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734B1 - 악기용 음 지속기 - Google Patents

악기용 음 지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734B1
KR930011734B1 KR1019900700171A KR900700171A KR930011734B1 KR 930011734 B1 KR930011734 B1 KR 930011734B1 KR 1019900700171 A KR1019900700171 A KR 1019900700171A KR 900700171 A KR900700171 A KR 900700171A KR 930011734 B1 KR930011734 B1 KR 930011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ing
sound
pickup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502A (ko
Inventor
디. 로우즈 플로이드
엠. 무어 스티븐
더블유. 노츠 리차드
Original Assignee
플로이드 디.로우즈
스티븐 엠.무어
리차드 더블유.노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로이드 디.로우즈, 스티븐 엠.무어, 리차드 더블유.노츠 filed Critical 플로이드 디.로우즈
Publication of KR90070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 G10H3/2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using electric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10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악기용 음 지속기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악기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지속기를 개략 도시한 투시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 도시의 2-2, 3-3 라인을 따라 절취하여 얻은 개략단면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음지속기와 악기의 기능 블럭도이다.
제5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음지속기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6도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음지속기와 관련한 임의 변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지속기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지속기의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투시도이다.
제9도는 제8도 도시의 9-9 라인을 따라서 절취하여 얻은 부분 개략단면도이다.
제10도는 제8도에 있어서 음지속기를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따라 구성한 악기의 부분 투시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현등의 진동요소를 가지는 악기에서 지속적인 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음을 발생하기 위한 현등의 기계적 진동요소를 사용하는 악기는 그 진동요소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진동을 표시하는 전자신호를 발생하는데 있어 지금까지는 통상적인 "픽업(pickups)"이라는 음변환기를 구성요소로 갖추고 있었다. 픽업에 의한 신호는 확성기에 의해 음으로 증폭 변환된다. 픽업 신호로부터 발생된 음은 현과 악기 본체 및 공기의 음향적 상호작용으로 발생된 음을 보충하거나 교체시킨다. 통상적으로, 악기본체는 음향적 응답이 거의 없거나 아주 없어서 픽업 신호로 부터 발생된 음이 거의 악기 전체의 음을 구성한다. 이는 보통의 전기 기타, 전기 베이스 악기등의 경우에 그렇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악기에 의해 발생된 음은 현이 울리고 나서 점차적으로 소멸한다. 이는 특히 독립적인 음향응답을 아주 적게 갖거나 전혀 갖지 않는 악기의 경우에 더욱 그렇다. 이러한 음은 최초의 진동을 표시하는 강한 음파가 현과 부딪치도록 매우 높은 전력 레벨에서 증폭 확성기 시스템을 동작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음향귀환"으로 현의 진동이 지속되어 음색이 연장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증폭 확성기 시스템에 의해 발생된 음이 큰 경우에만 효과적이며, 더우기 음향 귀환 효과는 외부의 음향적 특성에 따라 좌우되므로 콘서트홀의 경우마다 다르게 한다.
외부로부터의 음향 귀환과는 무관하게 음색을 지속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장치인 " 음지속기(sustainer)"을 개발하기 위한 여러가지 노력이 있어 왔다. 미합중국 특허 제4,245,540호는 현 가까이에 장착된 확성기와 일체로된 음지속기를 개시하고 있다. 픽업으로 부터 증폭된 신호는 확성기로 전달되고, 그 확성기에 의해 발생된 음향적 진동이 직접적으로 현과 부딪친다. 미합중국 특허 제4.697,491호는 악기본체와 그 본체로 부터 돌출하는 넥(neck)을 가지는 기타등의 현악기용 음지속기를 개시하고 있다. 악기본체로부터 떨어진 넥에는 전자기계적 음변환기가 장착된다. 픽업 신호는 전자기계적 음변환기에 전달되며, 이 신호를 받은 음변환기는 넥을 진동시키며 그 진동이 현으로 귀환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3,813,473호는 전자석에 결합된 "브리지" 즉, 현지지부를 가지는 악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픽업 신호로부터 유도된 전자신호가 상기 전자석에 인가되어 브리지를 진동시켜서 현이 울리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4,484,508호는 픽업 신호에 응답하여 악기본체를 떨리도록한 전자기계 변환기를 구비하며 또한 픽업 신호의 진폭을 점차적으로 감시시켜 제어된 페이드 아웃(fade out)을 제공하는 페이드 아웃회를 구비하는 상기와 유사한 음지속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페이드 아웃회로는 고주파 신호에 대해 신속한 페이드 아웃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137,811호와 제4,181,058호는 현 자체를 통과하는 전류와 정자계 사이의 자기적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음을 지속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의 주위에 자석을 장착하고 악기의 현과 프렛(fret)을 전기전도 시키고 있다. 또한 픽업 신호를 표시하고 교류 귀환신호를 프렛을 경유하여 현에 전달하기 위한 회로망이 채택된다. 각각의 현을 통과하는 교류 전류는 현상에 교호하는 자기 기동성의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정자계와 상호작용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236,433호는 각각의 현에 대하여 전자기식 작동의 음신장 장치를 사용하는 음지속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그러한 신장 장치는 귀환회로에 접속된다. 각 현과 관련한 픽업으로 부터의 신호는 귀환회로를 통해서 신장 장치에 가해지게되며 신장 장치는 현을 주기적으로 신장 및 이완시킨다. 상기 '433 특허는 또한 전자석 즉 "구동기"가 각각의 현 바로 곁에 배치되어 그 전자석으로 부터 발생한 자속이 직접적으로 현과 부딪치는 구조의 다른 배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각각의 전자석에는 동일한 현과 관련한 픽업으로 부터의 신호를 표시하는 구동신호가 제공되다. 전자석의 자속 변화는 현과 부딪치는 자속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자속의 변화는 현 자체가 강자성체인 경우에 그 현을 진동적으로 여자시킨다.
미합중국 특허 제4,075,921호는 강자성 현을 직접적으로 여자시키도록 배열된 자성픽업 및 자성구동기를 사용하는 상기와 유사한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악기의 음지속기는 픽업 및 구동기가 일체로된 휴대형의 배터리 동력식 장치일 수 있으며, 픽업 및 구동기는 악기의 한 현과 정렬되도록 배열된다. 이와는 다르게, 음지속기는 악기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현에 대해 각각의 픽업 및 구동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742,113호는 각각의 현과 직접 관련하여 자성픽업 및 자성구동기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는데, 그 픽업과 구동기 사이에는 귀환 및 증폭회로가 접속된다. 상기 '113 특허는 현의 기본 진동 모드를 강화시키도록 "픽업에 의해 변환된 현의 기본 진동 주파수와 동상"인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귀환 회로 또는 증폭기가 "제로 위상 편이"를 가져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전술한 '921, '433, '113 특허는 각각의 현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각각의 강자성 극편을 가지는 픽업 및 구동기를 사용하여 각 극편으로 부터 그 관련 현의 왜곡되지 않은 정상위치에 실질적으로 집중된 자계를 제공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각각의 코일은 각 극편마다 제공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80,481호와 제4,535,668호는 배열을 횡단하여 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일의 장방형 코일 및 강자성 코어를 가지는 픽업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이동성 영구저석이 또한 제공된다. 영구자석을 재배치시킴으로써, 다수의 현에 의해 코일내에서 유도된 신호들 사이에 다른 위상관계를 제공하도록 자계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983,777호는 현의 측 방향 이동으로 야기된 픽업 응답에 있어서의 변화를 억제하도록 현배열의 측 방향 범위에 대해 균일한 자계 강도를 가지는 픽업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64,295호와 제4,151,776호는 현배열과 관련하여 엇갈리게 연장하는 코일 및 단일 강자성 극편을 가지는 다른 단일의 픽업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부단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개선의 여지가 아직도 남아있다. 현재 활용 가능한 악기의 음지속기는 그것들이 평가할만한 음지속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구동 코일에 상당히 큰 전력을 부여할 것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더우기, 음지속기내의 구동 코일에 고전력에 가해야만 실질적인 전자기 방사를 발생할 수 있다. 구동 코일에서 발생된 전자계는 픽업과 부딪치게 되어 불필요한 신호를 유동한다. 전자 악기에 사용된 픽업이 표류하는 전자기 방사의 영향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그 정도는 항상 완전히 효과적이지는 못하였다. 구동기로부터의 방사는 차폐에 의해서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지만, 그러한 차폐에 의해 음지속기의 중량, 크기 및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구동기에 적당한 전력을 인가하는 것만으로 우수한 음지속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지속기에 대한 필요성이 실질적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악사로 하여금 음지속기의 동작을 조정하여 변화된 음향적 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는 음지속기에 대한 필요성이 있게 되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에 따르면, 음지속기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요소를 가지는 악기와 더불어 사용하도록 채용되는데, 진동요소로서는 현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음지속기는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악기의 진동요소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요소를 구비하며, 구동력은 구동신호와 소정의 위상관계를 갖는다. 귀환 수단은 악기의 진동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며 그 진동과 소정의 위산관계를 갖는 픽업 신호를 수신한다. 이 귀한 수단은 구동수단에 의해 인가된 구동력이 진동요소의 진동과 사실상 동위상을 갖도록 구동수단에 구동신호를 제공하게끔 구성된다. 음지속기는 현의 진동에 응답하여 픽업 신호를 제공하는 픽업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픽업 수단 및 구동수단중 어느 하나 또는 그 모두는 통상적으로 비-제로 위상편이 특성을 갖는다. 즉, 픽업수단에서 발생된 픽업 신호는 진동요소의 실제 운동보다 지연되거나 앞서게 될 수 있고, 구동수단에 의해 가해진 구동력은 구동신호보다 지연되거나 앞설 수 있다. 귀환 수단은 픽업수단과 구동수단의 연합 위상편이와 사실상 반대인 위상 편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체 음지속기의 연합된 전위상 편이는 거의 제로이며, 구동력은 현 자체의 진동 운동과 동위상으로 가해진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른 음지속기는 구동기에 적당한 전력을 인가하는 것만으로 현 또는 다른 진동요소의 기본 진동 모드를 연장시키는 우수한 음의 지속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악기의 음지속기는 콘서트홀등에서 연장된 연속 사용에 적합한 악기음의 지속음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전원으로는 소형의 자체내장 전지만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어떠한 동작 법칙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지만, 진동요소에 가해진 구동력과 진동요소의 실제적 기본 진동 모드의 위상을 보다 잘 매칭 시킴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귀환 수단은 픽업 신호의 최소한 일부 주파수에 대하여, 구동신호가 그 픽업 신호와 위상이 다르게 되고 이러한 위상차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픽업 신호와 구동신호 사이의 위상차의 변화에 의해 구동신호가 주파수 상승에 따라 위상차를 상승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귀한 수단은 적어도 외부 주파수에 대하여 구동신호가 픽업 신호를 앞서도록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픽업 신호의 주파수 내용을 결정하고 이 주파수 내용에 따라서 귀환 수단의 위상전달 함수나 구동수단의 위상전달 함수 또는 그 모두를 변경시키는 제어수단이 제공될수 있다. 따라서, 제어수단은 픽업 신호의 가장 높은 진폭의 주파수(우세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귀환 수단의 위상전달 함수를 구동신호 진상(위상앞섬) 조건쪽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 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유도코일과 그 코일에서 발생된 자속에 응답하여 진동요소에 구동력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유도 코일을 사용하여 구동 수단에 의해 가해진 구동력은 코일에 가해진 구동신호 즉 전압의 위상 보다 지연되는 성향의 위상을 갖는다. 더우기 이러한 지연은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라 귀환 수단이 발생한 주파수와의 위상차 및 위상차의 변화로서 구동수단의 특성이 보상된다. 전자기 픽업에 의한 픽업 신호는 진동소자 즉 현의 실제 운동보다 지연되는 성향을 가지며, 이러한 지연은 주파수에 따라서 비례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양호한 악기의 음지속기의 귀환 수단에서 발생된 주파수와의 위상차 및 위상차의 변화에 의해 픽업의 특성이 또한 보상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양질의 결과로서 진동요소의 기본운동과 사실상 동상으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최적의 귀환 수단은 픽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과 구동신호를 전달하는 출력 및 입·출력사이에 접속된 가변값의 부품을 구비한 회로망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회로망은 상기 가변값 부품의 조정으로 회로망의 위상전달 함수 즉, 상기 회로망을 통하는 위상편이와 주파수와의 관계가 변경되도록 배열된다. 제어어수단은 픽업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가변값 부품의 값을 조정함으로서 회로망의 위상 전달 함수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픽업 신호는 여러가지 주파수의 성분을 통합한 복합신호이다. 바람직하게는 픽업 신호의 주파수를 감지하는 수단이 픽업 신호중에서 가장 높은 진폭을 가지는 우세 주파수(predominant frequency)를 검출하여 이러한 주파수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가변값 부품의 값을 조정하는 수단은 우세 주파수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서 상기 값을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악기의 음지속기가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 특성 주파수의 강화를 위해 최적의 위상 전달 함수를 제공하도록 조정된다는 점에서 선택적인 음지속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며, 한 배열에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팽팽하게 쳐진 가요성 현을 가지는 형태의 악기용 음지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음지속기는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각 현에 인가되는 구동력이 사실상 현의 측 방향 변위에 무관하게 되도록 상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현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음지속이의 응답은 사실상 현이 측 방향 휨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다.
구동수단은 구동신호에 따라 변하는 자계가 실질적으로 각현의 측 방향 이동의 전 범위에 걸쳐 균일하게 되도록 그러한 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은 강자성 요소와, 그 강자성 요소를 향해 자속을 지향시키도록 강자성 요소와 근접 배치되는 코일등의 수단과, 강자성 요소를 현과 엇갈려서 측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장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현쪽으로 향하는 강자성 요소의 표면은 현이 왜곡되지 않은 정상 위치에 있을때 그 현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면과 사실상 평행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사용되는 강자성 요소는 영구자석을 포함한다.
다른 구성으로서 코일이 현을 둘러싸게 할 수도 있다. 영구자석등의 한쌍의 강자성 요소는 현의 길이방향으로서 서로 이격되고, 현배열의 위와 아래에 배치되며, 코일이 이들 강자성 요소 사이에서 현을 에워싸는 구조를 갖는다.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
종래의 전기 기타(20)는 본체(22)와 그로부터 길게 연장된 넥(24)을 구비하는 구조를 갖는다. 통상의 테일스톡(26; 현고정대)과 브리지(28)는 본체(22)에 고정되는 반면, 헤드스톡(30; 현조정대)은 본체(22)로 부터 떨어진 넥(24)의 단부에 고정된다. 6개의 강자성체, 통상적으로 강철 현(23)은 테일스톡(26)과 헤드스톡(30)에 의해 인장력을 갖도록 유지되며, 각각의 현이 테일스톡으로 부터 헤드스톡으로 길이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되게끔 브리지(28)와 결합되어 넥(24)과 본체(22)상부에서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현은 넥과 본체의 상부 즉, 현과 접하는 면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을 가지는 배열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어 " 폭방향(widthwise)"과 "측 방향"(laterally)"은 현배열 방향 중 폭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은 각각 기타 본체의 표면으로 부터 및 그 표면을 항해 현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2도의 도시에 있어서, 좌우측으로의 방향은 폭 즉, 측 방향이며, 도면의 상부를 향하는 방향은 각각 상향 및 하향으로 지칭한다.
기타(20)는 본 분야에서 "험-바킹(hum-bucking)" 픽업으로서 알려져 있는 형태의 픽업(34)을 구비하는데, 그 픽업은 브리지(28)와 인접하게 본체(22)에 장착된다. 픽업(34)은 본체(22)의 상부면을 따라 연장하는 영구자석(36)과 일체로 되며, 그 자석(36)은 헤드스톡(30)을 향하고 있는 N극과 테일스톡(26)을 향하고 있는 S극을 갖는다. 또한 픽업은 자석(36)의 N극과 인접한 6개의 강자성 프롱(prong) 즉, 돌출부(38)와, S극과 인접한 6개의 유사한 프롱 즉, 돌출부(40)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38,40)는 쌍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그러한 쌍은 N극과 인접한 하나의 돌출부 (38)와 S극과 인접한 하나의 돌출부(40)를 갖는다. 각 쌍의 두개의 돌출부는 하나의 현(32)과 정렬된다. 이러한 돌출부는 자석으로부터 나온 자속을 현에 집중시키는 성향을 갖는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속에 대한 방향을 통상의 방식을 도입하며 생각하면 자속은 각 돌출부(38)로부터 정렬된 현(32)을 향하여 상향으로 방사되고 다시 현을 통하여 그 관련 돌출부(40)를 향해 하향으로 복귀한다. 첫번째의 소정 방향으로 권취된 코일(42)은 돌출부(38)의 전체 둘레에서 연장하며, 그 반대 방향으로 권취된 코일 (44)은 돌출부(40)의 전체 둘레에서 연장한다. 돌출부(38, 40)의 특정쌍과 관련한 현(32)의 상하운동으로 그 현과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며 그에 따라 돌출부 사이의 자기 저항이 변하게 된다. 현이 돌출부는 접근(하향 이동)하는 경우에는 자기 저항이 감소하여 돌출부(38)를 통해서 상향으로 지향된 자속이 증가함과 아울러, 돌출부 (40)를 통해서 하향으로 지향된 자속이 증가한다. 현이 상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반대 현상이 나타난다. 현의 어느 특정한 상향 또는 하향 이동의 경우에, 반대 방향으로 권취된 코일의 자속의 반대 방향의 변화에 의해 유도된 전압들은 상대의 전압을 보강시켜서 적합한 출력 전압을 발생시킨다. 모든 현들이 유사한 자속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픽억업(34)의 출력은 모든 현(32)의 상하 운동을 표시하는 복합신호로 된다. 표류 전자기 신호는 코일(42, 44)에서 서로 반대 방향인 전압을 유도하므로, 그 표류 전자계는 출력신호를 거의 또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출력 즉, 픽업 신호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주파수 통신선등의 통상의 공중통신선(50)을 통하여 통상의 증폭기(46)와 확성기(48)로 양호하게 전송된다. 공중통신선과 픽업은 고정 전원이나 증폭기(46)중 어느 하나에 와이어 접속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기타(20)에 접속된 공중 통신선의 부분은 기타에 장착된 전지등으로 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픽업(34)은 악기의 음지속기의 전치증폭기(74)를 통해서 공중 통신 시스템(50)에 접속된다.
음지속기는 구동기(52)를 구비하며, 구동기(52)는 제3도에 도시한 기다란 장방향 강자성체(54)와 일체로 되어있다. 강자성체(54)는 "세라믹-B"라는 상표로서 알 수 가능한 세라믹 강자성체로 구성된 영구자석이다. 강자성체(54)의 자화는 그 N극이 한쪽의 기다랗고 좁은 면(56)을 따라서 연장하고, S극은 대향면(58)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지향된다. 구동기(52)는 강자성체(54)를 에워싸는 구동코일(60)을 포함한다. 코일(60)은 일반적으로 나선형이며, 그 나선의 모양은 강자성체(54) 둘레에서 밀접하게 정합되도록 왜곡된다. 구동코일(60)의 축선은 강자성체(54)의 극대극 방향, 즉 면(56, 58)사이에서 연장한다. 구동코일(60)은 접지접속부(62)와, 그 대향 방향의 단부 접속부(64)와 중심택(66)을 구비한다(제4도).
스크류(65)등의 장착 수단 또는 다른 통상의 고정 장치는 현(32)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라 소정의 구동위치에서 기타등의 악기 구조물(20)에 구동기(52)를 장착시킨다. 구동 위치는 브리지(28)와 헤드스톡(30)으로부터 이격되며, 양호하게는 브리지와 헤드스톡 사이의 대략 중간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구동위치는 악기 본체(22)와 넥(24) 사이의 접합부 근처에 있게된다. 장착 수단은 강자성체(54)의 긴 치수 Z가 현배열의 측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강자성체(54)의 N 극면(56)이 현(32)의 배열을 향하여 상향으로 면하도록 악기 구조물에 구동기(52)를 고착시키게끔 배열된다. 강자성체 (54)의 긴 치수 Z가 현(32) 배열의 측 방향폭 W보다 큰 경우, 그 강자성체는 현배열의 양연부를 넘어서 측 방향으로 연장한다.
구동기(52)가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 강자성체(54)의 영구자석으로 부터 유도되는 자속은 현(32)과 부딪친다.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자성체(54)로부터 발생한 영구저석은 픽업(34)상의 각 후방 돌출부(38)에서의 자속과 동일 방향성을 갖는다. 강자성체(54)와 각 돌출부(38)내의 자속은 상부로 지향된다. 다시 말해서, 구동기의 강자성체내의 자속은 픽업의 가장 가까운 동작부분 즉, 돌출부내의 자속과 동일 방향성을 갖는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강자성체(54)의 상향으로 면하는 N 극면(56)은, 사실상 구동기 위치에서 현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면(68)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따라서, 강자성체(54)의 상부 즉 현과 면하는 면(56)은 그 중간지점에서 다소 상향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얼마간의 굴곡은 구동위치에서 현(32)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면(68)의 굴곡과 일치하는데 이 또한 제2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현과 면하는 면(56)과 가상면(68) 사이의 간격은 현배열의 전체 측 방향 연장부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강자성체면(56)은 사실상 적어도 현배열의 측방향 연장부내에서, 양호하게는 그 연장부를 넘어서까지도, 현을 향하여 연장하는 돌출부 또는 현으로 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노치를 갖지 않는다. 따라서, 현(32)과 부딪치는 강자성체(54)로 부터 발생한 영구자석은 현배열의 전체폭에 대하여 거의 균일하며, 이러한 균일한 자속은 현배열을 넘어서 측 방향으로 연장한다. 현(32)이 강자성체인 경우, 강자성체(54)로부터 발생한 자속은 현 상에서 일정한 인력을 발생한다.
코일(60)에 의한 자속은 코일(60)의 권선내에서의 전류 흐름의 방향에 따라 강자성체(54)의 영구 자력에 의한 자속을 억제 또는 보강시킨다. 따라서, 구동기에 의해 현에 가해진 인력은 코일(60)내의 전류 흐름의 양 및 방향에 따라서 감소 또는 증가한다. 강자성체(54)는 현이 배열 및 그 현배열을 약간 넘는 측 방향 연장부에 대하여 코일 (60)로 부터 발생한 자속을 균일하게 분포시킨다. 따라서 코일(60)에 교류전압을 가함으로써 구동기(54)에 의해 현(32)에 가해진 인력을 선택적으로 증가 및 감소시키도록 코일내에서 교류전류를 유도시킬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코일(60)에 가해진 교류 구동신호는 현위에 교호하는 구동력을 유발한다. 이러한 구동력 즉, 인력이나 척력은 강자성체(54)의 영구자석에 의해 발생한 일정한 인력위에 중첩된다. 코일(60)로 부터 발생한 자속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는 만큼, 각 현상의 구동력은 현의 측 방향 변위와 무관하게 거의 균일하다.
음지속기는 또한 픽업(34)으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픽업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기(52)에 구동신호를 인가하는 제4도 도시의 귀한 수단(70)을 포함한다. 귀환 수단(70)은 픽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접속부(72)를 구비한다. 입력(72)은 픽업(34)에 접속되기에 적합한 플러그 또는 탭으로서 제공된다. 입력(72)는 전치 증폭기(74)에 접속되고, 전치 증폭기(74)의 출력은 공중 통신 시스템(50)의 입력에 접속되어 픽업 신호가 픽업(34)으로 부터 전치 증포기(74)를 통하여 시스템(50)으로 전달된다. 전치 증폭기는 고입력 임피던스를 갖는다. 이러한 전치 증폭기는 통신 시스템에 의한 로딩 (loading)으로 부터 픽업(34)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전치 증폭기(74)의 출력은 또한 픽업 신호 입력 노드(76)에 접속되며, 입력노드(76)는 직접 통과 접속회로(78)에 의해서 3-위치 선택 스위치(84)의 한단자(84a)에 접속된다. 입력노드(76)는 지연회로(80)와 가변 진상 회로(82)에 접속되며, 이 회로들은 각각 순서적으로 스위치(84)의 단자(84b, 84c)에 접속된다. 스위치(84)의 공통 단자(84d)는 자동 이득 제어회로(AGC)(145)와 부스터 증폭기(146) 및 온/오프 스위치(86)를 통해서 출력 증폭기(88)에 접속된다.
자동 이득 제어 회로(145)는 신호로내에서 직렬 접속된 제5도 도시위 커패시터 (131)와 저항기(133)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35)를 구비한다. FET(135)의 게이트는 전위차계(137)의 와이퍼 즉, 가변 탭에 접속된다. 전위차계(137)는 접지와 다이이드(141) 사이에서 커패시터(139)와 병렬로 접속되며, 다이오드(141)는 저항기(143)를 통해서 제4도 도시의 출력 증폭기(88)의 출력에 접속된다. FET(135)의 저항값 및 그에 따라 부스터 증폭기(146)에 전달된 신호의 레벨은 전위차계(137)의 세팅 및 커패시터(139)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러한 전압은 또한 출력 증폭기(88)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 레벨에 따라서 변화한다. 부스터 증폭기(146)는 통상의 연산 증폭기 장치이다. 온/오프 스위치(86)는 통상의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로서 제어입력인 게이트 접속부와 신호 입출력부를 갖는다. 제어 입력에 가해진 전압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으면 이 장치는 신호 입력부와 신호 출력부 사이에서 비전도성을 갖는다. 출력 증폭기(88)는 통상의 푸시풀 트랜지스터 증폭기일 수 있다.
출력 증폭기(88)는 2-위치 스위치(90)의 입력에 결선되며, 상기 스위치는 구동 코일(60)의 단부 접속부(64)나 중심탭(66)에 출력 증폭기를 접속시키도록 동작한다. 신호검출기(92)는 노드(76)에서 전치 증폭기(74)의 출력에 접속된다. 신호 검출기(92)는 전치 증폭기(74)로부터의 신호의 진폭을 포시하는 전압을 발생하는 통상의 소자일 수 있다. 따라서, 신호 검출기(92)는 증폭기, 그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정류기, 그 정류기의 출력에 접속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데, 그 접속은 블리드 접속으로서 커패시터에 축적된 전압이 증폭기의 시간 평균으로 정류된 출력을 표시하도록 된다. 신호 검출기(92)로부터의 전압은 온/오프 스위치(86)의 제어 입력에 인가된다.
전치 증폭기(74), AGC회로(145), 부스터 증폭기(146), 온-오프 스위치(87), 및 출력 증폭기(88)는 가정추파수 범위내의 신호에 대해 사실상 전체적으로 제로인 위상 편이를 유도한다. 유사하게 신호 직접 통과회로(78)는 사실상 제로인 위상편이를 유도한다. 따라서 전치 증폭기가 직접 통과회로(78)를 거쳐서 출력 증폭기에 접속하는 경우, 출력 증폭기(88)에 의해서 제공되는 구동 신호 즉 구동 전압은 전치 증폭기(74)에 가해진 픽업 신호와 사실상 동상이다. 가청 주파수 범위내의 신호에 대해서는 구동신호의 양의 행정(positive-going excursion)이 픽업 신호의 양의 행정과 사실상 동시적으로 발생한다. 여기에서 양(positive) 또는 음(negative)이라고 명시된 픽업 및 구동신호의 값은 관련된 힘 또는 운동을 나타내는 일관된 부호 규칙에 따라서 명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양의 픽업신호는 현 또는 현들의 상향 이동과 관련한 픽업신호이다. 반면에 음의 픽업신호는 현 또는 현들의 하향 이동과 관련된 픽업신호이다. 유사하게 양의 구동신호는 현 또는 현들상에 상부이동력(즉, 하부이동력을 감한것)을 발생시키는 신호이고, 반면에, 음의 구동신호는 현 또는 현들상에 하부 이동력(상부 이동력을 감한것)을 발생시키는 신호이다. 전기접지와 관련한 픽업신호 또는 구동전압의 부호간의 관계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일관된 부호 규칙에 따르는 전압의 부호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이것은 픽업 또는 구동기내의 코일의 권선방향과 그러한 코일의 물리적 방위에 의존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일관된 부호 규칙에 따른 제로의 위상편이는 접지와 관련한 극성의 통상적인 관념에 따라서 0° 또는 18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 회로망 또는 지연회로(80)는 노드(76)에 인가된 인입신호와 지연회로 (80)를 통해서 스위치 단자(84b)에 전달된 출력 신호사이에서 소정의 단일 위상 전달 함수 또는 관계를 갖는다. 지연회로망(80)은 노드(76)에 접속된 입력노드(100 : 제5도 도시)와 스위치 단자(84b)에 접속된 출력노드(102) 및 반전, 비반전 압력을 가지며 지연회로망의 출력노드(102)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연산증폭기(104)를 구비한다. 또한, 지연회로망은 입력 노드(100)의 증폭기(104)의 반전 및 비반전 입력사이에 접속된 저항기(106, 108) 및 출력노드(102)와 증폭기(104)의 반전 입력 사이에 접속된 귀환 저항기(110) 및 증폭기(104)이 비반전 입력과 접지사이에 접속된 커패시터 (112)를 각각 갖는다. 지연회로망(80)의 위상 전달 함수는 다음의 방정식으로 표시 될 수 있다.
여기서 θ80은 노드(102)에서의 출력 신호가 노드(100)에서의 입력 신호보다 지연되는 양이며, R108은 저항기(108)의 값이며, C112는 커패시터(112)의 값이며, f는 신호의 주파수이다.
가변 진상 회로(82)는 노드(76)에 접속된 입력을 가지는 감쇠기(120)를 갖는다. 감쇠기(120)의 이득은 1이하이며 통상으로는 0.4이다. 감쇠기(120)의 출력은 가변위상 전달함수 회로망(128)의 픽업 신호내부 공급 노드(126)에 접속된다. 회로망 (128)은 저항기(132)를 통해서 픽업신호 내부 공급 노드(126)에 접속된 반전 입력을 가지는 연산증폭기(130)를 구비한다. 연산증폭기(130)의 출력은 신호 외부 공급 노드(134)에 접속되며, 귀환 저항기(136)는 신호 외부 공급 노드(134)와 증폭기 (130)의 반전 입력 사이에 접속된다. 커패시터(138)는 픽업신호 내부 공급 노드(126)에 접속된 제1측과 증폭기(130)의 비반전 입력에 접속된 제2측을 갖는다. 복합 구성의 가변값 저항소자(140)는 커패시터(138)의 제2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이 가변값 저항 소자는 고정값 저항기(142)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144)를 구비하는데, FET(144)의 소오스 및 드레인은 고정값 저항기(142)와 병렬로 접속된다. 회로망 (128)의 신호 외부 공급노드(134)는 스위치(84)의 한단자(48C)에 접속된다.
FET(144)의 게이트는 입력 파향 방형기(150)와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 (152) 및 굴곡 형성 회로(154)를 구비한 주파수 감시 및 제어회로에 접속된다. 파형방형기(150)는 스위치노드(76)에 접속되어 인입픽업 신호를 수신하는 비반전 입력을 가진 비교기(156)를 구비한다. 비교기(156)의 반전입력은 저항기(159, 160) 사이에 접속되며, 이 저항기는 양전압원(165)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기준 전압을 제공한다. 비교기(156)의 출력은 역방향 접속된 제어다이오드(165)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되어 있는 방형파 출력노드(162)에 접속된다. 노드(162)에 나타나는 전압은 단지 두가지의 값만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방형파이다. 이러한 방형파는 노드(76)를 통해서 인가된 픽업신호 성분이 노드(161)에서 인가된 기준전압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두가지 값중 제1값을 가지며, 반대의 상태인 경우에 다른 하나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노드(62)에 나타나는 파형은 방형파로 변환된 픽업신호를 표시한다. 방형파의 주파수는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 픽업신호의 성분에 의해 제어되며, 단일 현의 자유진동에 의한 픽업 신호에 있어서, 노드(162)에서의 방형파 주파수는 그 현의 기본 진동 주파수와 사실상 동일하다.
주파수-전압 변환회로(152)는 노드(162)에서의 방형파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이 주파수와 거의 선형 함수관계를 갖는 출력 전압을 발생하도록 배열된 초소형 전자회로(170)를 갖는데, 상기 주파수가 제로인 경우에 상기 전압은 제로이다. 초소형 전자회로(170)는 미합중국, 캘리포니아, 서니베일 소재 EXAR 컴패니의 부품번호 XR4151로서 시판중인 형태의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초소형 전자회로의 경우에, 각각의 핀의 접속은 제5도의 도시와 같은데, 제조자의 핀접속 설계에 의한 것이다. 핀 4는 접지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반면, 핀 2는 저항기(190)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핀 1은 초소형 전자회로(170)의 출력 접속부로서 역할을 한다. 핀 3은 접속되지 않는다. 전위치계(194), 고정값 저항기(195)와 커패시터(196)는 핀 1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핀 8은 양전압원(165)에 접속된 양전압 버스(172)에 직접적으로 접속된다. 핀 5, 6 및 7은 전압 강하 저항기(174, 176, 178)를 통해서 동일한 버스에 접속된다. 핀 5는 또한 커패시터(180)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되고 핀 7은 저항기 (182)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파형 방형기(150)의 출력 노드(162)는 커패시터(184)를 통해서 핀 6에 접속되는데, 핀 6과 접지 사이에는 전압 강하 저항기(186)가 접속된다.
굴곡 형성 회로(154)는 저항기(202)를 통해서 주파수-전압 변환기(152)의 출력에 접속된 비반전 입력 및 저항기(206)를 통해서 조정 가능 양정압력(204)에 접속된 반전입력을 가지는 연산증폭기(200)를 구비한다. 접지 저항기(208)는 연산증폭기(200)의 비반전 입력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고, 귀환 저항기(210)는 연산증폭기의 출력노드(212)와 반전입력 사이에 접속된다. 사실상, 연산증폭기(200)와 그 관련 저항기는 주파수-전압 변환기(152)에 의한 전압 출력으로부터 전압원(204)에 의해 제공된 기준전압을 차감하고 그 차를 고정 이득과 승산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승산의 결과는 출력노드(212)에서 나타난다.
노드(212)는 저항기(214)를 통해서 연산증폭기(216)의 반전입력에 접속된다. 연산증폭기의 비반전 입력은 저항기 (218)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되며, 귀환저항기 (220)는 연산증폭기(216)의 반전입력과 출력노드(217)사이에 접속된다.
노드(212)는 또한 저항기(222)에 접속되고, 이 저항기(222)는 노드(224)에서 다른 저항기(226)에 접속되며, 그 저항기(226)를 통해서 조정 가능 기준전압원 (228)에 접속된다. 노드(224)는 다른 연산 증폭기(230)의 반전 입력에 접속되며 그 연산증폭기(230)의 비반전 입력은 저항기(232)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조정가능한 귀환 저항기(234)는 연산 증폭기의 출력노드(231)와 노드(224) 사이에 접속되며, 노드(131)는 다이오드(236)와 저항기(238)를 통해서 다른 연산증폭기(240)의 비반전 입력에 접속된다. 연산증폭기(240)의 비반전 입력은 또한 저항기(242)를 통해서 접지에 접속된다. 연산증폭기(240)의 반전입력은 다른 저항기(243)를 통해서 증폭기 (216)의 출력노드(217)에 접속된다. 귀환 저항기(244)는 연산증폭기(240)의 반전 입력과 출력(246) 사이에서 결선된다. 연산 증폭기(240)의 출력노드(246)는 저항기 (247)를 통해서 회로망(128)의 가변 저항 소자(140)를 구성하는 FET(1440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다이오드(249)는 저항기(247)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다.
출력 증폭기(88), 전치 증폭기(74), 가변진상, 지연회로(82, 80)등의 전기 동작 부품을 포함하는 음지속기의 모든 전기 부품은 제4도의 축전지 유니트(85)등의 자체내장 전원 수단에 의해 공급받는다. 축전지 유니트와 귀환 수단의 모든 부품들은 악기에 장착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제1도에 개략 도시한 바와 같이, 귀환 수단의 모든 전기 부품(축전지 유니트(85)포함)은 하우징(87)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하우징(87)은 적당한 클램프 또는 다른 장착 장치(89)에 의해서 기타(20)의 본체(22)에 분리가능하게 고착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귀환 수단과 전원수단 즉 축전지 유니트(85)는 그 전체가 기타의 본체(22)내에 장착 될 수도 있다. 전체 음지속기가 자체내장 전원장치 즉, 축전지 유니트(85)에 의해서만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외부의 전원 접속은 필요치 않다. 축전지 유니트(85)는 9V 트랜지스터 라디오 전지로서 통상 형태의 두개의 셀을 장착하기 위한 통상의 클립을 포함한다. 축전지 유니트(85)는 그에 의해 공급된 전압의 변화와 무관하게 사실상 일정한 출력 전압을 지속시키기 위한 통상의 스위칭 조정 회로등의 도시하지 않은 전압조정 회로를 또한 포함한다. 전압 조정회로를 채용함으로써, 축전지 전압 레벨이 떨어지기 시작할 때 즉, 그 축전지 수명의 종단부 중에도 그 전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동작에 있어서, 픽업(34)은 하나 이상의 현(32)의 진동을 표시하는 픽업신호를 입력접속부(72)에 제공하며, 이 신호는 전치 증폭기(74)에서 증폭된다. 스위치(84)가 제4,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세트될때, 전치 증폭된 픽업신호는 가변 진상 회로(82)를 통해서 전송된다. 파형 방형기(150)는 픽업신호를 검출하여 출력노드 (162)에서 픽업 신호내의 우세 주파스와 동일한 주파수 즉, 가장높은 진폭을 가지는 픽업신호의 주파수를 갖는 방형파를 제공한다. 제6도에 개략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전압 변환회로(152)에 의해 제공된 전압 V152는 노드(162)에서 나타난 방형파의 주파수 f162가 제로인 경우에는 사실상 제로이며, 그 방형파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노드(212)에 나타난 전압 V212는 제로 주파수에서 큰 크기를 가지는 음전압이며, 그 음전압 V212의 크기가 주파수 증가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감소하여서, f162가 소정의 최대값 fmax에 달했을때 제로로 된다. 이 값 fmax는 악기의 최대 기본주파수에 양호하게 대응하며 일반적인 기타의 경우에 fmax는 약 1318Hz이다. 노드(217)에서의 전압 V217은 본질적으로 V212의 역이 된다. 즉, 제로값의 f162에 대해서 양의 값을 가지며, 주파수 f162가 증가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V212에 응답하여 노드(231)에서 발생된 전압 V231은 주파수 f162가 제로인 경우에 양이며, 방형파인 상기 주파수 f162가 비교적 낮은 절환 주파수 fc와 동일해지는 경우에 제로점을 교차하고 더 높은 값의 주파수 f162에서는 음이되도록 선형 감소한다. 기타에 있어서 fc는 양호하게는 250~350Hz이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약 300Hz이다. 노드(246)에서 나타나는 전압 V246, 즉 FET(144)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은 V231과 V217의 복합 함수이다. V231이 음인 경우에, 즉 fc이상의 방향파 주파수에서 다이오드(236)는 효과적으로 V231을 차단한다. 따라서, 이 주파수 범위에 있어서는, V246이 V의 단독 함수로 되어, V240=G240(-V217)식이 성립한다.
여기서, G240은 연산증포기(240)의 이득이다.
V231이 양인 경우에, 즉 fc 이하의 주파수에서 다이오드(236)는 V231을 차단하지 못한다. 따라서,
V246=G240(V231-V217)
그러므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V240즉, FET(144)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은 음으로 되고 실절적으로 제로 방형파 주파수일 때의 전압 크기를 갖는다. V246의 크기는 방형파 주파수 f162가 제로로부터 fc로 증가하는 경우에 제로를 향하여 비교적 서서히 감소하고 f162가 fc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감소한다. FET (144)의 소오스-드레인저항 R144는 게이트 전압 V246의 함수를 갖는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R144는 V246에 의존하여 넓은 범위에 걸쳐서 변환한다. 낮은 방형파 주파수에 있어서 매우 높은 음의 값 V246의 경우에, R144는 수백 KΩ인 반면, V246이 제로에 접근하는 경우 즉, 방형파 주파수 f162가 fmax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단지, 수 KΩ정도 불과하다. 병렬 저항소자(142)를 포함한 전체 저항 R140은 상기와 유사하게 f162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한다. 회로(82)에 공급된 픽업 신호의 가장 높은 진폭의 주파수에 방형파 주파수 f162가 대응하므로, 저항 소자(140)의 저항 R140은 픽업 신호의 가장 높은 진폭의 주파수와 함수관계를 가지며, 그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한다.
위상 전달 함수 즉, 회로망(128)의 내부 공급 노드(126)에 공급된 신호와 외부 공급 노드(134)에 나타나는 신호 사이의 위상 관계는 다음의 관계식으로 표시한다.
여기에서 θ128은 노드(134)에서의 출력신호의 주파수 성분 f가 노드(126)에서 입력 신호의 대응하는 성분보다 앞서는 양이며; f는 주파수이고; R140은 복합소자 (140)의 저항값이며; C138캐패시터(138) 용량이다.
이러한 관계식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140과 C138이 소정이 고정값으로 주어질때, 회로망(128)의 위상 전달 함수는 진상과 주파수 사이에 소정의 관계를 갖는데,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신호의 진상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다. 그러나, 위상 전달 함수는 R140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R140의 값은 그 자체가 인입 전치 증폭 픽업신호의 가장 높은 주파수의 함수관계를 가지므로, 전술한 위상 전달 함수는 픽업 신호의 가장 높은 진폭의 주파수에 대응한다. 픽업신호의 우세 주파수가 증가하면, R140은 감소하므로, 회로망(128)의 위상 전달 함수는 모든 신호 성분에 대해 더 큰 출력 진상을 제공하도록 변화한다. 상기 신호 성분의 주파수에 대한 특정 주파수 성분에 대해서는 단일 커브의 진상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회로망(128)에 의해 주어진 그 회로망을 통과하는 신호의 어떤 성분에 대한 진상은 특정 성분의 주파수와 픽업 신호의 특정의 우세한 성분의 주파수와 함수관계를 가질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신호에 있어서 우세 주파수 성분만을 고려할 때, 이러한 복귀적인 효과에 의해서 회로망(128)에 의해 주어진 우세 성분의 진상은 그 성분의 주파수에 따라서 증가한다. 위상 전달 함수 방정식에 있어서,
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R140은 f의 증가보다 더 빠르게 감소한다. 픽업신호가 진동현이 이동을 표시하는 경우에, 가장 높은 진폭의 주파수는 통상 기본 진동 주파수이다. 따라서, 기본 주파수에 대해 회로망(128)에 의해 주어진 진상은 기본주파수 성분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한다. 전치증폭기(74)와 출력 증폭기(88)는 어떠한 위상편이에도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출력 증폭기(88)에 의해 코일(60)에 가해진 구동신호는 픽업(34)으로부터의 픽업신호보다 앞서게 되며, 이러한 진상은 회로(82)에 의해 주어진 진상 즉, 회로망(128)에 의해 주어진 가변 진상이 된다. 따라서, 출력 증폭기(88)에 의해 가해진 구동신호는 픽업신호보다 앞서며, 기본 주파수 성분에 있어서의 진상의 크기는 기본 주파수에 따라 증가한다.
출력 증폭기(88)에 의해 코일(60)에 가해진 구동신호 즉 구동 전압은 코일 (60)내의 전류 흐름을 유발하여 현(32)에 대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력은 코일 (60)내의 전류에 따라서 변화하며, 이 전류는 출력 증폭기(88)에 의해 가해진 전압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구동력은 구동신호 뒤로 지연된다. 또한, 픽업(34)에 의해 발생된 픽업신호는 현(32)의 이동뒤로 지연된다. 이러한 지연은 진동주파수와 신호주파수 및 관련되며, 주파수에 따라서 증가한다. 가변 진상 회로(82)에 의해서 제공된 진상의 증가는 이러한 지연을 보상하고, 픽업신호(34)에 응답하여 구동기(52)에 의해 가해진 구동력이 하나의 현(32)의 기본 진동과 사실상 동상을 이루게 한다. 달리말하자면, 픽업과 구동기의 합성 전달 함수는 현의 이동뒤로 구동력이 지연되게 하고 이러한 지연이 주파수에 따라서 증가되게 한다. 가변 진상 회로망의 전달 함수는 픽업과 구동기의 합성 위상 전달 함수와 사실상 역의 관계를 갖는다.
하나의 현의 최초로 여자되는 경우에, 픽업신호의 우세 주파수는 그 현의 기본 주파수가 된다. 가변 진상회로(82)는 그 기본 주파수에 따라서 이러한 진상 특성을 조정함으로써 현의 진동과 실질적으로 동상인 상기 기본 주파수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복수의 현이 여자되는 경우에, 가변 진상 회로(82)는 가장 큰 진동폭을 가지는 특정형의 기본 주파수에 따라서 그 진상 특성을 조정하는 성향을 갖는다. 따라서, 가변진상 회로는 가장 높은 진폭을 가지는 특정현의 진동을 지속시키는데 있어서의 최대 효과를 위한 최적의 위상 조정하에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진상 특성을 선택한다. 회로(82)가 제공하는 진상이 단지 하나의 현에만 적합하기 때문에, 다른 현에 대해서는 최적한 상태가 되지 못한다. 구동기(52)는 현(32) 모두에 구동력을 인가한다. 본 발명이 어떠한 동작 이론에도 제한되지 않지만, 어느 한 현의 기본주파수에서의 구동력은 그 현의 기본 진동과 사실상 동상이고, 다른 현의 기본 주파수에서의 구동력은 다른 현의 기본 진동과 이상이기 때문에, 그 구동력은 한 현의 진동 운동을 다른 현보다 훨씬더 큰 정도로 보강시킨다. 어떤 경우에도 가변 진상 회로(82)가 동작 상태에 있고 복수의 현이 최초로 여자되면 악기의 음지속기는 최초로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 어느 한 현의 진동을 선택적으로 보강시킨다.
우세 주파수의 진상과 가변 지상 회로(82)에 의해 주어진 우세 주파수 사이의 관계는 주파수-전압 변환기(152)의 주파수/전압 관계를 포함한 시스템 부품의 특성과 굴곡 형성 회로(154)의 특성에 따라서 좌우된다. 이러한 관계는 이들 파라미터중 어느 것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굴곡 형성회로(154)에 가해진 여러가지 이득과 기준전압을 정하는 저항기를 굴곡 형성 회로의 동작을 변경시키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최적의 관계는 음지속기에 가해진 픽업신호의 위상 특성에 따라서 결정된다. 따라서, 가변진상 회로에 대한 최적의 위상관계는 부분적으로 픽업 신호가 현의 운동의 뒤로 지연되는 신호인지 여부에 따라서 좌우되는데, 통상으로는 주파수에 다른 그러한 지연의 변화의 특성, 지연의 정도와 유도픽업에 따라서 결정된다. 또한, 가변진상 회로에 대한 최적의 위상 관계는 구동기의 위상 전달 함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유도 픽업과 유동 구동기의 합성위상 지연효과는 다음의 관계식으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여기서,
R은 저항이며, XL은 유도리액턴스이다. SL=2pifL인 경우에, 상기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L은 인덕턴스이다.
양호하게도, 우세 주파수와 가변 진상 회로(82)에 의해 주어진 우세 주파수의 진상사이의 특성관계는 임의의 우세 주파수의 경우에, 그 진상이 사실상 상기 관계식에 의한 지연과 일치하도록 선택된다. 소망스럽게는, 굴곡 형성 회로(154)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조정 부품의 음지속기의 사용시에 수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이러한 특성관계가 특정 악기의 경우에 적합하도록 "동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일반의 방식으로 동조되는 통상의 전기 기타의 경우에, 가변 진상 회로는 옥타브(Octave)마다 약 35°의 비율로 증가하는 픽업 신호에 관하여 구종 신호의 우세 주파수의 진상을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주파수가 약 100Hz 또는 그 이하인 경우에 진상은 약 0°이다. 즉, 약 -10°(10°지연)과 +10°(10°앞섬)사이에 있다. 가변 진상 회로망은 우세 주파수가 악기의 최대 기본 주파수인 약 1318Hz인 경우에 픽업 신호에 관하여 약 130° 내지 150°앞서는 구동신호 우세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지연 회로망(80)과 직접 통과 회로(78)는 가변 진상 회로(82)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 신호의 위상 특성과는 다른 위상 특성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신호 수단을 구성한다. 따라서, 악사는 조작스위치(84)에 의해서 아긱의 음지속기가 발생하는 효과를 선택할 수 있다. 고정 위상 전달 함수의 지연회로망(80)이 스위치(84)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에, 구동신호는 픽업 신호보다 지연되고 그 구동력은 현의 이동 이후로 지연된다. 이러한 모드에 있어서, 음지속기는 기본 주파수보다 임의의 고조파를 보강하는 성향을 갖는다. 신호 직접 통과회로(78)와 결합되는 경우에, 구동신호는 픽업신호와 동상 관계를 가지며, 그에 따라 구동력은 픽업(34)과 구동기(52)에 의한 지연과 동일한 양만큼 현의 이동 이후로 지연된다. 이러한 동작모드에서, 현의 기본 진동을 보강하는 음지속기의 효율성은 가변진상 회로망(82)이 결합된 경우보다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약 30Hz 이상, 특히 약 600Hz 이상의 비교적 높은 기본 주파수에서 가장 최대로 나타난다. 따라서, 음지속기는 신호 직접 통과회로(78)가 결합될 때의 비교적 낮은 기본 주파수에 대해서도 유용한 음지속 동작을 제공한다. 더우기, 신호 직접 통과 회로(78)가 결합되는 경우에, 음지속기는 단지 한 현의 주파수에서만 록인(lockin)되는 성향을 갖는다. 신호 직접 통과회로는 가변 진상 회로(82) 대신에 사용될 수 있으며, 연주중인 현은 비교적 낮은 기본 주파수 음색을 구성한다.
구동 수단에 가해진 구동 신호의 크기 및 현에 가해진 구동력의 크기는 AGC회로(145)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FET(135)는 입력(72)으로부터 출력 증폭기(88)로 통과하는 귀환 신호에 의해서 교차되는 통로에서의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FET(135)는 신호를 감쇠시킨다. FET(135)의 저항과 그에 따른 감쇠의 정도는 전위차계(137)를 통해서 FET(135)의 게이트에 가해진 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전위차계(137)를 소정의 값으로 세팅하는 경우에, 구동신호의 크기와 게이트 전압 사이의 소정의 관계를 구동 신호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쇠의정도가 증가하는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소정의 구동 신호 레벨로 안정화된다. 이러한 레벨은 전위차계(137)를 조정함으로써 변화 될 수 있어서 감쇠의 구동신호크기의 관계를 변경한다.
스위치(90)는 구동신호의 전력 레벨을 추가로 대략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가 제4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고, 구동 신호가 코일(60)의 단부탭(64)에 결합되는 경우에, 증폭기(88)의 출력에는 그 코일의 전체 저항 및 유도리액턴스가 접속된다. 따라서, 코일(60)을 통과하는 전류 및 그에 따라 장치의 전력 소모가 비교적 낮아진다. 스위치(90)가 다른 위치에 있게 되어 단부탭(64)이 상기 신호와 결합되지 않고 중심 탭(66)이 상기 신호와 결합되지 않고 중심 탭(66)이 결합되는 경우에, 유도리액턴스의 효과는 적어지고 코일의 저항은 감소하여, 코일내의 전력 소모가 증가된다. 이는 더 큰 크기의 구동력 제공하며, 보다 유효한 음지속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스위치 (90)를 조작함으로써, 악사는 저전력 소모로 연장된 축전지 수명을 갖는 정상의 음지속 또는 다소 축전지의 수명은 단축되더라도 고출력에 의한 음지속 효과를 선정할 수 있다. 스위치(90)과 중심탭(66)는 조성 가능의 AGC 회로가 제공되는 경우에 제거될 수 있다.
통상의 방식에 있어서, 악사는 각 현(32)의 동작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즉 넥위의 어느 한 플렛(25)에 대하여 각각의 현을 누름으로써 각 현들의 기본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각 현의 기본 주파수에 대한 스탭식의 조정만을 제공한다. 악사는 또한 현배열의 폭방향에서 현을 측방향으로 구부리기 위해 현위에 측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적절하게 가함으로써 각 현의 기본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현의 단부는 브리지(28) 및 헤드스톡(30)에 의해서 측방향 이동에 대항하도록 수축된다. 픽업(34)은 브리지 (28)근처에 있기 때문에, 픽업에서의 현의 측방향 이동은 최소로되며, 따라서 각각의 현은 그 현이 가능한 최대의 정도로 구부려지는 경우에도 그 관련 돌축부(38, 40)와의 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구동기(52)는 브리지 헤드스톡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구동기 위에 놓이는 각 현의 부분의 악기 연주시 실제의 범위에 걸쳐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기(52)의 위치에서 각 현의 정상적인 왜곡되지 않은 위치의 양측으로의 측방향으로 이동 범위는 현배열에서 현사이의 측방향 거리와 거의 같으며, 그 현의 정상위치의 어느 일측에 대해 약 1인치 정도될 수 있다. 배열의 연부에서 현의 이동범위는 배열의 중심을 향해서만 연장하는데, 이는 가장 바깥의 현들이 정상 연주시에 외측으로 변위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의 측방향 이동은 음지속기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코일(60)로부터 발생한 자속은 현 배열의 폭 즉 측방향 연장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분포되기 때문에 각 현은 그 측방향 이동 범위내의 임의 위치에서 사실상 동일한 구동력을 받는다. 따라서, 각 현에 가해지는 구동력은 사실사이 현의 측방향 이동에 무관하다. 이러한 것은 악사가 효과적인 음지속 효과와 관련하여 현을 측방향으로 적절하게 구부림으로서 얻어지는 고유한 효과를 달성하는데 자유로움을 가질 수 있다는 충분한 장점을 제공한다. 상술한 고유의 위상 전달 함수 특성을 제공하는 음지속기의 다른 부품은 이러한 장점에 일조를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짐으로써 현의 기본 진동의 유용한 보강이 코일(60)로부터 발생한 자속의 중간 레벨로서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현이 정상적인 비왜곡 위치에 있을때 코일(60)로부터 발생한 자속을 집중시키기 위해 강자성체(54)나 다른 장치상에 돌출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한 자속 집중 장치는 현이 측방향으로 구루려지지 않는 한 음지속기의 동작을 증강시키지만 그 현이 측방향으로 구부려지는 경우에는 응답을 크게 손상시킨다.
구동기와 관련한 영구자계의 방위는 또한 음지속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기와 관련한 영구 자계의 자속은 가장 가깝게 위치한 픽업의 부분으로부터의 자속과 동일 방향성을 갖는다. 이것은 반대의 경우보다 현의 기본적 진동을 강하게 보강시키는데, 반대의 경우란 영구자속이 가장 가까운 픽업으로 부터의 자속에 대해 반대 방향을 갖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차이의 이유는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반대의 경우 즉, 방향의 자속 배열이 사용되는 경우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반대의 배열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저주파수에서의 픽업 신호에 관련한 구동신호의 지연 및 고주파수에서의 진상을 제공하도록 가변 진상 회로망(82)의 특성 커브를 수정해야 한다. 반대의 경우를 위한 최적의 가변 진상 회로 특성은 상술한 실시예를 위한 최적의 특성커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전체 특성 커브는 픽업 신호와 관련하여 구동신호를 지연시키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가변 진상 회로망 및 이 가변 지상 회로망이 결합된 전체 귀환 수단은 픽업 신호의 우세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구동 신호의 진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상 전달 함수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여러가지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변 위상 전달 회로망내의 가변 저항 소자(14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대신에 포토트랜지스터등의 감광소자로 교체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152)로 부터의 신호는 감광 소자 바로 곁에 위치한 다이오등의 발광소자에 전해질 수 있다. 적절한 굴곡 현성 회로는 우세 주파수에 대한 소망하는 진상관계를 제공하도록 다이오드의 발광량 및 그에 따른 감광소자의 저항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키기 위하여 주파수-전압 변환기와 발광 다이오드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가변 위상 전달 함수 회로망(128)의 가변 소자는 저항소자가 아닌 커패시터(138)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복합의 저항소자(140)는 고정값 저항기로서 대체될 수 있으며, 커패시터(138)는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에서 발생한 신호에 따라서 그 용량이 변화되는 하나의 용량성 소자로서 대체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커패시터(138)는 고정값 커패시터와 픽업신호에서 우세 주파수를 표시하는 신호와 같은 픽업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표시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소자들을 선택적으로 접속 또는 분리시키는 관련 스위칭 소자들로 구성된 회로망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가변 유도 소자로서 가변 진상 회로망을 구성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 얻어질 수 있다.
가변 진상 회로(82)에서 사용되는 가변 위상 전달 함수 회로망(128)은 각각 상이한 위상 전달함수를 갖는 복수의 회로망 가지(network branch)로 대체될 수 있다. 스위칭 소자는 회로망 가지중 하나를 선택하여 픽업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가지를 통해서 픽업 신호를 전송시키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소자는 픽업 신호의 우세 주파수가 표시하는 양호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신호에 응답함으로써 가지들을 스위칭하고 우세 주파수가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상기 회로망의 전달 함수를 전체적으로 스텝식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는 생략될 수 있고, 픽업 신호의 여러가지 성분이 동시에 여러개의 가지를 통하여 전송되게 하되, 더 높은 주파수 성분들이 입력과 관련하여 더 큰 진상의 출력을 제공하는 브랜치를 통해서 전송되도록 배열된 주파수 선택 필터로서, 대체 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회로망은 픽업 신호에 있어서의 가장 높은 진폭의 주파수와 무관하게 일정한 위상 전달 함수나 주파수를 갖는다. 그러나, 그 일정한 위상 전달함수는 픽업 신호의 어떤 성분의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그 성분에 대해 구동신호를 더 크게 위상 전진시키는 쪽으로 변화하는 커브이다. 또한, 동일한 형태의 위상 전달 함수를 갖는 단일 가지의 회로망은 복수 가지의 회로망과 스위칭 시스템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픽업 신호 입력과 구동 신호 출력 사이에 삽입된 아나로그 시프트 레지스터를 사용한다. 이러한 시프트 레지스터의 특성은 픽업 신호와 관련한 구동신호의 주파수 및 위상차 사이의 소정의 관계를 제공하도록 픽업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서 제어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픽업 신호는 구동신호를 제공하도록 아나로그 신호에 따라서 처리된다. 그러나 아나로그 처리는 적절한 디지탈 처리로서 대체될 수 있다. 따라서, 픽업 신호가 디지탈 형태로 변환되는 경우에, 그 신호는 구동신호를 제공하도록 아나로그 형태로 처리 및 재변환될 수 있다. 사용되는 디지탈 신호 처리는 전술한 아나로그 장치중 어느 하나를 대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즉, 픽업 신호의 주파수가 성분에, 따라서 픽업 신호에 포함된 모든 성분에 대한 위상 전달 함수를 변경하거나, 그러한 픽업 신호의 다른 성분을 처리하고 그 특정 성분의 주파수에 따라서 구동신호에 포함된 각 성분에 다른 진상을 제공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디지탈 또는 아나로그 신호처리는 악기 자체 이외의 다른 위치에 장착된 부품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음지속기는 악기밖의 신호 처리 설비와 그 처리설비에 픽업 신호를 전송하는 공중 통신 설비, 처리된 신호를 다시 악기에 전송하는 다른 공중 통신 설비, 및 상기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적절한 출력 증폭기를 거쳐 구동기에 연결된 악기상의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예를 들면, 소리로 기록 또는 변환하는 디지탈 처리 설비와 같은 고정 설비내에서 픽업 신호를 처리하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음지속기의 신호처리 설비는 기록에 사용되는 신호 처리 설비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악기내의 장착된 모든 부품이 축전지 (85)등의 자체 내장전원에 의해서 공급받게 하면 상기 음지속기는 악사의 동작을 구속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지속기는 전술한 유도 픽업 보다는 다른 픽업들로 부터 발생한 신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음지속기와 함께 사용되는 픽업은 현의 이동으로 커패시터의 용량이 변화되고 그 용량 변화를 검출하여 제공하는 용량성 센서일 수 있다. 또한 픽업은 각 현과 병렬과 배치되는 포토콘턱터 또는 토포트랜지스터 등의 감광소자를 가지는 광전 타입의 부품으로서 현의 이동이 감광 소자와 부딪치는 광선의 양을 변경하도록 구성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픽업은 주변광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양호하게는 현을 교차하여 감광소자에 조사되는 소정 파장의 광을 발생하는 광원 및 주변 과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도록 감광 소자를 덮는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현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능동소자를 가지는 압전성, 자기 변형성, 또한 저항응력 게이지 형과 같은 저촉형 픽업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구동기는 반드시 전자기 구동기일 필요는 없고, 압전소자 등을 대신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이한 픽업 및/또는 구동기는 상술한 전자기 픽업 및 구동기의 것과는 상이한 위상 전달함수를 갖는 만큼, 음지속기에 가해진 구동력에 대하여 기본 모드에 있어서의 현의 응답을 최적화하는데 필요한 귀환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도 또한 대응하게 달라져야 한다. 예를들자면, 광전 픽업은 보통 실제 목적에 있어서 모든 가청 주파수에서의 현의 이동과 정확히 동상인 픽업 신호를 제공하고, 상술한 전자기 픽업은 현의 이동과 관련하여 지연되는 픽업 신호를 갖는다. 따라서, 광전 픽업이 사용되는 경우에, 어떤 특정의 기본 주파수에서 최적의 기본 응답을 위해 필요한 구동 신호 진상의 정도는 전자기 픽업을 사용한 경우에 동일한 주파수에서 최적의 기본 응답 모드에 필요한 것 이하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지속기는 제7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데, 이 실시예에서의 음지속기는 픽업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접속부(372), 그 입력 접속부에 연결된 전치 증폭기(374), 상기 전치 증폭기(374)로부터 신호 레벨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392) 및 상기 신호 검출기(392)에 의해서 제어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구비한다. 귀환회로는 전치 증폭기(374)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직접 온/오프 스위치(386)를 통해서 출력 증폭기(388)에 공급하도록 배열된다. 이 부품들은 제1도 내지 제6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의 대응 부품과 유사하다. 출력 증폭기(388)에 의해 제공된 구동신호와 각 성분은 입력 접속부(372)에서 인가된 픽업 신호의 대응 성분과 사실상 동상이다. 음지속기는 또한 전치 증폭기(374)의 출력에 접속된 파형 방형기(350)와 그 파형 방형기(350)의 출력에 접속된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352)를 구비한다. 이 부품들 또한 제1도 내지 제6도의 대응부품과 유사하다. 따라서,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352)는 파형 방형기(350)에 의해 제공된 방형기의 주파수에 따라 직접적으로 변화함으로써 입력 접속부(372)에 가해진 픽업 신호에 포함된 우세한, 즉 가장 큰 진폭의 주파수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변화하는 신호 전압을 제공한다.
주파수-전압 변환 회로(352)의 출력은 증폭기(402)를 통해서 4개의 비교기(404, 406, 408, 410) 각각 (+) 입력에 접속된다. 각 비교기의 (-) 입력은 각각의 기준 전압원(414, 416, 418, 420)에 접속된다. 전압원(414~420)은 서로 상이한 (+) 기준전압을 제공하는데, 비교기(404)에 접속된 전압원(414)은 가장 낮은 전압을 제공하며, 비교기(406)에 접속된 전압원(416)은 다소 높은 전압을 제공하며, 비교기(408)에 접속된 전압원(418)은 좀 더 높은 전압을 제공하며, 비교(410)에 접속된 전압원(420)은 가장 높은 기준 전압을 제공한다. 따라서 비교기(404~410)는 순서적 배열을 구성하는 바, 비교기(404)는 배열내에서 첫번째 비교기를 구성하고, 비교기(410)는 최종 비교기를 구성한다. 비교기(404~410)의 출력은 4개의 배타논리 OR(XOR) 게이트(424, 426, 428, 430)의 입력에 접속되는데, 이러한 게이트 (424~430)는 또한 순서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게이트(424)가 첫번째 게이트이고, 게이트(430)는 최종의 게이트이다. 각각의 게이트(424~430)는 제1 및 제2입력을 갖는다. 각 게이트의 제1입력은 비교기 배열에 있어서 대응 비교기(404~410)의 출력에 접속된다. 최종 게이트(430)를 제외한 각 게이트의 제2입력은 다음의 상위 순서의 비교기의 출력에 접속된다. 예를 들자면, 제2게이트(426)는 제2비교기(406)의 출력에 접속된 제1입력을 갖는 한편, 제2게이트의 제2입력은 제3비교기(408)의 출력에 접속된다. 최종 게이트(430)의 제2입력은 접지에 접속된다.
기준 전압원, 비교기 및 게이트는 그 서로가 결합하여 아나로그-디지탈 콘버터 (431)를 구성한다. 주파수-전압 변환기와 증폭(402)에 의해 제공된 신호 전압이 전압원(414~420)에 의해서 제공된 어떠한 기준 전압 보다도 적은 경우에, 모든 비교기의 출력은 음으로 되고 따라서 모든 게이트(424~430)의 출력은 로우 즉 논리 제로이다. 신호 전압이 제1기준 전압원(414)에 의해서 제공된 전압 보다 큰 경우에, 제1비교기 (404)의 출력은 양인 반면, 다른 비교기의 출력은 그대로 음을 유지한다. 따라서, 제1XOR게이트(424)는, (+) 입력 및 (-) 입력을 수신하여 하이 즉 논리 1인 출력을 제공한다. 주파수-전압 변환기와 증폭기(402)에 의해 제공된 신호 전압이 전압원 (416)에서 제공하는 제2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1비교기(404)와 제2비교기 (406)의 출력은 모두 양인반면, 제3비교기(418)와 제4비교기(420)의 출력은 음이 된다. 따라서, 제1XOR게이트는 두개의 (+) 입력을 수신하여 로우 즉 논리 제로의 출력을 제공하는 반면, 제2XOR게이트는 하나의 (+) 및 하나의 (-) 출력을 수신하여서 하이 즉, 논리 1인 출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각각의 XOR 게이트는 신호 전압이 대응 비교기에 가해진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만, 그 다음의 가해진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하이 즉 논리 1출력을 제공한다. 최종의 XOR게이트(430)는 신호 전압이 가장 높은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 하이 즉 논리 1출력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구동수단(432)은 제1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코일 및 강자성체와 유사한 코일(434) 및 영구자화 강자성체(436)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수단이 코일(434)의 한단부에 모두 접속된 커패시터 배열(442, 444, 446, 448, 450)을 포함한다. 커패시터(442~450)는 처음 부터 마지막까지 한 배열로 이루어지는데, 제1커패시터(442)는 가장 높은 용량값을 가지며, 최종 커패시터(450)는 가장 낮은 용량값을 갖는다. 구동기(432)는 A/D 콘버터(431)의 출력(XOR출력 게이트(424~430)의 출력)에 연결된 제어 입력을 가지는 디지탈 논리 제어 스위칭 회로(452)를 통해서 출력 증폭기(388)에 접속된다. 스위칭 회로(452)는 A/D 콘버터(431)의 출력에 따라서 커패시터(442~450)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출력증폭기(388)로부터의 구동신호를 구동기(432)에 보내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XOR게이트의 어느것도 하이, 즉 논리 1출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스위칭회로(452)는 제1커패시터(442)를 통해서 구동수단에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그 다음에 제1XOR게이트(424)를 통해서 구동수단에 구동신호를 전달한다. 그 다음에 제1XOR게이트(424) 논리 1출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스위칭회로(452)가 제2커패시터(444)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위칭회로는 구동수단에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스위칭회로(452)는 A/D 콘버터(43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서 구동수단(432)의 커패시터를 효과적으로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 시킨다.
동작에 있어서, 파형 방형기(350), 주파수-전압변환기(352) 및 증폭기(402)는 픽업신호의 우세 주파수와 함께 직접적으로 증가하는 신호전압을 제공하도록 협력한다. 픽업 신호에 포함된 우세 주파수가 로우인 경우에, 제1커패시터(442)는 인에이블되는 반면, 커패시터(444~450)는 디스에이블된다. 픽업신호에 포함된 우세 주파수가 증가할 때 제1커패시터(442)는 디스에이블되며, 제2커패시터(444)는 인에이블된다. 점진적으로 더 높은 우세 주파수에 대하여는 점진적으로 더 높은 차수의 커패시터 (446, 448 또는 450)가 인에이블되고 나머지는 디스에이블되어 어떤 주어진 시간에 단지 하나의 커패시터만이 인에이블된다. 따라서, 픽업 신호의 우세 주파수가 로우일때 구동기(432)의 용량은 높게 된다.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우세 주파수 값에서, 구동기의 용량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순서로된 커패시터중 더 낮은 값의 커패시터들이 인에이블작라 감소될 것이다. 구동기(432)의 용량이 변화하는 경우에, 구동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증폭기(388)가 제공한 신호 전압 즉 구동신호와 구동기에 의해 현에 인가된 전자력사이의 전력)또한 변화된다. 따라서, 구동기의 용량이 감소할때, 소정 주파수에서의 구동력의 성분은 구동신호에 포함된 대응 성분과 관련하여 덜지연(즉 더 진상)될 것이다. 귀환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는 동일하지만, 구동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는 픽업 신호에 포함된 주파수에 따라서 변한된다.
그러나, 전체적인 효과는 제1도 및 제6도에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가변 진상 회로망에 의해 달성된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7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귀환 수단과 구동 수단의 복합위상 전달 함수는 우세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픽업 신호와 관련하여 구동력의 앞섬(즉 구동력 지연으로 부터 멀어짐)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증가한다.
음지속기는 각각의 픽업에 접속되기 보다는 픽업과 일체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음지속기는 전체 음지속기의 복합 위상 전달 함수를 변경시키도록 픽업의 위상 전달 함수를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전자기픽업의 용량은 구동기의 용량을 제7도의 실시예에서 조정하는 것과 사실상 동일한 방법으로 조정될 수 있다. 픽업 신호의 주파수 성분이 변화할 때 음지속기의 위상 전달함수(현의 이동과 관련한 구동력의 주파수와 위상차 사이의 관계)를 조정하는데는 상기한 여러가지 방법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인 방법을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를 제8도와 제9도에 도시하는데, 이 구동기는 제1의 긴면(504)에서 N극을 가지고 그 대향면(506)에서 S극을 가지는 제1의 막대형 영구자화 강자성체(502)를 구비한다. 나사 또는 클립(508)등의 수단은 상기 강자성체가 현의(3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악기 구조물 즉 악기 본체(22)에 상기 강자성체(502)를 장착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강자성체(502)는 현과 기타 본체 사이에 놓이며, 현을 향하여 상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극면(504)을 갖는다. 제2의 막대형 영구자화 강자성체(510)는 하나의 긴면(512)을 따르는 N극과 다른면(514)을 따르는 S을 가진다. 기둥형 지지체 또는 격리애자(516)등의 수단은 제2강자성체 (510)가 제1 강자성체(502)의 뒤쪽에서 현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기타 본체에서 강자성체(510)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제2강자성체(510)는 기타의 헤드스톡 가까이에 배치되는 반면, 제1강자성체(502)는 기타의 브리지 가까이에 배치된다. 제2강자성체(510)와 관련된 장착 수단은 그 강자성체의 극면이 현 배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보다 구체적으로는 N극 표면(512)이 제1강자성체(502) 및 기타의 브리지를 향하여 대면하도록 제2강자성체(510)를 유지한다. 따라서 장착수단은 현의 대향측면상에서 강자성체를 유지하며, 현배열의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지게 배치된다.
나선형 코일(518)은 중공 코일 지지체 또는 보빈(520)상에 감겨진다. 코일 지지체와 코일은 장방향 단면의 중공 튜브 형태이며, 그 튜브의 내부 개구의 길이 치수는 현(32) 배열의 폭방향 치수보다 약간 길다. 코일 지지체(520)와 코일(518)은 나사, 클립등의 장착수단(522)에 의해 악기에 고정되는데, 코일(518)은 강자성체(510, 502)사이에서 현 배열의 길이 방향 연장부를 따르는 한 위치에서 현(32)을 둘러싸며, 그 코일의 축선은 현 배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동작시 구동신호 또는 전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귀환 수단에 의해 코일(518)에 인가되고 코일은 자속을 발생시킨다. 이 자속은 강자성체(502, 510)에서 발생한 자속과 함께 현(32)과 상호 작용한다. 현(32)과 코일(518)로부터 발생한 자속의 상호 작용은 각 현(32)의 전체 폭 방향 이동 범위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다. 따라서 구동 작용은 현의 측방향 휘어짐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기다란 평판형 강자성체(602, 604)를 가지는데, 영들은 각각 상부면(606, 608)을 갖는다. 이들 상부면 상부면(606, 608)은 현(32)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면의 곡면과 일치되는 곡면을 갖는다. 따라서, 구동기가 도시한 바와 같은 동작위치에서 악기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부면(606, 608)은 사실상 현에 의해 형성된 가상면과 나란하게 연장된다. 강자성체(602, 604)는 강자성이긴 하지만 그 자체가 영구자석은 아니다. 평판형 영구자석(610)은 강자성체(602, 604)의 하부연부상기에 연장하여 강자성체(602, 604)와 함께 U-형 채널을 형성한다. 패스너(612)등의 장착수단은 상기 U-형 채널이 현 배열과 관련하여 대략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악기본체(22), 즉 악기구조물에 상기 전체 채널을 장착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영구자석(610)은 강자성체(604)와 이웃한 자석의 연부를 따라서 N극을 가지며, 강자성체(602)와 이웃한 대향연부를 따라서 S극을 갖는다. 따라서 영구자석(610)으로부터 발생한 자속은 강자성체(604)를 통하여 상향하고, 그 상부면(608)을 통과하며 현에 의해 형성된 가상면을 지나서 악기의 상부면 (606)을 통해 다시 강자성체(602)로 진행하다.
코일(622)은 강자성체(602) 둘레에 권취되는 반면, 동일한 회전수를 가지는 코일(624)은 반대 방향으로 강자성체(604)의 둘레에 권취된다. 이러한 두개의 코일은 병렬 접속된다. 상기 접속은 병렬 접속된 코일에 인가되는 한 극성의 전압이 코일(642)로부터 상향의 자속을 발생시키고 코일(622)로 부터는 하향의 자속을 발생시킴으로서 두개의 강자성체의 자속을 강화시키는 반면, 반대 극성의 전압이 반대의 효과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두개의 강자성체의 자속을 반감시키는 구성으로 되도록 접속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기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기술한 것과 유사한 장점을 갖는다. 제10도의 구동기에 의한 자속은 사실상 현배열의 전체 측방향 연장부에 걸쳐서 균일하며, 그에 따른 음지속기의 동작은 현의 측방향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제10도의 구동기는 소정의 전류 흐름에 대해 더 강한 자기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각각의 코일(622, 624)은 단일 코일 구동기의 코일 권수보다 더 많은 권수를 갖는다. 상기 두개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속은 그 상태의 것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제효과는 사실상 더 큰 자기 효과를 제공하고 동일한 전력 소모로실질적으로 더 큰 진동 지속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0도에 도시한 구동기는 픽업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픽업이 전치 증폭기(74)(제4도)등의 고임피던스 소자에 접속되는 경우에, 두개의 코일(622, 624)은 병렬 보다는 직렬로 접속되는 것이 좋다.
제10도에 도시한 구동기의 한 변형예로서 전체 U-형 채널을 영구 자화시킬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 영구자석(610)을 제거하고 각각의 강자성체(602, 604)를 영구 자화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두개의 강자성체에 대한 자화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자속방향을 제공하도록 되어야 하는데 다시 말하면, 강자성체(604)의 상부면(608)으로부터 상향되고 강자성체(602)의 상부면(606)으로 하향되는 자속을 제공하도록 자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강자성체(604)의 상분면 N 극이 되어야 하고 강자성체(602)의 상부면은 S극이 되어야 한다. 또한 두개의 강자성체의 자속 방향을 역으로 할 수도 있다.
[부록]
가변 진상회로(82)의 한 실시예(제5도)에서 사용되는 유용한 부품값은 이하와 같다.
상기한 실시예는 단순히 예시 목적으로서 제한성을 갖지 않으며, 본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특허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도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악기에 활용할 수 있다.

Claims (29)

  1. 진동 요소를 가진 음지속기로서, (a) 구동력이 구동 신호와 소정의 위상 관계를 갖도록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악기의 진동 요소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수단과; (b) 상기 악기의 진동 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며 상기 진동과 소정의 위상 관계를 갖는 픽업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상기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귀환 수단을 구비한 악기용 음지속기에 있어서,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구동력이 사실상 상기 진동 요소의 진동과 동위상이 되도록 픽업 신호와 동위상의 관계로 구동 신호를 제공하게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수단은 악기의 진동 요소의 진동에 응답하여 상기 픽업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픽업 신호를 상기 귀환 수단에 제공하며, 상기 픽업 수단과 구동 수단중 적어도 하나는 비제로 위상 전달 함수를 가지며,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픽업 수단과 구동 수단의 합성 위상 전달함수의 역인 위상 전달 함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3. 진동 요소를 가진 음지속기로서, 악기의 진동 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는 픽업 신호를 수용하여 그 픽업 신호를 구동 신호로 변환하되 상기 픽업 신호의 적어도 일부 주파수에 대하여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픽업 신호와 위상이 다르게 하고 그러한 위상차가 주파수에 따라서 변화하게 하며 상기 변화는 주파수증가에 따라 구동 신호의 진상차를 변화시키게 하는 귀환수단과, 상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악기의 진동 요소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에 대하여 상기 구동 신호보다 지연되게끔 악기의 진동 요소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악기의 진동 요소의 진동에 응답하여 픽업 신호를 발생하는 픽업 수단을 구비하며, 이 픽업 수단은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에 대하여 상기 픽업 신호가 진동 요소의 진동보다 지연되도록 상기 픽업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주파수에 대하여, 상기 귀환 수단은 진동 요소의 이동과 관련한 픽업 신호의 지연 및 상기 구동 신호와 관련한 구동력의 지연의 합과 대략 동일한 크기로 픽업 신호와 관련 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위상 앞서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유도 구동 코일과 상기 코일의 자속에 응답하여 악기의 진동 요소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코일에 걸리는 전압으로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수단은 상기 구동 코일이 적어도 하나의 현과 병렬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코일로부터 발생한 자속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에 부딪치도록 진동 요소로서 적어도 하나의 현을 가지는 악기에 상기 코일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9. 제8항에 있어서, 구동 코일이 장착된 구조물을 구비한 악기에서 강자성 현의 진동 운동을 검출하여 상기 귀환 수단에 픽업 신호를 가하는 픽업 수단과, 상기 구동 코일로부터 발생한 자속을 상기 모든 현에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0. 제6항에 있어서, 자체 내장 전원 수단과, 악기에 상기 전원 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전원 수단으로부터의 전력을 상기 구동 신호에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1. 진동 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로서, 악기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을 표시하는 픽업 신호를 수용하여 그 픽업 신호를 구동 신호로 변환하는 귀환 수단과 상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악기의 진동 요소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악기용 음지속기에 있어서, 상기 픽업 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구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에 따라서 음지속기의 위상 전달 함수를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 픽업 신호의 우세 주파수를 검출하여 상기 우세 주파수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우세 주파수를 표시하는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귀환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상 전달 함수를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픽업 신호가 상이한 주파수에서 진동하는 복수의 진동 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는 신호를 가질때 음지속기가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 진동 요소의 진동을 선택적으로 보강시키도록 복수의 진동 요소에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우세 주파수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귀환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픽업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접속부와; 상기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출력 접속부와; 상기 입력 접속부에 접속된 픽특정 신호 내부 공급 노드, 반전 및 비반전 입력과 상기 출력 접속부에 접속된 출력을 가진 연상 증폭기, 상기 픽업 신호내부 공급 노드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하나의 입력 사이에 접속된 저항기, 상기 픽업 신호 내부 공급 노드에 접속된 제1측과 상기 연산 증폭기 입력중 다른 하나의 입력에 접속된 제2측을 가진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의 제2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된 가변값 저항 요소를 구비하는 회로망을 포함하며, 상기 귀환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를 조정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가변 저항 요소의 저항값을 상기 픽업 신호의 우세 주파수에 반비례하도록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우세 주파수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대체 신호 수단과, 상기 귀환 수단과 상기 대체 신호 수단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선택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대체 신호 수단의 위상 전달 함수는 상기 귀환 수단의 위상 전달함수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신호 수단은 상기 구동 신호가 상기 픽업 신호보다 지연되고 상기 지연량이 주파수에 따라 증가되도록 상기 구동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지연회로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신호 수단은 상기 픽업 신호와 동위상으로 상기 구동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로 상기 구동 신호를 유지하도록 상기 귀환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 이득 제어 수단과, 상기 소정 크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자동 이득 제어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길이 방향을 가로 질러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열을 한정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의 음지속기로서,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현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구동 위치에서 악기의 현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악기용 음지속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각 현에 인가된 구동력이 현의 측방향 변위에 무관하게 되도록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께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가변 자계는 상기 구동 위치에서 악기의 각 현의 측방향 이동 범위 전체에 거의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3.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자체를 제공하는 수단은 강자성체와, 상기 강자성체 속으로 자속을 지향 하기 위한 수단과, 강자성 요소가 상기 현과 근접하게 상기 배열을 횡단하여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강자성체를 상기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체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강자성체의 표면이 상기 현과 마주하고, 상기 현이 울리지 않는 조건일때 상기 현에 의해 형성된 가상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상기 강자성체를 상기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은 상기 강자성체를 감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은 제2강자성체 및 그 제2강자성체를 감고 있는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 수단은 상기 제2강자성체가 상기 현과 근접하게 상기 배열을 횡단하여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제2강자성체를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과 반대 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7. 제23항, 제24항 및 제2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의 강자성체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며, 픽업의 영구자석 및 상기 구동기의 영구 자석은 구조물 및 복주의 현을 구비한 악기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기의 영구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이 픽업의 영구 자석의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의 자속과 동일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은 코일과, 상기 코일이 상기 현을 포위하도록 상기 코일을 악기에 설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체가 영구 자석인 두개의 강자성체와, 상기 두개의 강자성체가 상기 현의 위 및 아래에서 서로 병렬로, 및 상기 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도록 상기 두개의 강자성체를 악기에 설치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을 설치하는 수단은 상기 두개의 강자성체 사이에 상기 코일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KR1019900700171A 1988-05-27 1989-05-24 악기용 음 지속기 KR930011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9,851 1988-05-27
US199851 1988-05-27
US07/199,851 US4907483A (en) 1988-05-27 1988-05-27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PCT/US1989/002265 WO1989011717A1 (en) 1988-05-27 1989-05-24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502A KR900702502A (ko) 1990-12-07
KR930011734B1 true KR930011734B1 (ko) 1993-12-18

Family

ID=2273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171A KR930011734B1 (ko) 1988-05-27 1989-05-24 악기용 음 지속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907483A (ko)
EP (1) EP0545918B1 (ko)
JP (1) JP3077111B2 (ko)
KR (1) KR930011734B1 (ko)
AT (1) ATE134453T1 (ko)
AU (1) AU623407B2 (ko)
CA (1) CA1318158C (ko)
DD (2) DD290289A5 (ko)
DE (1) DE68925739D1 (ko)
MX (1) MX164541B (ko)
WO (1) WO1989011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242A (en) * 1988-10-27 1993-02-23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808617B2 (ja) * 1988-10-27 1998-10-08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5070759A (en) * 1989-05-12 1991-12-10 Hoover Alan A String vibration sustaining device
US5136919A (en) * 1990-01-18 1992-08-11 Gibson Guitar Corp. Guitar pickup and switching apparatus
US5105711A (en) * 1990-10-31 1992-04-21 Barnard Timothy J Removably mountable effects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5140884A (en) * 1990-11-14 1992-08-25 Gibson Guitar Corp. Detachable string bender
JP2682240B2 (ja) * 1991-01-16 1997-11-2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CA2081246A1 (en) * 1991-10-24 1993-04-25 Kenji Tumura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device for sustaining the vibration of a string and an electromagnetic driver for the device
US5311806A (en) * 1993-01-15 1994-05-17 Gibson Guitar Corp. Guitar pickup system for selecting from multiple tonalities
US6208135B1 (en) 1994-07-22 2001-03-27 Steve J. Shattil Inductive noise cancellation circuit for electromagnetic pickups
US5523526A (en) * 1993-07-23 1996-06-04 Genesis Magnetics Corporation Sustaining devic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092352B2 (en) * 1993-07-23 2006-08-15 Aquity, Llc Cancellation systems for multicarrier transceiver arrays
US5449858A (en) * 1993-12-30 1995-09-12 Edward E. Haddock, Jr. Guitar feedback device and method
US5932827A (en) * 1995-01-09 1999-08-03 Osborne; Gary T. Sustainer for a musical instrument
JP3653854B2 (ja) * 1996-03-08 2005-06-02 ヤマハ株式会社 弦楽器型電子楽器
US6034316A (en) * 1999-02-25 2000-03-07 Hoover; Alan Anderson Controls for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CH698445B1 (de) * 2003-02-12 2009-08-14 Mark Erismann Saiteninstrument mit einer Saitenspannvorrichtung.
US7667131B2 (en) * 2003-06-09 2010-02-23 Ierymenko Paul F Player technique control system for a stringed instrum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instrument
US8450593B2 (en) * 2003-06-09 2013-05-28 Paul F. Ierymenko Stringed instrument with active string termination motion control
US7259318B2 (en) * 2004-03-16 2007-08-21 Ilitch S. Chiliachki Magnetic pickup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large free shape low impedance coil for noise cancelation
US8658879B2 (en) * 2004-12-03 2014-02-25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453040B2 (en) * 2004-12-03 2008-11-18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262359B1 (en) * 2005-06-23 2007-08-28 Edwards Sr William L Digital recording device for electric guitars and the like
US8284962B2 (en) * 2006-01-09 2012-10-09 Clifford William Latshaw Electronic bass instrument tube preamplifier
US20080245217A1 (en) * 2007-04-07 2008-10-09 Bret Thomas Stewart Nearly Closed Magnetic Flux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nstrument Pickups
US7595444B2 (en) * 2007-04-07 2009-09-29 Bret Thomas Stewart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nstrument pickups
US7989690B1 (en) * 2007-04-16 2011-08-02 Andrew Scott Lawing Musical instrument pickup systems
US7977566B2 (en) 2009-09-17 2011-07-12 Waleed Sami Haddad Optical instrument pickup
US8664507B1 (en) 2010-09-01 2014-03-04 Andrew Scott Lawing Musical instrument pickup and methods
US8907199B1 (en) * 2010-11-05 2014-12-09 George J. Dixon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hard ferromagnetic backplate
FI20106363A (fi) 2010-12-22 2012-06-23 Mauri Konttinen Kielisoittimen satula
US8519252B2 (en) 2011-03-16 2013-08-27 Waleed Sami Hadda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KR101486119B1 (ko) * 2011-09-14 2015-01-2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효과 부여 장치 및 어쿠스틱 피아노
JP5758774B2 (ja) 2011-10-28 2015-08-0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効果装置
US8735710B2 (en) * 2012-02-10 2014-05-27 Roland Corporatio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effect device
US9047851B2 (en) 2012-09-19 2015-06-02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WO2014116808A1 (en) * 2013-01-24 2014-07-31 White Andrew J Musical instrument device and method
US8969701B1 (en) 2013-03-14 2015-03-03 George J. Dixon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field modifier
US9514727B2 (en) * 2014-05-01 2016-12-06 Dialtone Pickups Pickup with one or more integrated controls
JP5676044B1 (ja) 2014-08-22 2015-02-25 株式会社フェルナンデス 極薄型電磁ドライ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ギター
US9773487B2 (en) * 2015-01-21 2017-09-26 A Little Thunder, Llc Onboard capacitive touch control for an instrument transducer
US9583076B2 (en) * 2015-05-21 2017-02-28 Luciano Nigro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33823A (fr) * 1921-04-05 1922-03-11 Procédé électrique d'amorçage et d'entretien de l'état vibratoire de cordes métalliques sonores et dispositifs le réalisant
US3571483A (en) * 1970-02-02 1971-03-16 Hammond Corp Variable reluctance guitar pickup system
US3742113A (en) * 1971-04-28 1973-06-26 M Coh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electrical feedback
US3813473A (en) * 1972-10-27 1974-05-28 Investments Ltd Electric guitar system
US3983777A (en) * 1975-02-28 1976-10-05 William Bartolini Single face, high asymmetry variable reluctance pickup for steel string musical instruments
US4151776A (en) * 1975-06-20 1979-05-01 Norlin Industries, Inc. Electronic pickup system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S521353A (en) * 1975-06-24 1977-01-07 Kitai Tekkosho:Kk Shaft coupling device
GB1548285A (en) * 1975-07-14 1979-07-11 Heet G S String instrument vipration initiator and sustainer
DE2535344C2 (de) * 1975-08-07 1985-10-03 CMB Colonia Management- und Beratungsgesellschaft mbH & Co KG, 5000 Köln Einrichtung zum elektronischen Erzeugen von Klangsignalen
US4245540A (en) * 1976-04-12 1981-01-20 Groupp Barry A Sound sustain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JPS52151022A (en) * 1976-06-10 1977-12-15 Roland Corp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JPS597117B2 (ja) * 1976-06-16 1984-02-16 ロ−ランド株式会社 電気弦楽器
US4236433A (en) * 1979-04-02 1980-12-02 Stephen Holland Electric string instrument
US4364295A (en) * 1981-03-02 1982-12-21 Stich Willi L Musical instrument sound pickup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S5815995U (ja) * 1981-07-24 1983-01-31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JPS58139194A (ja) * 1982-02-12 1983-08-18 カ−ル−エルンスト・ノウルネイ 複数の楽音発生器を備えた楽器
US4580481A (en) * 1984-01-20 1986-04-08 Helmut Schaller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US4535668A (en) * 1984-01-25 1985-08-20 Schaller Helmut F K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US4697491A (en) * 1986-06-17 1987-10-06 Maloney Terrance R Electric feedback guitar
US4852444A (en) * 1986-12-04 1989-08-01 Hoover Alan A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which couples positive acoustic feedback into an electric amplified guitar body for the purpose of sustaining played no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18158C (en) 1993-05-25
AU623407B2 (en) 1992-05-14
US4907483A (en) 1990-03-13
KR900702502A (ko) 1990-12-07
DE68925739D1 (de) 1996-03-28
MX164541B (es) 1992-08-25
EP0545918B1 (en) 1996-02-21
ATE134453T1 (de) 1996-03-15
EP0545918A4 (en) 1992-03-31
DD299341A5 (de) 1992-04-09
EP0545918A1 (en) 1993-06-16
JPH03504542A (ja) 1991-10-03
JP3077111B2 (ja) 2000-08-14
WO1989011717A1 (en) 1989-11-30
AU3680189A (en) 1989-12-12
DD290289A5 (de) 199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734B1 (ko) 악기용 음 지속기
US5233123A (en) Musical instruments equipped with sustainers
US5123324A (en)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KR960011150B1 (ko)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KR960011149B1 (ko)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US5276276A (en) Coil transducer
US5378850A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generation of magnetic feedback
US4852444A (en)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which couples positive acoustic feedback into an electric amplified guitar body for the purpose of sustaining played notes
US4624172A (en) Guitar pickup pole piece
US8946537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stringed instrument
WO2005069860A2 (en) Transducer for converting between mechanical vibration and electrical signal
US8319088B1 (en) Poly-coil matrix
US9601100B1 (en) Magnetic pickup with external tone shaper
WO1998002868A1 (en) Vibration transduce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027691A (en) Fiddle stick
US20050081703A1 (en) Electroacoustic sustainer for musical instruments
US2048515A (en) Musical instrument
US9183823B2 (en) Pickup and sustainer for stringed instruments
US7235734B2 (en) Sensor array for a musical instrument
JP3197962U (ja) 電気弦楽器の出力増大器
JP3308288B2 (ja) 電気弦楽器用電磁トランスデューサ
CA1226458A (en) Guitar pickup pole piece
KR20010110616A (ko) 현의 장력변화를 이용한 구조물 및 악기와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