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236B1 - 무선전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236B1
KR940011236B1 KR1019910001352A KR910001352A KR940011236B1 KR 940011236 B1 KR940011236 B1 KR 940011236B1 KR 1019910001352 A KR1019910001352 A KR 1019910001352A KR 910001352 A KR910001352 A KR 910001352A KR 940011236 B1 KR940011236 B1 KR 94001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adiotelephone
call
party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5134A (ko
Inventor
마사유끼 다나까
고이찌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15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5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9Automatic dialling or redialling systems, e.g. on off-hook or redial on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04M1/272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using electronic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관한 플로우챠트.
제 3 도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장치 2 : 무선전화기
3 : 무선회로 4 : 유선전화회로
5 : 하이브리드회로 6 : 송신기
5 : 하이브리드회로 6 : 송신기
7 : 송신안테나 8 : 수신안테나
9 : 수신기 10 : 제어회로
11 : 수신안테나 12 : 수신기
13 : 수화회로 14 : 송화회로
15 : 송신기 16 : 송신안테나
17 : 제어회로 18 : 훅스위치
19 : 다이얼키 20 : 리다이얼키
21 : 자동재발호설정키
본 발명은 멀터채널 방식을 치용한 무선전화 장치에 관하여, 특히 상대측 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 상대측 전화기에 대해서 일정 시간마다 자동적으로 호출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무선전화장치로서는 제 3 도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 무선전화장치는 유선회로(4)과 접속되는 주장치(1) 및 주장치(1)와 무선회선(3)에서 접속되는 무선전화기(2)로 구성되어 있고, 주장치(1)는 하이브리드회로(5), 송신기(6), 송신안테나(7), 수신 안테나(8), 수신기(9), 제어회로(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무선전화기(2)는 수신안테나(11), 수신기(12), 수화회로(13), 송화회로(14), 송신기(15), 송신안테나(16), 제어회로(17), 훅스위치(18), 다이얼키(19), 리다이얼키(20)를 갖고 있다.
관련되는 구성에 있어서 무선전화기(2)가 유선회선(4)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교환기를 통해서 이 교환기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측 전화기와 통화하려고 할 경우, 우선, 무선전화기(2)의 훅스위치(18)를 온(on)으로 하면, 송신기(15)가 작동하고, 제어회로(17)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터신호가 송신안테나(16)에서 송신된다.
이 제어데이터 신호는 주장치(1)의 수신안테나(8)에서 수신되어, 수신기(9)에서 복조된다.
주장치(1)의 제어회로(10)는 이 제어데이터 신호를 확인하면, 송신기(6)를 작동시키고, 제어회로(10)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터 신호를 송신안테나(7)로 부터 송출한다.
무선전화기(2)에서는 이 제어데이터 신호를 수신안테나(11)에서 수신하고, 수신기(12)에서 이것을 복조한다.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17)는 이 제어데이터 신호를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주장치(1)와 무선전화기(2)와의 사이에 무선회선(3)이 확립된다.
그 다음에 무선전화기(2)의 다이얼키(19)로 상대측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17)에서 다이얼 데이터 신호를 발생하고, 이 다이얼데이터 신호를 송신기(15), 송신안테나(16), 무선회로(3), 주장치(1)의 수신안테나(8), 수신기(9)를 통해서 주장치(1)의 제어회로(10)로 전달한다.
주장치(1)의 제어회로(10)는, 이 다이얼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다이얼 신호를 발생하고, 이 다이얼신호를 하이브리드회로(5)를 통해서 유선회로(4)로 송출한다.
유선회로(4)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교환기는 이 다이얼 신호를 수신하면 이 다이얼신호가 지정된 상대측 전화기를 호출한다.
상대측 전화기가 이것에 응답하면 교환기는 상대측 전화기와의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전화기(2)의 송화회로(14)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무선회선(3), 주장치(1), 유선회선(4), 교환기를 통해서 상대측 전화기에 전달되고, 또 상대측 전화기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는 교환기, 유선회선(4), 주장치(1), 무선회선(3)을 통해서 무선전화기(2)의 수화회로(13)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무선전화기(2)와 상대측 전화기와의 사이에서 통화가 실시된다.
그런데 상대측 전화기가 통화상태에 있고, 교환기에서의 호출에 상대측 전화기가 응답할 수 없는 경우, 교환기는 통화중음(BT)을 발생하고, 이 통화 중음을 유선회로(4), 주장치(1), 무선회선(3)을 통해서 무선전화기(2)의 수화회로(13)로 전달한다.
무선전화기가(2)의 조작자는 이 통화중음을 들으면 훅스위치(18)를 오프(off)로 하고 무선전화기(2)의 송신기(15), 주장치(1)의 송신기(6)를 각각 오프로 해서, 무선회선(3)을 해제한다.
여기에서 같은 상대측 전화기를 다시 호출하고 싶은 경우에는 재차 훅스위치(18)를 온으로 하고, 다이얼키(19)를 조작해서 상기와 똑같이해서 상대측 전화기가 여전히 통화중이면 훅스위치(18)를 오프로 한 후 똑같은 순서를 반복하게 된다.
또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17) 또는 주장치(1)의 제어회로(10)에 전회(前回)에 다이얼한 내용을 기억해두고, 무선전화기(2)의 리다이얼키(20)의 누름에 의해 원터치로 유선회선(4)에 전회와 동일한 다이얼신호를 송출하는 구성도 있지만, 어쨌든 상대측 전화기의 통화가 종료되는 시기를 가늠해서 발호동작을 해야만 해서, 매우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상대전화기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시간마다, 예를들면 무선전화기의 리다이얼키(20)를 누른 것과 똑같은 상태를 자동적으로 만들고, 이것에 의해서 상대측 전화기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발호를 행하는 구성도 생각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대측 전화기의 통화가 종료되는 시기를 가늠해서 발호동작을 행한다고 하는 시간은 생략할 수 있지만, 발호를 행할 때 마다 무선전화기(2)와 주장치(1)와의 사이에 무선회선이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대측 전화기를 호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그때마다 무선기에 쓸데없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 그때마다 쓸데없는 무선회선이 연결되기 때문에 전파의 효율적 이용을 저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장치에서는 발호를 할 때마다 무선전화기와 주장치와의 사이에 무선회선이 연결되어지기 때문에, 상대전화기가 통화중으로 호출에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때마다 쓸데없는 전류를 소비하고 게다가 또, 전파의 효율적 이용을 저해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쓸데없는 전류 소비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전파의 효율적 이용을 저해하지 않고, 자동재발호를 행할 수 있는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선회선에 접속된 주장치와, 이 주장치에 무선회선으로 접속되는 무선전화기를 구비한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주장치에, 상대측이 통화중인 경우, 일정시간마다 상대측을 호출하는 수단과, 이 호출에 상대측이 응답한 경우 무선전화기와의 사이에 무선회선을 확립하고, 무선전화기를 호출하는 수단을 설치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재발호 동작을 주장치만으로 실시하고, 상대측 전화기의 응답을 확인하고 나서 무선전화기와 주장치와의 사이에 무선회선을 확립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제 3 도에 나타낸 종래의 구성에 자동재발호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무선전화기(2)에 자동재발호 설정키(21)가 설치되고, 주장치(1)의 제어회로(10)에 자동재발호를 위한 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제 3 도에 나타낸 것과 같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 2 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전화기(2)가 유선회선(4)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교환기를 통해서 이 교환기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측 전화기와 통화하려고 하는 경우, 최초에 무선전화기(2)의 훅스위치(18)를 온으로 하면(스텝 101), 송신기(18)가 작동하고, 제어회로(17)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터 신호가 송신안테나(16)에서 송신된다.
이 제어데이터 신호는 주장치(1)의 수신안테나(8)에서 수신되고, 수신기(9)에서 복조된다.
주장치(1)의 제어회로(10)는 이 제어데이터 신호를 확인하면, 송신기(6)를 동작시키고, 제어회로(10)에서 출력되는 제어데이터 신호를 송신안테나(6)에서 송출한다.
무선전화기(2)에서는 이 제어데이터 신호를 수신안테나(11)에서 수신하고, 수신기(12)에서 이것을 복조한다.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17)는 이 제어데이터 신호를 인식한다.
이것에 의해 주장치(1)와 무선전환기(2)와의 사이에 무선회선(3)이 확립된다(스텝 102, 스텝 201, 202).
그 다음에 무선전화기(2)의 다이얼키(19)를 누르고 상대측 전화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스텝 103),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17)에서 다이얼데이터 신호를 발생하고, 이 다이얼데이터 신호를 송신기(15), 송신안테나(16), 무선회선(3), 주장치(1)의 수신안테나(8), 수신기(9)를 통해서 주장치(1)의 제어회로(10)로 전달한다.
주장치(1)의 제어회로(10)는, 이 다이얼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다이얼신호를 발생하고, 이 다이얼신호를 하이브리드회로(5)를 통해서 유선회선(4)으로 송신한다(스텝 204).
유선회선(4)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교환기는 이 다이얼 신호를 수신하면 이 다이얼 신호가 지정된 상대측 전화기를 호출한다.
상대측 전화기가 이것에 응답하면, 교환기는 상대측 전화기와의 통화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전화기(2)의 송화회로(14)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무선회선(3), 주장치(1), 유선회선(4), 교환기를 통해서 상대측 전화기로 전달되고, 또 상대측 전화기에서 입력된 음성신호는 교환기, 유선회선(4), 주장치(1), 무선회선(3)을 통해서 무선전화기(2)의 수화회로(13)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무선전화기(2)와 상대측 전화기와의 사이에서 통화가 실시된다(스텝 301, 302, 303).
그런데 상대측 전화기가 통화상태에 있고, 교환기에서의 호출에 상대측 전화기가 응답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교환기는 통화중음(BT)을 발생하고(스텝 304), 이 통화중음(BT)은 유선회선(4), 주장치(1), 무선회선(3)을 통해서 무선전화기(2)의 수화회로(13)로 전달된다(스텝 205, 스텝 104).
여기에서 자동재발호를 실시하고 싶은 경우, 무선전화기(2)의 자동 재발호 설정키(21)를 누르면(스텝 105), 제어회로(17)가 이것을 검출하고, 무선회선(3)을 통해서 주장치(1)의 제어회로(10)에 재발호의 설정을 등록한다(스텝 206).
그후 무선전화기(2)의 스를 오프해서 통화종료 동작을 행하고(스텝 106), 무선회선(3)을 해제하고(스텝 107, 스텝 207, 스텝 305), 무선전화기(2)는 소비전류가 적은 기다리는 상태로 돌아간다(스텝 108).
한편, 주장치(1)에서는 무선전화기(2)에서 송출된 다이얼 신호를 제어회로(10)로 기억해두고(스텝 203), 통화종료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유선전화회선(4)에서 자동적으로 그 다이얼 신호를 재송출한다.(스텝 208).
상대전화기가 여전히 통화중이어서 접속할 수 없는 때는(스텝 306, 307), 교환기에서 돌아온 통화중음을(스텝 308) 제어부(10)에서 검출하고(스텝 209), 주장치(1)와 유선전화회선(4)과의 접속을 끊고 대기상태로 복귀하고(스텝 210, 스텝 309), 자동재발호의 설정은 보유해두고, 또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똑같은 다이얼신호 재송출 동작을 반복한다.
이 사이에, 무선전화기(2)는 대기상태를 보유하고 있는 중이다.
또, 다이얼 재송출시(스텝 208), 상대전화기의 통화가 종료되어 있어서 접속할 수 있는 경우에는(스텝 307), 교환기에서 호출음(RBT)이 되돌아온다(스텝 310).
이 호출음을 제어부(10)에서 검출하고(스텝 211), 주장치(1)에서 무선전화기(2)를 호출하고, 제어부(10)와 제어부(17) 사이에서 제어데이터 신호를 교환해서 무선회선(3)을 확립한다(스텝 109, 스텝 212).
호출을 받은 무선전화기(2)에서는, 훅스위치(18)를 온시키고(스텝 110), 또, 상대전화기가 오프 훅하면(스텝 311), 이것에 의해 무선전화기(2)와 상대전화기와는 통화상태가 된다(스텝 111, 스텝 214, 스텝 311, 312).
또 자동재발호의 설정은 호출음을 검출한 단계에서 주장치(1)측에서 해제된다(스텝 213).
또,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자동재발호 설정키를 새로이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어리와 리다이얼키의 편성에 의해 똑같은 기능을 갖도록 해도 좋다.
또, 상대전화기와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면 호출음이 없어도 좋다.
또한 자동발호설정키를 누른 경우, 그 후에 훅스위치를 오프로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통화종료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 의하면, 상대전화기가 통화중인 경우 주장치만으로 자동재발호를 실시하고, 이것에 상대전화기가 응답하면 전술한 무선전화장치를 구성하는 무선전화기와 전술한 상대전화기와의 무선회선을 확립하고, 전술한 무선전화기를 호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에 무선전화장치의 쓸데없는 전류 소비와 불필요한 무선회선이 구성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Claims (1)

  1. 유선회선(4)에 접속된 주장치(1)와, 이 주장치(1)에 무선회선(3)에서 접속되는 무선전화기(2)를 구비한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1)에, 상대측이 통화중인 경우, 일정시간 마다 상대측을 호출하는 수단과, 이 호출에 상대측이 응답한 경우, 상기 무선전화기와의 사이에 무선회선을 확립하고, 상기 무선전화기를 호출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무선전화장치.
KR1019910001352A 1990-01-26 1991-01-25 무선전화장치 KR940011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422A JP2974709B2 (ja) 1990-01-26 1990-01-26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制御装置
JP2-16422 1990-01-26
JP??02-016422 1990-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5134A KR910015134A (ko) 1991-08-31
KR940011236B1 true KR940011236B1 (ko) 1994-11-29

Family

ID=1191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352A KR940011236B1 (ko) 1990-01-26 1991-01-25 무선전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24146A (ko)
JP (1) JP2974709B2 (ko)
KR (1) KR9400112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896B1 (ko) * 1995-10-11 1999-02-01 김광호 휴대폰의 예약통화 방법
US5625683A (en) * 1996-03-25 1997-04-29 Motorola, Inc. Method of and telephone with call-reminding and auto-dialing
JPH10107886A (ja) * 1996-09-27 1998-04-24 Nec Corp 電話装置
KR19980057462A (ko) * 1996-12-30 1998-09-25 김광호 휴대전화기에서 통화품질 악화시 재다이얼 방법
US6122509A (en) * 1997-09-29 2000-09-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call at a selected time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H11331425A (ja) * 1998-05-08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着信検出手段付き電話装置
WO2000078019A1 (en) 1999-06-14 2000-12-21 Wilshire Cellul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one of plural devices associated with a single telephone number
US7292858B2 (en) 1999-06-14 2007-11-06 Ascendent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one of plural devices associated with a single telephone number during a disaster and disaster recovery
US7162020B1 (en) * 1999-06-14 2007-01-09 Ascendent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establishing communication with one of plural devices associated with a single telephone number
US6804509B1 (en) 1999-06-18 2004-10-12 Shmuel Okon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a caller that a cellular phone destination is available
DE10238698B4 (de) * 2002-08-23 2013-04-11 Agere Systems Guardian Corp. Mobiltelefon mit akustischer Warnung vor Wahlwiederholung
US8527108B2 (en) * 2006-07-11 2013-09-03 Regen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 energy consuming lo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1382A (en) * 1982-09-29 1984-11-06 Villa Real Antony Euclid C Programmable telephone system
US4706274A (en) * 1984-05-11 1987-11-10 Southwestern Bell Telecommunications, Inc. Cordless telephone system
JPH0738744B2 (ja) * 1987-03-23 1995-04-26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装置
US4959850A (en) * 1987-05-29 1990-09-25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elephone apparatus
JPS6477353A (en) * 1987-09-18 1989-03-23 Toshiba Corp Land mobile telephon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24146A (en) 1993-06-29
JPH03220954A (ja) 1991-09-30
JP2974709B2 (ja) 1999-11-10
KR910015134A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JP3489122B2 (ja) データ伝送端末を備えた自動車電話のインターフェス装置
JPH031621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機で呼を送受信する方法
US4962524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940011236B1 (ko) 무선전화장치
JPH09149120A (ja) 発信電話番号表示コードレス電話機
JPS6064564A (ja) フアクシミリ・電話切替方式
GB2177572A (en) Mobile radiotelephone systems
RU2248667C2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телефонного номера в системе с местной линией радиосвязи
JP2923195B2 (ja)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JP2527570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2217061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32475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5429B2 (ko)
KR1003022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있어서발신자의대기시간을최소화하는방법
JP3049686B2 (ja) 電話装置
JP2964763B2 (ja) 電話装置
JP2579068B2 (ja) 選択呼出し方法および送信装置
JP2615105B2 (ja) データ伝送装置
JPS63248271A (ja) 通信装置
JPS60201769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3112752B2 (ja) コードレス電話の内線接続方法
JP3265066B2 (ja) 携帯電話およびそれと接続するファクシミリ装置
JPH06121009A (ja) コードレスシステム電話装置
JPH05236077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