가 변화한다. 따라서, 신장된 유리부분의 형상이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불균일하게 되어, 우수한 특성을 가진 광파이버커플러를 재현성 좋게 생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동안 가스버어너의 이동을 제거하여 이러한 가스버어너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므로써, 가열을 안정하게 수행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광파이버커플러를 재현성 좋게 생산할 수 있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열하여 서로 용융결합한 후, 더욱 가열하여 신장시켜 광파이버 커플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스버어너는 열원으로서 작용하며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가스노즐을 구비하여 유리부분을 가열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가스버어너용 연소가스로는 프로판, 산소와 아세탈렌의 혼합물, 산소와 수소의 혼합물, 산소등을 사용 할수 있다.
제3도에 표시한 종래의 가스버어너(6)에 있어서, 단지 1개의 가스노즐(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의 가열면적이 좁아, 2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스버어너(6)를 왕복시키지 않고 가스버어너(6)로 가열하면, 신장될 일체형 유리부분의 길이가 부족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광파이버커플러를 얻을 수 없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가스노즐을 갖은 가스버어너를 사용하므로, 유리부분의 전제가열영역을, 위치가 고정된 가스버어너로 균일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특성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우선,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가스버어너(10)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상호 평행하게 뻗어있는 광파이버(1), (2)의 유리부분(1a), (2a)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으로서 가능하는 가스버어너(10)에는, 복수개의 가스노즐(3a), (3b), (3c), (3d), (3e)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가스버어너(10)는 유리부분(1a), (2a)을 용융결합하도록 유립부분(1a), (1b)을 가열하는 것뿐만아니라 유리부분(1a), (2a)을 신장하도록 유리부분(1a), (2a)을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유리부분(1a), (2a)은 각각의 광파이버(1), (2)로부터 피복층(1b), (2b)을 부분적으로 제거하므로써 얻어진다. 가스노즐(3a)∼(3e)은 광파이버(1), (2)의 측방향과 평행하게 뻗은 선상에 배열되어 있으므로, 유리부분(1a), (2a)의 긴 길이를 위치가 고정된 가스버어너(10)로 가열할 수 있다. 한편, 가스버어너(10)에는 프로판, 산소와 아세틸렌의 혼합물, 산소와 수소의 혼합물 등을 연소가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2도에는 가스버어너(10)의 변형인 가스버어너(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가스버어너(10')는 2열의 노즐(5a)∼(5g), (5h)-(5n)을 구비하고 있다. 가스버어너(10')의 일례에 있어서, 가스버어너(10')는 전체길이가 10㎜, 각 가스노즐(5a)-(5h)의 직경은 0.5㎜이며, 이 가스노즐(5a)∼(5h)의 각 열에 있어서 가스노즐(5a)-(5g) 또는 (5h)∼(5n)의 간격은 1.0㎜이다.
이하, 가스버어너(10')를 사용하여 광파이버커플러를 제조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광파이버(1), (2)로서는 2개의 단일모우드 광파이버를 사용하며, 각 광파이버로부터 약 30㎜ 길이에 결쳐서 피복층을 제거하여 각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얻은 후,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유리부분을 고정시킨다. 그후, 가스버어너(10')로 유지부분을 2동안 가열하여 서로 일체로 용융결합시킨다. 이때, 연소가스로서는 각각 110cc/min 및 55cc/min의 유속으로 산소 및 프로판가스를 사용한다. 다음의 신장공정에서는, 일체형의 유리부분을 사이에 삽입한 광파이버의 대향부분에 3g의 장력을 가하면서, 일체형 유리부분을 가스버어너(10')로 재가열하여 신장시킨다. 그후, 2개의 광파이버의 일단부에 광원으로부터 광을 조사한다. 이때 파장 1.3㎛인 레이저다이오우드를 광원으로서 사용한다. 2개의 광파이버의 타단부로부터 방출된 광을 감시하면서 일체형 유리부분을 신장시킨다. 그래서, 광파이버의 일단부와 광파이버의 타단부에 의해 방출된 광의 세기가 일치할 때, 일체형 유리부분의 신장공정은 종결된다.
이상 설명한 제조방법에 의해서 50개의 광파이버커플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각 광파이버커플러는 커플링비가 50±1%, 초과손실이 0.2㏈ 이하이었다. 각 광파이버커플러의 신장된 일체형 유리부분의 모양을 측정한 결과,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불균일한 부분이 없는 매끈한 테이퍼부를 재현성이 현저하게 높게 얻을 수 있다.
비교예로서, 제3도에 도시한 종래의 가스버어너를 10㎜ 스트로우크로 왕복이동시키면서 50개의 광파이버커플러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각 광파이버 커플링비가 50±5%이었으나, 초과손실은 0.10에서 0.80㏈까지 크게 변동하였으며, 각 광파이버커플러의 신장된 일체형 유리부분의 모양을 측정한 결과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불균일한 테이퍼부를 얻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2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서로 균일하게 일체적으로 용융결합하여, 우수한 형상의 광파이버의 신장된 일체형 유리 부분을 재현성이 현저하게 높게 얻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특성을 가진 광파이버커플러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제조방법에 사용된 가스버어너(20)를 도시한 것이다. 이 가스버어너(20)는 광파이버(1), (2)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릿형가스노즐(15)을 가지고 있다.
광파이버(1), (2)의 유리부분(1a), (2a)을 가열하는 동안, 가스버어너(20)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변형된 가스버어너(20')에 있어서는, 복수개 예를 들면 3개의 가스노즐(15)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노즐(15)의 폭이 0.2㎜, 길이가 10㎜인 제6도의 가스버어너(20)를 사용하여 광파이버커플러를 제조하였으며, 광파이버(1), (2)로서는 2개의 단일 모우드 광파이버를 사용하였다. 각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얻기 위하여 각 광파이버로부터 길이 약 30㎜에 결쳐서 피복층을 제거한 후, 유리부분을 서로 평행하게 내리뻗도록 고정하고나서, 가스버어너(20)로 유리부분을 1분동안 가열하여 서로 일체적으로 용융결합시킨다. 이때, 연소가스로서는 산소 및 프로판가스를 각각 130cc/min 및 65cc/min의 유량으로 사용한다. 그후, 각각 사이에 유리부분이 끼어있는 광파이버의 대향부에 3g의 장력을 가하면서, 가스버어너(20)로 다시 일체형 유리부분을 가열하여 신장시킨 후, 2개의 광파이버의 일단부에 레이저다이오우드로부터 광을 도입시킨다. 2개의 광파이버의 타단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감시하면서, 일체형 유리부분을 신장하고, 한쪽 광파이버와 다른 쪽 광파이버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세기가 일치할때, 일체형 유리부분의 신장을 종결한다.
이상 설명한 제조방법으로 100개의 광파이버커플러를 제조하여, 각 광파이버커플러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커플링비가 50±1%, 초과손실이 0.2㏈ 이하인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각 광파이버커플러의 신장된 일체형 유리부분의 모양을 측정한 결과,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불균일한 부분의 없는 테이퍼형상을 재현성이 현저하게 우수하게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2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서로 균일하게 일체적으로 용융결합하여, 광파이버의 신장된 일체형 유리부분은 재현성이 현저하게 높은, 우수한 형상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광파이버플러를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대략 U자형의 가스버어너(30)를 도시한 것이다. 이 가스버어너(30)는 광파이버(1), (2)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선상에 배열된 복수개의 가스 노즐(25)을 가지고 있다. 가스버어너(39)의 대향단부에는 한쌍의 편평한 상부면(30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스버어너(30)의 중앙부에는 편평한 상부면(30A) 사이에 배치되도록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30B)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30B)은 유리부분(1a), (2a)에 비해서 편평한 상부면(30A)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스노즐(25)은 편평한 상부면(30A) 및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30B)상에 각각 장착된 가스노즐(25a), (25b)을 포함하며,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30B)상에 있는 가스노즐(25b)은 편평한 상부면(30A)상에 있는 가스노즐(25a)보다 유리부분(1a), (2a)으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있다. 가스버어너(30)는 복수개의 가스노즐(25)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리부분(1a), (2a)을 가열하는 동안 가스버어너(30)의 위치는 고정된다.
제9a도, 제9b도 및 제9c도는 각각 가스버어너(30)의 제1, 제2 및 제3변형인 가스버어너(30'), (30") 및 (30'")를 도시한 것이다. 제9a도의 가스버어너(30')에서는, 버어너(30)의 한쌍의 편평한 상부면(30A)을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30B)쪽으로 기울어진 한쌍의 경사진 상부면(30C)으로 변경하고, 제9b도의 가스버어너(30")에서는,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면(30D)으로 하고, 제9c도의 가스버어너(30'")에서는 복수개 예를 들면 2열의 가스노즐(25)이 편평한 상부면(30A)과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30B)상에 형상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스버어너(30)를 사용하여 광파이버커플러를 제조하였다. 가스버어너의 전체길이는 18㎜, 각 가스노즐(25)의 직경은 0.3㎜이고, 1.5㎜ 간격으로 가스노즐(25)을 설치하였다. 대향하는 편평한 상부면(30A)상에 있는 가스노즐(25a)의 갯수는 6개, 중앙의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30B)상에 있는 가스노즐(25b)의 갯수는 5개로서, 가스노즐(25)은 모두 11개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6도의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제조조건을 설정해서 100개의 광파이버커플러를 제조하였다. 광파이버커플러의 특성을 평가한 결과, 각 광파이버는 커플링비가 50±1%, 초과손실비가 0.10㏈ 이하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각 광파이버커플러의 신장된 일체형 유리부분의 형상을 측정한 결과,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균일한 부분이 없는 매끈한 테이퍼형상이 재현성이 극히 양호하게 얻어졌다. 가스버어너(30)의 형상은 대략 U자형이므로, 가스버어너(30)의 온도분포는 제1도 및 제6도의 가스버어너(10) 및 (20)보다 더욱 균일하여, 가스버어너(30)의 성능은 가스버어너(10), (20)보다 더욱 우수하였다. 따라서, 가스버어너(30)에 의해 얻어진 신장된 일체형 유리부분의 테이퍼부(제10도 참조)는 가스버어너(10), (20)에 의해 얻어진 것(제4도 참조)보다 완만하였다.
그 결과, 가스버어너(30)에 의해 얻어진 광파이버커플러의 광손실은 가스버어너(10), (20)에 의해 얻어진 것보다 저감되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2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이 서로 균일하게 일체적으로 용융결합되어 광파이버의 신장된 일체형 유리부분은 재현성이 현저하게 양호한 우수한 형상을 가졌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광파이버를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대략 U자형상의 가스버어너(40)를 도시한 것이고, 제12a도 내지 제12c도는 각각 가스버어너(40)의 제1, 제2 및 제3변형인 가스버어너(40'), (40") 및 (40'")를 도시한 것이다. 가스버어너(40), (40'), (40"), (40'")는 각각 가스버어너(30)(제8도), (30'), (30"), (30'") (제9a도 내지 제9c도)와 마찬가지이며, 각각 가스버어너(30), (30'), (30"), (30'")의 버어너몸체와 동일하다. 가스버어너(40), (40'), (40"), (40'")에 있어서, 제8도의 가스노즐(25)을 슬릿형상의 가스노즐(15) (제6도)로 변경하였다. 가스버어너(40) 및 (40') 내지 (40'")의 기타구성은 각각 가스버어너(30) 및 (30') 내지 (30'")와 마찬가지로 하였으므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광파이버커플러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광파이버커플러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정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대략 U자형상의 가스버어너(50)를 도시한 것이고,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각각 가스버어너(50)의 제1 내지 제3변형인 가스버어너(50') 내지(50'")를 도시한 것이다. 각 가스버어너(50) 및 (50') 내지 (50'")는 가스버어너(40) 및 (40') 내지 (40'")와 마찬가지이며, 가스버어너(40) 및 (40') 내지 (40'") 즉, 가스버어너(30) 및 (30') 내지 (30'")의 버어너몸체와 동일하다. 가스버어너(50) 및 (50') 내지 (50'")에 있어서, 슬릿형 가스노즐(15)은 한쌍의 대향 슬릿형 가스노즐(15a)과 중앙의 슬릿형 가스노즐(15b)로 분리되어 있다. 가스버어너(50) 및 (50') 내지 (50'")의 기타구성은 가스버어너(40) 및 (40') 내지 (40'")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우수한 특성을 가진 광파이버 커플러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전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각종 수정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Claims (19)

  1.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서로 용융결합한 후, 가열해서 신장시키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원으로서 작용하며 유리부분을 가열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되도록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가스노즐을 가지는 가스버어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가,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열의 가스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3.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서로 일체로 용융결합한 후, 일체형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신장시키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열원으로서 작용하며 유리부분을 가열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되도록 광파이버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슬릿형 가스노즐을 가지는 가스버어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가,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복수열의 가스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5.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서로 일체적으로 용융결합한 후, 일체형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신장시키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열수단으로서 작용하며 유리부분을 가열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되도록 광파이버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가스노즐을 가지는 가스버어너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노즐은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 배치된 제1가스노즐과, 제1가스 노즐보다 유리부분으로부터 보다 떨어져서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가스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는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평한 상부면 또는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상에는 제1 및 제2가스노즐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는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는 각각 편평한 상부면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한쌍의 경사진 상부면이 형성되어, 경사진 상부면 및 편평한 상부면상에 제1 및 제2가스노즐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에는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 면상에 가스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는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복수열의 가스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0.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서로 일체적으로 용융결합한 후, 이 일체형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신장시키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열수단으로서 작용하며 유리부분의 가열동안 위치가 고정되도록 광파이버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릿형 가스노즐을 가지는 가스버어너를 구비하고,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 배치된 가스노즐은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 배치된 가스노즐보다 유리부분으로부터 보다 떨어져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는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평한 상부면 및 오목형상의 상부면상에 가스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는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는 각각 편평한 상부면을 향해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한쌍의 경사진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진 상부면 및 편평한 상부면상에 가스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에는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면상에 가스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는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복수열의 가스노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5.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광파이버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서로 일체적으로 용융결합한 후, 이 일체형의 유리부분을 가열해서 신장시키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열수단으로서 작용하며, 유리부분을 가열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되도록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한쌍의 제1슬릿형 가스노즐 및 제2슬릿형 가스노즐을 가지는 가스버어너를 구비하고, 제1슬릿형 가스노즐을 각각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 배치되는 반면, 제2슬릿형 가스노즐은 제1슬릿형 가스노즐보다 유리부분으로부터 보다 떨어져서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는 각각 한쌍의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는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평한 상부면 및 오목형상의 편평한 상부면상에는 각각 제1슬릿형 가스노즐 및 제2슬릿형 가스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의 중앙부에는 편평한 상부면이 형성되고, 가스버어너의 대향단부에는 각각 편평한 상부면을 행해서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한쌍의 경사진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진 상부면 및 편평한 상부면상에는 각각 제1슬릿형 가스노즐 및 제2슬릿형 가스노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에는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한 활형상의 상부면상에는 제1슬릿형 가스노즐 및 제2슬릿형 가스노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가스버어너는 광파이버의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있는 복수열의 제1슬릿형 가스노즐 및 제2슬릿형 가스노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KR1019910017973A 1990-10-12 1991-10-12 광 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KR940002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482590A JP2923029B2 (ja) 1990-10-12 1990-10-12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90-274825 1990-10-12
JP2323516A JPH04190304A (ja) 1990-11-26 1990-11-26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90-323516 1990-11-26
JP90-323517 1990-11-26
JP2323517A JPH04190305A (ja) 1990-11-26 1990-11-26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937A KR920007937A (ko) 1992-05-27
KR940002062B1 true KR940002062B1 (ko) 1994-03-16

Family

ID=2733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7973A KR940002062B1 (ko) 1990-10-12 1991-10-12 광 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05851A (ko)
EP (1) EP0480453B1 (ko)
KR (1) KR940002062B1 (ko)
CN (1) CN1037028C (ko)
AU (1) AU640049B2 (ko)
CA (1) CA2052540C (ko)
DE (1) DE69125681T2 (ko)
ES (1) ES2103290T3 (ko)
TW (1) TW30992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70B1 (ko) * 2008-10-07 2010-10-26 에프엔엔(주) 비대칭 광섬유 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9800D0 (en) * 1989-09-01 1989-10-18 British Telecomm Fabrication of fused fibre devices
US5322228A (en) * 1991-05-20 1994-06-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Inc. Method for screening optical fiber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method
US5417734A (en) * 1992-11-05 1995-05-23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ber couplers using rectifier rods to provide even heat distribution
US5935288A (en) * 1997-12-29 1999-08-10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roducing fused fiber bundles
KR100277358B1 (ko) * 1998-06-25 2001-01-15 윤종용 화학기상증착방법에 의한 광섬유모재 제조장치 및 방법
DE19905789B4 (de) * 1999-02-12 2004-11-04 Robert Bosch Gmbh Atmosphärischer Gasbrenner sowie Gasverteilervorrichtung für einen Gasbrenner
US6741774B2 (en) * 2002-06-04 2004-05-25 Gould Fiber Optics, Inc. Fiber optic device with enhanced resistanc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ethod
US6865322B2 (en) * 2002-06-04 2005-03-08 Goi Acquisitions Llc Fiber optic device with enhanced resistanc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ethod
US20040114886A1 (en) * 2002-12-12 2004-06-17 Fitel Usa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optical fiber splice loss
WO2012099883A1 (en) * 2011-01-19 2012-07-26 3Sae Technologies, Inc. Multi-stage fib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028158B2 (en) 2007-02-07 2015-05-12 3Sae Technologies, Inc. Multi-stage fib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R201900380T4 (tr) 2011-01-14 2019-02-21 3Sae Tech Inc Termal mekanik difüzyon sistemi ve yöntemi.
CN102866460A (zh) * 2011-07-05 2013-01-09 湖南大学校产学协力团 塑料光纤耦合器的制造方法及装置
DE102011080202A1 (de) * 2011-08-01 2013-02-07 Gebr. Schmid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ünnen Schichten
CN103076653B (zh) * 2013-01-11 2014-12-31 暨南大学 一种光子晶体光纤耦合器的制作方法
CN106019478B (zh) * 2016-05-12 2019-07-23 西安交通大学 高灵敏度熔锥耦合型微纳光纤超声检测系统及其耦合器制作方法
CN107228363A (zh) * 2017-06-09 2017-10-03 广东省智能机器人研究院 一种用于光纤熔融的热源面积可调节的火头装置
CN110542949B (zh) * 2019-09-20 2020-11-06 光越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硅光波导连接和耦合的光纤制作方法及加热装置
CN112748495B (zh) * 2021-02-03 2022-05-20 厦门大学 一种制备低损耗高强度锥形光纤的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249463A (fr) * 1959-11-16 1960-11-21 Dispositif automoteur d'épandage des fumiers et analogues
FR1279463A (fr) * 1960-11-10 1961-12-22 Perfectionnements aux brûleurs à gaz pour le travail du verre
JPS53114927A (en) * 1977-03-11 1978-10-06 Nitto Boseki Co Ltd Air nozzles for blowing air flows on the orifice plate of glass fiber spinning furnaces
NL7920045A (nl) * 1978-08-18 1980-06-30 Western Electric Co Vervaardiging van optische vezels onder toepassing van thermoforetische afzetting van glas voorloper deeltjes.
DE2935347A1 (de) * 1979-08-31 1981-03-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 fuer glasfaserlichtwellenleiter geringer daempfung
DE3400710A1 (de) * 1984-01-11 1985-07-1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Gasbrenner zum aeusseren beheizen von glaskoerpern
US4682994A (en) * 1985-12-16 1987-07-28 Polaroid Corpor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optical fiber preform
US4763272A (en) * 1987-03-29 1988-08-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utomated and computer controlled precision method of fused elongated optical fiber coupler fabrication
JPS6421405A (en) * 1987-07-17 1989-01-24 Japan Aviation Electron Manufacturing device for optical fiber coupler
US4997247A (en) * 1987-09-17 1991-03-05 Aster Corporation Fiber optic coupl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GB8810907D0 (en) * 1988-05-09 1988-06-15 British Telecomm Fluoride glass optical coupler & method of manufacture
JPH087295B2 (ja) * 1988-07-13 1996-01-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分岐結合器の製造方法
JPH02118606A (ja) * 1988-10-28 1990-05-02 Sumitomo Electric Ind Ltd ファイバ形カプラの製造方法
US5046804A (en) * 1988-11-21 1991-09-10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ber type coupler
US5030265A (en) * 1989-05-09 1991-07-09 Fujikura Ltd. Optical fiber coupler manufactur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670B1 (ko) * 2008-10-07 2010-10-26 에프엔엔(주) 비대칭 광섬유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9926U (en) 1997-07-01
DE69125681T2 (de) 1997-09-11
CA2052540C (en) 2000-10-31
US5205851A (en) 1993-04-27
AU8487391A (en) 1992-04-16
KR920007937A (ko) 1992-05-27
ES2103290T3 (es) 1997-09-16
CA2052540A1 (en) 1992-04-13
CN1062980A (zh) 1992-07-22
AU640049B2 (en) 1993-08-12
CN1037028C (zh) 1998-01-14
DE69125681D1 (de) 1997-05-22
EP0480453B1 (en) 1997-04-16
EP0480453A2 (en) 1992-04-15
EP0480453A3 (en) 1992-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062B1 (ko) 광 파이버커플러의 제조방법
KR100822953B1 (ko) 광 도파관 렌즈 및 그 제조방법
US6078716A (en) Thermally expanded multiple core fiber
US69390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fusion spliced portion of optical fibers and optical fiber array
US20040047575A1 (en) Optical collimator for monomode fibres, monomode fibre with integrated collimator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S6261013A (ja) 楕円レンズを有する光ファイバと製造方法
JP2923029B2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H04190305A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S6145203A (ja) 光フアイバ融着接続装置
JP3101958B2 (ja) 広帯域カップ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31610B2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H026909A (ja) 光分配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428168B2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H04190304A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H03203705A (ja) 光フアイバカプラの製造装置
JP2002189142A (ja) 光ファイバ加熱装置及び光ファイバ接続方法
JPH03211511A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S6398607A (ja) 光導波路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48461A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H0756048A (ja) 光ファイバカプ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38609A (ja) ファイバ形カプラの製造装置
JP2003337252A (ja) 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H05150119A (ja) 光固定減衰器
JPH07104143A (ja) 3分岐光ファイバカプラの製造方法
JPH0651153A (ja) 光分岐・結合器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