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150B1 -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 Google Patents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150B1
KR960011150B1 KR1019920019667A KR920019667A KR960011150B1 KR 960011150 B1 KR960011150 B1 KR 960011150B1 KR 1019920019667 A KR1019920019667 A KR 1019920019667A KR 920019667 A KR920019667 A KR 920019667A KR 960011150 B1 KR960011150 B1 KR 960011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vibration
driver
electronic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무라 겐지
Original Assignee
페르난데스 컴파니, 리미티드
시게끼 사이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7783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1977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3003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3082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46480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267317B2/ja
Application filed by 페르난데스 컴파니, 리미티드, 시게끼 사이또 filed Critical 페르난데스 컴파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 G10H3/2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incorporating feedback means, e.g. acoustic using electric feedba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10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전기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제1도는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전기기타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 (a) 및 (b)는 각각 단코일형 및 복코일형 전자픽업의 횡단면도.
제3도는 전자픽업에서 방사되는 방사자계를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진동지속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5도는 위상제어회로의 개략선도.
제6도는 제5도의 위상제어회로가 각 현에 대응하여 배열된 상태를 보인 개략선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5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6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13도는 제12도의 전자드라이버의 A-A선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7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15도는 제12도의 전자드라이버의 부분 횡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8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9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18도 (a) 및 (b)는 제17도의 전자드라이버의 구성이 다른 봉상극편을 각각 보인 다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10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20도 제19도의 전자드라이버의 봉상극편을 각각 보인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전자드라이버의 제11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22도 봉상극편의 위이에 따른 자속방사관계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현 8 : 전자픽업
17 : 전자드라이버 30 : 전자드라이버
31 : 극편 33 : 코일
40 : 전자드라이버 41 : 극편
43 : 코일 45 : 자속량증까 슬릿
46 : 방사밸런스 슬릿 50 : 전자드라이버
51 : 극편 55 : 전자드라이버
56 : 극편 57 : 강자성체부
58 : 약자성체부 60 : 전자드라이버
61 : 극편 70 : 전자드라이버
71 : 극편 73 : 코일
211 : 프리앰프 212 : 위상천이회로
213 : 자동이득제어회로 214 : 리미터회로
215 : 전류부스터회로
본 발명은 기타나 피아노 등과 같은 현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들의 현진동(弦振動)을 지속시키기 위한 현진동 지속장치를 구비한 현악기 및 그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電磁)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기타가 속하는 발현악기나 피아노가 속하는 타현악기는 비이올린이 속하는 발현악기와 다르며, 그 현진동을 현을 켠뒤에 0.5초 정도에서 반으로 감소되고, 7초 정도에서 소실된다. 예컨대, 전기기타의 경우는 어쿠스틱기타와 비교해서 기타 앰프의 전기적 특성에도 문제가 있지만, 그 감쇠되는 정도가 매우 짧게 느껴진다. 그래서, 청감(聽感)상 조금이라도 진동이 지속되어 들리도록 딜레이, 리버브, 콤프레서, 오버드라이버 등과 같은 이펙터(사운드 효과 부가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 딜레이, 리버브는 반사되거나 남아있는 음을 부가하는 이펙터를 말하며, 발생된 음을 자기테이프로 녹음, 재생하든가 스프링을 이용해 지연시킨 것들이 사용되고, 최근에는 전하지연소자( BBD)를 이용한 순전자적인 것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 콤프레서는 현의 진동감쇠특성에 비례하여 앰프로 신호를 증폭해가는 이펙터가 오버드라이버는 의식적으로 앰프의 허용한도 이상으로 신호를 증폭시켜 현의 울림을 지속시키는 이펙터이다.
이와 같은 이펙터를 사용함으로써, 일응 현의 진동이 소실되는 직전까지 지속음은 얻을 수 있으나, 현진동이 소실된 후에는 얻을 수 없었다.
그래서, 선도적인 창조력을 가진 연주자는 그의 독자적인 예술적 감송에 의해, 다동 다양한 사운드를 추구하여, 그를 위한 연주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예컨대, 스피커 피드백 연주법도 그의 일예이다. 이 연주법은, 대음량으로 울리는 앰프의 스피커에 기타를 접근시켜서, 스피커에서 방사되는 진동파의 공진에 의해, 현진동을 장시간 감쇠시키지 않고 지속시키는 연주법이다. 이 피드백 연주법을 잘 사용함으로써 현진동은 장시간 지속되지만, 연주가자 임의로 내는 음악으로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앰프의 음량, 위치, 현의 길이, 음정 등의 제약이 따르면, 숙련된 고도의 테크닉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 으막의 표현상, 가장 필요한 제1현(가는 현)의 고음부측이 걸리기 어렵다는 결점도 있었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현진동을 소실하지 않고 영속적으로 진동을 지속시키는 장치는 예전부터 강하게 희구되어 왔다.
이와 같은 현진동 지속장치의 바람직한 적용에로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기기타의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면부호 1은 전기기타를 표시한 것으로, 이 전기기타(1)는 본체(2) 및 그 본체(2)에 접합된 네크(3)를 구비하고 있다. 그 네크(3)의 표면에는 플랫(9)이 끼워져 있고, 그 끝에는 헤드(4)가 형성되었다. 이 헤드(4)에서는 복수개의 줄감개(5)가 설치되어 있고, 그곳에 도전성의 금속선으로 형성된 현(6)의 끝이 감겨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 현(6)의 다른 끝은 상기 본체(2)의 표면에 설치된 단부편, 또는 장착된 아암바에 의해 전기기타 특유의 발음현에 대해 우렁찬 트레몰로 효과를 내는 트레몰로 장치(7)에 고정되어 있다. 8은 전자픽업이다. 이 전자픽업(8)은 전형적으로 제2도에 도시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2도(a)에 도시한 것은 일반적으로 단코일형 픽업이라고 부르는 것으로서, 자성체, 즉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극편(10)과 그 극편(10)에 감겨있는 코일(11)과 커버(1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2도(b)에 도시한 것은 복코일형 픽업 또는 팬백킹 픽업이라고 부르는 것으로서, 자성체, 즉 투자성 금속으로 형성되고 사로 대향되는 극편(13) (이 도면의 타입은 봉상극편이라 부른다)과, 이들 극편(13)에 각각 감겨있는 코일(14) 및 그들 극편(13)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영구자석(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픽업은, 극편(10, 13)으로 형성된 자계속을 도전성의 금속으로 된 현(6)이 운동함으로써 코일(11, 14)에 유도기 전력이 발생되는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기타의 적용에의 경우, 현진동 자석장치(20)는, 기본적으로, 다음 요소로 구성된다.
즉, 현(6)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전자픽업(8)과, 이 전자픽업(8)에 의해 검출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18)와, 이 증폭기에 의해 출력된 구동신호로 상기 현(6)에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시키는 전자드라이버(17) 등의 3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송된 현진동 지속장치(2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전자픽업(18)에 의한 현진동의 검출신호는 외부의 기타 앰프(21)에 입력되고, 이 기타 앰프(21)에 의해 확대된 음이 공간으로 방사된다. 또, 상기 전자픽업(8)의 검출신호는, 기타 본체(2)에 내장된 증폭기(18)에도 입력되고, 그 증폭된 신호는 전자드라이버(17)에 출력된다. 이 전자드라이버(17)는 기본적으로 전자픽업(8)과 반대되는 원리를 응용해서, 상기 픽업(8)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를 증폭기(18)로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를 제2도에 도시한 픽업(8)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전자변환기인 전자드라이버(17)에 입력하고, 이 전자드라이버(17)에서 방사되는 자기에너지에 의해 현(弦)을 여진(勵振)하게 된다. 또, 이 전자드라이버(17)는 현(6)을 여진시키는 자력선을 얻기 위하여 큰 전력을 필요로 하고, 코일부분에 관해서는 픽업과는 다르게, 0.3㎜ 정도의 동선을 200회 정도 감아서 전기저항을 약 7Ω으로 하면, 전력손실을 감소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현진동지속장치를 전기기타에 적용시킨 종래의 예로서, 후버(Hoover)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941,338호 및 로즈(Rose)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제4,907,483호에 개시된 전기기타를 들 수 있다. 전자는 「Sustaniac」, 후자는「Kramer-Floyd Rose Sustainer」 라는 상품명으로 실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실용화된 현진동지속장치를 구비한 전기기타는, 마치 마술과 같이 현이 여진되면 그 현자체가 진동을 지속하지만, 악기로서 보았을 때에 몇가지 문제점과 개선점이 있었다.
즉, 제1문제점으로는, 이와 같은 기타나 피아노 등의 현악기에는 복수개의 현이 설치되어 있으나, 그들 복수개의 현은 모두가 굵기와 장력이 다르고, 각 현마다의 여진력도 각기 다르다. 또, 종래의 현진동지속장치를 구비한 현악기에 있어서는, 전기 드라이버가 항상 일정한 구동자기 에너질량을 현에 대해 방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전기기타의 경우, 가장 질량이 작고, 가늘고, 비교적 장력이 큰 제1현을 여진되기가 어려우며, 질량이 크고, 굵고, 비교적 장력이 작은 제5현, 제6현은 여진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현자체의 자기자신의 여진 시스템에 있어서, 음량의 제어는 연주자가 관여하지 않는 부분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진동이 큰 현과 작은 현이 존재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불쾌해지는 결점이 있다. 또, 음악표현상 가장 중대한 제1현(제일 가는 현)에 있어서는, 각 현중에서 가장 가늘고 질량이 작기 때문에 전자여진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와 같은 자기 자신의 여진 때문에 전자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경우, 매우 큰 문제점으로 되어 있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현의 여진 밸런스가 나빠서, 상기 제일 약하게 여진되는 현인 제1현에 전자드라이버로부터 구동자기 에너지가 출력되어 합해지면, 비교적 여진되기 쉬운 현인 제5, 6현이 임의로 여진되어 버리는 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은, 연주자에게 항상 현의 음을 약하게 하며 연주할 것을 강요하는 것으로서, 실제 연주법상 매우 큰 문제점으로 되고 있었다.
또, 이 종래의 현악기에 있어서는, 복수개의 현을 동시에 켜서 화음을 얻는 코드연주법이 음악표현상 매우 중요한 것인데, 상술한 바와 같은 여진 밸런스에 문제가 있어서, 여진되기 쉬운 특정한 현만이 지속적으로 여진되기 때문에, 코드에 의한 화음의 지속은 불가능한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음, 제2의 문제점으로는, 전자드라이버의 구동자기에너지의 방사효율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예컨데, 전기기타에 적용한 경우, 현진동지속장치는 기타의 본체에 일체로 탑제되는 것이 바림직하며, 실제로 외부에 설치된 타입은 상품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있다. 이때 전자픽업의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의 구동전원은 필연적으로 기타본체에 일체로 내장된 소형전지로 된다. 이와 같은 자기에너지의 방사에 의한 여진 시스템은, 통상 100㎃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출력의 열화없이 쾌적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또 전지를 자주 교환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구동자기에너지의 방사효율이 매우 중대한 문제로 대두된다.
또, 이와 같은 종류의 전기기타에 적용되는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에 있어서는, 전기기타의 독특한 연주법은 쵸킹, 벤딩 연주법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제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봉상극편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쵸킹, 벤딩 연주법은 현을 누르고 있는 손가락을 슬릿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아니하고, 현을 편이(便移)시킴으로써 음정을 임의로 상승시켜, 음악에 표정을 부가시키는 연주법인데, 상기 제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상이 아니고 분할극편인 경우에는 여진을 위한 자기에너지가 그들 극편 바로 위 부근에 집중되므로, 상기 쵸킹, 벤딩 연주법을 수행할 경우, 현의 편이에 의해 극편 바로 위에서 벗어나게 되어 음의 끊어짐이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평탄한 자기에너지 방상특성을 가진 봉상극편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봉상극편의 경우, 그의 방사자계특성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상극편(13)에서 발생되는 방사자계가 상하로 균등하게 방사됨으로써, 좌우 끝 부위에서는 N와 S가 매우 작은 촌법으로 루프를 이루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특성에 의해 제2현에서 제5현에 걸리는 방사자계는 비교적 안정이 되지만, 끝부분인 제1현과 제6현에 대해서는 자석이 곡절되어 있는 관계로, 자계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제1현은 여진을 위한 구동자기에너지의 방사밀도가 더욱 낮아지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여진 밸런스면에서 문제점이 일어난다. 또, 영구자석(15)의 방사자계는 현(6) 방향이외에, 현(6)의 반대방향으로도 방사되는데, 현(6)의 반대방향으로 방사되는 자계는 현(6)의 여진에는 관계되지 아니하고, 불필요한 에너지로 소비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킨 것으로서, 제1의 문제점인 복수의 현의 여진 밸런스가 다르게 되는 것을, 현진동지속장치에 여진 밸런스 정합수단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여진 밸런스 정합수단은, 증폭기에 설치된 위상제어회로 및/또는 전자드라이버의 방사자계를 각 현마다에 적절히 설정함으로서 해결하고 있다. 또, 제2의 문제점인 전자드라이버의 구동자기에너지의 방사 효율문제에 대해서는, 현에 대한 상대적인 자속방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자속방사 제어수단을 구비시킴으로 해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에 의해, 각 현이 필요로 하는 구동자기에너지를 충분하게 적절히 부여함으로써, 쓸데없는 자기에너지를 가급적 줄이고, 에너지의 소비효율을 개선시키고 있다. 또, 다른 해결수단으로, 전혀 새로운 구성을 가진 전자드라이버를 사용함으로써, 자기에너지 방사특성을 현저하게 개선하여 해결하고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4도 내지 제6도를 통해, 질량과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에 대하여, 그들 현의 특성에 가장 알맞는 위상으로 정합시킨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 즉, 여진이 되기 어려운 현, 예컨대 제1현에 대해서는, 가장 효율이 좋은 여진이 행해지도록 자기에너지의 출력위상을 정확하게 적합시키고, 비교적, 과대한 여진이 행해지기 쉬운 제5현에 대해서는 의도적으로 자기에너지의 출력위상을 간섭시켜서 복수개의 현 전체의 여진밸런스를 정합시키고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진동지속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타 본체의 표면상의 현(6)과, 그 표면상에 탑재된 전자픽업(8)과, 램프와, 스위치와, 잭류와, 본체내부의 축전지 등을 제외한 모든 것이 한장의 전가회로기판상에 장치되어 있다.
즉, 프리앰프(211)는 전자픽업(8)에서 검출된 현(6)이 미소진동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전치증폭기이고, 그 출력은 다음 단계의 위상천이회로(212)에 출력된다.
그 위상천이회로(212)는 상기 입력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위상천이량이 감소되는 위상진행회로로서, 완만한 저역감쇠의 진폭특성을 갖게해서 전자픽업(8)과 전자드라이버(7) 사이의 위상 지연을 고정적으로 봉상시켜, 현진동과 그에 대한 구동력 사이에서 본 발명에 의한 소정의 위상차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 저음영역을 감쇠시킴으로써 저음에 대한 자기피드백의 양을 감소시키고, 고음의 현과 같이 저음의 현에도 적절한 밸런스가 취해진 현진동 지속효과를 구현시키게 된다. 이 출력은 다음 단계의 자동이득제어회로(AGC) (213)에 출력된다.
그 자동이득제어회로(AGC) (213)은 상기 위상천이회로(212)로부터의 출력신호레벨을 어느 일정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 단계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의 진동을 지속시키기 위한 피드백 양이 작은 경우에는 현진동이 지속되지 않게 되고, 반대로 큰 경우에는 발진해버리는 문제를 해결시키게 된다. 상기 자동이득제어회로에서 출력된 신호는 리미터회로(214)에 입력된다.
리미터회로(1114)는 전단계로부터의 임펄스성 잡음 등의 과대한 입력을 방지하고, 급격한 입력신호파형의 상하로의 변화를 정형시키는 파정형의 역할도 함으로서, 순간적으로 이상한 피드백이 유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류부스터회로(215)는 상기 리미터회로에서의 신호를 증폭시키고 전자드라이버(17)에 드라이버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자드라이버(17)는 그 드라이버 전류에 따라서, 현(6)을 여진시키기 위한 자계를 발생시킨다.
제5도에는 상술한 위상제어회로(212)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제어회로(212)의 입력단자에는 프리앰프(211)의 출력신호가 인가되고, 출력단자는 다음 단계의 자동이득제어회로(213)에 연결된다. 자동이득제어회로(213)는, 진폭특성이 ω=0에서 │T│=1+R226/R224이고, ω=∞에서 │T│=1+R226(R224+R225)/R224×R225의 고영역 통과특성을 나타낸다. 또, 위상은 신호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위상진행이 감소되는 위상진행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위상특성을 여진이 제일 걸리기 어려운 제1현에 설정하고 다른 현, 특히 제5현과 제6현등에는 약간의 부정합을 부여함으로서, 각 현 사이의 여진밸런스를 실현하고 있다. 또, 상기 회로를 각 현에 대응해서 개별적으로 설치하여, 동일한 여진밸런스를 실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현 사이의 여진밸런스를 균등하게 조정함으로써, 종래 불가능하였던 화음에 의한 지속진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 제7도를 참조로 하여 질량과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에 대해서, 그들 현에 대응하는 적정한 자기 에너지를 부여하는 여진 밸런스 정합수단을 구비한 전자드라이버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 30은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그 전자드라이버(30)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원통사의 극편(31)~(31)이 현(6)~(6)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있다. 32는 보빈(bobbin)이고, 33은 코일을 표시한다. 상기 극편(31)~(21)은 각 현(6)~(6)에 대해서 각각 최적의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하도록 영구자석의 크기가 각각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즉, 질량이 작고 장력이 큰 제1현에 대해서는 다량의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하도록 직경이 큰 극편으로 되어 있고, 질량이 크고 장력이 약한 제5현에 대해서는 소량의 자기에너지를 방사하도록 직경이 작은 극편으로 되어 있다.
다음, 제8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쵸킹 및 벤딩에도 대응 가능하게 하기 위해, 봉상극편을 사용한 전자드라이버에 복수개의 현을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여진시키기 위해 여진밸런스 정합수단 및/또는 현에 대한 상대적 자기에너지의 방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자속방사 제어수단을 구비시킨 전자드라이버의 제2내지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봉상 극편을 가진 전자드라이버에, 현에 대한 상대적인 자속방사량 및/또는 각 현에 대응하는 자속방사량 및/또는 각 현에 대응하는 자속방사밸런스를 제어하기 위해 그 봉상극편에 자속방사편향(偏向)수단을 부여하고 있다.
그 자속방사편향수단은, 전자드라이버의 현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방사되는 쓸데없는 자속방사를 편향시켜서, 결과적으로 현방향에 대한 자속방사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 전자드라이버로부터의 각 현에 대한 자속방사량을 적절하게 분배시키는 밸런스 역할도 하고 있다.
이하, 상기 자속방사편향수단을 구비한 전자드라이버의 실시예를, 제8도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중, 40은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그 전자드라이버(40)는, 제2도(b)에 표시한 봉상극편을 사용한 복코일형 전자드라이버와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41은 봉상극편이고, 그 봉상극편(41)은 강자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하부는 파선으로 표시한 자석(42)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43은 코일이고, 그 코일(43)은 상기 봉상극편(41)의 주위에 감겨져 있다. 44는 보빈이고 6~6은 현을 표시한다. 상기 봉상극편(41)의 양단부에는 자속방사편향수단 즉, 공기 틈으로 된 자속량증가가 슬릿(45, 4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자속량증가 슬릿(45, 45)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드라이버의 양단에 직각방향으로 곡절방사되어 밀도가 낮아지는 현의 양단 부위의 자속을, 공기 틈에 의한 자기저항을 설정하여 주위에 곡절되는 자속을 현의 방향으로 돌려, 현의 방향으로 자속방사를 편향시킴으로써, 상대적인 자속방사량을 효과적으로 현에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봉상극편(41)에는, 상기 자속량증가 슬릿(45, 45) 이외에, 방사밸런스 제어슬릿(46, 46…)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방사밸런스 제어슬릿(46, 46…)도 공기 틈에 의해 자석(42)에서 방사되는 자속을 현(6…)에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방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질량이 작고 장력이 강해서 매우 여진되기 어려운 제1현(도면중 우측의 현)에 자석을 집중시켜서 방사하기 때문에, 이 제1현에 대응하는 부분의 면적이 다른 부분의 면적에 비교해서 커지도록, 하측이 넓게 방사밸런스 슬릿(46, 46)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석(42)의 자속은, 봉상극 편(41)을 개재해서 현(6, 6…)에 방사되는데, 자속량증가 슬릿(45, 45)이 공기 틈에 의해 자기저항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면의 좌우방향에 대한 자기방사는 억제되고,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현의 방향으로 자석이 집중되고, 주위로 방사되는 자속도 편향되어 현이 방향으로 집중되는 자속량이 증가되게 된다. 또, 방사밸런스 제어슬릿(46, 46…)에 의해, 자석(42)의 자속이 제1현에 집중되게 방사되고, 각 현마다에 출력되고 여진력에 대응되는 자속방사밸런스가 제어된다.
다음, 자속방사편향수단을 구비한 전기현악기용 전자드라이버의 제3실시예를 제9도를 통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전자드라이버(50)는, 기본적으로 봉상극편자체를 자석으로 형성한 싱클타입의 전자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다. 즉, 51은 봉상극편을 표시하고, 그 봉상극편(51)은 자석으로 형성되고, 그 주위에 코일(4)이 감겨져 있다. 또, 이 봉상극편(51)의 양단부에는 자속량증가 구멍(52, 52…)이 뚫려있다. 또, 그 봉상극편(51) 상단부의 각 현과 현사이에는 밸런스 제어구멍(53, 53…)이 뚫려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자속량증가 구멍(52, 52…)은, 제2실시예의 자속량증가 슬릿(45)과 동일한 작용을 하여, 구멍을 공기 틈에 의한 자기저항으로 함으로써, 주위에 곡절된 자속을 현(6, 6…)의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상대적인 자속량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본 실시예의 방사밸런스 제어구멍(53, 53…)은 제2실시예의 방사밸런스 슬릿(46, 46…)과 동일한 작용을 하여, 구멍을 공기 틈에 의한 가지저항으로 함으로써, 현(6)이 존재하는 위치에 자석을 집중해서 방사시키는 작용을 한다.
다음, 자속방사편향수단을 구비한 전기현악기용 전자드라이버의 제4실시예를 제10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55는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56은 봉상극편을 표시한다. 이 봉상극편(56)은 자석(3)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2종류의 자성체의 복합구조로 되어 있다. 즉, 현(6, 6…)에 대응하는 부분은, 예컨대 철, 알미니켈, 페라이트 등을 재질로 하는 강자성체부(57, 57…)로 되어 있고, 각 현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예컨대 구리, 놋쇠, 황동 등을 재질로 하는 약자성체부(58, 58…)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실시예에 작용을 설명한다. 자석(3)은, 봉상극편(56)에 대해서 균일한 자석을 부여하지만, 강자성체부(57)와 약자성체부(58)는 투자율이 다르기 때문에, 강자성체부(57)에 대해 약자성체부(58)가 공기 틈으로 되어 자기저항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현(6, 6…)에 방사되는 자속은, 그들 각 현(6, 6…)에 대응하는 자석밸런스로 편향되어 방사된다.
다음, 자속방향편향수단을 구비한 전기현악기용 전자드라이버의 제5실시예를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60은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61은 봉상극편을 표시하고, 62는 하위자석을 표시한다. 이 하위 자석(62)은 봉상극편(61)의 제1현측 끝에 봉상극편(61)과 접합면이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봉상극편(61)에서 방사된 자속은, 제1현측에 하위자석(62)이 동일한 극성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 극성의 반발로 인하여, 주위로 곡절되지 않고, 강제적으로 현방향으로 향되고, 각 현에 대한 자속방사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됨과 동시에, 제1현의 구동자기에너지의 방사가 봉상되게 작용된다.
다음, 전자드라이버를 새롭게 구성해서, 구동자기에너지의 방사특성을 현저하게 개선하고, 에너지의 소비량도 현저하게 감소시킨 전자드라이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즉, 제11도 까지의 실시예는, 제2도에 도시한 전자픽업과 거의 동일한 구성의 전자드라이버에 적용시킨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전자드라이버로서 유효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신규로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의 실시예를 제12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70은 전자드라이버이고, 이 전자드라이버(70), 현(6)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3장의 봉상극편(71, 71, 71)을 가지고 있다. 이 봉상극편(71)은, 철, 규소강판 등의 투자성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72, 72는 영구자속발생체인 영구자석이다. 이들 영구자석(72, 72)은, 상기 3장의 봉상극편(71, 71, 71)사이 중앙에 상기 현(6)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들 봉상극편(71, 71, 71)에 동일 극성으로 대향되어 자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73, 73은상기 영구자석(72, 72)에 서로 역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74는 슬릿이고, 그 슬릿(74)은 상기 봉상극편(71, 71, 71)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75, 75는 금속나사이고, 상기 봉상극편(71, 71, 71) 및 코일(73, 73)이 접촉되는 영구자석(72, 72) 및 상기 봉상극편(71, 71, 71)의 접합면에는 절연테이프(76)가 접착되어 있고, 상기 금속나사(75)의 일단에는 접지선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현(6)을 자기화시키기 위한 영구자석(72, 72)의 자속은 봉상극편(71, 71, 71)을 개재해서 상하방향으로 도착되는데, 그들 영구자석(72, 72)의 하부에 있는, 상기 슬릿(74)에 의해 자기저항이 일어나고, 하방으로 도자되는 자속이 편향되어 상방으로 도자된다. 따라서, 영구자석(72, 72)의 자속은 상기 각 현(6)에 집중적으로 방사된다. 한편,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업(8)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는 앰프(18)에서 증폭되어 상기 전자드라이버(71)에 인가되는데, 이 전자드라이버(71)에 의해 구동자기에너지로 변환된 후, 제13도의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방사됨으로써, 현(6)의 여진이 이루어지게 되다.
이때, 3장의 봉상극편(71, 71, 71)의 상부에서 방사되는 자 속의 극성은, 중앙에 있는 봉상극편(71)만이 양쪽에 있는봉상극편(71, 71)에 대해서 다른 극성으로 되기 때문에, 서로 당겨지게 되어, 현(6) 부근에 집속되고, 현(6) 부근 이외의 주위에는 거의 방사되지 않게 된다. 즉, 쓸데없는 자기에너지분의 거의 없어지게됨으로 매우 효율이 좋은 전자 드라이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4도 및 제15도를 통해 본 발명 따른 현진동지속장치의 전극드라이버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6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80은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이 전자드라이버(80)는 1쌍의 자속발생체(81, 81)를 가지고 있다. 이 자속발생체(81, 81)은 영구자석(82)가 강자성체(83)가 조합된 구조체로 되어 있다. 상기 강자성체(83)는, 예컨대 착자되지 않은 페라이트, 철 등의 자성체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영구자석(82)과는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영구자석(82, 82)은 각 자속발생체(81, 81)의 중앙부에서 외측인 양쪽의 봉상극편(71, 71)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자드라이버의 기본적 개념을 고려할 경우, 이상적으로는, 코일(73)의 중심에 자속발생체가 존재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영구자석이 아니고 강자성체로 된 것이 좋다. 이것은 현(6)을 자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속발생체가 필요하지만, 여진구동시에 그 구동력을 내부의 영구자석과 코일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의 합성으로 되기 때문에 영구자석만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그 영구자석이 코일(73)에서 발생되는 자속을 포착하지 않는 자기저항으로 되어,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상적으로 작용시키기 위해 자속발생체(81, 81)를 영구자석(82)과 강자성체(83)의 조합구조체로 한 것이다.
다음, 제16도를 통해 본 발명에 관한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7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은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85은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이 전자드라이버(85)는 3장의 봉상극편(86, 86, 86)을 가지고 있고, 그들 봉상극편(86, 86, 86) 사이에는 직각방향으로 자속발생체(87, 87)이 각각 끼워져 있다. 이 자속발생체(87, 87)는 코일이고, 이 코일(87)은, 상기 전자드라이버(85)의 봉상극편(86, 86)과 현(6) 사이에서, 그 자속발생체(87)가 봉상극편(86)내면에 접촉되도록 중간 봉상극편(86)에 감겨져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3장의 봉상극편에 각각 슬릿을 형성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슬릿을 생략해도 좋다. 또, 자속발생체의 극성의 배치도,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의 봉상극편이 양측의 봉상극편에 대해서 다른 극성으로 되게 해도 좋다.
또, 제8실시예에 있어서, 영구자석은 봉상극편에 접하는 위치에 배치한 것을 설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 않고, 이상적으로는, 강자성체로 끼워져서 각 자속발생체의 중앙부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속발생체는, 제7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 제8실시예에서는 영구자석과 강자성체와의 조합구조로 형겅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컨대 페라이트, 철 등의 투자성부재에 약하게 착자시킨 반자석강자성체로 해도 좋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의 제9실시예를 제17도 및 제18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전자드라이버(90)는 3장의 봉상극편(91, 91, 91)을 가지고 있고, 그 3장의 봉상극편중, 양측의 봉상극편(91, 91)은 제18도(a)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중간의 봉상극편(92)은 제18도(b)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면중, 93, 93, 93은 자석이고, 이 자석(93, 93, 93)은 상기 3장의 봉상극편(91, 92, 91)의 중앙에 끼워져 있고, 이들은 나사(94)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자석(93, 93, 93, 93)의 주위에는 코일(95, 95)이 감겨져 있다. 또, 상기 양측의 봉상극편(91, 91) 및 중간의 봉상극편(92)은 각 현(6, 6…)에 대한 상대적인 자속방사량 및 각 현에 대응하는 자속방사밸런스를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각각 공기 틈에 의한 자속방사편향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18도(a)에 도시한 양측의 봉상극편(91, 91)은 그 봉상극편 양측에 자속증가구멍(96, 96…)과 자속량증가 슬릿(97, 9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현(6)의 반대방향인 도면의 하측으로의 자속방사를 제어하기 위한 하방자속 제어슬릿(98)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8도(c)에 도시한 중간극편(92)에는, 상기한 각 공기 틈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현(6, 6…)에 대한 자속방사밸런스를 최적으로 하기 위한 방사제어슬릿(99, 99…)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작용은 상기의 실시예의 작용과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의 제10실시예를 제19도 및 제20도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9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100은 전자트랜스듀서인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이 전자드라이버(100)는 전기기타(1)의 본체(2)에 설치되어 있다. 8은 전자픽업이다. 이 전자픽업(8)의 출력은 앰프(118)에 입력되고, 이 앰프(18)의 출력은 전자드라이버(100)에 입력되어 있다. 101은 트레몰로 장치이다. 이 트레몰로로 장치(101)에는 현(6)의 한쪽끝이 걸려있고, 그 트레몰로장치(101)는 현(6)의 장력을 임의로 변화시켜서 음정을 고저로 변화시킬 수 있게 기타 본체(2)에 흔들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103은 스프링이고, 이 스프링(103)은 트레몰로장치(101)의 사용후 그 트레몰로장치를 원 위치에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고, 그 스프링(103)의 일단이 트레몰로장치(101)의 끝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금속나사(104)를 개재해서 기타 본체(2)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전자드라이버(100)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4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고, 그의 봉상극편(105)에는 하방편향슬릿(106, 10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자드라이버(100)는 현(6)을 여진시키기 위한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시킨다. 이 구동자기에너지는, 전자픽업(8)에서 검출된 전기신호를 앰프(18)에서 증폭시키고, 전자드라이버(100)에서 자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인데, 이 구동자기에너지는 현방향 뿐만 아니라 전자드라이버(100)의 전주위에 방사된다. 이 방사된 구동자기에너지는 각 공기 틈(96, 97, 98)에 의해 효율좋게 제어 되고, 상술한 금속제의스프링(103)과 금속나사(104)와 철제 트레몰로장치(101) 등의 각 금속제품의 유도자로에 의해 픽업(8)하측에 진입된 자기에너지는 상기 하방편향슬릿(106, 106)에 의해 좌우로 편향분산되어, 그들 금속제품에 의한 자기의 진입을 억제하게 된다.
다음, 제21도 및 제22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의 제1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8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으로 각 현에 대응하는 봉상극편 사이의 갭 간격을 각 현마다에 설정한 예와, 자속방사 제어수단으로서 자기포화현상을 응용한 예로 되어있다. 도면에서, 110은 전자드라이버를 표시하고, 이 전자드라이버(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3장의 봉상극편(111, 112, 111)을 가지고 있다.
이 3장의 봉상극편(111, 112, 111)중 양측의 2장의 봉상극편(111, 111)은 중앙의 방상극편(112)과 비교해서 얇게, 예컨대 0.5㎜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양측의 2장의 봉상극편(111, 111)중, 기타의 본체끝측(단면도의 우측)의 봉상극편(111)의 상반신에는, 도자부재인 1.2㎜ 정도의 두게로 형성된 도자판(113)이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한편, 타측의 봉상극편(111)의 상반신 상단에는, L자상으로 곡절삭공된 L자항 도자판(114)이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 L자상 도자판(114)의 상면부(115)는, 중앙의 봉상극편(112)에 대해서 소정의 갭 간격을 가지도록 가공형성되어 있다. 이 소정의 갭 간격은 예컨대, 제1현에 대응하는 위치는 비교적 넓고, 제5현에 대응하는 위치는 비교적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양측의 봉상극편(111, 111)과 중앙의 봉상극편(112)에 의해 자속루프가 형성된다. 이때, 제22도(b)의 파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L자상 도자판(114)의 상면부(115)의 끝과 중앙의 봉상극편(112)괴의 간격이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6)이 존재하는 위치까지 자속의 방사가 도달되어, 그 구동자기에너지에 의해 현(6)이 여진된다.
한편, 제22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L자상 도자부재(114)의 상면부(115)이 끝과 중앙의 봉상극편(112)과의 간격이 좁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 속의 방사가 매우 짧은 경로를 통과하게 됨으로, 현(6)이 존재하는 위치에는 자 속의 방사가 거의 도달되지 않고, 구동자기에너지가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되어, 여진되는 양이 작아진다. 따라서, 복수개의 각 현에 최적의 밸런스의 구동자기에너지가 공급된다. 또, 양측의 봉상극편(111, 111)은 얇은 도자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포화현상이 발생하여, 소정 수준이상의 자속방사는 할 수 없게 되는데, 그들 상방신에 질량이 크며 자기포화에 대해 여유를 가진 자기판(113)과 L자상 도자판(1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현(6)방향에 대하 자속방사가 역으로 강화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자속방사편향 수단의 예로서, 공기 틈인 슬릿, 구멍, 약자성체와의 복합구조, 봉상극편 사이의 갭 촌법 및 하위자석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 속의 방사를 편향시키는 수단이며 어떠한 수성, 수단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 제2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대적인 자속방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공기 틈과, 각 현에 대응하는 자기방사밸런스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틈을 함께 구비시킨 예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그딜 두가지중 어느 한가지만 사용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의 폭, 향상 및 디자인이나, 구멍의 크기, 배치등도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와 각 현의 출력밸런스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기 틈의 일예로서 약자성체와의 복합구조로 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더욱 적극적으로 자속을 편향시키기 위해, 예컨대 세라믹, 플라스틱, 알미늄 등의 비자성체와의 복합구조로 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제5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속을 편향시키기 위한 하위자석을 제1현 측의 끝부에만 배치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6현 측끝부에 배치해도 좋다.
또, 본 실시예를 사용함에 있어서, 봉상극편 자체가 자석으로 형성되어도 좋고, 봉상극편이 자석체로 형성되어 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진동지속장치를 구비한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에 있어서는, 증폭수단에 설치된 회로 및/또는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에 의해, 질량(긁기)과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에 대해서 그들 각 현에 대응하는 최적의 밸런스와 여진이 이루어지도록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특성이 각각 다른 각 현이 균일하게 여진되는 효과가 있고, 그 효과에 의해, 가장 여진이 되징 않는 제1현도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여진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각 현의 여진밸런스가 균이화되기 때문에, 종래 불가능하였던 복수개의 현을 동시에 여진시키는 화음코드 연주법을 실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여진의 밸런스가 균일화되기 때문에, 종래 제1현에 출력을 정합시키면 제5현이 과대한 출력이되어 음을 약하게 하는 조작이 어려웠던 결점이 해소되고, 쾌적한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여진의 밸런스의 불균형으로 과대하게 방사자속이 출력되는 일이 없어지므로, 에너지의 소비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는 각 현에 대한 상대적인 자속방사량을 제어하기 위한 자속방사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각 현에 대한 구동자기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방사시키고, 여진에 기여하지 않은 방향의 방사에너지를 현방향으로 편향시켜서 방사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9)

  1. 질량 및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을 설치한 현악기로서, 상기 현의 진동을검출하는 픽업수단과, 그 픽업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그 증폭수단에 의해 출력된 구동신호로 상기 현에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하는 전자드라이버로 구성된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각 현을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여진시키기 위한 여진밸런스 정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은, 증폭수단에 설치된 위상제어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제어회로는 현의 진동주파수에 대해 고정된 위상천이 특성을 가지고, 그 위상천이 특성을 가장 여진동되기 어려운 소정 현의 여진을 최적으로 정합시키고 다른 현에 대해서는 정합을 시키지지 않음으로써, 각 현의 여진이 실질적으로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제어회로는, 각 현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위상제어회로로 이루어지고, 그들 대응하는 각 현의 진동주파수에 대해 고정된 위상천이특성을 가지고 있고, 여진시키기 가장 힘든 현의 위상제어회로에는 그 현의 여진을 위해서 최적의 상태로 정합된 위상특성을 부여하고, 다른 현에 대해서는 정합을 하지 않음으로써 각 현의 여진이 실질적으로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의 진동 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5.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제어회로에 의한 각 현에 대한 균일한 여진에 의해서, 화음에 의한 현진동의 지속을 실질적으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6.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현의 여진이 최적으로 이루어지게 설정된 현은 최고음의 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7. 질량 및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이 설치된 현악기로서, 상기 현의 진동을 검출하는 픽업수단과, 이 픽업수단에 의해 출력된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현에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하는 전자드라이버로 구성된 현진동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현을 각각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여진시키기 위한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드라이버는 코일과 복수개의 현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봉상극편을 구성하고,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은, 각 현에 대응하는 적정한 자속을 그들 현에 방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 봉상극편의 방사자속을 적정하게 조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드라이버는 영구자석과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봉상극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진밸런스 정합수단은 상기 봉상극표면에 형성된 자속방사편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극편의 상단부는 거의 직선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극편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판상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봉상극편 영구자석으로 형성된 판상체이고, 이 판상체에는 영구자석이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방사편향수단은 봉상극편의 제1현측 근처에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자석은 봉상극편의 제1현측 근처에 적어도 1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방사편향수단은 봉상극편에 형성된 공기 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틈은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틈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틈은 갭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틈은 비자성체 또는 약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0. 현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3장의 봉상극편과 그들 각 극편사이에 현에 대해 평행되게 설치되고 그들 각 극편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1쌍의 자속발생체와, 그들 자속발생체 또는 상기 각 봉상극편에 감겨진 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속발생체는 중앙의 극편에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발생체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발생체는 영구자석과 강자성체가 조합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발생체는 강자성체를 약하게 착자시킨 반자석 강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각 자속발생체의 중앙부위에서 외측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자속발생체의 하부 근처의 봉상극편에 그 봉상극편의 길이에 걸쳐서 슬릿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6. 질량 및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을 설치한 현악기로서, 상기 현의 진동을 검출하는 픽업수단과, 그 픽업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그 증폭수단으로 출력된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현에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하는 전자드라이버로 구성된 현진동지속장치를 구비한 현악기에 있어서, 상기 현진동지속장치는 화음연주를 할 수 있게 상기 복수의 현에 대해서 동시에 균일한 여진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밸런스가 맞는 상태로 여진시키기 위한 여진밸런스 정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 전자드라이버.
  27. 질량 및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을 설치한 현악기로서, 상기 현의 진동을 검출하는 픽업수단과, 이 픽업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그 증폭수단에 의해 출력된 구동신호로 상기 현에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하는 전자드라이버로 구성된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에 있어서, 현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자속방사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자속방사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28. 질량 및 장력이 다른 복수개의 현이 설치한 현악기로서, 상기 현의 진동을 검출하는 픽업수단과, 이 픽업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이 픽업수단에 의해 출력된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현에 구동자기에너지를 방사하는 전자드라이버로 구성된 현진동지속장치에 있어서, 현방향에 대한 상대적인 자속방사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자속방사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드라이버는 영구자석과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에 자기적으로 결합된 봉상극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자속방사제어수단은 상기 봉상극편에 형성된 자속방사편향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KR1019920019667A 1991-10-24 1992-10-24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KR960011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77837A JPH05119775A (ja) 1991-10-24 1991-10-24 弦振動持続装置を備えた弦楽器
JP277837/1991 1991-10-24
JP323003/1991 1991-12-06
JP32300391A JP3308288B2 (ja) 1991-12-06 1991-12-06 電気弦楽器用電磁トランスデューサ
JP34648091A JP3267317B2 (ja) 1991-12-27 1991-12-27 電気弦楽器用電磁トランスデューサ
JP346480/1991 1991-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150B1 true KR960011150B1 (ko) 1996-08-21

Family

ID=2733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667A KR960011150B1 (ko) 1991-10-24 1992-10-24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85588A (ko)
EP (1) EP0539232A3 (ko)
KR (1) KR960011150B1 (ko)
CA (1) CA2081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3922A (en) * 1994-07-29 1998-12-01 Fuisz Technologies Ltd. Preparation of oligosaccharides and products therefrom
US5932827A (en) * 1995-01-09 1999-08-03 Osborne; Gary T. Sustainer for a musical instrument
JP3653854B2 (ja) * 1996-03-08 2005-06-02 ヤマハ株式会社 弦楽器型電子楽器
GB9722985D0 (en) * 1996-12-20 1998-01-07 Univ York Tuning of musical instruments
US7309829B1 (en) 1998-05-15 2007-12-18 Ludwig Lester F Layered signal processing for individual and group output of multi-channel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20050120870A1 (en) * 1998-05-15 2005-06-09 Ludwig Lester F. Envelope-controlled dynamic layering of audio signal processing and synthesis for music applications
US6610917B2 (en)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US6034316A (en) * 1999-02-25 2000-03-07 Hoover; Alan Anderson Controls for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GB9905039D0 (en) * 1999-03-05 1999-04-28 New Transducers Ltd Musical instrument
SE517203C2 (sv) * 1999-12-14 2002-05-07 Peter Gustafsson Elektromagnetisk mikrofon för stränginstrument
ATE445213T1 (de) 2000-05-23 2009-10-15 Rolf Krieger Instrument und verfahren zum erzeugen von klängen
US6479738B1 (en) 2001-06-27 2002-11-12 Donald A. Gilmore Piano tuner
US6559369B1 (en) 2002-01-14 2003-05-06 Donald A. Gilmore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tuning a piano
JP3982584B2 (ja) * 2002-09-02 2007-09-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制振装置
US7166794B2 (en) * 2003-01-09 2007-01-23 Gibson Guitar Corp. Hexaphonic pickup for digital guitar system
US8450593B2 (en) * 2003-06-09 2013-05-28 Paul F. Ierymenko Stringed instrument with active string termination motion control
US7453040B2 (en) * 2004-12-03 2008-11-18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8658879B2 (en) * 2004-12-03 2014-02-25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777119B2 (en) * 2005-07-25 2010-08-17 Russell Stoneback Electromagnetic musical instruments
US7777118B2 (en) * 2005-07-25 2010-08-17 Russell Stoneback Electromagnetic musical instrument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5028849B2 (ja) * 2006-04-24 2012-09-19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ペダルのハーフポイント特定方法及び装置
US20080245217A1 (en) * 2007-04-07 2008-10-09 Bret Thomas Stewart Nearly Closed Magnetic Flux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nstrument Pickups
US9019237B2 (en) * 2008-04-06 2015-04-28 Lester F. Ludwig Multitouch parameter and gesture user interface employing an LED-array tactile sensor that can also operate as a display
US7982123B2 (en) * 2008-04-10 2011-07-19 Collin Mulvany Passive electromagnetic string isolating pickup
US8169414B2 (en) 2008-07-12 2012-05-01 Lim Seung E Control of electronic games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US8345014B2 (en) 2008-07-12 2013-01-01 Lester F. Ludwig Control of the operating system on a computing device via finger angle using a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touch user interface
US8604364B2 (en) * 2008-08-15 2013-12-10 Lester F. Ludwig Sensors, algorithms and applications for a high dimensional touchpad
US8170346B2 (en) 2009-03-14 2012-05-01 Ludwig Lester F High-performance closed-form single-scan calculation of oblong-shape rotation angles from binary images of arbitrary size using running sums
US20110066933A1 (en) 2009-09-02 2011-03-17 Ludwig Lester F Value-driven visualization primitives for spreadsheets, tabular data, and advanced spreadsheet visualization
US20110055722A1 (en) * 2009-09-02 2011-03-03 Ludwig Lester F Data Visualization Environment with DataFlow Processing, Web, Collaboration, Advanced User Interfaces, and Spreadsheet Visualization
US20110202934A1 (en) * 2010-02-12 2011-08-18 Ludwig Lester F Window manger input focus control for high dimensional touchpad (htpd), advanced mice, and other multidimensional user interfaces
US10146427B2 (en) * 2010-03-01 2018-12-04 Nri R&D Patent Licensing, Llc Curve-fitting approach to high definition touch pad (HDTP) parameter extraction
US9632344B2 (en) 2010-07-09 2017-04-25 Lester F. Ludwig Use of LED or OLED array to implement integrated combinations of touch screen tactile, touch gesture sensor, color image display, hand-image gesture sensor, document scanner, secure optical data exchange, and fingerprint processing capabilities
US9626023B2 (en) 2010-07-09 2017-04-18 Lester F. Ludwig LED/OLED array approach to integrated display, lensless-camera, and touch-screen user interface devices and associated processors
US8754862B2 (en) 2010-07-11 2014-06-17 Lester F. Ludwig Sequential classification recognition of gesture primitives and window-based parameter smoothing for high dimensional touchpad (HDTP) user interfaces
US9950256B2 (en) 2010-08-05 2018-04-24 Nri R&D Patent Licensing, Llc High-dimensional touchpad game controller with multiple usage and networking modalities
US8664507B1 (en) * 2010-09-01 2014-03-04 Andrew Scott Lawing Musical instrument pickup and methods
JP5327481B2 (ja) * 2011-01-13 2013-10-3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トーンコントロール装置
US20120204577A1 (en) 2011-02-16 2012-08-16 Ludwig Lester F Flexible modular hierarchical adaptively controlled electronic-system cooling and energy harvesting for IC chip packaging, printed circuit boards, subsystems, cages, racks, IT rooms, and data centers using quantum and classical thermoelectric materials
US8797288B2 (en) 2011-03-07 2014-08-05 Lester F. Ludwig Human user interfaces utilizing interruption of the execution of a first recognized gesture with the execution of a recognized second gesture
US9052772B2 (en) 2011-08-10 2015-06-09 Lester F. Ludwig Heuristics for 3D and 6D touch gesture touch parameter calculations for high-dimensional touch parameter (HDTP) user interfaces
KR101486119B1 (ko) * 2011-09-14 2015-01-23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음향 효과 부여 장치 및 어쿠스틱 피아노
JP5758774B2 (ja) 2011-10-28 2015-08-0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効果装置
US9823781B2 (en) 2011-12-06 2017-11-21 Nri R&D Patent Licensing, Llc Heterogeneous tactile sensing via multiple sensor types
US10430066B2 (en) 2011-12-06 2019-10-01 Nri R&D Patent Licensing, Llc Gesteme (gesture primitive) recognition for advanced touch user interfaces
US8735710B2 (en) * 2012-02-10 2014-05-27 Roland Corporatio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effect device
JP5281185B1 (ja) * 2012-04-17 2013-09-04 通 中谷 弦楽器
US9183823B2 (en) * 2012-10-09 2015-11-10 Kesumo, Llc Pickup and sustainer for stringed instruments
JP5676044B1 (ja) * 2014-08-22 2015-02-25 株式会社フェルナンデス 極薄型電磁ドライ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ギター
US9583076B2 (en) * 2015-05-21 2017-02-28 Luciano Nigro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US10332499B2 (en) * 2015-06-19 2019-06-25 Gary Alan Nelson Precision solid state string motion transducer for musical instruments with non-ferromagnetic strings, and method for precision measurements of time-variable position using 3-pole permanent magnets
US9679549B2 (en) * 2015-06-19 2017-06-13 Gary Alan Nelson Precision solid state position transducer using magnetic fields,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spot on an elongate member, and musical instrument
US11615773B1 (en) * 2019-06-06 2023-03-28 Merkaba Electronics LLC String sustainer for musical instrumen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8285A (en) * 1975-07-14 1979-07-11 Heet G S String instrument vipration initiator and sustainer
US4269103A (en) * 1976-02-11 1981-05-26 Underwood John F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245540A (en) * 1976-04-12 1981-01-20 Groupp Barry A Sound sustain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JPS52151022A (en) * 1976-06-10 1977-12-15 Roland Corp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US4143575A (en) * 1976-10-01 1979-03-13 Oliver Richard C Electronic sound generating system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4236433A (en) * 1979-04-02 1980-12-02 Stephen Holland Electric string instrument
US4524667A (en) * 1983-08-15 1985-06-25 Seymour Duncan Electromagnetic pickup for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having ferromagnetic strings and method
US4809578A (en) * 1987-07-14 1989-03-07 Lace Jr Donald A Magnetic field shaping in an acoustic pick-up assembly
US4907483A (en) * 1988-05-27 1990-03-13 Rose Floyd D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US4941388A (en) * 1989-05-12 1990-07-17 Hoover Alan A String vibration sustaining device
DE9100689U1 (de) * 1991-01-22 1991-05-23 Hein, Hubertus, Dipl.-Ing., 7141 Murr Sustainer-Vorrichtung zur Erlangung eines dauerhaften Sustains sowie für die Erzeugung von Feedbackeffekten auf elektrisch verstärkten Saiteninstrum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39232A3 (en) 1994-05-18
EP0539232A2 (en) 1993-04-28
US5585588A (en) 1996-12-17
CA2081246A1 (en) 199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150B1 (ko) 현진동지속장치를 갖춘 현악기 및 현진동지속장치의 전자드라이버
JP3233659B2 (ja) 弦振動持続装置を備えた電気弦楽器
US5378850A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having an arrangement for adjusting the generation of magnetic feedback
KR930011734B1 (ko) 악기용 음 지속기
US5530199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941388A (en) String vibration sustaining device
US8791351B2 (en) Magnetic flux concentrat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n electromagnetic pickup
US4245540A (en) Sound sustain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5811710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233123A (en) Musical instruments equipped with sustainers
US5123324A (en) Musical instrument sustainers and transducers
US6846981B2 (en) Electromagnetic humbucker pick-up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20020069749A1 (en) Basic sustainer components
JP2004519732A (ja) 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用のピックアップ、およびギターの弦の振動を変換する方法
US5723805A (en) Vibration transducer devic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4184398A (en) Self generating electrical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9460698B2 (en) Stringed instrument
JP5676044B1 (ja) 極薄型電磁ドライバ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ギター
US20050081703A1 (en) Electroacoustic sustainer for musical instruments
US5508474A (en) Electromagnetic pickup for a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
JP3308288B2 (ja) 電気弦楽器用電磁トランスデューサ
JP3267317B2 (ja) 電気弦楽器用電磁トランスデューサ
JP2000148148A (ja) 弦楽器
JPH1115472A (ja) ギター用電磁変換器
JPH02282793A (ja) 電気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