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393B1 - 무선전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0393B1 KR940000393B1 KR1019900014869A KR900014869A KR940000393B1 KR 940000393 B1 KR940000393 B1 KR 940000393B1 KR 1019900014869 A KR1019900014869 A KR 1019900014869A KR 900014869 A KR900014869 A KR 900014869A KR 940000393 B1 KR940000393 B1 KR 9400003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radiotelephone
- state
- key
- ti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의 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3도는 이런 종류의 무선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의 동작의 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장치 2 : 무선전화기
3 : 유선전화기 4 : 하이브리드회로
5,17 : 송신기 6,18 : 송신안테나
7,13 : 수신안테나 8,14 : 수신기
9,19 : 신서사이저 10,20 : 수신전계 검출회로
11,21 : 식별 신호검출회로 12,22 : 제어회로
15 : 수화기 16 : 송화기
23 : 스피커 24 :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
25 : 배터리 26 : 충전단자
27 : 충전검출회로 28 : 타임카드회로
본 발명은 대기상태에서 무선전화기를 들어올리는 것만으로 통화상태로 이행할 수 있는 즉시 통화 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류의 종래의 무선전화장치는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메인장치(1)는 무선전화기(2)와 무선회선을 통해 접속됨과 동시에 유선전화회선(3)과 접속되어 있다.
이 유선전화회선(3)에서 보내오는 신호는 하이브리드회로(4)를 통해 송신기(
5)의 변조입력으로 된다.
송신기(5)에서 변조된 전파는 송신안테나(6)에서 무선전화기(2)로 송출된다.
한편, 무선전화기(2)에서 송출된 전파는 수신안테나(7)에서 수신되고, 수신기(8)에 의해 복조된 후 하이브리드회로(4)를 통해 유선전화회선(3)으로 송출된다.
신서사이저(9)는 무선채널에 따른 주파수를 송신기(5) 및 수신기(8)로 출력한다.
수신기(8)의 출력의 하나는 수신전계 검출회로(10)로 입력되어 전계 강도로 판정된다.
이 회로는 보통 캐리어 스켈치 회로 혹은 노이즈 스켈치 회로등으로 불린다.
또 수신기(8)의 또하나의 출력은 수신 복조파에 포함되는 데이터 신호로서 출력되고, 메인장치(1)와 무선전화기(2)의 조합으로 정해지는 식별신호를 대조해서 합하는 식별신호 검출회로(11)로 입력되어 대조하여 합해진다.
이 식별신호는 보통 ID 코드라고 불린다.
이들 수신전계 검출회로(10)의 출력 및 데이터신호의 복조출력은 제어회로(1
2)로 입력되어 접속제어에 이용된다.
또 제어회로(12)는 신서사이저(9)를 제어함으로서 무선채널제어를 행하거나 송신기(5)에 송신데이터신호를 변조 입력으로서 송출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무선전화기(2)에도 수신안테나(13), 수신기(14)가 설치되고, 그 복조출력은 수화기(15)로 출력된다.
또 송화기(16)에서 입력된 음성은 송신기(17)의 변조입력으로 되고, 송신안테나(18)에서 전파로 되어 메인장치(1)로 송출된다.
신서사이저(19), 수신전계 검출회로(20), 식별신호 검출회로(21)는 메인장치
(1)와 동등하고 제어회로(22)가 무선전화기(2)의 제어를 행한다.
스피커(23)는 도착호출시에 호출음을 발하는 사운더이다.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는 1회 누를때마다 통화와 통화종료의 지령을 차례로 반복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키이다.
또 무선전화기(2)의 전원으로서는 배터리(25)가 이용되고 충전단자(26)에서의 전력공급으로 충전된다.
또 배터리(25)의 충전 경로에는 충전검출회로(27)가 접속되어 충전중인가 충전중이 아닌가 즉 무선전화기(2)가 충전기에 탑재되어 있는가 충전기에서 들어올려져 있는가의 검출을 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대기중에 메인장치(1)에 유선전화회선
(3)에서 착신이 있었던 경우 무선전화기(2)의 스피커(23) 또는 메인장치(1)에서 호출음이 출력된다.
이때 무선전화기(2)에서는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를 누름으로서 그의 호출에 응답할 수 있다.
또 이 호출에 대한 응답은 무선전화기(2)를 충전기에서 들어올려 충전을 해제함으로서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를 누르지 않고 바로 통화상태를 확립할 수 있는 기능은 즉시 통화기능등으로 불리고 오늘날 많은 무선전화장치에 부가되어 있다.
여기서 이 즉시 통화기능의 제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둔다.
전술한 것처럼 충전검출회로(27)는 충전기에 접촉하고 있는 충전장치(26)의 전압을 검출하여 그 결과를 제어회로(22)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어회로(22)는 전술한 충전검출회로(27)의 검출출력을 감시함으로서 무선전화기(2)가 충전중인가 충전중이 아닌가를 인식할 수 있다.
보통 통화응답을 무선전화기(2)를 들어올림으로서 행하는 경우는 무선전화기
(2)가 들어올려진 시점에서 충전단자(26)가 충전기에서 떨어져서 충전중에서 비충전중의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어회로(22)는 전술한 충전검출회로(27)의 검출출력이 충전중에서 비충전중으로 옮긴때에 응답조작이 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과 관계없이 그 시점에서 통화로를 형성하면 즉시 통화상태로 되어 전술한 즉시 통화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즉시 통화기능과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를 갖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의 예를 나타낸 것이 제4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무선전화기(2)가 대기상태(스텝 401)에 있을때, 제어회로(22
)는 충전검출회로(27)의 검출출력에 따라 무선전화기(2)가 충전중인가 비충전중으로 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402).
그래서 충전중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비충전중으로 이행하면 전술한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 동작으로 이행한다(스텝 403).
이리하여 통화상태로 된후 이어서 제어회로(22)는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
24)가 눌렸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404).
그래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가 눌려있지 않은 사이에는 통화상태를 유지하나, 눌린 경우는 즉시 통화종료 동작을 행해서(스텝 405), 원래의 대기상태(스텝 401)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제어되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서는 대기상태에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를 눌러서 응답하는 경우는 문제가 없으나,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무선전화기(2)를 들어올려서 응답하는 경우에는 통화상태로 된 직후에 잘못해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를 눌러버리면 즉시 통화종료 동작으로 될 위험성이 있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서는 즉시 통화기능과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를 병용한 경우,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상태로 한 직후에 실수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를 눌러버리면 즉시 통화종료가 되어버리게 되어 무선전화기를 들어올린때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를 오조작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할 필요가 있고 이에 의해 조작성을 저하시킬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정을 감안해서 된것으로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상태로 한 직후의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의 오조작에 의해 통화종료로 되는 위험성을 경감하고,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의 오조작에 특별히 주의를 할 필요없이 확실히 통화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무선통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통화장치는 유선회선에 접속되는 메인장치와, 그 메인장치와 무선회선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전화기로 구성되고, 대기 상태에서 전술한 무선전화기가 들어올려진 것을 검출해서 통화상태를 확립하는 즉시 통화기능과, 동일 키로 통화의 개시와 통화종료의 지령을 교대로 입력 가능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를 갖는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상태가 확립되면 동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는 타이머 수단과, 그 타이머 수단에 의한 전술한 시간의 계측종료전에 전술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가 조작된 경우 그 조작입력을 무효로 하는 타임카드 제어수단을 구비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무선전화기를 들어올려 통화상태로 하면 동시에 미리 시간 설정된 타이머를 스타트시켜서 타이머 시간내에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가 눌려도 그때의 조작입력을 무효로 해서 통화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타임카드 기능에 의해 전술한 타이머 시간중은 통화상태가 확실히 보상되기 때문에 즉시 통화 기능에 의해 무선전화기를 들어올릴때의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의 오조작에 특별한 주의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입각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무선전화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메인장치(1)는 종래 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도에는 무선전화기(2)의 구성만을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무선전화기(2)에는 새로운 타임카드 회로(28)가 설치되고 그밖의 구성요소로서는 종래와 같이 수신안테나(13), 수신기(14), 수화기(15) 송화기(16), 송신기(17), 송신안테나(18), 신서사이저(19), 수신전계 검출회로(20)
, 식별신호 검출회로(21), 제어회로(22), 스피커(23),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
), 배터리(25), 충전단자(26), 충전검출회로(2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무선전화기(2)에서는 종래와 같이 충전검출회로(27)가 충전단자(26)의 단자전압에서 충전중인가 비충전중인가를 검출하여 비충전중으로 된때의 검출출력에 입각하여 제어회로(22)가 통화상태를 확립하는 즉시 통화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무선전화기(2)는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를 누름으로서는 통화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무선전화기(2)가 종래와 다른 것은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상태로 한후 미리 설정한 일정시간 사이만큼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의 조작 입력을 무효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점이다.
이하 그 제어의 양태를 제2도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해서 상술한다.
지금 무선전화기(2)가 대기 상태에 있다고 하자(스텝201).
이 대기 상태에는 유선전화회선(3)에서는 신호가 보내져 오고 있는 경우 내선호출등과 같이 메인장치(1)에서 무선회선을 통해 착신한 경우, 혹은 이들의 착신대기 및 무선전화기(2)에서 통화상태로 하고자 하여 그의 발신지령을 기다리고 있는 경우등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대기상태에 있어서 제어회로(22)는 충전검출회로(27)의 검출출력에 의해 무선전화기(2)가 충전기에 부착되어 있는 충전중의 상태인가. 혹은 충전기에서 들어올려진 비충전중의 상태인가를 판단한다(스텝 202).
이 판단에 있어서, 무선전화기(2)가 충전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제어회로(22)는 그대로 대기상태를 유지하나, 비충전중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타임카드회로(28
)내의 타임카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고(스텝 203), 이것과 동시에 통화로를 형성해서 통화동작을 개시한다(스텝 204).
또 여기서는 타임카드 타이머를 스타트시킨 후에 통화동작을 개시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통화동작을 개시한 후에 타임카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리하여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상태로 한 후, 이어서 제어회로(22)는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가 눌려있는가 어떤가를 판단한다(스텝 205).
이 판단에 의해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가 눌려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그대로 통화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전술한 판단에 의해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가 눌렸다고 판정되면 이어서 제어회로(22)는 전술한 타임카드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었는가 어떤가의 판단을 행한다(스텝 206).
그래서 타임카드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의 조작 입력을 무효로 하고, 통화 동작을 행한 채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가 눌려있는가 어떤가의 감시를 계속한다.
이것에 대해 타임카드 타이머가 타임 아웃해 있는 경우 전술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에서의 조작입력을 받음으로서 통화종료 동작을 행하여 본래의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제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상태로 한후 실수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24)를 누른 경우도 이것이 전술한 타임카드 타이머 시간내에 있으면 그 조작이 취소되어 확실히 통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카드 타이머의 시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무선전화장치를 사용하는 상황에 맞추어 적당한 시간 설정을 하면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타임카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거나 타임카드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어 있는가 어떤가의 판단을 제어회로(22)로 행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다른 예로서 충전검출회로(27)의 검출출력을 직접 타임카드회로(28)로 입력해서 타임카드 타이머를 스타트시키는 방법이나, 타임카드 타이머가 타임 아웃되었는가 어떤가의 판단을 타임카드회로(28) 자신이 행하는 방법등 여러가지 응용이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충전기에 대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서술한 독립형의 것외에 메인장치(1)에 부수로 설치되는 것도 지장없다.
또 무선전화기(2)를 들어올리는 것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는 전술과 같이 충전상태를 감시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기계적인 스위치를 이용하거나, 광학적으로 검출하는 방법등도 고려된다.
또 본 발명은 발착신의 어느 경우도 적용가능하나 특히 착신시에만 한정해도 상응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 따르면 무선전화기를 들어올림으로서 통화상태로 한후 일정시간만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의 조작입력을 무효로 하는 타임카드 기능을 설치했기 때문에 즉시 통화기능으로 통화상태로 된 직후에 실수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를 누른 경우도 그대로 통화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즉시 통화종료로 되거나, 무선전화기를 들어올린때에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의 오조작으로 세심한 주의를 요했던 종래 장치에 비해 그 조작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 유선회선에 접속되는 메인장치(1)와, 그 메인장치(1)와 유선회선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전화기(2)로 구성되고, 대기 상태에서 전술한 무선전화기(2)가 들어올려진 것을 검출해서 통화상태를 확립하는 즉시 통화기능과, 동일키에 의해 통화의 개시와 통화종료의 지령을 차례로 입력 가능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를 갖는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즉시 통화기능에 의해 통화상태가 확립되면 동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의 계측을 개시하는 타이머 수단(28)과, 그 타이머 수단(28)에 의해 전술한 시간의 계측 종료전에 전술한 통화 및 통화종료 겸용키가 조작되는 경우 그 조작입력을 무효로 하는 타임카드 제어수단(2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246885 | 1989-09-22 | ||
JP1246885A JP2777222B2 (ja) | 1989-09-22 | 1989-09-22 |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機 |
JP01-246885 | 1989-09-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7296A KR910007296A (ko) | 1991-04-30 |
KR940000393B1 true KR940000393B1 (ko) | 1994-01-19 |
Family
ID=1715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4869A KR940000393B1 (ko) | 1989-09-22 | 1990-09-20 | 무선전화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148470A (ko) |
JP (1) | JP2777222B2 (ko) |
KR (1) | KR9400003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197Y2 (ja) * | 1989-10-16 | 1995-04-26 | 三洋電機株式会社 | 移動通信機 |
US5461664A (en) * | 1993-04-07 | 1995-10-24 | Cappadona; Steven | Emergency wireless telephone |
DE4324573C1 (de) * | 1993-07-22 | 1994-10-06 | Grundig Emv | Verfahren zum Ermöglichen einer akustischen Überwachung beim schnurlosen Telefon |
JPH0746299A (ja) * | 1993-07-31 | 1995-02-14 | Nec Corp | 無線電話機 |
JPH08102775A (ja) * | 1994-09-29 | 1996-04-16 | Sony Corp | コードレス電話機 |
US6049719A (en) * | 1994-11-12 | 2000-04-11 | U.S. Philips Corporation |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call diversion or forwarding |
JP2914425B2 (ja) * | 1994-12-27 | 1999-06-28 | 日本電気株式会社 | 自動電源制御機能付き携帯電話機 |
JP3927738B2 (ja) * | 1999-10-25 | 2007-06-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システム |
KR100503992B1 (ko) * | 2003-06-30 | 2005-07-27 | 삼기산업주식회사 | 잭용 암나사관 제조방법 |
JP3944201B2 (ja) * | 2004-07-30 | 2007-07-11 | 株式会社東芝 | 端末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57889B2 (ja) * | 1987-07-03 | 1996-11-27 | 株式会社東芝 | 無線通信方式 |
JPS6444661A (en) * | 1987-08-13 | 1989-02-17 | Fujitsu Ten Ltd | Method for preventing key input erroneous operation of telephone system for mobile body |
JP2557408B2 (ja) * | 1987-09-14 | 1996-11-27 | 株式会社東芝 | 無線通信装置 |
JP2664923B2 (ja) * | 1988-03-04 | 1997-10-22 | 日本電気株式会社 | 無線電話装置 |
-
1989
- 1989-09-22 JP JP1246885A patent/JP277722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
- 1990-09-17 US US07/583,486 patent/US514847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9-20 KR KR1019900014869A patent/KR9400003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148470A (en) | 1992-09-15 |
JPH03108931A (ja) | 1991-05-09 |
JP2777222B2 (ja) | 1998-07-16 |
KR910007296A (ko) | 1991-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9334B1 (ko) | 무선전화장치 | |
KR940000393B1 (ko) | 무선전화장치 | |
KR910007709B1 (ko) | 무선전화장치 | |
KR940011236B1 (ko) | 무선전화장치 | |
JPS63234654A (ja) | 無線電話装置 | |
JP2710721B2 (ja) | 子機間通話が可能なコードレス電話機 | |
KR100206175B1 (ko) | 무선전화기의 통화해제방법 | |
JP3505397B2 (ja) | 電話装置 | |
JPH02265341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3487312B2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KR100605850B1 (ko) | 이어마이크가 연결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방법및 무선 이어마이크에서의 동작 방법 | |
KR0143014B1 (ko) | 자동 호 접속/분리 가능한 무선 전화기 및 그 방법 | |
JP3172469B2 (ja) | 移動通信機 | |
KR970005436B1 (ko) | 무선핸드폰의 통화시 키로크제어방법 | |
KR970008675B1 (ko) |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발신장치 및 그 방법 | |
JP2000278388A (ja) | 音声認識機能を有する携帯可能な通信装置 | |
KR940009770B1 (ko) | 무선전화기의 톤 경보회로 및 방법 | |
KR20020059875A (ko) | 핸드폰 이용이 가능한 전화기 및 전화기 내 베이스 유닛과핸드 프리 세트의 구동 방법 | |
KR100233129B1 (ko) | 안심기능을 가지는 무선단말기의 휴대장치에서 통화 전환방법 | |
KR970006780B1 (ko) | 무선전화기 핸디의 발신음 포착표시장치 및 그 방법 | |
KR0120014B1 (ko) |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 |
JPH0338151A (ja) | 無線電話装置 | |
JPH07107552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H04287433A (ja) | コードレス電話機 | |
JPH03297249A (ja) | 無線電話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