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702502A - 악기의 음 지속 및 변환기 - Google Patents

악기의 음 지속 및 변환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702502A
KR900702502A KR1019900700171A KR900700171A KR900702502A KR 900702502 A KR900702502 A KR 900702502A KR 1019900700171 A KR1019900700171 A KR 1019900700171A KR 900700171 A KR900700171 A KR 900700171A KR 900702502 A KR900702502 A KR 900702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instrument
driv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1734B1 (ko
Inventor
디. 로우즈 플로이드
엠.무어 스티븐
더블유.노츠 리차드
Original Assignee
디. 로우즈 플로이드
엠.무어 스티븐
더블유.노츠 리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 로우즈 플로이드, 엠.무어 스티븐, 더블유.노츠 리차드 filed Critical 디. 로우즈 플로이드
Publication of KR900702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 G10H3/2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using electric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10Feedback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악기의 음 지속 및 변환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악기와 결합하여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음지속기를 개략 도시한 투시도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음지속기와 악기를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Claims (30)

  1.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로서, (a)구동력이 구동신호와 소정의 위상 관계를 갖도록 악기의 진동 요소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수단; (b)상기 악기의 진동 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는 픽업신호를 수용하도록 진동에 대해 소정의 위상 관계를 갖고서 상기 구동수단에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귀환 수단을 구비한 악기용 음지속기에 있어서,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구동력이 사실상 상기 진동요소의 진동과 동위상이 되도록 픽업신호와 관련한 위상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제공하게끔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악기의 진동 요소의 진동에 응답하여 상기 픽업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귀환 수단에 픽업 신호를 제공하는 픽업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픽업수단과 구동수단중 어느 하나는 비-제로 위상전달함수를 가지며, 상기 귀환수단은 상기 픽업수단과 구동수단의 합성위상전달 함수와 역인 위상전달함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3. 악기의 진동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는 픽업신호를 수용하여 그 픽업신호를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적어도 몇몇의 상기 구동신호의 주파수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는 상기 픽업신호와 위상이 다르게하게 그러한 위상차는 주파수에 따라서 변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진동은 주파수 증가에 따라 위상차를 앞서는 구동신호를 향하도록한 귀한 수단과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악기의 진동요소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구동력이 상기 적어도 몇몇의 주파수에 있어서 상기 구동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악기의 진동요소에 구동력을 가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5. 제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악기의 진동요소의 진동에 응답하여 픽업신호를 발생하는 픽업수단을 구비하며, 이 픽업수단은 적어도 몇몇의 주파수에 있어서, 상기 픽업 신호는 진동요소의 진동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픽업신호를 제공하게끔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몇몇의 주파수에 있어서, 상기 귀환수단은 진동요소의 이동과 관련한 픽업신호의 지연과 상기 구동신호와 관련한 구동신호의 지연의 합의 크기와 동일한 픽업신호와 관련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앞서게 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유도 구동 코일과 상기 코일의 자속에 응답하는 악기의 진동요소에 구동력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귀환 수단은 상기 코일에 걸리는 전압으로서 구동신호를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8. 제 7항에 있어서, 자속에 응답하여 상기 구동력을 가하는 수단은 상기 구동 코일이 적어도 하나의 현의 바로 곁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 코일로 부터 발생한 자속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상에서 부딪치도록 진동요소로서 적어도 하나의 현을 가지는 악기에 상기 코일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9. 악기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장착된 복수의 강자성현을 가지는 악기에 있어서, 제8항에 따른 음지속기와 상기 현의 진동운동을 검출하여 음지속기의 귀환수단에 픽업신호를 가하는 픽업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음지속기의 구동코일은 구조물에 장착되며, 음지속기는 상기 구동 코일로부터 발생한 자속을 상기 모든 현에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0. 제1항에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체내장 전원수단과 악기에 상기 전원수단을 장착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귀환수단은 상기 전원수단으로부터 상기 구동신호내 전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1.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로서, 악기의 적어도 하나의 진동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는 픽업신호를 수용하여 그 픽업신호를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귀환수단과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악기의 진동요소에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악기용 음지속기에 있어서, 상기 픽업신호의 주파수 성분을 구하여 상기 주파수 성분에 따라서 음지속기의 위상전달함수를 변경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 픽업신호의 초월 주파수를 검출하여 상기초월 주파수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귀환수단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상 전달함수를 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초월 주파수를 표시하는 신호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픽업신호가 복수의 진동요소의 진동을 표시하는 신호를 갖을때 즉 상이한 주파수의 진동에 있어서 음지속기는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 진동요소의 진동을 선택적으로 보강시키도록 복수의 진동요소에 상기 구동력을 가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용 음지속기.
  14. 제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초월주파수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귀환수단의 위상전달함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환수단은 상기 픽업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접속부와, 상기 구동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출력접속부와, 상기 입력접속부에 접속된 픽업신호 내부공급노드를 가진 회로망과, 반전 및 비반전입력과 상기 출력접속부에 접속된 출력을 가진 연산증폭기와; 상기 픽업신호 내부공급노드와 상기 연산증폭기의 하나의 입력 접속부 사이에 접속된 저항기와, 상기 픽업신호 내부공급노드에 접속된 제1측면과 상기 연산증폭기 입력중 다른 입력에 접속된 제2측면을 가진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의 제2측면과 접지사이에 접속된 가변값 저항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귀환수단의 위상 전달함수를 조정하는 상기 저항요소의 저항을 상기 픽업신호의 초월 주파수에 반비례하도록 변화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초월 주파수를 나타내는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의 위상전달함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7. 상기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신호에 따라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대체신호 수단과, 상기 귀환수단 또는 상기 대체신호수단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선택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대체신호수단의 위상전달함수는 상기 귀환수단의 위상 전달함수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신호수단은 상기 구동신호가 상기 픽업신호를 앞서고 상기 신호위상차는 주파수에 따라 증가되도록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기위한 진상회로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신호 수단은 상기 픽업신호와 위상 일치하여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0. 전술한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로 상기 구동신호를 유지하도록 상기 귀환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이득 제어수단과, 상기 소정크기를 변경하도록 상기 자동이득 제어수단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요소를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1.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현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구동위치에서 악기의 현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배열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형태의 악기용 음지속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각 현에 인가된 구동력이 현의 측면 배치에 관계없이 상기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가변자계가 상기 구동위치에서 악기의 각 현의 측면 이동범위 전체에서 일정하도록 상기 구동신호 따라 가변하는 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수단은 강자성체와, 상기 강자성체속으로 자속을 지향하기 위한 수단과, 강자성요소가 상기 현과 일치하여 상기 배열을 따라 측면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강자성체를 상기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강자성체를 설치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강자성체의 면이 상기 현과 마주하고, 상기 현이 울리지 않는 조건일때 상기 현에 의해 형성된 가상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상기 강자성체를 상기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움지속기.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강자성체를 감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상기 수단은 제2강자성체 및 그 강자성체를 감고있는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설치수단은 상기 제2강자성체가 상기 현과 일치하여 상기 배열을 따라 측면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제2강자성체를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1코일과 다른 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7. 악기구조물과, 그 구조물에 설치된 복수의 현과, 악기본체에 설치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픽업을 갖는 악기에 있어서, 구동기의 강자성체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며, 상기픽업 및 상기 구동기의 상기 영구자석은 구동기의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이 픽업의 영구자석의 가장 가까운 부분으로부터의 자속과 동일방향이 되도록 상기 구조물에 설치된 청구범위 제 23항, 제 24항 또는 제 25항에 따른 복수의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자계를 제공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코일이 상기 현을 감도록 상기 코일을 악기에 치하는 수단 및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영구자석과, 두개의 강자성체를 악기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두개의 강자성체중 적어도 하나의 강자성체를 추가로 구비하는데, 상기 강자성체는 상기 현의 위 및 아래에 서로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현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코일을 설치하는 수단은 상기 두개의 강자성체 사이에 코일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현을 가진 악기용 음지속기.
  30.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700171A 1988-05-27 1989-05-24 악기용 음 지속기 KR930011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9,851 1988-05-27
US07/199,851 US4907483A (en) 1988-05-27 1988-05-27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US199851 1988-05-27
PCT/US1989/002265 WO1989011717A1 (en) 1988-05-27 1989-05-24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502A true KR900702502A (ko) 1990-12-07
KR930011734B1 KR930011734B1 (ko) 1993-12-18

Family

ID=22739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171A KR930011734B1 (ko) 1988-05-27 1989-05-24 악기용 음 지속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907483A (ko)
EP (1) EP0545918B1 (ko)
JP (1) JP3077111B2 (ko)
KR (1) KR930011734B1 (ko)
AT (1) ATE134453T1 (ko)
AU (1) AU623407B2 (ko)
CA (1) CA1318158C (ko)
DD (2) DD290289A5 (ko)
DE (1) DE68925739D1 (ko)
MX (1) MX164541B (ko)
WO (1) WO1989011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9242A (en) * 1988-10-27 1993-02-23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808617B2 (ja) * 1988-10-27 1998-10-08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US5070759A (en) * 1989-05-12 1991-12-10 Hoover Alan A String vibration sustaining device
US5136919A (en) * 1990-01-18 1992-08-11 Gibson Guitar Corp. Guitar pickup and switching apparatus
US5105711A (en) * 1990-10-31 1992-04-21 Barnard Timothy J Removably mountable effects device for an electric guitar
US5140884A (en) * 1990-11-14 1992-08-25 Gibson Guitar Corp. Detachable string bender
JP2682240B2 (ja) * 1991-01-16 1997-11-2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楽器
CA2081246A1 (en) * 1991-10-24 1993-04-25 Kenji Tumura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device for sustaining the vibration of a string and an electromagnetic driver for the device
US5311806A (en) * 1993-01-15 1994-05-17 Gibson Guitar Corp. Guitar pickup system for selecting from multiple tonalities
US5523526A (en) * 1993-07-23 1996-06-04 Genesis Magnetics Corporation Sustaining devic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6208135B1 (en) 1994-07-22 2001-03-27 Steve J. Shattil Inductive noise cancellation circuit for electromagnetic pickups
US7092352B2 (en) * 1993-07-23 2006-08-15 Aquity, Llc Cancellation systems for multicarrier transceiver arrays
US5449858A (en) * 1993-12-30 1995-09-12 Edward E. Haddock, Jr. Guitar feedback device and method
US5932827A (en) * 1995-01-09 1999-08-03 Osborne; Gary T. Sustainer for a musical instrument
JP3653854B2 (ja) * 1996-03-08 2005-06-02 ヤマハ株式会社 弦楽器型電子楽器
US6034316A (en) * 1999-02-25 2000-03-07 Hoover; Alan Anderson Controls for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CH698445B1 (de) * 2003-02-12 2009-08-14 Mark Erismann Saiteninstrument mit einer Saitenspannvorrichtung.
US7667131B2 (en) 2003-06-09 2010-02-23 Ierymenko Paul F Player technique control system for a stringed instrument and method of playing the instrument
US8450593B2 (en) * 2003-06-09 2013-05-28 Paul F. Ierymenko Stringed instrument with active string termination motion control
US7259318B2 (en) * 2004-03-16 2007-08-21 Ilitch S. Chiliachki Magnetic pickup device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large free shape low impedance coil for noise cancelation
US7453040B2 (en) * 2004-12-03 2008-11-18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8658879B2 (en) * 2004-12-03 2014-02-25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262359B1 (en) * 2005-06-23 2007-08-28 Edwards Sr William L Digital recording device for electric guitars and the like
US8284962B2 (en) * 2006-01-09 2012-10-09 Clifford William Latshaw Electronic bass instrument tube preamplifier
US20080245217A1 (en) * 2007-04-07 2008-10-09 Bret Thomas Stewart Nearly Closed Magnetic Flux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nstrument Pickups
US7595444B2 (en) * 2007-04-07 2009-09-29 Bret Thomas Stewart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nstrument pickups
US7989690B1 (en) * 2007-04-16 2011-08-02 Andrew Scott Lawing Musical instrument pickup systems
US7977566B2 (en) 2009-09-17 2011-07-12 Waleed Sami Haddad Optical instrument pickup
US8664507B1 (en) 2010-09-01 2014-03-04 Andrew Scott Lawing Musical instrument pickup and methods
US8907199B1 (en) * 2010-11-05 2014-12-09 George J. Dixon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hard ferromagnetic backplate
FI20106363A (fi) 2010-12-22 2012-06-23 Mauri Konttinen Kielisoittimen satula
US8519252B2 (en) 2011-03-16 2013-08-27 Waleed Sami Hadda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KR101486119B1 (ko) * 2011-09-14 2015-01-2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효과 부여 장치 및 어쿠스틱 피아노
JP5758774B2 (ja) 2011-10-28 2015-08-0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効果装置
US8735710B2 (en) * 2012-02-10 2014-05-27 Roland Corporatio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effect device
US9047851B2 (en) 2012-09-19 2015-06-02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WO2014116808A1 (en) * 2013-01-24 2014-07-31 White Andrew J Musical instrument device and method
US8969701B1 (en) 2013-03-14 2015-03-03 George J. Dixon Musical instrument pickup with field modifier
US9514727B2 (en) * 2014-05-01 2016-12-06 Dialtone Pickups Pickup with one or more integrated controls
JP5676044B1 (ja) 2014-08-22 2015-02-25 株式会社フェルナンデス 極薄型電磁ドライ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ギター
US9773487B2 (en) * 2015-01-21 2017-09-26 A Little Thunder, Llc Onboard capacitive touch control for an instrument transducer
US9583076B2 (en) * 2015-05-21 2017-02-28 Luciano Nigro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33823A (fr) * 1921-04-05 1922-03-11 Procédé électrique d'amorçage et d'entretien de l'état vibratoire de cordes métalliques sonores et dispositifs le réalisant
US3571483A (en) * 1970-02-02 1971-03-16 Hammond Corp Variable reluctance guitar pickup system
US3742113A (en) * 1971-04-28 1973-06-26 M Coh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electrical feedback
US3813473A (en) * 1972-10-27 1974-05-28 Investments Ltd Electric guitar system
US3983777A (en) * 1975-02-28 1976-10-05 William Bartolini Single face, high asymmetry variable reluctance pickup for steel string musical instruments
US4151776A (en) * 1975-06-20 1979-05-01 Norlin Industries, Inc. Electronic pickup system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S521353A (en) * 1975-06-24 1977-01-07 Kitai Tekkosho:Kk Shaft coupling device
GB1548285A (en) * 1975-07-14 1979-07-11 Heet G S String instrument vipration initiator and sustainer
DE2535344C2 (de) * 1975-08-07 1985-10-03 CMB Colonia Management- und Beratungsgesellschaft mbH & Co KG, 5000 Köln Einrichtung zum elektronischen Erzeugen von Klangsignalen
US4245540A (en) * 1976-04-12 1981-01-20 Groupp Barry A Sound sustain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JPS52151022A (en) * 1976-06-10 1977-12-15 Roland Corp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JPS597117B2 (ja) * 1976-06-16 1984-02-16 ロ−ランド株式会社 電気弦楽器
US4236433A (en) * 1979-04-02 1980-12-02 Stephen Holland Electric string instrument
US4364295A (en) * 1981-03-02 1982-12-21 Stich Willi L Musical instrument sound pickup and method of assembly thereof
JPS5815995U (ja) * 1981-07-24 1983-01-31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JPS58139194A (ja) * 1982-02-12 1983-08-18 カ−ル−エルンスト・ノウルネイ 複数の楽音発生器を備えた楽器
US4580481A (en) * 1984-01-20 1986-04-08 Helmut Schaller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US4535668A (en) * 1984-01-25 1985-08-20 Schaller Helmut F K Magnetic pickup for stringed instruments
US4697491A (en) * 1986-06-17 1987-10-06 Maloney Terrance R Electric feedback guitar
US4852444A (en) * 1986-12-04 1989-08-01 Hoover Alan A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which couples positive acoustic feedback into an electric amplified guitar body for the purpose of sustaining played no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D299341A5 (de) 1992-04-09
CA1318158C (en) 1993-05-25
EP0545918B1 (en) 1996-02-21
DD290289A5 (de) 1991-05-23
JPH03504542A (ja) 1991-10-03
ATE134453T1 (de) 1996-03-15
WO1989011717A1 (en) 1989-11-30
AU3680189A (en) 1989-12-12
JP3077111B2 (ja) 2000-08-14
EP0545918A4 (en) 1992-03-31
KR930011734B1 (ko) 1993-12-18
AU623407B2 (en) 1992-05-14
EP0545918A1 (en) 1993-06-16
DE68925739D1 (de) 1996-03-28
MX164541B (es) 1992-08-25
US4907483A (en) 199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702502A (ko) 악기의 음 지속 및 변환기
US4501186A (en) Pickup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5200569A (en) Musical instrument pickup systems and sustainer systems
US4236433A (en) Electric string instrument
US7453040B2 (en)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692649A (en) Driving circuit of a vibration wave motor
US6134964A (en) Mechanical resonator having a variable resonance frequency
US5123324A (en)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CA2384613C (en) Unitary transducer control system
US4750397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elastomeric strings and shielded bimorphic transducers
JPH0627963A (ja) 電気弦楽器
KR930004922A (ko)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EP0875301A3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the vibration of ultrasonic transmission components
US5062622A (en) Vibratory sheet feeder which uses phase adjustment to control the sheet feeding speed
KR20010023247A (ko) 확성기를 구비한 장치
US4232241A (en) Electric circuit for driving a piezoelectric vibrator
WO1998002868A1 (en) Vibration transduce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GB2234318A (en) Motor vehicle engine mounting
JPH0879896A (ja) スピーカ
WO2015173732A1 (en) Preamplification system for an acoustic guitar or other music instrument with vibrating parts
US4423654A (en) Tone control
US4676134A (en) Electronic string instrument with bend detector
USRE31416E (en) Electric signal transmitter for vibrating-wire sensor
JP2009171113A (ja) 可変振動特性音響装置
Guyomar et al. Low consumption damping of planar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