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404B1 -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 - Google Patents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04B1
KR930007404B1 KR1019870015361A KR870015361A KR930007404B1 KR 930007404 B1 KR930007404 B1 KR 930007404B1 KR 1019870015361 A KR1019870015361 A KR 1019870015361A KR 870015361 A KR870015361 A KR 870015361A KR 930007404 B1 KR930007404 B1 KR 930007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amount
weight
insecticide
clot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9263A (ko
Inventor
사토시 오오이
이사오 마쯔나가
야스하루 다케이
Original Assignee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시모 시즈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오오시모 시즈유끼 filed Critical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9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
본 발명은 의류용 방출 에어졸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의류용가구류, 의복상자등 의류를 보관하는 용기(이하 "옷장" 이라함) 공간내에 분무시켜 이용할 수 있는 의류용 방출 에어졸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졸로서는 사람이나 가축에 피해를 주는 모기, 파리, 유충 기타 해충을 박멸하기 위해 직접 해충에 분무시키는 소위 공간용 에어졸살충제가 잘 알려져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해충을 없애기 위한 목적의 공간용 에어졸제에 있어서는 살충 원체의 용제인 등유 등의 휘발성이 약한 용제가 사용되어진다. 이것은 원체를 용해시키기 위해 또는 사용시에 연소, 폭발을 회피할 목적이지만, 그와함께 해충에 부착되기 쉬운 점등의 효력상 목적도 있다.
따라서,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더구나 해충에의 부착성, 침투성등을 향상 시키기에 충분한 살충효력을 얻고자 한다면 어느정도의 량의 등유등 휘발성 용제의 첨가는 피할 수 없고, 그 때문에 마루, 벽, 가구등의 오염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등유등의 첨가에 따른 오염은 문제는 있지만 살충효력향상 때문에 어쩔수 없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재상태이다.
등유등의 첨가에 따른 오염은 문제는 있지만 살충효력향상 때문에 어쩔수 없이 사용하고 있는것이 현재상태이다.
그러나, 그것은 벽이나 마루등으로의 기름성분의 부착(오염)만을 허용하는 것이고, 의복등이 오염되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에어졸제(특히 공간용) 는 해충에 약제 입자를 점착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직경을 결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옷장안 등에 이용하면 의복으로의 부착이 많아서 얼룩이 지는 등 내부공간 전체에 퍼지지않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사용되고 있는 약제가 상온에서는 휘발되기 어려운 상태로 있기 때문에 대강 에어졸제로 옷장내를 처리하는 것만으로는 의복의 아래, 내측등에 약제가 가기 어렵고, 만족할만한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 에어졸제는 오염문제에 있어서나 효력의 문제에 있어서 의류용 방충에어졸제로서 적용시킬수가 없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소 56-90004 호 공보에는 상온 휘발성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를 이용한 의류용 방충제가 기재되어 있고, 그 방충제는 에어졸제의 제형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고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 56-90004 호에는 에어졸제의 처방예도 도시되어 있지만, 비등점 200 - 280 ℃의 탄화수소계 용제가 35 % 중량 사용되고 있고, 살충제도 5 중량 % 사용되는 등 오염에 대한 배려가 없고 또 그에 관한 기술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상기와 같은 고비등점용제(비휘발성 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오랫동안 의복 또는 옷장내면에 잔류되어 의복의 색깔변화, 얼룩등의 원인이 되며 또한 살충약제의 양이 상기와 같이 고농도의 경우 의복 또는 옷장내의 단위 면적당 잔유물이 많게되어 오염이 심해지고, 또 분무시 얼룩이져서 균일한 분무가 곤란하게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제상 상기와 같은 에어졸제를 의류용에 적용하는 것은 곤란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의복오염의 문제도 없으며, 충분한 방, 살충 효력을 발휘하는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는 상기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상온 휘발성의 방, 살충제 3 중량 % 이하,(B) 1 기압 하에서 비등점이 30 ℃ 이상 100 ℃ 이하인 휘발성 용제 10 - 25 중량 % 및 (C)분사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온 휘발성의 방, 살충제를 특정량 이하의 소량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특정범위의 비등점의 휘발성 용제를 특정량 사용함에 의해서 약제의 균일한 분무가 행해져 의복 또는 옷장으로서의 적당한 점착이 되게하고, 무엇보다도 분무후 적당한 시간에 휘발분사시켜 의복이나 옷장내면벽에 장시간 남지 않기 때문에 의복의 얼룩이나 오염등을 일으키는 일이 없게 되고 무엇보다 충분한 방, 살충효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수지한정의 의의에 대해서는 후에 각 요소마다에 상술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온 휘발성의 방, 살충제로서는 예컨대, 1-에티닐-2-메틸-2-펜테닐 2,2,3,3-테트리 메틸 사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는, 1-에티닐-2-메틸-2-펜테닐-2,2-디메틸-3-(2',2'-시클로비닐)-사이클로프로판-1-카르복실레이트, 엠펜스린등의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 프탈산디메닐, 프탈산 디에틸, 프탈산디부틸, N,N-디에틸-m-톨루아미드등의 방충 기피제, 안식향산 에틸, 세프롤, 오이게놀, 시트로네롤, 아네롤, l-카본, 리날로울등의 방충성 향료등이 있고, 이들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이용할 수가 있다.
상기 방충제의 첨가량은 3중량%가 상한이지만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해서 이용하는 경우도 합계량이 3중량% 이하로 되도록 한다.
3% 중량을 넘으면 의복 또는 용기내벽상의 단위 면적당 잔유물(=유효성분)이 많게 되어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통상 에어졸제를 분무할때에 완전히 균일한 분무를 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곤란하고 얼룩이 생기지만 이때, 방, 살충약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얼룩을 크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방, 살충제의 농도는 3중량% 이하로 규제할 필요가 있고, (표-1 참조) 보다 좋게는 2.5중량% 이하이다. 한편, 충분한 살,방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5중량%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고, 보다 좋게는 1.0%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휘산성 용제로서는 초산에틸(비점 76.8℃, 이하 같은 모양으로 괄호내에는 각 화합물의 비점을 표시한다), 초산메틸(56.3℃) 등의 에스테르류, n-헥산(68.8℃), 헵탄(98.4℃), 사이클로헥산(80.8℃), 사이클로 펜탄(49℃), 벤젠(80.1℃) 등의 탄화수소류, 아세톤(56.3℃), 메틸 에틸케톤(79.6℃) 등의 케톤류, 플론(flon)112(92.8℃), 플론113(47.6℃), 플론1142(47.3℃), 크로로포름(61.2℃), 4염화탄소(76.7℃) 등의 플론계, 할로겐화물, 에탄올(78.3℃), 메탄올(64.7℃) 등의 알콜류, 디에틸에테르(34.5℃), 부틸에틸에테르(92℃) 등의 에테르류등이 열거되어 있지만, 방, 살충제, 분사제와의 상용성 또는 반응성, 나아가 독성등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들 휘산성 용제는 1기압하에서 30℃ 이상 100℃ 이하의 비점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이러한 비점 범위의 휘산성 용제라면 분사후 적당한 시간으로 휘산하여 오랫동안 의복이나 용기내 벽면에 잔류됨이 없이 오염원인으로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비점이 높아진다면 오랫동안 의복이나 용기 내벽면에 잔류한 상태로 되고, 의복이 누렇게 변하고 얼룩이 지게 되는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100℃ 이하의 비점을 가질 필요가 있게 된다(표-2 참조).
한편, 비점이 낮으면 그것은 오히려 용제라고 하기 보다는 분사제의 일종으로 되어 분무입자 직경을 현저하게 미세하게 된다.
분무입자가 미세해지면 의복 또는 용기내에 분무한 때에 이들에 거의 부착되지 않고, 또한 운동량이 커서 밖으로 새나가 손실되며, 당연히 충분한 방, 살충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표-4의 비교예 14 참조). 따라서, 30℃ 이상의 비점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
보다좋은 휘산성용제의 비점 범위는 40℃ - 70℃ 이다. 또 휘산성 용제의 에어졸제에 점유비율이 25중량%를 넘게되면 분무입자 직경이 크게되며, 표면이나 용기 내벽면에 부착하는 일이 많게되어 부착얼룩이 생길 수 있고, 많이 부착한 의복부분이 누렇게 변하는 등의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역으로, 용제비율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분무입자 직경이 과도하게 미세해져 손실이 많게되며, 유효부착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따라서, 휘산성용제의 첨가 비율을 10 - 25중량% 의 범위로 할 필요가 있다(표- 참조).
상기한 조성으로 분무 패턴은 거의 정해지지만 페퍼탑 펄프(페퍼탑 직경 0.3㎜ 전후) 및 메카니칼 브레이크엎의 보턴을 사용하는 때에 가장 좋은 분무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무입자의 입자직경은 부착률등을 고려해서 5-15μ의 것이 6할 이상인 것이 적당하고 8할 이상이 더욱좋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분무제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없고, 플론계 액화개스, 탄화수소계 액화가스, 에테르계 액화가스, 압축가스등이 단독으로 또는 임의 조합으로 쓰일 수 있다. 단, 제품으로서의 압력이 20℃ 에서 2-6㎏/㎝ 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본 발명의 의류용 방충에어졸제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유효기간을 2-3개월 이상 기대할 경우, 1양복장(약 500-1000ℓ)당 500㎎ 이상이 적당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단 시간으로 좋든가 다른 용제와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좀 소량이라도 좋다. 도, 약의량을 증가시키면 유효시간도 연장되지만, 500㎎을 넘어서면 오염문제가 생겨 적당치 않다. 엠펜스린(empenthrin)을 사용한 예로는 방, 살충효력이나 경제성등의 점에서 1양복장(약 500-1000ℓ) 당 50-250㎎이 적당하다. 또, 본 발명의 에어졸제로는 그 특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난 휘산성의 방, 살충제, 각종공력제, 향료등을 첨가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도시해서 본 발명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종량의 각종 방, 살충제, 15중량%의 플론 113(용제) 및 잔량플론 12(분사제) 로 되는 에어졸제를 제조했다. 얻어진 각 에어졸제를 폴리프로필렌제 옷장 케이스내 저면에 설치한 20㎝×20㎝의 양모 모슬린포/(JIS 견고도 시험용 백포)를 향해서 35㎝의 거리에서 3초간 분무하고, 마개를 막았더. 30분후에 꺼내 16등분을 하고 각각의 각 부분으로서 약제 부착량을 분석하고, 각 부분마다의 부착량의 흩어짐을 조사했다. 또, 같은 형식으로 해서 얻어진 처리포(미분할)을 실내로 끌어내려서 방치하고 그 후의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1에 표시한다.
[표-1]
Figure kpo00001
상기 표-1 에 도시한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방, 살충제의 농도를 3중량% 이하로 규제하면, 포목으로의 부착량에 흩어짐이나 얼룩의 염려도 없다. 이에 반해, 3중량%를 넘으면 부착량에 큰 흩어짐이 생겨 오염의 유발한다.
표-2 에 도시한 처방으로 각종 방, 살충제 용제 및 분사제를 이용해서 에어졸제를 제조했다. 얻어진 각 에어졸제를 폴리프로필렌제 옷장내 저면에 설치한 10㎝×10㎝ 의 양모 모슬린포(JIS 견고도 시험용 백포)를 향해서 35㎝의 거리에서 3초간 분무하고, 마개를 닫는다.
30분후에 꺼내 실내로 매달아 내려두고 그 후의 변화(오염)을 조사한다.
또, 같은 에어졸제를 이용해서 의류가 넣어 지지않는 옷장내에 분무하고 마개를 닫는다.
30분후, 케이스내면벽에 부착되어 있는 약제를 용제를 닦아 부착량을 분석하고 분무량으로 부터 유효부착률을 산출했다.
그 결과를 표-2 에 나타냈다.
* 1) 플론 12 : 플론 11=70 : 30 의 혼합분사제
* 2) 플론 152a : n-부탄=85 : 15 의 혼합분사제
[표-2]
Figure kpo00002
상기 표중, 각 부호의 의미는 오염에 대해서는 표-1 의 경우와 같고 또 부착율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부착률 :
: 8 할 이상부착
: 6-8할
: 6할 이하
상기 표-2에 도시한 결과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용제의 량이 10중량% 미만 또는 미첨가의 경우(비교예 6,9)에는 충분한 부착률을 얻을 수 없고, 더구나 충분한 방,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한편 30중량% 를 넘어서면 오염을 유발한다(비교예 7,8). 또 고비점의 난 휘발성용제를 이용한 경우(비교예 11)에도 오염을 일으킨다.
표-3 에 도시하는 처방으로 각종 에어졸제를 제조했다. 수납체적 약 9001의 옷장에 의복을 끌어내려 가운데를 향해서 얻어진 각 에어졸제를 5초간 분무하고, 문을 닫고 1일후, 1개월후, 2개월후, 4개월후, 및 6개월후에 옷좀나방과 양모 모슬린포를 넣은 금망볼을 처리 옷장내의 의복 주머니에 넣어 2 주간의 모슬린포 섭식량을 조사했다.
이 섭식량으로부터 섭식피해 저지율을 다음식에 의해 산출했다. 그 결과는 표-4에 도시한다.
Figure kpo00003
[표-3]
Figure kpo00004
[표-4]
Figure kpo00005
상기 표-4에 도시한 결과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용제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2) 및 비등점이 30℃ 미만의 용제를 이용한 경우(비교예 14-플론 21의 비등점은 8.9℃)에는 아무래도 충분한 방, 살충효과를 얻을 수 없다. 소량의 휘산성 용제를 이용한 경우(비교예 13)에는 상기 경우에 비해서 어느정도 양호한 효과는 얻어지지만 그래도 본 발명의 경우(실시예 21)에 비해 섭식피해저지율이 어느정도 저하되고, 특히 장시간에 걸쳐서 표-5에 도시한 처방으로 각종 에어졸제를 제조했다. 내용적 약 60/1의 폴리프로필렌제 저장 케이스내에 접어 개어진 목면누임포, (60㎝×200㎝)를 넣고, 여기에 상기 각 에어졸제를 3초간 분무한 후 마개를 닫는다.
1일후, 히메카츠오부시무시(ヒメカツオブシムミ)유충을 놓아 2주간후에 충의 상태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5에 도시한다.
[표-5]
Figure kpo00006
상기 표-5 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난 휘산성의 살충제를 이용한 경우(비교예 15,16)에는 충분한 살충효과가 얻어지지 못한다. 이것은 에어졸의 재형상 분무된 입자 및 부유하고 있는 입자는 표면상태에 밖에 부착하지 않는 까닭이다. 이 때문에 난 휘산성 살충제의 경우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해충은 접어개어 놓은 옷의 안으로 들어가 생존하고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본 발명과 같이 상온 휘산성의 살충제를 이용한 경우, 살충제가 휘산해서 포개어 놓은 옷의 안에까지 침투하기 때문에 치사율 100% 라고하는 경이적인 살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예 23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상온 휘산성 살충제와 함게 난 휘산성 살충제를 병용함에 따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것또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에 포함되는 것이다.
[실시예 24]
엠펜스린 1.5중량%, 플론 113(용제) 15중량% 남은 부분 플론 12/11(70/30 의 비율의 혼합분사제) 으로 이루어지는 에어졸제를 제조했다. 에어졸 마다의 펄스는 페퍼탑 직경 0.3㎜, 하우징 직경 1.5㎜ 스템직경 0.5㎜ * 2 이다. 보턴으로서 스트레이트 보턴(0.5㎜ 분사구경)의 2종을 이용해서 40㎝ 떨어진 옷을 향해 에어졸제를 분무하고 약제의 부착상태를 조사했다. 스트레이트 보턴의 경우 중앙이 원형으로 새고 부착량도 많았지만, 메카니칼 브레이크업 보턴의 경우 섞여진 정도로 새기까지에는 장시간 걸렸다.
또, 부착량의 분포는 편중되지 않았고 부착량도 적었다. 따라서 균일한 부착등의 관점에서는 메카니칼 브레이크업 보턴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용 방충에어졸제는 상온 휘산성의 방, 살충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증기가 의복내부에까지 침투하고 의류해충은 순수한 약제중기에 접촉하거나 또는 부착약제를 의복과 함께 먹게되므로 우수한 방, 살충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의류용 방충에어졸제는 이와 같은 기본적 효과에다 상온 휘발성의 방, 살충제를 특정량이하의 소량으로 사용하고 또한, 특정비등점 범위의 휘산성 용제를 특정량 이용하기 때문에 약제의 균일한 분무가 행해지며 의복 또는 그 옷장 벽면상으로 적당하게 부착력이 생기게 되며 무엇보다도 분무후 적당한 시간에 휘산하여 종래의 에어졸제와 같이 의복이나 옷장내 벽면에 장시간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의복이 바랜다든지 얼룩이 지는등의 오염의 염려가 없고, 장시간에 걸쳐 아주 높은 방충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등, 각별한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1. 상온 휘산성의 방, 살충제 3중량% 이하, 1기압하에서 비등점이 30℃ 이상 100℃이하인 휘산성용제 10-25중량% 및 분사제로 이루어지는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
KR1019870015361A 1987-01-30 1987-12-30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 KR930007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18738A JPS63188602A (ja) 1987-01-30 1987-01-30 衣料用防虫エアゾ−ル剤
JP18738 1987-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9263A KR890009263A (ko) 1989-08-01
KR930007404B1 true KR930007404B1 (ko) 1993-08-10

Family

ID=1198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361A KR930007404B1 (ko) 1987-01-30 1987-12-30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S63188602A (ko)
KR (1) KR930007404B1 (ko)
AR (1) AR242884A1 (ko)
ES (1) ES2005772A6 (ko)
IT (1) IT121799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197B1 (ko) * 2007-06-26 2008-06-23 퀀틴 패트릭 좀방지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2235B1 (en) * 1999-05-10 2002-03-26 Biosensory,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ositions for inhibiting the human scent tracking ability of mosquitoes in environmentally defined three dimensional spaces
JP2002068911A (ja) * 2000-06-16 2002-03-08 Sumitomo Chem Co Ltd 衣料の防虫方法
JP4982933B2 (ja) * 2001-09-05 2012-07-25 住友化学株式会社 衣料の防虫方法
JP2003073204A (ja) * 2001-09-05 2003-03-12 Sumitomo Chem Co Ltd 家屋室内における飛翔性害虫の駆除方法
JP2003081721A (ja) * 2001-09-14 2003-03-19 Sumitomo Chem Co Ltd 家屋室内における飛翔性害虫の駆除方法
JP6034658B2 (ja) * 2012-10-29 2016-11-30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衣類害虫防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121B2 (ja) * 1974-09-19 1984-06-07 大正製薬株式会社 無臭性エアゾ−ル殺虫剤
JPS59172404A (ja) * 1983-03-19 1984-09-29 Katsuta Yoshio 敷物用エアゾ−ル殺虫剤
JPS59175403A (ja) * 1983-03-23 1984-10-04 Fumakiraa Kk エアゾ−ル殺虫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197B1 (ko) * 2007-06-26 2008-06-23 퀀틴 패트릭 좀방지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819245A0 (it) 1988-01-28
KR890009263A (ko) 1989-08-01
AR242884A1 (es) 1993-06-30
JPS63188602A (ja) 1988-08-04
IT1217991B (it) 1990-03-30
ES2005772A6 (es) 198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0477B2 (ja) アリ防除剤
JP6718568B1 (ja) 害虫、ダニ防除方法、及び害虫、ダニ防除用エアゾール
JP2011063576A (ja) 害虫、ダニ防除方法
KR101916786B1 (ko) 모기류 방제용 에어로졸, 및 모기류 방제 방법
JP2014088327A (ja) 衣類害虫防除方法
KR930007404B1 (ko) 의류용 방충 에어졸제
MXPA06001532A (es) Aerosol para controlar plagas de insectos.
JP4338272B2 (ja) 腹足類駆除剤
WO2019078219A1 (ja) 害虫防除用定量噴射型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害虫防除方法
JP4324252B2 (ja) 繊維害虫用防虫剤および防虫方法
WO2019117164A1 (ja) 定量噴射型エアゾール、定量噴射型エアゾールの噴射方法及び薬剤の効力向上方法
JP4338274B2 (ja) 網戸用展着剤
JP2016108311A (ja) 穀物・乾物用防虫剤および防虫方法
JPH0379321B2 (ko)
JP4807676B2 (ja) ゴキブリ用フラッシングアウト剤
JP7230069B2 (ja) 蚊類防除用エアゾール、及び蚊類防除方法
JP5995274B2 (ja) ノックダウン活性組成物
JP7368817B2 (ja) ナメクジ駆除剤
JP7492343B2 (ja) 一液型水性エアゾール組成物
JP7055880B2 (ja) 害虫防除用エアゾール剤、及び害虫防除方法
KR100297423B1 (ko) 환경친화형저독성수중유형유액상살충제조성물
JP2003026523A (ja) 吸血害虫から体表を保護する方法及び吸血害虫の忌避方法
JP2023108909A (ja) エアゾール殺虫剤
KR100485412B1 (ko) 피복처리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JP2022109097A (ja) アリ防除用空間処理エアゾール製品及びアリ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