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02B1 - 기록장치를 가진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서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록장치를 가진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서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002B1
KR940002002B1 KR1019900011423A KR900011423A KR940002002B1 KR 940002002 B1 KR940002002 B1 KR 940002002B1 KR 1019900011423 A KR1019900011423 A KR 1019900011423A KR 900011423 A KR900011423 A KR 900011423A KR 940002002 B1 KR940002002 B1 KR 940002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offset
signal
target track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630A (ko
Inventor
히로유키 간다
야스마사 가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5/59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track following on disks
    • G11B5/59627Aligning for runout, eccentricity or offset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0Track finding or aligning by moving the head ; Provisions for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head relative to the track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e. track following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To Find And Align With The Track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장치를 가진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서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서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동 실시예에 관한 HDD의 캐리지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동 실시예에 관한 서보 시스템의 적분회로와 그 주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속도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제5도는 동 실시예의 적분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리지 11 : VCM
12 : 헤드 20 : 위치 변환기
21 : 실린더 펄스발생기 22, 23 : CPU
23 : D/A 콘버터 24 : 속도 검출기
26, 29, 32, 35 : 스위칭회로 27 : 모터 구동회로
34 : 전하 발생기
본 발명은 기록매체의 목표 트랙에 리이드/라이트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서보시스템으로서, 특히 하드 디스크 장치에 사용되는 서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드디스크 장치(HDD)에서는 헤드가 기록 매체인 디스크의 목표 트랙(목표 실린더)까지 이동하고, 그 목표 트랙에 대하여 데이타의 리이드/라이트를 행한다. 서보시스템은 헤드를 디스크의 목표 트랙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제어동작을 실행한다. 서보시스템의 위치 결정 제어동작에는 속도 제어동작, 과도제어 동작(정지 제어동작) 및 위치 제어동작이 있다.
속도 제어 동작은 헤드가 현재 위치에서 목표 트랙까지의 거리에 따른 목표속도에 추종하도록 헤드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동작이다. 위치 제어동작은 속도 제어동작에 의하여 목표 트랙까지 이동한 헤드를 목표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하기위한 동작이다. 과도 제어동작은 속도 제어 동작에서 위치 제어동작으로 이행할때에, 헤드의 상태를 안정화하기 위한 동작이다.
서보 시스템은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서보데이타(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크상의 헤드의 현재위치(현재 트랙)를 검출하고 이 현재위치에 따라 위치결정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서보 데이타는 디스크의 서보면에 기록되어 있다. 서보 시스템에는 위치제어 동작시에 디스크의 데이타면에 기록된 삽입 서보데이타를 이용하는 방식도 있다.
헤드는 서보면에 대응하는 단일의 서보 헤드 및 데이타면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타 헤드의 2종류가 있다. 서보헤드는 서보면에서 서보데이타를 독출하고 위치 신호 생성회로인 위치 변환 회로에 출력한다. 위치변환 회로는 헤드의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서보헤드 및 각 데이타 헤드는 캐리지에 탑재되어 있고, 이 캐리지의 구동에 의하여 디스크의 반경방향으로 이동한다. 각 데이타 헤드는 서보시스템에 의하여 위치 결정제어되는 서보헤드에 추종하여 디스크의 목표 트랙까지 이동한다.
서보 시스템에서는 속도 제어 동작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CPU)가 위치 변환회로에서 출력되는 위치 신호에 의거하여 헤드(서보헤드)가 목표 트랙까지 이동하기 위하여 필요한 목표 속도를 산출한다. 한편 속도 검출회로는 위치변환회로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를 미분하고 헤드가 이동하고 있을 때의 실속도를 검출한다. 이 실 속도의 목표 속도와의 오차(전압 신호)가 캐리지를 구동시키기 위한 보이스 코일모터(VCM)의 구동전류로 변환된다. 이것에 의하여 캐리지는 목표 속도로 구동하도록 제어되어서 헤드를 목표 트랙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속도 제어 동작에 의하여 헤드가 목표 트랙의 1 트랙앞의 위치 근방까지 이동하면 서보 시스템에서는 속도 제어 동작에서 과도 제어동작으로 이동한다. 과도 제어 동작에서는 속도 검출회로에서 출력되는 속도 신호와 위치 변환회로에서 위치신호를 가산하고 이 가산결과가 VCM의 구동전류에 변환된다. 과도 제어 동작에 의하여 헤드는 안정적으로 목표 트랙 상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서보시스템에서는 과도 제어동작에서 위치제어 동작으로 이행한다. 위치 제어 동작에서는 위치 신호가 0이 되도록 부귀한(negative feedback)동작이 실행되어서 헤드가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된다.
위치 제어동작에서는 디스크의 회전변동에 의하여 헤드가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될 때에 오프 세트(off set)가 발생하며 헤드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있다. 이 오프세트를 해소하기 위하여 위치 신호를 적분(지역 적분동작)하는 적분회로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적분회로에 의하여 적분된 위치신호는 위상 보상회로에 의하여 위상보상 되어서 VCM의 구동전류로 변환된다. 위상 보상회로는 노치 필터(notch filter)등의 필터로 구성되고 캐리지 등의 기계계의 공진점을 억제하며, 위상 지연에 의한 발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있다.
서보 시스템의 위치 제어동작에서는 디스크의 회전 변동에 의한 오프세트를 해소하기 위하여 적분회로가 위치 신호를 적분한다. 적분회로는 연산증폭기 및 저항, 콘덴서의 직렬회로로 이루어지고,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적분동작의 시간이 결정된다. 오프세트의 양은 헤드가 위치하는 목표 트랙에 따라 상이하다. 즉, 각 트랙을 디스크의 외주, 중간, 내주의 범위로 대별한 경우에, 각 범위마다 오프세트의 양은 상이하다. 이로 인하여 헤드가 위치하는 목표 트랙에 따라서 오프세트를 해소하기 위한 적분회로의 적분동작에 비교적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 적분 동작시에는 헤드가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되지 않고 불안정한 상태로 되어 있다. 서보 시스템은 헤드의 위치 제어가 종료한 후에 HDC(하드 디스크 콘트롤러)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시이크 종료의 지시를 부여한다. 따라서 위치 제어 동작시에 적분회로의 적분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에 수반하여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시이크 종료의 지시가 이루어지기 까지에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는 일이 있고 결과적으로 HDD에 대한 액세스 속도가 저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보시스템의 위치 제어 동작시에 오프세트를 해소하기 위한 적분회로의 적분동작의 시간을 단축화하여 목표 트랙에 대한 헤드의 위치결정 제어동작을 고속화하고, 결과적으로 HDD의 액세스의 고속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헤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서보 시스템에 있어서 속도 제어 동작시에 헤드의 위치 결정용의 서보 데이타가 미리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의 목표 트랙까지 상기 헤드를 이동하고, 위치 제어 동작시에 상기 헤드를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동 수단과, 상기 헤드가 상기 기록 매체에서 독출한 상기 서보 데이타에 의거하여 상기 헤드 구동 수단에 의하여 이동하는 상기 헤드의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변환 수단과, 상기 위치 제어 동작시에 상기 위치변환 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위치 신호를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적분하고, 상기 헤드를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할 때에 발생하는 오프세트를 해소하기 위한 적분회로 수단과, 상기 위치제어 동작시에 상기 적분회로 수단에서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상기 헤드 구동수단에 공급하는 신호 공급수단과, 상기 위치 제어 동작시에 상기 헤드를 상기 헤드를 상기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할 때에 상기 목표 트랙의 위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오프세트의 값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 레벨에 의하여 상기 적분 회로 수단의 상기 콘덴서를 충전하는 충전 제어수단을 지니는 시스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DD에서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서보헤드(12a) 및 복수의 데이타 헤드(12b)로 구성되는 헤드(12)가 캐리지(10)에 탑재되어 있다. 캐리지(10)는 보이스 코일모터(VCM) (11)에 의하여 구동되고 헤드(12)를 디스크(13)의 반경방향(화살표 A)으로 이동시킨다. 디스크(13)는 도시를 생략한 회전 구동용 모터에 의하여 회전운동된다. 서보헤드(12a)는 디스크(13)의 서보면(13a) 상을 시크하고 서보면(13a)에 미리 기록된 서보데이타를 독출한다. 각 데이터 헤드(12b)는 서보헤드(12a)에 추종하여 디스크(13)의 데이타면(13b)상을 시크하고 데이타면(13b)에 대하여 수요자가 사용하는 데이타를 리이드/라이트한다.
서보시스템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 변환 회로(20)가 서보헤드(12a)에서 출력되는 서보데이타를 위치 신호 Ps로 변환한다. 이 위치신호 Ps는 서보헤드(12a)가 서보면(13a)에서 현재 위치하는 현재트랙에 대응하는 신호이고 서보헤드(12a)가 트랙(서보트랙)의 중심에 위치할 때는 0으로 되는 신호이다. 실린더 펄스 발생회로(21)는 위치 변환 회로(20)에서의 위치 신호 Ps에 의거하여 영 클로스점에 동기한 실린더 펄스를 생성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CPU) (22)에 출력한다. CPU(22)는 실린더 펄스 발생회로(21)에서의 실린더 펄스를 카운트하고, 서보 헤드(12a)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즉, 서보헤드(12a)가 서보면(13a)의 트랙을 가로지를때 마다 실린더 펄스 발생회로(21)는 실린더 펄스를 출력한다.
CPU(22)는 실린더 펄스의 카운터 치에 의거하여 서보헤드(12a)의 현재 트랙에서 목표 트랙(목표 실린더)까지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이 이동거리에 다른 목표 속도를 산출한다. 목표 트랙은 도시를 생략한 HDC(hard disk controller)로 부터 CPU(22)에 주어진다. CPU(22)는 미리 준비된 목표 속도 테이블을 검색하고, 산출한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목표속도 데이타를 전압 신호(목표 속도 신호 TV)롤 변환한다.
속도 검출 회로(24)는 위치 변환 회로(20)에서 출력되는 위치신호 Ps를 미분하고 서보헤드(12a)의 이동시의 실속도에 대응하는 속도신호 VS를 생성한다. 연산증폭기로 구성되는 오차 검출기(25)는 D/A 콘버터(23)로 부터의 목표속도 신호 TV 및 속도 검출회로(24)로 부터의 속도신호 VS와의 속도 오차 신호를 출력한다. 제1의 스위칭 회로(26)는 속도 제어 동작시에 온동작하고 오차 검출기(25)로 부터의 속도 오차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27)에 출력한다. 모터 구동회로(27)는 속도 오차 신호인 전압 신호를 구동전류로 변환하고 이 구동전류를 VCM(11)에 공급하여 구동시킨다.
가산회로(28)는 속도 검출 회로(24)로 부터의 속도신호 VS와 위치 변환 회로(20)로 부터의 위치신호(Ps)를 가산한다. 제2스위칭 회로(29)는 과도제어 동작시에 온 동작하며 가산회로(28)로 부터의 가산결과인 전압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27)에 출력한다. 적분회로(30)는 위치 변환 회로(20)로 부터의 위치신호 PS를 적분하여 위상 보상 회로(PCC) (31)에 출력한다. PCC(31)는 노치 필터등의 필터로 구성된다. 제3의 스위칭회로(32)는 위치 제어 동작시에 동작하며, PCC(31)에서 출력되는 위치 신호 PS의 보상신호를 모터 구동회로(27)에 출력한다.
이와 같은 서보 시스템에 있어서 동실시예에서는 적분회로(30)의 콘덴서에 전하를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CPU) (33), 전하 발생회로(34) 및 제4의 스위칭 회로(35)가 설치되어 있다. CPU(33)는 오프 세트량에 따른 전압레벨치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한다. 전하 발생회로(34)는 CPU(34)는 CPU(33)로 부터의 데이타를 아날로그의 전압으로 변환한다. 제4의 스위칭회로(35)는 위치 제어 동작시에 온 동작하고, 전하 발생회로(34)에서 발생하는 전압을 적분회로(30)의 콘덴서에 공급하여 충전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적분회로(3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산증폭기(30a), 연산증폭기(30a)의 입출력 단자간에 접속된 저항(30b) 및 제1의 콘덴서(31a)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와 제1의 콘덴서(31a)에 병렬인 제2의 콘덴서(31b)를 갖추고 있다. 제4의 스위칭 회로(35)는 복수의 스위치 회로(35a∼35c)로 구성된다. 각 스위치 회로(35a∼35c)는 CPU(33)에서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 SW1∼SW3에 의하여 스위치 동작을 행한다. 스위치회로(35a, 35b)는 동시에 온/오프하고 스위치 회로(35c)가 온 동작시에는 동시에 오프상태이다. 스위치 회로(35c)에는 전하발생회로(34)에서 전압이 입력된다. 전하 발생 회로(34)는 CPU(33)으로 부터의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D/A 콘버터(34a)를 갖추고 있다. CPU(33)는 메모리(33a)에 미리 기억된 오프세트 테이블을 검색하고 오프세트량에 따른 전압 레벨치를 선택한다. 오프세트 테이블은 각 트랙을 디스크의 외주 중간, 내주의 범위로 대별한 경우에 각 범위 마다의 오프세트량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치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동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서보시스템에서는 호스트 컴퓨터로 부터 시이크 명령이 주어지면 최초에 속도 제어 동작이 실행된다. 속도 제어 동작시에는 제4도의 스텝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의 스위칭회로(26)는 온 동작하고 제2 및 제3의 스위칭회로(29, 32)는 오프상태이다. 속도제어 동작시에는 헤드(12)가 현재위치에서 목표 트랙까지 이동된다. 목표 트랙은 HDC에서 CPU(33)에 주어진다. 서보헤드(12a)는 디스크(18)의 서보면(13a)에서 미리 기록된 서보데이타를 독출한다. 위치 변환회로(20)는 서보헤드(12a)에서 출력되는 서보데이타를 위치 신호 PS로 변환한다.
속도 검출 회로(24)는 위치 변환 회로(20)로 부터의 위치 신호 PS를 미분하고, 서보헤드(12a)의 이동시의 실속도에 대응하는 속도신호 VS를 출력한다(스텝 2). 실린더 펄스 발생회로(21)는 서보헤드(12a)가 서보면(13a)의 트랙을 가로 지를때 마다, 실린더 펄스를 출력한다. CPU(22)는 실린더 펄스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치에 의거하여 서보헤드(12a)의 현재 트랙으로 부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CPU(22)는 실린더 펄스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치에 의거하여 서보헤드(12a)의 현재 트랙으로 부터의 이동거리를 산출한다. CPU(22)는 서보헤드(12a)의 이동거리에 따른 목표 속도 데이타를 얻기 위해 미리 준비된 목표 속도 테이블을 검색한다. D/A 콘버터(23)는 CPU(22)로 부터의 목표 속도 데이타를 전압 신호의 목표 속도 신호 TV로 변환한다. 오차검출기(25)는 D/A 콘버터(23)로 부터의 목표 속도 신호 TV 및 속도 검출 회로(24)로 부터의 속도 신호 VS와의 속도 오차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3). 제1의 스위칭회로(26)는 온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속도 오차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27)로 출력한다(스텝 4). 모터 구동회로(27)는 속오 오차 신호인 전압 신호를 구동전류로 변환하고, 이 구동전류를 VCM(11)에 공급한다(스텝 5). VCM(11)은 구동전류에 따라 구동하고, 캐리지(10)를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서보헤드(12a)는 CPU(22)에 의하여 산출된 목표 속도에 따라 이동하여 목표 트랙까지 이동한다(스텝 6). 이 서보헤드(12a)에 추종하여, 데이타 헤드(12b)는 목표 트랙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속도 제어 동작에 의하여 서보헤드(12a)가 목표 트랙까지 접근하면 제2의 스위칭 회로(29)는 온 동작하고 과도 제어 동작으로 이행한다(스텝 8). 이때 제1 및 제3의 스위칭 회로(26, 32)는 오프상태이다. 과도제어 동작시에는, 가산 회로(28)는 속도 검출 회로(24)로 부터의 속도신호 VS와 위치 변환 회로(20)로 부터의 위치 신호 PS를 가산한다. 제2의 스위칭 회로(29)는 가산회로(28)로 부터의 가산 결과인 전압 신호를 모터 구동회로(27)에 출력한다. 모터 구동회로(27)는 전압 신호를 구동전류로 변환하고 이 구동전류를 VCM(11)에 공급한다. 이 VCM(11)의 구동에 의하여 서보헤드(12a)가 목표 트랙상으로 이동한다.
과도 제어 동작에서 위치 제어 동작으로 이동할 때에 제5도의 스텝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3의 스위칭 회로(32)는 온 동작으로 되고, 제1 및 제2의 스위칭 회로(26, 29)는 오프상태로 된다. 적분회로(30)는 위치변환회로(20)로 부터의 위치 신호 PS를 적분하여 PCC(31)에서 출력한다. 제3의 스위칭 회로(32)는 PCC(31)에서 출력되는 위치 신호 PS의 보상신호를 모터 구동회로(27)에 출력한다. 모터 구동회로(27)는 PCC(31)로 부터의 보상신호를 구동 전류로 변환하여 VCM(11)으로 공급한다. VCM(11)은 캐리지(10)를 구동하여, 서보헤드(12a)를 목표 트랙의 중심으로 이동시킨다. 즉 위치 제어 동작에서는 위치 신호 PS가 0이 되도록 부귀환 동작이 실행되어서 헤드(12)가 목표 트랙의 중심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런데, 위치 제어동작에서는 디스크(13)의 회전 변동에 의하여 헤드(12)가 목표 트랙의 중심으로 위치결정될 때에 오프 세트가 발생하여 헤드(12)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있다. 이 오프세트를 해소하기 위하여 위치 신호 PS를 적분(저역 적분 동작)하는 적분회로(30)가 설정되어 있다.
CPU(33)는 HDC에서 서보헤드(12a)의 목표 트랙을 지시하는 데이타가 주어져 있고 이 목표 트랙의 위치에 의하여 설정되는 전압 레벨치 데이타를 오프세트 테이블(33a)에서 검색한다(스텝 12). 오프세트 테이블(33a)에는 미리 각 트랙을 디스크의 외주, 중간, 내주의 범위로 대별한 경우에 각 범위마다의 오프세트량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치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다. 이때 CPU(33)는 스위칭 제어신호 SW3를 출력하여 스위칭회로(35)의 스위치회로(35c)를 온 동작시킨다(스텝 11). 전하 발생회로(34)는 D/A 콘버터(35a)가 CPU(33)로 부터의 데이타를 아날로그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스위치 회로(35c)로 출력한다. 전하 발생회로(34)는 스위치회로(35c)를 통하여 CPU(33)로 부터의 전압 레벨치에 따른 전압에 따라 적분회로(30)의 제2의 콘덴서(31b)를 충전한다(스텝 13, 14). 이때 각 스위치회로(35a, 35b)는 오프상태이다.
제2의 콘덴서(31b)에 대한 충전이 종료하면, CPU(33)는 스위칭 제어 신호 SW1, SW2를 출력하여 각 스위칭회로(35a, 35b)를 온 동작시킨다. 이때 스위치 회로(35c)는 오프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적분회로(30)는 저항(30b), 제1의 콘덴서(31a) 및 제1의 콘덴서(31a)에 병렬인 제2의 콘덴서(31b)에 의한 적분동작을 실행한다. 즉, 위치 제어 동작시에 적분회로(30)의 콘덴서에는 적분동작의 개시전에 오프세트량에 따른 전압이 공급되어서 충전된다. 이 때문에 위치 제어 동작으로 이행한 직후에 적분회로(30)는 헤드의 오프세트의 해소에 필요한 적분동작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서보 시스템에 의하여 위치 제어 동작시에 적분회로(30)의 콘덴서에는 오프세트 량에 따른 충전이 실행된다. 따라서 적분호로(30)는 위치제어 동작의 이행 직후에, 오프세트를 해소하기 위하여 위치신호 PS의 적분동작을 실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헤드의 목표 트랙에 따라서 오프세트량이 비교적 클 경우에는 그 오프세트를 해소하는 적분동작을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적분 회로(30)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서보헤드(12a)를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제어 동작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헤드를 목표 트랙에 위치결정하는 동작시간을 단축화 함으로써 헤드에 의한 디스크(13)의 액세스 속도를 고속화 할 수 있다.

Claims (9)

  1. 헤드와; 복수의 데이타 트랙 및 상기 헤드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기록된 서보 데이타를 갖는 기록 매체와; 상기 헤드가 상기 기록 매체로 부터 독출한 서보 데이타에 의거하여 헤드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신호 생성수단과; 위치 제어 동작전에 목표 트랙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오프세트 값에 대응하는 오프세트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오프세트 제어 수단과; 위치 제어 동작시에, 상기 오프세트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위치 신호 생성 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위치 신호를 적분하는 적분 수단과; 위치 제어 동작시에, 상기 적분 수단으로 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헤드를 목표 트랙으로 이동시키고 헤드를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하는 헤드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장치용 헤드위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수단은 연산 증폭기와; 위치 신호 생성 수단으로 부터 생성된 위치 신호를 충전하는 제1의 콘덴서와; 오프세트 제어 신호로부터 발생된 오프세트 신호를 충전하는 제2의 콘덴서와; 적분 결과를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수단에 의한 적분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적분 결과를 위상 보상하며 보상의 결과를 위치 제어 신호로서 헤드 구동 수단에 출력하는 위치 보상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오프세트 제어 수단은 목표 트랙의 위치에 따른 복수의 오프세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테이블 수단과; 상기 메모리 테이블 수단으로부터 목표 트랙에 대응하는 오프세트 데이타를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는 오프세트 데이타를 오프세트 제어 신호로서 전송시키는 D/A 콘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5. 헤드와; 복수의 데이터 트랙 및 헤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기록된 서보 데이타를 갖는 기록 매체와; 상기 헤드가 기록 매체로 부터 독출한 상기 서보 데이터에 의거하여 헤드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위치 신호 생성 수단과; 위치 제어 동작전에 목표 트랙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 오프세트 값에 대응하는 오프세트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오프세트 제어 수단과; 제1의 콘덴서 및 제1의 콘덴서에 선택적으로 병렬 접속되는 제2의 콘덴서를 구비하여 상기 오프세트 제어수단으로부터 제2의 콘덴서에 충전된 오프세트 제어신호에 따라 위치 신호를 적분하고, 이 적분 결과를 출력하는 적분 수단과; 위치제어 동작시에 상기 적분 수단으로 부터 출력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헤드를 목표 트랙으로 이동시키고 헤드를 목표 트랙의 중심에 위치 결정하는 헤드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세트 제어 수단은 기록매체상의 목표 트랙의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프세트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오프세트 테이블 수단과; 헤드가 위치되는 목표 트랙에 대응하는 오프세트 데이타를 상기 오프세트 테이블 수단으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오프세트 데이타를 오프세트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D/A 콘버터와 위치 제어 동작전에 제2의 콘덴서를 오프세트 제어 신호로 제2의 콘덴서를 제어 신호로 충전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위치 제어 동작전에 상기 D/A 콘버터 수단을 제2의 콘덴서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제2의 콘덴서를 상기 D/A 콘버터 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오프세트 신호로 충전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수단을 턴 온하는 스위치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적분 수단의 상호 병렬 접속된 제1 및 제2의 콘덴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치 수단과; 오프세트 제어 수단이 제2의 콘덴서를 오프세트 제어 신호로 충전할 때 상기 스위치 수단을 턴오프하고, 상기 충전 동작이 완료된 후에 상기 스위치 수단을 턴 온하여 상기 제1 및 제2콘덴서의 병렬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적분 수단의 상호 병렬 접속된 제1 및 제2의 콘덴서를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및 제2의 스위치 수단과; 오프세트 제어수단을 제2의 콘덴서에 선택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3의 스위치 수단과; 오프세트 제어 수단이 제2의 콘덴서를 오프세트제어 신호로 충전할 때 제1 및 제2의 스위치 수단을 턴 오프하고 제3의 스위치 수단을 턴온하며, 상기 충전이 완료된 후에 제3의 스위치 수단을 턴 오프하고 제1 및 제2의 스위치 수단을 턴 온하여 제1 및 제2의 콘데서의 병렬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기록 장치용 헤드 위치 제어 장치.
KR1019900011423A 1989-07-28 1990-07-27 기록장치를 가진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서보 시스템 KR940002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4066A JPH0359856A (ja) 1989-07-28 1989-07-28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のヘッド位置決め制御装置
JP89-194066 1989-07-28
JP1-194066 1989-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630A KR910003630A (ko) 1991-02-28
KR940002002B1 true KR940002002B1 (ko) 1994-03-12

Family

ID=1631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423A KR940002002B1 (ko) 1989-07-28 1990-07-27 기록장치를 가진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서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68398A (ko)
JP (1) JPH0359856A (ko)
KR (1) KR940002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330A (en) * 1990-08-31 1994-02-08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for controlling moving speed of magnetic head
US5233486A (en) * 1991-06-06 1993-08-03 Seagate Technology, Inc. Method for correcting track counting errors during seeks in a hard disc drive
JP2647291B2 (ja) * 1991-10-16 1997-08-27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記録装置のヘッドを高速に位置決めする方法
JP2714905B2 (ja) * 1992-01-31 1998-02-16 富士通株式会社 位置決め制御装置
US5805374A (en) * 1992-10-16 1998-09-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positioning a head of a recording device
CA2109370A1 (en) * 1992-12-23 1994-06-24 Peter L. Solari Magnetic disk drive unit
JP2680260B2 (ja) * 1994-02-14 1997-11-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ディスク記憶装置及びヘッド制御装置
JPH07254243A (ja) * 1994-03-15 1995-10-03 Fujitsu Ltd ディスク装置及びディスク媒体
DE19703374A1 (de) * 1997-01-30 1998-08-06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Steuern radialer Verfahrbewegungen eines Schreib- und/oder Lesekopfes für plattenförmige Aufzeichnungsträger
KR100255216B1 (ko) 1997-03-06 2000-05-01 윤종용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엠베디드 서보라이팅 방법
US6034496A (en) * 1998-08-13 2000-03-07 Unitrade Corporation Motor speed control using fixed-duration torque bursts
US5982130A (en) * 1998-08-13 1999-11-09 Unitrolde Corporation Calibration technique to remove series resistance errors in the sensed back EMF of a motor
JP4001456B2 (ja) * 2000-10-06 2007-10-3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キャリッジサーボ制御装置及びキャリッジサーボ制御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JP3977584B2 (ja) * 2000-10-06 2007-09-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キャリッジサーボ制御装置及びキャリッジサーボ制御用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情報記録媒体
US6768609B2 (en) 2000-11-27 2004-07-27 Seagate Technology Llc Reducing position error signal nonlinearity through iterative calibration of a compensation table
US8520483B2 (en) * 2010-07-29 2013-08-2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from optical disk lay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6636A (en) * 1977-02-28 1978-04-25 Xerox Corporation Restore method and apparatus for disk drive
US4949201A (en) * 1988-04-01 1990-08-14 Micropolis Corporation Disk drive head position controller with static bias compensation and plural velocity detectors
US5062023A (en) * 1990-04-13 1991-10-29 Squire John S Disk file servo loop with improved track sett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68398A (en) 1992-12-01
JPH0359856A (ja) 1991-03-14
KR910003630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002B1 (ko) 기록장치를 가진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서보 시스템
KR950012409A (ko)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 디스크 플레이어를 위한 서보제어시스템
US20060197488A1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US5442604A (en) Access control device
US6167010A (en)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tracking servo circuit
US5001578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k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US20010026509A1 (en) Carriage servo apparatus, information reproduction apparatus and carriage servo control method
US5604722A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disk unit
KR890004265B1 (ko) 인덱스 서어보 시스템에 의한 자기디스크장치의 자기헤드 제어시스템
US5760991A (en) Disk storage unit positioning control for applying DC offsets to a tracking error
JPH0330942B2 (ko)
JPH1011768A (ja) 光ディスク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731206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2633761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ヘッド位置決め制御装置
JPH05258488A (ja) 移動制御装置
JP2549110B2 (ja) トラツクジヤンプ回路
JP2671363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H04141872A (ja)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ヘッドのシーク制御方式
JPH0521699Y2 (ko)
JP3833395B2 (ja) 光ディスク駆動モータの制御装置
JPS58222465A (ja) デイスク再生装置の位置検索制御装置
JPH1139776A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H102742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1276133A (ja) トラツク飛び越し制御回路
KR20050105196A (ko) 재생장치용 디스크 트레이 메카니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