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149B1 -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 Google Patents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149B1
KR960011149B1 KR1019920014701A KR920014701A KR960011149B1 KR 960011149 B1 KR960011149 B1 KR 960011149B1 KR 1019920014701 A KR1019920014701 A KR 1019920014701A KR 920014701 A KR920014701 A KR 920014701A KR 960011149 B1 KR960011149 B1 KR 960011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string
pickup
electric
electromagnetic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922A (ko
Inventor
두무라 겐지
Original Assignee
페르난데스 컴파니, 리미티드
시게끼 사이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르난데스 컴파니, 리미티드, 시게끼 사이또 filed Critical 페르난데스 컴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30004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 G10H3/2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using electric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10H3/181Details of pick-up assembli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 G10H2220/505Dual coil electrodynamic string transducer, e.g. for humbucking, to cancel out parasitic magnetic fields
    • G10H2220/515Staggered, i.e. two coils side by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10Feedback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제1도는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는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기타의 개략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두가지 형태의 전자기 픽업의 단면도로서,
제2a도는 단코일 형태의 픽업을 보인 단면도.
제2b도는 복코일 형태의 픽업을 보인 단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가지 기본적인 원리를 보인 개략도.
제4도는 복코일 형태의 픽업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전자기 구동기의 극편의 양단부에 형성된 투자율 요소를 갖춘 전자기 구동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전자기 구동기의 두 극편 사이에서 크기차를 갖는 전자기 구동기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7a도 및 제7b도는 제3a도, 제3b도 및 제4도에 각각 대응하는 자기귀환의 특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개략도.
제9도는 제8도와 유사하게 구성된 기타에 장착된 부재가 부착된 전기기타의 개략도.
제10a도 내지 제10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여러 가지 구성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현 8 : 전자기 픽업
10 : 극편 11 : 코일
17 : 전자기 구동기 18 : 증폭기
본 발명은 전기기타, 전기 베이스기타 및 전기피아노와 같이, 전자기 픽업에 의해 현의 진동을 검출하는 전기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 구동기에 의해 현을 진동하는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는 장치를 갖춘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기타 또는 피아노는, 기타 또는 피아노의 현이 여진된 후에 현의 진폭이 약 0.5초 이내에 반으로 줄어들고 약 7초 이내에 소멸된다는 점에서 바이올린과는 다르다. 특히, 전기기타의 경우, 현의 진동의 감쇠속도는 증폭기의 전기특성으로 인해 어쿠스틱 기타 보다도 짧다. 따라서, 기타의 음에 지연, 잔향, 압축기 및 과여진 등 등의 여러 가지 음향효과를 추가하는 이펙터가 종종 사용되어 지속시간이 길어진 음을 청각적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지연 또는 잔향을 사용하는 이펙터는 악음에 잔향을 더하며, 음은 자기테이프상에 음을 기록하고 재생하거나 스프링장치로 음조를 지연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최근에는, BBD(버켓 브리게이드 장치)를 사용하는 단순한 전자장치가 지연 또는 잔향용으로 활용되었었다. 압축기를 사용하는 이펙터는 증폭기에 의한 음악신호의 진폭을 현의 진동의 감쇠특성에 반비례하는 상태로 증가시키고, 과여진은 지속시간이 길어진 음조를 얻기 위해 허용가능한 크기이상으로 신호를 증폭한다. 지속시간이 길어진 음조는, 현의 진동이 멈춘 후에 이펙터가 음조를 유지할 수 없다하더라도, 이들 이펙터를 사용함으로써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음악가들은 여러 가지 음을 연구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예술적 인상에 응답하여 상기 여러 가지 음을 연주하기 위한 연주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 귀환을 사용하는 스타일은 라우드스피커에 방출되는 공기진동과 공동작용하는 공명 대신에 감쇠없이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해 높은 볼륨에서 기타의 음을 생성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귀환은 오랜 시간동안 현의 진동을 유지할 수 있지만, 음을 유지하기 위해서 연주자는 고도로 숙달된 고난도의 연주기법을 사용하여 음의 크기, 증폭기의 위치, 현의 길이 및 음정 따위의 여러 가지 제한을 극복해야만 한다. 또한, 음악적 표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최고음부에서의 제1현의 음조가 쉽게 지속될 수 없다는 약점을 갖는다. 따라서 현의 진동을 긴 시간동안 쉽게 지속시키는 장치의 개발에 대한 욕구가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종래에 전기 현악기와 관련하여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한 수단이 다수 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소52-151022 및 실개소53-139836(두 출원 모두 롤랜드 리미티드에 의해 출원되었음)에는 기타의 현이 기타에 내장된 전기구동회로와 연결되고 회로에서 출력된 정의 귀환전류는 기타의 위에 놓인 픽업에서 현의 진동을 검출할 때 회로의 일부로서 현을 통해 흐르며, 정의 귀환전류가 흐르고 있는 현은 기타의 표면에 부착된 자석과 공동작용하여 진동하게 되는 형태의 전기기타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기타는 전기신호를 신호에 대응하는 자 속의 변동을 활용하는 자기구동력으로 변환하고 구동력에 의해 금속현을 구동하는 전자기 구동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타의 전자기 구동기에서 전자기 픽업으로 귀환되는 자 속의 누출에 의해 야기되는 이른바 자기귀환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전자기 픽업은 금속현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자속의 변동을 전기신호를 변환하지만, 기타는 자가구동 현에 사용되는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의 전원을 필요로 한다. 또한, 그것은 정의 귀환전류가 흐르는 현을 구동하기 위한 강력한 자석을 갖추어야 하며, 시스템 또한 편을 회로에 연결함에 따라 부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형태의 전기기타는 전용악기로서 설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결과 상업적인 측면에서는 그러한 기타를 제작하는 것이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결점을 갖는다.
또한, 다른 형태의 전기기타가 일본국 특개소55-152797(출원인 : 야마하 리미티드)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기술되고 도시된 픽업은 발광소자 및 차광소자를 사용하는 바, 상기 자기귀환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전기기타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전자기 픽업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기타에서 발생하는 음조는 통상적인 전자기 픽업을 갖춘 전기기타의 음조와는 다르다.
또한, 미국 특허 4,941,338(발명자 : 후버 외)에는 상기 서술한 변형을 사용함이 없이 전기기타의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해 전자기 픽업과 전자기 구동기를 구비하는 전기기타가 개시되어 있다. 전기기타는 자기귀환을 줄이기 위해 전자기 픽업과 전자기 구동기간의 자기균형을 균형 밖에 두는 비균형장치를 포함하며, 특히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분류판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분류판을 사용하여 자기귀환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를 갖춘 전기 기타는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장치는 Sustaniac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분류판이 사용된다손 치더라도 분류판내로 완전히 흡수될 수 없는 일부의 자기귀환이 남아 있게 된다. 전자기 구동기에서 전자기 픽업으로의 자속을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기 위해서, 분류판의 설계는 정밀하게 자기특성에 조화되는 것으로 제한되고, 전자기 픽업 및 전자기 구동기의 방향 설정 극편과 조화되는 것으로 제한되며, 또한 분류판은 단지 소위 홈-버킹 픽업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자기 구동기에서 전자기 픽업으로 자속에 의해 유도딘 기전력을 감소시키는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는 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는 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는, 현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전자기 구동기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내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픽업과, 전자기 픽업으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신호를 현을 구동하는 구동력으로 변환하며 전자기 픽업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내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구동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는 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는, 전자기 구동기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에서 생성되지 않음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픽업과, 증폭수단과, 전자기 픽업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에서 생성되지 않음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구동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 구동기는 상기 전자기 픽업에 대해 직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내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게 되는 극편을 구비하며, 극편의 양단부는 각각 투자율 요소의 밖에 형성됨으로써 더 높은 방향 또는 더 낮은 방향으로 각각의 투자율 요소에서 나온 자속을 방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 구동기는 두 개의 코일과 코일에 부착된 두 개의 극편을 구비하며, 극편간의 크기차를 획득함으로써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내에서 상호 취소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첨부도면(제1도, 제2a도 및 제2b도)을 참고로 하여 관련기술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현(6)의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한 소위 지속기(G)를 갖춘 전기기타를 보인 것이다. 제1도에서, 전기기타는 몸체(20)와 몸체(2)에 결합된 네크(3)를 구비한다. 프렛(9)은 네크(3)의 표면상에 나란히 배열되며, 헤드(4)는 네크(3)의 가늘고 긴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줄감개(5)는 헤드(4)에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줄감개(5)는 금속제 줄로 된 현(6)의 일단부를 감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현(6)의 타단부는 몸체(2)의 표면에 부착된 꼬리편(7)에 고정되어 있다.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형적인 픽업(8)에는 두가지 형태가 있다.
제2a도는 자기몸체, 예를 들어 영구자석으로 만들어진 극편(10)과 극편(10)둘레에 감긴 코일(11)과 덮개(12)로 구성되는 소위 단코일 형태의 픽업을 보인 것이다. 한편, 제2b도는 상호 대향 배치되며 자기몸체, 예를 들어 강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두 개의 극편(13) (제2b도는 소위 봉상 극편의 일예를 보인 것이다)과, 각각의 극편(13)둘레에 감긴 코일(14)과 각각의 극편(13)가 자기적으로 결합된 영구자석(15)으로 구성된 소위 복코일 형태의 픽업 또는 홈-버핑 픽업을 보인 것이다. 전자기 픽업(8)의 코일(11, 14)의 단부에서 발생된 유도 기전력은 코일(11, 14)의 원주의 내측을 뚫고 들어가는 자 속의 변동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에서의 전도성 금속현(60)의 진동에 의해 이웃하는 전자기 픽업(8)에서는 자기저항의 변동이 일어나며, 이에 의해 코일(11, 14)의 원주의 내측에서의 자속밀도는 유도 기전력이 생성됨에 따라 진동 및 전기신호에 응답하여 변동한다.
전자기 픽업(8)에서 검출된 신호는 기타 증폭기(20)에 인가되며, 기타 증폭기(20)는 크기가 큰 음을 출력한다. 한편, 전자기픽업(8)에서 검출된 신호는 지속기(G)에 또한 인가된다. 지속기(G)는 전자기 픽업(8)과, 증폭기(18)와, 전자기 구동기(17)로 구성된다. 전자기 픽업(8)에서 검출된 현(6)의 진동신호는 기타몸체(2)내의 증폭기(18)로 인가되며, 증폭된 신호는 전자기 구동기(17)에 인가된다. 전자기 구동기(17)는 기본적으로 전자기 픽업(8)의 원리의 반대개념을 사용한다. 전자기 픽업(8)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는 증폭기(18)에 의해 증폭되고, 전자기 변환기에 제공된다. 즉 전자기 구동기(17)는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전자기 픽업(8)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며,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방출된 자속에 의해 현(6)을 진동시킨다. 그러나, 전자기 구동기(17)의 코일부는, 전자기 구동기(17)가 중요한 자석을 획득하여 현(6)을 구동하기 위해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자기 픽업(8)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자기 구동기(17)의 코일은 전자기 픽업(8)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 0.3㎜의 구리선을 사용하여, 그 구리선은 약 200회 감기기 때문에 전자기 구동기(17)는 약 7옴의 작은 전기저항을 가지며, 전력손실이 작은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전자기 픽업(8)에서 검출된 증폭신호를 사용하는 전자기 구동기(17)에 의해 현(6)을 구동하는 장치는, 소위 자기귀환 효과를 일으킨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갖는다. 자기귀환은 필요없는 유도 기전을 생성하며, 전자기 픽업(8)에서 유도된 기전력은 현(6)을 구동하기 위해 이웃하는 현(6)에 강한 자속을 방출하는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방출된 기환자속에 의해 발생된다. 또한, 자기귀환에 의해 현(6)의 기본 진동영역 이상의 높은 조화영역에서, 즉 1,000 내지 20,000㎐에서 잡음이 발생하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분인 현(6)의 진동을 지속시키는 지속기(G) 의 동작의 기본원리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제3a도의 경우, 단코일 형태의 픽업은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으로 사용되며, 전자기 구동기(17)는 전자기 픽업(8)에 대해 직각으로 놓인다. 또한, 제3b도에서는 던코일 형태의 픽업이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으로서 사용되며, 전자기 픽업(8)은 전자기 구동기(17)에 대헤 직각으로 놓인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자기귀환과 관련한 본 발명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위해 단지 점선으로 도시한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나온힘의 자력선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 픽업(8)에서 나온 힘의 자력선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3a도 및 제3b도의 경우, 전자기 픽업(8)에 의해 검출된 현(6)의 전기신호는 증폭기(18)에 의해 증폭되어 전자기 구동기(17)에 인가된다. 전자기 구동기(17)는 대기에 강력한 힘의 자력선을 방출함으로써 현(6)을 구동한다. 전자기 픽업(8)이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나온 힘의 자력선을 검출하면, 정의 귀환루프가 전자기 픽업(8), 증폭기(18) 및 전자기 구동기(17)를 통해 형성되며, 정의 귀환루프는 상기한 바와 같이 루프내에 잡음 및 발진을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 픽업(8)과 전자기 구동기(17)간의 배치의 상호방위는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방출된 자속에 의해 야기된 유도 기전력이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픽업(8)내에서 상호 취소되거나 유도된 기전력이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픽업(8)에서 생성되지 않도록 결정된다.
제3a도에 있어서, 전자기 픽업(8)내의 입사 자속은 고르게 극편(10)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 침투하고 그 반대방향으로 침투하며, 코일(11)의 상부에서 유도된 기전력은 코일(11)의 하부에서 유도된 기전력을 무효화시킴으로써 전자기 픽업(8)내에서 유도된 전체 기전력은 사실상 0이 되고 자기귀환은 현저하게 감소된다. 복코일 형태의 픽업의 두개의 극편간의 크기차를 형성하는 장치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3b도에서는, 코일(11)의 원주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자속이 없기 때문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제4도는 복코일 형태의 픽업이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보인 선도이다. 이 경우,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나온 힘의 자력선의 방사패턴(점선으로 도시됨)은, 전자기 구동기(17)가 전자기 픽업(8)에 대한 약 45도의 각도로 놓이으로써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나온 자 속의 결과로서의 유도 기전력이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픽업(8)내에서 상쇄되어 유도된 전체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8)내에서 사실상 0이 되기 때문에 단코일 형태의 픽업(제3도)의 방사패턴과는 다르다.
또한,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쭝 하나 또는 둘다를 전자기 구동기(17) 및 현(6)에 인접한 전자기 픽업(8)의 상단부가 상호 반대되는 방향에 놓이게 되는 경사각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단부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도록 상단부간의 자기결합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극편(13)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부터의 입사자속 또는 방출자속을 조정하기 위해 회전기구를 사용하는 전자기 구동기(17)의 경사각을 설정하는 조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금속성분, 예를 들어 트레몰로 장치 및 기타에 장착된 네크 프렛 등등에서의 기타의 전체 자계를 고려하여 자기귀환의 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제5a도는 상방 및 하방으로 자속을 방출하는 투자율 요소가 각각 제3a 도에 도시한 전자기 구동기(17)의 양단부에 부착되고, 단코일 형태의 픽업의 자계와 유사한 자계가 상성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또한, 제3b도의 전자기 구동기(17)는 제3a도의 전자기 구동기(17)를 복코일 형태의 픽업으로 구성하여 형성하며, 세 개의 투자율 요소(28)의 단지 중앙의 투자율 요수는 그밖의 다른 요소와는 다른 극성을 갖고 있다.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복코일 형태의 픽업을 전자기 구동기(17)로서 사용하고 두 극편간에는 크기차가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 구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두 극편간의 크기차는 경사각도에서 제4도의 복코일 형태의 픽업을 위치시킴으로써 생성되는 자계와 유사한 자계를 일으미켜, 크기치는 제4도에 도시한 유도 기전력을 감소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생성한다. 제6d도는 전자기 구동기(17)의 두 극편(10)간의 크기차를 조정하는 조정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극편(10, 1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의 방출자속 및 입사자속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저술한 바와 같이 전체 자계를 고려하여 자기귀환의 체적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수단은 극편(10, 13)의 크기차를 조정할 수도 있다.
제7a도 및 제7b도는 제3a도, 제3b도 및 제4도의 자기귀환의 특성선도를 보인 것이다. 제7a도의 각각의 특성은 각각 제3a도, 제3b도 및 제4도에 대응한다. 제7a도 및 제7b도에 있어서, θ는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의 자극의 방향간의 상호 경사각을 나타낸다. θ=0은 양방향(제3a도, 제3b도 및 제4도의 상방 및 하방)이 평행함을 나타낸다.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의 어느 하나는 θ=0에서 고정되며, 다른 하나는 전자기 구동기(17) 또는 전자기 픽업(8)의 중앙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 표시는 시계방향 회전을 나타내고, - 표시는 시계반대방향 회전을 나타낸다. Vf는 6Vp-p를 갖는 1,500㎐의 사인파가 전자기 구동기(17)를 제공할 때의 경사각(θ)에 대응하는 전자기 픽업(8)의 코일(14)의 양단부의 유도전압을 나타낸다.
제7a도의 경우, 자기귀환은 전자기 구동기(17)가 전자기 픽업(8)에 대해 직각(+90°또는 -90°)으로 놓일 때 상호 유도된 기전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최소화된다. 또한, 자기기환은 전자기 픽업(8)이 전자기 구동기(17)에 대해 직각(+90° 또는 -90°)으로 놓일 때 유도된 기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음으로써 최소화된다.
제7b도의 경우, θ=+45° 및 θ=-45°의 각도에서 자기귀환을 최소화하는 두점이 존재한다. 실제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각 θ는 현(6)에 인접한 전자기 픽업(8) 및 전자기 구동기(17)의 상단부가 상호 대향하는 방향에 놓일 수 있는 경사각에서 전자기 구동기(17) 또는 전자기 픽업(8)중 어느 하나 또는 둘다를 위치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본 발명은 제8도, 제9도 및 제10a도 내지 제10d도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기기타에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의 간략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히 이해되리라 본다.
제8도는 제2b도에 도시한 복코일 형태의 픽업은 물론 복코일 형태의 픽업(8)과 구동기(17)를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제7b도의 특성을 고려하면, 전자기 구동기(17)는 현(6)에 인접한 전자기 구동기(17)의 상단부가 전자기 픽업(8)에서 분리되는 경사각을 위치한다.
제9도는 기타에 장착되는 구성성분, 예를 들어 도전 현(6), 금속트레몰로 장치(22), 금속 스프링(23) 및 네크(3)를 지지하는 금속판(21) 등 등을 추가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구성을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이 경우,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과 관련된 자계는 구성성분에 의해 지속된다. 전자기 구동기(17) 및 전자기 픽업(8)을 가능한 한 현(6)에 근접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자기 구동기(17)에서 나온 힘의 방출 또는 입사 자력선이 고르게 전자기 픽업(8)의 상반부 및 하반부에 침투될 수 있도록 전자기 구동기(17)와 전자기 픽업(8)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한 경우, 자기귀환은 θ=45°에서 감소되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제9도의 전자기 구동기(17)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수단의 일예로서 조정볼트(25) 및 회전기구(24)가 사용된다. 조정수단(24, 25)은 전자기 픽업(8)의 극편의 각 단부에서 발생되는 유도기전력의 비를 변동시킴으로써 기타(1)를 제작할 때의 특성분산을 흡수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기타의 설계에 있어서 어떠한 제한없이 자유로운 제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조정수단은 조정볼트(25) 및 회전기구(24) 대신에 상기 θ를 변동시키는 다른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0a도 내지 제10d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타의 여러 가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제10a도에 있어서, 단코일 형태의 픽업을 사용하는 전자기 픽업(8)은 사전 설정된 경사각도로 위치한다. 제10b도의 경우, 단코일 형태의 픽업을 사용하는 전자기 픽업(8)은 전자기 픽업(8)에 대해 직가으로 위치한다. 제10a도 및 제10b도는 물론, 제10c도 및 제10d도는 전자기 픽업(8) 및 전자기 구동기(17)의 조합의 예를 보인 것이다. 또한, 제10a도 내지 제10d도에 있어서, 전자기 구동기(17)의 극편간의 상기 크기차 또는 투자율 요소를 갖는 전자기 구동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 픽업(8) 및 전자기 구동기(17) 모두 사전설정된 경사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기 픽업(8) 및 전자기 구동기(17)의 상단부가 분리상태에 놓일 수 있다하더라도, 상단부는 더욱 밀접한 관계에 놓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설정된 경사각은 약 90° 또는 45°이지만, 기타에 장착된 금속 구성성분을 고려하여 유도 전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는 전자기 픽업 및 전자기 구동기의 각각의 방향을 직각 또는 상호 경사진 각도로 위치시키는 매우 단순한 장치를 경유하는 자기귀환에 의해 생성되는 잡음 및 발진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속을 방출하는 부분이 현에 더욱 인접하게 할 수 있는 전자기 구동기의 극폄의 양단부에서 투자율 요소를 사용하여 현의 구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밖에,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코일 형태의 픽업은 각각의 코일에서 방출되는 자속을 소멸시켜 자기귀환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자기 구동기에서 전자기 픽업으로 흐르는 자 속의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호 유도된 기전력을 상쇄시키거나 유도 기전력을 일으키지 않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자기귀환과 관련한 전자기 픽업 및 전자기 구동기간의 거리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그러한 기타의 폭이 좁은 영역에 몇몇 구성부분을 배열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지금까지는 단지 복코일 형태의 픽업을 사용하여 자속을 최대한도로 수렴한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픽업의 형태의 선택폭을 크게 증가시키기 위하여 단코일 형태의 픽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전자기 픽업과 전자기 구동기의 극방향간의상호 경사각을 조정하거나 전자기 구동기의 두 극편간의 크기차를 조정함으로써 전자기 픽업의 일단부에서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 및 전자기 픽업의 타단부에서 발생하는 역유도 기전력간의 비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기타에 장착되는 구성부분에 의해 야기되는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지속기를 갖춘 전기기타를 설계하고 제작하는 것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6)

  1. 현(6)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전자기 구동기(17)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진 전자기 구동기(17)로 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8)내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픽업(8)과, 상기 전자기 픽업(8)으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18)과, 상기 증폭신호를 현(6)을 구동하는 구동력으로 변환하며, 상기 전자기 픽업(8)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17)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8)내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구동기(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2. 현(6)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전자기 구동기(17)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17)로 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8)에서 생성되지 않음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픽업(8)과, 상기 전자기 픽업(8)으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18)과, 상기 증폭신호를 현(6)을 구동하는 구동력으로 변환하며, 상기 전자기 픽업(8)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사전설정된 경사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상기 전자기 픽업(8)에서 생성되지 않음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구동기(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3. 현(6)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전자기 구동기(17)의 극편(10)에 대해 직각으로 놓여서 전자기 구동기(17)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전자기 픽업(8)내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픽업(8)과, 상기 전자기 픽업(8)으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18)과, 상기 증폭신호를 현(6)을 구동하는 구동력으로 변환하며, 상기 전자기 픽업(8)에 대해 직각으로 놓여서 상기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상기 전자기 픽업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게 되는 극편을 구비하며, 상기 극편(10)의 양단부는 각각 투자율 요소(28)의 밖에 형성됨으로써 더 높은 방향 또는 더 낮은 방향으로 상기 투자율 요소(28)에서 나온 자속 방출되는 전자기 구동기(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4. 현(6)의 진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자기 픽업(8)과, 상기 전자기 픽업(8)으로부터 상기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18)과, 상기 증폭신호를 현(6)을 구동력으로 변환하고, 두개의 극편(10)과 상기 극편(10) 둘레에 감기는 두 개의 코일(1)을 구비하며, 상기 극편(10)간의 크기차를 형성하여 전자기 구동기로부터 자속에 의해 유도된 기전력이 상기 전자기 픽업(8)내에서 상쇄됨으로써 자기귀환을 감소시키는 전자기 구동기(1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은 현(6)에 인접한 상기 전자기 픽업(8) 및 전자기 구동기(17)의 극편(10, 13)의 상단부가 분리상태에 놓이는 방향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은 약 45°도 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율 요소(28) 또는 상기 극편(10)의 양단부에 형성된 상기 투자율 요소(28)간의 크기차는 동일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픽업(8)에 대한 상기 전자기 구동기(17)의 방위를 설정하고 자기귀환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전기구(24, 25)를 구비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을 조정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구동기의 상기 극편간의 상기 레벨차를 설정하고 자기귀환을 최소화하는 조정수단(26, 27)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돈 경사각은 현(6)에 인접한 상기 전자기 픽업(8) 및 전자기 구동기(18)의 극편(10, 13)의 상단부가 분리상태에 놓이는 방향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은 약 45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은 약 45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은 약 45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픽업(8)에 대한 상기 전자기 구동기(17)의 방위를 설정하고 자기귀환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전기구(24, 25)를 구비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을 조정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픽업(8)에 대한 상기 전자기 구동기(17)의 방위를 설정하고 자기귀환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전기구(24, 25)를 구비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을 조정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픽업(8)에 대한 상기 전자기 구동기(17)의 방위를 설정하고 자기귀환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전기구(24, 25)를 구비하여 상기 사전설정된 경사각을 조정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KR1019920014701A 1991-08-14 1992-08-14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KR960011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4331-1991 1991-08-14
JP204331/1991 1991-08-14
JP20433191A JP3233659B2 (ja) 1991-08-14 1991-08-14 弦振動持続装置を備えた電気弦楽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922A KR930004922A (ko) 1993-03-23
KR960011149B1 true KR960011149B1 (ko) 1996-08-21

Family

ID=16488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701A KR960011149B1 (ko) 1991-08-14 1992-08-14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92999A (ko)
EP (1) EP0527654A3 (ko)
JP (1) JP3233659B2 (ko)
KR (1) KR960011149B1 (ko)
CA (1) CA2075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06942A1 (de) * 1993-03-03 1994-09-08 Shadow Jm Elektroakustik Gmbh Tonabnehmersystem für Gitarren oder andere Saiteninstrumente
US6208135B1 (en) * 1994-07-22 2001-03-27 Steve J. Shattil Inductive noise cancellation circuit for electromagnetic pickups
US5523526A (en) * 1993-07-23 1996-06-04 Genesis Magnetics Corporation Sustaining devic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092352B2 (en) * 1993-07-23 2006-08-15 Aquity, Llc Cancellation systems for multicarrier transceiver arrays
US5464948A (en) 1994-04-22 1995-11-07 Actodyne General, Inc. Sensor assembly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932827A (en) * 1995-01-09 1999-08-03 Osborne; Gary T. Sustainer for a musical instrument
US5641932A (en) 1995-01-19 1997-06-24 Actodyne General, Inc.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767431A (en) * 1995-12-28 1998-06-16 Actodyne General, Inc.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831196A (en) * 1995-12-28 1998-11-03 Actodyne General, Inc.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723805A (en) * 1996-07-12 1998-03-03 Lacombe; Robert J. Vibration transduce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6111185A (en) * 1998-01-28 2000-08-29 Actodyne General, Inc.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6610917B2 (en)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US7309829B1 (en) 1998-05-15 2007-12-18 Ludwig Lester F Layered signal processing for individual and group output of multi-channel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20050120870A1 (en) * 1998-05-15 2005-06-09 Ludwig Lester F. Envelope-controlled dynamic layering of audio signal processing and synthesis for music applications
US6034316A (en) * 1999-02-25 2000-03-07 Hoover; Alan Anderson Controls for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SE517203C2 (sv) * 1999-12-14 2002-05-07 Peter Gustafsson Elektromagnetisk mikrofon för stränginstrument
DE10024023C2 (de) * 2000-05-16 2002-10-31 Markus Pahl Resonanzsystem für elektrisch verstärkte Saiteninstrumente
US6897369B1 (en) 2001-01-17 2005-05-24 Jeffrey J. Lace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718886B1 (en) 2002-01-17 2010-05-18 Actodyne General, Inc. Sensor assembly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166794B2 (en) * 2003-01-09 2007-01-23 Gibson Guitar Corp. Hexaphonic pickup for digital guitar system
WO2004111992A2 (en) * 2003-06-09 2004-12-23 Ierymenko Paul F A player technique control system for a stringed instrum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instrument
US7259318B2 (en) * 2004-03-16 2007-08-21 Ilitch S. Chiliachki Magnetic pickup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large free shape low impedance coil for noise cancelation
JP4497365B2 (ja) * 2005-01-07 2010-07-07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ピックアップ装置
US7285714B2 (en) * 2005-09-09 2007-10-23 Gibson Guitar Corp. Pickup for digital guitar
US20080245217A1 (en) * 2007-04-07 2008-10-09 Bret Thomas Stewart Nearly Closed Magnetic Flux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nstrument Pickups
US9019237B2 (en) * 2008-04-06 2015-04-28 Lester F. Ludwig Multitouch parameter and gesture user interface employing an LED-array tactile sensor that can also operate as a display
US8345014B2 (en) 2008-07-12 2013-01-01 Lester F. Ludwig Control of the operating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US8169414B2 (en) 2008-07-12 2012-05-01 Lim Seung E Control of electronic games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US8604364B2 (en) * 2008-08-15 2013-12-10 Lester F. Ludwig Sensor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for a high dimensional touchpad
US8170346B2 (en) 2009-03-14 2012-05-01 Ludwig Lester F High-performance closed-form single-scan calculation of oblong-shape rotation angles from binary images of arbitrary size using running sums
US20110055722A1 (en) * 2009-09-02 2011-03-03 Ludwig Lester F Data Visualization Environment with DataFlow Processing, Web, Collaboration, Advanced User Interfaces, and Spreadsheet Visualization
US20110066933A1 (en) * 2009-09-02 2011-03-17 Ludwig Lester F Value-driven visualization primitives for spreadsheets, tabular data, and advanced spreadsheet visualization
US20110202934A1 (en) * 2010-02-12 2011-08-18 Ludwig Lester F Window manger input focus control for high dimensional touchpad (htpd), advanced mice, and other multidimensional user interfaces
US10146427B2 (en) * 2010-03-01 2018-12-04 Nri R&D Patent Licensing, Llc Curve-fitting approach to high definition touch pad (HDTP) parameter extraction
US9626023B2 (en) 2010-07-09 2017-04-18 Lester F. Ludwig LED/OLED array approach to integrated display, lensless-camera, and touch-screen user interface devices and associated processors
US9632344B2 (en) 2010-07-09 2017-04-25 Lester F. Ludwig Use of LED or OLED array to implement integrated combinations of touch screen tactile, touch gesture sensor, color image display, hand-image gesture sensor, document scanner, secure optical data exchange, and fingerprint processing capabilities
US8754862B2 (en) 2010-07-11 2014-06-17 Lester F. Ludwig Sequential classification recognition of gesture primitives and window-based parameter smoothing for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user interfaces
US9950256B2 (en) 2010-08-05 2018-04-24 Nri R&D Patent Licensing, Llc High-dimensional touchpad game controller with multiple usage and networking modalities
US8853517B1 (en) 2010-11-05 2014-10-07 George J. Dixon Musical instrument pickup incorporating engineered ferromagnetic materials
US8907199B1 (en) * 2010-11-05 2014-12-09 George J. Dixon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hard ferromagnetic backplate
US20120204577A1 (en) 2011-02-16 2012-08-16 Ludwig Lester F Flexible modular hierarchical adaptively controlled electronic-system cooling and energy harvesting for IC chip packaging, printed circuit boards, subsystems, cages, racks, IT rooms, and data centers using quantum and classical thermoelectric materials
US8797288B2 (en) 2011-03-07 2014-08-05 Lester F. Ludwig Human user interfaces utilizing interruption of the execution of a first recognized gesture with the execution of a recognized second gesture
US9052772B2 (en) 2011-08-10 2015-06-09 Lester F. Ludwig Heuristics for 3D and 6D touch gesture touch parameter calculations for high-dimensional touch parameter (HDTP) user interfaces
KR101486119B1 (ko) * 2011-09-14 2015-01-2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효과 부여 장치 및 어쿠스틱 피아노
JP5758774B2 (ja) 2011-10-28 2015-08-0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効果装置
FR2983621B1 (fr) * 2011-12-02 2016-01-01 Ambroise Jean Pierre Perin Dispositif capteur de vibrations pour instruments de musique
US9823781B2 (en) 2011-12-06 2017-11-21 Nri R&D Patent Licensing, Llc Heterogeneous tactile sensing via multiple sensor types
US10430066B2 (en) 2011-12-06 2019-10-01 Nri R&D Patent Licensing, Llc Gesteme (gesture primitive) recognition for advanced touch user interfaces
US8735710B2 (en) * 2012-02-10 2014-05-27 Roland Corporatio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effect device
JP5281185B1 (ja) * 2012-04-17 2013-09-04 通 中谷 弦楽器
WO2014116808A1 (en) * 2013-01-24 2014-07-31 White Andrew J Musical instrument device and method
US8969701B1 (en) 2013-03-14 2015-03-03 George J. Dixon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field modifier
JP5676044B1 (ja) 2014-08-22 2015-02-25 株式会社フェルナンデス 極薄型電磁ドライ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ギター
GB201417162D0 (en) 2014-09-29 2014-11-12 Renishaw Plc Inspection appartus
US9847080B2 (en) * 2015-06-26 2017-12-19 Joseph Chapma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sound pickups in an electric guitar using a spin wheel arrangement
US10163431B2 (en) * 2017-05-03 2018-12-25 Christopher Mills Non-linear pickup for string instruments
FR3079655B1 (fr) * 2018-04-03 2020-03-27 Wild Customs Dispositif pour interchanger des systemes electriques ou electroniques de captation des vibrations des cordes d'un instrument de musique
US10861430B1 (en) * 2018-10-15 2020-12-08 JKR Guitars, LLC Guitar apparatus for switching pickups
DE102019128545B3 (de) * 2019-10-22 2020-10-29 Stefan Jordan Tonabnehmer für Saiteninstrumente
US11610571B2 (en) * 2019-10-24 2023-03-21 Christopher B. Mills Humbucker pickup for string instruments with interposed tone-altering signal process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1022A (en) * 1976-06-10 1977-12-15 Roland Corp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JPS601407B2 (ja) * 1977-05-04 1985-01-14 東レ株式会社 紡績糸製造装置
JPS55152597A (en) * 1979-05-16 1980-11-2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Treatment of waste water containing organophoshoric compound
US4941388A (en) * 1989-05-12 1990-07-17 Hoover Alan A String vibration sust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46175A (ja) 1993-02-26
KR930004922A (ko) 1993-03-23
EP0527654A2 (en) 1993-02-17
US5292999A (en) 1994-03-08
CA2075844A1 (en) 1993-02-15
EP0527654A3 (en) 1993-12-29
JP3233659B2 (ja) 200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149B1 (ko)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US5585588A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device for sustaining the vibration of a string and an electromagnetic driver for the device
US5378850A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generation of magnetic feedback
US7227076B2 (en) Advanced magnetic circuit to improve both the solenoidal and magnetic functions of string instrument pickups with co-linear coil assemblies
US4941388A (en) String vibration sustaining device
KR930011734B1 (ko) 악기용 음 지속기
US5530199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499809A (en) Dual signal magnetic pickup with even response of strings of different diameters
US6271456B1 (en) Transducer and musical instrument employing the same
US5811710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408043A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s with central permanent magnets
US3983777A (en) Single face, high asymmetry variable reluctance pickup for steel string musical instruments
US5389731A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 using main and auxiliary permanent magnets
JP2004519732A (ja) 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用のピックアップ、およびギターの弦の振動を変換する方法
US4320681A (en) Electromagnetic pickup device
US8319088B1 (en) Poly-coil matrix
US5422432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a plural-string musical instrument incorporating a coil around a multi-laminate ferromagnetic core
US8946537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stringed instrument
US5290968A (en) Magnet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2089171A (en) Electrical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723805A (en) Vibration transduce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184398A (en) Self generating electrical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20070017355A1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 with hum rejecting shields
US5391832A (en) Electromagnetic musical pickup with wraparound permanent magnet
US20050081703A1 (en) Electroacoustic sustainer for musical instru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